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128A - 수상 레저 기구 - Google Patents

수상 레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128A
KR20130113128A KR1020120035465A KR20120035465A KR20130113128A KR 20130113128 A KR20130113128 A KR 20130113128A KR 1020120035465 A KR1020120035465 A KR 1020120035465A KR 20120035465 A KR20120035465 A KR 20120035465A KR 20130113128 A KR20130113128 A KR 20130113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isure
outer shell
ball
imp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표
Original Assignee
홍진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진표 filed Critical 홍진표
Priority to KR1020120035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3128A/ko
Publication of KR2013011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0Apparatus used in water
    • A63B2225/605Fl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가 그 안에 들어가 두 발과 양손을 이용해 무게 중심을 옮겨가며 수면 위를 원하는 방향으로 걷거나 달릴 수 있는 공 형상의 레저 또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는 그 사이에 기체가 수용되는 내면과 외면을 구비하고, 상기 외피에는 상기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는 통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외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레저 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상 레저 기구 {IMPLEMENT FOR AQUATIC LEISURE}
본 발명은 이용자가 그 안에 들어가 두 발과 양손을 이용해 무게 중심을 옮겨가며 수면 위를 원하는 방향으로 걷거나 달릴 수 있는 공 형상의 레저 또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용으로 사용되는 레저 기구로는 사람이 올라타도록 고안된 다양한 형태의 튜브가 있다. 최근 수상 레저 산업이 발전하면서 좀 더 다양하고 큰 재미를 줄 수 있는 레저 기구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그 안에 들어가 두 발과 양손을 이용해 무게 중심을 옮겨가며 수면 위를 원하는 방향으로 걷거나 달릴 수 있는 공 형상의 레저 또는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는 그 사이에 기체가 수용되는 내면과 외면을 구비하고, 상기 외피에는 상기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는 통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외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레저 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하좌우가 없는 완전한 공 모양 또는 그에 준하는 모양을 함으로써 넘어지거나 뒤집어져도 그 안에 들어가 있는 이용자는 물에 빠질 위험이 없다.
또한, 강이나 호수 등 비교적 잔잔한 수면에서는 물론 높은 파도가 치는 바다에서도 안전 상의 위험 없이 물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육지에서도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됨이 없다.
그리고 구피를 관통하는 구멍들이 있지만 구피의 두께와 부력을 조절해 외부의 물이 공 안으로 들어오지 않거나 들어오더라도 이용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로 들어오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동력 발생 장치 없이 이용자의 힘만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를 주입해서 사용하다 기체를 뺀 다음 포개 접으면 부피가 작아져 운반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레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상 레저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 레저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용자가 그 안에 들어가 두 발과 양손을 이용해서 무게 중심을 옮겨가며 수면 위를 원하는 방향으로 걷거나 달릴 수 있는 공 모양의 레져 또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수면 위에서 공 자체의 무게와 이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공 전체에 기체를 넣지 않고 공의 외피, 즉 구피를 기체가 들어갈 수 있는 바깥 면과 안쪽 면 그리고 이 두 면을 이어주는 관통 구멍(통풍구 겸용)들이 있는 형태로 만들어서 압축공기나 헬륨을 주입해 부력을 발생시킨다.
일정한 간격으로 구피를 관통하는 구멍들은 상기 용도 외에 이용자가 호흡을 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공의 안과 밖의 공기를 통하게 하는 통풍구로서의 용도로도 사용된다.
구피의 안팎 양면은 이용자가 밖을 잘 볼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용자가 구피 바깥을 잘 볼 수 있을 만큼 관통구(통풍구)가 충분히 크고 개수가 여러 개고 충분한 부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경우 구피의 재질은 불투명이나 반투명인 것도 가능하다.
구피의 바깥 면은 돌기들이 튀어나온 형상으로 만들어 공과 수면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보다 원활하고 빠른 속력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레저 기구는 물에서만이 아니라 땅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수륙 겸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레저 기구는 상하좌우가 없는 완전한 공 모양 또는 그에 준하는 모양을 함으로써 넘어지거나 뒤집어져도 그 안에 들어가 있는 이용자는 물에 빠질 위험이 없다. 또한, 강이나 호수 등 비교적 잔잔한 수면에서는 물론 높은 파도가 치는 바다에서도 안전 상의 위험 없이 물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육지에서도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됨이 없다. 그리고 구피를 관통하는 구멍들이 있지만 구피의 두께와 부력을 조절해 외부의 물이 공 안으로 들어오지 않거나 들어오더라도 이용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로 들어오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동력 발생 장치 없이 이용자의 힘만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를 주입해서 사용하다 기체를 뺀 다음 포개 접으면 부피가 작아져 운반이 용이하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수상 레저 기구(100)는 대체로 공 형상으로서 내부에 사람이 들어가서 안전하게 놀 수 있는 원리는 수상 레저 기구(100)의 내의 전체 공간에 기체를 넣은 대신 수상 레저 기구(100)의 외피(110)를 홑겹이 아니라 기체가 들어갈 수 있도록 두 겹으로 만들어 그 사이 공간에 압축공기나 헬륨 가스를 불어넣어 부력을 갖게 하는데 있다.
