KR20130116884A - Communicating between user equipment(ue) and independent serving se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Google Patents

Communicating between user equipment(ue) and independent serving se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884A
KR20130116884A KR1020137012313A KR20137012313A KR20130116884A KR 20130116884 A KR20130116884 A KR 20130116884A KR 1020137012313 A KR1020137012313 A KR 1020137012313A KR 20137012313 A KR20137012313 A KR 20137012313A KR 20130116884 A KR20130116884 A KR 20130116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ng cell
carrier
sectors
downlink
user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3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75448B1 (en
Inventor
단루 장
샤라드 디파크 삼브와니
질레이 호우
파반 쿠마르 비트탈아데부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269,721 external-priority patent/US8824307B2/en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16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8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4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부분들을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에 할당하게 함으로써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로 전송한다. 제 1 서빙 셀은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한다.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은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한다. 선택적인 양상에서, RNC는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s to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by having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allocate portions of data for transmission to user equipment to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The first serving cell sends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downlink carrier. The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transmits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second downlink carrier. In an optional aspect, the RNC receives a measurement report from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uplink carrier via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UE)와 독립적인 서빙 섹터들 간의 통신{COMMUNICATING BETWEEN USER EQUIPMENT(UE) AND INDEPENDENT SERVING SE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COMMUNICATING BETWEEN USER EQUIPMENT (UE) AND INDEPENDENT SERVING SE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본 특허 출원은, 2010년 10월 13일자에 출원되고, 본 특허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COMMUNICATING BETWEEN A USER EQUIPMENT (UE) AND A PLURALITY OF INDEPENDENT SERVING SE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이란 명칭의 미국 가출원 제 61/392,915 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그로 인해 상기 가출원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명백히 포함된다. This patent application is filed on October 13, 2010, and is assigned to the assignee of the present patent application under the name "COMMUNICATING BETWEEN A USER EQUIPMENT (UE) AND A PLURALITY OF INDEPENDENT SERVING SE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61 / 392,915 claims priority, whereby the provisional application is expressly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출원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UE)와 복수의 독립적인 서빙 섹터들 간의 통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equipment (UE) and a plurality of independent serving se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텔레포니,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전개된다. 통상적으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례는 UMTS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UTRAN)이다. UTRAN은,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지원되는 제 3 세대(3G) 모바일 폰 기술인 유니버셜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로서 정의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이다.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 기술들에 대한 계승자인 UMTS는 현재,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시분할-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CDMA) 및 시분할-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와 같은 다양한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들을 지원한다. UMTS는 또한, 연관된 UMTS 네트워크들에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들 및 용량을 제공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와 같은 향상된 3G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한다.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re widely deployed to provide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telephony, video, data, messaging, broadcasts, and the like. Such networks, typically multiple access networks, support communications for multiple users by sharing the available network resources. One example of such a network is the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UTRAN is a Radio Access Network (RAN) defined as part of the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a third generation (3G) mobile phone technology supported by the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UMTS, the successor to the Univers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technologies, currently support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ime division-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CDMA), and time division-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 It supports various air interface standards such as SCDMA. UMTS also supports enhanced 3G data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which provides higher data transfer rates and capacity for associated UMTS networks.

그러한 통신 시스템들의 설계에서, 정해진 이용 가능한 자원들에서 상기 시스템이 신뢰할 수 있게 지원할 수 있는 사용자들의 수 또는 용량을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design of such communication systems, it is desirable to maximize the number or capacity of users that the system can reliably support in given available resources.

하기 설명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그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이러한 요약은 모든 고려되는 양상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양상들의 핵심 또는 중요한 엘리먼트를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묘사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공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일부 개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The following description provides a simplified summary of one or more aspects in order to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This summary is not an exhaustive overview of all aspects considered and is not intended to identify key or critical elements of all aspects or to delineate any or all aspects. Its sole purpose is to present some concepts of one or more aspects in a simplified form as a prelude to the more detailed description that is presented later.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은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 장비(UE)는 제 1 서빙 셀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UE는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양상에서, UE는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ceiving data with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The user equipment (UE) receives data on the first downlink carrier from the first serving cell. The UE receives data on a second downlink carrier from a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In an exemplary aspect, the UE sends channel feedback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on the first uplink carrier.

또 다른 양상에서,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제공한다. 제 1 모듈은 제 1 서빙 셀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 2 모듈은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양상에서, 제 3 모듈은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In another aspect, there is provided at least one processor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The first module receives data on the first downlink carrier from the first serving cell. The second module receives data on a second downlink carrier from a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In an exemplary aspect, the third module sends channel feedback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on the first uplink carrier.

부가적인 양상에서, 본 발명은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코드의 저장된 세트들을 포함한다. 제 1 세트의 코드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에서, 제 1 서빙 셀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게 한다. 제 2 세트의 코드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에서,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게 한다. 예시적인 양상에서, 제 3 세트의 코드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게 한다.In an additional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ceiving data into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cludes stored sets of code. The first set of codes causes the computer to receive, at the user equipment, data from the first serving cell onto the first downlink carrier. The second set of codes causes the computer to receive, at the user equipment, data on a second downlink carrier from a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In an exemplary aspect, the third set of codes causes the computer to send, by the user equipment, channel feedback onto the first uplink carrier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추가적인 양상에서, 본 발명은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사용자 장비에서, 제 1 서빙 셀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사용자 장비에서,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양상에서, 장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In a fur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The apparatus comprises means for receiving, on user equipment, data on a first downlink carrier from a first serving cell. The apparatus includes, at user equipment, means for receiving data on a second downlink carrier from a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In an exemplary aspect, the apparatus includes means for transmitting, by the user equipment, channel feedback on the first uplink carrier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수신기는, 사용자 장비에서, 제 1 서빙 셀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 2 수신기는, 사용자 장비에서,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양상에서, 제 1 전송기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The first receiver, at the user equipment, receives data on the first downlink carrier from the first serving cell. The second receiver, at the user equipment, receives data on a second downlink carrier from a second serving cell that is independent of the first serving cell. In an exemplary aspect, the first transmitter sends, by the user equipment, channel feedback on the first uplink carrier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또 다른 추가적인 양상에서, 본 발명은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RAN(Radio Access Network)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부분들을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에 할당한다. RAN은, 제 1 서빙 셀에 의해,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한다. RAN은,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에 의해,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한다. 선택적인 양상에서, RAN은, RNC에 의해,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채널 피드백을 수신한다. In yet a fur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to HSDPA.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assigns, by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portions of data for transmission to user equipment to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The RAN sends, by the first serving cell,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downlink carrier. The RAN sends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second downlink carrier by a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In an optional aspect, the RAN receives, by the RNC, channel feedback from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uplink carrier via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제공한다. 제 1 모듈은, RNC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부분들을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에 할당한다. 제 2 모듈은, 제 1 서빙 셀에 의해,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한다. 제 3 모듈은,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에 의해,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한다. 선택적인 양상에서, 제 4 모듈은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채널 피드백을 수신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processor for transferring dat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to an HSDPA. The first module assigns, by the RNC, portions of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user equipment to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The second module sends, by the first serving cell,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downlink carrier. The third module transmits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second downlink carrier by a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In an optional aspect, the fourth module receives channel feedback from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uplink carrier via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부가적인 양상에서, 본 발명은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코드의 저장된 세트들을 포함한다. 제 1 세트의 코드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RNC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부분들을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에 할당하게 한다. 제 2 세트의 코드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서빙 셀에 의해,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게 한다. 제 3 세트의 코드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에 의해,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제 4 세트의 코드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채널 피드백을 수신하게 한다. In an additional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ransferring dat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to an HSDP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cludes stored sets of code. The first set of codes causes the computer to assign, by the RNC, portions of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user equipment to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The second set of codes causes the computer to send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downlink carrier by the first serving cell. The third set of codes causes the computer to send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second downlink carrier by a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Optionally, the fourth set of codes causes the computer to receive channel feedback from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uplink carrier via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추가적인 양상에서, 본 발명은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RNC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부분들을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에 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제 1 서빙 셀에 의해,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에 의해,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양상에서, 상기 장치는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채널 피드백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In a fur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to an HSDPA. The apparatus comprises means for assigning, by the RNC, portions of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user equipment to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The apparatus includes means for transmitting, by the first serving cell,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downlink carrier. The apparatus comprises means for transmitting data to a user equipment on a second downlink carrier by a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In an optional aspect, the apparatus includes means for receiving channel feedback from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uplink carrier via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RNC는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부분들을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에 할당한다. 제 1 서빙 셀은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한다.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은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한다. 선택적인 양상에서, RNC는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채널 피드백을 수신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to an HSDPA. The RNC allocates portions of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user equipment to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The first serving cell sends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downlink carrier. The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transmits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second downlink carrier. In an optional aspect, the RNC receives channel feedback from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uplink carrier via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상술한 목적들 및 관련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들에서 지시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히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일부만을 나타내며, 이러한 설명은 모든 이러한 양상들 및 이러한 양상들의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To the accomplishment of the foregoing and related ends, the one or more aspects comprise the features 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and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claim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the one or more aspects. These features are indicative, however, of but a few of the various ways in which the principles of various aspects may be employed, and this description is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발명의 특징들, 특성, 및 이점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것들을 식별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취해질 때 아래에 제시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The features,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set forth below wh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drawings to identify corresponding ones throughout.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의 일 양상의 타이밍도.
도 2a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독립적인 서빙 셀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의 일 양상의 흐름도.
도 2b는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독립적인 서빙 셀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의 일 양상의 흐름도.
도 3은 원격 통신 시스템의 일 양상의 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블록도.
도 4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 양상의 예를 예시한 개념도.
도 5는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 UE와 통신하는 노드B의 일 양상의 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블록도.
도 6은 프로세싱 시스템을 사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양상의 예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단일 섹터 내에서 다수의 캐리어들 상으로 데이터를 레거시 UE로 전송하는 방법의 일 양상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방법 동안에 정해진 사용자 장비(UE)와 서빙 섹터 사이에 설정되는 접속들의 일 양상을 예시한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혁신의 양상에 따라 다수의 서빙 섹터들을 통해 데이터를 UE로 전송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9b는 본 발명의 혁신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다수의 서빙 섹터들을 통해 데이터를 UE로 전송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g는 도 9a 및 도 9b의 방법들에 따른, 정해진 UE와 다수의 서빙 섹터들 사이에 설정되는 접속들의 일 양상의 블록도를 각각 예시한 도면.
도 11a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듀얼 업링크 전송 시간 간격을 사용하는 통신을 위한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 그룹들의 시스템의 일 양상의 블록도.
도 11b는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듀얼 업링크 전송 시간 간격을 사용하는 통신을 위한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 그룹들의 시스템의 일 양상의 블록도.
1 is a timing diagram of an aspect of a user device and a network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2A is a flowchart of an aspect of a method for communication using data received from independent serving cells, performed by a user device.
2B is a flow diagram of an aspect of a method for communication using data transmitted from independent serving cells, performed by a network device.
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spect of a telecommunication system.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spect of an access network.
5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spect of a NodeB in communication with a UE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aspect of a hardware implementation for an apparatus using a processing system.
FIG. 7 illustrates an aspect of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o a legacy UE on multiple carriers within a single sector. FIG.
Figure 8 illustrates one aspect of connections established between a user equipment (UE) and a serving sector as determined during the method of Figure 7;
9A illustrate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o a UE over a plurality of serving sectors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9B illustrate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o a UE over multiple serving sectors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A-10G each illustrate a block diagram of an aspect of connections established between a given UE and a plurality of serving sectors, according to the methods of FIGS. 9A and 9B.
FIG. 11A is a block diagram of an aspect of a system of logical groups of electrical components for communication using dual uplink transmission time intervals performed by a user device. FIG.
11B is a block diagram of an aspect of a system of logical groups of electrical components for communication using dual uplink transmission time intervals performed by a network device.

사용자 장비(UE)는 제 1 서빙 섹터 및 제 2 서빙 섹터를 동시에 설정한다. 제 1 서빙 섹터는 제 1 세트의 캐리어들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UE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제 2 서빙 섹터는 제 2 세트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UE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UE에는 하나의 업링크 캐리어가 할당되고, UE는 하나의 업링크 캐리어에 의해서 피드백을 제 1 및 제 2 서빙 섹터들로 전송할 수 있고, 업링크 캐리어는 제 1 및 제 2 세트들의 캐리어들 사이에 포함된다. UE는 그들 각각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상으로 제 1 및 제 2 서빙 섹터들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들을 수신한다. UE는 로컬 섹터들의 파일럿 신호들을 측정하고,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제공한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UE에 대한 활성 세트를 유지한다. The user equipment UE sets up a first serving sector and a second serving sector at the same time. The first serving sector is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UE on at least one downlink carrier from the first set of carriers, and the second serving sector is sent to the UE on at least one downlink carrier of the second set of carriers. Configured to transmit. One uplink carrier is assigned to the UE, and the UE can send feedback to the first and second serving sectors by one uplink carrier, the uplink carrier be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ts of carriers. Included. The UE receives data transmissions from the first and second serving sectors on their respective downlink carriers. The UE measures pilot signals of local sectors and provides channel feedback on the uplink carrier. The access network maintains an active set for the UE based on the measurement report.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제시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본원에 기재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구성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세부 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개념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그러한 개념들을 애매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ne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is intended as a description of various aspects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configurations in which the concepts described herein may be practiced. The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bove concep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n some instances, well known structures and components are shown in block diagram form in order to avoid obscuring such concepts.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102)로서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는, 사용자 장비(UE)(114)로서 도시된 사용자 장치로 다수의 캐리어들 상으로 전송하는 독립적인 서빙 셀들을 관리하는 독립적인 서빙 셀 전송 제어기(101)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RAN(102)은 제 1 베이스 노드(108)에 의해 제공되는 제 1 서빙 셀(106) 및 제 2 베이스 노드(112)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서빙 셀(110)로서 도시된 2 개의 독립적인 셀들로부터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로 데이터(104)를 UE(114)로 전송한다. 일 양상에서, RAN(102)의 RNC(Radio Network Controller)(116)로서 도시된 스케줄러는 독립적인 서빙 셀 전송 제어기(101)를 실행하고, 결과적으로 UE(114)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104)의 부분들을 제 1 서빙 셀(106) 및 제 2 서빙 셀(110)에 할당한다. 특히, 제 1 서빙 셀(106)은 제 1 다운링크 캐리어(118) 상으로 데이터(104)를 UE(114)로 전송한다. 제 1 서빙 셀(106)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110)은 제 2 다운링크 캐리어(120) 상으로 데이터(104)를 UE(114)로 전송한다. RNC(116) 및/또는 독립적인 서빙 셀 전송 제어기(101)는 제 1 서빙 셀(106) 및 제 2 서빙 셀(11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 1 업링크 캐리어(124) 상으로 UE(114)로부터 채널 피드백(122)을 수신한다. 제 1 및 제 2 베이스 노드들은 전송 및 수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130)를 사용하는 전송기(126) 및 수신기(128)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a network device, shown as a radio access network (RAN) 102, onto a plurality of carriers with a user device, shown as a user equipment (UE) 114. An independent serving cell transmission controller 101 that manages independent serving cells transmitting. In one aspect, the RAN 102 is shown as the first serving cell 106 provided by the first base node 108 and the second serving cell 110 provided by the second base node 112. Data 104 is transmitted to UE 114 from H independent PAs in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In one aspect, the scheduler shown as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116 of the RAN 102 executes an independent serving cell transmission controller 101 and, consequently, data 104 for transmission to the UE 114. Allocate portions of the first serving cell 106 and the second serving cell 110. In particular, the first serving cell 106 transmits data 104 to the UE 114 on the first downlink carrier 118. The second serving cell 110,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106, transmits data 104 to the UE 114 on the second downlink carrier 120. The RNC 116 and / or the independent serving cell transmission controller 101 may transmit the UE 114 onto the first uplink carrier 124 via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106 and the second serving cell 110. Channel feedback 122 from < RTI ID = 0.0 > The first and second base nodes may each include a transmitter 126 and a receiver 128 using at least one antenna 130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마찬가지로, UE(114)에서 다수의 캐리어들 상으로 수신하는 독립적인 서빙 셀들을 관리하기 위한 독립적인 셀 수신 제어기(103)는, 일 양상에서, UE(114)가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 1 수신기(132)는 제 1 서빙 셀(106)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캐리어(118) 상으로 데이터(104)를 수신한다. 제 2 수신기(134)는 제 1 서빙 셀(106)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110)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캐리어(120) 상으로 데이터(104)를 수신한다. 제 1 전송기(136)는 제 1 업링크 캐리어(124) 상으로 채널 피드백(122)을 제 1 서빙 셀(106) 및 제 2 서빙 셀(11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Similarly, an independent cell reception controller 103 for managing independent serving cells receiving on multiple carriers at the UE 114 may, in one aspect, allow the UE 114 to have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And to enable receiving data from the HSDPA. The first receiver 132 receives the data 104 from the first serving cell 106 onto the first downlink carrier 118. The second receiver 134 receives data 104 on the second downlink carrier 120 from the second serving cell 110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106. The first transmitter 136 transmits channel feedback 122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106 and the second serving cell 110 on the first uplink carrier 124.

예시적인 양상에서, UE(114)는 앵커 캐리어일 수 있는 제 2 업링크 캐리어(140)를 전송하기 위한 제 2 전송기(138)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수신기들(132, 134) 및 제 1 및 제 2 전송기들(136, 138)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42)을 사용한다. In an exemplary aspect, the UE 114 has a second transmitter 138 for transmitting the second uplink carrier 140, which may be an anchor carrier. The first and second receivers 132, 134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ers 136, 138 use one or more antennas 142.

캐리어는, 앵커 캐리어가 비-앵커 캐리어에 대한 제어 채널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앵커 캐리어처럼 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앵커 캐리어의 측정들은 이동성을 결정하기 위한 기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단일 업링크는 또한, 단일 활성 세트가 앵커 캐리어 상으로만 UE(및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carrier may look like an anchor carrier in that the anchor carrier carries control channels for non-anchor carriers.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measurements of the anchor carrier can be the basis for determining mobility.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a single uplink also means that a single active set is supported by the UE (and network) only on the anchor carrier.

현재 다중-캐리어 HSPA에서, W-CDMA Rel. 8, 9 및 10에서, 모든 다운링크 캐리어들은 동일한 서빙 셀을 갖는다. 그러한 구현이 MAC(Medium Access Control) 및 RLC(Radio Link Control) 계층들 상의 특정 동작들을 간소화하지만, 이것은 또한 많은 상황들에서 UE 데이터 레이트를 제한한다. 본 발명의 혁신은 하나보다 많은 독립적인 섹터 또는 셀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고, 여기서 각각의 캐리어의 서빙 셀이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UE로부터 하나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 상의 채널 피드백이 어드레싱된다. 특히, 캐리어들은 캐리어 그룹들로 그룹화될 수 있다. 각각의 캐리어 그룹은 하나의 업링크 캐리어 및 따라서 하나의 활성 세트를 갖는다. 각각의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한 서빙 셀은 그 캐리어 그룹에 대한 활성 세트 내의 멤버 셀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동성은 앵커 캐리어에 기초할 수 있거나, 캐리어 그룹마다 독립적일 수 있다. HS-DPCCH는 하나의 코드 워드로 코딩되고, 앵커 업링크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거나, 캐리어 그룹마다 코딩되고 그 캐리어 그룹에 링크된 업링크 캐리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In current multi-carrier HSPA, W-CDMA Rel. At 8, 9 and 10, all downlink carriers have the same serving cell. While such an implementation simplifies certain operations on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Radio Link Control (RLC) layers, this also limits the UE data rate in many situations. The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more than one independent sector or cell, wherein the serving cell of each carrier can be selected independently. Channel feedback on one or more uplink carriers from the UE is addressed. In particular, carriers may be grouped into carrier groups. Each carrier group has one uplink carrier and thus one active set. The serving cell for each downlink carrier may be selected from among the member cells in the active set for that carrier group. Mobility can be based on anchor carriers or can be independent from carrier group to carrier. The HS-DPCCH may be coded into one code word and transmitted on an anchor uplink carrier or on an uplink carrier coded per carrier group and linked to that carrier group.

따라서, 일 양상에서,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은 측정 보고(143)에 기초하여 활성 세트로부터, 예를 들면, 독립적인 서빙 셀 전송 제어기(101)를 실행하는 RNC(116)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Thus, in one aspect,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are from the active set based on the measurement report 143, for example by the RNC 116 executing the independent serving cell transmission controller 101. Can be selected.

또 다른 양상에서, 제 1 서빙 셀(106)은 제 1 다운링크 캐리어(118)에 대한 제 1 HS-SCCH(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를 전송한다. 제 2 서빙 셀(110)은 제 2 다운링크 캐리어(120)에 대한 제 2 HS-SCCH를 전송한다. 일 양상에서, 독립적인 서빙 셀 수신 제어기(103)의 동작에 응답하여, UE(114)에서의 인코더(144)는 제 1 HS-SCCH 및 제 2 HS-SCCH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HS-DPCCH(High Speed Downlink Physical Control Channel)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피드백(122)을 제 1 업링크 캐리어(124) 상의 하나의 코드 워드로 인코딩한다. 하나의 코드 워드는 RAN(102)에서 디코더(146)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first serving cell 106 transmits a first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 (HS-SCCH) for the first downlink carrier 118. The second serving cell 110 transmits a second HS-SCCH for the second downlink carrier 120. In an aspect,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independent serving cell reception controller 103, the encoder 144 at the UE 114 may generate an HS-DPCCH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first HS-SCCH and the second HS-SCCH). Channel feedback 122 including High Speed Downlink Physical Control Channel) information is encoded into one code word on the first uplink carrier 124. One code word may be decoded by the decoder 146 at the RAN 102.

앞서 말한 것에 의해서, 도 2a에서, 도 1의 사용자 장비(114)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같은 방법(200)은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장비는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제 1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블록 202). 사용자 장비는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블록 204). 선택적인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는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블록 206).As mentioned above, in FIG. 2A, a method 200, such as that performed by the user equipment 114 of FIG. 1, receives data with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It is for. The user equipment receives data from the first serving cell on the first downlink carrier (block 202). The user equipment receives data from a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on a second downlink carrier (block 204). In an optional aspect, the user equipment sends channel feedback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on the first uplink carrier (block 206).

