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592A -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592A
KR20130116592A KR1020120039119A KR20120039119A KR20130116592A KR 20130116592 A KR20130116592 A KR 20130116592A KR 1020120039119 A KR1020120039119 A KR 1020120039119A KR 20120039119 A KR20120039119 A KR 20120039119A KR 20130116592 A KR20130116592 A KR 20130116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ata
identifier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3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6592A/ko
Publication of KR20130116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PMD(One Person Multi Device) 서비스 사용자를 착신자로 하는 음성 전화, 영상 전화, SMS(Short Message Service), 채팅, 파일 전송 등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데이터가 발생하면, 해당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사용자의 멀티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 푸시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은, 제1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해,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각각 할당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로부터 푸시 서버로 상기 할당된 기기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를 착신지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발생 시, 상기 푸시 서버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가진 각 디바이스로 상기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Communication Data Push System and Method for OPMD Service}
본 발명은 OPMD(One Person Multi Device) 서비스 사용자를 착신자로 하는 음성 전화, 영상 전화, SMS(Short Message Service), 채팅, 파일 전송 등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데이터가 발생하면, 해당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사용자의 멀티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 푸시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자는 피처 폰 또는 스마트 폰, 테블릿 PC, 노트북 PC와 같은 다수의 단말 장치를 소지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로써, 이와 같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주문형 콘텐츠나 다양한 종류의 앱(App) 등 대량의 정보를 전송 또는 다운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고, 이동하는 차량 안에서도 교통 정보, 디지털 방송이나 위성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언제 어디서나 휴대폰을 이용하여 메일 읽기, 날씨나 은행 정보 등 간단한 콘텐츠를 사용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집에 머무는 동안에도 디지털 TV를 이용하여 방송뿐만 아니라 여러 다양한 인터넷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서비스의 활성화와 스마트 폰, PAD 등의 등장으로 한 명의 사용자 고객이 여러 디바이스(Device)(또는 단말 장치라 칭함)를 사용하는 OPMD(One Person Multi Device) 서비스가 제안된 바 있다.
이렇게 한 명의 사용자가 다양한 디바이스를 사용할 경우, 풀(Full) 서비스 방식의 인터넷 검색 서비스 등은 상관없으나, 푸시(Push) 방식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예를 들어, 음성전화, 영상전화, SMS, 채팅, 파일 전송 등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경우에는 사용자 자신이 어느 디바이스를 사용하든지 상관없이 언제든지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하는데, 도 1과 같은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하나의 디바이스에만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전달이 가능하다.
도 1은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단말에 내장된 푸시 에이전트(Push Agent)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상호 간에 푸시 서버로부터 할당된 특정 키(key) 값(ex 0001)을 공유하고(S11),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키 값 0001을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올리고(S12), 푸시 에이전트도 푸시 서버에 특정 키 0001을 올린다(S13). 타 단말 01011112222에서 예를 들어 전화번호 01012345678을 착신자로 하는 채팅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달하면(S14),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는 해당 착신자의 키 값 0001을 찾아서 푸시 서버로 전달하고(S15), 푸시 서버에서는 해당 키 값 0001을 가진 단말로 해당 채팅 메시지를 푸시 방식으로 전달하며(S16), 해당 단말의 푸시 에이전트가 해당 채팅 메시지를 받아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S17).
