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407A -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407A
KR20130116407A KR1020120025116A KR20120025116A KR20130116407A KR 20130116407 A KR20130116407 A KR 20130116407A KR 1020120025116 A KR1020120025116 A KR 1020120025116A KR 20120025116 A KR20120025116 A KR 20120025116A KR 20130116407 A KR20130116407 A KR 20130116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received
redundant
lis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045B1 (ko
Inventor
문준모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5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045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5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 H04L49/552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by ensuring the integrity of packets received through redundant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화 선로를 통하여 패킷을 송수신할 때 해쉬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고도 중복 패킷(패킷)의 판단 및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중화 선로를 통해 패킷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 리스트가 서로 연결된 링크 리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수신 패킷의 중복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수신 패킷의 중복 여부에 따라 중복된 패킷에 관련된 링크 리스트, 데이타 및 상기 수신 패킷의 폐기를 수행함으로써 HMI, PLC 및 DCS등 자동화 시스템의 이중화 통신 구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UPLICATED DATA OF REDUNDANCY COMMUNICATION LINE}
본 발명은 이중화 통신 선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링크 리스트(Linked list)를 이용하여 중복 수신한 데이타를 삭제하기 위한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을 이용할 때 통신선로의 파손이나 기타 문제로 인한 정보 손실 또는 통신망 마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선로나 통신장치를 이중화하여 사용한다. 즉, 송신장치는 선로상에 주기적으로 특정 정보를 전송하여 통신하는 상대 장치에게 현재 선로가 정상임을 알리다가, 일정 주기 이상 상기 특정 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면 현재 사용중인 선로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다른 선로로 전환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선로 이중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신선로는 이중화되어 두개의 선로(A,B)를 가지고 있으며, 통신시 하나의 선로(A 또는B)를 이용하여 정보(또는 데이타)를 전송한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현재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하나의 선로(A)에 이상이 발생하여 더 이상 선로(A)를 통한 정보 전송이 불가능해지면, 선로(A)의 상태를 나타내는 특정 정보가 상대 장치에게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선로제어장치(미도시)는 특정 정보가 상대 장치에게 전달되지 않게 되면 현재 사용중인 선로(A)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이상이 발생한 선로(A)대신에 선로(B)를 통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이중화 방법은 이중화된 선로중에서 하나의 선로만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현재 사용중인 선로의 이상을 감지하고 다른 선로를 사용하게 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선로전환 과정에서 정보가 전달되지 않아 일부 정보를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종래 선로 이중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선로 이중화 방법은, 하나의 선로만을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이중화된 통신 선로를 동시에 사용하여 사용선로의 전환시 발생하는 시간지연와 정보손실을 해결한 방법이다. 이 경우 두 통신선로를 통해 동시에 같은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정보가 중복 전달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선로 이중화 방법에서는 중복된 정보의 처리를 위하여, 통신 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각 노드별로 여러개의 레코드(record)를 보관할 수 있는 해쉬 테이블(hash table)(10)을 구성한다. 각 노드는 자신과 통신할 노드에 대해 각각 해쉬 테이블(10)을 정의하여 사용한다.
예를들어 9개의 노드(노드01,노드02,.....,노드 08)가 있을 경우 각 노드는 자신과 통신할 각 노드에 대한 8개의 해쉬 테이블(10)을 가지게 된다. 상기 해쉬 테이블(10)은 패킷 번호를 기준으로 각 패킷 번호별로 패킷 길이, 전송선로, 데이타(정보), 각 패킷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CRC(Cyclic Redunancy Check)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패킷 번호는 각 노드별로 관리된다. 즉, 각 노드는 정보를 전송할 때 패킷 번호를 1씩 증가시켜 전송한다. 상기 해쉬 테이블(10)은 시스템 초기화시 0으로 초기화되며, 하나의 패킷(20)이 수신되면 선로제어장치는 수신된 패킷(20)이 중복된 것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은 수신 패킷의 노드번호와 패킷번호를 이용한다.