예시적인 양상에서,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은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활성 세트로부터 RNC(Radio Network Controller)에 의해 선택된다. In an exemplary aspect,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are selected by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from an active set based on the measurement report.

또 다른 예시적인 양상에서, 상기 방법은 제 1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해 제 1 서빙 셀에 의해 전송된 제 1 HS-SCCH(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제 2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해 제 2 서빙 셀에 의해 전송된 제 2 HS-SCCH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제 1 HS-SCCH 및 제 2 HS-SCCH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HS-DPCCH(High Speed Downlink Physical Control Channel)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피드백을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의 하나의 코드 워드로 인코딩한다. 특정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는 제 2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고, 여기서 제 1 업링크 캐리어는 앵커 캐리어를 포함한다. In another exemplary aspect, the method includes monitoring a first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 (HS-SCCH) transmitted by a first serving cell for a first downlink carrier; And monitoring the second HS-SCCH transmitted by the second serving cell for the second downlink carrier. The user equipment encodes channel feedback including High Speed Downlink Physical Control Channel (HS-DPCCH) information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first HS-SCCH and the second HS-SCCH into one code word on the first uplink carrier. . In a particular aspect, the user equipment transmits data onto a second uplink carrier to at least one of a first serving cell and a second serving cell, wherein the first uplink carrier comprises an anchor carrier.

부가적인 예시적인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는 제 1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및 제 1 업링크 캐리어의 제 1 할당을 수신하고, 제 2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및 제 2 업링크 캐리어의 제 2 할당을 수신한다. 사용자 장비는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제 1 서빙 셀로 전송하고, 제 2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제 2 서빙 셀로 전송한다. 특정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는 선택된 캐리어 그룹에 할당된 각각의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한 HS-SCCH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선택된 캐리어 그룹에 대한 채널 피드백을 결정한다. 더 상세한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는 채널 품질이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및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캐리어 그룹에 대한 서빙 셀들 간의 이동성을 트리거링한다. In an additional illustrative aspect, the user equipment receives a first assignment of the first downlink carrier and the first uplink carrier for the first carrier group, and the second downlink carrier and the second uplink for the second carrier group. Receive a second assignment of the link carrier. The user equipment sends channel feedback on the first uplink carrier to the first serving cell and sends channel feedback on the second uplink carrier to the second serving cell. In a particular aspect, the user equipment determines channel feedback for the selected carrier group by monitoring the HS-SCCH for each downlink carrier assigned to the selected carrier group. In a more detailed aspect, the user equipment triggers mobility between serving cells for the selected carrier group in response to the channel quality being below a threshold of either the first downlink carrier or the second downlink carrier.

추가적인 예시적인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는 채널 품질이 앵커 캐리어로서 지정된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및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중 선택된 하나의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서빙 셀들 사이의 이동성을 트리거링한다. 특정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는 이웃 셀들 및 섹터들의 활성 세트를 활성 세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새로운 셀에 의해 전송된 제 3 다운링크 캐리어의 압축 모드를 사용하여 채널 품질을 측정한다. In a further illustrative aspect, the user equipment triggers mobility between serving cells in response to the channel quality being below a threshold of a selected one of the first downlink carrier and the second downlink carrier designated as the anchor carrier. In a particular aspect, the user equipment measures the channel quality using the compression mode of the third downlink carrier sent by the new cell to update the active set of neighboring cells and sectors.

또 다른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는 채널 품질이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및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서빙 셀들 간의 이동성을 트리거링한다. In another aspect, the user equipment triggers mobility between serving cells in response to the channel quality being below a threshold of either the first downlink carrier or the second downlink carrier.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서, 제 1 서빙 셀은 제 1 서빙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서빙 셀은 제 2 서빙 섹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yet another additional aspect, the first serving cell may comprise a first serving sector and the second serving cell may comprise a second serving sector.

도 2b에서,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면, 도 1의 RAN(102)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같은 방법(250)은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RAN은, RNC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부분들을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에 할당한다(블록 252). RAN은, 제 1 서빙 셀에 의해,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한다(블록 254). RAN은,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에 의해,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한다(블록 256). 예시적인 양상에서, RAN은, RNC에 의해,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채널 피드백을 수신한다(블록 258).In FIG. 2B, a method 250, such as performed by a network device, eg, the RAN 102 of FIG. 1, is for transferring dat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to the HSDPA. The RAN allocates, by the RNC, portions of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user equipment to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block 252). The RAN sends, by the first serving cell,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downlink carrier (block 254). The RAN transmits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second downlink carrier by a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block 256). In an exemplary aspect, the RAN receives, by the RNC, channel feedback from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uplink carrier via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block 258).

일 양상에서,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은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활성 세트로부터 RNC에 의해 선택되고, 이것은 레거시 UE들을 지원할 수 있다. In an aspect,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are selected by the RNC from the active set based on the measurement report, which may support legacy UEs.

또 다른 양상에서, RAN은 제 1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해 제 1 서빙 셀에 의해 제 1 HS-SCCH를 전송하고, 제 2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해 제 2 서빙 셀에 의해 제 2 HS-SCCH를 전송한다. RAN은 제 1 HS-SCCH 및 제 2 HS-SCCH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HS-DPCCH(High Speed Downlink Physical Control Channel)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하나의 코드 워드로 수신되는 채널 피드백을 디코딩한다. 예시적인 양상에서, RAN은,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 2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 1 업링크 캐리어는 앵커 캐리어를 포함한다. In another aspect, the RAN transmits a first HS-SCCH by a first serving cell for a first downlink carrier and a second HS-SCCH by a second serving cell for a second downlink carrier. . The RAN is channel feedback received in one code word on a first uplink carrier, including High Speed Downlink Physical Control Channel (HS-DPCCH) information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first HS-SCCH and the second HS-SCCH. Decode In an illustrative aspect, the RAN receives,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data from the user equipment onto the second uplink carrier, wherein the first uplink carrier comprises an anchor carrier. .

부가적인 양상에서, RAN은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및 제 1 업링크 캐리어를 제 1 캐리어 그룹에 할당하고,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및 제 2 업링크 캐리어를 제 2 캐리어 그룹에 할당한다. RAN은, 제 1 서빙 셀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수신한다. RAN은, 제 2 서빙 셀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 2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수신한다. 예시적인 양상에서, RAN은 선택된 캐리어 그룹에 할당된 각각의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해 HS-SCCH에 기초하여 선택된 캐리어 그룹에 대한 채널 피드백을 수신한다. 특정 양상에서, RAN은 채널 품질이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및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캐리어 그룹에 대한 서빙 셀들 사이의 이동성을 트리거링한다. In an additional aspect, the RAN assigns a first downlink carrier and a first uplink carrier to a first carrier group, and assigns a second downlink carrier and a second uplink carrier to a second carrier group. The RAN receives, by the first serving cell, channel feedback from the user equipment onto the first uplink carrier. The RAN receives, by the second serving cell, channel feedback from the user equipment onto the second uplink carrier. In an exemplary aspect, the RAN receives channel feedback for the selected carrier group based on the HS-SCCH for each downlink carrier assigned to the selected carrier group. In a particular aspect, the RAN triggers mobility between serving cells for the selected carrier group in response to the channel quality being below a threshold of either the first downlink carrier or the second downlink carrier.

추가적인 양상에서, RAN은, 제 1 서빙 셀에 의해, 제 2 다운링크 캐리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 장비로 전송한다. RAN은, RNC의 동작을 통해, 스루풋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자 장비로 제 1 다운링크 캐리어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서빙 셀 및 제 2 다운링크 캐리어를 전송하기 위한 제 2 서빙 셀을 선택한다. In a further aspect, the RAN transmits, by the first serving cell, data to another user equipment using the second downlink carrier. The RAN select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NC, a first serving cell for transmitting the first downlink carrier to the user equipment and a second serving cell for transmitting the second downlink carrier to increase throughput.

또 다른 양상에서, RAN은, 제 1 서빙 셀에 의해, 제 2 다운링크 캐리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RAN은, 제 2 서빙 셀에 의해, 제 1 업링크 캐리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 장비로 전송한다. RAN은, RNC의 동작을 통해, 로드 밸런싱을 위해 제 1 다운링크 캐리어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서빙 셀 및 제 2 다운링크 캐리어를 전송하기 위한 제 2 서빙 셀을 선택한다. In another aspect, the RAN transmits, by the first serving cell, data using the second downlink carrier. The RAN transmits, by the second serving cell, data to other user equipment using the first uplink carrier. The RAN select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NC, a first serving cell for transmitting the first downlink carrier for load balancing and a second serving cell for transmitting the second downlink carrier.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서, RAN은 채널 품질이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및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중 선택된 하나의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서빙 셀들 간의 이동성을 트리거링한다. In another additional aspect, the RAN triggers mobility between serving cells in response to the channel quality being below a threshold of a selected one of the first downlink carrier and the second downlink carrier.

또 다른 추가적인 양상에서, RAN은 채널 품질이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및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서빙 셀들 간의 이동성을 트리거링한다. In another additional aspect, the RAN triggers mobility between serving cells in response to the channel quality being below a threshold of either the first downlink carrier or the second downlink carrier.

일 양상에서, 제 1 서빙 셀은 제 1 서빙 섹터를 포함하고, 제 2 서빙 셀은 제 2 서빙 섹터를 포함한다. In one aspect, the first serving cell comprises a first serving sector and the second serving cell comprises a second serving sector.

본 발명 전체에 걸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매우 다양한 원격 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에 걸쳐 구현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 3에 예시된 본 발명의 양상들은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UMTS 시스템(300)을 참조하여 제시된다. UMTS 네트워크는 3 개의 상호 작용 도메인들: 코어 네트워크(CN)(304),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302), 및 사용자 장비(UE)(3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UTRAN(302)은 텔레포니,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UTRAN(302)은 RNS(303)와 같은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들(RNS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RNC(306)와 같은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에 의해 제어된다. 서빙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SRNS)은 또한 RNS에 대해 본원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여기서, UTRAN(302)은 본원에 예시된 RNC들(306) 및 RNS들(303)에 부가하여 임의의 수의 RNC들(306) 및 RNS들(303)을 포함할 수 있다. RNC(306)는, 무엇보다도, RNS(303) 내에서 무선 자원들을 할당, 재구성 및 해제하는 것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RNC(306)는 임의의 적절한 전송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직접적인 물리적 접속, 가상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들의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UTRAN(302) 내의 다른 RNC들(도시되지 않음)에 상호 접속될 수 있다. The various concepts presented throughout this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cross a wide variety of telecommunication systems, network architectures, and communication standards. As a non-limiting example, aspects of the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3 are presented with reference to a UMTS system 300 that uses a W-CDMA air interface. The UMTS network includes three interaction domains: a core network (CN) 304, a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302, and a user equipment (UE) 310. In this example, the UTRAN 302 provides various wireless services, including telephony, video, data, messaging, broadcasts, and / or other services. The UTRAN 302 may include a plurality of radio network subsystems (RNSs), such as the RNS 303, each of which is controlled by a respective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such as the RNC 306. Serving Radio Network Subsystem (SRNS) is also used interchangeably herein for RNS. Here, the UTRAN 302 may include any number of RNCs 306 and RNSs 303 in addition to the RNCs 306 and RNSs 303 illustrated herein. The RNC 306 is, among other things, the apparatus responsible for allocating, reconfiguring and releasing radio resources within the RNS 303. The RNC 306 may be interconnected to other RNCs (not shown) in the UTRAN 302 via various forms of interfaces such as direct physical connection, virtual network, etc. using any suitable transport network.

UE(310) 및 노드B(308) 간의 통신은 물리적(PHY) 계층 및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노드B(308)에 의한 UE(310) 및 RNC(306) 사이의 통신은 무선 자원 제어(RRC)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인스턴트 규격에서, PHY 계층은 계층 1로서 고려될 수 있고, MAC 계층은 계층 2로서 고려될 수 있고, RRC 계층은 계층 3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본원 아래의 정보는 본원에 인용에 의해 포함되는 무선 자원 제어(RRC) 프로토콜 규격, 3GPP TS 25.331 v9.1.0에 소개된 용어를 활용한다.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UE 310 and the Node B 308 may be considered to include a physical (PHY) layer and a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In addi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UE 310 and the RNC 306 by each NodeB 308 may be considered to include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layer. In the instant specification, the PHY layer may be considered as layer 1, the MAC layer may be considered as layer 2, and the RRC layer may be considered as layer 3. The information below herein utilizes the terms introduced in the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 25.331 v9.1.0, which is incorporated by reference herein.

SRNS(303)에 의해 커버되는 지리학적 구역은 다수의 셀들로 분할될 수 있고, 무선 트랜시버 장치는 각각의 셀을 서빙한다. 무선 트랜시버 장치는 일반적으로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노드B로서 지칭되지만, 또한 당업자들에 의해 기지국(BS),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무선 기지국, 무선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부, 베이직 서비스 세트(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몇몇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서 지칭될 수 있다. 명확히 하기 위해, 각각의 SRNS(303)에서 3 개의 노드B들(308)이 도시되지만, SRNS들(303)은 임의의 수의 무선 노드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노드B들(308)은 임의의 수의 모바일 장치들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CN)(304)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공한다. 모바일 장치의 예들은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폰, 랩톱, 노트북, 넷북, 스마트북, 개인용 디지털 정보 단말(PDA),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디바이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는 일반적으로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되지만, 또한, 당업자들에 의해 이동국(MS), 가입자 스테이션,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 스테이션, 액세스 단말기(AT), 모바일 단말기, 무선 단말기, 원격 단말기, 핸드셋, 단말기,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몇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UMTS 시스템에서, UE(310)는,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들로, 다수의 노드B들(308)과 통신하는 하나의 UE가 도시된다. 순방향 링크로 또한 불리는 다운링크(DL)는 노드B(308)로부터 UE(310)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로 또한 불리는 업링크(UL)는 UE(310)로부터 노드B(308)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The geographic area covered by the SRNS 303 can be divided into a number of cells, and the wireless transceiver device serves each cell. A wireless transceiver apparatus is generally referred to as Node B in UMTS applications, but als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 base station (BS),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a wireless base station, a wireless transceiver, a transceiver function, a basic service set (BSS), It may be referred to as an extended service set (ESS), access point (AP) or some other suitable term. For clarity, three NodeBs 308 are shown in each SRNS 303, but the SRNSs 303 may include any number of wireless NodeBs. NodeBs 308 provide wireless access points to core network (CN) 304 for any number of mobile devices. Examples of mobile devices include cellular phones, smart phones,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phones, laptops, notebooks, netbooks, smartbook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satellite radios,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devices, multimedia devices, Video devices, digital audio players (MP3 players), cameras, game consoles, or any other similar functional device. A mobile device is generally referred to as user equipment (UE) in UMTS applications, but als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 mobile station (MS), subscriber station, mobile unit, subscriber unit, wireless unit, remote unit, mobile device, wireless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mote device, mobile subscriber station, access terminal (AT), mobile terminal, wireless terminal, remote terminal, handset, terminal, user agent, mobile client, client, or some other suitable terminology. In a UMTS system, the UE 310 may further include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311 that includes the user's subscription information to the network. For illustrative purposes, one UE is shown in communication with multiple NodeBs 308. The downlink (DL), also referred to as the forward link, refers to the communication link from the NodeB 308 to the UE 310, and the uplink (UL), also referred to as the reverse link, from the UE 310 to the NodeB 308. Refers to a communication link.

코어 네트워크(304)는 UTRAN(302)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스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304)는 GSM 코어 네트워크이다. 그러나, 당업자들이 인식할 바와 같이, 이러한 개시 전체에 걸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GSM 네트워크들 이외의 코어 네트워크들의 형태들에 대한 액세스를 UE들에 제공하기 위해 RAN, 또는 다른 적절한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 있다. Core network 304 interfaces with one or more access networks, such as UTRAN 302. As shown, the core network 304 is a GSM core network. However,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various concepts presented throughout this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a RAN, or other suitable access network, to provide UEs with access to forms of core networks other than GSM networks. .

코어 네트워크(304)는 회선-교환(CS) 도메인 및 패킷-교환(PS) 도메인을 포함한다. 회선-교환 엘리먼트들 중 일부는 MSC(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re),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및 게이트웨이 MSC이다. 패킷-교환 엘리먼트들은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및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을 포함한다. 예시된 예에서, 코어 네트워크(304)는 MSC(312) 및 GMSC(314)를 통해 회선-교환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GMSC(314)는 미디어 게이트웨이(MGW)로서 지칭될 수 있다. RNC(306)와 같은 하나 이상의 RNC들은 MSC(312)에 접속될 수 있다. MSC(312)는 호 설정, 호 라우팅 및 UE 이동성 기능들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MSC(312)는 또한, 듀레이션 동안에, UE가 MSC(312)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다는 가입자-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VLR(visitor location register)를 포함한다. GMSC(314)는 UE가 회선-교환 네트워크(316)를 액세스하도록 MSC(312)를 통해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GMSC(314)는, 특정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들의 세부 사항들을 반영하는 데이터와 같은 가입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315)을 포함한다. HLR은 또한 가입자-특정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증 센터(Auc)와 연관된다. 특정 UE에 대해 호가 수신될 때, GMSC(314)는 UE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HLR(315)에 질의하고, 그 위치를 서빙하는 특정 MSC로 호를 포워딩한다. EIR, HLR, VLR 및 AuC와 같은 일부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은 회선-교환 및 패킷-교환 도메인들 양자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Core network 304 includes a circuit-switched (CS) domain and a packet-switched (PS) domain. Some of the circuit-switched elements are a 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 (MSC), a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and a gateway MSC. The packet-switching elements include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and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re network 304 supports circuit-switched services via the MSC 312 and the GMSC 314. In some applications, GMSC 314 may be referred to as a media gateway (MGW). One or more RNCs, such as RNC 306, may be connected to MSC 312. The MSC 312 is a device that controls call setup, call routing, and UE mobility functions. The MSC 312 also includes a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that contains subscriber-related information that, during the duration, the UE is within the coverage area of the MSC 312. GMSC 314 provides a gateway through MSC 312 for the UE to access circuit-switched network 316. GMSC 314 includes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315 that contains subscriber data, such as data that reflects details of services subscribed to a particular user. The HLR is also associated with an authentication center (Auc) that contains subscriber-specific authentication data. When a call is received for a particular UE, the GMSC 314 queries the HLR 315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E and forwards the call to the specific MSC serving that location. Some network elements, such as EIR, HLR, VLR and AuC, can be shared by both circuit-switched and packet-switched domains.

코어 네트워크(304)는 또한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318) 및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320)를 통해 패킷-데이터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를 나타내는 GPRS는 표준 회선-교환 데이터 서비스들을 통해 이용 가능한 것들보다 더 높은 속도들로 패킷-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GGSN(320)은 패킷-기반 네트워크(322)에 대한 접속을 URTAN(302)에 제공한다. 패킷-기반 네트워크(322)는 인터넷, 사적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몇몇의 다른 적절한 패킷-기반 네트워크일 수 있다. GGSN(320)의 1차 기능은 UE들(310)에 패킷-기반 네트워크 접속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 패킷들은 SGSN(318)을 통해 GGSN(320) 및 UE(310)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고, SGSN(318)은 MSC(312)가 회선-교환 도메인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들을 패킷-기반 도메인에서 주로 수행한다. The core network 304 also supports packet-data services via a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318 and a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320. GPRS, representing generic packet radio services, is designed to provide packet-data services at higher rates than those available through standard circuit-switched data services. GGSN 320 provides URTAN 302 with a connection to a packet-based network 322. Packet-based network 322 may be the Internet, a private data network, or some other suitable packet-based network. The primary function of the GGSN 320 is to provide packet-based network connectivity to the UEs 310. Data packets can be sent between the GGSN 320 and the UE 310 via the SGSN 318, which SGSN 318 performs the same functions as the MSC 312 performs in the circuit-switched domain. Mainly done in

UMTS 에어 인터페이스는 DS-CDMA(spread spectrum Direct-Sequenc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확산 스펙트럼 DS-CDMA는 칩들로 불리는 의사 랜덤 비트들(pseudorandom bits)의 시퀀스에 의한 곱셈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확산시킨다. UMTS에 대한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는 그러한 직접적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기술에 기초하고, 또한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을 필요로 한다. FDD는 노드B(308) 및 UE(310) 사이의 업링크(UL) 및 다운링크(DL)에 대해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한다. DS-CDMA를 활용하고 시간 분할 듀플렉싱을 사용하는 UMTS에 대한 또 다른 에어 인터페이스는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이다.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예들이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참조할 수 있지만, 기본적인 원리들이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인식할 것이다. The UMTS air interface is a spread spectrum direct-sequenc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DS-CDMA) system. Spread-spectrum DS-CDMA spreads user data through multiplication by a sequence of pseudorandom bits called chips. The W-CDMA air interface to UMTS is based on such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technology and also requires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FDD uses different carrier frequencies for uplink (UL) and downlink (DL) between NodeB 308 and UE 310. Another air interface to UMTS that utilizes DS-CDMA and uses time division duplexing is the TD-SCDMA air interface. While various examples described herein may refer to a W-CDMA air interfac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basic principles are equally applicable to a TD-SCDMA air interface.

HSPA 에어 인터페이스는 3G/W-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련의 개선책들을 포함하여, 더 큰 스루풋 및 감소된 레이턴시를 용이하게 한다. 종래의 릴리즈들에 대한 다른 수정들 중에서, HSPA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공유 채널 전송 및 적응형 변조 및 코딩을 활용한다. HSPA를 정의하는 표준들은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개선된 업링크 또는 EUL로서 또한 지칭됨)를 포함한다. The HSPA air interface includes a series of improvements to the 3G / W-CDMA air interface to facilitate greater throughput and reduced latency. Among other modifications to conventional releases, HSPA utilize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shared channel transmission, and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tandards defining HSPA include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also referred to as enhanced uplink or EUL).

