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1088A - Standing / sitting assist and transfer system using rotational mechanism - Google Patents

Standing / sitting assist and transfer system using rotational mechanis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1088A
KR20130111088A KR1020120033613A KR20120033613A KR20130111088A KR 20130111088 A KR20130111088 A KR 20130111088A KR 1020120033613 A KR1020120033613 A KR 1020120033613A KR 20120033613 A KR20120033613 A KR 20120033613A KR 20130111088 A KR20130111088 A KR 20130111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tanding
user
sitting
fram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6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48887B1 (en
Inventor
송원경
김경
이정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to KR102012003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887B1/en
Publication of KR2013011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0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8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Abstract

PURPOSE: An auxiliary device for standing and sitting is provided to help patients with standing or sitting, and to move patients from an auxiliary device to a moving bed or device for examination in a situation demanding a height change. CONSTITUTION: An auxiliary device for standing and sitting comprises: an up down frame unit (100); a rotating unit (250) combined with the up down frame unit to be rotated and moved up and down; and a chair unit (200) connected to the rotating unit where a patient can sit on. The device is combined with the up down frame unit to be rotated. The device additionally comprises a left and right frame unit having a supporting structure. The device additionally comprises a first safety device unit (300) covering the top half, shoulders, abdomen, or thigh of the patient for safety.

Description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standing / sitting assist and transfer system using rotational mechanism} A standing / sitting assist and transfer system using rotational mechanism

본 발명은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를 이동식침대 또는 검진을 위한 장치로 이송을 함에 있어, 손쉬운 이송과 더불어 환자의 기립 또는 착석을 안전하게 지원할 수 있는 수단을 확보한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transfer and standing / sitting assis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transferring a handicapped person or a patient with mobility inconvenience to a mobile bed or a device for exam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transfer and standing /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0-0134949호(2010년 12월 24일 공개,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과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1-0029699호(2011년 03월 23일 공개, 이하 "선행문헌2"라 함)가 있다. Prior art is disclosed in Korean National Publication No. 10-2010-0134949 (published on December 24, 20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and Korean National Publication No. 10-2011-0029699 (March 23, 2011 Public ",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

첫째, 선행문헌1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환자침대와 환자이동침대사이, 혹은 환자이동침대와 각종 검사장치로 서로 이송할 때, 환자를 손쉽게 이송할 수 있는 환자 이송 장치로, 선행문헌1은 누워있는 환자의 몸을 싣거나 내리기 위해 환자이동침대의 상판 이동판이 환자 침대 매트리스 위로 움직일 때, 이송암(transfer arm)과 이송암 위를 움직이는 활차(滑車, wheeled chassis)가 자동적으로 같이 움직여서 상판 이동판이 환자 침대 매트리스 위로 쉽게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또 상판 이동판이 환자의 몸쪽으로 쉽게 기울일 수 있도록 링크(linkage) 장치가 상판 이동판 밑에 설치되어 있어, 상판 이동판에 환자의 몸을 쉽게 싣거나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된 환자 이송 장치이다.First, Prior Art 1 is a patient transfer apparatus which can easily transfer a patient when a patient with inconvenient behavior is transferred between a patient bed and a patient moving bed or between a patient moving bed and various examination apparatuses, A transfer arm and a wheeled chassis that moves over the transfer arm automatically move together when the upper transfer plate of the patient transfer bed is moved over the patient bed mattress to load or unload the patient's body, Allows easy movement over patient bed mattress. Also, a linkage device is provided under the top plate moving plate so that the top plate moving plate can be easily tilted toward the body of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 moving device can be easily loaded or unloaded on the top plate moving plate.

선행문헌1은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단순히 몸을 옆으로 세움으로서 환자이동침대에 싣거나 내릴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는 이송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적은 인원으로 환자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이송을 위해 별도의 외부 동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별도 부속장치의 설치 및 철수 과정이 필요 없어 운영하기가 매우 편리하며, 장치가 간단하기 때문에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었다.  The prior art 1 can minimize the inconvenience to the patient and easily move the patient with a small number of people because the patient can simply put the patient on the patient moving bed by raising his / her sideways in the lying state.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external power for patient transfer and it is very convenient to operate because it does not require installation and withdrawal process of separate accessories, and it is possible to supply at low cost because the device is simple.