즉, 상기 해쉬 테이블(10)에서 현재 수신한 패킷(20)의 번호에 해당하는 정보중에서 선로번호만 다른지 비교하여 동일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다른 정보는 동일하지만 선로번호만 다르면 현재의 패킷(20)은 중복된 정보라고 판단하고, 선로번호뿐만 아니라 다른 정보도 다르다면 새로운 패킷이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선로제어장치는 수신한 패킷(20)이 중복된 패킷인 경우에는 해당 패킷을 버리고, 새로운 패킷인 경우에는 해당 패킷(20)의 데이타를 수신한 후 해쉬 테이블(10)에 해당 패킷(20)에 관련된 정보(노드번호, 패킷번호, 선로번호, 패킷길이, 데이타)를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중화된 통신선로를 사용하여 동시에 동일한 패킷을 각 노드로 전송하는 종래의 방법은 자신과 통신할 노드에 대하여 사전에 각각 해쉬 테이블을 정의하여 구비한 후 수신한 패킷의 중복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패킷이 중복된 패킷인 경우 상기 해쉬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삭제과정을 수행한다.
그런데, 종래 해쉬 테이블을 이용한 선로 이중화 방법은 노드의 수가 증가할 경우 그에 대응되어 해쉬 테이블의 수도 증가되며, 특히 수신된 패킷이 다른 정보와 함께 해쉬 테이블에 저장되므로 수신 패킷의 수가 증가할 수록 해쉬 테이블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상기 해쉬 테이블을 검색하는데 지연시간이 발생된다.
또한, 수신된 데이터와 해쉬 테이블을 분리 저장하기 때문에 메모리가 낭비되며 해쉬 테이블과 데이터를 연결해 주는 부분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쉬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고도 중복 정보(패킷)의 판단 및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방법은, 이중화 선로를 통해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 리스트가 서로 연결된 링크 리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수신 패킷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패킷의 중복 여부에 따라 중복된 패킷에 관련된 링크 리스트, 데이타 및 상기 수신 패킷의 폐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패킷은 이중화 선로중에서 하나의 선로를 통해 수신되거나 이중화 선로를 통하여 동시에 수신된다.
상기 링크 리스트는 수신 패킷의 각 리스트가 연결됨과 함께 첫번째 리스트와 마지막 리스트가 연결된 환형 구조를 갖는다.
상기 결정 단계는 수신 패킷이 중복 패킷이면 이전에 해당 패킷의 링크 리스트와 데이타를 삭제하고 상기 수신된 패킷을 폐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패킷이 중복 패킷이 아니면 해당 패킷의 링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데이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는,이중화 선로를 통해 패킷을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각 패킷에 대한 링크 리스트 및 데이타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송수신부를 통해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링크 리스트를 검색하여 수신 패킷의 중복 여부를 판단한 후 중복 패킷의 삭제 및 링크 리스트의 관리를 수행하는 이중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킷은 이중화 선로중에서 하나의 선로를 통해 수신되거나 이중화 선로를 통하여 동시에 수신된다.
상기 링크 리스트는 수신 패킷의 각 리스트가 연결됨과 함께 첫번째 리스트와 마지막 리스트가 연결된 환형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패킷이 이전에 다른 선로로 수신된 중복 패킷이면 이전에 수신한 패킷에 대한 링크 리스트 및 데이타를 저장부로부터 삭제하고, 새로운 패킷을 폐기한다.
상기 제어부는 이중화 선로를 통해 패킷이 동시에 수신되는 방식에서, 하나의 선로를 통해서만 패킷이 수신되면 타임 아웃을 발생시켜 해당 패킷에 관련된 링크 리스트 및 데이타를 저장부로부터 삭제한다.
본 발명은 수신 패킷의 저장주소만을 이용하여 리스트를 생성한 후 그 생성된 리스트들을 서로 링크시켜 링크 리스트를 생성함으로써 패킷의 중복판단에 의한 패킷의 저장, 삭제의 처리 속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링크 구조에 의해 패킷 관리 및 프로그래밍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노드가 추가될 경우에도 종래 처럼 해쉬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적 변경없이 단지 새로운 링크 리스트 (linked list)를 생성하여 사용함으로써 HMI, PLC 및 DCS등 자동화 시스템의 이중화 통신 구성에 많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선로 이중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 선로 이중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의 개략도.