HSDPA는 자신의 전송 채널로서 HS-DSCH(high-speed downlink shared channel)을 활용한다. HS-DSCH는 3 개의 물리적 채널들: HS-PDSCH(high-spee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HS-SCCH(high-speed shared control channel), 및 HS-DPCCH(high-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에 의해 구현된다. HSDPA utilizes a high-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HS-DSCH) as its transport channel. The HS-DSCH is divided into three physical channels: high-spee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HS-PDSCH), high-speed shared control channel (HS-SCCH), and high-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HS-DPCCH). Is implemented.

이러한 물리적 채널들 중에서, HS-DPCCH는 대응하는 패킷 전송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HARQ ACK/NACK 시그널링을 업링크 상으로 전달한다. 즉, 다운링크에 관련하여, UE(310)는 자신이 다운링크 상의 패킷을 정확히 디코딩하였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피드백을 HS-DPCCH를 통해 노드B(308)에 제공한다. Among these physical channels, the HS-DPCCH carries HARQ ACK / NACK signaling on the uplink to indicate whether the corresponding packet transmission was successfully decoded. That is, with respect to the downlink, the UE 310 provides Node B 308 via HS-DPCCH to indicate whether it correctly decoded the packet on the downlink.

HS-DPCCH는 변조 및 코딩 방식 및 프리코딩 가중치 선택에 관련하여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서 노드B(308)를 보조하기 위한 UE(310)로부터의 피드백 시그널링을 더 포함한다. The HS-DPCCH further includes feedback signaling from the UE 310 to assist NodeB 308 in making the correct decision regarding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and precoding weight selection.

"HSPA Evolved" 또는 HSPA+는, 증가된 스루풋 및 더 높은 성능을 가능하게 하는 MIMO 및 64-QAM을 포함하는 HSPA 표준의 진화이다. 즉, 본 발명의 양상에서, 노드B(308) 및/또는 UE(310)는 MIMO 기술을 지원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 MIMO 기술의 사용은 노드B(308)가 공간 멀티플렉싱, 빔포밍 및 전송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도록 공간 도메인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HSPA Evolved" or HSPA + is an evolution of the HSPA standard, including MIMO and 64-QAM to enable increased throughput and higher performance. That is, in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NodeB 308 and / or UE 310 may have multiple antennas that support MIMO technology. The use of MIMO technology enables NodeB 308 to use the spatial domain to support spatial multiplexing, beamforming, and transmit diversity.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은 다중 안테나 기술, 즉, 다수의 전송 안테나들(채널에 대한 다수의 입력들)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채널로부터의 다수의 출력들)을 지칭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MIMO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 성능을 개선하여, 다이버시티 이득들이 다중경로 페이딩을 감소시키고 전송 품질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공간 멀티플렉싱이 데이터 스루풋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반면에,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은 일반적으로 단일 전송 안테나(채널에 대한 단일 입력)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채널로부터의 다수의 출력들)을 활용하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따라서, SIMO 시스템에서, 단일 전송 블록은 각각의 캐리어를 통해 전송된다.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is commonly used to refer to multiple antenna technology, namely multiple transmit antennas (multiple inputs to a channel) and multiple receive antennas (multiple outputs from a channel). Term. MIMO systems generally improve data transmission performance, allowing diversity gains to reduce multipath fading and increase transmission quality, and spatial multiplexing to increase data throughput. Single input multiple output (SIMO), on the other hand, generally refers to a system utilizing a single transmit antenna (single input for a channel) and multiple receive antennas (multiple outputs from the channel). Thus, in a SIMO system, a single transport block is transmitted over each carrier.

사용자 장비(114)(도 1)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UE(310)는 방법(200) 및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양상들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인 서빙 셀 수신 제어기(ISCRC)(103)(도 1)를 통합할 수 있다. RAN(102)(도 1)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UTRAN(302)은 마찬가지로 방법(250) 및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양상들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인 서빙 셀 전송 제어기(ISCTC)(101)(도 1)를 통합할 수 있다. UE 310, which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user equipment 114 (FIG. 1), may be coupled to an independent serving cell receive controller (ISCRC) 103 (FIG. 1) to perform method 200 and other aspects as described herein 1) can be integrated. The UTRAN 302, which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RAN 102 (FIG. 1), is likewise an independent serving cell transmission controller (ISCTC) 101 (to perform the method 250 and other aspects as described herein). 1) can be integrated.

도 4를 참조하면, UTRAN 아키텍처 내의 액세스 네트워크(400)가 예시된다.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들(402, 404 및 406)을 포함하는 다수의 셀룰러 구역들(셀들)을 포함하고, 셀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섹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섹터들은 각각의 안테나가 셀의 일부분에서 UE들과 통신하는 것을 담당하는 안테나들의 그룹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402) 내에서, 안테나 그룹들(412, 414 및 416)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대응할 수 있다. 셀(404) 내에서, 안테나 그룹들(418, 420 및 422)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대응한다. 셀(406)에서, 안테나 그룹들(424, 426 및 428)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대응한다. 셀들(402, 404 및 406)은 사용자 장비 또는 UE들과 같은 몇몇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고, UE들은 각각의 셀(402, 404 또는 406)의 하나 이상의 섹터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들(430 및 432)은 노드B(442)와 통신할 수 있고, UE들(434 및 436)은 노드B(444)와 통신할 수 있고, UE들(438 및 440)은 노드B(446)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노드B(442, 444, 446)는 각각의 셀들(402, 404 및 406) 내의 모든 UE들(430, 432, 434, 436, 438, 440)에 대한 코에 네트워크에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4, an access network 400 in the UTRAN architecture is illustrated. A multiple acces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number of cellular regions (cells) including cells 402, 404 and 406, each of which may include one or more sectors. The multiple sectors may be formed by groups of antennas each antenna is responsib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UEs in a portion of the cell. For example, within cell 402, antenna groups 412, 414, and 416 may each correspond to a different sector. Within cell 404, antenna groups 418, 420, and 422 each correspond to a different sector. In cell 406, antenna groups 424, 426, and 428 each correspond to a different sector. Cells 402, 404 and 406 may include som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user equipment or UEs, and the UEs may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sectors of each cell 402, 404 or 406. For example, the UEs 430 and 432 can communicate with the NodeB 442, the UEs 434 and 436 can communicate with the NodeB 444, and the UEs 438 and 440 Communicate with NodeB 446. Here, each NodeB 442, 444, 446 assigns an access point to the nose network for all UEs 430, 432, 434, 436, 438, 440 in each of the cells 402, 404, and 406. It is configured to provide.

UE(434)가 셀(404) 내의 예시적인 위치로부터 셀(406)로 이동함에 따라, UE(434)와의 통신이 셀(404) ― 소스 셀로서 지칭될 수 있음 ― 로부터 셀(406) ― 타겟 셀로서 지칭될 수 있음 ― 로 전환하는 서빙 셀 변화(SCC) 또는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 있다. 핸드오버 절차의 관리는 UE(434)에서, 각각의 셀들에 대응하는 노드B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405)에서, 또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또 다른 적절한 노드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 셀(404)과의 호 동안에, 또는 임의의 다른 시간에, UE(434)는 소스 셀(404)의 다양한 파라미터들뿐만 아니라 셀들(406 및 402)과 같은 이웃 셀들의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품질에 의존하여, UE(434)는 이웃 셀들 중 하나 이상의 셀들과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동안에, UE(434)는 활성 세트, 즉, UE(434)가 동시에 접속되는 셀들의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PCH(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또는 F-DPCH(fractional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을 UE(434)에 현재 할당하는 UTRA 셀들은 활성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As the UE 434 moves from an exemplary location within the cell 404 to the cell 406, communication with the UE 434 may be referred to as a cell 404 from a cell 406 to a target. May be referred to as a cell—a serving cell change (SCC) or handover may occur. Management of the handover procedure may occur at the UE 434, at the NodeB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ells, at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405, or at another suitable node in the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during a call with source cell 404, or at any other time, UE 434 may have various parameters of source cell 404 as well as various parameters of neighboring cells, such as cells 406 and 402. Can be monitored. Also, depending on the quality of these parameters, the UE 434 can maintain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of the neighbor cells. During this time, the UE 434 may maintain an active set, that is, a list of cells to which the UE 434 is simultaneously connected. For example, UTRA cells currently assigning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or a fractional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F-DPCH) to the UE 434 may constitute an active set.

액세스 네트워크(400)에 의해 사용되는 변조 및 다수의 액세스 방식은 전개되는 특정 원격 통신 표준에 의존하여 변동할 수 있다. 예로서, 표준은 EV-DO(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UMB(Ultra Mobile Broadband)를 포함할 수 있다. EV-DO 및 UMB는 CDMA2000의 표준군의 부분으로서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에 의해 공표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이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이동국들에 제공하기 위해 CDMA를 사용한다. 상기 표준은 대안적으로 W-CDMA(Wideband-CDMA) 및 TD-SCDMA와 같은 CDMA의 다른 변형들을 사용하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TDMA를 사용하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및 E-UTRA(Evolved UTRA),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및 OFDMA를 사용하는 플래시-OFDM일 수 있다. UTRA, E-UTRA, UMTS, LTE, LTE 어드밴스드 및 GSM은 3GPP 기구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재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GPP2 기구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재되어 있다. 사용되는 실제 무선 통신 표준 및 다수의 액세스 기술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상에 부여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의존할 것이다. The modulation and multiple access schemes used by access network 400 may vary depending on the particular telecommunication standard being deployed. By way of example, the standard may include Evolution-Data Optimized (EV-DO) or Ultra Mobile Broadband (UMB). EV-DO and UMB are air interface standards published by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3GPP2) as part of the CDMA2000 family of standards and use CDMA to provide broadband Internet access to mobile stations. The standard alternatively includes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using other variants of CDMA such as Wideband-CDMA (W-CDMA) and TD-S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using TDMA; And flash-OFDM using Evolved UTRA (E-UTRA), Ultra Mobile Broadband (UMB),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and OFDMA. UTRA, E-UTRA, UMTS, LTE, LTE Advanced and GSM are described in documents from the 3GPP organization. CDMA2000 and UMB are described in documents from the 3GPP2 organization. The actual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used and the number of access technologies will depend on the overall design constraints imposed on the particular application and system.

사용자 장비(114)(도 1)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UE(432)는 방법(200) 및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양상들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인 서빙 셀 수신 제어기(ISCRC)(103)(도 1)를 통합할 수 있다. 베이스 노드(108, 112)(도 1)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노드B(442)는 마찬가지로 방법(250) 및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양상들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인 서빙 셀 전송 제어기(ISCTC)(101)(도 1)를 통합할 수 있다.The UE 432, which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user equipment 114 (FIG. 1), may use an independent serving cell reception controller (ISCRC) 103 (to perform the method 200 and other aspects as described herein). 1) can be integrated. Node B 442, which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base node 108, 112 (FIG. 1), is likewise an independent serving cell transfer controller (ISCTC) to perform method 250 and other aspects as described herein. 101 (FIG. 1) can be integrated.

도 5는 UE(550)와 통신하는 노드B(510)의 블록도이고, 여기서 노드B(510)는 RAN(102)(도 1)일 수 있고, UE(550)는 사용자 장비(114)(도 1)일 수 있다. 다운링크 통신에서, 전송 프로세서(520)는 데이터 소스(51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기/프로세서(540)로부터 제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전송 프로세서(520)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뿐만 아니라 기준 신호들(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전송 프로세서(520)는 에러 검출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 포워드 에러 정정(FEC)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shift keying), M-PSK(M-phase-shift keying), M-QAM(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변조 방식들에 기초하여 신호 성상도로의 맵핑, OVSF(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s)을 통한 확산, 및 일련의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한 스크램블링 코드들과의 곱셈을 제공할 수 있다. 채널 프로세서(544)로부터의 채널 추정들은 전송 프로세서(520)에 대한 코딩, 변조, 확산 및/또는 스크램블링 방식들을 결정하기 위해 제어기/프로세서(54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 추정들은 UE(550)에 의해 전송된 기준 신호로부터 또는 UE(550)로부터의 피드백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전송 프로세서(520)에 의해 생성된 심볼들은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전송 프레임 프로세서(530)에 제공된다. 전송 프레임 프로세서(530)는 제어기/프로세서(540)로부터의 정보와 심볼들을 곱셈함으로써 이러한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여, 일련의 프레임들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그 프레임들은 전송기(532)에 제공되고, 전송기(532)는 증폭, 필터링 및 안테나(534)를 통해 무선 매체를 통한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프레임들을 캐리어로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컨디셔닝 기능들을 제공한다. 안테나(534)는, 예를 들면, 빔 스티어링 양방향 적응형 안테나 어레이들 또는 다른 유사한 빔 기술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5 is a block diagram of NodeB 510 in communication with UE 550, where NodeB 510 may be RAN 102 (FIG. 1), and UE 550 may be user equipment 114 ( 1). In downlink communications, transmit processor 520 may receive data from data source 512 and control signals from controller / processor 540. The transmit processor 520 provides various signal processing functions for data and control signals as well as reference signals (pilot signals).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processor 520 may include cyclic redundancy check (CRC) for error detection, coding and interleaving to facilitate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binary phase-shift keying (BPSK), and quadrature phase- Mapping to signal constellations based on various modulation schemes such as shift keying, M-phase-shift keying (M-PSK), 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M-QAM), and through 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s (OVSF) Spreading and multiplication with scrambling codes to generate a series of symbols. Channel estimates from channel processor 544 may be used by controller / processor 540 to determine coding, modulation, spreading, and / or scrambling schemes for transmit processor 520. Such channel estimates may be derived from a reference signal sent by the UE 550 or from feedback from the UE 550. The symbols generated by the transmit processor 520 are provided to a transmit frame processor 530 to generate a frame structure. The transmit frame processor 530 generates this frame structure by multiplying the symbols with the information from the controller / processor 540 to generate a series of frames. The frames are then provided to transmitter 532, which transmits various signal conditioning functions, including amplifying, filtering, and modulating the frames into a carrier for downlink transmission over the wireless medium via antenna 534. Provide them. Antenna 534 may include one or more antennas, including, for example, beam steering bidirectional adaptive antenna arrays or other similar beam technologies.

UE(550)에서, 수신기(554)는 안테나(552)를 통해 다운링크 전송을 수신하고, 캐리어로 변조된 정보를 복구하기 위해 전송을 프로세싱한다. 수신기(554)에 의해 복구된 정보는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560)에 제공되고,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560)는 각각의 프레임을 파싱(parse)하고, 프레임들로부터의 정보를 채널 프로세서(594)에 제공하고,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수신 프로세서(570)에 제공한다. 이어서, 수신 프로세서(570)는 노드B(510) 내의 전송 프로세서(52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싱의 역(inverse)을 수행한다. 더욱 상세하게, 수신 프로세서(570)는 심볼들을 디스크램블링 및 디스프레딩(despread)하고, 이어서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노드B(510)에 의해 전송된 가장 가능성이 있는 신호 성상도 포인트들을 결정한다. 이러한 소프트 판정들(soft decisions)은 채널 프로세서(594)에 의해 계산되는 채널 추정들에 기초할 수 있다. 이어서, 소프트 판정들은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복구하기 위해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된다. 이어서, CRC 코드들은 프레임들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체크된다. 이어서,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전달된 데이터는 데이터 싱크(572)에 제공될 것이고, 이것은 UE(550) 및/또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디스플레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낸다.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전달되는 제어 신호들은 제어기/프로세서(590)에 제공될 것이다. 프레임들이 수신 프로세서(570)에 의해 성공적으로 디코딩될 때, 제어기/프로세서(590)는 또한 그러한 프레임들에 대한 재전송 요청들을 지원하기 위해 확인 응답(ACK) 및/또는 부정 확인 응답(NACK)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At the UE 550, the receiver 554 receives the downlink transmission via the antenna 552 and processes the transmission to recover the carrier modulate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recovered by the receiver 554 is provided to the receiving frame processor 560, which parses each frame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from the frames to the channel processor 594. And provide data, control and reference signals to the receiving processor 570. The receiving processor 570 then performs the inverse of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ransmitting processor 520 in the NodeB 510. More specifically, the receiving processor 570 descrambles and despreads the symbols and then determines the most likely signal constellation points transmitted by the NodeB 510 based on the modulation scheme. Such soft decisions may be based on channel estimates calculated by the channel processor 594. Soft decisions are then decoded and deinterleaved to recover the data, control and reference signals. The CRC codes are then checked to determine if the frames have been successfully decoded. The data delivered by the successfully decoded frames will then be provided to the data sink 572, which represents applications running in the UE 550 and / or various user interfaces (display). Control signals carried by successfully decoded frames will be provided to a controller / processor 590. When the frames are successfully decoded by the receiving processor 570, the controller / processor 590 may also use an acknowledgment (ACK) and / or negative acknowledgment (NACK) protocol to support retransmission requests for those frames. Can be used.

업링크에서, 데이터 소스(578)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590)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은 전송 프로세서(580)에 제공된다. 데이터 소스(578)는 UE(550) 및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키보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낼 수 있다. 노드B(510)에 의한 다운링크 전송과 관련하여 기재된 기능과 유사하게, 전송 프로세서(580)는 CRC 코드들, FEC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신호 성상도들로의 맵핑, OVSF들을 통한 확산, 및 일련의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한 스크램블링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제공한다. 노드B(510)에 의해 전송된 기준 신호로부터 또는 노드B(510)에 의해 전송된 미드엠블(midamble)에 포함된 피드백으로부터 채널 프로세서(594)에 의해 유도되는 채널 추정들은 적절한 코딩, 변조, 확산 및/또는 스크램블링 방식들을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송 프로세서(580)에 의해 생성되는 심볼들은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전송 프레임 프로세서(582)에 제공될 것이다. 전송 프레임 프로세서(582)는 제어기/프로세서(590)로부터의 정보와 심볼들을 곱셈함으로써 이러한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여, 일련의 프레임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그 프레임들은 전송기(556)에 제공되고, 전송기(556)는 증폭, 필터링, 및 안테나(552)를 통한 무선 매체를 통한 업링크 전송을 위해 프레임들을 캐리어로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컨디셔닝 기능들을 제공한다. In the uplink, data from data source 578 and control signals from controller / processor 590 are provided to transmit processor 580. Data source 578 may represent applications running on UE 550 and various user interfaces (keyboard). Similar to the functionality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downlink transmission by NodeB 510, the transmission processor 580 may include CRC codes, coding and interleaving to facilitate FEC, mapping to signal constellations, and through OVSFs. It provides various signal processing functions including spreading and scrambling to generate a series of symbols. The channel estimates derived by the channel processor 594 from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NodeB 510 or from the feedback contained in the midamble transmitted by the NodeB 510 are appropriately coded, modulated, spread. And / or to select scrambling schemes. The symbols generated by the transmit processor 580 will be provided to the transmit frame processor 582 to generate a frame structure. The transmit frame processor 582 generates this frame structure by multiplying the symbols with the information from the controller / processor 590 to generate a series of frames. The frames are then provided to transmitter 556, which transmits various signal conditioning, including modulating the frames into a carrier for amplification, filtering, and uplink transmission over the wireless medium via antenna 552. Provides functions

업링크 전송은 UE(550)에서의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노드B(510)에서 프로세싱된다. 수신기(535)는 안테나(534)를 통해 업링크 전송을 수신하고, 캐리어로 변조된 정보를 복구하기 위해 상기 전송을 프로세싱한다. 수신기(535)에 의해 복구된 정보는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536)에 제공되고,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536)는 각각의 프레임을 파싱하고, 프레임들로부터의 정보를 채널 프로세서(554)에 제공하고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수신 프로세서(538)에 제공한다. 수신 프로세서(538)는 UE(550)에서 전송 프로세서(580)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싱의 역을 수행한다. 이어서,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전달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데이터 싱크(539) 및 제어기/프로세서에 각각에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들 중 일부가 수신 프로세서에 의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다면, 제어기/프로세서(540)는 또한 그러한 프레임들에 대한 재전송 요청들을 지원하기 위해 확인 응답(ACK) 및/또는 부정 확인 응답(NAK)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The uplink transmission is processed at the NodeB 510 in a similar manner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receiver function at the UE 550. Receiver 535 receives the uplink transmission via antenna 534 and processes the transmission to recover carrier modulated information. Information recovered by the receiver 535 is provided to the receiving frame processor 536, which parses each frame, provides information from the frames to the channel processor 554, and provides data, Provide control and reference signals to the receiving processor 538. Receive processor 538 performs the inverse of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ransmit processor 580 at UE 550. The data and control signals carried by the successfully decoded frames may then be provided to the data sink 539 and the controller / processor, respectively. If some of the frames were successfully decoded by the receiving processor, the controller / processor 540 may also use an acknowledgment (ACK) and / or negative acknowledgment (NAK) protocol to support retransmission requests for those frames. Can be.

제어기/프로세서들(540 및 590)은 노드B(510) 및 UE(550)에서의 동작을 각각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기/프로세서들(540 및 590)은 타이밍, 주변 인터페이스들, 전압 조절, 전력 관리, 및 다른 제어 기능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들(542 및 592)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은 노드B(510) 및 UE(550)에 대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노드B(510)에서의 스케줄러/프로세서(546)는 자원들을 UE들에 할당하고, UE들에 대한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전송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ontrollers / processors 540 and 590 may be used to direct the operation at Node B 510 and UE 550, respectively. For example, controllers / processors 540 and 590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including timing, peripheral interfaces, voltage regulation, power management, and other control functions. Computer-readable media of the memories 542 and 592 may store data and software for the NodeB 510 and the UE 550, respectively. Scheduler / processor 546 at NodeB 510 may be used to allocate resources to UEs and schedule downlink and / or uplink transmissions to the UEs.

사용자 장비(114)(도 1)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UE(550)는 방법(200) 및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양상들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인 서빙 셀 수신 제어기(ISCRC)(103)(도 1)를 통합할 수 있다. 베이스 노드(108, 112)(도 1)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노드B(510)는 마찬가지로 방법(250) 및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양상들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인 서빙 셀 전송 제어기(ISCTC)(101)(도 1)를 통합할 수 있다.The UE 550, which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user equipment 114 (FIG. 1), may use an independent serving cell reception controller (ISCRC) 103 (to perform the method 200 and other aspects as described herein). 1) can be integrated. Node B 510, which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base node 108, 112 (FIG. 1), is likewise an independent serving cell transfer controller (ISCTC) to perform method 250 and other aspects as described herein. 101 (FIG. 1) can be integrated.

