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776A - Bulle generator type plug - Google Patents

Bulle generator type plu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776A
KR20130112776A KR1020130035973A KR20130035973A KR20130112776A KR 20130112776 A KR20130112776 A KR 20130112776A KR 1020130035973 A KR1020130035973 A KR 1020130035973A KR 20130035973 A KR20130035973 A KR 20130035973A KR 20130112776 A KR20130112776 A KR 20130112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discharge
bubble generat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9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76439B1 (en
Inventor
이권행
최정구
Original Assignee
이권행
최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권행, 최정구 filed Critical 이권행
Priority to PCT/KR2013/00275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51320A1/en
Publication of KR20130112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7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4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5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PURPOSE: A lid structure is provided to facilitate discharge of contents in a liquid phase even if a container is used lifting the container upside down or is used in a correct way. CONSTITUTION: A content discharge hole (120) has protrusions (122) and external pores (121) which are formed alternately. The protrusions are connected with an inner periphery surface of a lid (100) in a solid bottom. A discharge pore (123) is cut with an upper surface of a content discharge hole in a blocked state and a lower surface is open. An inclined wing faces an expanded stepped surface (110) which is expanded being extended from a lower part of a discharge hole (110) on the lid.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of a main body are equipped each net body. The inclined wing is inclined from a terminal of an expanded board in a disk type. An air guide unit has a discharge pipe in the center and a pipe inserting hole which is composed in a solid bottom to a right under part of the discharge pipe.

Description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BULLE GENERATOR TYPE PLUG}Stopper structure with bubble generating part {BULLE GENERATOR TYPE PLUG}

본 발명은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튜브형 용기(이하 용기로 통칭하기로 함)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개 내부에 버블발생부를 구비하되, 마개의 토출구 구조 내부에 내용물이 배출된 후, 용기를 누르는 힘이 배제되면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여 용기의 원상회복 시간을 단축시키고, 용기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나 또는 용기를 뒤집은 상태에서도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마개 내부의 버블발생부에 의해 내용물이 유출되면서 버블이 효과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pper of a tubular container (hereinafter referred to collectively as a container) for holding a liquid or gel content, in particular having a bubble generating part inside the stopper, after the contents are discharged inside the discharge port structure of the stopper, If the force to press is excluded, it is easy to introduce air into the container, so that the recovery time of the container can be shortened, and the contents can be easily discharged even when the container is upright or the container is turned o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pper having a bubble generator for effectively generating bubbles while the contents are leaked by the generator.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한 용기로부터 마개를 통해 외부로 취출 시켜 사용할 때 버블 즉, 거품을 발생하며 사용하여야 하는 제품군들이 존재한다. There is a family of products that must be used while generating bubbles, ie bubbles, when they are taken out from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liquid contents to the outside through a stopper.

예를 들면, 면도용 크림이나 거품용 비누 등과 같은 액상의 내용물은 그대로 용기 외부로 토출되어 사용되는 것 보다는 버블을 발생시켜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For example, liquid contents, such as shaving cream or foam soap, are more effective to generate bubbles than to be used as they are discharged out of the container.

이러한 내용물을 버블을 발생시키며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상 알려진 바에 의하면 용기 내부와 마개부분을 연결하는 버블발생부를 구비하게 되는데, 그 버블발생부의 장착에 따른 작업이 번잡하고, 부품의 수가 많아 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불량률이 증가하고, 누액 현상이 빈번하는 등의 파생되는 문제들이 존재한다. In order to generate and use such a bubble, it is known that a bubble generating part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stopper is generally known, which is complicat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bubble generating part and the cost increases due to the large number of parts. Of course, there are deriving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defective rate and frequent leakage.

또한, 버블발생부가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야 하므로 정량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버블발생부가 갖는 체적만큼 덜 충진되어지므로, 실소비자들의 제품 용량상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ubble generating part should b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the content contained in the quantitative container is filled less as much as the volume of the bubble generating par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satisfy the satisfaction of product consumers.

아울러 버블발생부를 용기 내부에 수용하여 장착할 경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용기 내부측으로 외기가 공급되어야 하는 등, 필요 이상의 구조적 복잡성이 존재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bubble generating unit is accommodated and mounted inside the container, there is a structural complexity more than necessary, such that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또한, 버블발생부를 구비하는데 있어서 액상의 내용물에 채택되는 버블발생부와 겔상의 내용물에 채택되는 버블발생부의 구성을 달리하고 있어 내용물의 상태에 따라 버블발생부의 선택이 달라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불편함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ubble generating part has a bubble generating part adopted in the liquid content and a bubble generating part adopted in the gel content, the bubble generating par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ntent, so that the bubble generating part is chang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increased.

아울러, 마개와 용기간 결합 구조에서 필수적으로 용기 내용물이 외부로 자연 유출되는 누액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링이나 패킹 등의 별도 구성을 필요로 하게 되어, 생산 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ap and the container, leakage of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is essentially leaked to the outside, and thus, a separate configuration such as a sealing or a packing is required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container. There is this.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본원인은 특허등록 출원 제 10-2012-0018969 호에 의해 버블발생장치를 갖는 마개를 출원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applicant has filed a stopper having a bubble generating device by 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18969.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인에 의해 출원 개시된 특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적합하지만 내용물을 용기에서 짜낸 후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되어질 때, 버블발생장치의 망사체에 의해 비교적 공기 유입의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복원 시간이 다소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어, 용기에서 한 번 짜내어 사용한 후 그 즉시 재사용하고자 할 때 용기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기를 바로 세워서 사용하게 되는 경우 내용물의 토출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atent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suitable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ut when the container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fter squeez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he mesh of the bubble generator prevents the flow of air inflow relative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overy time is delayed somewhat occurs, and when you want to reuse immediately after squeezing once in the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to wait until the container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the contents.

특허등록 제 10-1036398 호Patent Registration No. 10-103639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를 거꾸로 들어 사용하거나 또는 바로 세워 사용하더라도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의 내용물 토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is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of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even if the container is used upside down or used upright.

또한 본 발명은 용기내 내용물의 토출 후,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빠른시간내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복원력을 증대시키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increase the restoring force to shorten the time to restore the container to its original state after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to be reused in a short time.

또한 본 발명은, 마개내부의 버블발생부에 의해 액상의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토출되어질 때 버블의 발생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increase the generation efficiency of bubbles when the liquid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y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inside the stopp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튜브형 용기의 토출부와 결합 되는 마개 구조에 있어서, In the stopper structure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tubular container,

외주면으로 요철 형태를 이루며 돌기와 외기공이 교호 형성되며 상면은 막혀진 상태에서 토출공이 절개되고 하면은 개방되어지되, 상기 돌기가 마개의 내주면과 일체로 연결되는 내용물유출구와,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irregularities and the projections and the external pores are formed alternately, the upper surface is blocked in the discharge hole in the blocked state and the lower surface is open, the contents outlet which is connect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integrally;

상기 내용물유출구 하방측으로부터 삽입되며 끼워지는 것으로, 중앙부의 상하단에 각각 망사체를 구비하고, 내주면으로 절개공을 갖는 구획판이 일체로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원판형태의 확장판이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판 끝단부로부터 경사지는 경사날개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버블발생부와, The body is inserted and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tents outlet, the main body having a mesh body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entral portion, integrally provided with a partition plate having an incision hole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disc shape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expansion plate is made of,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made of integrally inclined wings inclined from the end of the expansion plate,

상기 버블발생부의 하단측에 끼워지며 중앙의 토출관을 이루고 토출관 하단으로 관이 삽입되도록 하고, 토출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구획리브의 단부측에 원판부재를 이루고, 상기 구획리브에 의해 공기유도로가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재 하면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공기유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It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bubble generating part to form a central discharge tube and the tube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tube lower end, and a disc member is formed on the end side of the partition rib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tube, the air flow guided by the partition rib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air induction portion having an insertion port extending integral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 member.

