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701A -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701A
KR20130113701A KR1020120036096A KR20120036096A KR20130113701A KR 20130113701 A KR20130113701 A KR 20130113701A KR 1020120036096 A KR1020120036096 A KR 1020120036096A KR 20120036096 A KR20120036096 A KR 20120036096A KR 20130113701 A KR20130113701 A KR 20130113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or
post
information
blog
wr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2137B1 (ko
Inventor
김호연지기
Original Assignee
김호연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연지기 filed Critical 김호연지기
Priority to KR102012003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13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정보처리장치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특정 게시물에 대해 공동 집필자가 될 수 있는 작성 권한 정보를 설정, 부여받아 등록하는 등록단계, 상기 게시물에 대해 수정 또는 추가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작성 권한 정보를 설정,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지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가 작성 권한 정보를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 경우, 포스팅을 함께할 수 있도록 상기 SNS 정보처리장치가 해당 게시물을 상기 공동 집필자의 단말기에 표시하는 표시단계 및, 상기 표시된 게시물에 대해 공동 집필자가 글을 작성한 경우, 공동 집필자에 의해 작성된 해당 정보를 상기 SNS 정보처리장치가 해당 게시물에 포스팅시켜 등록하는 작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로거의 기본적 목적인 포스팅을 함께할 수 있도록 하고, 블로깅에 소셜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게시글에 대해 좀 더 완벽하고 실용적인 내용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writing post using social blogging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게시글에 대해 소정의 사람들에게 작성 및 편집 권한을 부여하고, 작성 및 편집 권한을 부여받은 사람들이 해당 게시글을 수정하거나 추가 작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로거의 기본적 목적인 포스팅을 함께할 수 있도록 하고, 블로깅에 소셜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게시글에 대해 좀 더 완벽하고 실용적인 내용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래의 관련기술 1, 2와 같이 블로거를 소셜 네트워크에 접목시키거나, 블로거들끼리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블로거의 기본적 목적인 포스팅을 함께 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참고로, 관련 기술은 다음과 같다.
먼저, 관련기술 1(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30162호, 발명의 명칭: 블로그 소셜네트웍 구성방법 및 개인화된 검색 랭킹적용방법)은,
검색자가 각 블로거가 직접 링크한 블로그 뿐 아니라 해당 블로거 자신이 알지 못하나 그 블로거와 관련있는 다른 블로거들의 관심사항에 대한 검색도 가능하여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블로그 간의 소셜네트워크 검색이 가능하게 되어 검색자는 좀 더 높은 관련정보를 빨리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인터넷의 블로그 정보를 수집하여 소셜네트웍을 구성하고 검색시 이 소셜네트웍을 이용하여 검색해 주는 시스템에 있어서, 블로그의 정보를 수집하여 링크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에이전트 서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링크정보를 OutLink와 InLink의 추적과정으로 소셜네트웍으로 구성해주는 링크분석서버 상기 분석된 소셜네트웍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자 개인의 검색랭킹 결과에 상기의 정보를 적용하는 검색서버로 구성된 블로그 소셜네트웍 구성과 이를 이용한 개인화 검색서비스 랭킹 시스템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관련기술 2(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61846호, 발명의 명칭: 상황 기반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상황 인지 모바일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는,
비교적 짧은 메시지를 서로 주고 받음으로써 사용자들이 개인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거나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 블로깅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있어서,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실제로 교환되는 정보들은 너무나 많고 다양한 분야의 정보들이 교환되기 때문에 그 중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정확히 찾아내기가 매우 어렵고, 또한, 정보를 찾아내더라도 수시로 변하는 사용자의 활동 상황과는 이미 관계가 없는 경우도 많았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활용하여 같은 상황을 공유하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그러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황 기반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상황 인지 모바일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복수의 사용자의 접속을 관리하고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현재 상황에 기반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와,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활동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와 통신을 행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관심영역 및 활동내역과 같은 사용자의 현재 상황정보를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에 송신하며,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다른 