도 6은 RAN(102)(도 1) 또는 사용자 장비(114)(도 1)에서와 같이, 프로세싱 시스템(602)을 사용하는 장치(600)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예시한 개념적인 도면이다. 이러한 예에서, 프로세싱 시스템(602)은, 일반적으로 버스(604)로 표현되는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604)는 프로세싱 시스템(602)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 접속 버스들 및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604)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606)로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일반적으로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608)로 표현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604)는 또한 타이밍 소스들, 주변 장치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 있고, 이들은 당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어떠한 추가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버스 인터페이스(610)는 버스(604)와 트랜시버(612)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트랜시버(612)는 전송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장치의 성질에 의존하여,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614)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ardware implementation for an apparatus 600 using the processing system 602, such as in the RAN 102 (FIG. 1) or the user equipment 114 (FIG. 1). . In this example, processing system 602 may be implemented with a bus architecture, represented generally by bus 604. The bus 604 may include any number of interconnecting buses and bridges depending on the specific application of the processing system 602 and the overall design constraints. Bus 604 links together various circuits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generally represented as processor 606, and computer-readable media, generally represented by computer-readable medium 608. The bus 604 may also link various other circuits such as timing sources, peripherals, voltage regulators, and power management circuit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will therefore not be described any further. Bus interface 610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bus 604 and transceiver 612. The transceiver 612 provides a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various other apparatus over a transmission medium.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device, a user interface 614 such as a keypad, display, speaker, microphone, joystick may also be provided.

프로세서(606)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608)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싱 및 버스(604)를 관리하는 것을 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606)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602)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 장치에서 다음에 기재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608)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606)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rocessor 606 is responsible for managing the bus 604 and general processing, including the execution of software stored on computer-readable medium 608. The software,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606, causes the processing system 602 to perform the various functions described below in any particular apparatus. Computer-readable medium 608 may also be used to store data manipulated by processor 606 when executing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608)는 방법(200) 및 사용자 장비(114)(도 1)에 대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양상들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인 서빙 셀 수신 제어기(ISCRC)(103)(도 1)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608)는 방법(250) 및 RAN(102)에 대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양상들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인 서빙 셀 전송 제어기(ISCTC)(101)(도 1)를 포함할 수 있다.Computer-readable medium 608 is independent serving cell reception controller (ISCRC) 103 (FIG. 1) to perform other aspects a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method 200 and user equipment 114 (FIG. 1). ) May be included. Alternatively, computer readable medium 608 may provide an independent serving cell transfer controller (ISCTC) 101 (FIG. 1) to perform other aspects a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method 250 and RAN 102. It may include.

단일 캐리어 변조 및 주파수 도메인 등화를 활용하는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는 OFDMA 상에서 구축하는 무선 기술이다. SC-FDMA는 OFDMA 시스템과 유사한 성능 및 근본적으로 동일한 전체 복잡성을 갖는다. 그러나, SC-FDMA 신호는 자신의 내재된 단일 캐리어 구조로 인해 더 낮은 PAPR(peak-to-avergae power ratio)의 이점을 갖는다. SC-FDMA는, 더 낮은 PAPR이 전송 전력 효율과 관련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크게 이로운 업링크 통신들에서 특히 주목을 끌고 있다. 이것은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또는 이벌드브 UTRA에서 업링크 다중 액세스 방식에 대해 현재 잠정적인 가정이다.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which utilizes single carrier modulation and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is a wireless technology that builds on OFDMA. SC-FDMA has similar performance and essentially the same overall complexity as an OFDMA system. However, SC-FDMA signals have the advantage of lower peak-to-avergae power ratio (PAPR) due to their inherent single carrier structure. SC-FDMA attracts particular attention in uplink communications where lower PAPR is greatly beneficial in mobile terminals in terms of transmit power efficiency. This is currently a tentative assumption for uplink multiple access schemes in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or Evolved UTRA.

도 7은 다수의 캐리어들 상으로 단일 섹터 내의 단일 서빙 셀로부터 정해진 레거시 UE(702)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700)을 예시하고, 여기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704)는 다수의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레거시 UE(702)로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RAN(704)은, 레거시 UE(702)가 단일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블록 710). 레거시 UE(702)는 자신의 서빙 섹터로서 RAN(704)의 섹터 1을 설정한다(블록 712). 예를 들면, 서빙 섹터를 설정하는 것은 UE가 섹터 1의 파일럿 신호를 모니터링 및 측정하고 이어서 섹터 1 상에서 성공적으로 캠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섹터 1이 레거시 UE(702)에 대한 서빙 섹터로서 설정된 후에, 섹터 1이 캐리어 F1의 업링크(UL_F1)를 레거시 UE(702)에 할당하고 또한 캐리어(또는 주파수) F1의 다운링크(DL_F1) 및 또한 캐리어 F2의 다운링크 ― 캐리어 F2의 다운링크 상으로 섹터 1로부터 모바일-종결된 데이터를 수신함 ― 를 모니터링하도록 레거시 UE(702)에 지시한다고 가정하라. 예에서, 업링크 캐리어 UL_F1은, 섹터 1로부터 레거시 UE(702)로의 다운링크 전송 전력 및 데이터 레이트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피드백을 보고하기 위해 레거시 UE(70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에서,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는 릴리즈 7의 MIMO 물리적 계층 및 릴리즈들 8 및/또는 9의 DC-HSDPA 또는 듀얼-캐리어 DC-HSDPA에 따라 레거시 UE(702)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상이한 주파수들에 대응할 수 있다.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는 섹터 1에 의해 상이한 캐리어들 상으로 상이한 주파수들로 전송되는 각각의 HS-DSCH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링크 캐리어 UL_F1은, 레거시 UE(702)가 피드백을 섹터 1에 제공할 수 있는 HS-DPCCH(High-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7 illustrates a method 700 of transmitting data from a single serving cell in a single sector onto a plurality of carriers to a given legacy UE 702, where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704 is a plurality of cells. Or independently transmit data from the sectors to the legacy UE 702. Referring to FIG. 7, the RAN 704 determines that the legacy UE 702 is not limited to receiving data from a single serving cell (block 710). The legacy UE 702 sets sector 1 of the RAN 704 as its serving sector (block 712). For example, setting up the serving sector may include the UE monitoring and measuring the pilot signal of sector 1 and then successfully camping on sector 1. After sector 1 is set as a serving sector for legacy UE 702, sector 1 assigns uplink UL_F1 of carrier F1 to legacy UE 702 and also downlink DL_F1 of carrier (or frequency) F1 and Also assume that the legacy UE 702 is instructed to monitor the downlink of carrier F2, which receives mobile-terminated data from sector 1 on the downlink of carrier F2. In an example, uplink carrier UL_F1 may be used by legacy UE 702 to report feedback that may be used to adjust downlink transmission power and data rate from sector 1 to legacy UE 702. In a further example, the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are different from those used to communicate with the legacy UE 702 according to the MIMO physical layer of Release 7 and the DC-HSDPA or dual-carrier DC-HSDPA of Releases 8 and / or 9. May correspond to frequencies.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may each include a respective HS-DSCH transmitted by different sectors on different carriers. In addition, the uplink carrier UL_F1 may include a High-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arrier (HS-DPCCH) in which the legacy UE 702 may provide feedback to sector 1.

RAN(704)의 섹터 1은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 상으로 레거시 UE(702)로 전송하기 시작하고, 레거시 UE(702)가 이러한 다운링크 전송들로 동조되고 이를 수신한다(블록 716)고 가정될 수 있다. 블록(718)에서, 레거시 UE(702)는 레거시 UE(702)의 활성 세트 내에 아직 없는 셀들을 식별하기 위해 그의 활성 세트 내의 각각의 섹터의 및/또는 로컬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의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을 모니터링한다. 도 7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지만, 레거시 UE(702)는 또한 물리적 계층(CQI들(Channel Quality Indicators) 및/또는 H-ARQ 정보)을 제공하기 위해 DL_F1 및 DL_F2 상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들을 모니터링 및 측정할 수 있고, 물리적 계층은 역방향-링크 물리적 계층 채널(HS-DPCCH)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인식될 바와 같이, 레거시 UE(702)에 의해 이루어진 측정들은 레거시 UE(702)의 활성 세트에 대한 변화들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이동성 이벤트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Sector 1 of the RAN 704 begins transmitting to the legacy UE 702 on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and the legacy UE 702 tunes to and receives these downlink transmissions (block 716). Can be assumed. At block 718, the legacy UE 702 may identify downlink pilot signals from each sector and / or local cells or sectors in its active set to identify cells that are not yet in the active set of the legacy UE 702. Monitor them.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FIG. 7, the legacy UE 702 may also monitor and monitor downlink data transmissions on DL_F1 and DL_F2 to provide the physical layer (Channel Quality Indicators (CQIs) and / or H-ARQ information). It can measure and the physical layer can be transmitted on the reverse-link physical layer channel (HS-DPCCH). As will be appreciated, measurements made by legacy UE 702 may generate mobility events that may cause changes to the active set of legacy UE 702.

블록(718)에서 시간 기간 동안에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을 모니터링한 후에, 레거시 UE(702)는 업링크 캐리어 UL_F1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섹터 1로 전송한다(블록 720). 예를 들면, 채널 피드백은 모니터링된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 각각의 평균 신호 세기 및/또는 모니터링된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 각각의 평균 파일럿 SIR(Signal-to-Interference Rati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피드백은 RAN(704)에서 서빙 RNC로 포워딩될 수 있고, 서빙 RNC는 활성 세트에 대한 변화들을 포함하여 이동성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채널 피드백을 사용한다. 채널 피드백은, 물리적 계층에 의해 데이터로서 처리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들로 전송될 수 있다. RAN(704)의 섹터 1은 업링크 캐리어 UL_F1 상으로 레거시 UE(702)로부터 HS-DPCCH 피드백을 수신하고, 채널 피드백을 서빙 RNC로 포워딩하고, 필요하다면, 서빙 RNC는 피드백에 기초하여 레거시 UE(702)의 활성 세트를 업데이트한다(블록 722).After monitoring the downlink pilot signals during the time period at block 718, the legacy UE 702 sends channel feedback to sector 1 on the uplink carrier UL_F1 (block 720). For example, the channel feedback may include one or more of an average signal strength of each of the monitored downlink pilot signals and / or an average pilot 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of each of the monitored downlink pilot signals. . Channel feedback may be forwarded to the serving RNC at the RAN 704, which uses the channel feedback to perform mobility management, including changes to the active set. Channel feedback may be sent in Radio Resource Control (RRC) messages that are treated as data by the physical layer. Sector 1 of the RAN 704 receives HS-DPCCH feedback from the legacy UE 702 on the uplink carrier UL_F1, forwards the channel feedback to the serving RNC, and, if necessary, the serving RNC based on the legacy UE (based on the feedback). Update the active set of 702 (block 722).

도 8은 도 7의 RAN(704)의 섹터 1 및 레거시 UE(702) 사이에 설정되는 접속들을 도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800)을 예시한다. 따라서, 도 8은 섹터 1로부터 레거시 UE(702)로의 두 개(2)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을 예시하고, 도 8은 또한 레거시 UE(702)로부터 RAN(704)의 섹터 1로의 업링크 캐리어 UL_F1을 예시한다. FIG. 8 illustrat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800 showing connections established between sector 1 of the RAN 704 of FIG. 7 and the legacy UE 702. Thus, FIG. 8 illustrates two (2)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from sector 1 to legacy UE 702, and FIG. 8 also shows up from sector UE 702 to sector 1 of RAN 704. Illustrate link carrier UL_F1.

단일 서빙 섹터 내에서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 상으로 타겟 UE들과 통신하는 것이 단일 서빙 섹터의 단일 주파수 대역 상으로 동일한 UE들과 통신하는 것과 비교하여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혁신의 양상들은 다수의 서빙 섹터들 및 적어도 하나의 타겟 UE 사이의 통신을 통해 추가로 스루풋을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아래에 기재된 양상들에서, 타겟 UE에는 도 9a에서와 같이, 다수의 서빙 섹터들 상으로 그의 캐리어들(총괄적으로 단일 '캐리어 그룹'을 형성함) 각각에 대한 물리적 계층 피드백(CQI들 및 H_ARQ 정보와 같은 HS-DPCCH 피드백)을 전송할 단일 업링크 캐리어(UL_F1 또는 UL_F2)가 할당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도 9b에서와 같이, 상이한 섹터들 사이에서 분배될 수 있는 그의 캐리어들의 상이한 '그룹들'에 대한 물리적 계층 피드백을 전송할 다수의 업링크 캐리어들(UL_F1 및 UL_F2)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UE(902) 근처의 섹터들로부터 로컬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의 측정된 평균 신호 세기 및 평균 파일럿 SIR과 같은 채널 피드백은, 이용 가능한 업링크 캐리어들 중 임의의 업링크 캐리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RRC 메시지들로 전송될 수 있다. Although communicating with target UEs on multiple frequency bands within a single serving sector may improve throughput compared to communicating with the same UEs on a single frequency band of a single serving sector, an aspect of the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further improving throughput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multiple serving sectors and at least one target UE. In the aspects described below, the target UE has physical layer feedback (CQIs and H_ARQ information for each of its carriers (collectively forming a single 'carrier group') on multiple serving sectors, as in FIG. 9A. A single uplink carrier (UL_F1 or UL_F2) to transmit HS-DPCCH feedback, such as may be allocated, or alternatively different 'groups' of its carriers that may be distributed among different sectors, as in FIG. 9B. A number of uplink carriers UL_F1 and UL_F2 may be assigned to transmit physical layer feedback for. In addition, channel feedback such as measured average signal strength and average pilot SIR of local downlink pilot signals from sectors near the UE 902 may be transmitted on any of the available uplink carriers. May be sent in RRC messages.

도 9a는 본 발명의 혁신의 양상에 따른, 다수의 서빙 섹터들을 통해 데이터를 정해진 UE로 전송하는 방법(900)을 예시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RNC(903) 및 UE(902)는 서빙 섹터로서 RAN(904)의 섹터 1(906)을 설정한다(블록 950). 예를 들면, 섹터 1(906)을 설정하는 것은 UE(902)가 섹터 1(906)의 파일럿 신호를 모니터링 및 측정하고, 이어서 섹터 1(906) 상에서 성공적으로 캠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섹터 1(906)이 UE에 대한 서빙 섹터로서 설정된 후에, 섹터 1(906)은 업링크 캐리어(UL_F1)를 UE(902)에 할당하고, 또한 섹터 1(906)로부터 모바일-종결된 데이터를 수신할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캐리어들(또는 주파수들) DL_F1 및 DL_F2를 모니터링하도록 UE(902)에 지시한다(블록 916)고 가정하라. 도 10a 내지 도 10g의 예시적인 구현 예들에 관련하여 아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섹터 1(906)은 단일 다운링크 캐리어(DL_F1 또는 DL_F2, 그러나 양자는 아님) 상으로 UE(902)와 통신하거나, 대안적으로 양자의 캐리어들(DL_F1 및 DL_F2) 상으로 동시에 UE(902)와 통신할 수 있다. 9A illustrates a method 900 of transmitting data to a given UE via multiple serving sectors,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A, the RNC 903 and the UE 902 set sector 1 906 of the RAN 904 as a serving sector (block 950). For example, setting up sector 1 906 may include the UE 902 monitoring and measuring the pilot signal of sector 1 906 and then successfully camping on sector 1 906. After sector 1 906 is set up as a serving sector for the UE, sector 1 906 assigns uplink carrier UL_F1 to UE 902 and also receives mobile-terminated data from sector 1 906. Assume that UE 902 is instructed to monitor one or more downlink carriers (or frequencies) DL_F1 and DL_F2 to do (block 916). Sector 1 906 communicates with UE 902 on a single downlink carrier (DL_F1 or DL_F2, but not both), as will be described in greater detail below in connection with the exemplary implementations of Figures 10A- Or alternatively can communicate with UE 902 simultaneously on both carriers DL_F1 and DL_F2.

예에서, 업링크 캐리어 UL_F1은, UE에 대한 활성 세트(들)를 유지하기 위해 서빙 RNC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채널 피드백을 보고하기 위해 UE(90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 세트가 UL_F1에 의해 제어되는 로컬 셀들 또는 섹터들과 연관된 측정된 신호 세기 및/또는 SIR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에서,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는 릴리즈 7의 MIMO 물리적 계층 및 릴리즈들 8 및/또는 9의 DC-HSDPA 또는 듀얼-캐리어 DC-HSDPA에 따라 UE(902)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상이한 주파수들에 대응할 수 있다.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는 섹터 1(906)에 의해 상이한 주파수들로 전송되는 2 개의 HS-DSC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링크 캐리어 UL_F1은 HS-DPCCH(High-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xample, the uplink carrier UL_F1 can be used by the UE 902 to report channel feedback that can be used by the serving RNC to maintain active set (s) for the UE. For example,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and / or SIR associated with local cells or sectors whose active set is controlled by UL_F1 may be updated. In a further example, the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are different frequencies used to communicate with the UE 902 according to the MIMO physical layer of Release 7 and DC-HSDPA or Dual-carrier DC-HSDPA of Releases 8 and / or 9. It can correspond to these. The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may include two HS-DSCHs transmitted by different sectors 906 at different frequencies. In addition, the uplink carrier UL_F1 may include a High-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HS-DPCCH).

도 9a를 참조하면, 섹터 1(906)은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 상으로 UE로 전송하기 시작한다(블록 914). UE(902)는 UE의 활성 세트 내에 아직 없는 셀들을 식별하기 위해 자신의 활성 세트 내의 각각의 섹터의 및/또는 로컬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의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을 모니터링한다(블록 916). 인식될 바와 같이, UE(902)에 의해 이루어지는 측정들은, 네트워크에 보고될 때, 서빙 RNC(903)로 하여금 UE(902)의 활성 세트를 변하게 할 수 있는 이동성 이벤트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 모드(CM) 동작과 상관없이 블록(916)에서 UE(902)에 의해 이루어지는 측정들은 Rel.8, Rel.9 및 Rel.10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916)에서 시간 기간 동안에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을 모니터링한 후에, UE(902)는 업링크 캐리어 UL_F1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섹터 1(906)로 전송한다(블록 918). 예를 들면, 채널 피드백은 블록(916)에서 UE(902)에 의해 취해진 측정들에 기초한 모니터링된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 각각의 평균 신호 세기 및/또는 모니터링된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 각각의 평균 파일럿 SIR을 포함할 수 있다. RAN(904)의 섹터 1(906)은 업링크 캐리어 UL_F1 상으로 UE(902)로부터 채널 피드백을 수신하고, 이동성을 서빙 RNC로 포워딩하고, 필요하다면, 서빙 RNC(903)는 채널 피드백에 기초하여 UE(902)에 대한 활성 세트(들)를 업데이트한다(블록 920).Referring to FIG. 9A, sector 1 906 begins transmitting to the UE on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block 914). The UE 902 monitors downlink pilot signals of each sector and / or local cells or sectors in its active set to identify cells that are not yet in the active set of the UE (block 916). As will be appreciated, measurements made by the UE 902 may generate mobility events that, when reported to the network, may cause the serving RNC 903 to change the active set of the UE 902. For example, the measurements made by the UE 902 at block 916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way as in Rel. 8, Rel. 9, and Rel. 10, regardless of the compression mode (CM) operation. After monitoring the downlink pilot signals during the time period in block 916, the UE 902 sends channel feedback to sector 1 906 on the uplink carrier UL_F1 (block 918). For example, the channel feedback may be the average signal strength of each of the monitored downlink pilot signals and / or the average pilot SIR of each of the monitored downlink pilot signals based on the measurements taken by the UE 902 at block 916. It may include. Sector 1 906 of the RAN 904 receives channel feedback from the UE 902 on the uplink carrier UL_F1, forwards mobility to the serving RNC, and, if necessary, the serving RNC 903 based on the channel feedback. Update the active set (s) for the UE 902 (block 920).

도 9a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지만, UE(902)는 또한 물리적 계층 피드백(CQI들(Channel Quality Indicators) 및/또는 H-ARQ 정보)을 제공하기 위해 DL_F1 및 DL_F2 상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들을 모니터링 및 측정할 수 있고, 물리적 계층 피드백은 UL_F1의 역방향-링크 물리적 계층 채널(HS-DPCCH) 상으로 섹터 1(906)로 전송되고, 이어서 섹터 1(906)로부터의 DL_F1 및/또는 DL_F2 상의 데이터 레이트 및/또는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기 위해 섹터 1(906)(UE의 활성 세트 내에 있음)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FIG. 9A, the UE 902 may also monitor and downlink data transmissions on DL_F1 and DL_F2 to provide physical layer feedback (Channel Quality Indicators (CQIs) and / or H-ARQ information). Measurable, the physical layer feedback is sent to sector 1 906 on the reverse-link physical layer channel (HS-DPCCH) of UL_F1, and then the data rate on DL_F1 and / or DL_F2 from sector 1 906 and And / or used by sector 1 906 (in the active set of the UE) to adjust the transmit power level.

일부 나중의 시점에서, UE(902)가 자신의 현재 서빙 섹터 1(906) 및 또 다른 섹터("섹터 2(908)") 사이의 핸드오버 구역에 진입한다(블록 922)고 가정하라.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다른 무선 프로토콜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소프트 핸드오버'는 HSDPA가 릴리즈 5에 소개되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HSDPA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다. 오히려, 릴리즈 5+의 HSDPA는, 타겟 UE(902)가 새로운 서빙 셀로 핸드오프하는 방법에서 존재할 때조차, 하나의 서빙 셀만이 타겟 UE(902)로 전송하고 있도록 다운링크-측면에서 '하드 핸드오버'의 형태를 지원한다. 다시 말해서, 통상적으로, HSDPA 릴리즈 5+에서 타겟 UE(902)에 대한 다수의 셀들에 의한 커버리지의 어떠한 중첩 기간도 존재하지 않는다. At some later point in time, assume that the UE 902 enters a handover area between its current serving sector 1 906 and another sector (“sector 2 908”) (block 922).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ft handover' as used in other wireless protocols is typically not supported by HSDPA since HSDPA was introduced in Release 5. Rather, HSDPA in Release 5+ is 'hard handover' on the downlink-side so that only one serving cell is transmitting to the target UE 902, even when the target UE 902 is present in the method of handing off to a new serving cell. Supports the form of '. In other words, there is typically no overlap period of coverage by multiple cells for the target UE 902 in HSDPA release 5+.