또한 본 발명은,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튜브형 용기의 토출구와 결합 되는 마개 구조에 있어서, In the stopper structure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tubular container,

상기 토출구 하단으로 결합 되는 것으로 중앙부위를 기점으로 상단측 제1몸체직경이 하단측 제2몸체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 상단과 제2몸체 하단측으로 각각 망사체를 이루며 중공 형태를 갖는 버블발생부와, The first body diameter of the upper side is formed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and the mesh body forms the mesh body toward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Bubble generating unit having,

상기 버블발생부의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의 단턱으로 끼워지는 연질의 원판형태를 이루되 외주연부의 끝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는 경사날개가 일체로 이루어져 토출구 하단측을 단속하는 확장판과, An expansion plate for forming a soft disc shape fitted into a step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of the bubble generating part, the inclined wings being inclined upwardly from the end of the outer periphery to be integral with the bottom end of the discharge port;

상기 버블발생부의 제2몸체 하단이 끼워지는 토출관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구획리브에 의해 공기유도로가 형성되고 구획리브 단부로 연결되는 원판부재 상면으로 삽입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마개의 토출구 하측 삽입구가 삽입되어 결합 되도록 하는 공기유도부와, An air induction path is formed by a partition rib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tube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is inserted, and an insertion reces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 membe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artition rib. An air induction part to be inserted and coupled;

상하부가 각각 중공형태를 갖으며 상기 공기 유도부의 토출관 하단이 상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중앙에 구멍이 천공된 구획부재가 내부를 구획하고, 상기 구획부재 상측 내주면으로 요철부를 갖으며, 하측으로는 관이 삽입되도록 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has a hollow shape, and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of the air induction part is inserted upward. The partition member having a hole in the center partitions the inside, and has an uneven part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artition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connecting tube to be inserted.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형 용기를 거꾸로 들어 사용하거나 또는 바로 세워 사용하더라도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의 내용물이 버블 발생이 용이한 상태로의 토출이 용이함은 물론, 용기내 내용물의 토출 후,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빠른시간내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복원력을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ubular container is used upside down or used upright, the liquid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can be easily discharged in a state where bubbles are easily generated, and after the container is discharged, It can be expected tha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silience to shorten the time to restore to the original state to be able to reuse in a short time.

또한 본 발명은 버블발생부 자체가 마개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용기 내부로의 버블발생부를 제거하여 내용물의 수용 체적을 늘릴 수 있어 정량 충진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bble generating part itself is accommodated in the stopper, the bubble generating part inside the container can be removed to increase the receiving volume of the contents, so that quantitative filling can be performed, thereby ensur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버블발생부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에서 별도의 실링 또는 패킹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자연 유출 등의 누액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부품수의 획기적 감소로 인하여 제품 생산 단가의 현저한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separate seal or packing is not provided in the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the bubble generating unit, the liquid or gel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can be expected to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leakage such as natural leakag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n addition, due to the drastic reduction in the number of parts, significant reductions in production costs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마개 내부를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마개를 결합한 상태에서의 개괄적 정단면도
도 3은 도 1에 의한 마개를 부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마개 내부에 결합되는 버블발생부와 공기유도부를 제외한 상태에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버블발생부를 부분 절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공기유도부를 부분 절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마개와 튜브형 용기간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채택된 마개와 결합되는 용기를 거꾸로 하여 내용물을 토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8은 내용물이 외부로 버블이 발생되며 토출된 후,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마개 내부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의해 결합 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에 의해 채택되는 마개를 부분 절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제2실시예에 의한 버블발생부를 분리하여 부분 절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유도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연결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용기를 거꾸로 하여 내용물을 토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버블 발생되며 토출 후, 용기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상태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IG. 2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in the state in which the plug according to FIG. 1 is coupled; FIG.
FIG. 3 is a partially cutaway view of the stopper shown in FIG. 1, and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n a state excluding a bubble generating part and an air induction part coupled to the stopper.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cut in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adopt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cut in the air induction portion adopt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stopper and the tubula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discharging the contents upside down the container coupled to the stopper adopted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after the contents are bubbled to the outside and discharged.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clos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coupled by FIG.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cut away, of a plug adopted by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cut away from the bubbl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air induction pa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with the container upside dow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bble is gene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discharge,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contain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나누어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divided into a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제 1 1st 실시예Example

첨부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개(100)와 상기 마개(100) 내부로 진입되며 결합 되는 버블발생부(200)와, 상기 버블발생부(200) 하단측으로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용기 내부의 관(400)이 결합 되는 공기유도부(30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ubble generating unit 200 and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is coupled to enter the stopper 100 and the stopper 100, the lower side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outside the air The air inlet 300 is coupled to the tube 400 inside the container while allowing the inside to flow into the container.

상기 마개(100)는 일반적인 통상의 마개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캡 또는 이중캡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The stopper 100 refers to a common stopper generally applicable to both short cap or double cap.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단캡에 적용하여 설명하고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음은 물론이며 이중캡으로의 적용도 가능하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described and illustrated by applying to a short cap, but need not be limited to thi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o a double cap.

이러한 마개(100)는 도 1,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마개(100)의 외주면 상단측 일부에 힌지 결합 되는 덮개(도면부호 미기재)에 의해 사용시에는 개방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닫혀 지는 통상의 마개(100)로 이해될 수 있다. Such a stopper 100 is opened in use by a cover (not shown) which is hinged to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100 as shown in FIGS. 1 and 3, and is normally closed after use is completed. It can be understood as the stopper (100).

한편, 이러한 통상적 마개(100)의 일반적 구조에서 마개(100)의 정중앙 부분은 관통되어 용기(500)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상기한 마개(100) 정중앙부분으로 토출구(110)를 형성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general structure of such a stopper 100,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opper 100 is penetrated to enable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500, and forms the discharge port 110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opper 100. .

이러한 토출구(110)의 내주면으로는 일체로 형성되는 내용물유출구(120)를 구비한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10 is provided with a content outlet 120 formed integrally.

상기 내용물유출구(120)는 중앙으로는 용기(5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용기(500) 내부로 외부의 공기 즉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갖는다. The contents outlet 120 has a role of allow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500 to flow out to the center, and at the same time, the outside air, that is,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container 500.

이러한 역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내용물유출구(120)는 평면상 보았을 때 외주면이 요철(凹凸)형태를 이루며 돌기(122)가 이격 구성되면서 상기 돌기(122)의 단부는 토출구(110)의 내주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된다. In order to enable such a role, the contents outlet 120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form of concavo-convex shape when viewed in plan view, and the protrusions 122 are spaced apart, and the ends of the protrusions 122 are form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10. It is integrally formed and connected.

상기 돌기(122)는 내용물유출구(1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진다. The protrusion 122 is mad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contents outlet 120.

이와 같이 돌기(122)가 토출구(110)의 내주면과 일체로 연결되어져, 자연스럽게 돌기(122)와 돌기(122) 사이에는 외기공(121)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외기공(121)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용기(500) 내부측으로의 유입이 가능 하도록 하였다. In this way, the protrusion 12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10, so that the outer air holes 121 are naturally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122 and the protrusions 122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er air holes 121. Air was allowed to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500.

한편 상기한 내용물유출구(120)는 상면이 막혀진 상태를 이루되 부분적으로 다수의 토출공(123)을 절개시켜, 용기(500)를 짤 때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상기 토출공(123)을 통해 토출되도록 하였으며, 이를 위해 내용물유출구(120) 하방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utlet 120 is in a state where the upper surface is blocked, but partially cut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23, the contents contained when the container 500 is squeez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3 It is to be discharged, for this purpose the contents outlet 120 is formed in the open state.