둘째, 선행문헌2는 기능적으로는 사용편의성과 심미성,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는 전동식 구동기와 간단한 기구적 메커니즘에 의해 제품의 슬림화를 도모하면서 기립지원 및 등판을 기울이는 리클라이닝(reclining)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고령자 및 장애인 등을 위한 전동식 기립보조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좌면과; 상기 의자 좌면에 연결되어 의자 좌면을 움직이는 전동식 구동기와; 상기 전동식 구동기의 작동시 의자 좌면과 등판의 운동을 안내하는 시트가이드와; 상기 의자 좌면에 힌지결합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판과; 상기 의자 좌면에 연결되어 등판을 받치면서 등판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이동하는 등판지지대와; 상기 의자 좌면의 이동시 연동하여 눕거나 서게 되는 상기 등판지지대의 운동을 안내하는 등판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립보조의자를 제공한다. Second, the prior art document 2 can improve the ease of use, esthetics and safety in terms of functionality, and it is structurally possible to realize a reclining operation A chair seat on which the user can sit, and a seat for a user to sit on the chair seat; An electric driver connected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chair to move the seating surface of the chair; A seat guid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chair seat and the back plate when the electric actuator is operated; A back plate hinged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chair and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A back plate support which is connected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chair and receives the guidance of the back plate while moving under the guidance of the back plate guide; And a backing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supporting base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seat back and is standing or standing.

하지만, 종래 기술들은 침대와 침대 사이, 혹은 침대와 각종 검사 장치 사이의 이송만 가능한 장치에 불과하여, 환자의 높낮이 변동이 요구될 때, 활용도가 떨어지고, 환자의 안전을 위한 장치가 부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s are merely a device capable of only transferring between a bed and a bed, or between a bed and various inspection apparatuses, so that when the height variation of the patient is required, the utilization is reduced and there is no apparatus for patient safety there was.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0-0134949호(2010년 12월 24일 공개, 환자 이송 장치)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4949 (published on December 24, 2010, Patient Transfer Device)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1-0029699호(2011년 03월 23일 공개, 기립보조의자)Republic of Korea Pub. No. 10-2011-0029699 (released on March 23, 2011, standing chai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환자가 비교적 제한된 공간에 있을 때에도, 환자의 침대와 환자이동침대 사이에 이루어지는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ry transfer and standing / sitting assistant device for smoothly transferring between a bed of a patient and a patient moving bed even when a patient is in a relatively limited space And to provide the above-mentioned objects.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휠체어나 보행보조기와 같은 보조시스템에서 높이 변화가 필요한 침대나 검진장치로의 이송에도 문제가 되지 않고, 환자의 기립 및 착석 동작이 이루어질 때, 이를 원활하고 안전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blematic in transferring to a bed or a checkup apparatus which requires a height change in an auxiliary system such as a wheelchair or a walking aiding apparatus, and when the patient is standing and sitt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ry transfer and standing /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는, 상하 프레임부; 상기 상하 프레임부와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탑승 의자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tary transfer and standing / sitting assistant device including upper and lower frames; A rotary part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frame parts so as to be able to rotate and move up and down; And a passenger chair part connected to the rotation part and capable of being seated by the user.

여기에서, 상기 상하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좌우로 지지 구조를 갖는 좌후 프레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eft frame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frame parts and having a support structur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또한, 상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상반신, 어깨, 복부 또는 허벅지를 감싸는 제 1 안전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for the safety of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rst safety device surrounding the upper body, the shoulder, the abdomen or the thigh.

또한, 상기 좌우 프레임부에 좌우 병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를 기립하여 지지하는 제 2 안전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afety devic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frame parts so as to be able to translate left and right, and to stand and support the user.

상기 상하 프레임부의 최하부에는 설치된 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And a wheel portion provided at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frame portions.

본 발명에 따르면, 침대와 침대 또는 침대와 검진 및 의료장치로의 환자 이송이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휠체어, 보행보조시스템 등의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은 기구물로부터 이송하고자 하는 목적 대상체로 환자를 쉽고 안전하게 이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nsport a patient to a bed, bed or bed, examination and medical devic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and safely transfer the patient to a target object to be transferred from an apparatus whose height and height is not constant, such as a wheelchair or a walking assistance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장치를 활용하면, 사용자가 바닥으로부터 또는 휠체어 등의 보조시스템의 높이에서 침대 높이로 이송할 시에, 회전 및 병진 운동을 이용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rotation and translational motion when the user is transported from the floor or from the height of the auxiliary system such as a wheelchair to the bed height, it can be smoothly transferred even in a narrow space .

