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310A - 점파식 파종장치 - Google Patents

점파식 파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310A
KR20130114310A KR1020120036530A KR20120036530A KR20130114310A KR 20130114310 A KR20130114310 A KR 20130114310A KR 1020120036530 A KR1020120036530 A KR 1020120036530A KR 20120036530 A KR20120036530 A KR 20120036530A KR 20130114310 A KR20130114310 A KR 20130114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haft
support
rod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6395B1 (ko
Inventor
손덕현
Original Assignee
손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덕현 filed Critical 손덕현
Priority to KR1020120036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395B1/ko
Publication of KR20130114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1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01B59/06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for ploughs or like imp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파식 파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점파식 파종장치에 있어서,
트랙터(1)의 후측에 장치된 로터베이터(2)의 결합프레임(201)에 나란히 장치되는 지지대(401)의 전측은 밴드(401a)로 결합프레임(201)에 결합시키고, 지지대(401)의 후측은 연결대(402)를 결합시키며, 양측 지지대(401) 사이에 중간대(403)를 나란히 설치하되, 양측 중간대(403) 사이에는 결합편(404)을 설치하고, 연결대(402)의 후측은 결합관(405a)(405b)을 상하로 설치한 연결편(405)의 상부와 결합시켜 구성시킨 두둑 성형기 지지용 지지부(4)와;
연결편(405) 하부에 설치한 결합관(405b)에 버팀대(502)를 삽설하고, 연결편(405) 상부에 설치한 결합관(405a)에 장치대(501)를 삽설하되, 버팀대(502)와 장치대(501)의 양단을 결합대(503)로 연결하여 나란히 유지되게 하며, 장치대(501)의 양측부에는 결합봉(504)의 전측을 밴드(504a)로 결합시키고, 결합봉(504)의 후측은 수직연결관(505a)이 형성된 연결봉(505)을 결합시키며, 수직연결관(505a)에 축연결봉(506)의 상부를 삽설하고, 축연결봉(506)의 하부에는 회전축(508)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축베어링(507)을 구성한 장치부(5)와;
장치부(5)의 장치대(501)에 지지봉(601)의 상부를 밴드(601a)로 결합하여 버팀대(502)가 지지봉(601)을 지지하도록 장치하며, 지지봉(601)의 하부에 각각 쟁기날(602)을 탈착 가능하도록 볼트(602a) 결합하여 구성한 두둑 성형기(6)와;
회전축(508) 상에 축대결합관(701)을 볼트(701a) 결합하고, 축대결합관(701)의 외주연에 축대결합봉(702)을 다수개 방사형으로 균등간격에 형성하며, 원통형축대(703)의 일측에 형성한 결합홈(703a)에 축대결합봉(702)을 나사결합하고, 원통형축대(703)의 타측은 빗면으로 구성한 파종홈 성형기(7)와;
결합프레임(201)과 결합프레임(201)의 상측에 구성하며 중심에는 결합편(801a)을 형성한 사각프레임(801)을 결합부재(802)로 결합하고, 사각프레임(801)에 형성한 결합편(801a)과 중간대(403)에 형성한 결합편(404)에 실린더(803)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여 구성한 승강장치(8)로 구성함으로써, 밭을 가는 작업과 두둑 성형 작업, 파종홈 성형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두둑 성형기(6)의 설치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두둑 성형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두둑의 성형 위치에 대응하여 파종홈 성형기(7)의 설치위치도 조절하여 파종홈 성형 위치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통형축대(703)와 축대결합봉(702)의 나사결합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파종홈의 성형간격과 깊이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점파식 파종장치{A direct spot-seeder}
본 발명은 점파식 파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트랙터의 후측에 장치하여 밭을 가는 작업, 두둑 성형작업, 파종홈 성형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파식 파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종은 단위 면적당의 수확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흙의 준비 작업에 뒤따르는 모든 농업의 가장 초보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종자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일, 이들의 생육에 알맞은 밀도를 형성하는 일은 수량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파종 작업에서는 파종간격이 일정해야 하며, 파종량이 적당하고 결주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파종작업은 파종한 종자가 일시에 발아(發芽)하여 균일하게 생육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적당한 시기에 적절한 깊이로 적당한 양의 종자를 능률적으로 파종하는 것이 중요하다.