아울러 상기 내용물유출구(120)의 상단 내측으로 단턱면(124)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버블발생부(200)의 본체(210) 상단면과 접하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stepped surface 124 is form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contents outlet 120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버블발생부(20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도 6의 결합 단면도에서 보듯이, 상기한 토출구(110) 내부에 구비되는 내용물유출구(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토출구(110) 내부를 구획하도록 하였다.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is shown in Figure 4, and as shown in the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 while being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contents outlet 120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110, the discharge port 110 Inside).

이러한 버블발생부(200)는 용기(500)를 짤 때, 내용물이 버블발생부(200)를 통과하면서 버블이 형성되도록 하고, 내용물의 토출 과정이 완료되면 용기(500)의 원상회복을 위해 외기가 유입되어질 때 내부를 구획하는 확장판(230)이 젖혀지도록 하여 용기(500)의 원상 회복이 빠르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squeezes the container 500, bubbles are formed while the contents pass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and when the discharge process of the contents is completed, the outside air is restored for the original condition of the container 500. When the expansion plate 230 partitioning the inside when it is introduced can be flipped so that the original recovery of the container 500 can proceed quickly.

이를 위해, 버블발생부(200)는 중앙으로 상하가 개구되는 본체(210)를 이루고, 상기 본체(210) 상하단에 각각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망사체(220)를 구비한다. To this end,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forms a main body 210 having an upper and lower openings in the center, and a mesh body 220 for generating bubbles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210.

이러한 망사체(220)는 버블 발생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메시정도를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esh body 22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mesh degre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bubble generation.

한편, 상기 본체(210) 내주면으로는 구획판(211)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본체(210) 내부를 구획하게 되는데, 상기 구획판(210)으로 방사형태로 등간격 이격되는 절개공(212)을 형성하여 본체(210) 하단의 망사체(220)를 통해 유입된 내용물이 상기 구획판(210)의 절개공(21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 후, 재차 본체(210) 상단의 망사체(22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Meanwhil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divide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10 so that the partition plate 211 is integrally formed. The incision hole 212 i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partition plate 210. Formed to allow the contents introduced through the mesh body 220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10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cutting hole 212 of the partition plate 210, the mesh body 220 at the top of the main body 210 again ) To be discharged.

상기 구획판(210)을 구성하고 구획판(210)으로 절개공(212)을 구성하는 것은, 본체(210) 하단의 망사체(220)를 통과한 액상의 내용물이 절개공(212)을 통과하며 압력이 제공된 상태에서 분출되도록 한 후, 본체(210) 상단의 망사체(22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버블의 형성 속도 및 버블 생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Comprising the partition plate 210 and constituting the cutting hole 212 by the partition plate 210, the contents of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mesh body 220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10 passes through the cutting hole 212 And after the pressure is to be ejected in the provided state, it i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esh body 220 of the top of the main body 210 to increase the formation rate and bubble generation degree of the bubble.

한편, 상기 본체(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확장판(230)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판(230) 단부측으로는 경사진 형태를 갖는 경사날개(231)를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ovided with an expansion plate 230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the end of the expansion plate 230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wing 231 having an inclined form.

상기 확장판(230) 및 경사날개(231)는 연질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본체(210)와의 다른 재질에 의한 이중 인서트 사출이 어려울 경우에는 동일재질로 사출 성형하되 확장판(230) 및 경사날개(231)의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탄력이 제공되도록 하여야 한다. The extension plate 230 and the inclined wings 231 will preferably be made of a soft material, if it is difficult to double insert injection by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main body 210,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same material, but the expansion plate 230 and the inclined The thickness of the wing 231 should be made thin so that elasticity is provided.

한편, 상기 경사날개(231)는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마개(100)의 토출구(110)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확장되는 확장단턱면(111)과 밀접하게 접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nclined wing 23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xtended step surface 111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110 of the stopper 10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경사날개(231)가 마개(100) 토출구(110)의 확장단턱면(111)과 밀접하게 접한 상태에서, 용기(500)를 짜 내어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될 때에는 외부의 공기가 토출구(110)의 외기공(121)을 통해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는 확장단턱면(111)에 긴밀히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clined vanes 231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expansion step surface 111 of the stopper 100, the outlet port 110, when the container 500 is squeezed and the internal contents flow out,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Since it is in a state that does not flow through the outer air 121 of 110, the inclined wings 231 of the expansion plate 230 is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xpansion step surface 111.

이와는 달리 용기(500)의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대로 두게 되면, 용기(500)가 원상회복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한 외기공(121)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지고, 유입된 외기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를 뒤로 젖혀지도록 하며 용기(500) 내부로 유입이 빠르게 이루어져, 용기(500)의 원상 회복을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On the contrary, when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500 are discharged and left in the finished state, the container 50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n the process,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121 and is introduced. Outside air is to be tilted back 231 of the expansion plate 230, as shown in Figure 8 is made to flow quickly into the container 500, it is to promote the original recovery of the container 500.

이를 위해서는 경사날개(231)는 상방향으로 절곡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To this end, it is of course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wings 231 are bent upward.

한편, 상기 본체(210)의 하단부측은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는 공기유도부(300)의 토출관(310)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side of the main body 210 is configured to protrude,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discharge tube 310 of the air induct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한 확장판(230)의 저부면은 용기(500)를 거꾸로 두었을 경우 또는 거꾸로 든 상태에서 내용물을 짜낼 때, 내용물이 접하는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도 확장판(230)의 단부측인 경사날개(231)와 확장판(230) 단부가 확장단턱면(111)에 충분한 면적으로 덮고 있어,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expansion plate 230 is when the container 500 is placed upside down or when the contents are squeezed in an upside down state, the contents ar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wing (end) side of the expansion plate 230 in this state ( 231 and the end portion of the expansion plate 230 cover the expansion step surface 111 with a sufficient area, thereby completely preventing the content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상기 공기유도부(30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기(500)를 짜내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상기 내용물의 배출을 가이딩 함과 동시에, 배출이 완료된 후 용기(500)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용기(5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As shown in FIG. 5, the air induction part 300 squeezes the container 500 and guides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ainer 500 after the discharge is completed. In the process of restoring to the original state, it is a configuration for inducing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container 500.

이를 위해 공기유도부(300)는, 중앙으로 토출관(310)이 형성되고 토출관(310) 직하방측으로는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의 관삽입구(313)를 일체로 구성하게 된다. To this end, the air induction part 30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ipe insertion hole 313 in which a discharge tube 310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diameter thereof decreases directly below the discharge tube 310.

이러한 관삽입구(313)는 도 6의 단면도에서 보듯이 용기(500) 내부에 구비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관(400)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pipe insertion hole 313 is intended to be coupled to the pipe 400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provided in the container 500 to the outside,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한편 도 5에서 보듯이 관삽입구(313)의 상단측으로 마치 산모양과 같은 형태를 갖는 유출안내구(311)를 구비하고, 상기 유출안내구(311)의 중앙이 관통되는 유출공(312)을 천공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is provided with an outlet guide 311 having a shape like a mountain to the upper end of the tube insertion hole 313, the outlet hole 312 through which the center of the outlet guide 311 is penetrated Perforate.

즉, 용기(500)의 내용물은 관(400)을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유출공(312)을 통해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That is, after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500 is introduced through the pipe 400, i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hole 312.

이와 같이 유출공(312)을 비교적 작은 직경으로 구성한 것은 버블발생부(200)에서의 버블 발생 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 내용물의 유동 속도 및 압력이 증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outflow hole 312 is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diameter in order to maximize the bubble generation effect in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so that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contents are increased.

한편, 상기 토출관(310) 외주면으로는 등간격 이격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구획리브(320)를 갖으며, 상기 구획리브(320) 단부측으로는 원형태를 갖는 원판부재(340)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다. Meanwhil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tube 310 has a partition rib 320 which is formed at an equal interval and integrally formed, and a disc member 340 having a circular shape is integrally connected to an end side of the partition rib 320. Be sure to

이와 같은 구획리브(320) 및 원판부재(340)간 연결 구조에 의해 도면에서 보듯이 구획리브(320)와 구획리브(320) 사이에는 외기가 유동 될 수 있는 공기유도로(330)를 구성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artition rib 320 and the disc member 340 form an air inflow path 330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can flow between the partition rib 320 and the partition rib 320. do.

