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196A -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of intra prediction mod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of intra prediction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196A
KR20130116196A KR1020130040008A KR20130040008A KR20130116196A KR 20130116196 A KR20130116196 A KR 20130116196A KR 1020130040008 A KR1020130040008 A KR 1020130040008A KR 20130040008 A KR20130040008 A KR 20130040008A KR 20130116196 A KR20130116196 A KR 20130116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 prediction
prediction mode
mode
current bloc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4851B1 (en
Inventor
방건
정원식
허남호
박광훈
김경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30116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1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8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Abstract

PURPOSE: An intra prediction mode decoding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are provided to use an integrated signaling method in order to apply some of various intra prediction methods to an image selectively or altogether. CONSTITUTION: A decoding apparatus parses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about a current block in a depth information map image (S1010). The decoding apparatus determines an intra prediction mode about the current block based on th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S1020). The decoding apparatus draws a final intra prediction mode about the current block by renewing the intra prediction m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S1030). Th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remaining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and most probable mode (MPM) information. [Reference numerals] (S1010) Pars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about a current block; (S1020) Determine an intra prediction mode about the current block based on th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S1030) Draw a final intra prediction mode about the current block by renewing the intra prediction mode based on a GMPM

Description

인트라 예측 모드 복호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OF INTRA PREDICTION MODE}Intra prediction mode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OF INTRA PREDICTION MODE}

본 발명은 영상의 부호화/복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깊이정보 맵 영상의 인트라 예측 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ncoding / decoding an im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ra prediction mode encoding /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depth map image.

3차원 비디오는 3차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세계에서 보고 느끼는 것과 같은 입체감을 생생하게 제공한다. 이와 관련된 연구로, 비디오 표준화 단체인 ISO/IEC의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서는 3차원 비디오 표준이 진행 중이다. 3차원 비디오 표준은 실제 영상과 그것의 깊이 정보 맵을 이용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뿐만 아니라 오토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재생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진보된 데이터 형식과 그에 관련된 기술에 대한 표준을 포함하고 있다. 3D video vividly provides a user with a three-dimensional effect as seen and felt in the real world through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In this regard, three-dimensional video standards are underway at the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from ISO / IEC, a video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The 3D video standard includes standards for advanced data formats and related technologies that can support not only stereoscopic images but also autostereoscopic images using real images and their depth information maps.

본 발명은 영상 부호화/복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깊이정보 맵 영상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 decoding a depth map image capable of improving image encoding / decoding efficiency.

본 발명은 깊이정보 맵 영상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트라 예측 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ra prediction mode encoding /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a depth map image.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인트라 예측 모드 복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깊이정보 맵 영상 내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갱신하여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최종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잔여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및 최고 확률 모드(Most Probable Mode; MPM)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ra prediction mode decoding method is provided. The method may include parsing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on a current block in a depth map image, determining an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based on th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the intra prediction mode. And deriving a final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wherein th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residual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and Most Probable Mode (MPM) information. .

다양한 인트라 예측 방법들을 영상에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혹은 모두 적용하기 위한 통합 시그널링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부호화/복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Encoding / decoding efficiency may be improved by using an integrated signaling method for selectively applying various intra prediction methods to an image or all of them.

도 1은 3차원 비디오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제 영상과 깊이정보 맵 영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영상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영상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H.264/AVC에서 16x16 블록에 적용할 수 있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H.264/AVC에서 8x8 블록 또는 4x4 블록에 적용할 수 있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깊이정보 맵에 플레인 세분화 방법을 적용한 경우, 인트라 예측 모드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깊이정보 맵에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적용한 경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복호화하는 방법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three-dimensional video system.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ctual image and a depth map image used to generate a virtual view imag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de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ra prediction mode applicable to 16 × 16 blocks in H.264 / AVC.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ra prediction mode applicable to an 8x8 block or a 4x4 block in H.264 / AVC.
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encoding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when a plane segmentation method is applied to a depth map.
FIG. 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encoding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when a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is applied to a depth map.
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coding apparatus for decoding an integrated intra predic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ecoding an integrated intra predic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herein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mean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and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It may also mean that an element exists. In addition, the description "includes" a specific configuration i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exclude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configuration, it means that additional configu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들은 상기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을 다른 구성으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은 제2 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도 제1 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nfigurations, but the configuration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nfiguration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figura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nfigura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nfiguration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를 이루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dependently shown to represent different characteristic functions, and do not mean that each component is made of separate hardware or one software component unit. In other words, each component is listed as a compon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t least two of the components may form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onents to perform a function. The integrated and separated embodiments of each component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3차원 비디오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three-dimensional video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 비디오 시스템(100)은 송신 측에서 다시점(Multi-View)의 비디오 정보와 깊이(Depth)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측으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된 영상 콘텐츠는 수신 측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재생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3D video system 100 generates image content including multi-view video information and depth information from a transmitting side and transmits the image content to a receiving side through a network. . In this case, the transmitted video content may be reproduc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receiver.

3차원 비디오 시스템(100)의 송신 측에서는, 스테레오 카메라(110) 및 다시점 카메라(114)를 이용하여 비디오 정보를 생성하고, 깊이정보 카메라(112)를 이용하여 깊이정보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2D/3D 변환기(116)를 통해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3D 콘텐츠 생성부(118)에서는 비디오 정보, 깊이정보 맵 등을 이용하여 N(N≥2) 시점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The transmitting side of the 3D video system 100 may generate video information using the stereo camera 110 and the multi-view camera 114, and generate a depth map using the depth camera 112. In addition, the 2D / 3D converter 116 may convert a 2D image into a 3D image. The 3D content generator 118 may generate image content of an N (N≥2) view using video information, a depth map, and the like.

N 시점의 영상 콘텐츠에는 N 시점의 비디오 정보와 그것의 깊이정보 맵, 카메라 관련 부가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N 시점의 영상 콘텐츠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압축되며, 압축된 영상 콘텐츠(비트스트림)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측의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The image content of the N view may include video information of the N view, a depth map thereof,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a camera, and the like. The video content at the N time point is compressed using a multiview video encoding method, and the compressed video content (bitstream) may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on the receiving side through a network.

