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835A - Sheet having styrene co-polymer and olefin co-polymer, multilayer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shee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heet having styrene co-polymer and olefin co-polymer, multilayer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shee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835A
KR20130113835A KR1020120036378A KR20120036378A KR20130113835A KR 20130113835 A KR20130113835 A KR 20130113835A KR 1020120036378 A KR1020120036378 A KR 1020120036378A KR 20120036378 A KR20120036378 A KR 20120036378A KR 20130113835 A KR20130113835 A KR 20130113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tyrene
copolymer
ethyle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3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3813B1 (en
Inventor
신교훈
최상득
김경호
권용구
백대종
김윤용
정창영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03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813B1/en
Publication of KR20130113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8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813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PURPOSE: A sheet has excellent polishing resistance, flame retardance, strength, and mechanical physical properties, has excellent embo-maintaining force, and is used for a vehicle interior. CONSTITUTION: A sheet includes an olefin-based copolymer and a styrene-based copolymer. The content of the styrene unit is 0.1-20 wt%. A multilayer sheet includes a display sheet laminated on the substrate sheet.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ultilayer sheet comprises a step of arranging a substrate sheet and a cover sheet (S110); and a step of forming a multilayer sheet by synthesizing the cover sheet and the substrate sheet (S120). The cover sheet uses the sheet.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110) Arranging a substrate sheet and a cover sheet; (S120) Synthesizing the cover sheet and the substrate sheet; (S125) Forming embossing patterns; (S130) Crosslinking by irradiating electron beam

Description

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트, 이를 이용한 다층시트 및 그 제조 방법 {SHEET HAVING STYRENE CO-POLYMER AND OLEFIN CO-POLYMER, MULTILAYER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SHEET USING THE SAME}SHEET HAVING STYRENE CO-POLYMER AND OLEFIN CO-POLYMER, MULTILAYER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SHE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시트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에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함께 포함시킴으로써, 내마모성, 난연성, 강도 및 엠보 유지력이 우수한 시트, 이를 이용한 다층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et manufacturing technology that can be utilized for automotive interior materials, and more particularly, by including the olefin copolymer and styrene copolymer together in the raw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sheet, wear resistance, flame retardancy, strength and embossing retention An excellent sheet, a multilayer sheet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통상적으로 자동차 내장재는 고분자 시트가 이용된다. 고분자 시트의 경우, 단층 시트 혹은 2이상의 시트가 합판된 다층시트가 이용된다. Typically, automotive interior materials are used polymer sheets. In the case of the polymer sheet, a single layer sheet or a multilayer sheet in which two or more sheets are laminated is used.

종래 자동차 내장재에 사용되는 고분자 시트는 주로 폴리염화비닐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최근 할로겐 함유 물질의 사용 억제에 따라, 폴리염화비닐을 제외한 다양한 고분자를 이용한 고분자 시트가 개발되고 있다. The polymer sheet used in the conventional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mainly used polyvinyl chloride. However, with the recent suppression of the use of halogen-containing materials, polymer sheets using various polymers except polyvinyl chloride have been developed.

그러나, 현재까지 대부분의 자동차 내장재용 고분자 시트의 경우, 내마모성, 난연성, 강도 등이 불충분하거나, 또는 엠보스 유지력이 불충분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o date, most of the polymer sheet for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have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wear resistance, flame retardancy, strength, or insufficient embossing force.

본 발명에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03220호(1999.06.15. 공고)에 개시된 자동차 내장재 표피용의 난연성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적층체가 있다.
Background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ame-retardant olefin-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for the interior of the car interior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203220 (August 15, 1999.) and a lamin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은 내마모성, 난연성,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우수한 엠보스 유지력을 갖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eet hav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wear resistance, flame retardancy, and strength, and having excellent emboss holding for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특성을 갖는 시트를 이용한 다층시트를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layer sheet using a sheet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특성을 갖는 시트를 이용한 다층시트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layer sheet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heet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스티렌 단위체 함량이 0.1~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n olefin copolymer and a styrene copolym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yrene unit content is 0.1 to 20% by weight.