전술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채팅 메시지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하나의 디바이스에만 전달이 가능한 단점이 있고, 단말에서 키 값을 관리하고 해당 키 값을 각각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각각 올려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도 관리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단말이 푸시 에이전트와 연동하여 해당 키 값을 푸시 서버로 올려야 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국제 표준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국제 표준을 따르는 단말의 경우 전술한 과정을 수행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OPMD 서비스 사용자를 착신자로 하는 음성 전화, 영상 전화, SMS, 채팅, 파일 전송 등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발생 시, 해당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사용자의 멀티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는 각 디바이스의 키 값을 관리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며, 또한 국제 표준에 따르는 단말 및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은, 제1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해,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각각 할당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로부터 푸시 서버로 상기 할당된 기기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를 착신지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발생 시, 상기 푸시 서버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가진 각 디바이스로 상기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 식별자는 3GPP에 따른 PRID(Public Identity) 값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PRID 값은 상기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를 서로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는 3GPP에 따른 PUID(Private Identity) 값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PUID 값은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는 내장된 푸시 에이전트를 통해 기기 식별자를 전송하고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에서 상기 푸시 에이전트는 수신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내장된 해당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를 착신지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가진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푸시 서버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은, 제1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해,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각각 할당하는 코아망 장비;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를 착신지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발생 시, 해당 커뮤니케이션 식별자 및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푸시 서버로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할당된 기기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전달된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를 기초로 해당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가진 각 디바이스로 해당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 식별자는 3GPP에 따른 PRID(Private Identity) 값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PRID 값은 상기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를 서로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는 3GPP에 따른 PUID(Public Identity) 값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PUID 값은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는 내장된 푸시 에이전트를 통해 기기 식별자를 상기 푸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푸시 서버로부터 전송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에서 상기 푸시 에이전트는 수신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내장된 해당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제2 사용자로부터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를 착신지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발생 시,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가진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를 통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푸시 서버는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선택된 제1 사용자의 디바이스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음성 전화, 영상 전화, SMS, 채팅, 파일 전송 등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수신자가 사용하는 멀티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수신자가 어느 디바이스를 사용하더라도 원하는 디바이스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받을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는 각 디바이스의 키 값을 관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 디바이스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특정 키 값을 올리는 기존의 과정이 불필요해져 절차가 개선되며, 또한 국제 표준에 따르는 PUID 값과 PRID 값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국제 표준에 따르는 단말 및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각 사용자 디바이스에 내장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플랫폼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도 5의 착신 디바이스 선택 과정의 설명을 위한 발신 디바이스의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00), 제1 사용자의 디바이스(200), 코아망 장비(300), 푸시 서버(400), 어플리케이션 서버(500), 및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제1 사용자의 디바이스(200), 코아망 장비(300), 푸시 서버(400), 어플리케이션 서버(500), 및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600)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의 디바이스(200)는 OPMD(One Person Multi Device) 서비스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수개의 디바이스 1~N(210~2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각 디바이스 1~N(210~240)은 스마트 폰, 테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 톱 PC, IPTV 등의 기기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아망 장비(300)는, 제1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 1~N(210~2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해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각각 생성하여 할당하기 위한 것으로, IMS(IP Multimedia Subsystem) 코아망(Core Network) 장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는 국제 표준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S31.103 및 TS24.229에 따른 PUID(Public Identity) 값으로 구성될 수 있고, PUID 값은 일 예로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PUID는 IMPU(IP multimedia Public Identity)라고도 하고, 다른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값이고, 하나의 폰 이외에 다른 폰에서도 사용 가능하므로 이를 사용하여 원넘버 다폰(One Number Multi Phone)으로서의 OPMD 서비스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IMPI(PRID)에 여러 개의 IMPU(PUID)가 사용 가능하므로 투넘버 서비스 류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기 