한편, 상기 원판부재(340) 저부면으로는 일체로 연장되는 삽입구(341)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삽입구(341)는 도 6의 결합 도면에서 보듯이 용기(500)의 토출부(510) 내측으로 강제적으로 삽입되도록 하였다.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 member 340 constitutes an insertion hole 341 which extends integrally, and this insertion hole 341 is inside the discharge part 510 of the container 500 as shown in FIG. Forced insertion

상기한 원판부재(340)는 도 6에서 보듯이 그 단부측의 하면이 용기(500)의 토출부(510) 상면과 접하면서 동시에, 원판부재(340) 상면이 마개(100)의 확장단턱면(111)으로부터 이어지며 2차로 확장되는 제2확장단턱면(112)의 저면과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하였다. As shown in FIG. 6, the disc member 340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part 510 of the container 500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 member 340 extends the stepped surface of the stopper 100.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extended step surface 112 that extends from (111) to the second extension.

즉, 이러한 구조에 의해 원판부재(340)는 마개(100)와 용기(500) 토출부(510)간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면 자연스럽게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유도부(300) 전체가 견고한 고정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disk member 340 is a screw member between the stopper 100 and the discharge part 510 of the container 500 by such a structure, as shown in the drawin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ir induction part 300 is always in a firm fixed state. It can be maintained.

한편, 상기한 관삽입구(313)의 상단측으로, 즉 토출관(310)의 하단과 연결되는 부위에 해당되는 유출안내구(311)의 하단측으로는, 부분적으로 절개되는 유입로(314)를 다수개 구성하도록 하였다. Meanwhile, a plurality of inflow paths 314 partially cut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pipe insertion hole 313, that is,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outlet guide 311 corresponding to a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tube 310. Dogs were made up.

이러한 유입로(314)는 용기(500)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공기가 내용물과 혼합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이다. This inlet 314 is a means for guiding the air to mix with the contents whe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5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즉, 용기(500)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버블발생부(200)를 지나기 전에 공기가 내용물과 혼합되어질 때 보다 효율적인 버블 발생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That is, whe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50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more efficient bubble generation may occur when air is mixed with the contents before passing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한편 상기한 유입로(314)는 공기 유입은 물론 필요시에 용기(500)의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 역할도 하게 된다.
Meanwhile, the inflow passage 314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500 can be introduced as well as air inflow.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500)를 거꾸로 하여 내용물을 짜내고자 할 때에는 유입로(314)는 내용물이 토출관(310)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고, 관(400) 단부는 상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내용물이 유입되는 역할 보다는 용기(5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container 500 is inverted to squeeze out the contents, the inflow passage 314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ntents can be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tube 310, and the end of the tube 400 is upper. Oriented to the direction that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500, rather than the role of the contents are introduced.

즉 이 경우에는 관(400)의 단부가 상방향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용기(500) 내부의 내용물은 마개(100)측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을 갖게 되고, 관(400)의 단부가 상방향으로 이루어지며 내용물이 마개(100)측으로 쏠리게 되는데, 관(400)을 통해 내용물이 용기(500)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므로 이때에는 상기 유입로(314)를 통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관(400)의 단부로부터는 용기(5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토출관(310)측으로 유도되면서 액상 내용물과 혼합되어 버블발생부(200)로 유동되기 전에 액상의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 상태에 이르도록 한다. That is, in this case, the end of the tube 400 is directed upward. In this process,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500 are leaned toward the stopper 100, and the end of the tube 400 is upward. Consists of the contents to be plugged toward the stopper 100, the contents are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500 through the pipe 400,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314, As described above, air in the container 500 is introduced from the end of the pipe 400 and guided to the discharge tube 310, mixed with the liquid content, and then flowed into the bubble generating part 200 before being flowed to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The period is mixed.

한편 이와는 달리 용기(500)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 내용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 역할이 달라지는데, 용기(500) 내부에 구비되는 관(400)의 단부는 용기(500) 저면에 닿은 상태에서 충분히 용기(500) 내부의 내용물을 짜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관삽입구(313) 상단측의 유입로(314)로는 용기(5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과 공기가 혼합된 상태에서 토출관(310)측으로 유도된 후, 버블발생부(200)측으로 유동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s are used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500 is directly upright, its role is different. The end of the pipe 400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500 is sufficientl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500. ) Can be used to squeeze out the contents of the inside, and the inlet path 314 of the upper end of the tube insertion hole 313 serves to introduce air into the container 500, and the contents and the air as described above. After being guided to the discharge tube 310 side in the mixed state, it flows to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side.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5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 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용기(500)를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짜내게 되는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이 관(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관삽입구(313) 상단의 유입로(314)측으로 용기(500) 내부의 공기가 함께 유입되며, 관삽입구(313) 상단의 유출안내구(311)에 형성되어 있는 유출공(312)을 통해 배출되고, 이어서 토출관(310)으로 안내된 내용물은 상기 토출관(310)과 연결되어 있는 버블발생부(200)의 본체(210)로 유입된다. When the user wants to discharge the contents of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o the outside, the user presses the container 500 by hand, as shown in FIG. 7. As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ipe 400,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500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passage 314 of the upper end of the tube insertion hole 313, the outlet guide of the upper end of the tube insertion hole (313) (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hole 312 formed in the 311, and then the contents guided to the discharge tube 310 flows into the main body 210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tube 310 do.

이와 같이 본체(210)로 유입된 내용물은 버블발생부(200)의 하단 망사체(220) 및 내부의 구획판(211)으로 방사형태로 천공되어 있는 절개공(212)을 통과한 후, 재차 본체(210)의 상단 망사체(220)를 거쳐 버블이 발생 된 상태에서, 마개(100)의 토출구(110) 상면에 방사형태로 천공되어 있는 토출공(123)을 통해 외부로 버블이 발생 된 상태에서 완전히 배출되므로서,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As such, the content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210 pass through the incision hole 212 which is radially perforated by the lower mesh 220 and the partition plate 211 of the bubble generator 200, and then again. In the state where the bubble is generated through the upper mesh body 220 of the main body 210, the bubble is gener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3 which is radially perforat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10 of the stopper 100 Since it is completely discharged from the state, it can be used by the user.

한편, 용기(500)를 거꾸로 한 상태에서 내부 내용물을 사용할 경우 도 7에서 보듯이 관(400)이 끼워져 있는 관삽입구(313)의 단부측에 절개되어 있는 유입로(314)측으로 내용물이 배출되면서 동시에 관(400) 단부를 통해서는 용기(5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한 토출관(310)측으로 유도된 후, 상기한 과정을 거쳐 마개(100)의 토출구(110)측으로 버블이 발생 되며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internal contents in the inverted state of the container 500 as shown in Figure 7 while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inlet path 314 side cut in the end side of the tube insertion hole 313 is inserted into the tube 400 At the same time,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500 is introduced through the end of the pipe 400 and guided to the discharge tube 310 in the mixed state, and then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discharge port 110 of the stopper 100 is discharged. Bubbles are generated and discharged to enable use by the user.

이와 같이 용기(500) 내부이 내용물이 외부로 버블발생부(200)에 의해 버블이 발생 되며 배출, 사용된 후 용기(500)는 빠르게 원상태로 복원될 필요가 있는데 토출구(110) 내부에 일체로 구비된 상기한 내용물유출구(120)의 외주면측 외기공(121)을 통해 외기가 유입된 후, 버블발생부(200)의 경사날개(231)를 하방향으로 도 8에서와 같이 젖혀지게 되며, 버블발생부(200)의 경사날개(231)를 뒤로 젖히며 통과된 외기는 공기유도부(300)의 공기유도로(330)를 통과한 후 용기(500) 내부로 진입되어, 용기(500)의 원상 복귀 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500 are bubbled by the bubble generating part 200 to the outside, and after being discharged and used, the container 500 needs to be quickly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fter the outside air flows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uter pores 121 of the contents outlet 120, the inclined wings 231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are flipped downward as shown in FIG. 8, and the bubble The outside air passed while tilting the inclined wing 231 of the generator 200 passes through the air induction path 330 of the air induction part 300, and then enter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500, and returns to the original shape of the container 500. The return time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제 2 Second 실시예Example

상기한 제1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의 도 9 내지 도 16에 의해서도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Un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FIGS. 9 to 16.