파종법은 대개 산파, 조파, 그리고 점파로 분류된다. 산파법은 지표면에서 사방으로 넓게 파종하는 방법으로, 목초, 곡물 등을 파종할 시 이용하는 방법이다. 조파법은 일정한 간격의 줄에 연속으로 파종하는 방법으로, 곡류, 채소 등을 파종할 시 이용하는 방법이다. 점파법은 일정한 간격의 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한 알 또는 여러알씩 파종하는 방법으로, 옥수수, 콩류, 감자, 야채 등을 파종할 시 이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파종장치는 파종방법에 따라 산파식 파종장치, 조파식 파종장치, 점파식 파종장치로 나뉜다.
특히, 감자 등의 파종을 위해서는 점파식 파종장치를 사용하는데 종래의 점파식 파종장치는 밭을 가는 작업과 두둑 성형 작업, 파종홈 성형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지 못하였고,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조립) 및 해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점파식 파종장치는 두둑 성형 위치와 파종홈 성형 위치를 조절할 수 없고, 파종홈 성형 작업시 파종홈의 성형간격과 깊이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밭을 가는 작업과 두둑 성형 작업, 파종홈 성형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또한, 두둑 성형 위치와 파종홈 성형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파종홈의 성형간격과 깊이도 조절할 수 있는 점파식 파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점파식 파종장치에 있어서,
트랙터(1)의 후측에 장치된 로터베이터(2)의 결합프레임(201)에 나란히 장치되는 지지대(401)의 전측은 밴드(401a)로 결합프레임(201)에 결합시키고, 지지대(401)의 후측은 연결대(402)를 결합시키며, 양측 지지대(401) 사이에 중간대(403)를 나란히 설치하되, 양측 중간대(403) 사이에는 결합편(404)을 설치하고, 연결대(402)의 후측은 결합관(405a)(405b)을 상하로 설치한 연결편(405)의 상부와 결합시켜 구성시킨 두둑 성형기 지지용 지지부(4)와;
연결편(405) 하부에 설치한 결합관(405b)에 버팀대(502)를 삽설하고, 연결편(405) 상부에 설치한 결합관(405a)에 장치대(501)를 삽설하되, 버팀대(502)와 장치대(501)의 양단을 결합대(503)로 연결하여 나란히 유지되게 하며, 장치대(501)의 양측부에는 결합봉(504)의 전측을 밴드(504a)로 결합시키고, 결합봉(504)의 후측은 수직연결관(505a)이 형성된 연결봉(505)을 결합시키며, 수직연결관(505a)에 축연결봉(506)의 상부를 삽설하고, 축연결봉(506)의 하부에는 회전축(508)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축베어링(507)을 구성한 장치부(5)와;
장치부(5)의 장치대(501)에 지지봉(601)의 상부를 밴드(601a)로 결합하여 버팀대(502)가 지지봉(601)을 지지하도록 장치하며, 지지봉(601)의 하부에 각각 쟁기날(602)을 탈착 가능하도록 볼트(602a) 결합하여 구성한 두둑 성형기(6)와;
회전축(508) 상에 축대결합관(701)을 볼트(701a) 결합하고, 축대결합관(701)의 외주연에 축대결합봉(702)을 다수개 방사형으로 균등간격에 형성하며, 원통형축대(703)의 일측에 형성한 결합홈(703a)에 축대결합봉(702)을 나사결합하고, 원통형축대(703)의 타측은 빗면으로 구성한 파종홈 성형기(7)와;
결합프레임(201)과 결합프레임(201)의 상측에 구성하며 중심에는 결합편(801a)을 형성한 사각프레임(801)을 결합부재(802)로 결합하고, 사각프레임(801)에 형성한 결합편(801a)과 중간대(403)에 형성한 결합편(404)에 실린더(803)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여 구성한 승강장치(8)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트랙터의 후측에 장치된 로터베이터의 후측으로 두둑 성형기와 파종홈 성형기를 설치함으로써, 밭을 가는 작업과 두둑 성형 작업, 파종홈 성형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두둑 성형기의 설치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두둑 성형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두둑의 성형 위치에 대응하여 파종홈 성형기의 설치위치도 조절하여 파종홈 성형 위치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통형축대와 축대결합봉의 나사결합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파종홈의 성형간격과 깊이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두둑 성형기의 예시도
도 6은 도 2의 가 - 가'선 단면도
도 7은 도 2의 나 - 나'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종홈 성형기의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먼저,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예시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파식 파종장치는 트랙터(1)의 후측에 장치된 로터베이터(2)의 결합프레임(201)에 연결되어 두둑 성형기(6)를 지지해주고 각 장치들을 견인해주는 지지부(4)와, 각 장치들이 설치되는 틀을 제공하며 지지부(4)의 후측에 결합되는 장치부(5)와, 장치부(5)의 장치대(501)에 설치되고 버팀대(502)에 의해 지지되며 밭의 두둑을 성형하는 두둑 성형기(6)와, 장치부(5)의 회전축(508) 상에 설치되고 트랙터(1)의 진행에 따라 회전하며 파종홈을 성형하는 파종홈 성형기(7)와, 결합프레임(201)의 상측에 구성한 사각프레임(801)에 설치되어 결합프레임(201)을 축으로 파종장치(3)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8)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4)는 지지대(401), 연결대(402), 중간대(403), 밴드(401a), 연결편(405)으로 구성되고, 트랙터(1)의 후측에 장치된 로터베이터(2)의 결합프레임(201)에 연결되어 두둑 성형기(6)를 지지해주고 각 장치들을 견인해주며, 장치부(5)를 결속하여 일체로 승강작동을 하게 된다.
