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810A -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810A
KR20130112810A KR1020130093732A KR20130093732A KR20130112810A KR 20130112810 A KR20130112810 A KR 20130112810A KR 1020130093732 A KR1020130093732 A KR 1020130093732A KR 20130093732 A KR20130093732 A KR 20130093732A KR 20130112810 A KR20130112810 A KR 20130112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information
country
usage status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7859B1 (ko
Inventor
고윤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캘커타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캘커타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캘커타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30093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85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국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준으로 각 국가 별 사용 현황을 분석할 애플리케이션을 인덱싱하고,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응하는 사이트에 상주하여 상기 인덱싱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색하는 검색 엔진부와 모바일플랫폼과 등록일자(또는 수정일자)를 기준으로 상기 검색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객관화 및 정량화하여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객관화 및 정량화된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이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Utilization Trend Information of Application}
본 발명은, 특정 국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준으로 각 국가 별 사용 현황을 분석할 애플리케이션을 인덱싱하고,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응하는 사이트에 상주하여 상기 인덱싱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색하는 검색 엔진부와 모바일플랫폼과 등록일자(또는 수정일자)를 기준으로 상기 검색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객관화 및 정량화하여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객관화 및 정량화된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이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온라인 상에서 판매하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가 일반화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애플사의 앱스토어를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상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접속하여, 비용을 지불한 후에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는 방대한 양의 애플리케이션을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찾는데 오랜 시간을 소비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선호도와 인기도 등을 제공하여 현재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자가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는 게임, 시사, 뉴스, 날씨, 지도 등 다양한 분야의 애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각종 주변 기기와 연동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등 모바일 단말기의 범용성을 한층 증가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039480호(2011.05.3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국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준으로 각 국가 별 사용 현황을 분석할 애플리케이션을 인덱싱하고,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응하는 사이트에 상주하여 상기 인덱싱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색하는 검색 엔진부와 모바일플랫폼과 등록일자(또는 수정일자)를 기준으로 상기 검색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객관화 및 정량화하여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객관화 및 정량화된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이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은, 특정 국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준으로 각 국가 별 사용 현황을 분석할 애플리케이션을 인덱싱하고,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응하는 사이트에 상주하여 상기 인덱싱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색하는 검색 엔진부와 모바일플랫폼과 등록일자(또는 수정일자)를 기준으로 상기 검색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객관화 및 정량화하여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객관화 및 정량화된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이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플랫폼과 등록일자(또는 수정일자)를 기준으로 객관화 및 정량화되어 생성된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객관화 및 정량화된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 장치의 플랫폼 또는 이용자가 요청한 정보 형태에 따라 상기 객관화 및 정량화된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변환하는 정보 변환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변환된 객관화 및 정량화된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이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모바일플랫폼과 등록일자(또는 수정일자)를 기준으로 객관화 및 정량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인기도와 선호도를 기반으로 하는 순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모바일플랫폼과 등록일자(또는 수정일자)를 기준으로 객관화 및 정량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인기도와 선호도를 기반으로 하는 순위 변화의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엔진부; 및 상기 검색 엔진부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검색 엔진부에서 전송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처리하여 각 국가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자동 생성하여 이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메인 정보처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인기도와 선호도를 기반으로 하는 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순위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계층별 또는 카테고리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순위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국가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리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국가별 인기도와 선호도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변화를 나타낸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인 정보처리서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인덱싱하여 계층별 또는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체계화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 상기 검색 엔진부에서 전송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상기 이용자 장치의 플랫폼 또는 이용자가 요청한 정보 형태에 따라 변환하는 정보 변환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에 입력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며, 상기 정보 변환부에서 상기 이용자 장치의 플랫폼 또는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정보 형태에 따라 변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상기 이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모듈은 다수 개의 언어를 기반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용자 장치는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플랫폼, 모바일 플랫폼 및 웹 플랫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인 정보처리서버는 상기 사용 현황 정보를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이메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파일, 액셀 파일, 이미지 파일 및 텍스트 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방법은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에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처리하여 각 국가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이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각 애플리케이션의 인기도와 선호도를 기반으로 하는 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인덱싱하여 계층별 또는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체계화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이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상기 이용자 장치의 플랫폼 또는 이용자가 요청한 정보 형태에 따라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이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다수 개의 언어를 기반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파일, 액셀 파일, 이미지 파일 및 텍스트 파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당 국가의 통신사에 가입할 필요없이 타국가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현황을 국가별로 객관화, 정량화하여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국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선호 언어에 대한 정보 접급성을 향상시킨다.
