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536A -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536A
KR20130116536A KR1020120038972A KR20120038972A KR20130116536A KR 20130116536 A KR20130116536 A KR 20130116536A KR 1020120038972 A KR1020120038972 A KR 1020120038972A KR 20120038972 A KR20120038972 A KR 20120038972A KR 20130116536 A KR20130116536 A KR 20130116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irectional
converter
link capacitor
energ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3566B1 (ko
Inventor
최우영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566B1/ko
Priority to PCT/KR2012/005218 priority patent/WO2013157699A1/ko
Publication of KR20130116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2Buck-boost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일 측이 DC 링크 커패시터에 연결되고 타 측이 UC와 배터리에 연결되고, UC와 양방향 DC/DC 컨버터 사이에 마련되어 UC와 DC 링크 커패시터 간의 에너지 흐름 경로를 양방향으로 제공하는 제1 양방향 스위치와 배터리와 양방향 DC/DC 컨버터 사이에 마련되어 배터리와 DC 링크 커패시터 간의 에너지 흐름 경로를 양방향으로 제공하는 제2 양방향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다양한 다수의 에너지 저장소들 간의 에너지 흐름이 단일 양방향 DC/DC 컨버터로 가능해지므로, 각각의 에너지 저장소에 대하여 별도의 양방향 직류-직류 컨버터가 필요 없게 된다.

Description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및 방법{Hybrid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에너지 저장소를 구비하고 있는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재생 에너지 변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신재생 에너지원 시스템들의 전력망 연계를 위해 전력망 연계 기준이 강화되고 있다. 특히, 5MW 이상의 해상 풍력 발전의 경우 발전 전력량이 높고, 발전량 예측이 어려워 전력망 연계 기준이 강화됨으로써 풍력전력 변환시스템(Wind power conversion system)에 별도의 에너지 저장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장치는 신재생 에너지원이 전력망이 요구하는 이상의 전력을 생산할 경우 잉여전력을 저장하고, 전력망이 요구하는 이하의 전력을 생산할 경우 부족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장치는 높은 전력 밀도(High power density)와 높은 에너지 밀도(High energy density)의 전기적 특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높은 전력 밀도를 특징하는 울트라 커패시터와 높은 에너지 밀도를 특징하는 배터리가 에너지 저장소으로서 전력변환 장치와 함께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Hybrid energy storage system)로 활용된다.
도 1은 기존의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에서 VUC는 높은 전력밀도를 특징으로 하는 울트라 커패시터 전압이고, VBT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압을 나타낸다. VDC는 DC 링크 커패시터인 CDC의 전압으로서 VUC와 VBT 보다 항상 높은 전압으로 유지된다.
SA1, DA1, SA2, DA2LA에 의해 구성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는 배터리와 DC 링크 커패시터에 위치하여, DC 링크 커패시터의 낮은 전력 변동(Long-term power fluctuation)을 보상한다.