3차원 비디오 시스템(100)의 수신 측에서는 전송 받은 비트스트림을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복호화하여 N 시점의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깊이정보 맵 기반 랜더링부(120)에서는 전송 받은 N 시점의 영상을 깊이정보 맵 기반 랜더링(Depth-Image-Based Rendering; DIBR) 과정을 통해 N 시점 이상의 가상시점 영상들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N 시점 이상의 가상시점 영상들은 다양한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게 재생되어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The receiving side of the 3D video system 100 may decode the received bitstream using a multiview video decoding method to reconstruct an image of N views. The depth map based rendering unit 120 may generate the received N view images as virtual view images of the N view or more through a depth-image-based rendering (DIBR) process. The virtual viewpoint images of more than N viewpoints are reproduced for various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es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to a user.

예컨대, N 시점 중에서 원하는 시점의 2차원 영상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2D 디스플레이 장치(122)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또는, 다시점 3D 디스플레이 장치(124)를 통해 여러 시점의 입체 영상을 재생하거나, 헤드 트랙 스테레오(Head-Tracked Stereo) 디스플레이 장치(126)를 통해 시청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시청자의 위치에 맞는 시점의 입체 영상을 재생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 2D image of a desired view may be freely selected from the N views and reproduced through the 2D display apparatus 122. Alternatively, the multi-view 3D display apparatus 124 may play a stereoscopic image of various views, or the head-tracked stereo display apparatus 126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viewer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viewer. Stereoscopic images can also be played back.

도 2는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제 영상과 깊이정보 맵 영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ctual image and a depth map image used to generate a virtual view image.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깊이정보 맵은 실세계에서 카메라와 실제 사물(object) 간의 거리(실사 영상과 동일한 해상도로 각 화소에 해당하는 깊이정보)를 일정한 비트수로 표현한 것이다. The depth map used to generate the virtual view image represents a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real object (dep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ixel at the same resolution as the real image) in the real world in a certain number of bits.

도 2의 (a)에 도시된 영상은 국제 표준화 기구인 MPEG의 3차원 비디오 부호화 표준에서 사용 중인 "Champagne Tower" 영상이고, 도 2의 (b)에 도시된 영상은 도 2의 (a)에 도시된 영상의 깊이정보 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b)에 도시된 깊이정보 맵은 화면에 보이는 깊이 정보를 화소당 8비트로 표현한 것이다. The image shown in (a) of FIG. 2 is a "Champagne Tower" image used in the 3D video coding standard of MPEG, which is a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and the image shown in (b) of FIG. The depth map of the illustrated image is shown. The depth map illustrated in FIG. 2B represents depth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at 8 bits per pixel.

도 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깊이정보 맵을 부호화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현재까지 개발된 비디오 부호화 표준 중에서 최고의 부호화 효율을 가지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인 H.264/AVC를 이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encode a depth map as shown in FIG. 2B, in general, H.264 / AVC, which is a video encoding method having the highest coding efficiency among video coding standards developed to date, may be used.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H.264를 이용하여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encoding and decoding using H.26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영상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부호화 장치(300)는 움직임 예측부(311), 움직임 보상부(312), 인트라 예측부(320), 스위치(315), 감산기(325), 변환부(330), 양자화부(340), 엔트로피 인코딩부(350), 역양자화부(360), 역변환부(370), 가산기(375), 디블록킹 필터부(380) 및 참조 영상 버퍼(39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image encoding apparatus 300 may include a motion predictor 311, a motion compensator 312, an intra predictor 320, a switch 315, a subtractor 325, a converter 330, A quantization unit 340, an entropy encoding unit 350, an inverse quantization unit 360, an inverse transform unit 370, an adder 375, a deblocking filter unit 380, and a reference image buffer 390 are included.

H.264의 경우, 영상 부호화 장치(300)에서는 16x16 화소 크기의 매크로블록(Macroblock)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며, 입력된 영상에 대해 인트라(Intra) 모드 또는 인터(Inter) 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하고 비트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일 경우 스위치(315)가 인트라로 전환되고, 인터 모드일 경우 스위치(315)가 인터로 전환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H.264, the image encoding apparatus 300 processes data in units of a macroblock having a size of 16x16 pixels, encodes an input image in an intra mode or an inter mode. A bitstream can be output. In the intra mode, the switch 315 may be switched to intra, and in the inter mode, the switch 315 may be switched to inter.

영상 부호화 장치(300)는 입력된 영상의 입력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한 후, 입력 블록과 예측 블록의 차분(residual)을 구해 그 차분을 부호화할 수 있다. 예측 블록의 생성은 인트라 모드와 인터 모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The image encoding apparatus 300 may generate a prediction block for an input block of an input image, obtain a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block and the prediction block, and encode the difference. Generation of the prediction block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tra mode and the inter mode.

인트라 모드인 경우, 인트라 예측부(320)는 현재 블록 주변의 이미 부호화된 블록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공간적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intra mode, the intra predictor 320 may generate a predictive block by performing spatial prediction using pixel values of blocks already encoded around the current block.

인터 모드인 경우, 움직임 예측부(111)는, 움직임 예측 과정에서 참조 영상 버퍼(390)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영상에서 입력 블록과 가장 매치가 잘 되는 영역을 찾아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 MV)를 구할 수 있다. 움직임 보상부(312)는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In the inter mode, the motion predictor 111 searches for a region that best matches an input block in the reference image stored in the reference image buffer 390 in the motion prediction process, and finds a motion vector (MV). You can get it. The motion compensator 312 may generate a prediction block by performing motion compensation using the motion vector.

감산기(325)는 입력 블록과 예측 블록의 차분에 의해 잔차 블록(residual block)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부호화 장치(300)는 잔차 블록에 대한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The subtractor 325 may generate a residual block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block and the prediction block. The image encoding apparatus 300 may perform encoding on the residual block.