식별자는 국제 표준 표준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S31.103 및 TS24.229에 따른 PRID(Private Identity) 값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PRID 값은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를 서로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RID는 IMPI(IP multimedia Private Identity)라고도 하고, 네트워크에서 기기별로 할당되는 유일한 식별값(Unique permanently allocate global identity)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제 표준 상 단말에서는 PRID와 PUID가 존재한다. PUID는 다른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값으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01080801234와 같은 자신의 휴대폰 전화 번호일 수 있다. PRID는 코아망 장비와 같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서 할당된 유일한 값으로 기기별로 사용할 수 있는 값이며,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200)에 대하여 디바이스 1(210)에 01080801234_0을, 디바이스 2에 01080801234_1을, 디바이스 3에 01080801234_2를, 디바이스 N에 01080801234_N을 등과 같은 기기 식별자로서의 PRID 값을 할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기 식별자로서의 PRID 값은 전반부에 '01080801234'와 같이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로서의 PUID 값과 동일한 값을 포함하고 후반부에 '0', '1', '2', 'N' 등과 같이 각 디바이스 1~N(210~240)을 서로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버(Push Server)(400)는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로 1~N(210~240)부터 적어도 1회 이상 전송된 각 기기 식별자를 수신하여 해당 디바이스의 종류나 연결 상태 등을 인지할 수 있고, 또한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0)로부터 제1 사용자 디바이스(200)로의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로부터 전달된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 01080801234를 기초로 해당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 즉, 01080801234_0, 01080801234_1, 및 01080801234_2, 01080801234_N를 가진 각 디바이스 1~N(210~240)로 해당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푸시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푸시 서버(400)로의 기기 실별자의 전송은 주기적, 간헐적으로, 또는 전원 온과 같은 특정 이벤트의 발생 시에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600)로부터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 즉, 전화번호 01080801234를 착신지로 하는 특정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발생 시, 해당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발생된 해당 커뮤니케이션 식별자 및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푸시 서버(400)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는 음성 전화, 영상 전화, SMS, 채팅, 파일 전송 등의 푸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각종 데이터, 예를 들어 채팅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0)로부터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를 착신지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발생 시,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가진 제1 사용자의 다수의 디바이스 1~N(210~240) 중에서 푸시 서버(400)를 통해 인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사용자의 디바이스(600)를 통해 도 6과 같이 표시하여 그 표시된 디바이스 중 제2 사용자가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이 경우 푸시 서버(400)는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600)로부터 선택된 제1 사용자의 해당 디바이스(즉, 디바이스 1~N 중 적어도 하나)로 해당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각 사용자 디바이스 1~N(210~240)에 내장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플랫폼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에이전트(Push Agent)(201)와 커뮤니케니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Communication Service Application)(20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 1~N(210~240)에 내장된 푸시 에이전트(201)는 해당 디바이스의 기기 식별자를 푸시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고, 푸시 서버(400)로부터 푸시 방식으로 전송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푸시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그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해당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푸시 에이전트(201)로부터 받은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의 흐름도로, 도 2의 시스템에 적용되므로 그 시스템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홈 네트워크의 코아망 장비(300)에서 제1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 1~N(200, 210~2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해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각각 생성하여 할당하는데, 기기 식별자는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를 서로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PRID 값으로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200)에서 01080801234의 전화 번호(이를 커뮤니케이션 식별자 또는 PUID 값이라 칭함)를 가진 스마트 폰으로서의 디바이스 1(210)에 01080801234_0을, 테블릿 PC(또는 패드라 칭함)로서의 디바이스 2에 01080801234_1을, 데스크 톱 PC로서의 디바이스 3에 01080801234_2를, 또 다른 디바이스 N에 01080801234_N을 등과 같이 기기 식별자로서의 PRID 값을 생성하여 할당할 수 있다(S401, S402).
다음,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 1~N(210~240)에 내장된 푸시 에이전트(201)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 단계 S402에서 할당된 기기 식별자로서의 PRID 값을 상호 공유하고,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 1~N(210~240)는 푸시 에이전트(201)를 통해 해당 기기 식별자를 푸시 서버(400)로 적어도 1회 이상 전송하고, 푸시 서버(Push Server)(400)는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로 1~N(210~240)부터 전송된 각 기기 식별자를 수신하여 해당 디바이스 1~N(210~240)의 기종이나 연결 상태 등을 인지한다(S403).
전술한 단계 S401 내지 S403의 과정이 수행된 환경에서,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600)로부터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로서의 전화 번호 01080801234를 착신지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로서의 채팅 메시지를 발신하면(S404),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단계 S404에서 수신된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로서의 전화 번호 01080801234와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로서의 채팅 메시지를 푸시 서버(400)로 전달한다(S405).
이어, 푸시 서버(400)는 단계 S405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로부터 받은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로서의 착신 전화 번호 01080801234를 기초로 그 착신 전화 번호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 01080801234_0, 01080801234_1, 01080801234_2, 01080801234_N을 검색하고(S406), 검색된 기기 식별자들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사용자의 다수의 디바이스 1~N(200: 210~240)을 확인한 후(S407),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 1~N(200: 210~240)로 단계 S405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로부터 받은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로서의 채팅 메시지를 푸시하여 전송한다(S408).