사용자의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후 액정화면 등으로 구성된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각각의 사용자들의 정보와 접속기록을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위치 및 활동내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그러한 정보에 근거하여 동적 소셜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상황 기반 소셜 네트워크 처리서버 및 각각의 사용자들끼리 주고받는 메시지의 내용을 저장하는 메시지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일련의 블로거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들은 블로거를 소셜 네트워크에 단순히 접목시키고 있으나, 본 제안기술에 개시된 하나의 게시글에 대해 소정의 사람들에게 작성 및 편집 권한을 부여하고, 작성 및 편집 권한을 부여받은 사람들이 해당 게시글을 부가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블로거들끼리 서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나, 블로거의 기본적 목적인 포스팅을 함께 하는 기술은 아직까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하나의 게시글에 대해 소정의 사람들에게 작성 및 편집 권한을 부여하고, 작성 및 편집 권한을 부여받은 사람들이 해당 게시글을 부가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함으로써, 블로거의 기본적 목적인 포스팅을 함께할 수 있도록 하고, 블로깅에 소셜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게시글에 대해 좀 더 완벽하고 실용적인 내용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방법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정보처리장치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대표 집필자 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게시물에 대해 공동 집필자가 되는 권한 정보를 설정,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등록 후, 상기 공동 집필자 또는 대표 집필자에 의해 새로이 설정, 혹은 내용이 편집된 게시물을 대표 집필자의 블로그와 더불어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동일하게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권한 정보는 편집권한과 작성권한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물에 대해 편집 권한 정보를 설정,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지 확인하여, 확인 결과 편집 권한 정보를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 경우 편집 화면을 상기 공동 집필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된 편집 화면을 이용해 공동 집필자가 해당 게시물을 편집한 경우, 편집된 해당 게시물 정보를 대표 집필자의 블로그와 더불어 해당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동일하게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성 또는 편집 권한 중 어느 하나는 기존 게시물 내용의 편집 가능 여부에 대한 권한 정보와, 기존 게시물 내용 이후의 내용 추가 가능 여부에 대한 권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게시물 편집시, 등록된 대표 집필자 및 공동 집필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편집 여부에 대해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대표 집필자 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게시물에 대해 공동 집필자가 되는 권한 정보를 설정, 등록하는 권한정보 등록모듈 및, 상기 설정, 등록 후, 상기 공동 집필자 또는, 대표 집필자에 의해 새로이 설정, 혹은 내용이 편집된 게시물을 대표 집필자의 블로그와 더불어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동일하게 저장하는 게시물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권한 정보는 편집권한과 작성권한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게시물 저장부는 상기 게시물에 대해 편집 권한 정보를 설정,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지 확인하는 확인모듈, 상기 확인 결과 편집 권한 정보를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 경우 편집 화면을 상기 공동 집필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된 편집 화면을 이용해 공동 집필자가 해당 게시물을 편집한 경우, 편집된 해당 게시물 정보를 대표 집필자의 블로그와 더불어 해당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동일하게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성 또는 편집 권한 중 어느 하나는 기존 게시물 내용의 편집 가능 여부에 대한 권한 정보와, 기존 게시물 내용 이후의 내용 추가 가능 여부에 대한 권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게시물 편집시, 등록된 대표 집필자 및 공동 집필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편집 여부에 대해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소셜 블로깅을 이용하여 공동 집필을 하는데, 이 경우 작성된 글은 공동 집필자의 블로그에 같이 기재되며 즉, 대표 집필자의 블로그 뿐만 아니라,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같이 기재되며, 저작권 역시 양쪽 모두에게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본 발명은 하나의 게시글에 대해 소정의 공동집필자에게 편집 권한을 부여하고, 편집 권한을 부여받은 공동집필자가 해당 게시글을 부가적으로 작성 또는 편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예: 가령 컴퓨터의 기초라는 제목의 글을 만들 때, 하드웨어 방면에 전문적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과 소프트웨어 방면에 전문적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 둘이 소셜 블로깅을 이용하여 공동 집필을 하는 예- 이 경우 작성된 글은 공동 집필자의 블로그에 같이 기재되며, 저작권 역시 양쪽 모두에게 주어짐), 기존 블로거의 경우에 있어, 블로거들끼리 서로 친분을 쌓아서 할 수 있는 행위가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수준의 행위로 한정되었을 뿐, 블로거의 기본적 목적인 포스팅을 함께하는 행위가 불가능한 것을 해결할 수 있고, 나아가, 블로깅에 소셜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게시글에 대해 좀 더 완벽하고 실용적인 내용을 만들 수 있다.