이때, 예측 블록의 크기에 따라 인트라 모드일 경우에는 16x16, 8x8, 4x4 인트라 모드로 나누어지며, 인터 모드일 경우에는 16x16, 16x8, 8x16, 8x8 인터 모드로 나누어질 수 있다. 또한, 8x8 인터 모드일 경우에는 다시 8x8, 8x4, 4x8, 4x4 서브 인터 모드로 나누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tra mode may be divided into 16x16, 8x8, and 4x4 intra mod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ediction block, and may be divided into 16x16, 16x8, 8x16, and 8x8 inter modes in the inter mod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8x8 inter mode, it may be divided into 8x8, 8x4, 4x8, and 4x4 sub inter modes.

16x16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되는 블록의 경우, 변환부(330)에서는 잔차 블록에 대해 변환(transform)을 수행하여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를 출력하고, 출력된 변환 계수 중에서 DC 계수만을 모아서 다시 하다마드(Hadamard) 변환을 수행하여 하다마드 변환된 DC 계수를 출력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block encoded in the 16x16 intra mode, the transform unit 330 performs transform on the residual block to output transform coefficients, and collects only DC coefficients among the output transform coefficients. Hadamard) transform to output the Hadamard transformed DC coefficients.

16x16 인트라 모드를 제외한 다른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되는 블록의 경우, 변환부(330)에서는 잔차 블록에 대해 변환을 수행하여 변환 계수를 출력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block encoded in another encoding mode except for the 16x16 intra mode, the transform unit 330 may perform transform on the residual block to output transform coefficients.

양자화부(340)는 입력된 변환 계수를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계수(quantized coefficient)를 출력할 수 있다.The quantization unit 340 may output the quantized coefficient by quantizing the input transform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quantization parameter.

엔트로피 인코딩부(350)는, 양자화부(340)에서 산출된 값들 또는 부호화 과정에서 산출된 부호화 파라미터 값 등을 기초로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여 비트스트림(bit stream)을 출력할 수 있다.The entropy encoding unit 350 may output a bit stream by performing entropy encoding based on values calculated by the quantization unit 340 or encoding parameter values calculated in the encoding process.

H.264는 인터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현재 부호화된 영상은 이후에입력된 영상의 참조 영상으로 사용되기 위해 복호화되어 저장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양자화된 계수는 역양자화부(360)에서 역양자화되고 역변환부(370)에서 역변환될 수 있다. 역양자화, 역변환된 계수는 가산기(375)를 통해 예측 블록과 더해지고 복원 블록(재구성된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Since H.264 performs inter prediction encoding, the currently encoded picture needs to be decoded and stored to be used as a reference picture of a later input picture. Accordingly, the quantized coefficient may be inversely quantized by the inverse quantizer 360 and inversely transformed by the inverse transformer 370. Inverse quantized, inversely transformed coefficients are added to the predictive block via adder 375 and a reconstructed block (reconstructed block) can be generated.

복원 블록은 디블록킹 필터부(380)를 거치고, 참조 영상 버퍼(390)에 저장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부(380)는 부호화 과정에서 발생한 블록킹 현상(Blocking Artifact)을 제거할 수 있다. The reconstruction block may pass through the deblocking filter 380 and may be stored in the reference image buffer 390. The deblocking filter 380 may remove a blocking artifact generated during the encoding process.

도 4는 영상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de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400)는 엔트로피 디코딩부(410), 역양자화부(420), 역변환부(430), 인트라 예측부(440), 움직임 보상부(450), 가산기(455), 디블록킹 필터부(460) 및 참조 영상 버퍼(4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image decoding apparatus 400 may include an entropy decoder 410, an inverse quantizer 420, an inverse transform unit 430, an intra predictor 440, a motion compensator 450, and an adder 455. ), A deblocking filter unit 460, and a reference image buffer 470.

H.264의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400)에서는 16x16 화소 크기의 매크로블록(Macroblock)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며, 입력된 비트스트림에 대해 인트라(Intra) 모드 또는 인터(Inter) 모드로 복호화를 수행하고 재구성된 영상, 즉 복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 스위치가 인트라로 전환되고, 인터 모드인 경우 스위치가 인터로 전환될 수 있다.In the case of H.264, the image decoding apparatus 400 processes data in units of macroblocks having a size of 16x16 pixels and decodes the input bitstream in an intra mode or an inter mode. The reconstructed image may be output. In the intra mode, the switch is switched to the intra mode, and in the inter mode, the switch can be switched to the inter mode.

영상 복호화 장치(400)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잔차 블록(residual block)을 얻고 예측 블록을 생성한 후 잔차 블록과 예측 블록을 더하여 재구성된 블록, 즉 복원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The image decoding apparatus 400 may decode the input bitstream to obtain a residual block, generate a prediction block, and then add the residual block and the prediction block to generate a reconstructed block, that is, a reconstruction block.

엔트로피 디코딩부(410)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확률 분포에 따라 엔트로피 복호화하여, 양자화된 계수(quantized coefficient)를 출력할 수 있다. The entropy decoding unit 410 may entropy decode the input bitstream according to a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output a quantized coefficient.

양자화된 계수는 역양자화부(420)에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역양자화되고 역변환부(430)에서 역변환되며, 양자화된 계수가 역양자화/역변환된 결과, 복원된 잔차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The quantized coefficients are inversely quantized using the quantization parameter in the inverse quantization unit 420 and inversely transformed in the inverse transform unit 430. As a result of the inverse quantization / inverse transformation of the quantized coefficients, a reconstructed residual block may be generated.

인트라 모드인 경우, 인트라 예측부(440)는 현재 블록 주변의 이미 복호화된 블록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공간적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 모드인 경우, 움직임 보상부(450)는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참조 영상 버퍼(470)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영상에서 영역을 찾아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intra mode, the intra predictor 440 may generate a prediction block by performing spatial prediction using pixel values of blocks already decoded around the current block. In the inter mode, the motion compensator 450 may generate a prediction block by performing motion compensation by searching for an area in a reference picture stored in the reference picture buffer 470 using a motion vector.