한편, SB1, DB1, SB2, DB2 및 LB에 의해 구성되는 또 다른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울트라 커패시터와 DC 링크 커패시터에 위치하여, DC 링크 커패시터의 높은 전력 변동(Short-term power fluctuation)을 보상한다. 구체적으로, DC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이 급감 또는 급증 시 울트라 커패시터를 통한 빠른 충전 및 방전으로 DC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각각의 에너지 저장소에 대하여 별도의 양방향 직류-직류 컨버터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회로 구조 설계가 복잡해짐은 물론, 설치비와 유지비를 상승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다수의 에너지 저장소들 간의 에너지 흐름을 단일 양방향 DC/DC 컨버터로 가능하도록 한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UC(Ultra Capacitor); 배터리; DC 링크 커패시터; 일 측이 DC 링크 커패시터에 연결되고, 타 측이 UC와 배터리에 연결된 양방향 DC/DC 컨버터; UC와 양방향 DC/DC 컨버터 사이에 마련되어, UC와 DC 링크 커패시터 간의 에너지 흐름 경로를 양방향으로 제공하는 제1 양방향 스위치; 및 배터리와 양방향 DC/DC 컨버터 사이에 마련되어, 배터리와 DC 링크 커패시터 간의 에너지 흐름 경로를 양방향으로 제공하는 제2 양방향 스위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는, UC에 저장된 에너지를 양방향 DC/DC 컨버터를 통해 DC 링크 커패시터로 전달하거나, DC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양방향 DC/DC 컨버터를 통해 UC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UC와 DC 링크 커패시터 간 에너지 흐름의 방향은, 제1 양방향 스위치 내에 마련된 다수의 스위칭 소자들의 스위칭 상태들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양방향 DC/DC 컨버터는, 내부에 마련된 제1 스위치를 턴-온 시켜 UC에 저장된 에너지를 내부 인덕터로 전달시킨 후, 제1 스위치를 턴-오프 시켜 내부 인덕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DC 링크 커패시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DC/DC 컨버터는, 내부에 마련된 제2 스위치를 턴-온 시켜 DC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내부 인덕터로 전달시킨 후, 제2 스위치를 턴-오프 시켜 내부 인덕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UC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는,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양방향 DC/DC 컨버터를 통해 DC 링크 커패시터로 전달하거나, DC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양방향 DC/DC 컨버터를 통해 배터리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UC와 DC 링크 커패시터 간 에너지 흐름의 방향은, 제2 양방향 스위치 내에 마련된 다수의 스위칭 소자들의 스위칭 상태들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양방향 DC/DC 컨버터는, 내부에 마련된 제1 스위치를 턴-온 시켜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내부 인덕터로 전달시킨 후, 제1 스위치를 턴-오프 시켜 내부 인덕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DC 링크 커패시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DC/DC 컨버터는, 내부에 마련된 제2 스위치를 턴-온 시켜 DC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내부 인덕터로 전달시킨 후, 제2 스위치를 턴-오프 시켜 내부 인덕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배터리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에너지 저장방법은, UC와 양방향 DC/DC 컨버터 사이에 마련된 제1 양방향 스위치로 UC와 DC 링크 커패시터 간의 에너지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 및 배터리와 양방향 DC/DC 컨버터 사이에 마련된 제2 양방향 스위치로 배터리와 DC 링크 커패시터 간의 에너지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다수의 에너지 저장소들 간의 에너지 흐름이 단일 양방향 DC/DC 컨버터로 가능해지므로, 각각의 에너지 저장소에 대하여 별도의 양방향 직류-직류 컨버터가 필요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회로 구조 설계가 간단해져, 회로 부품 수와 부피가 감소 됨은 물론, 설치비와 유지비를 낮출 수 있고, 에너지 효율이 높아지며 성능이 개선된다.
도 1은 기존의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회도로,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회도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다수의 에너지 저장소를 구비하는데 양방향 DC/DC 컨버터는 하나만 구비한다. 대신, 서로 다른 에너지 저장소에 대한 양방향 전력 흐름 제어를 위해 양방향 전력 스위치들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C(Ultra Capacitor : 울트라 커패시터)(110), 배터리(BT)(120), BPS-UC(Bidirectional Power Switch - UC)(130), BPS-BT(Bidirectional Power Switch - BT)(140), 양방향 DC/DC 컨버터(150) 및 DC 링크 커패시터(CDC)(160)를 구비한다.
UC(110), 배터리(120) 및 DC 링크 커패시터(160)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저장소로 기능한다. 도 2에서 VUC, VBT 및 VDC는, 각각 UC(110)의 전압, 배터리(120)의 전압 및 DC 링크 커패시터(160)의 전압을 나타낸다.
양방향 DC/DC 컨버터(150)는, 1) 일 측이 DC 링크 커패시터(160)에 연결되고, 2) 타 측은 BPS-UC(130)를 통해 UC(110)에 연결되는 한편, BPS-BT(140)를 통해 배터리(120)에 연결된다. 양방향 DC/DC 컨버터(150)는, 양방향 DC/DC 변환을 위한 소자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B1, DB1, SB2, DB2 및 LB로 구성된다.