도 5는 링크 리스트의 일 예인 환형구조의 링크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통신 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방법은 HMI (Human Machine Interface),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DCS (Distributed Control System)등 자동화 시스템에서, 이중화된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데이타(정보)를 송수신할 때 해쉬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중복 정보(패킷)의 판단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자료구조 중 링크 리스트(Linked List)의 개념 즉, 이전 링크(Previous Link)와 다음 링크(Next Link)를 도입하여, 각 리스트의 다음 링크가 이전 리스트의 이전 링크에 연결되는 링크 리스트(Linked List)를 구현하여, 상기 링크 리스트를 이용하여 수신 데이타(패킷)의 중복성을 판단한다. 상기 링크 리스트는 첫번째 리스트가(First List) 마지막 리스트(Last List)에 연결된 환형 링크 리스트(Linked List)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된 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 장치는 이중화 선로를 통해 패킷을 송수신하는 송수신부(30)와, 상기 송수신부(30)를 통해 수신 패킷의 중복 여부를 링크 리스트를 사용하여 판단하여 수신 패킷의 처리 및 삭제를 수행하는 이중화 제어부(40)와, 상기 수신 패킷에 대한 링크 리스트(linked list) 및 수신 패킷을 저장하는 저장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30)는 수신부 및 송신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신부는 수신 패킷의 정합성 검사하여 이중화 제어부(40)로 제공하고, 상기 송신부는 이중화 제어부(40)로부터 제공된 패킷을 다른 노드로 전송하거나 또는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한 패킷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이중화 선로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이중화 제어부(40)는 이중화 선로를 통한 패킷(데이타) 처리 동작을 수행하며, 특히 패킷이 수신되면 환형 링크 리스트를 해당 패킷이 이전에 다른 선로로 수신된 패킷인지 체크하여, 새로운 패킷이면 처리하고, 이전에 수신한 패킷이면 환형 링크 리스트에서 삭제하고 상기 패킷을 폐기한다.
상기 이중화 제어부(40)는 환형 리스크를 검색하여 수신 패킷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중복 판단부, 수신 패킷에 따라 명령을 처리하는 명령 처리부와, 수신 패킷이 중복 패킷인 경우 링크 리스트에서 이전에 수신된 패킷을 삭제하고, 현재 수신된 패킷을 폐기하는 패킷 삭제부와, 소정 시간동안 패킷이 수신되지 않으면 관련된 환형 링크 리스트를 삭제하는 타임 아웃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50)는 수신된 패킷의 첫번째 리스트(목록)와 마지막 리스트가 연결된 링크 리스트(50a)와 상기 각 링크 리스트에 관련된 수신 패킷(데이타)(50b)을 저장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링크 리스트(50a)의 각 링크 리스트에는 수신 패킷에 대하여 이전 링크(previous link), 다음 링크(next link) 및 해당 패킷을 구분하기 위한 패킷 ID(수신패킷이 저장된 주소)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수신 패킷에는 노드번호, 선로번호, 패킷번호 및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다.
도 5는 링크 리스트의 일 예인 환형구조의 링크(Linked list) 리스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링크 리스트(50a)는 각 리스트의 다음 링크 (Next link)가 다음 리스트의 이전 링크(Previous link)에 연결되고, 마지막 리스트의 다음 링크(Next link)는 첫번째 리스트의 이전 링크(Previous Link)에 연결되는 환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 링크 리스트는 이전 링크 필드, 다음 링크 필드 및 패킷 ID필드로 구성되어, 상기 다음 링크 필드에는 이전 리스트의 ID가 등록되고, 상기 이전 링크 필드에는 마지막 리스트의 ID가 등록된다.
하지만, 환형구조가 아니라 일반 링크 구조일 경우 다음 링크 필드에는 이전 리스트의 ID가 등록되지만 이전 링크 필드에는 현재 리스트 ID가 등록된다. 이러한 일반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도 패킷을 저장하여 처리 가능하고, 마지막 리스트와 첫번째 리스트가 연결된 환형 구조를 적용하여 자료구조의 신뢰성을 증대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중화 통신 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노드는 이중화 선로 중 하나의 패킷을 통해 또는 동시에 패킷(메시지 또는 데이타)을 서로 주고 받는다.