잔차 블록과 예측 블록은 가산기(455)를 통해 더해지고, 더해진 블록은 디블록킹 필터부(460)를 통해 블록킹 현상(Blocking Artifact)이 제거된 다음, 참조 영상 버퍼(47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residual block and the prediction block may be added through the adder 455, and the added block may be stored in the reference image buffer 470 after the blocking artifact is removed by the deblocking filter 460.

한편, 깊이정보 맵은 실세계에서 카메라와 객체 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영상이므로, 영상 내 배경 및 객체 내부의 영역에서는 실제 영상에 비해 화소의 변화가 상당히 완만할 수 있다. 하지만, 깊이정보 맵에서 객체 경계 부분에서는 화소 간의 차이가 커서 아주 날카로운 에지(edge) 성분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기반 동영상 부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깊이정보 맵을 부호화할 경우, 객체 경계 부분에서 존재할 수 있는 날카로운 에지 성분 때문에 고주파 성분이 현저하게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고주파 성분이 증가하게 되면 양자화 단계에서의 손실로 인해 결과적으로 객체 경계 부분에서 심한 뭉개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depth map is an image represen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object in the real world, the pixel change may be considerably slower than the actual image in the background of the image and the region inside the object. However, a sharp edge component may appear due to a large difference between pixels in the object boundary portion of the depth map. Therefore, when the depth map is encoded by using the exist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based video encoding method,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is remarkably increased due to the sharp edge component that may exist at the object boundary. If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is increased, the loss in the quantization step results in severe crushing at the object boundary.

H.264/AVC에서는 다양한 방향에 기반한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인트라 예측 모드의 방향성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접한 화소를 사용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H.264 / AVC provides an intra prediction coding method based on various directions. This method generates a prediction block using adjacent pixels of the current block according to the directionality of the intra prediction mode.

도 5는 H.264/AVC에서 16x16 블록에 적용할 수 있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H.264/AVC에서 8x8 블록 또는 4x4 블록에 적용할 수 있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ra prediction mode applicable to a 16x16 block in H.264 / AVC, and FIG. 6 is an example of an intra prediction mode applicable to an 8x8 block or a 4x4 block in H.264 / AVC. It is a figure which shows.

H.264/AVC에서 16x16 블록에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경우, 예측 방향에 따라 4가지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한다. 4가지의 인트라 예측 모드 각각은 서로 다른 예측 방향을 가지며, 서로 다른 모드 번호가 할당된다.When intra prediction is performed on a 16x16 block in H.264 / AVC, four intra prediction modes exist according to the prediction direction. Each of the four intra prediction modes has a different prediction direction and is assigned a different mode number.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번호가 0인 경우 수직(vertical) 방향 모드일 수 있으며, 현재 블록의 위쪽에 인접한 화소를 사용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모드 번호가 1인 경우 수평(horizontal) 방향 모드일 수 있으며, 현재 블록의 왼쪽에 인접한 화소를 사용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모드 번호가 2인 경우 DC 모드일 수 있으며, DC 모드는 현재 블록의 위쪽과 왼쪽에 인접한 화소의 평균을 이용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모드 번호가 3인 경우 플레인(plane) 모드일 수 있으며, 플레인 모드는 현재 블록의 위쪽과 왼쪽에 인접한 화소를 대각선 방향으로 보간(interpolation)하여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mode number is 0, the mode number may be a vertical direction mode, and a prediction block may be generated using pixels adjacent to the current block. When the mode number is 1, the mode number may be a horizontal direction mode, and a prediction block may be generated using pixels adjacent to the left side of the current block. If the mode number is 2, it may be a DC mode, and the DC mode may generate a prediction block using an average of pixels adjacent to the upper and left sides of the current block. If the mode number is 3, it may be a plane mode. In the plane mode, prediction may be performed by interpolating pixels adjacent to the upper and left sides of the current block in a diagonal direction.

H.264/AVC에서 8x8 블록 또는 4x4 블록에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경우, 예측 방향에 따라 9가지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한다. 9가지의 인트라 예측 모드 각각은 서로 다른 예측 방향을 가지며, 서로 다른 번호가 할당된다. When intra prediction is performed on an 8x8 block or a 4x4 block in H.264 / AVC, nine intra prediction modes exist according to the prediction direction. Each of the nine intra prediction modes have different prediction directions and are assigned different numbers.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번호 0인 수직(vertical) 방향 모드, 모드 번호 1인 수평(horizontal) 방향 모드, 모드 번호 2인 DC 모드, 모드 번호 3인 대각선 아래-왼쪽(diagonal down-left) 방향 모드, 모드 번호 4인 대각선 아래-오른쪽(diagonal down-right) 방향 모드, 모드 번호 5인 수직-오른쪽(vertical-right) 방향 모드, 모드 번호 6인 수평-아래쪽(horizontal-down) 방향 모드, 모드 번호 7인 수평-왼쪽(vertical-left) 방향 모드, 모드 번호 8인 수평-위쪽(horizontal-up) 방향 모드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9가지의 각 예측 모드의 방향에 따라 8x8 또는 4x4 크기의 현재 블록에 인접한 화소를 사용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vertical direction mode of mode number 0, the horizontal direction mode of mode number 1, the DC mode of mode number 2, the diagonal down-left of mode number 3 ( diagonal down-left direction mode, diagonal down-right direction mode with mode number 4, vertical-right direction mode with mode number 5, horizontal-down mode mode mode 6 down direction mode, a vertical-left direction mode of mode number 7, and a horizontal-up direction mode of mode number 8 may exist. According to the directions of each of the nine prediction modes, a prediction block may be generated using pixels adjacent to the current block having an 8x8 or 4x4 siz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성을 가지는 예측 방향 모드는 비트스트림 내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예측 방향 모드는 현재 블록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블록들과의 상관도가 높기 때문에,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방향 모드는 주변 블록들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기반으로 유추되어 부호화될 수 있다. 이때, 주변 블록의 예측 모드 중 모드 번호가 작은 값을 가지는 모드, 즉 최고 확률 모드(Most Probable Mode; MPM)와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이용하는 부호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가 주변 블록으로부터 예측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이라면 현재 블록은 주변 블록으로부터 예측된 모드, 즉 최고 확률 모드(MPM)를 사용하며, 상기 플래그의 값이 0이라면 현재 블록에 대한 실제 예측 모드 정보가 부호화될 수 있다. 상기 플래그의 값이 0일 때, 현재 블록에 대한 실제 예측 모드는 최고 확률 모드(MPM)를 제외한 8가지 예측 모드에 대하여 부호화를 수행하므로 실제로는 잔여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3비트)로 부호화될 수 있다. The prediction direction mode having the directionality as shown in FIGS. 5 and 6 occupies a relatively large portion in the bitstream. Therefore, since the prediction direction mode has a high correlation with neighboring blocks located around the current block, the prediction dire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may be inferred and encoded based on the intra prediction mode of the neighboring blocks. In this case, an encoding method using a mode having a small mode number among the prediction modes of the neighboring blocks, that is, whether the most probable mode (MPM) matches the prediction mode information of the current block may be used. That is, it may be encoded using flag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prediction mode of the current block is predicted from the neighboring block. If the value of the flag is 1, the current block uses the mode predicted from the neighboring block, that is, the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If the value of the flag is 0, the actual prediction mode information for the current block may be encoded. When the value of the flag is 0, the actual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performs encoding on 8 prediction modes except the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so that the actual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can be encoded with residual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3 bits). have.