마지막으로,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 1~N(200: 210~240)는 내장된 푸시 에이전트(201)를 통해 단계 S408에서 푸시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로서의 채팅 메시지를 수신하고, 푸시 에이전트(201)는 수신된 채팅 메시지를 내장된 해당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으로 전달하며, 해당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푸시 에이전트(201)로부터 받은 채팅 메시지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09).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의 흐름도로, 도 2의 시스템에 적용되므로 그 시스템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홈 네트워크의 코아망 장비(300)에서 제1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 1~N(200: 210~2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해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각각 생성하여 할당하는데, 기기 식별자는 커뮤니케이션 식별자 및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를 서로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PRID 값으로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200)에서 01080801234의 전화 번호(이를 커뮤니케이션 식별자 또는 PUID 값이라 칭함)를 가진 스마트 폰으로서의 디바이스 1(210)에 01080801234_0을, 테블릿 PC(또는 패드라 칭함)로서의 디바이스 2에 01080801234_1을, 데스크 톱 PC로서의 디바이스 3에 01080801234_2를, 또 다른 디바이스 N에 01080801234_N을 등과 같이 기기 식별자로서의 PRID 값을 생성하여 할당할 수 있다(S501, S502).
다음,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 1~N(200: 210~240)에 내장된 푸시 에이전트(201)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 단계 S502에서 할당된 기기 식별자로서의 PRID 값을 상호 공유하고,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 1~N(200: 210~240)는 푸시 에이전트(201)를 통해 해당 기기 식별자를 푸시 서버(400)로 적어도 1회 이상 전송하고, 푸시 서버(Push Server)(400)는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로 1~N(200: 210~240)부터 전송된 각 기기 식별자를 수신하여 해당 디바이스 1~N(200: 210~240)의 기종이나 연결 상태 등을 인지한다(S503).
전술한 단계 S501 내지 S503의 과정이 수행된 환경에서,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600)로부터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로서의 전화 번호 01080801234를 착신지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로서의 채팅 메시지를 발신하면(S504),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단계 S504에서의 채팅 메시지 발신을 인지하여 착신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0)로 제공한다(S505). 단계 S505에서는,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로서의 착신 전화 번호 01080801234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가진 제1 사용자의 다수의 디바이스 1~N(200: 210~240) 중에서 푸시 서버(400)를 통해 단계 S503에서 인식된 디바이스가 스마트 폰, 패드(PAD)(또는 테블릿 PC라 칭함), 및 데스크 톱 PC일 경우, 도 6과 같이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0)의 화면을 통해 '폰', 'PAD', 'PC'와 같이 착신 디바이스 선택 정보를 표시하여 그 표시된 디바이스 중 제2 사용자가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어, 제2 사용자로부터 예를 들어 '폰'이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0)로부터 수신된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로서의 전화 번호 01080801234, 선택된 착신 디바이스가 '폰'이라는 정보, 및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로서의 채팅 메시지를 푸시 서버(400)로 전달한다(S507).
이어, 푸시 서버(400)는 단계 S507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로부터 받은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로서의 착신 전화 번호 01080801234를 기초로 그 착신 전화 번호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 01080801234_0, 01080801234_1, 01080801234_2, 01080801234_N을 검색하고(S508), 검색된 기기 식별자들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사용자의 다수의 디바이스 1~N(200: 210~240) 중에서 제2 사용자로부터 착신 디바이스로 선택된 제1 사용자의 디바이스 1(210)을 확인한 후(S509),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 1~N(200: 210~240) 중 단계 S509에서 확인된 제1 사용자의 디바이스 1(210)에게로 단계 S507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로부터 받은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로서의 채팅 메시지를 푸시하여 전송한다(S510).