도 9a의 양상들로 다시 돌아가서, 블록(924)에서 UE(902)의 서빙 섹터들로서 섹터들 1 및 2(906, 908) 양자를 부가할 때, 섹터들 1 및 2(906, 908) 각각에는 UE(902)로의 전송을 위해 RAN(904)의 서빙 RNC(903)로부터의 상이한 모바일 종결된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업링크의 관점에서, 섹터들 1 및 2(906, 908)(및 UE(902)의 활성 세트 내의 임의의 다른 섹터들)는 자신의 각각의 캐리어들(UL_F1 및/또는 UL_F2) 상의 UE-전송들을 모니터링할 것이다. 예시적인 버전에서, 섹터 2(908)는 UE(902)의 활성 세트 내의 섹터 2(908)의 존재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UE(902)에 대한 서빙 셀 또는 섹터로서 선택된다. 인식될 바와 같이, 예에서, 활성 세트는 업링크 전력 제어 및 스케줄링 승인 계산과 엄밀히 연관되고, 활성 세트들의 수는 UE에 할당되는 업링크 캐리어들의 수와 동일하거나 미만이어야 한다. 따라서, 예로서, 모든 다운링크 캐리어들에 걸친 서빙 셀들의 최대수는 업링크 캐리어들의 수와 동일하거나 미만이다. Returning back to the aspects of FIG. 9A, when adding both sectors 1 and 2 (906, 908) as serving sectors of the UE 902 at block 924, each of sectors 1 and 2 906, 908 is included. Different mobile terminated data from the serving RNC 903 of the RAN 904 may be provided for transmission to the UE 902. In terms of uplink, sectors 1 and 2 906, 908 (and any other sectors in the active set of UE 902) are UE-transmitted on their respective carriers UL_F1 and / or UL_F2. Will be monitored. In an example version, sector 2 908 is selected as the serving cell or sector for UE 902 based in part on the presence of sector 2 908 in the active set of UE 902. As will be appreciated, in an example, the active sets are strictly associated with uplink power control and scheduling grant calculations, and the number of active sets must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number of uplink carriers allocated to the UE. Thus, as an example, the maximum number of serving cells across all downlink carriers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number of uplink carriers.

따라서, 섹터 2(908)가 UE에 대한 제 2 서빙 섹터로서 설정된 후에, 섹터 2(908)가 모바일-종결된 데이터를 섹터 2(908)로부터 수신할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캐리어들(또는 주파수들) DL_F1 및 DL_F2를 모니터링하도록 UE(902)에 지시한다(블록 926)고 가정하라. 도 10a 내지 도 10g의 예시적인 구현 예들에 관련하여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섹터 2(908)는 단일 다운링크 캐리어(DL_F1 또는 DL_F2, 그러나 양자는 아님) 상으로 UE(902)와 통신하거나, 대안적으로 양자의 캐리어들(DL_F1 및 DL_F2) 양자 상으로 UE(902)와 통신할 수 있다. 인식될 바와 같이, 섹터들 1 및 2(906, 908)에 의한 전송을 위해 포워딩되는 모바일-종결된 데이터는 동일할 필요가 없고, 데이터의 양은 또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섹터들 1 및 2(906, 908)를 제어하는 서빙 RNC는 섹터들 1 및 2(906, 908) 사이에서 및 또한 적절한 방식으로 섹터들 1 및 2(906, 908) 중에서 DL_F1 및/또는 DL_F2 사이에서 UE(902)로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분배하기 위해 로드-밸런싱에 관여할 수 있다. 이것은 서빙 RNC(903)가 상이한 섹터들 및 상이한 캐리어들 상의 현재 로딩뿐만 아니라, 아래에 더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특정 캐리어에 대해 어떠한 섹터가 '1차'인지 및 어떠한 섹터가 '2차'인지와 같은 다른 요인들을 고려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Thus, after sector 2 908 is set as the second serving sector for the UE, one or more downlink carriers (or frequencies) to which sector 2 908 will receive mobile-terminated data from sector 2 908. Assume that UE 902 is instructed to monitor DL_F1 and DL_F2 (block 926).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the example implementations of FIGS. 10A-10G, sector 2 908 communicates with the UE 902 on a single downlink carrier (DL_F1 or DL_F2, but not both). Or, alternatively, it may communicate with the UE 902 on both carriers DL_F1 and DL_F2. As will be appreciated, the mobile-terminated data forwarded for transmission by sectors 1 and 2 906, 908 need not be the same, and the amount of data need not be the same either. Rather, the serving RNC controlling sectors 1 and 2 (906, 908) is DL_F1 and / or between sectors 1 and 2 (906, 908) and also in sectors 1 and 2 (906, 908) in an appropriate manner. It may be involved in load-balancing to distribute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UE 902 between DL_F2. This indicates that the serving RNC 903 is currently loading on different sectors and different carriers, as well as which sector is 'primary' and which sector is 'secondary' for a particular carrier, as will be discussed in more detail below. May involve taking into account other factors such as

도 9a를 참조하면, 섹터 2(908)는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또는 DL_F2 상으로 UE로 전송하기 시작하고(블록 928), 섹터 1(906)은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또는 DL_F2 상으로 UE로 계속해서 전송한다(블록 930). 블록들(928 및 930)에서, UE(902)가 이러한 다운링크 전송들로 동조되고 이를 수신한다고 가정될 수 있다. 9A, sector 2 908 begins transmitting to the UE on downlink carriers DL_F1 and / or DL_F2 (block 928), and sector 1 906 is on downlink carriers DL_F1 and / or DL_F2. Continue transmission to the UE (block 930). At blocks 928 and 930, it can be assumed that the UE 902 is tuned to and receives these downlink transmissions.

블록(932)에서, UE(902)는 UE의 활성 세트에 아직 없는 셀들을 식별하기 위해 자신의 활성 세트 내의 각각의 섹터의 및/또는 로컬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의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을 모니터링한다. 인식될 바와 같이, UE(902)에 의해 이루어지는 측정들은, 서빙 RNC로 포워딩될 때, 서빙 RNC로 하여금 UE의 활성 세트를 변하게 할 수 있는 이동성 이벤트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 모드(CM)와 상관없이 블록(932)에서 UE(902)에 의해 이루어지는 측정들은 Rel.8, Rel.9 및 Rel.10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932)에서 시간 기간 동안에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을 모니터링한 후에, UE(902)는 업링크 캐리어 UL_F1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전송한다(블록 934). 예를 들면, 채널 피드백은 블록(932)에서 UE(902)에 의해 취해진 측정들에 기초한 모니터링된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 각각의 평균 신호 세기 및/또는 모니터링된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 각각의 평균 파일럿 SIR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의 양상들에서, RAN(904)의 섹터들 1 및 2(906, 908)가 업링크 캐리어 UL_F1 상으로 UE(902)로부터 채널 피드백을 수신한다고 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섹터들 1 및 2(906, 908)는 각각 UL_F1의 활성 세트 내에 있을 수 있고, 이것은 섹터들 1 및 2(906, 908)가 UL_F1 상의 UE(902)로부터의 업링크 전송들을 활성적으로 모니터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UE(902)가 블록(934)에서 UL_F1 상으로 전송할 때, 섹터들 1 및 2(906, 908) 양자는 그 전송을 수신한다. 이 점에서, 섹터들 1 및 2(906, 908) 각각은 채널 피드백을 서빙 RNC(903)로 포워딩하고, 필요하다면, 서빙 RNC(903)는 채널 피드백에 기초하여 UE(902)에 대한 활성 세트(들)를 업데이트한다(블록 936, 938).At block 932, the UE 902 monitors downlink pilot signals of each sector and / or local cells or sectors in its active set to identify cells that are not yet in the active set of the UE. As will be appreciated, the measurements made by the UE 902 may generate mobility events that, when forwarded to the serving RNC, may cause the serving RNC to change the active set of the UE. For example, the measurements made by the UE 902 at block 932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way as in Rel. 8, Rel. 9 and Rel. 10, regardless of the compression mode (CM). After monitoring the downlink pilot signals during the time period at block 932, the UE 902 sends channel feedback on the uplink carrier UL_F1 (block 934). For example, the channel feedback may be the average signal strength of each of the monitored downlink pilot signals and / or the average pilot SIR of each of the monitored downlink pilot signals based on measurements taken by the UE 902 at block 932. It may include. In aspects of FIG. 9A, it may be assumed that sectors 1 and 2 906, 908 of the RAN 904 receive channel feedback from the UE 902 on the uplink carrier UL_F1. For example, sectors 1 and 2 906 and 908 may each be in an active set of UL_F1, which indicates that sectors 1 and 2 906 and 908 activate uplink transmissions from UE 902 on UL_F1. It means to monitor the data. Thus, when the UE 902 transmits on UL_F1 at block 934, both sectors 1 and 2 906, 908 receive the transmission. In this regard, each of sectors 1 and 2 906 and 908 forwards channel feedback to serving RNC 903 and, if necessary, serving RNC 903 sets an active set for UE 902 based on the channel feedback. Update (s) (blocks 936, 938).

도 9a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지만, UE(902)는 또한 CQI들(Channel Quality Indicators) 및/또는 H-ARQ 정보와 같은 물리적 계층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섹터들 1 및 2(906, 908)로부터 DL_F1 및 DL_F2 상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들을 모니터링 및 측정할 수 있고, 물리적 계층 피드백은 UL_F1의, HS-DPCCH와 같은 역방향-링크 물리적 계층 채널 상으로 섹터들 1 및 2(906, 908)로 전송되고, 이어서 각각의 섹터들로부터의 DL_F1 및/또는 DL_F2 상의 데이터 레이트 및/또는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기 위해 섹터들 1 및 2(906, 908)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FIG. 9A, the UE 902 may also be provided from sectors 1 and 2 906, 908 to provide physical layer feedback such as Channel Quality Indicators (CQIs) and / or H-ARQ information. Can monitor and measure downlink data transmissions on DL_F1 and DL_F2, and physical layer feedback is sent to sectors 1 and 2 (906, 908) on a reverse-link physical layer channel, such as HS-DPCCH, of UL_F1, It can then be used by sectors 1 and 2 906, 908 to adjust the data rate and / or transmit power level on DL_F1 and / or DL_F2 from the respective sectors.

위에 논의된 도 9a의 양상들에서, UE(902)에는 물리적 계층 피드백을 서빙 섹터들 1 및 2(906, 908)로 전송할 단일 업링크 캐리어 UL_F1이 할당된다. 따라서, 전력 제어에 관련하여, 섹터들 1 및 2(906, 908)로부터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또는 DL_F2는, 각각의 섹터로부터의 각각의 캐리어가 단일 업링크 캐리어 UL_F1(즉, '앵커' 캐리어)으로부터의 물리적 계층 피드백에 기초하여 제어된다는 점에서 동일한 '캐리어 그룹'의 부분이다. 다음에 설명되는 도 9b의 양상들에서, UE(902)에는 피드백을 제공할 다수의 업링크 캐리어들이 할당된다. 이러한 버전에서, 상이한 캐리어 그룹은 UE에 할당된 각각의 업링크 캐리어와 연관될 수 있다.In the aspects of FIG. 9A discussed above, UE 902 is assigned a single uplink carrier UL_F1 to send physical layer feedback to serving sectors 1 and 2 906, 908. Thus, with regard to power control, downlink carriers DL_F1 and / or DL_F2 from sectors 1 and 2 906 and 908 may be configured such that each carrier from each sector is a single uplink carrier UL_F1 (ie, 'anchor'). Part of the same 'carrier group' in that it is controlled based on physical layer feedback from the 'carrier'. In the aspects of FIG. 9B described below, the UE 902 is assigned a number of uplink carriers to provide feedback. In this version, different carrier groups may be associated with each uplink carrier assigned to the UE.

도 9b는 본 발명의 혁신의 양상에 따른, 다수의 서빙 섹터들을 통해 데이터를 UE(902)로 전송하는 또 다른 방법을 예시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블록들(910-924)이 도 9a에 기재된 바와 같고, 이로써 간략히 하기 위해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9B illustrates another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o the UE 902 via multiple serving sectors,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B, blocks 910-924 are as described in FIG. 9A, which will not be described further for the sake of brevity.

도 9b를 참조하면, 블록(924)에서 부가적인 서빙 섹터로서 섹터 2(908)를 부가한 후에, 섹터 2(908)는 섹터 2(908)로부터 모바일-종결된 데이터를 수신할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캐리어들(또는 주파수들) DL_F1 및 DL_F2를 모니터링하도록 UE(902)에 지시하고(블록 940), 블록(940)은 도 9a의 블록(926)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9a와 달리, 섹터 2(908)는 또한 블록(940)에서 제 2 업링크 캐리어(UL_F2)를 UE(902)에 할당한다. Referring to FIG. 9B, after adding sector 2 908 as an additional serving sector at block 924, sector 2 908 receives one or more downlinks to receive mobile-terminated data from sector 2 908. Instruct UE 902 to monitor the carriers (or frequencies) DL_F1 and DL_F2 (block 940), and block 940 is similar to block 926 of FIG. 9A. However, unlike FIG. 9A, sector 2 908 also allocates a second uplink carrier (UL_F2) to UE 902 at block 940.

도 9b를 참조하면, 섹터 2(908)는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또는 DL_F2 상으로 전송하기 시작하고(블록 942), 섹터 1(906)은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또는 DL_F2 상으로 UE로 계속해서 전송한다(블록 944). 블록들(942, 944)에서, UE(902)는 이러한 다운링크 전송들로 동조되고, 이를 수신한다. 블록(946)에서, UE(902)는 UE(902)의 활성 세트 내에 아직 없는 셀들을 식별하기 위해 자신의 활성 세트 내의 각각의 섹터의 및/또는 로컬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의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을 모니터링한다. 인식될 바와 같이, UE(902)에 의해 이루어지는 측정들은, 서빙 RNC(903)으로 포워딩될 때, 서빙 RNC(903)로 하여금 UE(902)의 활성 세트를 변하게 할 수 있는 이동성 이벤트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 모드(CM와 상관없이 블록(946)에서 UE(902)에 의해 이루어지는 측정들은 Rel.8, Rel.9 및 Rel.10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B, sector 2 908 begins transmitting on downlink carriers DL_F1 and / or DL_F2 (block 942), and sector 1 906 transmits UE on downlink carriers DL_F1 and / or DL_F2. Continue to transmit (block 944). At blocks 942, 944, the UE 902 tunes to and receives these downlink transmissions. At block 946, the UE 902 receives downlink pilot signals of each sector and / or local cells or sectors in its active set to identify cells that are not yet in the active set of the UE 902. Monitor. As will be appreciated, the measurements made by the UE 902 can cause the serving RNC 903 to generate mobility events that, when forwarded to the serving RNC 903, can cause the UE 902 to change the active set have. For example, the measurements made by the UE 902 at block 946 in the compression mode (CM regardless of CM)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way as in Rel.8, Rel.9 and Rel.10.

위에서 간략히 논의된 바와 같이, 업링크 캐리어들 UL_F1 및 UL_F2는 그 자신의 활성 세트 및 그 자신의 캐리어 그룹과 연관될 수 있고, 각각의 캐리어 그룹들은 다운링크 전송 전력 및/또는 데이터 레이트가 업링크 캐리어들 UL_F1 또는 UL_F2 중 하나로부터 제공된 물리적 계층 피드백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어되는 섹터들의 세트에 대응한다. 도 9b에서와 같이, 2 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이 존재할 때, 각각의 캐리어 그룹들은, 동일한 캐리어 그룹 내의 캐리어들이 유사한 커버리지 영역을 갖도록 네트워크(즉, 섹터들 1 및 2(906, 908)를 제어하는 네트워크의 서빙 RNC(903))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동일한 서빙 섹터에 의해 지원되는 캐리어들은 총괄적으로 캐리어 그룹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b에서, DC HSUPA의 2 개의 업링크 캐리어들 UL_F1 및 UL_F2가 각각 그들 자신의 활성 세트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앵커 캐리어가 업링크 상에서 사용되지 않는다면) 2 개의 캐리어 그룹들이 존재한다. As discussed briefly above, uplink carriers UL_F1 and UL_F2 may be associated with its own active set and its own carrier group, each carrier group having an uplink carrier with downlink transmit power and / or data rate. Correspond to a set of sectors controlled based in part on physical layer feedback provided from either UL_F1 or UL_F2. As in FIG. 9B, when there are two or more uplink carriers, each carrier group controls the network (ie, sectors 1 and 2 906, 908) such that carriers within the same carrier group have similar coverage areas. Network RNC 903). For example, carriers supported by the same serving sector may collectively form part of a carrier group. In FIG. 9B, there are two carrier groups (unless an anchor carrier is used on the uplink) because the two uplink carriers UL_F1 and UL_F2 of DC HSUPA must each have their own active set.

예에서, 2 개의 업링크 캐리어들 UL_F1 및 UL_F2 각각은 (데이터 레이트 및/또는 전송 전력에 관련하여) 그들 각각의 캐리어 그룹들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업링크 캐리어들 중 하나는 '앵커'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업링크 캐리어는 2차 업링크 캐리어와 페어링되는 캐리어를 적어도 포함한다. 다른 '언페어링된' 다운링크 캐리어들은 2 개의 캐리어 그룹들 중 어느 하나에 놓일 수 있다. 동일한 캐리어 그룹 내의 캐리어들이 유사한 핸드오버 경계를 갖는 그러한 방식으로 그룹화가 구현될 수 있다. In an example, each of the two uplink carriers UL_F1 and UL_F2 may independently control their respective carrier groups (in terms of data rate and / or transmit power). Alternatively one of the uplink carriers may comprise an 'anchor' carrier and the other uplink carrier comprises at least a carrier paired with a secondary uplink carrier. Other 'unpaired' downlink carriers can be placed in either of two carrier groups. Grouping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way that carriers within the same carrier group have similar handover boundaries.

블록(946)에서 UE(902)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의 측정들은 '이동성 이벤트들'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이동성에 관련하여, 앵커 캐리어 버전에서, 각각의 이동성 이벤트(또는 소프트 핸드오버, 새롭거나 상이한 서빙 셀로의 전환, 오래된 서빙 셀의 드롭핑, 등)는 앵커 캐리어(UL_F1)에 기초한다. 이러한 경우에, 2차 업링크 캐리어(UL_F2)는 '사용되지 않음'으로서 처리되고, 이벤트 2x는 측정들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압축 모드(CM) 없이 2차 업링크 캐리어를 측정하는 UE(902)의 능력은 이러한 주파수 상에서 새로운 셀들을 식별하는데 이로울 수 있다. 예로서, UL_F1이 업링크 앵커 캐리어라고 가정하면, UE(902)가 섹터 1(906)로부터 섹터 2(908)로 이동함에 따라, 섹터 1(906) 상의 DL_F1으로부터의 서비스는, 섹터 1(906)의 DL_F2가 UL_F2의 활성 세트에 부가될 때에만 부가될 수 있다. 새로운 이동성 이벤트들은 또한 UL_F1이 앵커 캐리어인 동안에 UE(902)가 DL_F1 세기를 보고하도록 촉진할 수 있다. Measurements of downlink pilot signals made by the UE 902 at block 946 can trigger 'mobility events'. Regarding mobility, in the anchor carrier version, each mobility event (or soft handover, switching to a new or different serving cell, dropping an old serving cell, etc.) is based on the anchor carrier UL_F1. In this case, the secondary uplink carrier UL_F2 is treated as 'unused' and event 2x is used for the measurements. The UE 902's ability to measure secondary uplink carriers without a compression mode (CM) may be beneficial for identifying new cells on this frequency. For example, assuming that UL_F1 is an uplink anchor carrier, as UE 902 moves from sector 1 906 to sector 2 908, the service from DL_F1 on sector 1 906 may be sector 1 906. ) May be added only when it is added to the active set of UL_F2. New mobility events may also promote the UE 902 to report DL_F1 strength while UL_F1 is an anchor carrier.

대안적인 버전에서, 단독으로 앵커 주파수 상의 셀들의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UE(902)로부터 보고들을 트리거링하는 대신에, 보고들은 또한 다른 비-앵커 주파수들 상의 측정된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UE(902)로부터 트리거링될 수 있고, 이것은 네트워크에서 불균일한 로딩을 도울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version, instead of triggering reports from the UE 902 based solely on the channel quality of the cells on the anchor frequency, the reports may also be based on the measured channel quality on other non-anchor frequencies. Can be triggered from, which can help with uneven loading in the network.

또 다른 대안적인 버전에서, 이동성 이벤트 관리는 단일 앵커 캐리어를 통하는 대신에 캐리어 그룹마다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위에 주의된 바와 같이, 활성 세트는 캐리어 그룹마다 유지된다. 예에서, UE가 2 개의 독립적인 활성 세트들(각각의 캐리어 그룹 당 하나씩)을 유지하고, 캐리어 그룹들 양자 상의 탐색이 CM 없이 실시될 수 있다고 가정하라. 이러한 경우에, UE(902)가 섹터 2(908)를 떠나서 섹터 1(906)을 향해 이동할 때, 섹터 1(906)로부터의 DL_F1 상의 서비스는, 섹터 1(906) 상의 DL_F2가 UL_F2의 활성 세트에 부가되는 대신에, 섹터 1(906) 상의 DL_F1이 UL_F1 상의 활성 세트에 부가될 때 부가될 수 있다. 이것은 섹터 1(906)로부터 DL_F1 서비스의 더 큰 확장을 유발한다. 이러한 옵션은 DC-HSUPA 지원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업링크 상의 물리적 계층 피드백 채널의 이슈는, 각각의 다운링크 캐리어(DL_F1, DL_F2)에 대한 HS-DPCCH가 각각의 페어링된 업링크 캐리어(UL_F1, UL_F2) 상으로 별도로 전달되도록 허용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In another alternative version, mobility event management may be implemented on a per carrier group basis instead of via a single anchor carrier. As noted above, the active set is maintained per carrier group. In the example, assume that the UE maintains two independent active sets (one for each carrier group) and the discovery on both carrier groups can be performed without a CM. In this case, when the UE 902 leaves sector 2 908 and moves towards sector 1 906, the service on DL_F1 from sector 1 906 is such that DL_F2 on sector 1 906 is the active set of UL_F2. Instead of being added to, DL_F1 on sector 1 906 may be added when added to the active set on UL_F1. This causes a greater expansion of DL_F1 service from sector 1 906. This option may require DC-HSUPA support. In addition, the issue of the physical layer feedback channel on the uplink can be mitigated by allowing the HS-DPCCH for each downlink carrier DL_F1, DL_F2 to be delivered separately on each paired uplink carrier UL_F1, UL_F2. Can be.