상기 시트에서, 올레핀계 단위체 함량은 60~99중량%가 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스티렌 단위체 및 올레핀계 단위체 합산 100중량% 미만일 경우, 나머지가 상기 스티렌 단위체 및 올레핀계 단위체를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단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sheet, the content of the olefinic unit may be 60 to 99% by weight, in which case, when the total amount of the styrene unit and the olefinic unit is less than 100% by weight, the remainder is one or more units except the styrene unit and the olefin unit. Can be done.

이때, 상기 시트는 적어도,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가 가교되어 있거나, 스티렌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가 가교되어 있을 수 있다. In this case, at least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may be crosslinked, or the styrene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may be crosslinked.

또한, 상기 시트에서, 상기 올레핀계 단위체는 프로필렌 단위체, 에틸렌 단위체, 탄소수 3~8인 1종 이상의 알켄 단위체 및 EPDM 단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올레핀계 단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 단위체 5~50중량부, 에틸렌 단위체 10~60중량부, 탄소수 3~8인 1종 이상의 알켄 단위체 1~50중량부 및 EPDM 단위체 0.1~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heet, the olefin unit may include a propylene unit, an ethylene unit, at least one alkene having 3 to 8 carbon atoms, and an EPDM unit. In this case, 5 to 50 parts by weight of propylene units, 10 to 60 parts by weight of ethylene units, 1 to 5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alkenes having 3 to 8 carbon atoms, and 0.1 to 50 parts by weight of EPDM unit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olefinic units.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시트에서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SEEPSOH(Polystyrene-block-poly(ethylene-ethylene/propylene)-block-hydroxyl-polystyrene),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블록 공중합체, CEBC(crystalline block-(ethylene/butylene)-crystalline) 블록 공중합체, HSBR(Hydrogenated styrene butadiene rubber), SEBC(Styrene-(ethylene/butylene)-crystalline) 블록 공중합체, SEEPS(Polystyrene-block-poly(ethylene-ethylene/propylene)-block) polystyrene), SBS(Styrene-Butadiene-Styrene) 공중합체, SEP(Polystyrene-block-poly(ethylene/propylene)) 및 SEPS(Polystyrene-block-poly(ethylene/propylene)-block-polystyrene)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yrene-based copolymer in the sheet is polystyrene-block-poly (ethylene-ethylene / propylene) -block-hydroxyl-polystyrene (SEEPSOH), styrene- (ethylene / butylene) -styrene (SEBS) block copolymer, CEBC (crystalline block- (ethylene / butylene) -crystalline) block copolymer, HSBR (Hydrogenated styrene butadiene rubber), SEBC (Styrene- (ethylene / butylene) -crystalline) block copolymer, SEEPS (Polystyrene-block-poly (ethylene- ethylene / propylene) -block) polystyrene), SBS (Styrene-Butadiene-Styrene) copolymer, SEP (Polystyrene-block-poly (ethylene / propylene)) and SEPS (Polystyrene-block-poly (ethylene / propylene) -block- polystyrene) may include one or more.

또한, 상기 시트에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스티렌계 공중합체 합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난연제, 내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안료, Talc, 탄석 및 활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합산 20중량부 이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sheet,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crosslinking agents, flame retardants, light stabilizers, ultraviolet absorbers, antioxidants, pigments, Talc, charcoal and lubricant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combined The total amount may further include 20 parts by weight or less.

또한, 상기 시트는 표면에 엠보싱 무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eet may be embossed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시트는 기재 시트와, 상기 기재 시트 상에 적층되어 있는 표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 시트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스티렌 단위체 함량이 0.1~20중량%인 시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ulti-layered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another object includes a base sheet and a cover sheet laminated on the base sheet, the label sheet comprises an olefin copolymer and a styrene copolymer And, the styrene unit content is characterized by using a sheet of 0.1 to 20% by weight.

이때, 상기 표지 시트의 표면에는 엠보싱 무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In this case, an embosse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sheet.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시트 제조 방법은 표지 시트 및 기재 시트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표지 시트 및 기재 시트를 합판하여 다층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 시트로,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스티렌 단위체 함량이 0.1~20중량%인 시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ultilayer sheet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another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cover sheet and a base sheet; And plywood the cover sheet and the base sheet to form a multilayer sheet, wherein the cover sheet includes an olefin copolymer and a styrene copolymer, and has a styrene unit content of 0.1 to 20% by weight. It characterized by using.