전술한 바와 같이, 01080801234 번호를 사용하는 제1 사용자가 폰, PAD, PC 모두 로그인 되어 있다면, 상대방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의 어느 디바이스로 연락을 취할 지 결정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에게로 큰 파일을 전송하고 싶을 경우에는 제1 사용자의 PC를 착신 디바이스로 선택하여 보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자가 수신자의 다양한 디바이스 중 자신이 커뮤니케이션하고 싶은 수신자의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통신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1 사용자의 다수의 디바이스 1~N(200: 210~240) 중 선택된 디바이스 1(210)은 내장된 푸시 에이전트(201)를 통해 단계 S510에서 푸시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로서의 채팅 메시지를 수신하고, 푸시 에이전트(201)는 수신된 채팅 메시지를 내장된 해당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으로 전달하며, 해당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푸시 에이전트(201)로부터 받은 채팅 메시지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51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수의 디바이스(OPMD)
210: 제1 사용자의 제1 디바이스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220: 제1 사용자의 제2 디바이스로 예를 들어 테블릿 PC
230: 제1 사용자의 제3 디바이스로 예를 들어 데스크 톱 PC나 IPTV
240: 제1 사용자의 제N 디바이스
300: 코아망 장비
400: 푸시 서버
500: 어플리케이션 서버
600: 제1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대방으로서의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

Claims (18)

  1. 제1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해,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각각 할당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로부터 푸시 서버로 상기 할당된 기기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를 착신지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발생 시, 상기 푸시 서버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가진 각 디바이스로 상기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식별자는 3GPP에 따른 PRID 값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RID 값은 상기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제1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를 서로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는 3GPP에 따른 PUID 값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UID 값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의 코아 망 장비를 통해 상기 기기 식별자를 생성하여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는 내장된 푸시 에이전트를 통해 기기 식별자를 전송하고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에서 상기 푸시 에이전트는 수신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내장된 해당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를 착신지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가진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푸시 서버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방법.
  10. 제1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해,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각각 할당하는 코아망 장비;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를 착신지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발생 시, 해당 커뮤니케이션 식별자 및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푸시 서버로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제1 사용자의 각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할당된 기기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전달된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가진 각 디바이스로 해당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푸시 서버를 포함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식별자는 3GPP에 따른 PRID 값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RID 값은 상기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제 1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디바이스를 서로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13.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는 3GPP에 따른 PUID 값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UID 값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사용자의 각 디바이스는 내장된 푸시 에이전트를 통해 기기 식별자를 상기 푸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푸시 서버로부터 전송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디바이스에서 상기 푸시 에이전트는 수신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내장된 해당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제2 사용자로부터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를 착신지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발생 시, 제1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식별자와 연계된 기기 식별자를 가진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를 통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서버는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선택된 제1 사용자의 해당 디바이스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KR1020120039119A 2012-04-16 2012-04-16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6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119A KR20130116592A (ko) 2012-04-16 2012-04-16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119A KR20130116592A (ko) 2012-04-16 2012-04-16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592A true KR20130116592A (ko) 2013-10-24

Family

ID=4963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119A KR20130116592A (ko) 2012-04-16 2012-04-16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65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1051B2 (en) Cloud service for making social connections
US8671206B2 (en) Apparatus and mechanism for dynamic assignment of survivability services to mobile devices
US20120027189A1 (en) Call to Call Center as Trigger to Capture and Record Other Geographically Relevant Data
US10771635B2 (en) Apparatus for configuring a user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a communication server and method thereof
US202301533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digital rights transfer
US20140059142A1 (en) Sending text messages to multiple devices using a joint services account
EP2974159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voice communication
JP2017531336A (ja) トランキング通信サービス処理方法、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ue、記憶媒体
US10547572B2 (en) Messaging service
US20070254637A1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Readable Medium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ession
CN107343285B (zh) 一种管理设备及设备管理方法
US2012015101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open mobile alliance
US8750837B2 (en) Voice mail alerts and access from multiple devices using a joint services account
CN104539869A (zh) 一种视频通话服务方法
US88049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virtual private network users to obtain presence status and/or location of others on demand
KR20130116592A (ko) Opmd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
EP2294780B1 (en) A method for masking data
KR102258170B1 (ko) 소프트웨어 유심을 이용한 투폰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4598774B (zh) 云手机通信方法及系统
KR100905073B1 (ko) 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508377B1 (ko) 애칭 서비스 서버 및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애칭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6576116B (zh) 用于将数据组传输给移动终端设备的方法
KR100964245B1 (ko) 데이터 서비스 접속 호의 세션 정보 요청 및 제공 방법
KR20110068625A (ko) 메시지 조회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54314A (ko) 통화 기반 실시간 참여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