한편, 깊이정보 맵을 부호화할 때, 깊이정보 맵에서 객체 경계 부분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서 플레인 세분화(plane segmentation)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이 있다. Meanwhile, when encoding the depth map, there is an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plane segmentation in order to preserve the object boundary portion in the depth map as much as possible.

도 7은 깊이정보 맵에 플레인 세분화 방법을 적용한 경우, 인트라 예측 모드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방법은 상술한 도 3의 부호화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encoding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when a plane segmentation method is applied to a depth map. The method of FIG. 7 may be performed by the encoding apparatus of FIG. 3.

도 7을 참조하면, 부호화 장치는 깊이정보 맵에서 일정 영역(블록)을 객체 경계를 기준으로 두 개의 영역(710, 720)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부호화 장치는 분리된 두 개의 영역(710, 720)을 나타내주기 위하여 비트맵 정보를 부호화하여 복호화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부호화되는 픽셀(to-be-encoded pixels)(C1~C16)의 비트맵 정보를 효율적으로 예측하여 부호화하기 위하여 현재 블록의 부호화되는 픽셀(C1~C16) 주변의 이용 가능한 픽셀(available pixels)로 이루어진 참조 영역(R1~R9)을 참조하여 비트맵 정보를 예측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예를 들어, 특정 블록이 플레인 세분화 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주기 위하여 인트라 예측 모드 중 DC 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해당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DC 모드이면, 해당 블록은 플레인 세분화 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encoding apparatus may separate a predetermined region (block) into two regions 710 and 720 based on an object boundary in the depth map. In this case, the encoding apparatus may encode and transmit bitmap information to the decoding apparatus to represent the two divided regions 710 and 720. In this case, encoded pixel (to-be-encoded pixels) is (C 1 ~ C 16) currently encoded pixel to which the block to be coded efficiently predict the bit map information of the (C 1 ~ C 16) the available pixels around the The bitmap information may be predicted and encoded by referring to the reference regions R 1 to R 9 composed of (available pixels), for example, indicating whether a specific block is encoded using a plane segmentation method. In order to do this, DC mode among intra prediction modes may be used. That is, if the intra prediction mode of the block is the DC mode, it can be seen that the block is encoded using the plane segmentation method.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블록이 플레인 세분화 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DC 모드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경우와 다르게, 깊이정보 맵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효율적으로 유추하기 위해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radient-based Most Probable Mode; GMPM)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는 현재 부호화하려는 현재 블록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픽셀 정보의 상관성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현재 깊이정보 맵 내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case where the DC mode is used to indicate whether the corresponding block is coded by using a plane segmentation method, the variation-based method is used to efficiently infer th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on the depth map. There is a method using the gradient-based Most Probable Mode (GMPM). The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is a method of inferring an intra prediction mode of a current block (the current block in the current depth map) by using correlation of neighboring pixel information located around the current block to be encoded.

도 8은 깊이정보 맵에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적용한 경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방법은 상술한 도 3의 부호화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FIG. 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encoding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when a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is applied to a depth map. The method of FIG. 8 may be performed by the encoding apparatus of FIG. 3.

도 8을 참조하면,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는 현재 블록(810)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블록(820, 830)의 픽셀값을 사용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주변 블록(820, 830)에 대한 왜곡율(distortion)을 구한다. 이때, 사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는 9가지 모드 중 5가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블록(820, 830)에 대한 왜곡율 중에서 가장 최소값을 가지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현재 블록(810)의 최고 확률 모드(MPM)로 사용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performs intra prediction using pixel values of neighboring blocks 820 and 830 located near the current block 810, and neighbors blocks 820 and 830. Find the distortion rate for. In this case, five of nine modes may be used as the intra prediction mode. The intra prediction mode having the lowest value among the distortion rates for the neighboring blocks 820 and 830 is used as the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of the current block 810.

따라서, 이 방법은 현재 블록의 주변 블록들이 모두 부호화/복호화되어 있어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호화 장치의 파싱(parsing) 단계가 아닌 복호화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neighboring blocks of the current block can be used only after all of them are encoded / decoded, the method can be performed in a decoding step instead of a parsing step of the decoding apparatus.