이때, 상기 합판과 동시에 표지 시트 표면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거나, 상기 다층시트 형성 후에 상기 표지 시트 표면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an embosse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sheet simultaneously with the plywood, or an embosse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sheet after the multilayer sheet is formed.

또한, 상기 표지 시트로 적어도,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가 가교되어 있거나, 스티렌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가 가교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다층시트 형성 후, 적어도,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가교시키거나, 스티렌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가교시킬 수 있다.
Further, at least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may be crosslinked or the styrene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may be crosslinked as the label sheet. Further, at least after the multilayer sheet is formed,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may be crosslinked, or the styrene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may be crosslinked.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함께 이용하고, 시트에 포함된 폴리스티렌 단위체의 함량을 최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내마모성, 난연성,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또한 엠보 유지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wear resistance, flame retardancy, strength, etc. by using polyolefin copolymer and polystyrene copolymer together, and optimally controlling the content of polystyrene units included in the sheet, and also has embossing retention There is an excellent advantag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자동차 내장재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시트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다층시트 표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surface shape of the multilayer sheet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 1.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트, 이를 이용한 다층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heet including a styrene copolymer and an olefin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layer sheet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lefin copolymer and a styrene copolymer.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는 강도가 우수하고, 우수한 엠보 유지력을 제공한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는 특히 우수한 성형성을 가지며, 이를 통하여 자동차 내장재와 같은 제품 제조시 시트 성형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Polyolefin-based copolymers are excellent in strength and provide excellent emboss retention. In addition, the polyolefin-based copolymer has a particularly excellent moldability, thereby playing a role in facilitating sheet molding in the production of products such as automotive interior materials.

다만, 자동차 내장재 등 소재는 사용자에게 직접 노출되고 있는 바, 우수한 내마모성, 난연성, 강도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자체만으로는 우수한 내마모성, 난연성, 강도 확보에 한계가 있다. However, materials such as automotive interior materials are directly exposed to the user, and therefore, are required to have excellent wear resistance, flame retardancy, and strength. However, only the polyolefin copolymer itself has a limit in securing excellent wear resistance, flame retardancy, and strength.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많은 연구를 수행한 결과,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와 폴리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함께 시트 성분으로 이용한 결과,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우수한 성형성, 엠보 유지력 등이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내마모성, 난연성, 강도가 현저히 상승하는 것을 알아내었다. 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ducted a lot of research, and as a result of using a polyolefin copolymer and a polystyrene copolymer as a sheet component, while excellent moldability, embossing retention, etc. of the polyolefin copolymer is maintained, wear resistance, flame retardancy, It was found that the intensity increased significantly.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경우, 올레핀 단위체와 스티렌 단위체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올레핀 단위체, 스티렌 단위체 및 제3의 단위체(예를 들어, 실록산 단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티렌 단위체 및 올레핀계 단위체 만으로 시트 성분을 구성할 수 있으며, 만약 스티렌 단위체 및 올레핀계 단위체 합산 100중량% 미만일 경우, 나머지가 제3의 단위체로 이루어진다.
In the case of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mposed of an olefin unit and a styrene unit or an olefin unit, a styrene unit and a third unit (for example, a siloxane unit). That is, the sheet component may be composed of only styrene units and olefin units, and if the total amount of styrene units and olefin units is less than 100% by weight, the remainder consists of third units.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서, 스티렌 단위체 함량이 0.1~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 단위체의 경우, 폴리스티렌계 공중합체에 함유되며, 일부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In the shee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tyrene unit content is preferably 0.1 to 20% by weight. In the case of the styrene unit, it may be contained in the polystyrene-based copolymer, and some may be included in the polyolefin-based copolymer.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서, 스티렌 단위체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내마모성, 난연성, 강도 등의 물성 특성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면, 스티렌 단위체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시트의 성형성이 저하되어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제조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In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yrene unit content is less than 0.1%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physical properties such as wear resistance, flame retardancy, strength and the like is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yrene unit content exceeds 20% by weight, the formability of the sheet may be lowered,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 product having a desired sh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올레핀계 단위체 함량이 60~99중량%가 될 수 있다. 올레핀계 단위체 함량이 60중량% 미만일 경우, 성형성 및 엠보 유지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올레핀계 단위체 함량이 99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스티렌 함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내마모성, 난연성, 강도 등의 물성 특성 향상이 어렵다. In addition,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olefinic unit content of 60 to 99% by weight. When the content of the olefinic unit is less than 60% by weight, moldability and embossing retention may be lowered. On the contrary, when the content of the olefin unit exceeds 99% by weight, the styrene content is relatively decreased, so it is difficult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wear resistance, flame retardancy, and strength.