도 10a 내지 도 10g의 예시적인 구현 예들에 관련하여 아래에 더욱 상세히 기재될 바와 같이, 섹터 2(908)는 단일 다운링크 캐리어(DL_F1 또는 DL_F2, 그러나 양자는 아님) 상으로 정해진 UE(902)와 통신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양자의 캐리어들(DL_F1 및 DL_F2) 상으로 동시에 정해진 UE(902)와 통신할 수 있다. 섹터 2(908)(존재한다면)에서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는, 정해진 UE의 상이한 서빙 섹터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제외하면, 섹터 1(906)(존재한다면)에서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고 고려될 수 있다.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the example implementations of FIGS. 10A-10G, sector 2 908 is associated with a UE 902 defined on a single downlink carrier (DL_F1 or DL_F2, but not both). Or alternatively communicate with a given UE 902 simultaneously on both carriers DL_F1 and DL_F2.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in sector 2 908 (if present) are associated with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in sector 1 906 (if present), except that they are sent from a different serving sector of a given UE. It can be considered to be constructed in a substantially similar manner.

도 9b로 다시 돌아가면, 블록(946)에서 시간 기간 동안에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을 모니터링한 후에, 정해진 UE(902)는 업링크 캐리어 UL_F1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섹터 1(906)로 전송하고(블록 948), 또한 별개로 업링크 캐리어 UL_F2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섹터 2(908)로 전송한다(블록 950). 따라서, 도 9b의 예시적인 버전은 비-앵커 캐리어 버전에 대응하고, 이로써 UL_F1 및 UL_F2에 대한 캐리어 그룹들은 별개로 제어된다. 도 9b에 도시되지 않지만, 이러한 접근법의 대안은 앵커 캐리어 버전(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됨)이고, 이로써 단일 업링크 캐리어(UL_F1 또는 UL_F2)는 양자의 캐리어 그룹들에 대한 채널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즉, 양자의 캐리어 그룹들의 측정된 파일럿들이 앵커 캐리어를 통해 전송될 수 있음). 예에서, 업링크 캐리어 UL_F1은 섹터 1(906)에서 적어도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또는 DL_F2를 포함하는 제 1 캐리어 그룹과 연관되고, 업링크 캐리어 UL_F2는 섹터 2(908)에서 적어도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또는 DL_F2를 포함하는 제 2 캐리어 그룹과 연관된다. 또한, 블록(948 및 950)에서 전송된 채널 피드백은 블록(946)에서 정해진 UE(902)에 의해 취해진 측정들에 기초하여 모니터링된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 각각의 평균 신호 세기 및/또는 모니터링된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 각각의 평균 파일럿 SIR을 포함할 수 있다. Returning back to FIG. 9B, after monitoring the downlink pilot signals for a period of time at block 946, the determined UE 902 sends channel feedback to sector 1 906 on the uplink carrier UL_F1 (block 948). ) And also sends channel feedback to sector 2 908 separately on uplink carrier UL_F2 (block 950). Thus, the example version of FIG. 9B corresponds to a non-anchor carrier version, whereby the carrier groups for UL_F1 and UL_F2 are controlled separately. Although not shown in FIG. 9B, an alternative to this approach is the anchor carrier version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hereby a single uplink carrier (UL_F1 or UL_F2) can be used to provide channel feedback for both carrier groups. (Ie, measured pilots of both carrier groups may be sent on the anchor carrier). In an example, the uplink carrier UL_F1 is associated with a first carrier group that includes at least downlink carriers DL_F1 and / or DL_F2 in sector 1 906, and the uplink carrier UL_F2 is at least downlink carrier in sector 2 908. Associated with a second carrier group comprising the DL_F1 and / or DL_F2. In addition, the channel feedback transmitted at blocks 948 and 950 is based on the measurements taken by the UE 902 determined at block 946 and the average signal strength and / or monitored down of each of the monitored downlink pilot signals. It may include an average pilot SIR of each of the link pilot signals.

도 9b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지만, 정해진 UE(902)는 또한 CQI들(Channel Quality Indicators) 및/또는 H-ARQ 정보와 같은 물리적 계층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섹터들 1 및 2(906, 908)로부터 DL_F1 및 DL_F2 상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들을 모니터링 및 측정할 수 있고, 물리적 계층 피드백은 UL_F1 및/또는 UL_F2의 역방향 링크 물리적 계층 채널(HS-DPCCH) 상으로 섹터들 1 및 2(906, 908)로 전송되고, 이어서 각각의 섹터들로부터의 DL_F1 및/또는 DL_F2 상의 데이터 레이트 및/또는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기 위해 섹터들 1 및 2(906, 908)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업링크 캐리어들 UL_F1 및 UL_F2는, 함께 코딩되고 이러한 캐리어 그룹에 대응하는 업링크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는 동일한 캐리어 그룹 내의 캐리어들의 HS-DPCCH 정보를 정해진 UE(902)가 코딩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902)가 2 개의 다운링크 캐리어들(DL_F1 및 DL_F2) 및 2 개의 업링크 캐리어들(UL_F1 및 UL_F2)을 갖는다면, 이러한 옵션은 2 개의 다운링크 캐리어들(섹터 1 및 섹터 2에서 DL_F1 및 DL_F2)에 대한 HS-PDCCH를 2 개의 업링크 캐리어들로 인코딩할 것이다.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FIG. 9B, a given UE 902 may also have sectors 1 and 2 906, 908 to provide physical layer feedback, such as Channel Quality Indicators (CQIs) and / or H-ARQ information. Can monitor and measure downlink data transmissions on DL_F1 and DL_F2 from the physical layer feedback to sectors 1 and 2 (906, 908) on the reverse link physical layer channel (HS-DPCCH) of UL_F1 and / or UL_F2. And then may be used by sectors 1 and 2 906 and 908 to adjust the data rate and / or transmit power level on DL_F1 and / or DL_F2 from the respective sectors. Multiple uplink carriers UL_F1 and UL_F2 may allow a given UE 902 to code HS-DPCCH information of carriers in the same carrier group that are coded together and transmitted on the uplink carrier corresponding to this carrier group. . For example, if the UE 902 has two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and two uplink carriers UL_F1 and UL_F2, this option may be two downlink carriers (sector 1 and sector). Will encode the HS-PDCCH for DL_F1 and DL_F2) into two uplink carriers.

다시 도 9b로 돌아가면, RAN(904)의 섹터 1(906)은 업링크 캐리어 UL_F1 상으로 정해진 UE(902)로부터 채널 피드백을 수신하고, 채널 피드백을 서빙 RNC로 포워딩하고, 필요하다면, 서빙 RNC는 채널 피드백에 기초하여 UL_F1에 대한 정해진 UE(902)의 활성 세트를 조절한다(블록 952). 마찬가지로, RAN(904)의 섹터 2(908)는 업링크 캐리어 UL_F2 상으로 정해진 UE(902)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하고, 채널 피드백을 서빙 RNC로 포워딩하고, 필요하다면, 서빙 RNC는 채널 피드백에 기초하여 UL_F2에 대한 정해진 UE(902)의 활성 세트를 조절한다(블록 954).Returning back to FIG. 9B, sector 1 906 of the RAN 904 receives channel feedback from the UE 902 determined on the uplink carrier UL_F1, forwards the channel feedback to the serving RNC and, if necessary, the serving RNC. Adjusts an active set of a given UE 902 for UL_F1 based on channel feedback (block 952). Similarly, sector 2 908 of RAN 904 receives feedback from UE 902 on the uplink carrier UL_F2, forwards the channel feedback to the serving RNC, and if necessary, the serving RNC determines, based on channel feedback, And adjusts the active set of UE 902 for UL_F2 (block 954).

또한, 도 9a 및 도 9b 각각은, 정해진 UE(902)가 초기 서빙 섹터로서 섹터 1(906)을 설정하고, 정해진 UE(902)에 의한 섹터들 1 및 2(906, 908) 사이의 핸드오버 존 또는 구역으로의 진입 시에, 나중에 또 다른 서빙 섹터로서 섹터 2(908)를 부가하는 시나리오를 예시한다. 대안적인 버전에서, 정해진 UE(902)는 섹터들 1 및 2(906, 908) 사이의 핸드오버 존 또는 구역에서 간단히 파워 업할 수 있고, 어느 경우에서도, 양자의 섹터들 1 및 2(906, 908)는 동시에 UE(902)의 서빙 섹터들로서 설정될 수 있다. 9A and 9B also show that a given UE 902 sets up sector 1 906 as an initial serving sector, and handovers between sectors 1 and 2 906 and 908 by the given UE 902. Upon entering a zone or zone, a scenario of adding sector 2 908 later as another serving sector is illustrated. In an alternative version, a given UE 902 may simply power up in a handover zone or zone between sectors 1 and 2 906, 908, and in either case, both sectors 1 and 2 906, 908. May be set as serving sectors of the UE 902 at the same time.

또한, 도 9a 및 도 9b에서 섹터들 1 및 2(906, 908)와 연관된 노드B들은 상이한 전송 전력 능력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섹터 1(906)을 지원하는 노드B는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또는 피코-셀로서 섹터 1(906)을 지원할 수 있고, 이것은 섹터 2(908)를 지원하는 노드B와 비교하여 상이한 전송 전력 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한 전송 전력 능력 차이들은 상이한 서빙 셀들이 상이한 캐리어들 상에서 동작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Also, NodeBs associated with sectors 1 and 2 906 and 908 in FIGS. 9A and 9B may have different transmit power capabilities. For example, a NodeB supporting sector 1 906 may support sector 1 906 as a macro-cell, micro-cell or pico-cell, compared to NodeB supporting sector 2 908. To generate different transmit power capabilities. Such transmit power capability differences may lead to scenarios in which allowing different serving cells to operate on different carriers may improve throughput.

대안적인 버전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업링크 채널들 UL_F1 및 UL_F2 상으로 2 개의 캐리어 그룹들에 대한 별개의 피드백(채널 피드백 또는 물리적 계층 피드백)을 전송하는 대신에, 복수의 업링크 캐리어들 중 하나는 '앵커' 업링크 캐리어로서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물리적 계층 피드백에 관련하여, 각각의 다운링크 캐리어들(섹터 1(906)로부터의 DL_F1 및/또는 DL_F2, 섹터 2(908)로부터의 DL_F1 및/또는 DL_F2 등)에 대한 HS-DPCCH 정보는 (DC HSDPA에 대해 Rel.8 또는 DC HSDPA와 MIMO에 대해 Rel.9, 또는 4C HSDPA에 대해 Rel.10에서와 같이) 하나의 코드 워드로 공동으로 코딩되고, 이어서 앵커 업링크 캐리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인식될 바와 같이, 다수의 캐리어 그룹들 중 절반에 대해 단일 앵커 캐리어가 사용되면, 앵커 캐리어와 연관된 서빙 섹터는 UE 피드백을 (다른 서빙 섹터(들)로) 포워딩할 수 있거나, 앵커 캐리어는 캐리어들 각각, 예를 들면, 적어도 앵커 캐리어의 활성 세트 내의 각각의 캐리어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version, as described above, instead of transmitting separate feedback (channel feedback or physical layer feedback) for the two carrier groups on the uplink channels UL_F1 and UL_F2, of the plurality of uplink carriers. One may be designated as an 'anchor' uplink carrier. In this case, with respect to physical layer feedback, the HS-DPCCH for each downlink carriers (DL_F1 and / or DL_F2 from sector 1 906, DL_F1 and / or DL_F2, etc. from sector 2 908, etc.) The information is jointly coded into one code word (as in Rel.8 for DC HSDPA or Rel.9 for DC HSDPA and MIMO, or Rel.10 for 4C HSDPA) and then via an anchor uplink carrier. Can be sent. As will be appreciated, if a single anchor carrier is used for half of the multiple carrier groups, the serving sector associated with the anchor carrier may forward UE feedback (to other serving sector (s)), or the anchor carrier may be carriers. Each may be monitored, for example, by at least each carrier in an active set of anchor carriers.

아래에, 도 9a 및 도 9b의 프로세스들의 다수의 구현 예들이 도 10a 내지 도 10g에 관련하여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0a 내지 도 10g 각각은 도 9a 및 도 9b의 UE(902) 및 서빙 섹터 1(906) 및 섹터 2(908) 사이에 설정될 수 있는 접속들의 상이한 세트를 예시한다. Below, a number of implementations of the processes of FIGS. 9A and 9B are provided with respect to FIGS. 10A-10G. More specifically, FIGS. 10A-10G each illustrate a different set of connections that may be established between UE 902 and Serving Sector 1 906 and Sector 2 908 of FIGS. 9A and 9B.

도 10a에서, 도 9a의 방법의 구현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0a)이 예시되고, 이로써 서빙 섹터들 1 및 2(906, 908) 각각은 동일한 단일 다운링크 캐리어(즉, DL_F1)를 통해 UE(902)와 통신하고, UE(902)에는 캐리어 그룹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단일 업링크 캐리어(즉, UL_F1)가 할당된다. 따라서, 도 10a의 예에서,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DL_F2가 사용되지 않는다. 인식될 바와 같이, 다운링크 캐리어 DL_F2의 생략은 다운링크 캐리어 DL_F2를 지원하는 서빙 섹터들 1 및/또는 2의 실패에 기초할 수 있거나(섹터들 1 및 2(906, 908)가 단일 캐리어 주파수 전개를 통해 구현됨), 대안적으로 다운링크 캐리어 DL_F2에 대한 로드-레벨이 임계치를 초과하여 다운링크 캐리어 DL_F2 상으로 UE(902)를 지원하기 위한 자원들이 현재 이용 가능하지 않다는 서빙 RNC에 의한 결정에 기초할 수 있다. In FIG. 10A, a communication system 1000a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of FIG. 9A is illustrated, whereby each of serving sectors 1 and 2 906, 908 is connected to a UE (eg, DL_F1) over the same single downlink carrier (ie, DL_F1). In communication with 902, UE 902 is assigned a single uplink carrier (ie, UL_F1) to provide feedback for a group of carriers. Thus, in the example of FIG. 10A, the second downlink carrier DL_F2 is not used. As will be appreciated, the omission of downlink carrier DL_F2 may be based on the failure of serving sectors 1 and / or 2 supporting downlink carrier DL_F2 (sectors 1 and 2 906, 908 are single carrier frequency evolution). Implemented by the serving RNC that alternatively the load-level for the downlink carrier DL_F2 exceeds a threshold so that resources for supporting the UE 902 on the downlink carrier DL_F2 are not currently available. Can be based.

도 10a를 참조하면, 섹터들 1(906)이 다운링크 캐리어 DL_F1에 대한 '1차' 섹터에 대응하고, 섹터 2(908)가 다운링크 캐리어 DL_F2에 대한 '2차' 서빙 섹터에 대응한다고 가정하라. 본 발명의 혁신의 양상들에서, 각각의 특정 다운링크 캐리어는 단일 1차 서빙 섹터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서빙 섹터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차 서빙 섹터는 특정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해 2차 서빙 섹터(들)보다 더 영구적이다. 또한, RNC는 2차 서빙 섹터와 반대로 1차 서빙 섹터로 더 많은 다운링크 모바일-종결된 데이터를 지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에서, 1차 서빙 섹터는 2차 서빙 섹터와 비교하여 연관된 캐리어에 대한 더 낮은 로드와 연관될 수 있거나 및/또는 UE(902)에 대한 더 양호한 접속을 가질 수 있다. 섹터들 1 및 2(906, 908) 각각에서 다운링크 캐리어 DL_F1은 UE(902)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별개의 HS-DSCH를 전달한다. 이러한 경우에, 2 개의 별개의 전송 블록들은 동일한 캐리어 또는 주파수(즉, DL_F1) 상으로 2 개의 HS-DSCH들을 통해 섹터들 1 및 2(906, 908)로부터 UE(902)로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이한 데이터는 상이한 섹터들에 의해 동일한 캐리어 내에서 전송된다(즉, 동일한 데이터가 핸드오버 구역에서 중복으로 전송되는 비-HSDPA 프로토콜들의 소프트 핸드오버와 대조됨). 이러한 형태의 전송 방식은 단일-주파수 듀얼-셀 HSDPA(SF-DC-HSDPA)로 지칭될 수 있다. 인식될 바와 같이, SF-DC-HSDPA는, 시스템이 가끔 완전히 활용되는 현실적인 전개에서 동적 로드 밸런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서빙 섹터 1(906) 및 2차 서빙 섹터 2(908) 각각은 업링크 캐리어 UL_F1 상으로 전송되는 UE(902)로부터의 신호들을 모니터링 및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A, assume that sectors 1 906 correspond to a 'primary' sector for downlink carrier DL_F1, and sector 2 908 corresponds to a 'secondary' serving sector for downlink carrier DL_F2. do it. In aspects of the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particular downlink carrier may be supported by a single primary serving sector and at least one secondary serving sector. In general, the primary serving sector is more permanent than the secondary serving sector (s) for a particular downlink carrier. In addition, the RNC may indicate more downlink mobile-terminated data to the primary serving sector as opposed to the secondary serving sector. In a further example, the primary serving sector may be associated with a lower load on the associated carrier as compared to the secondary serving sector and / or have a better connection to the UE 902. Downlink carrier DL_F1 in each of sectors 1 and 2 906 and 908 carries a separate HS-DSCH that can be monitored by UE 902. In this case, two separate transport blocks can be delivered from UEs 1 and 2 906 and 908 to UE 902 via two HS-DSCHs on the same carrier or frequency (ie DL_F1). In other words, different data is transmitted in the same carrier by different sectors (ie, contrasted with soft handover of non-HSDPA protocols where the same data is transmitted in duplicate in the handover zone). This type of transmission scheme may be referred to as single-frequency dual-cell HSDPA (SF-DC-HSDPA). As will be appreciated, the SF-DC-HSDPA can provide dynamic load balancing in realistic deployments where the system is sometimes fully utilized. As shown in FIG. 10A, each of the primary serving sector 1 906 and the secondary serving sector 2 908 can monitor and receive signals from the UE 902 transmitted on the uplink carrier UL_F1.

도 10b에서, 도 9a의 방법의 구현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0b)이 예시되고, 이로써 서빙 섹터들 1 및 2(906, 908) 각각은 단일 다운링크 캐리어(즉, DL_F1 및 DL_F2, 각각)를 통해 UE(902)와 통신하고, UE(902)에는 캐리어 그룹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단일 업링크 캐리어(즉, UL_F1)가 할당된다. 따라서, 도 10b의 예에서, 섹터들 1 및 2(906, 908)에 의해 각각 사용되는 다운링크 캐리어 주파수들 DL_F1 및 DL_F2는 UE(902)에서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에 대해 직교일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섹터 1(906)에서의 다운링크 캐리어 DL_F1 및 섹터 2(908)에서의 다운링크 캐리어 DL_F2 각각이 UE(902)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별개의 HS-DSCH를 전달한다고 가정하라. 이러한 경우에, 2 개의 별개의 전송 블록들은 상이한 캐리어들 또는 주파수들(즉, DL_F1 및 DL_F2) 상으로 2 개의 HS-DSCH들을 통해 섹터들 1 및 2(906, 908)로부터 UE(902)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0b의 예시적인 버전에서, 서빙 섹터 1(906)가 DL_F1을 통해 UE(902)와 통신하고 서빙 섹터 2(908)가 DL_F2를 통해 UE(902)와 통신하기 때문에, 양자의 서빙 섹터들 1 및 2(906, 908)는 그들의 특정 다운링크 캐리어들에 관련하여 '1차'인데, 왜냐하면, 도 10b에서 어떠한 2차 캐리어들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섹터 1(906) 및 서빙 섹터 2(908) 각각은, 서빙 섹터 2(908)가 DL_F1 상으로 전송하고 있지 않을지라도, 업링크 캐리어 UL_F1 상으로 전송되는 UE(902)로부터의 신호들을 모니터링 및 수신할 수 있다. 예에서, 서빙 섹터 2(908)는 오버로딩되어, 서빙 섹터 2(908)가 앵커 캐리어로서 UL_F1 상으로 전송되는 UE(902)의 피드백을 여전히 디코딩할 수 있는 동안에 DL_F1 상으로 다운링크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실패하게 될 수 있다. In FIG. 10B, a communication system 1000b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of FIG. 9A is illustrated, whereby each of serving sectors 1 and 2 906, 908 represents a single downlink carrier (ie, DL_F1 and DL_F2, respectively). In communication with the UE 902, the UE 902 is assigned a single uplink carrier (ie, UL_F1) to provide feedback for a group of carriers. Thus, in the example of FIG. 10B, downlink carrier frequencies DL_F1 and DL_F2 used by sectors 1 and 2 906, 908, respectively,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to reduce interference at UE 902. . Referring to FIG. 10B, assume that each of downlink carrier DL_F1 in sector 1 906 and downlink carrier DL_F2 in sector 2 908 carry a separate HS-DSCH that can be monitored by UE 902. do it. In this case, two separate transport blocks pass from sectors 1 and 2 906, 908 to UE 902 on two carriers or frequencies (ie, DL_F1 and DL_F2) over two HS-DSCHs. Can be. In the example version of FIG. 10B, both serving sectors 1, because serving sector 1 906 communicates with UE 902 via DL_F1 and serving sector 2 908 communicates with UE 902 via DL_F2. And 2 906, 908 are 'primary' with respect to their specific downlink carriers, since there are no secondary carriers in FIG. 10B. As shown in FIG. 10B, each of serving sector 1 906 and serving sector 2 908 is a UE that is transmitted on an uplink carrier UL_F1 even though serving sector 2 908 is not transmitting on DL_F1. The signals from 902 can be monitored and received. In an example, serving sector 2 908 is overloaded to provide downlink support over DL_F1 while serving sector 2 908 can still decode the feedback of UE 902 transmitted on UL_F1 as an anchor carrier. Things can fail.