또한 수상 레저 기구(100)의 외피(110)를 관통해 뚫려 있는 통풍구(110a)를 통해 수상 레저 기구의 안과 밖의 공기가 서로 통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가 수상 레저 기구(100) 안에서 장시간 머무르더라도 호흡 상의 문제가 없도록 한 데 있다.
외피(110)를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하는 통풍구(110a)들은 이용자의 호흡을 가능케 하는 목적 외에 통풍구(110a)를 매개로 외피의 외면(111)과 내면(112)을 하나의 면으로 이어지게 하여 기체를 불어넣었을 때 안팎의 외피(110a)가 서로 별개로 떨어져 있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기체를 담는 기체 주머니가 되도록 한다.
수상 레저 기구(100) 자체와 이용자의 몸무게를 견딜 수 있는 부력을 확보하기 위해 외피(110)에 헬륨이나 압축 공기를 넣는데 공기보다 가벼운 헬륨을 사용하면 기체 주입 후의 외피(110)의 두께가 얇아도 되고 압축공기를 넣을 경우 외피(110)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외피(110)의 외면(111)이 매끄러울 경우 수면과의 마찰력이 거의 없으므로 공을 움직이기 어렵기 때문에 외피(110)의 외면(111)에 다양한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공이 빠르고 힘있게 움직이도록 한다.
수상 레저 기구(100)와 수명의 마찰력을 높여주는 돌기의 모양과 구조, 그리고 기구의 모양과 크기, 외피(110)의 두께 등에 따라 수상 레저 기구(100)의 속도와 힘이 달라질 수 있어서 사용 목적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수상 레저 기구(100)가 설계될 수 있다.
부력과 외피(110)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하여 통풍구(110a)을 통해 물이 거의 안들어오거나 들어오더라도 이용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
이용자가 발이나 손을 디뎌 공을 움직이게 해야 하므로 외피(110)의 통풍구(110a)를 가급적 작게 뚫어서 손발이 빠지지 않게 하고 손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외피(110)의 내면(112)을 미끄럽지 않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110)의 외면(111)은 공과 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올록볼록하게 형성하되 공의 속도와 힘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과학적 설계를 바탕으로 돌기들의 모양과 크기를 정하고 미적 감각도 고려해 보기 좋게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피(110)의 일정 부분에 공 안으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된다. 출입구는 안전을 고려하여 수상 레저 기구(100) 안에서 쉽게 열 수 있도록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수단으로 잠금장치를 한 여닫이문 형태로 구성되거나 완력으로 좌우로 벌리면 몸이 드나들 수 있게 벌어지는 틈새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출입구는 눈에 쉽게 띄도록 다른 부분과 구별되는 다른 색깔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상 레저 기구(100)는 가급적 하나의 조각 즉 원피스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러 개의 조각들을 이어붙여서 제작될 수도 있다.
외피(110)는 안전을 고려하여 특정 부위가 파손되더라도 한꺼번에 기체가 빠지지 않도록 여러 개의 방으로 구분된다. 외피의 분리된 각 방에는 기체를 넣고 뺄 수 있는 기체 주입구(미도시)가 각각 설치된다.
외피(110)의 재질은 이용자가 밖을 내다보며 움직여야 하므로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시야가 확보될 수 있을 만큼 통풍구(110a)의 구멍이 크고 개수가 여러 개일 경우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도 가능하다.