BPS-UC(130)는 UC(110)와 양방향 DC/DC 컨버터(150) 사이에 연결되는 양방향 전력 스위치로, UC(110)와 DC 링크 커패시터(160) 간 에너지 흐름의 방향을 제어한다. 양방향 스위칭을 위해 BPS-UC(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UC1, DUC1, SUC2 및 DUC2로 구성된다.
BPS-BT(140)는 배터리(120)와 양방향 DC/DC 컨버터(150) 사이에 연결되는 양방향 전력 스위치로, 배터리(120)와 DC 링크 커패시터(160) 간 에너지 흐름의 방향을 제어한다. 양방향 스위칭을 위해 BPS-BT(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BT1, DBT1, SBT2 및 DBT2로 구성된다.
DC 링크 커패시터(160)로부터 UC(110)로 에너지 전달은, BPS-UC(130)의 SUC1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DC/DC 컨버터(150)의 SB2를 제어하여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DC/DC 컨버터(150)의 SB2를 턴-온 시켜, DC 링크 커패시터(160), DC/DC 컨버터(150)의 SB2와 LB, BPS-UC(130)의 DUC1와 SUC1 및 UC(110)에 의한 루프를 형성시켜, DC 링크 커패시터(160)에 저장된 에너지를 LB로 전달한다.
이후, DC/DC 컨버터(150)의 SB2를 턴-오프 시켜, DC/DC 컨버터(150)의 DB1와 LB, BPS-UC(130)의 DUC1와 SUC1 및 UC(110)에 의한 루프를 형성시켜, LB에 저장된 에너지를 UC(110)로 전달한다.
UC(110)로부터 DC 링크 커패시터(160)로 에너지 전달은, BPS-UC(130)의 SUC2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DC/DC 컨버터(150)의 SB1을 제어하여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DC/DC 컨버터(150)의 SB1을 턴-온 시켜, UC(110), BPS-UC(130)의 SUC2와 DUC2 및 DC/DC 컨버터(150)의 LB와 SB1에 의한 루프를 형성시켜, UC(110)에 저장된 에너지를 LB로 전달한다.
이후, DC/DC 컨버터(150)의 SB1을 턴-오프 시켜, DC/DC 컨버터(150)의 LB와 DB2, DC 링크 커패시터(160), UC(110), BPS-UC(130)의 SUC2와 DUC2에 의한 루프를 형성시켜, LB에 저장된 에너지를 DC 링크 커패시터(160)로 전달한다.
DC 링크 커패시터(160)로부터 배터리(120)로 에너지 전달은, BPS-BT(140)의 SBT1을 턴-온 시킨 상태에서 DC/DC 컨버터(150)의 SB2를 제어하여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DC/DC 컨버터(150)의 SB2를 턴-온 시켜, DC 링크 커패시터(160), DC/DC 컨버터(150)의 SB2와 LB, BPS-BT(140)의 DBT1와 SBT1 및 배터리(120)에 의한 루프를 형성시켜, DC 링크 커패시터(160)에 저장된 에너지를 LB로 전달한다.
이후, DC/DC 컨버터(150)의 SB2를 턴-오프 시켜, DC/DC 컨버터(150)의 DB1와 LB, BPS-BT(140)의 DBT1와 SBT1 및 배터리(120)에 의한 루프를 형성시켜, LB에 저장된 에너지를 배터리(120)로 전달한다.
배터리(120)로부터 DC 링크 커패시터(160)로 에너지 전달은, BPS-BT(140)의 SBT2를 턴-온 시킨 상태에서 DC/DC 컨버터(150)의 SB1을 제어하여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DC/DC 컨버터(150)의 SB1을 턴-온 시켜, 배터리(120), BPS-BT(140)의 SBT2와 DBT2 및 DC/DC 컨버터(150)의 LB와 SB1에 의한 루프를 형성시켜, 배터리(120)에 저장된 에너지를 LB로 전달한다.