또한, 도 10b를 참조하면, 또 다른 예에서, 양자의 섹터들 1 및 2(906, 908)가 다운링크 캐리어 DL_F1 및 DL_F2 양자를 지원한다고 가정하라. 그러나, 섹터 1(906) 상의 DL_F2 및 섹터 2(908) 상의 DL_F1이 과도하게 로딩되고, 반면에 섹터 1(906) 상의 DL_F1 및 섹터 2(908) 상의 DL_F2가 약간 로딩된다고 추가로 가정하라. 이러한 경우에, DL_F1 상으로 섹터 1(906)로부터 및 DL_F2 상으로 섹터 2(908)로부터 UE(902)를 서빙하는 것(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음)은 증가된 스루풋을 발생시킬 것이다. 인식될 바와 같이, 상이한 섹터들로부터 상이한 캐리어들 상으로 UE(902)를 서빙하는 것이 UE(902)에 대한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많은 상이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한다. Also, referring to FIG. 10B, assume that in another example, both sectors 1 and 2 906, 908 support both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However, further assume that DL_F2 on sector 1 906 and DL_F1 on sector 2 908 are overloaded, while DL_F1 on sector 1 906 and DL_F2 on sector 2 908 are slightly loaded. In this case, serving the UE 902 from sector 1 906 onto DL_F1 and from sector 2 908 onto DL_F2 (as shown in FIG. 10B) will result in increased throughput. As will be appreciated, there are many different scenarios in which serving the UE 902 from different sectors onto different carriers may improve the service for the UE 902.

도 10c에서, 도 9b의 방법의 구현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0c)이 예시되고, 이로써 서빙 섹터들 1 및 2(906, 908) 각각은 단일 (그리고 상이한) 다운링크 캐리어(즉, DL_F1 및 DL_F2, 각각)를 통해 UE(902)와 통신하고, UE(902)에는 각각의 캐리어 그룹들(즉, 제 1 캐리어 그룹은 적어도 섹터 2(908)의 DL_F2를 포함하고, 제 2 캐리어 그룹은 적어도 섹터 1(906)의 DL_F1을 포함함)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2 개의 업링크 캐리어들(즉, UL_F1 및 UL_F2)이 할당된다. 도 10c의 예는, 도 10c가 도 10b로부터의 단일 업링크 캐리어(UL_F1) 대신에 2 개의 업링크 캐리어들(UL_F1 및 UL_F2)를 UE(902)에 제공하여, UE(902)에 대해 2 개의 별개의 캐리어 그룹들 및 활성 세트들이 발생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0b에 관련하여 위에 기재된 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2 개의 업링크 캐리어들(UL_F1 및 UL_F2)은, 도 9b에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UE(902)가 UL_F1 및 UL_F2를 통해 2 개의 별개의 캐리어 그룹들을 별개로 제어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면, 업링크 캐리어 UL_F1은 섹터 1(906) 상에서 적어도 다운링크 캐리어 DL_F1을 포함하는 제 1 캐리어 그룹과 연관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업링크 캐리어 UL_F2는 섹터 2(908) 상에서 적어도 다운링크 캐리어 DL_F2를 포함하는 제 2 캐리어 그룹과 연관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In FIG. 10C, a communication system 1000c in accordance with an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of FIG. 9B is illustrated whereby each of serving sectors 1 and 2 906, 908 is a single (and different) downlink carrier (ie, DL_F1 and DL_F2). Communicate with the UE 902 via each of the plurality of carrier groups (ie, the first carrier group includes at least DL_F2 of sector 2 908, and the second carrier group includes at least sectors). Two uplink carriers (ie, UL_F1 and UL_F2) are allocated to provide feedback for 1 (906), including DL_F1. In the example of FIG. 10C, FIG. 10C provides two uplink carriers UL_F1 and UL_F2 to the UE 902 instead of a single uplink carrier UL_F1 from FIG. 10B, thereby providing two for the UE 902. Similar to the exampl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10B, except that separate carrier groups and active sets occur. Thus, the two uplink carriers UL_F1 and UL_F2 allow the UE 902 to separately control two separate carrier groups via UL_F1 and UL_F2,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9B. For example, uplink carrier UL_F1 may provide feedback associated with a first carrier group that includes at least downlink carrier DL_F1 on sector 1 906, and uplink carrier UL_F2 may at least downlink on sector 2 908. It may provide feedback associated with a second carrier group that includes the carrier DL_F2.

대안적으로, 도 10c를 참조하면, 2 개의 업링크 캐리어들 UL_F1 및 UL_F2가 UE(902)에 제공될지라도, 양자의 캐리어 그룹들에 대한 피드백은 단일 앵커 캐리어(UL_F1 또는 UL_F2)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섹터들 1 및 2(906, 908) 양자는 앵커 캐리어에 대한 활성 세트 내에 있어서, 앵커 캐리어 상의 피드백이 양자의 섹터들에 의해 적절히 디코딩될 것이다. 도 10c의 추가적인 설명은 도 10b와의 그의 유사성으로 인해 간략히 하기 위해 생략될 것이다. 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 10C, although two uplink carriers UL_F1 and UL_F2 are provided to the UE 902, feedback for both carrier groups may be provided on a single anchor carrier (UL_F1 or UL_F2). Can be. In this case, both sectors 1 and 2 906 and 908 are in the active set for the anchor carrier so that the feedback on the anchor carrier will be properly decoded by both sectors. Additional description of FIG. 10C will be omitted for simplicity due to its similarity to FIG. 10B.

도 10c를 참조하면, 예에서, 섹터 1(906)이 양자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를 지원하는 핫스팟에 대응하고, 반면에 섹터 2(908)가 다운링크 캐리어 DL_F1만을 지원한다고 가정하라. 이러한 경우에, UE(902)가 섹터들 1 및 2(906, 908) 사이의 핸드오버 구역에 위치되고, 섹터 1(906)보다 섹터 2(908)에 더 가까울 때, DL_F1 상으로 섹터 1(906)로부터 및 DL_F2 상으로 섹터 2(908)로부터 UE(902)를 서빙함으로써, 더 높은 스루풋이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UE(902)를 서빙하기 위한 범위-확장은 비일반적인 전개 시나리오(즉, 모든 섹터들이 양자의 DL_F1 및 DL_F2를 지원하지 않는 시나리오)에서 성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C, assume that in the example, sector 1 906 corresponds to a hot spot that supports both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while sector 2 908 supports only downlink carrier DL_F1. In this case, when UE 902 is located in the handover area between sectors 1 and 2 906, 908 and is closer to sector 2 908 than sector 1 906, sector 1 (on DL_F1) is located. Higher throughput may be obtained by serving the UE 902 from 906 and from sector 2 908 onto DL_F2. Thus, range-extension for serving the UE 902 may be achieved in an unusual deployment scenario (ie, a scenario in which not all sectors support both DL_F1 and DL_F2).

인식될 바와 같이, 도 10a 내지 도 10g는, 상이한 섹터들의 다운링크 캐리어들(도 10a에서와 같이 섹터 1(906) 상의 DL_F1 및 섹터 2(908) 상의 DL_F1 또는 도 10b 및 도 10c에서와 같이 섹터 1(906) 상의 DL_F1 및 섹터 2(908) 상의 DL_F2) 상으로 2 개의 별개의 전송 블록들을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을 위해 구성되는 UE들(902)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UE들(902)은 복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상으로 동시에 세(3) 개 이상의 전송 블록들로 동조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0d 내지 도 10g에 관련하여 설명된다. 복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상으로 동시에 3 개 이상의 전송 블록들로 동조할 수 있는 UE들(902)은 릴리즈 10의 4C-HSDPA 호환 가능 UE들로서 특징화될 수 있다. As will be appreciated, FIGS. 10A-10G illustrate downlink carriers of different sectors (DL_F1 on sector 1 906 and DL_F1 on sector 2 908 as in FIG. 10A or sectors as in FIGS. 10B and 10C). UEs 902 configured for operation in the case of receiving two separate transport blocks on DL_F1 on 1 906 and DL_F2 on sector 2 908. Such UEs 902 are described in relation to FIGS. 10D-10G as being able to tune to three (3) or more transport blocks simultaneously on a plurality of downlink carriers. UEs 902 that can tune to three or more transport blocks simultaneously on a plurality of downlink carriers may be characterized as 4C-HSDPA compatible UEs of release 10.

도 10d에서, 도 9a의 방법의 구현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0d)이 예시되고, 이로써 서빙 섹터 1(906)은 단일 다운링크 캐리어(즉, DL_F1)를 통해 UE(902)와 통신하고, 서빙 섹터 2(908)는 다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즉, DL_F1 및 DL_F2)을 통해 UE(902)와 통신하고, UE(902)에는 각각의 캐리어 그룹들(즉, 제 1 캐리어 그룹은 적어도 섹터 2(908)의 DL_F1 및 DL_F2를 포함하고, 제 2 캐리어 그룹은 적어도 섹터 1(906)의 DL_F1을 포함함)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단일 업링크 캐리어(즉, UL_F1 또는 앵커 캐리어)가 할당된다. 따라서, 도 10d의 예에서, 섹터들 1 및 2(906, 908)는 중첩(즉, DL_F1) 및 비중첩(즉, DL_F2) 캐리어들 양자를 통해 UE(902)를 지원한다. 도 10d의 예시적인 버전에서, 서빙 섹터 1(906)은 DL_F1을 지원하기 위한 1차 섹터이고, 서빙 섹터 2(908)는 DL_F1을 지원하기 위한 2차 섹터이다. 또한, 섹터 2(908)가 도 10d에서 DL_F2만을 지원하는 섹터이기 때문에, DL_F2를 지원하는 2차 섹터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섹터 2(908)는 DL_F2에 대해 '1차'이다. 도 10d를 참조하면, 섹터 1(906)에서의 다운링크 캐리어 DL_F1 및 섹터 2(908)에서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 각각은 UE(902)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별개의 HS-DSCH를 전달한다고 가정하라. 이러한 경우에, 세(3) 개의 별개의 전송 블록들은 상이한 캐리어들 또는 주파수들(즉, 섹터 1(906)에서 DL_F1 및 섹터 2(908)에서 DL_F2) 상으로 3 개의 HS-DSCH들을 통해 섹터들 1 및 2(906, 908)로부터 UE(902)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서빙 섹터 1(906) 및 2차 서빙 섹터 2(908) 각각이 F1을 지원하기 때문에, 및 섹터들 1 및 2(906, 908) 각각이 앵커 캐리어 UL_F1에 대한 활성 세트 내에 있기 때문에, 섹터들 1 및 2(906, 908) 각각은 앵커 캐리어로서 업링크 캐리어 UL_F1 상으로 전송되는 UE(902)로부터의 신호들을 모니터링 및 수신할 수 있다. In FIG. 10D, a communication system 1000d in accordance with an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of FIG. 9A is illustrated, whereby serving sector 1 906 communicates with the UE 902 via a single downlink carrier (ie, DL_F1), and serves. Sector 2 908 communicates with the UE 902 via a number of downlink carriers (ie, DL_F1 and DL_F2), each of which has groups of carriers (ie, the first carrier group is at least sector 2). 908, DL_F1 and DL_F2, and the second carrier group is assigned a single uplink carrier (i.e., UL_F1 or anchor carrier) to provide feedback for at least sector 1 906's DL_F1. Thus, in the example of FIG. 10D, sectors 1 and 2 906, 908 support UE 902 via both overlapping (ie, DL_F1) and non-overlapping (ie, DL_F2) carriers. In the example version of FIG. 10D, serving sector 1 906 is the primary sector to support DL_F1 and serving sector 2 908 is the secondary sector to support DL_F1. Also, because sector 2 908 is a sector supporting only DL_F2 in FIG. 10D, sector 2 908 is 'primary' to DL_F2 in that there are no secondary sectors supporting DL_F2. With reference to FIG. 10D, each of downlink carriers DL_F1 in sector 1 906 and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in sector 2 908 are separate HS-DSCHs that may be monitored by UE 902. Suppose you pass. In this case, three (3) separate transport blocks are sectors via three HS-DSCHs on different carriers or frequencies (ie DL_F1 in sector 1 906 and DL_F2 in sector 2 908). From 1 and 2 906, 908 to UE 902. As shown in FIG. 10D, since each of the primary serving sector 1 906 and the secondary serving sector 2 908 supports F1, and sectors 1 and 2 906 and 908 are each assigned to the anchor carrier UL_F1. Because of being in the active set for, each of sectors 1 and 2 906, 908 can monitor and receive signals from UE 902 sent on uplink carrier UL_F1 as an anchor carrier.

도 10e에서, 도 9b의 방법의 구현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0e)이 예시되고, 이로써 서빙 섹터 1(906)은 단일 다운링크 캐리어(즉, DL_F1)를 통해 UE(902)와 통신하고, 서빙 섹터 2(908)는 다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즉, DL_F1 및 DL_F2)을 통해 UE(902)와 통신하고, UE(902)에는 캐리어 그룹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2 개의 업링크 캐리어들(즉, UL_F1 및 UL_F2)이 할당된다. 도 10e의 예는, 도 10e가 도 10d로부터의 단일 업링크 캐리어(UL_F1) 대신에 2 개의 업링크 캐리어들(UL_F1 및 UL_F2)을 UE(902)에 제공하여, UE(902)에 대해 2 개의 별개의 캐리어 그룹들 및 활성 세트들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10d에 관련하여 상술된 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2 개의 업링크 캐리어들(UL_F1 및 UL_F2)은, 도 9b에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UL_F1 및 UL_F2로부터 선택된 정해진 앵커 캐리어를 통해 또는 별개로 2 개의 별개의 캐리어 그룹들을 UE(902)가 제어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면, 업링크 캐리어 UL_F1은 섹터 1(906) 상에서 적어도 다운링크 캐리어 DL_F1을 포함하는 제 1 캐리어 그룹과 연관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업링크 캐리어 UL_F2는 섹터 2(908) 상에서 적어도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를 포함하는 제 2 캐리어 그룹과 연관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 개의 별개의 업링크 캐리어들이 UE에 할당될지라도, 양자의 캐리어 그룹들에 대한 피드백은 상술된 바와 같이 단일 앵커 캐리어(UL_F1 또는 UL_F2)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0e의 추가적인 설명은 도 10d와의 그의 유사성으로 인해 간략히 하기 위해 생략될 것이다. In FIG. 10E, a communication system 1000e in accordance with an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of FIG. 9B is illustrated, whereby serving sector 1 906 communicates with the UE 902 via a single downlink carrier (ie, DL_F1), and serves. Sector 2 908 communicates with UE 902 via a number of downlink carriers (ie, DL_F1 and DL_F2), and two uplink carriers (ie, to provide UE 902 with feedback for a carrier group). , UL_F1 and UL_F2) are allocated. In the example of FIG. 10E, FIG. 10E provides two uplink carriers UL_F1 and UL_F2 to the UE 902 instead of a single uplink carrier UL_F1 from FIG. 10D, thereby providing two for the UE 902. Similar to the exampl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10D, except that it generates separate carrier groups and active sets. Thus, the two uplink carriers UL_F1 and UL_F2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E 902 to separate two separate carrier groups via a separate anchor carrier selected from UL_F1 and UL_F2 or separately,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9B. Allow to control For example, uplink carrier UL_F1 may provide feedback associated with a first carrier group that includes at least downlink carrier DL_F1 on sector 1 906, and uplink carrier UL_F2 may at least downlink on sector 2 908. It may provide feedback associated with a second carrier group that includes carriers DL_F1 and DL_F2. Alternatively, even if two separate uplink carriers are assigned to the UE, feedback for both carrier groups may be provided via a single anchor carrier UL_F1 or UL_F2 as described above. Additional description of FIG. 10E will be omitted for simplicity due to its similarity to FIG. 10D.

도 10f에서, 도 9a의 방법의 구현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0f)이 예시되고, 이로써 서빙 섹터 1(906)은 다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즉, DL_F1 및 DL_F2)을 통해 UE(902)와 통신하고, 서빙 섹터 2(908)는 또한 동일한 다운링크 캐리어들(즉, DL_F1 및 DL_F2)을 통해 UE(902)와 통신하고, UE(902)에는 캐리어 그룹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단일 업링크 캐리어(즉, UL_F1)가 할당된다. 따라서, 도 10f의 예에서, 섹터들 1 및 2(906, 908)는 동일한 중첩 캐리어들(즉, DL_F1 및 DL_F2)을 통해 UE(902)를 지원한다. 도 10f의 예시적인 버전에서, 서빙 섹터 1(906)은 DL_F1에 대한 1차 섹터 및 DL_F2에 대한 2차 섹터이고, 서빙 섹터 2(908)는 DL_F2에 대한 1차 섹터 및 DL_F1에 대한 2차 섹터이다. 도 10f를 참조하면, 섹터 1(906)에서의 다운링크 캐리어 DL_F1 및 DL_F2 및 섹터 2(908)에서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 각각은 UE(902)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별개의 HS-DSCH를 전달한다고 가정하라. 이러한 경우에, 네(4) 개의 별개의 전송 블록들은 상이한 캐리어들 또는 주파수들(즉, 섹터 1(906)에서 DL_F1 및 DL_F2 및 또한 섹터 2(908)에서 DL_F1 및 DL_F2) 상으로 4 개의 HS-DSCH들을 통해 섹터들 1 및 2(906, 908)로부터 UE(902)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터들 1 및 2(906, 908) 각각이 F1을 지원하기 때문에, 및 섹터들 1 및 2(906, 908) 각각이 앵커 캐리어 UL_F1에 대한 활성 세트 내에 있기 때문에, 섹터들 1 및 2(906, 908) 각각은 업링크 앵커 캐리어(UL_F1 또는 UL_F2일 수 있음) 상으로 전송되는 UE(902)로부터의 신호들을 모니터링 및 수신할 수 있다. In FIG. 10F, a communication system 1000f in accordance with an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of FIG. 9A is illustrated, whereby serving sector 1 906 communicates with the UE 902 over multiple downlink carriers (ie, DL_F1 and DL_F2). In communication, serving sector 2 908 also communicates with UE 902 on the same downlink carriers (ie, DL_F1 and DL_F2), and provides a single uplink carrier to UE 902 to provide feedback for the carrier group. (Ie, UL_F1) is assigned. Thus, in the example of FIG. 10F, sectors 1 and 2 906, 908 support UE 902 on the same overlapping carriers (ie, DL_F1 and DL_F2). In the example version of FIG. 10F, serving sector 1 906 is the primary sector for DL_F1 and secondary sector for DL_F2, and serving sector 2 908 is the primary sector for DL_F2 and the secondary sector for DL_F1. to be. Referring to FIG. 10F, each of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in sector 1 906 and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in sector 2 908 are separate HS- that may be monitored by UE 902. Assume that it carries a DSCH. In this case, four (4) separate transport blocks are four HS- onto different carriers or frequencies (ie DL_F1 and DL_F2 in sector 1 906 and also DL_F1 and DL_F2 in sector 2 908). Sectors 1 and 2 906 and 908 may be delivered to the UE 902 via DSCHs. As shown in FIG. 10F, since each of sectors 1 and 2 906, 908 supports F1, and because each of sectors 1 and 2 906, 908 are in the active set for anchor carrier UL_F1, Each of sectors 1 and 2 906 and 908 may monitor and receive signals from UE 902 transmitted on an uplink anchor carrier (which may be UL_F1 or UL_F2).

도 10g에서, 도 9b의 방법의 구현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0e)이 예시되고, 이로써 서빙 섹터 1(906)은 다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즉, DL_F1 및 DL_F1)을 통해 UE(902)와 통신하고, 서빙 섹터 2(908)는 또한 다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즉, DL_F1 및 DL_F2)을 통해 UE(902)와 통신하고, UE(902)에는 캐리어 그룹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2 개의 업링크 캐리어들(즉, UL_F1 및 UL_F2)이 할당된다. 도 10g의 예는, 도 10f가 도 10F로부터의 단일 업링크 캐리어(UL_F1) 대신에 2 개의 업링크 캐리어들(UL_F1 및 UL_F2)을 UE(902)에 제공하여, UE(902)에 대해 2 개의 별개의 캐리어 그룹들 및 활성 세트들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10f에 관련하여 상술된 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2 개의 업링크 캐리어들(UL_F1 및 UL_F2)은, 도 9b에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별개로 2 개의 별개의 캐리어 그룹들을 UE(902)가 제어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면, 업링크 캐리어 UL_F1은 섹터 1(906) 상에서 적어도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를 포함하는 제 1 캐리어 그룹과 연관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업링크 캐리어 UL_F2는 섹터 2(908) 상에서 적어도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를 포함하는 제 2 캐리어 그룹과 연관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양자의 캐리어 그룹들에 대한 피드백은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단일 앵커 캐리어(UL_F1 또는 UL_F2)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0g의 추가적인 설명은 도 10f와의 그의 유사성으로 인해 간략히 하기 위해 생략될 것이다. In FIG. 10G, a communication system 1000e in accordance with an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of FIG. 9B is illustrated, whereby serving sector 1 906 communicates with UE 902 over a number of downlink carriers (ie, DL_F1 and DL_F1). Communicating, serving sector 2 908 also communicates with UE 902 via a number of downlink carriers (ie, DL_F1 and DL_F2), and provides two ups to provide feedback for the carrier group to UE 902. Link carriers (ie, UL_F1 and UL_F2) are allocated. The example of FIG. 10G illustrates that FIG. 10F provides two uplink carriers UL_F1 and UL_F2 to the UE 902 instead of a single uplink carrier UL_F1 from FIG. 10F, thereby providing two for the UE 902. It is similar to the exampl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10F except that it generates separate carrier groups and active sets. Thus, the two uplink carriers UL_F1 and UL_F2 allow the UE 902 to control two separate carrier groups separately,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9B. For example, uplink carrier UL_F1 may provide feedback associated with a first carrier group comprising at least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on sector 1 906, and uplink carrier UL_F2 may be on sector 2 908. Provide feedback associated with a second carrier group that includes at least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Alternatively, feedback for both carrier groups may be provided via a single anchor carrier UL_F1 or UL_F2 as discussed above. Additional description of FIG. 10G will be omitted for simplicity due to its similarity to FIG. 10F.