또한, 주입된 기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밀폐성이 좋아야 함은 물로 충격으로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사용이 끝나면 외피(110)의 기체를 빼고 부피를 줄여서 운반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재질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수상 레저 기구(100)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용자는 수상 레저 기구(100) 내에 들어가서 손이나 발로 외피(110)의 특정 부분에 압력을 가해 원하는 방향으로 수상 레저 기구(100)를 움직일 수 있다. 즉, 수면 위에서 걷거나 뛰거나 구를 수 있는 것이다. 수상 레저 기구(100)의 크기에 따라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들어가서 이용할 수 있다. 여러 사람이 여러 개의 수상 레저 기구(100)를 가지고 경주를 하거나 서로 부딪혀 정해진 선 밖으로 상대를 밀어내는 것과 같은 놀이를 할 수 있다. 해변에서는 파도를 이용한 놀이도 할 수 있으며 육지에서도 놀이공원의 범퍼카처럼 서로 부딪히거나 빨리 달리기 경주를 하는 등의 놀이를 할 수 있다. 외피(110)의 강도를 높이면 급류타기용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해변이나 강변에서는 땅위에서 놀이를 하다가 물로 뛰어들 수도 있는 수륙겸용 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마치 수차의 계단을 밟듯이 외피(110)의 외면(111)의 돌기를 밟으면서 기구를 움직이는 놀이를 하거나 수영을 하다가 잠시 쉬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긴 막대기로 두 개의 기구(100)를 관통해 연결하면 기구(100)가 막대기를 축으로 앞뒤로만 움직이는 쌍둥이 공이 되어 각각의 기구(100)에 이용자가 들어가 이용할 수 있다.
기구(100)의 형태는 구가 아닌 직육면체, 정육면체, 또는 정 12면체 등 구형을 수렴하는 다면체 등으로 제작하거나 동물이나 비행접시 모양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완벽한 구형 또는 구형에 가까운 것은 이동용으로, 다면체의 면수가 적거나 비행접시 형 등은 안에 들어가서 휴식을 취하는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기구(100)는 사람이 내부에 들어가서 이용하는 용도 외에 상대적으로 소형인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서 일반적인 공처럼 사용될 수도 있다.
기구(100)는 어린이집이나 놀이공원, 학교, 유원지 등 사용 장소에 따른 특성에 맞춰 다양한 모양과 크기, 용도로 제작될 수 있다.
기구(100)는 반려동물 전용으로 만들거나 물건을 넣어두는 용도, 장식품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기구(100)는 다음과 같은 부수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완전한 구 또는 다른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 또는 자연이나 동물 등을 모방향 형태를 갖는 기구는 다양한 색깔이나 조명, 외피 외면에 그림이나 도안 등이 입혀지면 강이나 호수, 해변의 경치를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다. 특히, 야간에 야광이나 조명이 설치된 기구들이 강이나 호수, 바다에 떠서 움직인다면 마치 유등 놀이와 같은 장관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보트나 요트 등에 싣거나 끌고 다니면서 구명보트와 같은 구명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기구
110 : 외피
110a : 통기구
111 : 외면
112 : 내면

Claims (1)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는 그 사이에 기체가 수용되는 내면과 외면을 구비하고, 상기 외피에는 상기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는 통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외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레저 기구.
KR1020120035465A 2012-04-05 2012-04-05 수상 레저 기구 KR20130113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465A KR20130113128A (ko) 2012-04-05 2012-04-05 수상 레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465A KR20130113128A (ko) 2012-04-05 2012-04-05 수상 레저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128A true KR20130113128A (ko) 2013-10-15

Family

ID=49633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465A KR20130113128A (ko) 2012-04-05 2012-04-05 수상 레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31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73758A1 (en) Sports activity device
US20190184253A1 (en) Floating Game Assembly and Float with Game Features
WO2013080206A1 (en) Building unit toy
US20130061384A1 (en) Liquid Displacement Devices
CN108043003A (zh) 带有综合浮力设备的用于游泳训练的游泳衣
US4510632A (en) Children's game pool
US6913505B1 (en) Sinkable fun toy
KR20130113128A (ko) 수상 레저 기구
KR100963100B1 (ko) 물놀이용 구형 공기튜브
US9630118B2 (en) Connectable and extendable diving stick
US8057274B2 (en) Doll and flotation device-combination for demonstrating water safety
CN205387187U (zh) 水上步行球
CN201062086Y (zh) 一种长圆形水上步行球
CN206660502U (zh) 一种可充气的积木式拼图球体玩具
KR102671421B1 (ko) 수영 보조기구
KR20130140521A (ko) 공 형상의 레저용 기구
CN218011034U (zh) 一种组装式潜艇玩具
RU144691U1 (ru) Мяч поляка
CN212789773U (zh) 一种婴童用多功能摇摇碗
US7101248B2 (en) Aquatic fun toy
CN220478103U (zh) 一种可移动式非连续性充气弹跳游乐设备
US8371887B2 (en) Surf and rodeo aquatic entertaining ball device
CN201676522U (zh) 戏水气球
CN201505431U (zh) 国际兽战棋
Prigo Making Physics Fun: Key Concepts, Classroom Activities, and Everyday Examples, Grades K-8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