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324A -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324A
KR20130114324A KR1020120036550A KR20120036550A KR20130114324A KR 20130114324 A KR20130114324 A KR 20130114324A KR 1020120036550 A KR1020120036550 A KR 1020120036550A KR 20120036550 A KR20120036550 A KR 20120036550A KR 20130114324 A KR20130114324 A KR 20130114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weight
manufacturing
mixture
syn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1338B1 (ko
Inventor
손정일
남경구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036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33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4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2Staining or dyeing wood; Bleaching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27N1/029Feeding; Proportioning; Con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28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extrusion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목재의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첨가되는 염료의 투입시점 및 공정을 변경해줌으로써 기존 금속계 안료 사용에 따른 제조장비의 마모 방지 및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합성목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목재칩(Wood chip)에 액상염료를 함침시켜 조색하는 단계; 상기 조색된 목재칩을 파쇄하여 색상이 구현된 목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색상이 구현된 목분과 플라스틱을 혼련하여 겔(Gel)상의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혼련된 혼합물을 압출기의 금형을 통해 압출하여 합성목재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목분의 원료인 목재칩에 액상염료를 함침시켜 조색한 다음 목재칩 분쇄공정을 통해 목분을 제조해줌으로써 기존 금속계 안료 사용에 따른 제조장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무기안료 적용 대비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Wood plastic composi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합성목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목재의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첨가되는 염료의 투입시점 및 공정을 변경해줌으로써 제조장비의 마모 방지 및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목재(Wood Plastic Composite)는 천연목재와 비슷한 외관이나 성질을 가지도록 목분과 플라스틱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사출 또는 압출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여 목재와 유사한 제품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합성목재는 천연의 목재를 대체할 수 있는 재료로 매년 높은 비율로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다.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으로는 상기와 같이 목분과 플라스틱을 섞는 방법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첨가물을 혼합하거나, 그 제조방법을 변경하여 합성목재를 생산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합성목재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고밀도 또는 저밀도의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염화비닐(PVC)등을 사용하고, 목분은 대개 재활용된 나무의 생산물들과 목재부스러기, 톱밥을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합성목재의 제조시에 다양하게 첨가되는 첨가물은 합성목재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 생산방식, 제품의 최종용도 등에 따라 첨가물의 종류 및 첨가되는 양이 다양하게 변경되어 첨가되는 것이다.
예컨대, 목분과 플라스틱 혼합물의 부착과 분산을 촉진하기 위한 연결용으로 혼합제가 첨가되고, 혼합물의 결속을 방해하지 않게 차단제가 첨가되며, 제품의 성능 하락을 막는 자외선 차단제와 완충재, 제품의 밀도를 줄이기 위한 발포제 등이 첨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합성목재의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재료의 압출시 무기안료를 함께 투입 혼합하여 압출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금속계 안료를 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조 장비의 마모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합성목재의 기계적 물성 감소 및 제조 비용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합성목재의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첨가되는 염료의 투입시점 및 공정을 변경해줌으로써 기존 금속계 안료 사용에 따른 제조장비의 마모 방지 및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합성목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합성목재 제조방법은, 목재칩(Wood chip)에 액상염료를 함침시켜 조색하는 단계; 상기 조색된 목재칩을 파쇄하여 색상이 구현된 목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색상이 구현된 목분에 플라스틱 및 첨가제를 투입한 뒤 혼련하여 겔(Gel)상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혼합물을 압출기의 금형을 통해 압출 성형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혼합물은, 목분 55 ~ 80중량%, 폴리올레핀 계열 수지 10 ~ 40중량%, 결합제 3 ~ 6중량%, 충진제 2 ~ 7중량%, 산화방지제 0.3 ~ 1중량%, UV안정제 0.2 ~ 1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 