첨부하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개(100)와 상기 마개(100) 내부로 진입되며 결합 되는 버블발생부(200)와, 상기 버블발생부(200) 하단측으로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용기 내부의 관(400)이 결합 되는 공기유도부(30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 9,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ubble generating unit 200 and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is coupled to enter the stopper 100 and the stopper 100, the lower side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outside the air The air inlet 300 is coupled to the tube 400 inside the container while allowing the inside to flow into the container.

상기 마개(100)는 일반적인 통상의 마개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캡 또는 이중캡 모두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단캡에 적용하여 설명하고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음은 물론이며 이중캡으로의 적용도 가능하다.
The stopper 100 is applicable to both a short cap or a double cap to mean a general stopp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nd shown mainly applied to a short cap, but need not be limited to thi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double cap.

이러한 마개(100)는 도 9 내지 도 11 에서 볼 수 있듯이 마개(100)의 외주면 상단측 일부에 힌지 결합 되는 덮개(도면부호 미기재)에 의해 사용시에는 개방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닫혀 지는 통상의 마개(100)로 이해될 수 있다. Such a stopper 100 is opened in use by a cover (not shown) which is hinged to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100 as shown in FIGS. 9 to 11, and is normally closed after use is completed. It can be understood as the stopper (100).

한편, 이러한 통상적 마개(100)의 일반적 구조에서 마개(100)의 정중앙 부분은 관통되어 용기(500)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상기한 마개(100) 정중앙부분으로 토출구(110)를 형성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general structure of such a stopper 100,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opper 100 is penetrated to enable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500, and forms the discharge port 110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opper 100. .

이러한 토출구(110)의 하단측으로는 후술하게 되는 공기유도부(300)의 원판부재(350) 상면으로 형성되는 삽입요홈(351)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구(113)가 형성된다.
At the lower end side of the discharge port 110, an insertion hole 113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ertion recess 351 formed as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 member 350 of the air induction par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버블발생부(200)는 도 12 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중공형태의 원통형체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토출구(110) 하단으로부터 삽입 결합 되어, 토출구(110) 상면측과 동일 평면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용기(500)에 충진되어 있는 내용물이 버블발생부(200)측을 통해 용기(500)에 충진된 내용물이 공급됨과 동시에 관(400) 하단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의 혼합에 의해 버블이 발생 되며, 토출구(110)를 통하여 공급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2,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forms a hollow cylindrical body and is inserted and coupled from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110 to be positioned i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discharge port 110. While the contents filled in the 500 are supplied to the container 500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bubbles are generated by mixing with air suppli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pipe 400. It is to be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0.

이러한 버블발생부(200)는, 제1몸체(210a)와 제2몸체(210b)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체를 이루게 되고, 제1몸체(210a)의 외경은 제2몸체(210b)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2몸체(210b)와 제1몸체(210a) 경계부위에는 자연스럽게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forms a cylindrical body in which the first body 210a and the second body 210b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ody 210a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210b. By forming relatively large, the stepped portion is naturally form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body (210b) and the first body (210a).

한편, 상기 제1몸체(210a)의 상단측 내주면과 상기 제2몸체(210b)의 하단측 내주면으로는 각각 망사체(220)를 형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esh body 220 is formed in each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side of the first body (210a)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side of the second body (210b).

이러한 망사체(220)는 버블발생부(200)측으로 유입되는 내용물과 공기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버블이 발생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버블 발생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메시정도를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esh body 220 is to allow the bubble to be generated by properly mixing the contents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side, it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the mesh degre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bubble generation will be.

한편 상기 제1몸체(210a)와 제2몸체(211) 경계부위를 이루는 단턱으로 밀착 되는 확장판(230)이 끼워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xpansion plate 230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p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body (210a) and the second body (211) is fitted.

상기 확장판(230)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외주연측은 상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날개(231)가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토출구(110)의 하단측을 단속하도록 하였다. The expansion plate 230 is made of a soft material, the outer peripheral side is to be made inclined upwardly inclined wings 231 integrally, to control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110.

이러한 확장판(230)은 그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탄력이 제공되도록 하여야 하고, 도 10 및 도 15 내지 도 16 에서 보는 것처럼 마개(100)의 토출구(110)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확장되는 확장단턱면(111)과 상기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가 밀접하게 접하도록 한다. The expansion plate 230 should be configured to have a thin thickness to provide elasticity, and as shown in FIGS. 10 and 15 to 16, an extension step surface 111 extending and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110 of the stopper 100. ) And the inclined wings 231 of the extension plate 230 to be in close contact.

이와 같이 경사날개(231)가 마개(100) 토출구(110)의 확장단턱면(111)과 밀접하게 접한 상태에서, 용기(500)를 짜 내어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될 때에는 외부의 공기가 토출구(110)를 통해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는 확장단턱면(111)에 긴밀히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clined vanes 231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expansion step surface 111 of the stopper 100, the outlet port 110, when the container 500 is squeezed and the internal contents flow out,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Since the state does not flow through the 110, the inclined wings 231 of the expansion plate 230 is to mainta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expansion step surface 111.

이와는 달리 용기(500)의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대로 두게 되면, 용기(500)가 원상회복을 하게 되는 과정에서 외기가 토출구(110)를 통해 유입되어지고, 유입된 외기는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를 뒤로 젖혀지도록 하며 용기(500) 내부로 유입이 빠르게 이루어져, 용기(500)의 원상 회복을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On the contrary, when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500 are discharged and left in the finished state, th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0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container 500, and the introduced outside air is expanded ( The inclined vanes 231 of the 230 are to be folded back and the inflow is made quickly into the container 500 to facilitate the original recovery of the container 500.

이를 위해서는 경사날개(2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절곡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To this end, it is of course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wings 231 are bent upward as described above.

상기한 확장판(230)의 저부면은 용기(500)를 거꾸로 두었을 경우 또는 거꾸로 든 상태에서 내용물을 짜낼 때, 내용물이 접하는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도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가 확장단턱면(111)에 충분한 면적으로 덮고 있어,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expansion plate 230 when the container 500 is placed upside down or when squeezing the contents in an upside down state, the contents are in contact with the state, even in this state the inclined wings 231 of the expansion plate 230 Covering the expansion step surface 111 with a sufficient area,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contents leak out.

상기 공기유도부(300)는 도 1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500)를 짜내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상기 내용물의 배출을 가이딩 함과 동시에, 배출이 완료된 후 용기(500)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용기(5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3, the air induction part 300 squeezes the container 500 and guides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after the discharge is completed, the container 500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In the process of being restored, it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inducing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container 500.

이를 위해 공기유도부(300)는 상기 버블발생부(200)의 제2몸체(210b) 하단이 끼워지는 토출관(310)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구획리브(320)에 의해 공기유도로(330)가 형성되고 구획리브(320) 단부로 연결되는 원판부재(350) 상면으로 삽입요홈(351)이 형성되어 상기 마개(100)의 토출구(110) 하측 삽입구가 삽입되어 결합 되도록 하였다. To this end, the air induction part 300 is an air induction path 330 by the partition rib 320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tube 310,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210b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is fitted. The insertion groove 35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 member 350 which is formed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artition rib 320 so that the lower insertion hole of the outlet 100 of the stopper 100 is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또한 상기 토출관(310) 하단은 용기(500) 내부 저면까지 이어지는 관(400)과의 연결을 이어주기 위한 연결관(36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tube 310 is to be connected by a connection pipe 360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to the tube 400 leading to the inner bottom of the container 500.