예를 들어, 16x16 블록이 4개의 8x8 블록으로 나누어져서, 각각의 8x8 블록이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한다고 가정해 보자. 복호화 장치의 파싱 단계에서는 각각의 8x8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파싱한다. 이러한 파싱 단계에서는, 주변 블록의 예측 모드 중에서 가장 작은 모드 번호를 가지는 예측 모드가 최고 확률 모드(MPM)로 결정된다. 이때, 각각의 8x8 블록은 복호화 장치의 파싱 단계에서 복원되지 않고 복호화 단계에서 복원된다. 따라서, 주변 블록이 아직 복원되지 않았으므로,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이용하는 방법은 파싱 단계에서 적용할 수 없다. 즉,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는 복호화 단계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복호화 단계에서는, 파싱 단계에서 구해진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이용하여 다시 갱신하여 현재 블록에 적용한다. For example, suppose that a 16x16 block is divided into four 8x8 blocks, so that each 8x8 block performs intra prediction encoding. In the parsing step of the decoding apparatus, the intra prediction mode for each 8x8 block is parsed. In this parsing step, the prediction mode having the smallest mode number among the prediction modes of the neighboring blocks is determined as the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In this case, each 8x8 block is not restored in the parsing step of the decoding apparatus but is restored in the decoding step. Therefore, since neighboring blocks have not yet been restored, the method using gradient 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is not applicable in the parsing step. That is,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may be applied in the decoding step. In the decoding step, the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obtained in the parsing step is updated again using the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and applied to the current block.

상술한 바와 같이, H.264/AVC의 인트라 예측 방법,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등 깊이정보 맵 영상을 인트라 예측하여 부호화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intra-prediction encoding of a depth map image such as an intra prediction method of H.264 / AVC, an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plane segmentation, and an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gradient 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Varies.

이러한 인트라 예측 방법들은 영상에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혹은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영상에 적용된 예측 방법을 구분해주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각각의 방법마다 시그널링 정보를 할당할 경우, 비트량이 증가할 수 있다. These intra prediction methods may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image or all of them. In this case, signaling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a prediction method applied to an image is required. However, when signaling information is allocated to each method, the bit amount may increase.

또한,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의 경우, 최고 확률 모드(MPM)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적용하지 않고, 복호화 단계에서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 모드를 구해서 현재 블록에 적용한다. 따라서, 파싱 단계에서 최고 확률 모드(MPM)를 이용하여 구해진 인트라 예측 모드는 현재 블록에 적용되지 않는 부정확한 모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the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does not apply the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using the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and the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 GMPM) is used to obtain the intra prediction mode and apply it to the current block. Therefore, the intra prediction mode obtained using the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in the parsing step may be an incorrect mode that does not apply to the current block.

플레인 세분화 방법을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의 경우, 복호화 장치는 파싱 단계에서 구해진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비트맵 정보를 복호화할지를 결정한다. 하지만 파싱 단계에서 구해진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부정확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깊이정보 맵을 부호화/복호화할 때, 플레인 세분화 방법 및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이용한 방법을 통합하여 적용할 경우, 파싱 단계에서 부정확한 정보(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파싱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된 시그널링 방법이 필요하다. In the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the plane segmentation method, the decoding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o decode bitmap information by using th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parsing step. However, th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obtained at the parsing step may be inaccurate information. Therefore, when encoding / decoding the depth map, when the plane segmentation method and the method using the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are integrated and applied, parsing information may be parsed incorrectly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Can cause problems. There is a need for an integrated signaling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이하,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들을 적용하기 위한 통합된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 decoding integrated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for applying various intra prediction coding methods.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은 인트라 예측 모드 중 DC 모드를 이용하여 시그널링한다.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은 9가지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5가지 모드를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9가지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에서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 방법에서 사용하지 않는 예측 모드를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을 시그널링하는데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plane segmentation signals using the DC mode among the intra prediction modes. The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the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is coded using five of nine intra prediction mode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using the prediction mode, which is not used in the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method, among nine intra prediction modes to signal the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plane segmentation.

예를 들어, 9가지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에서 가장 적게 발생되는 모드를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인트라 예측 모드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모드 번호인 '8'번 모드를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최고 확률 모드(MPM)로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모드(예컨대, '8'번 모드)가 선택되었고, 그리고 현재 블록이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 방법을 사용하였을 경우, 현재 블록을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로 예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east generated mode among nine intra prediction modes may be set as an intra prediction mode using plane segmentation. For example, a mode number '8', which is a mode number having the largest value among intra prediction modes, may be set as an intra prediction mode using plane segmentation. In this case, when the intra prediction mode using plane segmentation (eg, '8' mode) is selected as the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and the current block uses the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method, the current bloc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redicted in the same intra prediction mode as the gradient 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상술한 일예를 정리하면, 부호화 장치에서 임의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하여 현재 블록을 부호화할 때, 부호화 장치는 아래의 경우를 모두 만족하면 현재 블록에 대해 해당 임의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다. In summary, when the encoding apparatus encodes a current block using an arbitrary intra prediction mode, the encoding apparatus does not use the arbitrary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when all of the following cases are satisfied.

1) 현재 영상이 깊이정보 맵이다.1) The current image is a depth map.

2) 현재 블록에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2) An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plane segmentation may be applied to the current block.

3) 최고 확률 모드(MPM)가 '8'번 모드이다. (즉, 최고 확률 모드(MPM)가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모드이다.)3) The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is mode eight. (Ie, the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is an intra prediction mode using plane segmentation.)

4) 현재 블록이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사용한다. 4) The current block uses gradient 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5)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가 현재 블록에 대한 임의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하다.
5) The gradient 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is the same as any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coding apparatus for decoding an integrated intra predic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깊이정보 맵 영상에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등과 같이 다양한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들이 적용된 경우, 도 9의 복호화 장치를 이용하여 깊이정보 맵에 대한 정확한 예측 모드를 도출할 수 있다. When various intra prediction coding methods are applied to the depth map image such as an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plane segmentation and an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gradient 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the decoding apparatus of FIG. 9 is applied to the depth map. It is possible to derive an accurate prediction mode for the

도 9를 참조하면, 복호화 장치(900)는 파싱부(910) 및 복호화부(9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decoding apparatus 900 includes a parser 910 and a decoder 920.