올레핀계 단위체는 프로필렌 단위체, 에틸렌 단위체, 탄소수 3~8인 1종 이상의 알켄 단위체(예를 들어, 프로펜, 부텐, 헥센, 옥텐 등) 및 EPDM 단위체를 포함할 수 있다. Olefinic units may include propylene units, ethylene units, one or more alkenes having 3 to 8 carbon atoms (eg, propene, butene, hexene, octene, etc.) and EPDM units.

이러한 단위체들의 상대적인 함량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올레핀계 단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 단위체 5~50중량부, 에틸렌 단위체 10~60중량부, 탄소수 3~8인 1종 이상의 알켄 단위체 1~50중량부 및 EPDM 단위체 0.1~50중량부를 포함할 때, 보다 우수한 성형성 및 엠보 유지력을 나타내었는 바, 상기 범위의 올레핀계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relative content of these unit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olefinic units, 5 to 50 parts by weight of propylene units, 10 to 60 parts by weight of ethylene units, 1 to 50 or more alkenes having 3 to 8 carbon atoms. When including the parts by weight and 0.1-50 parts by weight of the EPDM unit, it showed more excellent moldability and embossing ret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include the olefin unit in the above range.

본 발명에서, 스티렌계 공중합체는SEEPSOH(Polystyrene-block-poly(ethylene-ethylene/propylene)-block-hydroxyl-polystyrene),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블록 공중합체, CEBC(crystalline block-(ethylene/butylene)-crystalline) 블록 공중합체, HSBR(Hydrogenated styrene butadiene rubber), SEBC(Styrene-(ethylene/butylene)-crystalline) 블록 공중합체, SEEPS(Polystyrene-block-poly(ethylene-ethylene/propylene)-block) polystyrene), SBS(Styrene-Butadiene-Styrene) 공중합체, SEP(Polystyrene-block-poly(ethylene/propylene)) 및 SEPS(Polystyrene-block-poly(ethylene/propylene)-block-polystyrene)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yrene-based copolymer is polystyrene-block-poly (ethylene-ethylene / propylene) -block-hydroxyl-polystyrene (SEEPSOH), styrene- (ethylene / butylene) -styrene (SEBS) block copolymer, CEBC (crystalline) block- (ethylene / butylene) -crystalline) block copolymer, hydrogenated styrene butadiene rubber (HSBR), styrene- (ethylene / butylene) -crystalline block copolymer, polystyrene-block-poly (ethylene-ethylene / propylene) -block) polystyrene), SBS (Styrene-Butadiene-Styrene) copolymer, SEP (Polystyrene-block-poly (ethylene / propylene)) and SEPS (Polystyrene-block-poly (ethylene / propylene) -block-polystyrene)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m.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서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가교되어 있을 수 있다. 가교의 형태는 적어도,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가 가교된 형태, 스티렌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가 가교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추가로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올레핀계 공중합체가 가교된 형태도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may be crosslinked. The crosslinking may be at least a crosslinked form of an olefin copolymer and a styrene copolymer, or a crosslinked form of a styrene copolymer and a styrene copolymer. In addition, a form in which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olefin copolymer are crosslinked may also be included.

가교에 의하여, 인장강도, 내마모성, 난연성 등이 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난연성과 엠보 유지력이 현저히 상승할 수 있다. 가교도는 대략 5~60%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By crosslinking, tensile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flame retardancy, and the like can be further improved, and in particular, flame retardancy and embossing retention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egree of crosslinking may be about 5 to 6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는 가교 속도 향상, 산화방지, 난연성, 광택 등의 물성 향상을 위하여, 가교제, 난연제, 내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안료, Talc, 탄석 및 활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그 합산한 양이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 합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의 함량이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 합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강도, 성형성 등의 물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kind selected from crosslinking agents, flame retardants, light stabilizers, ultraviolet absorbers, antioxidants, pigments, Talc, coal stone and lubricants in order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crosslinking speed, antioxidant, flame retardancy, gloss, etc. It may further include the above additives. It is preferable that the sum total of such an additive is 20 weight part or less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sum total of an olefin type copolymer and a styrene type copolymer. When the content of the additive exceeds 2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and moldability may be drastically lowered.