상기 토출관(310)의 직하방측으로는 관삽입구(3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술한 연결관(360)에 삽입 결합 되도록 하였으며, 토출관(310)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315)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315) 중앙에는 통공(316)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Directly below the discharge tube 310, the tube insertion hole 313 is integrally formed to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360 described above, and a partition plate 315 is formed to partition the discharge tube 310 inside. The through-hole 316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artition plate 315.

상기 통공(316)으로는 용기(50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토출구(110)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후술하게 되는 연결관(360)의 요철부(363)를 통해 유입되는 용기(500) 내부의 내용물과 통공(316)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혼합되며 상기한 버블발생부(200)를 통과하며 버블이 형성되도록 한다.In the through hole 316, the air existing in the container 500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10. The inside of the container 500 introduced through the uneven portion 363 of the connecting pipe 360 to be described later.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contents and the through hole 316 is mixed and passes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to form bubbles.

한편 상기 토출관(310)의 외측으로는 원판부재(350)가 구비되는데 그 원판부재(350)와 토출관(310)과는 일정 간격 이격 구성되도록 하기 위해 구획리브(32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구획리브(320)와 구획리브(320) 사이에는 공기유도로(330)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ide of the discharge tube 310 is provided with a disc member 350, the disc member 350 and the discharge tube 310 to be connected by a partition rib 320 to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An air induction path 330 is formed between the compartment rib 320 and the compartment rib 320.

상기 원판부재(350) 상면측으로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삽입요홈(351)을 형성하여 마개(100)의 토출구(110) 저면측 주연부측으로 연하여 형성되어 있는 삽입구(113)가 삽입 되도록 하였다.Insertion grooves 35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disc member 35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113 formed by connecting to the peripheral edge of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discharge port 110 of the stopper 100.

이와 같이 원판부재(350)의 삽입요홈(351)과 삽입구(113)간 결합에 의해 마개(100)측으로 버블발생부(200)와 공기유도부(300) 및 관(400)이 고정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As such, the bubble generating part 200, the air induction part 300, and the pipe 400 are fixed to the stopper 100 by coupling between the insertion recess 351 and the insertion hole 113 of the disc member 350. do.

한편 상기 연결관(360)은, 상기한 공기유도부(300)의 토출관(310) 하단인 관삽입구(313)가 삽입되며 연결되고, 아울러 연결관(360)의 하단측으로는 관(400)이 연결되는 형태를 갖도록 하면서, 용기(500)를 뒤집어 토출구(110)측으로 내용물을 토출시키게 할 때 연결관(360)과 결합 되는 토출관(310) 하단의 관삽입구(313) 외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용기(500)의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하여 토출관(310)을 통해 버블발생부(200)측으로 그 내용물이 유입, 유도되도록 하는 가이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pipe 360, the pipe insertion hole 313, which is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10 of the air induction portion 300 is inserted and connected, and also the pipe 400 to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pipe 360 While having the form to be connected, the container 500 in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insertion hole 313 of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tube 310 coupled with the connecting tube 360 when the container 500 is turned over to discharge the contents to the discharge port 110 side By allowing the contents of the 500 to be introduced, the contents of the 5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bubble generator 200 through the discharge tube 310 to serve as a guider for introducing and inducing the contents.

이를 위해, 즉 상기 연결관(360)의 관삽입구(313)와 토출관(310) 외주면간의 이격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연결관(360) 내주면으로 요철부(363)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To this end, that is, in order to maintain the separation between the pipe insertion hole 313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310 of the connection pipe 360, the concave-convex portion 363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360.

이때 상기 연결관(360) 내부에 요철부(363)가 형성되는 위치는 연결관(360)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상방측 내주면에만 형성되도록 하였다. 아울러 연결관(360) 내부 중앙을 구획하는 구획부재(361)를 형성하고, 상기 구획부재(361) 중앙으로 구멍(362)을 형성한다. 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concave-convex portion 363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ipe 360 is formed only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360. In addition, a partition member 361 is formed to partition the inner center of the connection pipe 360, and a hole 36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artition member 361.

상기한 구멍(362)은 용기(500)를 뒤집어서 사용자가 내용물을 짜낼 때 용기(500)의 내용물과 혼합되며 버블발생부(200)에서 버블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400)의 단부를 통해 용기(500)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역할을 하게 된다.The hole 362 is the end of the tube 400 in order to invert the container 500 to mix with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500 when the user squeezes the contents and to generate bubbles in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Through it serves to guide the air remaining in the container 500.

한편 상기 연결관(360)의 하단측 즉 구획부재(3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기준으로 하방 내주면은 평평한 형태를 갖도록 하며 관(400)의 상단 외주면과 밀접하게 압착 삽입되도록 한다.
Meanwhile,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360, that is, the partition member 361 is formed to have a flat shape, and is pressed and inserted into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ipe 400.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화장품류 등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튜브 형태의 용기(50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버블 발생을 일으키며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 형태를 설명한다.Using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using a tube-shaped container 500 for receiving the contents of the liquid, such as cosmetics will be described a use form for causing the user to use the bubble generation.

먼저 사용자는 마개(100)를 개방하게 되는데 그 마개(100)는 전술한 내용과, 첨부하는 도면 등에 의해 확인할 수 있듯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개폐 가능한 마개(100)를 사용하여 윗마개를 개방하게 되면 토출구(110)의 육안 확인이 가능한 개방 상태에 있게 된다.First, the user opens the stopper 100. The stopper 100 opens the upper stopper by using a stopper 100 that can be rotated and opened around the hinge as can be seen by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 visual insp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10 may be in an open state.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용기(500)를 뒤집어 용기(500)를 짜게 되는데 이때에는 용기(5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은 마개(100)측으로 모두 쏠리는 현상을 갖게 되면서, 동시에 관(400)의 단부측으로는 내용물이 접하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된다. In this state, the user flips the container 500 to squeeze the container 500, and at this tim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500 have a phenomenon in which all of them are directed toward the stopper 100. In the end side, the contents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용기(500)를 뒤집어 짜게 되면, 내용물은 관(400)의 하단측을 통해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유도부(300)의 토출관(310)의 관삽입구(313)와 관(400)을 연결하는 연결관(360)에서, 전술한 것처럼 연결관(360)과 토출관(310)의 관삽입구(313) 외주면간 이격 되는 공간을 통해 내용물이 유입된다.When the container 500 is squeezed upside down, the contents are not introduced through the lower end side of the pipe 400, but are connected to connect the pipe 400 and the pipe insertion hole 313 of the discharge pipe 310 of the air induction part 300. In the tube 360, the contents are introduced through the spac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insertion hole 313 of the connecting tube 360 and the discharge tube 310 as described above.

즉, 전술한 것과 같이 내용물은 연결관(360) 내주면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363)의 공간을 통해 유입된 후 관삽입구(313) 단부측으로 유입되어져 공기유도부(300)의 토출관(310)을 따라 유도되어져, 전술한 버블발생부(200)측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갖게 되는 것이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are introduced through the space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363 forme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connecting tube 360, and then flowed into the end of the tube insertion hole 313, thereby discharging the discharge tube 310 of the air induction part 300. Guided along, it will have a path that flows into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side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내용물이 마개(100)의 직하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버블발생부(200)측까지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공기도 버블발생부(200)측으로 동시에 유입되며 내용물과 혼합된 후 버블을 발생시켜야 한다.While the contents are introduced into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which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stopper 100, the air is also simultaneously introduced into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and mixed with the contents to generate bubbles. do.