수지는, P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 수지는, P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윤활제 3 ~ 8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분은, 80 ~ 120℃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목분 내의 수분 함유율이 4 ~ 12중량%가 되도록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목분을 제조하기 전의 목재칩(Wood chip)에 액상염료를 함침시켜 조색한 다음 목재칩 분쇄공정을 통해 목분을 제조해줌으로써, 기존 금속계 안료 사용에 따른 제조장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무기안료 적용 대비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 제조과정은, 목재칩(Wood chip)에 액상염료를 함침시켜 조색하는 단계와, 상기 조색된 목재칩을 파쇄하여 소정의 색상이 구현된 목분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색상이 구현된 목분에 플라스틱 및 첨가제를 투입 혼련하여 겔(Gel)상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혼합물을 압출기의 금형을 통해 압출 성형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은, 합성목재의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기존 목분 및 기타 혼합물의 혼련 과정에서 고가의 금속계 무기 안료를 투입하여 색상을 구현해주는 방식 대신, 상기 목분 제조의 전단계에서 목재칩에 액상염료를 함침시켜 원하는 소정의 색상으로 사전에 조색한다. 그런 다음, 조색된 목재칩을 파쇄하는 파쇄공정을 실시해줌으로써 목분 자체에 색상을 구현해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목분을 건조기 내에 투입하여 80 ~ 120℃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목분 내의 수분 함유율이 4 ~ 12중량%가 되도록 건조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목분의 건조온도가 80℃ 이하일 경우에는 건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반대로 건조온도가 120℃ 이상일 경우에는 급격한 건조로 인해 목분 자체의 치밀한 조직이 뒤틀리게 되는 변형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분의 수분 함유율이 4 ~ 12중량%가 되도록 건조하는데, 이렇게 수분을 4 ~ 12중량%으로 조절하게 되면 별도의 바인더를 첨가하지 않고도 폴리올레핀 계열 수지와의 원활한 혼합이 이루어져 합성목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살균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반해, 수분 함유율이 12중량% 이상으로 될 경우에는 합성목재의 제조 시 목분 내부의 수분이 증발함에 따른 기포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폴리올레핀 계열 수지 등과 같이 배합 시 결합력을 약화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불량품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건조 공정을 거쳐 건조된 목분은 플라스틱 및 첨가제와 함께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하게 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은, 예컨대 목분 55 ~ 80중량%, 폴리올레핀 계열 수지 10 ~ 40중량%, 결합제 3 ~ 6중량%, 충진제 2 ~ 7중량%, 산화방지제 0.3 ~ 1중량%, UV안정제 0.2 ~ 1중량%를 혼련기 내부에 각각 투입하게 되며, 소정의 시간 동안 혼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폴리올페핀 계열 수지는 PP(폴리프로필렌) 또는 PE(폴리에틸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혼합물에는 치밀한 섬유 조직을 갖는 침엽수로 구성된 목분이 55 ~ 80중량% 배합됨에 따라 목재 고유의 무늬와 질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목분에 PP 또는 PE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 계열 수지를 10 ~ 40중량%를 배합함에 따라 폴레올레핀 계열 수지 자체의 내약품성과 내화학성이 우수하면서, 쉽게 부식되지 않으며, 직사광선에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고유한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UV안정제(UV Stabilizers)가 0.2 ~ 1중량% 첨가됨에 따라, 합성목재가 외부에 노출시 자외선 등의 영향에 의해 합성수지 고분자의 분해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합성목재가 쉽게 뒤틀리거나, 형상이 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는 윤활제 3 ~ 8중량%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합성목재의 성형성이 좋게 되고, 합성목재의 압출 성형 시 불량 발생률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압출 성형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는, 압출기의 일측에 설치된 냉각수 분사기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 공정을 실시함에 따라 최종적인 제품으로 완성된다. 이렇게 제조된 합성목재는, 건물의 외벽재, 지붕 또는 주택용 펜스, 테라스, 산책로 바닥재 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목재칩(Wood chip)에 액상염료를 함침시켜 조색하는 단계;
    상기 조색된 목재칩을 파쇄하여 색상이 구현된 목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색상이 구현된 목분에 플라스틱 및 첨가제를 투입한 뒤 혼련하여 겔(Gel)상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혼합물을 압출기의 금형을 통해 압출 성형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목분 55 ~ 80중량%, 폴리올레핀 계열 수지 10 ~ 40중량%, 결합제 3 ~ 6중량%, 충진제 2 ~ 7중량%, 산화방지제 0.3 ~ 1중량%, UV안정제 0.2 ~ 1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 수지는, P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 수지는, P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윤활제 3 ~ 8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분은,
    80 ~ 120℃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목분 내의 수분 함유율이 4 ~ 12중량%가 되도록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합성목재.