또한, 시트 표면에는 엠보싱 무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an embosse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sheet surface.

이때, 엠보싱 무늬가 보다 정밀하게 균일하게 형성되고, 특히 형성된엠보가 유지되는 것이 중요한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경우, 형성된 미세한 엠보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hat the embossed pattern is more precisely and uniformly formed, and in particular, the formed emboss is maintained. Referring to FIG. 2, in the case of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formed fine emboss is maintained as it is.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그 자체로 이용할 수 있고, 다층시트의 표지층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itself, and can be used as a cover layer of a multilayer sheet.

본 발명에 따른 시트가 적용되는 다층시트는 기재 시트와, 상기 기재 시트 상에 적층되어 있는 표지 시트를 포함한다. 이때, 표지 시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스티렌 단위체의 함량이 0.1~20중량%인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The multilayer sheet to which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base sheet and a cover sheet laminated on the base sheet.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sheet including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the content of the styrene unit may be used a sheet of 0.1 to 20% by weight.

또한, 표지 시트 표면에는 엠보싱 무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an embosse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sheet.

기재 시트의 경우, 단층 구조가 될 수 있으며, 또한 2개 이상의 시트가 적층된 다층 구조가 될 수 있다. 또한, 기재 시트의 경우, 큰 제한은 없으나, 성형에 유리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the base sheet, it may be a single layer structure, and may also be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sheets are stack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base sheet, although there is no big limita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what was formed from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thermoplastic resin which is favorable for shaping | mo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시트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1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다층시트 제조 방법은 시트 마련 단계(S110) 및 합판 단계(S1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illustrated multi-layer sheet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a sheet preparing step S110 and a plywood step S120.

시트 마련 단계(S110)에서는 표지 시트 및 기재 시트를 각각 마련한다. 표지 시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스티렌 단위체의 함량이 0.1~20중량%인 시트를 이용한다.
In the sheet preparing step (S110), a cover sheet and a base sheet are respectively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sheet includes an olefin copolymer and a styrene copolymer, and a sheet having a content of styrene units of 0.1 to 20% by weight is used.

다음으로, 합판 단계(S120)에서는 표지 시트와 기재 시트를 합판하여 다층시트를 형성한다. Next, in the plywood step (S120), the cover sheet and the base sheet are laminated to form a multilayer sheet.

표지시트와 기재 시트의 합판은 접착제를 이용한 방식, 열압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Plywood of the cover sheet and the base sheet may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a method using an adhesive, a thermocompression meth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시트 제조 방법에서는 다층시트의 표면에엠보싱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S125) 보다 구체적으로, 합판시 롤을 이용할 경우, 롤에 형성하고자 하는 엠보싱 무늬에 반대되는 무늬를 형성함으써, 합판과 동시에 표지 시트 표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롤과 접촉하는 기재 시트 이면으로부터 표지 표면으로 엠보 무늬가 전사됨으로써, 엠보싱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sse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ultilayer sheet. (S125) More specifically, when using a roll during plywood, a pattern opposite to the embossed pattern to be formed on the roll is formed. By forming, the embossed pattern can be formed by transferring the embossed pattern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sheet, more specifically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sheet in contact with the roll, to the cover surface simultaneously with the plywood.

반면, 롤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층시트 형성 후에 표지 시트 표면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ot using a roll, an embosse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sheet after the multilayer sheet is formed.

또한, 다층시트 형성 후에는 가교를 실시하여, 적어도,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가교시키거나, 스티렌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가교시킬 수 있다.(S130) 물론, 합판 이전 표지 시트에 미리 가교를 실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multilayer sheet is formed, crosslinking may be performed to at least crosslink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or to crosslink the styrene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S130) Of course, before plywood The cover sheet can be crosslinked in advance.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s that are not described herein will be omitted sinc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sufficiently infer technically.