본 발명의 혁신의 상술된 양상들이 2 개의 섹터들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2 개의 별개의 캐리어들에 관련된 것이지만, 본 발명의 혁신의 다른 양상들이 (i) 2 개보다 많은 캐리어 주파수들(F3, F4 등) 및/또는 UE(902)를 동시에 지원하는 2 개보다 많은 섹터들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가 3 개의 상이한 섹터들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핸드오버 구역에 UE(902)가 진입하면, UE(902)는 3 개의 섹터들 각각에서 다운링크 캐리어들과 연관된 캐리어 그룹(들)으로 잠재적으로 동조할 수 있다. 또한, UE(902)에 할당된 다운링크 캐리어들(DL_F1, DL_F2 등)은 도 10a에서와 같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인접한 캐리어들이거나(이로써 DL_F1이 섹터들 1 및 2(906, 908) 등으로부터 지원됨) 및/또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비-인접한 캐리어들일 수 있다. While the above-mentioned aspects of the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two separate carriers that can be supported by two sectors, other aspects of the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 more than two carrier frequencies F3, F4, etc.) and / or more than two sectors simultaneously supporting the UE 902. For example, if the UE 902 enters a handover area where service may be provided from three different sectors, the UE 902 may be in the carrier group (s) associated with the downlink carriers in each of the three sectors. Can potentially be synchronized. In addition, downlink carriers (DL_F1, DL_F2, etc.) assigned to the UE 902 are adjacent carriers in the same frequency band as in FIG. 10A (thus DL_F1 is from sectors 1 and 2 906, 908, etc.). Supported) and / or non-contiguous carriers in different frequency bands.

예를 들면, 2 개의 서빙 섹터들 1 및 2(906, 908)에 의해 각각 지원되는 두(2) 개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라. 이러한 경우에, 섹터 1(906)은 DL_F1에 대해 '1차' 서빙 셀일 수 있고, DL_F2에 대해 2차 서빙 셀일 수 있고, 섹터 2(908)는 DL_F2에 대해 '1차' 서빙 셀일 수 있고, DL_F1에 대해 2차 서빙 셀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섹터들(1 내지 4) 사이에서 분배된 두(2) 개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DL_F1 및 DL_F2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라. 이러한 경우에, 섹터 1(906)은 DL_F1에 대해 1차 서빙 셀일 수 있고, 섹터 2(908)는 DL_F1에 대해 2차 서빙 셀일 수 있고, 섹터 3은 DL_F2에 대해 1차 서빙 셀일 수 있고, 섹터 4는 DL_F2에 대해 2차 서빙 셀일 수 있다. For example, assume that there are two (2)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supported by two serving sectors 1 and 2 906, 908, respectively. In this case, sector 1 906 may be a 'primary' serving cell for DL_F1, a secondary serving cell for DL_F2, sector 2 908 may be a 'primary' serving cell for DL_F2, It may be a secondary serving cell for DL_F1. In another example, assume that there are two (2) downlink carriers DL_F1 and DL_F2 distributed between the sectors 1-4. In this case, sector 1 906 may be the primary serving cell for DL_F1, sector 2 908 may be the secondary serving cell for DL_F1, sector 3 may be the primary serving cell for DL_F2, and sector 4 may be a secondary serving cell for DL_F2.

또한, 위의 예시적인 버전들의 설명에서 명시적으로 논의되지 않았지만, HS-DPCCH 전력 오프셋이 다수의 셀들에서 디코딩 가능하도록 부스팅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업링크 파일럿 SINR 세트 포인트가 또한 부스팅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부스팅의 양은, 캐리어 그룹이 적절히 선택된다면 비교적 소량일 수 있다. Also, although not explicitly discus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xample versions abov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HS-DPCCH power offset may need to be boosted to be decodable in multiple cells. Similarly, uplink pilot SINR set points may also need to be boosted. The amount of boosting may be relatively small if the carrier group is properly selected.

또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몇몇의 개선책들이 상위-계층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E(902)는 다수의 MAC-ehs 엔티티들을 설정할 수 있고, 하나의 MAC-ehs 엔티티는 각각의 HS 서빙 셀에 대한 것이다. 다수의 MAC-ehs는 동일 위치에 있거나 동일 위치에 있지 않거나, 하나 또는 다수의 주파수들 상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MAC-ehs 흐름들 사이의 순서가 바뀐 전달이 발생할 수 있다. MAC-ehs 흐름들 사이의 순서가 바뀐 전달 이슈는 RLC 계층 수정들 및/또는 PDCP-기반 접근법을 통해 감소될 수 있다. In addition, several improvements can be implemented on higher-layers to improve performance. For example, the UE 902 can set up multiple MAC-ehs entities, one MAC-ehs entity for each HS serving cell. Multiple MAC-ehs may be at the same location or not at the same location, or may be on one or multiple frequencies. In this case, out of order transfers between MAC-ehs flows may occur. Out of order delivery issues between MAC-ehs flows may be reduced through RLC layer modifications and / or PDCP-based approaches.

도 11a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을 위한, 및 더욱 상세하게,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1100)이 예시된다. 예를 들면, 시스템(110)은 사용자 장비(도 1)와 같이, OTA(Over-The-Air)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장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1100)이 기능적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되고, 기능적 블록들은 컴퓨팅 플랫폼,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적 블록들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시스템(1100)은 결합하여 작동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 그룹(1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논리 그룹(1102)은, 사용자 장비에서,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제 1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논리 그룹(1102)은, 사용자 장비에서,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양상에서, 논리 그룹(1102)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 채널 피드백을 전송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08)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1100)은 전기 컴포넌트들(1104-1108)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에 대해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전기 컴포넌트들(1104-1108) 중 하나 이상이 메모리(1120) 내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Referring to FIG. 11A, a system 1100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is illustrated. For example, system 110 may reside at least partially within user equipment capable of over-the-air communication, such as user equipment (FIG. 1). It is to be appreciated that system 1100 is represented as including functional blocks, and that the functional blocks can be functional blocks that represent functions implemented by a computing platform, processor,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eg, firmware). do. System 1100 includes a logical grouping 1102 of electrical components that can act in conjunction. For example, logical grouping 1102 can include an electrical component 1104 for receiving data from a first serving cell on a first downlink carrier, at user equipment. In addition, the logical grouping 1102 may include an electrical component 1106 at the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ata on a second downlink carrier from a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Also, in an exemplary aspect, the logical grouping 1102 may, by user equipment, provide an electrical component 1108 for transmitting channel feedback to at least one of a first serving cell and a second serving cell onto a first uplink carrier. It may include. Additionally, system 1100 can include a memory 1120 that retains instructions for executing functions associated with electrical components 1104-1108. While shown as being external to memory 1120,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e or more of electrical components 1104-1108 can exist within memory 1120.

도 11b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을 위한, 및 더욱 상세하게,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의 HSDPA에 대한 시스템(1150)이 예시된다. 예를 들면, 시스템(1150)은 RAN(102)(도 1)과 같은, 무선 액세스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1150)이 기능적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되고, 기능적 블록들은 컴퓨팅 플랫폼,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적 블록들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시스템(1150)은 결합하여 작동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 그룹(1152)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논리 그룹(1152)은, RNC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부분들을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에 할당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5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논리 그룹(1152)은, 제 1 서빙 셀에 의해,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논리 그룹(1152)은,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에 의해,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58)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부가예에서, 논리 그룹(1152)은, RNC에 의해,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사용자 장비로부터 채널 피드백을 수신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60)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1150)은 전기 컴포넌트들(1154-1160)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17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70)에 대해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전기 컴포넌트들(1154-1160) 중 하나 이상이 메모리(1170) 내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Referring to FIG. 11B, a system 1150 is illustra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 more detail,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For example, system 1150 can reside at least partially within a network device for wireless access, such as RAN 102 (FIG. 1). It is to be appreciated that system 1150 is represented as including functional blocks, and that the functional blocks can be functional blocks that represent functions implemented by a computing platform, processor,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eg, firmware). do. System 1150 includes a logical grouping 1152 of electrical components that can act in conjunction. For example, the logical group 1152 may include an electrical component 1154 for assigning, by the RNC, portions of data for transmission to user equipment to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In addition, the logical group 1152 may include an electrical component 1156 for transmitting, by the first serving cell,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downlink carrier. In addition, the logical group 1152 may include an electrical component 1158 for transmitting data to user equipment on a second downlink carrier by a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In an exemplary additional example, the logical group 1152 is configured by an RNC to provide an electrical component for receiving channel feedback from user equipment on a first uplink carrier via at least one of a first serving cell and a second serving cell. 1160). Additionally, system 1150 can include a memory 1170 that retains instructions for executing functions associated with electrical components 1154-1160. While shown as being external to memory 1170,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ne or more of electrical components 1154-1160 can exist within memory 1170.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르면, 일 엘리먼트 또는 일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디바이스(PLD)들, 상태 머신들, 게이팅된 논리,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발명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적절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 또는 다른 것들로 지칭되든지 아니든지,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객체들, 실행가능한 것들, 실행 스레드들, 절차들, 기능들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예로서,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스마트 카드,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밍 가능 ROM(PROM), 소거 가능한 PROM(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PROM(EEPROM), 레지스터, 제거 가능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고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또한, 예로서, 반송파, 송신 라인,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고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세싱 시스템 내에 상주하거나, 프로세싱 시스템 외부에 있거나,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에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들 내에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당업자들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반적 시스템에 부과된 전반적 설계 제약들에 의존하여, 본 발명 전체에 걸쳐 제시되는 설명된 기능을 최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According to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ment or any portion of an element or any combination of elements may be implemented with a “processing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Examples of processors include microprocessors, microcontroller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state machines, gated logic, discrete hardware circuitry. And other suitable hardware configured to perform the various functions described throughout the invention. One or more processors in the processing system may execute the software. Software, whether referred to as software, firmware, middleware, microcode,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or others, instructions, instruction sets, code, code segments, program code, programs, subprograms, software modules Should be construed broadly to mean applications, software applications, software packages, routines, subroutines, objects, executables, threads of execution, procedures, functions, and the like. The software may reside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for example, magnetic storage devices (eg, hard disks, floppy disks, magnetic strips), optical discs (eg, compact discs (CDs), digital versatile discs (DVDs)). , Smart card, flash memory device (e.g. card, stick, key driv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programmable ROM (PROM), erasable P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M (EEPROM), registers, removable disks, and any other suitable medium for storing software and / or instructions that can be accessed and read by a comput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also include, for example, a carrier wave, a transmission line, and any other suitable medium for transmitting software and / or instructions that can be accessed and read by a comput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reside within a processing system, external to the processing system, or distributed across a number of entities including the processing syste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embodied in a computer-program product. By way of example, the computer-program product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the packaging material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how best to implement the described functionality presented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specific application and the overall design constraints imposed on the overall system.

개시된 방법들 내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의 예시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방법들 내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재배열도리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시하고, 본원에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으로 제한되도록 의미되지 않는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the methods disclosed is an illustration of exemplary processes. Based upon design preferenc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the methods may be rearranged. The accompanying method claims present elements of the various steps in an exemplary order, and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presented, unless stated otherwise herein.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이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원에 제시된 양상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들의 언어에 일치하는 최광의 범주를 따르는 것이며, 단수형 엘리먼트에 대한 참조는, 특정하여 그렇게 언급되지 않으면 "하나 및 오직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특정하여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용어 "일부"는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지칭한다.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문구는 단일한 멤버들을 포함하는 그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및 a, b 및 c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거나 추후 공지되는, 본 개시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기능적 및 구조적 균등물들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명시적으로 포함되고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어떤 것도, 이러한 개시가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인용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공중에 전용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엘리먼트가 "위한 수단" 문구를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언급되거나,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 엘리먼트가 "위한 단계" 문구를 이용하여 언급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35 U.S.C.§112, 6번째 문단의 조문 하에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previous description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various aspects described herei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aspec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aspects. Accordingly, the claim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aspects set forth herein, but are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language of the claims, and reference to a singular element is "one and only one" unless specifically stated so. It is not intended to mean, but rather to mean "one or more".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term "part" refers to one or more. The phrase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the list of items" refers to any combination of the items including a single member. By way of example, “at least one of a, b or c” means a; b; c; a and b; a and c; b and c; And a, b, and c. All functional and structural equivalents to elements of the various aspects described throughout this disclosu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later known, are intended to be expressly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nd to be incorporated by the claims. Moreover, nothing disclosed herein is intended to be dedicated to the public regardless of whether such disclosure is explicitly recited in the claims. Element is expressly referred to using the phrase "means for ", or, in the case of a method claim, unless the element is referred to using the phrase" for step " It should not be construed under the provision.

Claims (15)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사용자 장비에서, 제 1 서빙 셀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 상기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제 2 서빙 셀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At user equipment, means for receiving data from a first serving cell onto a first downlink carrier; And
Means for receiving, at the user equipment, data on a second downlink carrier from a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 상기 제 1 서빙 셀로부터 상기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기;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 상기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상기 제 2 서빙 셀로부터 상기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t the user equipment, a first receiver for receiving data from the first serving cell onto the first downlink carrier; And
And at the user equipment, a second receiver for receiving data on the second downlink carrier from the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of the first serving cell,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빙 셀 및 상기 제 2 서빙 셀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한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활성 세트로부터 RNC(Radio Network Controller)에 의해 선택되는,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are selected by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from an active set based on a measurement report by the user equipment,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상기 제 1 서빙 셀 및 상기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기 위한 제 1 전송기를 더 포함하는,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by the user equipment, a first transmitter for sending channel feedback o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on a first uplink carrier,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 1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해 상기 제 1 서빙 셀에 의해 전송되는 제 1 HS-SCCH(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2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 2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해 상기 제 2 서빙 셀에 의해 전송되는 제 2 HS-SCCH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HS-SCCH 및 상기 제 2 HS-SCCH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HS-DPCCH(High Speed Downlink Physical Control Channel)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피드백을 상기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의 하나의 코드 워드로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를 더 포함하는,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receiver also monitors a first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 (HS-SCCH) transmitted by the first serving cell for the first downlink carrier,
The second receiver also monitors a second HS-SCCH transmitted by the second serving cell for the second downlink carrier,
The apparatus is configured to generate a channel feedback signal comprising one channel on the first uplink carrier including channel feedback including High Speed Downlink Physical Control Channel (HS-DPCCH) information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first HS-SCCH and the second HS-SCCH. Further comprising an encoder for encoding into a word,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 2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상기 제 1 서빙 셀 및 상기 제 2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기 위한 제 2 전송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업링크 캐리어는 앵커 캐리어(anchor carrier)를 포함하는,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by the user equipment, a second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data onto a second uplink carrier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Wherein the first uplink carrier comprises an anchor carrier,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기 및 상기 제 2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는 또한 제 1 캐리어 그룹에 대한 상기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및 상기 제 1 업링크 캐리어의 제 1 할당을 수신하고, 제 2 캐리어 그룹에 대한 상기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및 제 2 업링크 캐리어의 제 2 할당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전송기는 또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 1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상기 제 1 서빙 셀로 전송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 2 업링크 캐리어 상으로 채널 피드백을 상기 제 2 서빙 셀로 전송하기 위한 제 2 전송기를 더 포함하는,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one of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also receives a first assignment of the first downlink carrier and the first uplink carrier for a first carrier group, and the second for the second carrier group. Receive a second allocation of the downlink carrier and the second uplink carrier,
The first transmitter also sends, by the user equipment, channel feedback on the first uplink carrier to the first serving cell,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econd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by the user equipment, channel feedback on a second uplink carrier to the second serving cell,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기 및 상기 제 2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는 또한 선택된 캐리어 그룹에 할당된 각각의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한 HS-SCCH(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캐리어 그룹에 대한 채널 피드백을 결정하는,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also determines a channel feedback for the selected carrier group by monitoring a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 (HS-SCCH) for each downlink carrier assigned to the selected carrier group. doing,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기 및 상기 제 2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는 또한, 채널 품질이 상기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캐리어 그룹에 대한 서빙 셀들 사이의 이동성(mobility)의 트리거링을 수신하는,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t least one of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also has mobility between serving cells for the selected carrier group in response to channel quality being below a threshold of either the first downlink carrier or the second downlink carrier. receiving triggering of mobility,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기 및 상기 제 2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는 또한, 채널 품질이 앵커 캐리어로서 지정되는 상기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중 선택된 하나의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서빙 셀들 사이의 이동성의 트리거링을 수신하는,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one of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also has mobility between serving cells in response to the channel quality being below a threshold of a selected one of the first downlink carrier and the second downlink carrier designated as anchor carriers. To receive the triggering of,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기 및 상기 제 2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는 또한, 이웃 셀들 및 섹터들의 활성 세트의 업데이팅을 촉진하기 위해 새로운 셀에 의해 전송되는 제 3 다운링크 캐리어의 압축 모드를 사용하여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t least one of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also measures channel quality using a compression mode of a third downlink carrier transmitted by a new cell to facilitate updating of an active set of neighboring cells and sectors. doing,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기 및 상기 제 2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는 또한, 채널 품질이 상기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서빙 셀들 사이의 이동성의 트리거링을 수신하는,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one of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is further configured to receive triggering of mobility between serving cells in response to the channel quality being below a threshold of either one of the first downlink carrier and the second downlink carrier. ,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빙 셀은 제 1 서빙 섹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빙 셀은 제 2 서빙 섹터를 포함하는,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erving cell comprises a first serving sector and the second serving cell comprises a second serving sector,
A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HSDP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로서,
RNC(Radio Network Controller)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부분들을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에 할당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서빙 셀에 의해,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상기 제 2 서빙 셀에 의해,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to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Means for assigning, by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portions of data for transmission to user equipment to a first serving cell and a second serving cell;
Means for transmitting, by the first serving cell,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a first downlink carrier; And
Means for transmitting, by the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of the first serving cell,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a second downlink carrier;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to an HSDPA.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부분들을 상기 제 1 서빙 셀 및 상기 제 2 서빙 셀에 할당하기 위한 상기 RNC;
상기 제 1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 1 서빙 셀;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 1 서빙 셀로부터 독립적인 상기 제 2 서빙 셀을 더 포함하는,
2 개의 독립적인 셀들 또는 섹터들로부터 HSDPA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RNC for allocating portions of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user equipment to the first serving cell and the second serving cell;
The first serving cell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first downlink carrier; And
The second serving cell independent from the first serving cell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user equipment on the second downlink carrier,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from two independent cells or sectors to an HSDPA.
KR1020137012313A 2011-10-10 2011-10-25 Communicating between user equipment(ue) and independent serving se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47544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69,721 US8824307B2 (en) 2010-10-13 2011-10-10 Communicating between user equipment (UE) and independent serving se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13/269,721 2011-10-10
PCT/US2011/057737 WO2012051631A1 (en) 2010-10-13 2011-10-25 Communicating between user equipment (ue) and independent serving se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884A true KR20130116884A (en) 2013-10-24
KR101475448B1 KR101475448B1 (en) 2014-12-22

Family

ID=4896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313A KR101475448B1 (en) 2011-10-10 2011-10-25 Communicating between user equipment(ue) and independent serving se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74709B2 (en)
KR (1) KR101475448B1 (en)
CN (1) CN10326263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7782B2 (en) * 2012-06-18 2016-07-27 シャープ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CN103703821B (en) * 2013-09-02 2017-01-25 华为技术有限公司 Sector switching method, apparatus and equipment
US10225757B2 (en) * 2014-05-28 2019-03-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nabling use of un-licensed frequency band
CN107294684B (en) * 2016-04-01 2021-07-09 夏普株式会社 Method and base station for configuring non-anchor physical resource block,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of non-anchor physical resource block and user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7773B (en) * 1998-12-11 2001-09-28 Nokia Mobile Phones Ltd Set handover timing
US7961700B2 (en) * 2005-04-28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rrier operation in data transmission systems
US7515565B2 (en) * 2005-05-09 2009-04-07 Kyocera Corporation Multiple sour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RU2541877C2 (en) * 2005-10-07 2015-02-20 Интердиджитал Текнолоджи Корпорейшн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for supporting high-speed downlink and uplink
CN101247176A (en) * 2007-02-12 2008-08-20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improving high-speed downlink operation in cell_fach stat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JP2011182458A (en) * 2011-05-19 2011-09-15 Ntt Docomo Inc Radio access network device, mobile station and handover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62633A (en) 2013-08-21
JP2013543334A (en) 2013-11-28
JP5774709B2 (en) 2015-09-09
KR101475448B1 (en) 2014-12-22
CN103262633B (en)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4307B2 (en) Communicating between user equipment (UE) and independent serving se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9645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load balancing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577468B2 (en) Dynamic switching between DC-HSDPA and SFDC-HSDPA
JP57184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ell uplink interference control
KR1015069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frequency dual cell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JP6884127B2 (en) Equipment and methods for enhanced mobile power management
US91377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obility events in a dual-frequency dual-cel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160067883A (en) Enhanced system information decoding
JP64242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 uplink serving cell and a downlink serving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US873721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network configuration of user equipment communication modes in multiflow systems
EP28807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cqi and harq feedback in multi-flow communication
KR201501288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transmission of reconfiguration messages
KR201500838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nfiguring for a serving cell change to neighbor cells
KR201600488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uplink performance at a user equipment
KR201401283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fallback in enhanced cell forward access channel dedicated channel
KR201600237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user equipment capability reporting based on data activity
US913769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inuous inter-frequency measurement reconfigurations of DC-HSUPA UE
KR20170038805A (en) Techniques for optimizing transmission power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475448B1 (en) Communicating between user equipment(ue) and independent serving se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1600139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application signaling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