이후, DC/DC 컨버터(150)의 SB1을 턴-오프 시켜, DC/DC 컨버터(150)의 LB와 DB2, DC 링크 커패시터(160), 배터리(120), BPS-BT(140)의 SBT2와 DBT2에 의한 루프를 형성시켜, LB에 저장된 에너지를 DC 링크 커패시터(160)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UC(210), 배터리(220), 양방향 DC/DC 컨버터(250) 및 DC 링크 커패시터(260)는, 도 2에 도시된 UC(110), 배터리(120), 양방향 DC/DC 컨버터(150) 및 DC 링크 커패시터(160)와 동일하다.
BPS-UC(230)을 구성하는 SUC1, DUC1, SUC2 및 DUC2 중, DUC1와 DUC2는 SUC1와 SUC2의 바디 다이오드(Body Diode)이다. 따라서, BPS-UC(230)는 다이오드들을 별도로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BPS-UC(130)와 차이가 있다.
마찬가지로, BPS-BT(240)을 구성하는 SBT1, DBT1, SBT2 및 DBT2 중, DBT1와 DBT2는 SBT1와 SBT2의 바디 다이오드이다. 따라서, BPS-BT(240)도 다이오드들을 별도로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BPS-BT(140)와 차이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원리/방식은, 도 2에 도시된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원리/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 양방향 DC/DC 컨버터 하나와 다수의 양방향 전력 스위치들로, 서로 다른 다수의 에너지 저장소에 대한 양방향 전력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들을 통해 제시한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해상풍력 발전, 전기 자동차 등은 물론 이와 다른 시스템들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210 : UC(Ultra Capacitor : 울트라 커패시터)
120, 220 : 배터리(BT)
130, 230 : BPS-UC(Bidirectional Power Switch-UC)
140, 240 : BPS-BT(Bidirectional Power Switch-BT)
150, 250 : 양방향 DC/DC 컨버터
160, 260 : DC 링크 커패시터(CDC)

Claims (10)

  1. UC(Ultra Capacitor);
    배터리;
    DC 링크 커패시터;
    일 측이 DC 링크 커패시터에 연결되고, 타 측이 UC와 배터리에 연결된 양방향 DC/DC 컨버터;
    UC와 양방향 DC/DC 컨버터 사이에 마련되어, UC와 DC 링크 커패시터 간의 에너지 흐름 경로를 양방향으로 제공하는 제1 양방향 스위치; 및
    배터리와 양방향 DC/DC 컨버터 사이에 마련되어, 배터리와 DC 링크 커패시터 간의 에너지 흐름 경로를 양방향으로 제공하는 제2 양방향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는,
    UC에 저장된 에너지를 양방향 DC/DC 컨버터를 통해 DC 링크 커패시터로 전달하거나, DC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양방향 DC/DC 컨버터를 통해 UC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UC와 DC 링크 커패시터 간 에너지 흐름의 방향은, 제1 양방향 스위치 내에 마련된 다수의 스위칭 소자들의 스위칭 상태들을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양방향 DC/DC 컨버터는,
    내부에 마련된 제1 스위치를 턴-온 시켜 UC에 저장된 에너지를 내부 인덕터로 전달시킨 후, 제1 스위치를 턴-오프 시켜 내부 인덕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DC 링크 커패시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양방향 DC/DC 컨버터는,
    내부에 마련된 제2 스위치를 턴-온 시켜 DC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내부 인덕터로 전달시킨 후, 제2 스위치를 턴-오프 시켜 내부 인덕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UC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는,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양방향 DC/DC 컨버터를 통해 DC 링크 커패시터로 전달하거나, DC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양방향 DC/DC 컨버터를 통해 배터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배터리UC와 DC 링크 커패시터 간 에너지 흐름의 방향은, 제2 양방향 스위치 내에 마련된 다수의 스위칭 소자들의 스위칭 상태들을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양방향 DC/DC 컨버터는,
    내부에 마련된 제1 스위치를 턴-온 시켜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내부 인덕터로 전달시킨 후, 제1 스위치를 턴-오프 시켜 내부 인덕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DC 링크 커패시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양방향 DC/DC 컨버터는,
    내부에 마련된 제2 스위치를 턴-온 시켜 DC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내부 인덕터로 전달시킨 후, 제2 스위치를 턴-오프 시켜 내부 인덕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배터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10. UC와 양방향 DC/DC 컨버터 사이에 마련된 제1 양방향 스위치로 UC와 DC 링크 커패시터 간의 에너지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 및
    배터리와 양방향 DC/DC 컨버터 사이에 마련된 제2 양방향 스위치로 배터리와 DC 링크 커패시터 간의 에너지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에너지 저장방법.