1. 시편 제조1. Specimen Manufacturing

(1) 실시예 1(1) Example 1

중량%로, 에틸렌 단위체 39.7%, 프로펜 단위체 9.5%, 부텐 단위체 8.0%, 헥센 단위체 2.6%, 옥텐 단위체 11.7%, EPDM 단위체 0.4%, 스티렌 단위체 4.0%, 실록산 단위체 0.1% 및 나머지 프로필렌 단위체로 이루어지는 표지 시트를 마련하였다. By weight%, consisting of 39.7% ethylene units, 9.5% propene units, 8.0% butene units, 2.6% hexene units, 11.7% octene units, 0.4% EPDM units, 4.0% styrene units, 0.1% siloxane units and the remaining propylene units A cover sheet was prepared.

기재 시트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인 Keyflex TO1192A(LG화학 제조)을 이용하였다. As the base sheet, Keyflex TO1192A (manufactured by LG Chemical), which is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as used.

이후, 기재 시트와 표지 시트를 가열한 상태에서 엠보 무늬가 형성된 롤에 통과시켜 열압착을 실시하여, 기재 시트와 표지 시트를 합판하였다. 이때, 롤 표면에 엠보 무늬를 형성하여, 합판과 동시에 엠보싱 무늬가 형성된 다층시트를 제조하였다.
Thereafter, the base sheet and the cover sheet were thermally pressed by passing through a roll having an embossed pattern while the base sheet and the cover sheet were heated to laminate the base sheet and the cover sheet. At this time, the embossed pattern was formed on the roll surface, and the multilayer sheet in which the embossed pattern was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plywood was manufactured.

(2) 실시예 2(2) Example 2

실시예 1과 동일한 표지 시트 및 기재 시트를 이용하고, 실시예 1과동일한 방법으로 다층시트를 제조한 후, 다층시트 표면에 가속전압 800kV, 전자선 조사 전류 100mA 조건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가교를 실시하였으며, 가교 후 가교도는 39.45%로 나타났다.
Using the same cover sheet and base sheet as in Example 1, a multi-layer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n crosslinked by irradiating an electron beam to the surface of the multi-layer sheet under an acceleration voltage of 800 kV and an electron beam irradiation current of 100 mA. After crosslinking, the degree of crosslinking was found to be 39.45%.

(3) 비교예 1(3) Comparative Example 1

중량%로, 에틸렌 단위체 35.5%, 프로펜 단위체 10.5%, 부텐 단위체 2.5%, 옥텐 단위체 20.0%, EPDM 단위체 1.0%, 실록산 단위체 0.1% 및 나머지 프로필렌 단위체로 이루어지는 표지 시트를 마련하였다. By weight%, a label sheet consisting of 35.5% ethylene units, 10.5% propene units, 2.5% butene units, 20.0% octene units, 1.0% EPDM units, 0.1% siloxane units, and remaining propylene units was prepared.

기재 시트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인 Keyflex TO1192A(LG화학 제조)을 이용하였다. As the base sheet, Keyflex TO1192A (manufactured by LG Chemical), which is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as used.

이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시트를 제조하였다.
Thereafter, a multilayer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2. 물성평가 결과2. Property evaluation result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에 따른 다층시트의 물성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Table 1 shows the physical property evaluation results of the multilayer sheets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 1.

[표 1][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 에서, 인장강도 및 신율은 JIS K 6301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내마모성은 SAE J365의 방법으로 2000회 긁고 난 뒤 시험 전후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감소율(%)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난연성은 MVSS 302 방법으로 수평 연소를 실시하여, 1분당 타들어가는 길이를 측정하였다.
In Table 1,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JIS K 6301. The abrasion resistance was evaluated by weight of before and after the test after scraping 2000 times using the method of SAE J365, to evaluate the weight loss rate (%). And flame retardance was performed horizontally by the MVSS 302 method, and the burning length was measured per minute.