더욱이,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계층별, 카테고리별로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재활용도를 높이고, 애플리케이션의 선호도와 인기도를 일별로 제공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과거 순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현황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손쉽게 선택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이용자 정보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가 제공되는 다양한 플랫폼 환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은 도 6 의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플랫폼에 의해 가공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 은 도 6 의 모바일 플랫폼에 의해 가공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의 데이터 랭킹 표와 SNS 연동 구현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 는 도 6 의 모바일 플랫폼에 의해 가공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의 데이터 랭킹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20) 및 이용자 장치(30)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이트 등이 마련되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이트에 등록하여 각종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관리회사나 통신사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판매하고 그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판매사 등에 마련된다.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10)을 통해 제공되는 사이트로는 애플사에서 운영하는 애플닷컴이나 앱스토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 예를 들어 순위 정보, 인기도, 선호도 등을 제공하는 다양한 사이트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10)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는 애플리케이션의 인기도 및 선호도 등을 기반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애플리케이션의 가격,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이용자나 개발자 등이 입력한 리뷰 정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 개발자 정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이용자가 등록한 인기도(사용점수),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별 순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는 뉴스, 게임, 증권, 날씨 등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하여 상기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1일(日) 주기로 검색하고, 이들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가공하여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한 후, 이용자 장치(30)로 제공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국가별로 인기도 및 선호도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각종 현황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국가별로 다른 카테고리를 제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국가별 인기도 및 선호도를 기반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변화를 나타낸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계층별, 카테고리별 및 이들을 조합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 전체 국가 또는 특정 국가내에서 일정 순위 이내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전체 국가 또는 특정 국가내에서 카네고리별 일정 순위 내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전체 국가 또는 특정 국가내에서 계층별 일정 순위 내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국가별 인기도와 선호도를 기반으로 하는 순위 변화를 나타낸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전체 애플리케이션 중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트랜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더욱이 국가별 애플리케이션의 트랜드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면, 이를 이용자 장치(30)에 제공한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20)는 이용자 장치(30)에 탑재된 플랫폼(예를 들어,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플랫폼, 모바일 플랫폼 및 웹플랫폼) 또는 이용자가 요청한 정보 형태 예를 들어, PDF 파일, 액셀 파일, 이미지 파일 및 텍스트 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이용자 장치(30)를 통해 SNS(Social Network Service)나 이메일 등으로 제공하는 것도 포함한다.
이용자 장치(30)는 모바일 폰, 개인용 컴퓨터, iPAD 등과 같은 테블릿 PC(Tablet PC)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은 상기한 CMS 플랫폼, 모바일 플랫폼 및 웹플랫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탑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 장치(30)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요청 및 출력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이용자는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용자 장치(30)는 각각의 플랫폼간에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상호 송수신하여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2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 은 도 2 의 이용자 정보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 는 도 2 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서비스 서버(2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엔진부(21) 및 메인 정보처리서버(22)를 포함한다.
검색 엔진부(21)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10) 또는 여기에 마련된 각종 사이트에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 앱 랭킹 정보를 검색한다.
검색 엔진부(21)는 일 예로, 크롤링 엔진이 채용될 수 있다. 크롤링 엔진은 상기한 사이트에 상주하면서 각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크롤링(crawling)하고, 수집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메인 정보처리서버(22)에서 인덱싱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모듈(224)에 전송한다.
메인 정보처리서버(22)는 검색 엔진부(21)에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요청하고, 이후, 검색 엔진부(21)에서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처리하여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이용자 장치(30)로 전송한다.
이러한 메인 정보처리서버(22)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221), 데이터베이스부(222), 정보 변환부(223) 및 제어모듈(224)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221)는 검색 엔진부(21)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인덱싱하여 계층별 또는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체계화하여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한다.
데이터베이스부(222)는 검색 엔진부(21)에서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221)에서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및 이용자 정보를 포함한다.