KR1020120038972A 2012-04-16 2012-04-16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및 방법 KR101373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972A KR101373566B1 (ko) 2012-04-16 2012-04-16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및 방법
PCT/KR2012/005218 WO2013157699A1 (ko) 2012-04-16 2012-07-02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972A KR101373566B1 (ko) 2012-04-16 2012-04-16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536A true KR20130116536A (ko) 2013-10-24
KR101373566B1 KR101373566B1 (ko) 2014-03-12

Family

ID=4938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972A KR101373566B1 (ko) 2012-04-16 2012-04-16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3566B1 (ko)
WO (1) WO20131576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21B1 (ko) 2014-05-26 2021-04-2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0718A (ja) * 2000-03-16 2001-09-26 Railway Technical Res Inst 電鉄用直流電力供給設備
KR101084214B1 (ko) * 2009-12-03 2011-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 제어 방법
KR101653837B1 (ko) * 2009-12-24 2016-09-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산업용 차량의 전력변환장치
KR101116428B1 (ko) * 2010-07-14 2012-03-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566B1 (ko) 2014-03-12
WO2013157699A1 (ko)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llimalla et al. DC grid voltage regulation using new HESS control strategy
Jiang et al. Research on power sharing strategy of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in photovoltaic power station based on multi‐objective optimisation
Sathishkumar et al. Dynamic energy management of micro grids using battery super capacitor combined storage
US9293917B2 (en) Energy storage system
EP2512000B1 (en) Reconfigurable power systems and converters
Cansiz et al. Integration of a SMES–battery-based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into microgrids
EP2511999B1 (en) Reconfigurable power converters, systems and plants
CN105846419A (zh) 基于直流微电网的光伏、柴油互补供电系统
Joseph et al. Design of hybrid forward boost converter for renewable energy powered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lications
Hua et al. Charge equalisation for series‐connected LiFePO4 battery strings
KR101626911B1 (ko) 복수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위한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4515913A (ja) 発電及び水素発生器
Guidi et al. An optimized converter for battery-supercapacitor interface
EP2954606B1 (en) System for distributing and storing electric energy
Seyed Mahmoodieh et al. Battery‐integrated multi‐input step‐up converter for sustainable hybrid energy supply
Monteiro et al. Efficient supercapacitor energy usage in mobile phones
Yu et al. Power management strategy for plug and play DC microgrid
Said et al. Intelligent control of a dc microgrid consisting of wave energy converter (wec) and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hess)
CN108418245A (zh) 一种简化的直流微电网联络线恒功率控制方法
KR101373566B1 (ko) 복합형 에너지 저장장치 및 방법
Narvaez et al. Topologies for battery and supercapacitor interconnection in residential microgrids with intermittent generation
CN203299290U (zh) 一种基于混合储能的微电网技术验证平台装置
KR20140055011A (ko) 커패시터 충방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10110008B2 (en) Micro grid stabilization device
CN204886203U (zh) 提高风电并网系统暂态稳定和电能质量的储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