즉, 결합프레임(201)에 나란히 장치되는 지지대(501)의 전측은 밴드(401a)로 결합프레임(201)에 결합시키고, 지지대(401)의 후측은 연결대(402)를 결합시킨다.
이때, 지지대(401)의 전측은 밴드(401a)의 상부에 형성한 결합편(401b)에 연결하여 힌지 작동을 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중간대(403)는 양측 지지대(401) 사이에 나란히 설치되어 지지대(401)를 연결하며, 양측 중간대(403) 사이에는 실린더(803)와 연결되도록 결합편(404)을 설치한다.
또한, 연결대(402)의 전측은 지지대(401)에 결합시키고, 연결대(402)의 후측은 결합관(405a)(405b)을 상하로 설치한 연결편(405)의 상부와 결합시키되, 연결편(405)은 상부에서 하부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장치한다.
장치부(5)는 버팀대(502), 장치대(501), 결합대(503), 결합봉(504), 연결봉(505), 수직연결관(505a), 축연결봉(506), 축베어링(507), 회전축(508)으로 구성되고, 지지부(4)의 연결편(405)에 결합되며, 각 장치들을 설치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즉, 버팀대(502)는 연결편(405)의 하부에 설치한 결합관(405b)에 삽설하고, 연결편(405) 상부에 설치한 결합관(405a)에 장치대(501)를 삽설한다.
이때, 버팀대(502)와 장치대(501)의 양단은 결합대(503)로 연결하여 나란히 유지되게 한다.
또한, 장치대(501)의 양측부에는 나란히 장치되는 결합봉(504)의 전측을 밴드(504a)로 결합시키고, 결합봉(504)의 후측은 수직연결관(505a)이 형성된 연결봉(505)을 결합시킨다.
또한, 수직연결관(505a)에는 축연결봉(506)의 상부를 삽설하고, 축연결봉(506)의 하부에는 축베어링(507)을 설치하여 회전축(508)의 양측부를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장치부(5)는 지지부(4)의 후측에 장치되어 각 장치들을 설치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고 설치된 각 장치들을 지지하며 지지부(4)와 일체로 승강장치(8)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두둑 성형기(6)는 쟁기날(602), 지지봉(601), 밴드(601a)로 구성되고, 장치부(5)의 장치대(501)에 설치되어 버팀대(502)에 의해 지지되며 밭의 두둑을 성형시켜준다.
즉, 도 6과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봉(601)의 상부는 장치부(5)의 장치대(501)에 밴드(601a)로 결합하고 버팀대(502)가 후측에서 지지봉(601)을 지지하도록 장치한다.
이때, 버팀대(502)의 역할은 두둑 성형기(6)의 지지봉(601)을 후측에서 지지하여 두둑 성형 작업시 두둑 성형기(6)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인 것이다.
또한, 지지봉(601)의 하부에 각각 쟁기날(602)을 탈착 가능하도록 볼트(602a) 결합하여 설치한다.