이용자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요청한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로, 이용자 정보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 일련번호와 이용자 ID(Identification), 이용자 이름, 비밀번호, 이용자 타입, 우편번호, 주소, 전환번호, 핸드폰 번호, 이메일, 이메일 사용여부, 이용자 상태, IP(Internet Protocol) 제한 여부, 수정일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한 이용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222)에 저장되는 이용자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으로 더 많은 이용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할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인기도 및 선호도 등을 기반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애플리케이션의 가격,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이용자나 개발자 등이 입력한 리뷰 정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 개발자 정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이용자가 등록한 인기도(사용점수),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별 순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웹 ID, 모바일 웹 제목, 모바일 웹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제조사, 제조사 링크, 모바일 웹 소개, 리뷰 작성 상태, 기본 리뷰 작성 상태, 프리미엄 리뷰 작성 상태, 분류, 등록일자, 수정일자, 이용자 일련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222)에 저장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으로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할 것이다. 일 예로, 다운로드 횟수나 카테고리, 파일 사이즈 등이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인기도 및 선호도를 기반으로 전체 국가 또는 특정 국가내에서 일정 순위 이내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전체 국가 또는 특정 국가내에서 카네고리별 일정 순위 내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전체 국가 또는 특정 국가내에서 계층별 일정 순위 내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등이 포함된다.
정보 변환부(223)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221)에서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이용자 장치(30)의 플랫폼 또는 이용자가 요청한 정보 형태에 따라 변환한다.
일 예로, 이용자 장치(30)가 CMS 플랫폼을 탑재하고 있으면,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CMS 플랫폼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고, 이용자 장치(30)가 모바일 플랫폼을 탑재하고 있으면,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해당 모바일 플랫폼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며, 웹 플랫폼을 탑재하고 있으면,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웹 플랫폼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다.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국가별 사용 현황 정보를 PDF 파일이나 액셀 파일, 이미지 파일, 텍스트 파일 중 어느 하나로 자동 생성하여 이메일 또는 SNS 예를 들어, 페이스북(face book)이나 트위터(twitter)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모듈(224)은 메인 정보처리서버(22)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용자 장치(3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요청받으면, 검색 엔진부(21)에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요청한다.
이후, 검색 엔진부(21)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221)에 제공하고,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221)에서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222)에 저장한다.
아울러, 정보 변환부(223)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용자 장치(30)의 플랫폼 또는 이용자가 요청한 정보 형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가 변환되면, 이를 이용자 장치(3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모듈(224)은 상기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검색어의 언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이용자 장치(30)에서 특정 언어가 입력되면, 해당 언어에 대한 자동 완성 기능을 입력한다.
한편, 상기한 메인 정보처리서버(22)로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가 채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은 IT(Information Technology)와 관련된 기능들이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컴퓨팅 스타일로써,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컴퓨팅 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컴퓨팅 자원은 통상적으로 대량의 데이터 센터와 같이 별도의 자원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며, 그 대상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능력, 메모리, 스토리지와 같은 하드웨어 자원이거나 개발 플랫폼, 응용 프로그램 등이 될 수 있다. 컴퓨팅 자원을 이용한 컴퓨팅 능력을 단말에서 이용하기 위해 자원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라고 한다.
이와 같이, 메인 정보처리서버(22)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버를 채용함으로써, 주기적으로 방대한 양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더욱이 서버 관리를 위한 별도의 인원이 필요없어 경제적 및 효율적인 측면에서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방법을 도 5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가 제공되는 다양한 플랫폼 환경을 도시한 것이며, 도 7 은 도 6 의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플랫폼에 의해 가공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8 은 도 6 의 모바일 플랫폼에 의해 가공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의 데이터 랭킹 표와 SNS 연동 구현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9 는 도 6 의 모바일 플랫폼에 의해 가공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의 데이터 랭킹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제어모듈(224)은 주기적으로 검색 엔진부(21)에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요청한다.
검색 엔진부(21)는 제어모듈(224)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요청받으면,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색한다(S10).
검색 엔진부(21)는 검색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어모듈(224)로 전송하고, 제어모듈(224)은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222)에 저장함과 더불어,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221)에 입력한다.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221)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인덱싱하고 국가별 인지도 및 선호도를 기반으로 계층별 및/또는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체계화하여 데이터베이스부(22)에 저장한다.
이후, 이용자 장치(30)에 검색어가 입력되어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요청받으면,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한다(S20,S30,S40).
제어모듈(224)은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221)에서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222)에 저장한다.