송신 노드(e.g., 노드 01)로부터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노드(e.g.,노드 00)의 송수신부(30), 더 정확하게는 패킷 수신부는 수신 패킷의 정합성을 검사한 다음 이중화 제어부(40)로 전달한다. 상기 정합성은 CRC체크 및 송신노드가 이중화 선로에 연결된 노드인지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이중화 제어부(40)는 환형 링크 리스트에 수신 패킷의 링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중복 판단부를 이용하여 현재 수신된 패킷이 중복 패킷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은 저장부(50)의 환형 링크 리스트(50a)를 이용한다.
즉, 상기 환형 링크 리스트(50a)에 포함된 각 링크 리스트의 패킷 ID에 해당하는 수신 패킷을 찾아, 그 수신 패킷의 선로번호와 패킷번호를 이용하여 중복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수신된 패킷이 중복 패킷인 경우에는 패킷 삭제부를 이용하여 이전에 수신된 패킷을 삭제함과 함께 현재 수신된 패킷을 폐기한다. 하지만, 수신패킷이 새로운 패킷이면 명령 처리부를 통해 해당 패킷에 관련된 명령을 수행한다.
이중화 제어부(40)는 전송노드에서 이중화 선로를 통해 동시에 패킷을 전송할 경우, 하나의 선로로만 패킷이 수신되면 타임 아웃을 발생시켜 일정 시간동안 다른 하나의 패킷의 수신을 기다리고, 시간이 경과되면 환형 링크 리스트 및 그에 관련된 리스트 및 패킷을 삭제하여 시간 지연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통신 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환형 링크 리스트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송수신부(30)를 통해 하나의 선로로부터 패킷이 수신되면(S10), 이중화 제어부(40)는 수신 패킷의 노드번호 및 패킷번호를 확인한 후 저장부(50)의 링크 리스트(50a)를 검색하여 현재 수신한 패킷이 중복 패킷인지 확인한다(S20). 즉, 상기 환형 링크 리스트(50a)에 포함된 각 링크 리스트의 패킷 ID로부터 이전에 수신되어 저장된 수신 패킷(50b)을 검색하고, 그 검색된 수신 패킷(50b)의 선로번호와 패킷번호를 이용하여, 이전에 동일 노드에서 선로만 다르게 수신된 패킷이 있는지 체크한다. 그런데, 환형 링크 리스트(50a)가 비어 있는 경우에는(최초로 패킷이 수신된 경우) 수신 패킷의 링크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전/다음 링크 필드에 현재 리스트의 ID를 등록한다.
이러한 링크 리스트 생성 구조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새로운 노드가 추가되어도 해쉬 테이블을 생성할 필요없이 단순히 수신 패킷의 환형 링크 리스트에 저장하면 중복 데이타 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확인결과, 현재의 수신 패킷이 중복 패킷이 아니면 이중화 제어부(40)는 수신 패킷을 저장부(50)에 저장하고 환형 링크 리스트(50a)에 새로운 링크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새로운 링크 리스트의 이전 링크필드에는 마지막 리스트의 ID가 등록되고, 다음링크 필드에는 이전에 생성된 리스트의 ID가 저장되며, 패킷 ID필드에는 상기 패킷이 저장된 주소가 저장된다.
또한 이중화 제어부(40)는 수신 패킷에 따른 명령을 처리하거나 해당 패킷을 처리하고(S30), 송신노드로 전송할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송수신부(30)를 통하여 이중화 송신을 수행한다(S40).
반면에, 상기 단계(S20)에서 수신 패킷이 중복 패킷인 것으로 확인되면, 이중화 제어부(40)는 환형 링크 리스트(50a)에서 이전에 수신된 패킷(50b) 및 링크 리스트를 삭제하고(링크 리스트 갱신), 현재 수신된 패킷을 폐기한다(S50).