이를 위한, 즉 공기가 버블발생부(200)측으로 유도되는 과정은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용기(500)의 저면까지 이르는 관(400)의 단부를 통해 용기(500)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유입되는데, 관(400)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연결관(360)의 구획부재(361) 중앙에 천공되어 있는 구멍(362)을 통해 공기유도부(300)의 토출관(310) 중앙을 가로지르는 구획판(315)의 통공(316)을 지나 버블발생부(200)로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For this purpose, that is, the air is guided to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side, the air remaining inside the container 500 is introduced through the end of the tube 400 leading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500 as shown in the drawing 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pipe 400 divides the plate across the center of the discharge pipe 310 of the air induction part 300 through a hole 362 which is punctured in the center of the partition member 361 of the connection pipe 36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316 of 315 is passed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따라서, 용기(500)의 내용물은 연결관(360)의 상단측 내주면 요철부(363)를 통해 토출관(310)의 관삽입구(313)측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용기(500) 내부의 공기는 관(400)의 단부측으로 유입되면서 연결관(360)의 내부 구멍(362)을 통해 유입되어 토출관(310)의 구획판(315) 중앙에 천공되어 있는 통공(316)으로 공급되어져 토출관(310) 내부에서 용기(500)의 내용물과 관(40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혼합되며 1차 버블을 발생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500 flows into the pipe insertion hole 313 side of the discharge pipe 310 throug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uneven portion 363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360,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500 Inflow to the end side of the 400 is introduced through the inner hole 362 of the connection pipe 360 is supplied to the through hole 316 which is perforated in the center of the partition plate 315 of the discharge pipe 310 discharge tube 310 ) Inside the vessel 500 and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tube 400 is mixed to generate a primary bubble.

아울러 토출관(310)으로 유입되는 내용물과 공기의 1차 혼합물은 버블발생부(200)의 본체(210)측으로 유입되면서 상기한 제2몸체(210b) 하단의 망사체(220)를 통과하며 버블이 발생되고 이어서 제1몸체(210a)의 상단측 망사체(220)를 통과하면서 최종적인 버블이 발생되어져, 마개(100)의 토출구(110)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양질의 버블을 공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imary mixture of the contents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tube 310 flows into the main body 210 of the bubble generator 200 and passes through the mesh body 220 at the bottom of the second body 210b. This is generated and then the final bubble is gener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upper mesh 220 of the first body (210a), to supply a high-quality bubble available to the user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0 of the stopper (100) .

이때 상기 용기(500) 내부의 내용물은 마개(100)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데, 이러한 내용물은 버블발생부(200)의 외주면으로 띠 형태로 결합 되어 있는 확장판(230)의 외주면 경사날개(231)가 마개(100) 내주면의 확장단턱면(111)에 밀접하게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내용물이 마개(100)측으로 토출 되는 현상은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500 ar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stopper 100,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lined wings 231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pansion plate 23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in the form of a band (100) By maintaining the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expansion step surface 111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henomenon that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stopper 100 side can be completely prevented.

이어서, 용기(500) 내부의 내용물을 버블을 발생시키며 사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용기(500)를 바로 세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용기(500)의 찌그러진 형태는 원상 복귀를 위해, 용기(500)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use of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500 generates bubbles and the use is completed, the user stands up the container 500. In this process, the crushed shape of the container 500 is returned to the container 500 side for the original return. The outside air flows through the process.

이와 같이 외기가 용기(500)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은, 토출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버블발생부(200)의 확장판(230) 외주면으로 구비된 경사날개(231)를 젖히면서 공기유도부(300)의 공기유도로(330)를 통하여 용기(500) 내부측으로 유입되어 빠르게 용기(500)의 원형이 복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outside air into the container 500,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0 may be inclined by the air induction unit while the inclined wings 231 provided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ansion plate 230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Through the air induction path 330 of 300, the container 500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500, and the container 500 is quickly restored.

이때에는 외기는 관(400)을 통하여 유입되는 경로가 아니라, 공기유도부(300)의 공기유도로(330)를 통하여 유입되는 경로를 거치게 된다.
In this case, the outside air passes through the air inflow path 330 of the air induction part 300, not the path that flows through the pipe 400.

한편, 본 발명은 용기(500)를 세운 상태에서도 내부 내용물이 버블을 발생시키며 토출 가능하게 되는데, 즉 이 경우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관(400)을 통하여 공기가 유도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상기 관(400)을 통해 용기(500) 내용물이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아울러 용기(500) 내부의 공기는 전술한 것과는 반대로 연결관(36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요철부(363)를 통하여 토출관(310)의 관삽입구(313)를 거쳐 버블발생부(200)측으로 유입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container 500 is up, the inner contents can be discharged while generating bubbles, that is,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air is not induced through the pipe 400, but on the contrary, the pipe ( Through the process 400,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500 is introduced, and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500 is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pipe 360 as opposed to the above,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uneven portion 363. It is introduced into the bubble generating unit 200 side through the tube insertion hole 313 of (310).

이와 동시에 내용물은 관(400)을 따라 공기유도부(300)의 토출관(310)을 거친 후 버블발생부(200)를 통해 마개(100)의 토출구(110)측으로 버블이 발생되며 토출되도록 하고 있다.At the same time, the contents pass through the discharge pipe 310 of the air induction part 300 along the pipe 400, and then bubbles are generated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10 of the stopper 100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part 200. .

이와 같이 용기(500)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도 용기(500) 내부의 내용물을 공기와 혼합하며 버블 발생이 가능하게 되고, 용기(500)를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도 동일한 작용을 얻게 되므로,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용기(500) 내부의 내용물을 모두 소진할 때 까지 사용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 버블 발생은 3차레에 걸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므로,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버블 발생에 의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such, even when the container 500 is directly upright,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500 may be mixed with air to generate bubbles, and the same effect may be obtained even when the container 500 is upside down. The container 500 may be used until all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are exhausted, as well as the bubble is generated through a three-step process, such that the use of the bubble can be satisfied by the consumer. This will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100; 마개 110; 토출구
111; 확장단턱면 112; 제2확장단턱면
113; 삽입구 120; 내용물유출구
121; 외기공 122; 돌기
123; 절개공 200; 버블발생부
210; 본체 210a; 제1몸체
210b; 제2몸체 211; 구획판
212; 절개공 220; 망사체
230; 확장판 231; 경사날개
300; 공기유도부 310; 토출관
311; 유출안내구 312; 유출공
313; 관삽입구 314; 유입로
315; 구획관 316; 통공
320; 구획리브 330; 공기유도로
340; 원판부재 341; 삽입구
350; 원판부재 351; 삽입요홈
360; 연결관 361; 구획부재
362; 구멍 363; 요철부
400; 관 500; 용기
100; Stopper 110; Outlet
111; Extended step surface 112; 2nd extension step surface
113; Insertion hole 120; Outlet
121; Open air 122; spin
123; Incision 200; Bubble generator
210; Main body 210a; The first body
210b; Second body 211; Partition plate
212; Incision 220; Mesh
230; Extension 231; Beveled wings
300; Air induction part 310; Discharge pipe
311; Spill guide 312; Outflow hole
313; Tube insertion hole 314; Funnel
315; Compartment 316; Passage
320; Compartment rib 330; Air route
340; Disc member 341; parenthesis
350; Disc member 351; Insertion groove
360; Connector 361; Compartment
362; Hole 363; Uneven portion
400; Tube 500; Vessel

Claims (7)