2. 본 발명은 대표 집필자에 의해 공동집필자의 작성 권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작성 권한은 기존 내용의 편집 가능 여부와 기존 내용 이후의 내용 추가 가능 여부 두 가지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성과 편집을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성 권한을 부여받은 공동 집필자가 소셜 블로깅을 이용해 게시물을 작성하는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집 권한을 부여받은 공동 집필자가 소셜 블로깅을 이용해 게시물을 편집하는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양태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블로깅 저장 양태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대표 집필자 단말기인 제1 클라이언트 단말기(100),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정보처리장치(200), 공동 집필자 단말기인 제2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제1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SNS 정보처리장치(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대표 집필자 단말기로,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특정 게시물에 대해 공동 집필자가 될 수 있는 권한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SNS 정보처리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이다.
SNS 정보처리장치(200)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은 대표 집필자 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게시물에 대해 공동 집필자가 되는 권한 정보를 DB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설정, 등록하고, 상기 설정, 등록 후,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를 통해 공동 집필자(또는, 대표 집필자)에 의해 새로이 설정, 혹은 내용이 편집된 게시물을 대표 집필자의 블로그와 더불어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동일하게 저장한다. 상기 권한 정보는 편집권한과 작성권한 중 하나를 포함하며, 이 경우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저장하는 동작은 상기 게시물에 대해 편집 권한 정보를 설정,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지 확인하여, 확인 결과 편집 권한 정보를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 경우 편집 화면을 상기 공동 집필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된 편집 화면을 이용해 공동 집필자가 해당 게시물을 편집한 경우, 편집된 해당 게시물 정보를 대표 집필자의 블로그와 더불어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동일하게 저장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게시물 편집이 이루어지는 경우, 등록된 대표 집필자 및 공동 집필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편집 여부에 대해 자동적으로 알려주게 된다.
제2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는 SNS 정보처리장치(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공동 집필자 단말기로, 대표 집필자로부터 작성 권한 또는 편집 권한을 부여받아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SNS 정보처리장치(200)와 연동하여 해당 게시물의 내용을 편집하는 것이다.
이하,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시스템을 구성하는 SNS 정보처리장치에 내장되는,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 2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크게, 권한정보 등록모듈(201), 게시물 저장부(202), 알림 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대표 집필자 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게시물에 대해 공동 집필자가 되는 권한 정보를 설정, 등록하는 권한정보 등록모듈(201) 및, 상기 설정, 등록 후, 상기 공동 집필자(또는, 대표 집필자)에 의해 새로이 설정, 혹은 내용이 편집된 게시물을 대표 집필자의 블로그와 더불어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동일하게 저장하는 게시물 저장부(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게시물 저장부는 상기 게시물에 대해 편집 권한 정보를 설정,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지 확인하는 확인모듈, 상기 확인 결과 편집 권한 정보를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 경우 편집 화면을 상기 공동 집필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된 편집 화면을 이용해 공동 집필자가 해당 게시물을 편집한 경우, 편집된 해당 게시물 정보를 대표 집필자의 블로그와 더불어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동일하게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게시물 편집시, 등록된 대표 집필자 및 공동 집필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편집 여부에 대해 알려주는 알림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 3과 도 4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제1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특정 게시물에 대해 공동 집필자가 될 수 있는 권한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SNS 정보처리장치(200)로 전송한다(S401).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SNS 정보처리장치(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대표 집필자 단말기이다.
다음, SNS 정보처리장치(200)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은 대표 집필자 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게시물에 대해 공동 집필자가 되는 권한 정보를 DB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설정, 등록한다(S402).
그런 다음, 상기 설정, 등록 후,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를 통해 공동 집필자(또는, 대표 집필자)에 의해 새로이 설정, 혹은 내용이 편집된 게시물을 대표 집필자의 블로그와 더불어 해당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동일하게 저장한다(S403~S405).