표 1을 참조하면, 올레핀계 공중합체로만 제조된 표지 시트를 적용한 비교예 1에 비하여,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함께 적용한 실시예 1~2의 경우, 강도, 내마모성 및 난연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또한, 전자선 가교가 실시되지 않은 실시예 1에 따른 다층시트에 비하여, 전자선 가교까지 실시된 실시예 2에 따른 다층시트의 경우, 강도, 내마모성 및 난연성이 보다 우수하였다.
Referring to Table 1, in Examples 1 to 2 in which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were applied together, the strength, wear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ce were relative to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label sheet made of the olefin copolymer was applied. Was excellent. In addition, compared to the multilayer sheet according to Example 1, which was not subjected to electron beam crosslinking, the multilayer sheet according to Example 2, which was subjected to electron beam crosslinking, was more excellent in strength, wear resistance, and flame resistance.

도 2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다층시트 표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2 shows the surface shape of the multilayer sheet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 1.

도 2를 참조하면, 비교예 1에 따른 다층시트에 비하여, 실시예 1~2에 따른 다층시트의 경우, 보다 미세하고 균일한 엠보싱 무늬가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2, compared to the multilayer sheet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in the case of the multilayer sheet according to Examples 1 to 2, it can be seen that a finer and more uniform embossing pattern is form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3)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스티렌 단위체 함량이 0.1~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An olefin copolymer and a styrene copolymer,
Styrene unit sheet, characterized in that 0.1 to 20% by w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올레핀계 단위체 함량이 60~99중량%이되,
상기 스티렌 단위체 및 올레핀계 단위체 합산 100중량% 미만일 경우, 나머지가 상기 스티렌 단위체 및 올레핀계 단위체를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단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sheet is
Olefin-based monomer content is 60 to 99% by weight,
When the total amount of the styrene unit and the olefin unit is less than 100% by weight, the she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der is composed of one or more units except for the styrene unit and the olefi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가 가교되어 있거나,
스티렌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가 가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sheet is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are crosslinked,
A sheet characterized by crosslinking a styrene copolymer and a styrene copoly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서,
올레핀계 단위체는
프로필렌 단위체, 에틸렌 단위체, 탄소수 3~8인 1종 이상의 알켄 단위체 및 EPDM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heet,
Olefin-based monomers
A sheet comprising a propylene unit, an ethylene unit, at least one alkene unit having 3 to 8 carbon atoms, and an EPDM unit.
제4항에 있어서,
올레핀계 단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 단위체 5~50중량부, 에틸렌 단위체 10~60중량부, 탄소수 3~8인 1종 이상의 알켄 단위체 1~50중량부 및 EPDM 단위체 0.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5. The method of claim 4,
5 to 50 parts by weight of propylene units, 10 to 60 parts by weight of ethylene units, 1 to 5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alkenes having 3 to 8 carbon atoms, and 0.1 to 50 parts by weight of EPDM unit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lefinic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SEEPSOH(Polystyrene-block-poly(ethylene-ethylene/propylene)-block-hydroxyl-polystyrene),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블록 공중합체, CEBC(crystalline block-(ethylene/butylene)-crystalline) 블록 공중합체, HSBR(Hydrogenated styrene butadiene rubber), SEBC(Styrene-(ethylene/butylene)-crystalline) 블록 공중합체, SEEPS(Polystyrene-block-poly(ethylene-ethylene/propylene)-block) polystyrene), SBS(Styrene-Butadiene-Styrene) 공중합체, SEP(Polystyrene-block-poly(ethylene/propylene)) 및 SEPS(Polystyrene-block-poly(ethylene/propylene)-block-polystyrene)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styrenic copolymer
Polystyrene-block-poly (ethylene-ethylene / propylene) -block-hydroxyl-polystyrene (SEEPSOH), styrene- (ethylene / butylene) -styrene (SEBS) block copolymer, crystalline block- (ethylene / butylene) -crystalline ) Block copolymer, HSBR (Hydrogenated styrene butadiene rubber), SEBC (Styrene- (ethylene / butylene) -crystalline) block copolymer, SEEPS (Polystyrene-block-poly (ethylene-ethylene / propylene) -block) polystyrene, SBS (Styrene-Butadiene-Styrene) copolymer, SEP (Polystyrene-block-poly (ethylene / propylene)) and SEPS (Polystyrene-block-poly (ethylene / propylene) -block-polystyrene) Sheet m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스티렌계 공중합체 합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난연제, 내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안료, Talc, 탄석 및 활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합산 20중량부 이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heet,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a crosslinking agent, a flame retardant, a light stabil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n antioxidant, a pigment, Talc, a coal and a lubrica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is added 20 The sheet further comprises a weight part or les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표면에 엠보싱 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 embossed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eet.
기재 시트와, 상기 기재 시트 상에 적층되어 있는 표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 시트는 제1항 내지 제2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A base sheet and a cover sheet laminated on the base sheet,
The said cover sheet is a sheet | seat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2, 4-7. The multilayer sheet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시트 표면에는 엠보싱 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10. The method of claim 9,
An embossed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sheet.
표지 시트 및 기재 시트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표지 시트 및 기재 시트를 합판하여 다층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 시트로, 제1항에 기재된 시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제조 방법.
Preparing a cover sheet and a base sheet; And
Plywood the cover sheet and the base sheet to form a multilayer sheet; and
As said cover sheet, the sheet | seat of Claim 1 is us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ultilayer sheet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합판과 동시에 표지 시트 표면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거나, 상기 다층시트 형성 후에 상기 표지 시트 표면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제조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orming an embossed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cover sheet simultaneously with the plywood or forming an embossed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cover sheet after the multilayer sheet is form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시트로 적어도,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가 가교되어 있거나, 스티렌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가 가교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거나,
상기 다층시트 형성 후, 적어도,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가교시키거나, 스티렌계 공중합체와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가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시트 제조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t least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are crosslinked, or the styrene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are crosslinked as the label sheet, or
After forming the multilayer sheet, at least,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crosslink, or the styrene copolymer and the styrene copolymer crosslink.
KR1020120036378A 2012-04-06 2012-04-06 Sheet having styrene co-polymer and olefin co-polymer, multilayer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sheet using the same KR1015238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378A KR101523813B1 (en) 2012-04-06 2012-04-06 Sheet having styrene co-polymer and olefin co-polymer, multilayer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shee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378A KR101523813B1 (en) 2012-04-06 2012-04-06 Sheet having styrene co-polymer and olefin co-polymer, multilayer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shee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835A true KR20130113835A (en) 2013-10-16
KR101523813B1 KR101523813B1 (en) 2015-05-28