튜브형 용기의 토출부와 결합 되는 마개 구조에 있어서,
외주면으로 요철 형태를 이루며 돌기와 외기공이 교호 형성되며 상면은 막혀진 상태에서 토출공이 절개되고 하면은 개방되어지되, 상기 돌기가 마개의 내주면과 일체로 연결되는 내용물유출구와,
상기 내용물유출구 하방측으로부터 삽입되며 끼워지는 것으로, 중앙부의 상하단에 각각 망사체를 구비하고, 내주면으로 절개공을 갖는 구획판이 일체로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원판형태의 확장판이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판 끝단부로부터 경사지는 경사날개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버블발생부와,
상기 버블발생부의 하단측에 끼워지며 중앙의 토출관을 이루고 토출관 하단으로 관이 삽입되도록 하고, 토출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구획리브의 단부측에 원판부재를 이루고, 상기 구획리브에 의해 공기유도로가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재 하면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공기유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In the stopper structure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tubular contain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irregularities and the projections and the external pores are formed alternately, the upper surface is blocked in the discharge hole in the blocked state and the lower surface is open, the contents outlet which is connect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integrally;
The body is inserted and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tents outlet, the main body having a mesh body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entral portion, integrally provided with a partition plate having an incision hole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disc shape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expansion plate is made of,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made of integrally inclined wings inclined from the end of the expansion plate,
It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bubble generating part to form a central discharge tube and the tube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tube lower end, and a disc member is formed on the end side of the partition rib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tube, the air flow guided by the partition rib Is formed, and the stopper structure having a bubble genera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air induction portion having an insertion port extending integral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의 하방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지되 외경이 상대적으로 상기 토출관과 작은 직경을 갖는 관삽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관삽입구에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관이 끼워지는 것을 포함하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 tube inserting port which is integrally extended to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tube but has an outer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ischarge tube and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to guide the content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being accommodated inside the container; Stopper structure having a bubble generating portion compri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과 관삽입구의 경계부위에서 토출관 내측으로 유출안내구가 산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산모양을 갖는 유출안내구의 단부측에 용기의 내용물이 배출되기 위한 유출공이 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A bubble generating part includes an outlet guide formed in a shape of a mountain at an interface of the discharge tube and the pipe insertion hole, and an outlet hol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is drilled on an end side of the discharge guide having a mountain shape. Having a stopper structu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과 관삽입구이 경계부위에서 상기 관삽입구의 상단측에 다수의 유입로를 절개하여, 용기 내부 내용물이 상기 유입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The method of claim 2,
A stopper structure having a bubble generating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inflow paths in the upper end side of the pipe insertion hol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discharge pipe and the tube insertion hole, so that contents of the contain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inflow path.
튜브형 용기의 토출구와 결합 되는 마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하단으로 결합 되는 것으로 상하단으로 각각 망사체를 이루며 중공 형태를 갖는 버블발생부와,
상기 버블발생부의 외주면으로 끼워지는 연질의 원판형태를 이루되 외주연부의 끝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는 경사날개가 일체로 이루어져 토출구 하단측을 단속하는 확장판과,
상기 버블발생부의 제2몸체 하단이 끼워지는 토출관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구획리브에 의해 공기유도로가 형성되고 구획리브 단부로 연결되는 원판부재 상면으로 삽입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마개의 토출구 하측 삽입구가 삽입되어 결합 되도록 하는 공기유도부와,
상하부가 각각 중공형태를 갖으며 상기 공기 유도부의 토출관 하단이 상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중앙에 구멍이 천공된 구획부재가 내부를 구획하고, 상기 구획부재 상측 내주면으로 요철부를 갖으며, 하측으로는 관이 삽입되도록 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 구조.
In the stopper structure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tubular container,
A bubble generating unit having a hollow form and forming a mesh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to b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An expansion plate for forming a soft disc shape fit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the inclined wings being inclined upwardly from th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integrally to control the bottom of the discharge port;
An air induction path is formed by a partition rib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tube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is inserted, and an insertion recess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 membe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artition rib. An air induction part to be inserted and coupled;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has a hollow shape, and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of the air induction part is inserted upward. The partition member having a hole in the center partitions the inside, and has an uneven part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artition member. A stopper structure having a bubble genera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connecting pipe to be insert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발생부는 중앙부위를 기점으로 상단측 제1몸체직경이 하단측 제2몸체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 상단과 제2몸체 하단측으로 상기 걸름망이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ubble generating unit has a bubble that includes a top of the first body diameter is formed relatively larger than the bottom side of the second body diameter starting from the center portion, and the strainer is provided to the top of the first body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body, Stopper structure having a generation 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어, 확장판이 단턱에 걸리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을 포함하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stepped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expansion plate is attached to the stepped and includes a stopper structure having a bubble generating portion.


KR1020130035973A 2012-04-03 2013-04-02 Bulle generator type plug KR1013764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2754 WO2013151320A1 (en) 2012-04-03 2013-04-03 Stopper structure having a bubble-generat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414 2012-04-03
KR20120034414 2012-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776A true KR20130112776A (en) 2013-10-14
KR101376439B1 KR101376439B1 (en) 2014-03-19

Family

ID=4963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973A KR101376439B1 (en) 2012-04-03 2013-04-02 Bulle generator type plu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43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453B1 (en) * 2013-10-22 2014-11-10 최정구 Bulle generator type plug
KR101514811B1 (en) * 2014-06-02 2015-04-23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Foaming generater for squeeze bottle
WO2015099338A1 (en) * 2013-12-26 2015-07-02 (주)연우 Foam jetting tube container
KR20220108475A (en) * 2021-01-27 2022-08-03 최정구 Containers with backflow prevention structure in bubble generation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986B1 (en) * 2021-07-27 2023-05-26 최정구 Bubble generating container equipped with air tub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5907A (en) * 1997-10-09 1999-04-20 Kao Corp Bubble injection container
JP5493682B2 (en) * 2009-10-16 2014-05-14 花王株式会社 Foam discharge containe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453B1 (en) * 2013-10-22 2014-11-10 최정구 Bulle generator type plug
WO2015099338A1 (en) * 2013-12-26 2015-07-02 (주)연우 Foam jetting tube container
KR20150076136A (en) * 2013-12-26 2015-07-06 (주)연우 Tube vessel for bubble spouting
CN105873832A (en) * 2013-12-26 2016-08-17 衍宇株式会社 Foam jetting tube container
KR101514811B1 (en) * 2014-06-02 2015-04-23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Foaming generater for squeeze bottle
WO2015186922A1 (en) * 2014-06-02 2015-12-10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Foam generator for compression receptacle
CN106458392A (en) * 2014-06-02 2017-02-22 阿波罗工业株式会社 Foam generator for compression receptacle
CN106458392B (en) * 2014-06-02 2018-05-18 阿波罗工业株式会社 Squeeze container foam maker
KR20220108475A (en) * 2021-01-27 2022-08-03 최정구 Containers with backflow prevention structure in bubble generatio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439B1 (en)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439B1 (en) Bulle generator type plug
KR101569413B1 (en) Pouring container
RU2534058C2 (en) System, method and capsule for beverage preparation
TWI616382B (en) Beverage-making capsule and capsule manufacturing method
KR101067748B1 (en) Tube vessel for bubble spouting
JP7337895B2 (en) Single portion pack, use and preparation machine
KR101765026B1 (en) Squeezing type foam pump and method for generating foam by foam pump
KR101517825B1 (en) Foaming generater for squeeze bottle
KR101514811B1 (en) Foaming generater for squeeze bottle
JP2018532659A (en) Foam spout tube container
KR20160127726A (en) Squeezing type foam pump and method for generating foam by foam pump
JP2017132531A (en) Pouring-out container
KR101460453B1 (en) Bulle generator type plug
WO2013151320A1 (en) Stopper structure having a bubble-generating unit
JP6437275B2 (en) Foam ejection container
KR101740663B1 (en) The cap of beverage container for a built-in pill
KR101292895B1 (en) Bulle generator type plug
JP6552205B2 (en) Foam ejection container
KR102281825B1 (en) Mixing container for mixing of two contents
JP6429708B2 (en) Squeeze foamer container
JP6012947B2 (en) Foam ejection container
KR101567249B1 (en) Bulle generator type plug
KR102525464B1 (en) Containers with backflow prevention structure in bubble generation structure
CN205240114U (en) Cosmetics that can optionally spit multiple liquid cosmetics spit device
JP6859166B2 (en) Foam ejectio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