파싱부(910)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파싱(parsing)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복원하고, 복원된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한다. The parsing unit 910 parses the input bitstream to restore th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block, and determines the intra prediction mode of the current block based on the reconstructed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파싱부(910)는 인트라 예측 정보 파싱부(911) 및 인트라 예측 정보 수정부(912)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arser 910 may include an intra prediction information parser 911 and an intra prediction information corrector 912.

인트라 예측 정보 파싱부(911)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복원한다.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잔여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최고 확률 모드(MPM) 정보일 수 있다. The intra prediction information parsing unit 911 parses the input bitstream and restores th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block. Th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may be residual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and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information.

인트라 예측 정보 수정부(912)는 인트라 예측 정보 파싱부(911)에 의해 파싱된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상황과 조건에 따라 수정한다. 예컨대, 인트라 예측 정보 파싱부(911)에 의해 파싱된 잔여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및 최고 확률 모드(MPM)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The intra prediction information correction unit 912 modifies th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parsed by the intra prediction information parser 911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condition. For example, the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and the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information parsed by the intra prediction information parser 911.

일예로, 잔여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3 비트)가 '7' 값을 가지면 실제로 인트라 예측 모드는 '8'번 모드를 의미하므로, 인트라 예측 정보 수정부(912)는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8'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9가지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에서 가장 적게 발생되는 모드(예컨대, '8'번 모드)를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라면,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모드를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설정한다.For example, if the remaining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3 bits) has a value of '7', the intra prediction mode actually means mode '8', and thus the intra prediction information corrector 912 determines the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You can decide with '8'.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ast generated mode (for example, '8' mode) of the nine intra prediction modes is used as the intra prediction mode using the plane segmentation, the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is used as the plane. Set to intra prediction mode using segmentation.

다른 예로, 현재 블록이 최고 확률 모드(MPM)로 부호화되었고, 최고 확률 모드(MPM)가 '8' 값을 가질 경우, 인트라 예측 정보 수정부(912)는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current block is encoded in the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and the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has a value of '8', the intra prediction information corrector 912 sets the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to '0'. Can be decided.

인트라 예측 정보 수정부(912)는 깊이정보 맵 영상을 복호화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The intra prediction information correction unit 912 may be applied when decoding the depth map image.

복호화부(920)는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기반으로 파싱부(910)로부터 입력된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갱신하여 최종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한다. The decoder 920 updates the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input from the parser 910 based on the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to derive the final intra prediction mode.

보다 구체적으로, 복호화부(920)는 인트라 예측 정보 갱신부(921) 및 인트라 예측 복호화부(922)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ecoder 920 may include an intra prediction information updater 921 and an intra prediction decoder 922.

인트라 예측 정보 갱신부(921)는 파싱부(910)로부터 입력된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갱신한다. 예컨대,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이용하여 파싱부(910)에서 결정된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갱신하고, 갱신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현재 블록에 대한 최종 인트라 예측 모드로 도출할 수 있다. The intra prediction information updater 921 updates the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input from the parser 910. For example, the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determined by the parser 910 may be updated using the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and the updated intra prediction mode may be derived as the final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have.

인트라 예측 복호화부(922)는 인트라 예측 정보 갱신부(921)에서 도출된 최종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예측 블록과 잔여 블록을 더하여 복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The intra prediction decoder 922 generates a prediction block by performing prediction on the current block by using the final intra prediction mode derived from the intra prediction information updater 921. The reconstructed image may be output by adding the prediction block and the residual block.

상술한 실시예를 정리하면, 복호화 장치에서는 아래의 경우를 모두 만족할 때,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플레인 세분화('8'번 모드)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In summary, when all of the following cases are satisfied, the decoding apparatus may change the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to the intra prediction mode using plane segmentation ('8' mode).

1) 현재 영상이 깊이정보 맵이다.1) The current image is a depth map.

2) 현재 블록에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2) An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plane segmentation may be applied to the current block.

3) 잔여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3비트)가 '7' 값을 가진다.
3) The remaining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3 bits) has a value of '7'.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복호화하는 방법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의 방법은 상술한 도 9의 복호화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10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ecoding an integrated intra predic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FIG. 10 may be performed by the decoding apparatus of FIG. 9 described above.

깊이정보 맵 영상에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등과 같이 다양한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들이 적용된 경우, 도 10의 방법을 이용하여 깊이정보 맵에 대한 정확한 예측 모드를 도출할 수 있다. When various intra prediction coding methods such as intra prediction using plane segmentation and intra prediction using gradient 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are applied to the depth map image, the method of FIG. Accurate prediction modes can be derived.

도 10을 참조하면, 복호화 장치는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파싱하여 복원한다(S1010).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잔여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최고 확률 모드(MPM) 정보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decoding apparatus parses and reconstructs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on a current block (S1010). Th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may be residual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and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information.

복호화 장치는 파싱된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한다(S1020). 즉, 잔여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및 최고 확률 모드(MPM)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The decoding apparatus determines an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based on the parsed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S1020). That is, the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may be determined using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and the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information.

예컨대, 파싱된 잔여 인트라 예측 모드가 '7' 값을 가지면, 복호화 장치는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8'번 모드(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블록이 최고 확률 모드(MPM)로 부호화되었으며 최고 확률 모드(MPM)가 '8' 값을 가지면, 복호화 장치는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0'번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arsed residual intra prediction mode has a value of '7', the decoding apparatus may determine the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as the '8' mode (intra prediction mode using plane segmentation). Alternatively, when the current block is encoded in the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and the highest probability mode MPM has a value of '8', the decoding apparatus may determine the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as the '0' mode.