이때, 쟁기날(602)은 성형시킬 두둑의 폭에 따라 다수개의 쟁기날(602)을 겹쳐지게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두둑 성형기(6)는 장치부(5)의 장치대(501) 상에서 설치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두둑 성형 작업시 두둑 성형 위치와 두둑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종홈 성형기(7)는 축대결합관(701), 축대결합봉(702), 원통형축대(703)로 구성되고,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며 두둑 성형기에서 성형한 두둑에 일정간격으로 파종홈을 성형한다.
즉, 축대결합관(701)은 회전축(508) 상에 볼트(701a) 결합하고, 축대결합관(701)의 외주연에는 축대결합봉(702)을 다수개 방사형으로 균등간격에 형성한다.
이때, 축대결합봉(702)은 원통형축대(703)의 결합홈(703a)과 나사결합하도록 나사산(702a)을 형성하고, 조임너트(702b)를 구비한다.
또한, 원통형축대(703)는 일측에 결합홈(703a)을 형성하고 결합홈(703a)에 축대결합봉(702)을 나사결합시켜서 조임너트(702b)로 고정하고, 원통형축대(703)의 타측은 파종홈을 성형하기 용이하도록 빗면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파종홈 성형기(7)는 두둑 성형기(6)에서 성형한 두둑 성형 위치에 대응하여 파종홈 성형기(7)의 설치위치도 조절함으로써 파종홈 성형 작업시 파종홈 성형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원통형축대(703)와 축대결합봉(702)의 나사결합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파종홈 성형 작업시 파종홈의 성형간격과 깊이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승강장치(8)는 사각프레임(801), 결합부재(802), 실린더(803)로 구성되고, 결합프레임(201)을 축으로 지지부(4)와 지지부(4)에 연결된 장치부(5)를 일체로 승강시킴으로써, 파종장치(3)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즉, 사각프레임(801)은 결합프레임(201)의 상측에 구성하고 중심에는 결합편(801a)을 형성하며 사각프레임(801)의 양단은 결합부재(802)로 결합프레임(201)에 결합한다.
또한, 사각프레임(801)에 형성한 결합편(801a)과 중간대(403)에 형성한 결합편(404)에 실린더(803)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여, 실린더(803)의 작동에 의해 지지부(4), 장치부(5), 두둑 성형기(6), 파종홈 성형기(7)가 일체로 승강되도록 구성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점파식 파종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터(1)의 후측에 장치된 로터베이터(2)의 후측에 파종장치(3)를 설치함으로써, 밭을 가는 작업과 두둑 형성 작업, 파종홈 성형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구조도 간단하여 설치(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트랙터 2: 로터베이터
201: 결합프레임 3: 파종장치
4: 지지부 401: 지지대
401a, 504a, 601a: 밴드 401b, 404, 801a: 결합편
402: 연결대 403: 중간대
405: 연결편 405a, 405b: 결합관
5: 장치부 501: 장치대
502: 버팀대 503: 결합대
504: 결합봉 505: 연결봉
505a: 수직연결관 506: 축연결봉
507: 축베어링 508: 회전축
6: 두둑 성형기 601: 지지봉
602: 쟁기날 602a, 701a: 볼트
7: 파종홈 성형기 701: 축대결합관
702: 축대결합봉 702a: 나사산
702b: 조임너트 703: 원통형축대
703a: 결합홈 8: 승강장치
801: 사각프레임 802: 결합부재
803: 실린더

Claims (1)

  1. 점파식 파종장치에 있어서,
    트랙터(1)의 후측에 장치된 로터베이터(2)의 결합프레임(201)에 나란히 장치되는 지지대(401)의 전측은 밴드(401a)로 상기 결합프레임(201)에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대(401)의 후측은 연결대(402)를 결합시키며, 양측 지지대(401) 사이에 중간대(403)를 나란히 설치하되, 양측 중간대(403) 사이에는 결합편(404)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대(402)의 후측은 결합관(405a)(405b)을 상하로 설치한 연결편(405)의 상부와 결합시켜 구성시킨 두둑 성형기 지지용 지지부(4)와;
    상기 연결편(405) 하부에 설치한 결합관(405b)에 버팀대(502)를 삽설하고, 상기 연결편(405) 상부에 설치한 결합관(405a)에 장치대(501)를 삽설하되, 상기 버팀대(502)와 장치대(501)의 양단을 결합대(503)로 연결하여 나란히 유지되게 하며, 상기 장치대(501)의 양측부에는 결합봉(504)의 전측을 밴드(504a)로 결합시키고, 결합봉(504)의 후측은 수직연결관(505a)이 형성된 연결봉(505)을 결합시키며, 상기 수직연결관(505a)에 축연결봉(506)의 상부를 삽설하고, 상기 축연결봉(506)의 하부에는 회전축(508)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축베어링(507)을 구성한 장치부(5)와;