상기 권한 정보는 편집권한과 작성권한 중 하나를 포함하며, 이를 경우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저장하는 동작은,
상기 게시물에 대해 편집 권한 정보를 설정,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지 확인하여, 확인 결과 편집 권한 정보를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 경우 편집 화면을 상기 공동 집필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된 편집 화면을 이용해 공동 집필자가 해당 게시물을 편집한 경우, 편집된 해당 게시물 정보를 대표 집필자의 블로그와 더불어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동일하게 저장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게시물 편집시, 등록된 대표 집필자 및 공동 집필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편집 여부에 대해 알려주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게시글에 대해 소정의 사람들에게 작성 및 편집 권한을 부여하고, 작성 및 편집 권한을 부여받은 사람들이 해당 게시글을 부가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함으로써(예: 가령 컴퓨터의 기초라는 제목의 글을 만들 때, 하드웨어 방면에 전문적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과 소프트웨어 방면에 전문적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 둘이 소셜 블로깅을 이용하여 공동 집필을 하는 예- 이경우 작성된 글은 공동 집필자의 블로그에 같이 기재되며, 저작권 역시 양쪽 모두에게 주어짐), 기존 블로거의 경우에 있어, 블로거들끼리 서로 친분을 쌓아서 할 수 있는 행위가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수준의 행위로 한정되었을 뿐, 블로거의 기본적 목적인 포스팅을 함께하는 행위가 불가능한 것을 해결할 수 있고, 나아가, 블로깅에 소셜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게시글에 대해 좀 더 완벽하고 실용적인 내용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대표 집필자에 의해 공동집필자의 작성 권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작성 권한은 '기존 내용의 편집 가능 여부'와 '기존 내용 이후의 내용 추가 가능 여부' 두 가지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성과 편집을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양태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게시글에 대해 소정의 사람들에게 작성 및 편집 권한을 부여하고, 작성 및 편집 권한을 부여받은 사람들이 해당 게시글을 부가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그렇게 하여, 블로거의 기본적 목적인 포스팅을 함께하는 행위가 불가능한 것을 해결할 수 있고, 나아가, 블로깅에 소셜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게시글에 대해 좀 더 완벽하고 실용적인 내용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성 및 편집 권한은 대표 집필자에 의해 공동집필자의 작성 및 편집 권한을 제한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작성 권한은 예를 들어, '기존 내용의 편집 가능 여부'와 '기존 내용 이후의 내용 추가 가능 여부' 두 가지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성과 편집을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조건이 대표 집필자(Writer)인 "User 01"에 의해 공동 집필자(Co-Writer)인 "User 02"의 작성 권한("단지 쓰기 가능")이 부여되고, 편집 권한은 제한된 예가 도시된 것이다.
참고로, "User 02"는 대표 집필자인 "User 01"으로부터 어떠한 작성 및 편집 권한을 부여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해당 게시글에 대해 수정하거나, 내용을 추가하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없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블로깅 저장 양태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컴퓨터의 기초'라는 제목의 글을 만들 때, 하드웨어 방면에 전문적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과 소프트웨어 방면에 전문적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 둘이 소셜 블로깅을 이용하여 공동 집필을 하는데. 이 경우 작성된 글은 공동 집필자의 블로그에 같이 기재된다.
즉, 대표 집필자인 "User 01"의 블로그(여기서는, Directory : ./ User01/Note/Group01/) 뿐만 아니라,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여기서는,Directory: ./ User03/Note/Co_Write/)에 같이 기재된다.
참고로, 저작권은 역시 양쪽 모두에게 주어진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조건은 대표 집필자인 "User 01"에 의해 공동 집필자인 "User 02"의 작성 권한("단지 쓰기 가능")이 부여되고, 편집 권한은 제한된 예가 도시된 것이다.
"User 02"는 대표 집필자인 "User 01"으로부터 어떠한 작성 및 편집 권한을 부여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해당 게시글에 대해 수정하거나, 내용을 추가하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없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 클라이언트 단말기
200 :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정보처리장치
300 : 제2 클라이언트 단말기
201 : 권한정보 등록모듈 202 : 게시물 저장부

Claims (10)

  1.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정보처리장치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대표 집필자 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게시물에 대해 공동 집필자가 되는 권한 정보를 설정,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등록 후, 상기 공동 집필자 또는 대표 집필자에 의해 새로이 설정, 혹은 내용이 편집된 게시물을 대표 집필자의 블로그와 더불어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동일하게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정보는
    편집권한과 작성권한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물에 대해 편집 권한 정보를 설정,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지 확인하여, 확인 결과 편집 권한 정보를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 경우 편집 화면을 상기 공동 집필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된 편집 화면을 이용해 공동 집필자가 해당 게시물을 편집한 경우, 편집된 해당 게시물 정보를 대표 집필자의 블로그와 더불어 해당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동일하게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또는 편집 권한 중 어느 하나는
    기존 게시물 내용의 편집 가능 여부에 대한 권한 정보와, 기존 게시물 내용 이후의 내용 추가 가능 여부에 대한 권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 편집시, 등록된 대표 집필자 및 공동 집필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편집 여부에 대해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방법.