Family

ID=4963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378A KR101523813B1 (en) 2012-04-06 2012-04-06 Sheet having styrene co-polymer and olefin co-polymer, multilayer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shee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813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7863B2 (en) * 2002-08-13 2007-10-24 三菱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
KR100891836B1 (en) * 2007-01-23 2009-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High flow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KR100889911B1 (en) * 2008-08-29 2009-03-20 주식회사 엘지화학 Compositon for sheet and sheet made there from
KR101318474B1 (en) * 2010-03-30 2013-10-16 (주)엘지하우시스 Compositions Comprising Crosslinked Biopolymer Having High Thermal Resistance And Elong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813B1 (en)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4214B2 (en) Sheet composition and sheet produced therefrom
KR102615358B1 (en) Hydrogenated block copolymer
KR100503709B1 (en) Hydrogenated copolymer
JP4101180B2 (en) Modified hydrogenated copolymer
US7371805B2 (en) Hydrogenated copolymer and composition thereof
JP4776155B2 (en) Hydrogenated copolymer
RU2559317C2 (en) Thermoplastic elastomeric composition and moulded products using said composition
JP6698517B2 (en) Crosslinked polyolefin foam
KR20140044930A (en) Cross-linked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cross-linked composition, and molding
WO2018025343A1 (en) Laminate body
JP7304202B2 (en) Hydrogenated block copolymer
JP2005255856A (en) Hydrogenated diene-based copolym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523813B1 (en) Sheet having styrene co-polymer and olefin co-polymer, multilayer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sheet using the same
JP5167900B2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foam
JP4732749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and use thereof
KR101523814B1 (en) Polymer sheet with excellent strength, wear resistance, flame resistance and embossing mainten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ymer sheet
US7144623B2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sheet, and laminate
KR20190129895A (en) Foam and Molded Body
JP399786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
JP3652960B2 (en) Non-halogen polymer laminate for automotive floor mats
JP4075579B2 (en) Styrenic thermoplastic elastomer skin sheet
KR20190080046A (en) Foam composition usinh the styrene thermoplastic elastomer having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and sensibility for vehicle interior
JP2011121316A (en) Sound absorbing sheet
JP2007112894A (en) Ethylenic resi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