또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해당 이용자 장치(30)의 플랫폼에 따라 변환하여 전송하거나, 이용자가 요청한 정보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이용자에게 전송한다(S50). 이 경우, 이용자의 언어에 따라 각종 단어, 문장 등을 번역하여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언어의 이용자들이 더욱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번역은 일반적인 번역기가 모두 가능하며,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은 CMS 플랫폼에 적합하게 변환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중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변화를 나타낸 히스토리 정보를 나타낸 예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날짜와 해당 날짜에서의 순위, 국가, 장르 및 가격이 나타나고, 각 날짜별로 순위의 변화를 알 수 있다.
즉,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ID가 359109415 인 애플리케이션의 2010년 08월 27일부터 2010년 10월 01일때까지의 순위 변화를 알 수 있다.
또한, 도 8 은 모바일 플랫폼에 적합하게 변환된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중에서 특정 국가의 순위를 나타낸다.
도 8 을 참조하면, 2011년 07월 03일과 2011년 07월 04일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중국에서의 순위 변화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국가별 인기도와 선호도를 기반으로 하는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바,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와 그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국가별로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그래프 등으로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터치되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리뷰 정보를 제공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생생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예는 인기도 및 선호도를 기반으로 하여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기준을 달리하여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 20: 서비스 서버
21: 검색 엔진부 22: 메인 정보처리서버
221: 애플리케이션 정보 처리부 222: 데이터베이스부
223: 정보 변환부 224: 제어모듈
30: 이용자 장치

Claims (5)

  1. 특정 국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준으로 각 국가 별 사용 현황을 분석할 애플리케이션을 인덱싱하고,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응하는 사이트에 상주하여 상기 인덱싱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색하는 검색 엔진부;
    모바일플랫폼과 등록일자(또는 수정일자)를 기준으로 상기 검색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객관화 및 정량화하여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객관화 및 정량화된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이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모바일플랫폼과 등록일자(또는 수정일자)를 기준으로 객관화 및 정량화되어 생성된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객관화 및 정량화된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이용자 장치의 플랫폼 또는 이용자가 요청한 정보 형태에 따라 상기 객관화 및 정량화된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변환하는 정보 변환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변환된 객관화 및 정량화된 각 국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를 이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모바일플랫폼과 등록일자(또는 수정일자)를 기준으로 객관화 및 정량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인기도와 선호도를 기반으로 하는 순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는,
    모바일플랫폼과 등록일자(또는 수정일자)를 기준으로 객관화 및 정량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인기도와 선호도를 기반으로 하는 순위 변화의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30093732A 2013-08-07 2013-08-07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387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732A KR101387859B1 (ko) 2013-08-07 2013-08-07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732A KR101387859B1 (ko) 2013-08-07 2013-08-07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516A Division KR20130031946A (ko) 2011-09-22 2011-09-22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810A true KR20130112810A (ko) 2013-10-14
KR101387859B1 KR101387859B1 (ko) 2014-04-22

Family

ID=4963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732A KR101387859B1 (ko) 2013-08-07 2013-08-07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8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196A (ko) * 2019-11-15 2021-05-2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Lstm을 이용한 국가별 선호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196A (ko) * 2019-11-15 2021-05-2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Lstm을 이용한 국가별 선호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7859B1 (ko)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8702B1 (en) Techniques for using dynamic data sources with static search mechanisms
KR101777392B1 (ko) 중앙 서버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음성 처리 방법
CN112868004B (zh) 资源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033406B (zh) 用于搜索区块链数据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0900892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pam User Created Content
CN109033403B (zh) 用于搜索区块链数据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16517599A (ja) 知識への1段階アクセスを提供する適応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知的インターネットシステム
CN105431844A (zh) 用于搜索系统的第三方搜索应用
CN109101607B (zh) 用于搜索区块链数据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50012533A1 (en) Method and client device for accessing webpage
CN106471497A (zh) 使用上下文的辅助浏览
US9576065B2 (en) Method for maintaining common data across multiple platforms
CN111367870A (zh) 一种绘本共享方法、装置和系统
US9755844B2 (en) Techniques to transform network resource requests to zero rated network requests
US9965812B2 (en) Generating a supplemental description of an entity
CN109086414B (zh) 用于搜索区块链数据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Tachmazidis et al. Hypercat RDF: semantic enrichment for IoT
CN106294417A (zh) 一种数据排序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387859B1 (ko) 애플리케이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CN109145209B (zh) 用于搜索区块链数据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30031946A (ko)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563675B2 (en) Identifying search matches and altered search results
CN113656737B (zh) 网页内容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05808628A (zh) 网页转码方法、装置及系统
US96396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itable web addresses to a us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