즉, 현재 수신된 패킷이 도 5에서 2번째 링크 리스트의 패킷과 중복되면, 상기 2번째 링크 리스트 및 해당 패킷을 삭제한 후 첫번째 링크 리스트의 다음 링크(Next Link)와 3번째 링크 리스트의 이전 링크(previous Link)를 연결하여(리스트 ID를 등록하여) 환형구조를 유지한다.
특히 송신 노드가 하나의 선로를 통해 패킷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이중화된 선로를 통해 동시에 패킷을 전송할 경우, 이중화 제어부(40)는 이중화 선로로 하나의 패킷만 수신한 경우는 타임 아웃을 발생시켜 소정 시간동안 나머지 하나의 패킷이 수신되지 않으면 환형 링크 리스트(50a)에 저장된 링크 리스트 및 패킷을 생성하여 시간지연을 방지한다(S60).
또한, 이중화 제어부(40)는 일정 시간(주기)마다 저장부(50)에 저장된 링크 리스트(50a) 및 수신 패킷(50b)을 수신 시간 순서에 따라 삭제하여, 저장부(50)에 대하여 메모리 정리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 처럼 해쉬 테이블을 이용하여 중복 패킷을 판단하고 것이 아니라 수신 패킷을 링크 리스트(linked list)를 이용하여 중복 패킷을 판단함으로써 이중화 통신선로를 통한 데이터 통신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수신 패킷의 저장주소만을 이용하여 리스트를 생성한 후 그 생성된 리스트들을 서로 링크시켜 링크 리스트를 생성함으로써 패킷의 중복판단에 의한 패킷의 저장, 삭제의 처리 속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링크 구조에 의해 패킷 관리 및 프로그래밍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새로운 노드가 추가될 경우에도 종래 처럼 해쉬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적 변경없이 단지 새로운 링크 리스트 (linked list)를 생성하여 사용함으로써 HMI, PLC 및 DCS등 자동화 시스템의 이중화 통신 구성에 많은 성능향상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30 : 송수신부 40 : 이중화 제어부
50 : 저장부 50a : 링크 리스트
50b : 수신 패킷

Claims (15)

  1. 이중화 선로를 통해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 리스트가 서로 연결된 링크 리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수신 패킷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패킷의 중복 여부에 따라 중복된 패킷에 관련된 링크 리스트, 데이타 및 상기 수신 패킷의 폐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수신 패킷이 중복 패킷이면 이전에 해당 패킷의 링크 리스트와 데이타를 삭제하고 상기 수신된 패킷을 폐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패킷이 중복 패킷이 아니면 해당 패킷의 링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데이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이중화 선로중에서 하나의 선로를 통해 수신되거나 이중화 선로를 통하여 동시에 수신되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리스트는
    수신 패킷의 각 리스트가 연결됨과 함께 첫번째 리스트와 마지막 리스트가 연결된 환형 구조를 갖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리스트는
    이전 링크 필드, 다음 링크 필드 및 패킷 ID필드를 포함하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링크 필드에는 이전 리스트의 ID가 등록되고, 상기 이전 링크 필드에는 마지막 리스트의 ID가 등록되며, 상기 패킷 ID필드에는 수신 데이타의 저장된 주소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이중화 선로를 통해 패킷이 동시에 수신되는 방식에서, 하나의 선로를 통해서만 패킷이 수신되면 타임 아웃을 발생시켜 해당 패킷에 관련된 링크 리스트 및 데이타를 저장부로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링크 리스트 및 데이타를 일정 주기마다 수신시간 순서에 따라 삭제하여 메모리 정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방법.