    상기 장치부(5)의 장치대(501)에 지지봉(601)의 상부를 밴드(601a)로 결합하여 상기 버팀대(502)가 상기 지지봉(601)을 지지하도록 장치하며, 상기 지지봉(601)의 하부에 각각 쟁기날(602)을 탈착 가능하도록 볼트(602a) 결합하여 구성한 두둑 성형기(6)와;
    상기 회전축(508) 상에 축대결합관(701)을 볼트(701a) 결합하고, 상기 축대결합관(701)의 외주연에 축대결합봉(702)을 다수개 방사형으로 균등간격에 형성하며, 원통형축대(703)의 일측에 형성한 결합홈(703a)에 상기 축대결합봉(702)을 나사결합하고, 상기 원통형축대(703)의 타측은 빗면으로 구성한 파종홈 성형기(7)와;
    상기 결합프레임(201)과 결합프레임(201)의 상측에 구성하며 중심에는 결합편(801a)을 형성한 사각프레임(801)을 결합부재(802)로 결합하고, 상기 사각프레임(801)에 형성한 결합편(801a)과 상기 중간대(403)에 형성한 결합편(404)에 실린더(803)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여 구성한 승강장치(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파식 파종장치.
KR1020120036530A 2012-04-09 2012-04-09 트랙터용 모종이식홈 형성기구 KR101376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530A KR101376395B1 (ko) 2012-04-09 2012-04-09 트랙터용 모종이식홈 형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530A KR101376395B1 (ko) 2012-04-09 2012-04-09 트랙터용 모종이식홈 형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310A true KR20130114310A (ko) 2013-10-18
KR101376395B1 KR101376395B1 (ko) 2014-03-20

Family

ID=49634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530A KR101376395B1 (ko) 2012-04-09 2012-04-09 트랙터용 모종이식홈 형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3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1354A (zh) * 2015-01-07 2015-04-22 山东理工大学 一种黄烟中耕培土喷药施肥机
CN112602387A (zh) * 2020-12-10 2021-04-06 山东科翔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农机用深松机的松土深度调节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1693A (zh) * 2015-01-11 2015-04-29 李先强 机动式花生多行连播种点种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1354A (zh) * 2015-01-07 2015-04-22 山东理工大学 一种黄烟中耕培土喷药施肥机
CN112602387A (zh) * 2020-12-10 2021-04-06 山东科翔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农机用深松机的松土深度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395B1 (ko)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85550B (zh) 一种棉花双行错位苗带精量穴播机
CN204069697U (zh) 一种棉花双行错位苗带精量穴播机
US9585302B2 (en) Closing assembly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CN107278439A (zh) 宽苗带小麦精密播种施肥机单体
KR101376395B1 (ko) 트랙터용 모종이식홈 형성기구
CN202354054U (zh) 大蒜播种机
CN208175285U (zh) 一种多功能农具
CN109601039A (zh) 一种玉米免耕播种装置
KR20140140223A (ko) 과채류 재배 및 육묘가 가능한 고설 베드 장치
CN202104030U (zh) 一种轻便精量点播机
CN108834502A (zh) 一种水稻旱直播仿行播种装置
CN107750535A (zh) 一种直插式穴播机构
CN205017832U (zh) 四行半自动马铃薯施肥种植机
CN203261693U (zh) 宽幅起垄小麦播种机
KR20210097962A (ko) 농기계용 파종기 연결장치
RU122232U1 (ru) Зерновая сеялка
CN213603112U (zh) 蔬菜凸版旋耕起垄精密播种机
CN207054063U (zh) 宽苗带小麦精密播种施肥机单体
CN207399822U (zh) 一种宽幅精密播种机防堵覆土装置
CN214014976U (zh) 一种用于农业加工的育苗点种机
CN211671594U (zh) 一种新型农作物种植用生长攀爬架
KR20200097015A (ko) 파종기
CN217217525U (zh) 一种农业技术推广用农作物种植装置
CN214960888U (zh) 一种具有调节垄沟宽度功能的起垄旋耕机
KR200473564Y1 (ko) 파종기 설치용 링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