  6.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대표 집필자 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게시물에 대해 공동 집필자가 되는 권한 정보를 설정, 등록하는 권한정보 등록모듈; 및
    상기 설정, 등록 후, 상기 공동 집필자 또는 대표 집필자에 의해 새로이 설정, 혹은 내용이 편집된 게시물을 대표 집필자의 블로그와 더불어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동일하게 저장하는 게시물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정보는
    편집권한과 작성권한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 저장부는
    상기 게시물에 대해 편집 권한 정보를 설정,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지 확인하는 확인모듈;
    상기 확인 결과 편집 권한 정보를 부여받은 등록된 공동 집필자인 경우 편집 화면을 상기 공동 집필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된 편집 화면을 이용해 공동 집필자가 해당 게시물을 편집한 경우, 편집된 해당 게시물 정보를 대표 집필자의 블로그와 더불어 해당 공동집필자의 블로그에 동일하게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또는 편집 권한 중 어느 하나는
    기존 게시물 내용의 편집 가능 여부에 대한 권한 정보와, 기존 게시물 내용 이후의 내용 추가 가능 여부에 대한 권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 편집시, 등록된 대표 집필자 및 공동 집필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편집 여부에 대해 알려주는 알림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KR1020120036096A 2012-04-06 2012-04-06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412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096A KR101412137B1 (ko) 2012-04-06 2012-04-06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096A KR101412137B1 (ko) 2012-04-06 2012-04-06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701A true KR20130113701A (ko) 2013-10-16
KR101412137B1 KR101412137B1 (ko) 2014-06-27

Family

ID=4963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096A KR101412137B1 (ko) 2012-04-06 2012-04-06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9525B2 (en) 2013-12-10 2017-05-02 Kt Corporation Narrative generating sche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041A (ko) * 2003-12-29 2005-03-11 엔에이치엔(주) 게시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96991B1 (ko) * 2010-05-06 2012-11-02 엔에이치엔(주) 공동 게시글 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9525B2 (en) 2013-12-10 2017-05-02 Kt Corporation Narrative generating sche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137B1 (ko)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00466A1 (en) Representation of people in a spreadsheet
CA2794412C (en) Social graph that includes web pages outside of a social networking system
EP2661711B1 (en) Mapping a third-party web page to an object in a social networking system
Palmer “iReporting” an uprising: CNN and citizen journalism in network culture
Kostakos et al. Cityware: Urban computing to bridge online and real-world social networks
Zhao et al. Demonstration of public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media in the network society within Shanghai
Alsughayr Social media in healthcare: uses, risks, and barriers
He et al. Mining enriched contextual information of scientific collaboration: A meso perspective
Zheng et al. A framework of context‐awareness support for peer recommendation in the e‐learning context
Luqiu et al. Loyalty to WeChat beyond national borders: A perspective of 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 on techno-nationalism
Canary et al. Policy communication: Engaging multiplicity
Meng et al. Restoration of mobility through mobile health: the digital health code as a technology of governance
US20140019545A1 (en) Social Graph Expanding Method, Program and System
Thelwall et al. Information‐centered research for large‐scale analyses of new information sources
KR101412137B1 (ko) 소셜 블로깅을 이용한 게시물 작성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52795A (ko) 정보와 사람을 매개로 한 커뮤니티 운영방법 및 그 장치
Kostakos Social networking 2.0
Marenzi et al. Social software for lifelong competence development: Challenges and infrastructure
JP6500113B2 (ja) 集団階層体系構築方法及び装置
Harris et al. Connectivity patterns for supporting BPM in healthcare
Heffron Human Rights at the Heart of Energy Justice
CN108449485A (zh) 一种移动智能的图书馆信息服务系统设计
Jones et al. Urban Enclave Location-Aware Social Computing
Al-Busaidi et al. Sharing Knowledge in the Social Media Era: Strengths and Weaknesses for Knowledge Workers.
JP706476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