  9. 이중화 선로를 통해 패킷을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각 패킷에 대한 링크 리스트 및 데이타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송수신부를 통해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링크 리스트를 검색하여 수신 패킷의 중복 여부를 판단한 후 중복 패킷의 삭제 및 링크 리스트의 관리를 수행하는 이중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이중화 선로중에서 하나의 선로를 통해 수신되거나 이중화 선로를 통하여 동시에 수신되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리스트는
    수신 패킷의 각 리스트가 연결됨과 함께 첫번째 리스트와 마지막 리스트가 연결된 환형 구조를 갖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리스트는
    이전 링크 필드, 다음 링크 필드 및 패킷 ID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다음 링크 필드에는 이전 리스트의 ID가 등록되고, 상기 이전 링크 필드에는 마지막 리스트의 ID가 등록되며, 상기 패킷 ID필드에는 수신 데이타의 저장된 주소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패킷이 이전에 다른 선로로 수신된 중복 패킷이면 이전에 수신한 패킷에 대한 링크 리스트 및 데이타를 저장부로부터 삭제하고, 새로운 패킷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중화 선로를 통해 패킷이 동시에 수신되는 방식에서, 하나의 선로를 통해서만 패킷이 수신되면 타임 아웃을 발생시켜 해당 패킷에 관련된 링크 리스트 및 데이타를 저장부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기간마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링크 리스트 및 데이타를 수신시간 순서에 따라 삭제하여 메모리 정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KR1020120025116A 2012-03-12 2012-03-12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605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116A KR101605045B1 (ko) 2012-03-12 2012-03-12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116A KR101605045B1 (ko) 2012-03-12 2012-03-12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407A true KR20130116407A (ko) 2013-10-24
KR101605045B1 KR101605045B1 (ko) 2016-03-21

Family

ID=49635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116A KR101605045B1 (ko) 2012-03-12 2012-03-12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0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093A (ko) 2015-03-16 2016-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프로피버스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0098959A (zh) * 2019-04-23 2019-08-06 广东技术师范大学 工控协议交互行为的建模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2012419B1 (ko) * 2018-03-13 2019-08-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통신장치 및 그의 패킷 수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390B1 (ko) * 1997-12-30 2001-01-15 윤종용 이중화된 통신선로를 갖는 통신시스템의 중복정보 판단방법
JP4559295B2 (ja) * 2005-05-17 2010-10-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093A (ko) 2015-03-16 2016-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프로피버스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2419B1 (ko) * 2018-03-13 2019-08-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통신장치 및 그의 패킷 수신방법
CN110098959A (zh) * 2019-04-23 2019-08-06 广东技术师范大学 工控协议交互行为的建模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0098959B (zh) * 2019-04-23 2021-11-16 广东技术师范大学 工控协议交互行为的建模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045B1 (ko) 201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917B1 (ko) Pcie 스위칭 네트워크에서 패킷 전송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저장 매체
JP5187249B2 (ja) 冗長化システム用コネクションリカバリ装置,方法および処理プログラム
CN103514173B (zh) 数据处理的方法和节点设备
JP2019129408A (ja) 障害検知方法、ノード装置、通信システム
CN105095245B (zh) 基于关联型数据库的归档日志同步方法及系统
US201600623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n-process migration of industrial control and automation system across disparate network types
CN105159795A (zh) 数据同步方法、装置和系统
US20180027048A1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distributed cluster file system
JP6048995B2 (ja) メッシュ通信ネットワークのノード装置を設定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手段およびシステム
JP2013243670A (ja) パケット処理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9710196B2 (en) Method of storing data, storage system, and storage apparatus
JP6279744B2 (ja) eメールのウェブクライアント通知の待ち行列化方法
US10372673B2 (en) Storage network element discovery method and apparatus
CN103944974A (zh) 一种协议报文处理方法、控制器故障处理方法及相关设备
JP7046983B2 (ja) パケット伝送方法及び装置
CN102571492A (zh) 检测路由设备故障的方法和装置
JP2014533413A (ja) 中間プライマリバックアップ複製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60033753A (ko) 교환 장치, 제어기, 및 교환 장치 구성 방법, 및 패킷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605045B1 (ko) 이중화 통신선로의 중복 데이타 처리장치 및 방법
EP3031172B1 (en) Managing data feeds
CN108512753B (zh) 一种集群文件系统中消息传输的方法及装置
KR20160090485A (ko)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에서 분산 컨트롤러를 운용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0092336A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806382B2 (ja) 冗長化システム
CN110417892A (zh) 基于报文解析的数据复制链路优化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