복호화 장치는 단계 S1020에서 결정된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소정의 조건(혹은 상황)에 따라 갱신하고, 갱신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현재 블록에 대한 최종 인트라 예측 모드로 도출한다(S1030). 예컨대, 상술한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적용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조건이면, 복호화 장치는 단계 S1020에서 결정된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이용하여 갱신할 수 있으며, 갱신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현재 블록에 대한 최종 예측 모드로 도출할 수 있다. The decoding apparatus updates the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determined in step S102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or situation), and derives the updated intra prediction mode as the final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S1030). For example, if the intra-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above-described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the decoding apparatus changes the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determined in step S1020 to the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 GMPM), and the updated intra prediction mode may be derived as the final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복호화 장치는 최종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The decoding apparatus may generate the prediction block by performing prediction on the current block using the final intra prediction mode.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등의 다양한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들을 적용하여 이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은 상술한 도 9 및 도 10과 같은 방법 이외에 아래와 같이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a method for signaling by applying various intra prediction coding methods such as an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plane segmentation and an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gradient 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In addition to the following methods, various methods can be used as follows.

1) 일 실시예로, 각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마다 플래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을 구분할 수 있다.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tra prediction encoding method may be distinguished by encoding using the flag information for each intra prediction encoding method.

2) 다른 실시예로,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을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새로운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9가지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서, 플레인 세분화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을 위한 모드를 추가하여 10가지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2) In another embodiment, a new intra prediction mode may be used to signal an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plane segmentation. That is, in nine intra prediction modes, ten intra prediction modes may be used by adding a mode for an intra prediction method using plane segmentation.

3) 또 다른 실시예로, 현재 블록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블록이 모두 복원된 경우에 변화도 기반 최고 확률 모드(GMPM)를 이용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3) In another embodiment, the method using the gradient-based highest probability mode (GMPM) may be applied when all neighboring blocks located near the current block are restored.

상기와 같이 다양한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들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method for applying various intra prediction encoding methods may be variously changed.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methods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a flowchart as a series of steps or block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the steps, and some steps may occur in different orders or simultaneously . It will als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teps depicted in the flowchart illustrations are not exclusive, that other steps may be included, or that one or more steps in the flowchart may be deleted without affec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

깊이정보 맵 영상 내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갱신하여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최종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잔여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및 최고 확률 모드(Most Probable Mode; MPM)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 복호화 방법.
Parsing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on a current block in a depth map image;
Determining an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based on th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And
Updating the intra prediction m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to derive a final intra prediction mode for the current block,
The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residual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and Most Probable Mode (MPM) information.
KR1020130040008A 2012-04-13 2013-04-11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of intra prediction mode KR10223485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8522 2012-04-13
KR1020120038522 2012-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196A true KR20130116196A (en) 2013-10-23
KR102234851B1 KR102234851B1 (en) 2021-04-02

Family

ID=4963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008A KR102234851B1 (en) 2012-04-13 2013-04-11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of intra prediction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851B1 (en)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J. Oh, et al. 3D-AVC-CE4 results on Samsung’s plane segmentation based intra prediction and depth intra skip prediction. ISO/IEC JTC1/SC29/WG11 MPEG2012/M23660 Ver.1, Feb. 2, 2012, pp.1-8 *
K-J. Oh, et al. 3D-CE6 results on depth intra prediction by Samsung and ETRI-KHU. ISO/IEC JTC1/SC29/WG11 MPEG2012/M24825 Ver.1, Apr. 26, 2012, pp.1-7 *
L. Yu, et al. Description of video coding technology proposal by Zhejiang University. ISO/IEC JTC1/SC29/WG11 MPEG2011/M22674 Ver.4, Nov. 28, 2011, pp.1-16* *
Rec. ITU-T H.264 (06/2011) Prepublished version. Annex I Multiview video coding for depth. ISO/IEC JTC1/SC29/WG11 MPEG2011/M22674 Ver.4, Nov. 28, 2011, pp.828-967* *
Y. Zhao, et al. 3D-AVC-CE4 results on Gradient-based Most Probable Mode (GMPM) for intra depth coding. ISO/IEC JTC1/SC29/WG11 MPEG2012/M23630 Ver.1, Feb. 1, 2012, pp.1-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851B1 (en)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0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with in-loop filtering based on tree-structured data unit,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decoding with the same
KR102602614B1 (en) Image coding method based on Transformation and apparatus
KR101947142B1 (en) Methods of decoding using skip mode and apparatuses for using the same
KR202000027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coding/decoding using prediction of filter information
JP6446488B2 (en) Video data decoding method and video data decoding apparatus
KR101984605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KR20150074201A (en) Image encoding device, image encoding method and image encoding program, and image decoding device, image decoding method and image decoding program
KR20140019221A (en) In-loop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mae
KR20180039324A (en) Intra prediction mode deriv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squre or rectangle shape block
KR201600721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multi-view video
KR102105323B1 (en) A method for adaptive illuminance compensation based on object and an apparatus using it
JP7472337B2 (en) Transform-based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CN115053522A (en) Video or image coding with adaptive loop filter
KR20140124434A (en) A method of encoding and decoding depth information map and an apparatus using it
CN1150882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image information
WO2013111977A1 (en) Deblocking method and deblocking apparatus for block on which intra prediction is performed
KR1022348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of intra prediction mode
JP2013168932A (en) Image decoding device, image decoding method, and image decoding program
RU2803184C1 (en) Image encoding method based on transformation and device for its implementation
CN11327321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iling information about consolidated data
KR20130086980A (en) Methods and apparatuses of deblocking on intra prediction block
JP2013168931A (en) Image encoding device, image encoding method, and image encoding program
CN117337565A (en) Intra-frame predi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multiple DIMD modes
CN114930849A (en) Image compil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transformation
WO2013108634A1 (en) Image encoding device, image encoding method, image encoding program, image decoding device, image decoding method, and image decod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