KR1020120036550A 2012-04-09 2012-04-09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1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550A KR101421338B1 (ko) 2012-04-09 2012-04-09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550A KR101421338B1 (ko) 2012-04-09 2012-04-09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324A true KR20130114324A (ko) 2013-10-17
KR101421338B1 KR101421338B1 (ko) 2014-07-18

Family

ID=4963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550A KR101421338B1 (ko) 2012-04-09 2012-04-09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3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877A (ko) * 2014-12-10 2016-06-21 주식회사 창대기업 대나무목분을 이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72501B1 (ko) 2019-07-03 2020-02-03 주식회사 하성 열안정성이 우수한 이중압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59557B1 (ko) 2021-05-14 2022-10-27 문진호 열충격 저항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549B1 (ko) 2019-04-24 2019-12-02 대성우드 주식회사 천연 무늬목 구현 및 항균성을 향상시킨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성목재
KR102578602B1 (ko) 2022-12-07 2023-09-13 정범희 가는 나무조각을 이용한 인공목재와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506B1 (ko) * 2009-11-12 2010-11-04 김종수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5134A (ko) * 2009-12-09 2011-06-15 최영기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인조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20110099468A (ko) * 2010-03-02 2011-09-08 주식회사 더우드 강도가 우수한 합성목재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050270B1 (ko) * 2011-01-06 2011-07-19 최희선 열팽창 억제용 합성목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877A (ko) * 2014-12-10 2016-06-21 주식회사 창대기업 대나무목분을 이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72501B1 (ko) 2019-07-03 2020-02-03 주식회사 하성 열안정성이 우수한 이중압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59557B1 (ko) 2021-05-14 2022-10-27 문진호 열충격 저항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338B1 (ko) 2014-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2234A (ko)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21338B1 (ko)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0491471C (zh) 木塑共混复合材料制品的制造方法
CN101168311B (zh) 一种新型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416517B1 (ko)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고강도 난연성 합성목재
KR20140032131A (ko) 투명 표면층을 갖는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CN101186755B (zh) 一种椰衣与热塑性塑料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101030425B1 (ko) 합성목재 제조방법
CN103509361A (zh) Pe木塑复合材料型材及其制造方法
KR20130036003A (ko) 모조 나무
CN103483841A (zh) 一种耐磨、防水、抗老化型木塑复合材料及其成型工艺
KR101559530B1 (ko)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20140092653A (ko) 발포 수지층을 갖는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CN103665630A (zh) 一种通体具有天然木纹的木塑制品的生产工艺及其制备方法
KR101180906B1 (ko) 섬유질 플라스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336977B (zh) 一种全塑仿木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149280B1 (ko) 데크보드와 그의 제조방법
KR20120009092A (ko) 합성목재의 무늬 형성장치
KR101113114B1 (ko) Wpc용 올레핀계 조성물
CN102167911B (zh) 利用废弃物制作的环保木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10130147A (ko)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및 그 합성목재
KR20140032132A (ko) 직결시공이 가능한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202787881U (zh) 一种pvc木塑开槽共挤地板
CN202787880U (zh) 一种pvc木塑开槽空心地板
KR20110065134A (ko)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인조합성목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