또한, 하체의 근력이 약하거나, 관절에 손상이 있는 사람이라도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기립/착석하는 동작에 도움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for a person having weak muscular strength of the lower body or having damage to the joint to be assisted in the standing / sitting operation through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의 운용개념도,
도 2는 탑승 의자부의 회전 및 상하 위치 조절의 원리도,
도 3은 안전장치부의 고정 및 좌우프레임에서의 병진운동이 가능한 원리도,
도 4는 하지 보조시스템에서 활용되는 안전 지지대,
도 5는 하지 보조시스템의 안전 지지대와 통용가능한 안전장치부의 이용 개념도,
도 6은 사용자의 기립/착석을 지원하는 원리를 나타낸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ceptual view of operation of a rotary transfer and standing / sitting assista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rotation and vertical position adjustment of a chair portion,
Fig. 3 is a principle in which the safety device is fixed and the translational motion in the left and right frames is possibl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support,
Fig. 5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the use of the safety support of the undergarment assist system and the safety device,
6 shows the principle of supporting the standing / sitting of the us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의 운용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FIG. 1 illustrates the concept of operation of a rotation transfer and standing / sitting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인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환자를 옮기기 위한 장치적 구성으로 환자가 앉을 수 있는 탑승 의자부(200), 상기 탑승 의자부(200)의 하단면에 고정되고 상하 프레임부(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작된 회전부(250), 상기 상하 프레임부(100)의 하단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이동을 위한 바퀴부(350) 및 사용자의 낙상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신체의 일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부가 구성됨을 도시하고 있다. 구성의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arding chair part 200 in which a patient can sit in a device configuration for transferring a patient using rotational motion, A wheel unit 35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for m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fixing a part of the body to prevent a user's fall accident, And a safety device unit is construct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탑승 의자부의 회전 및 상하 위치 조절의 원리를 나타낸다. Fig. 2 shows the principle of rotation and vertical position adjustment of the chair section.

환자나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휠체어나 보조장치는 표준화되지 않아 각각의 장치마다 높낮이가 일정치 않으므로 본 장치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탑승 의자부(200)에 일면이 고정되어 지지하면서 상기 상하 프레임부(100)의 외면을 따라 원형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250)는 상하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미도시)을 갖는다.Wheelchair and assistive devices used by patients and handicapped persons are not standardized, so the height of each device is not constant. Specifically, the rotary part 250, which is supported on the boarding part 200 and is circularly rotat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frame parts 100, is vertically adjustable and fixed (Not shown).

상하 위치 조절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일반적인 성인이 탑승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하여 보호자나 치료사가 근력만을 이용하여 상하 조절을 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리프팅 장치(쟈키 또는 리프팅 모터 등)를 그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In the vertical position adjustmen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for the protector or the therapist to adjust up and down using only the muscular force ow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when the adul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lifting device (jockey or lifting motor, etc.) Can be used.

본 발명의 사용자가 환자나 장애인이라는 특성상 재활기관이나 병원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크다. 일반적인 병동의 환자실에서, 침대와 침대 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가 많아서 "선행문헌1"의 기술과 같은 장치로는 이송에 필요한 넓은 반경이 요구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회전부(250)를 통해 착석한 환자를 회전하는 방식으로 이송시키므로 장치에 요구되는 움직임 즉, 이동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서도 환자의 용이한 이송을 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kely to be used in a rehabilitation institution or a hospital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patient or a disabled person. In a patient room of a general ward, a space between a bed and a bed is often narrow, and therefore a large radius required for transportation is required for an apparatus such as the technique of the "prior art document 1".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ient who is seated through the rotation unit 250 is transferred in a rotatable mann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motion required for the apparatus, that is, the movement. Therefore, the patient can be easily transported even in a relatively small space.

상기 회전부(250)에 따른 환자의 이송 동작을 보면, 침대나 보행보조기 등에서 탑승 의자부(200)에 착석한 뒤, 이송의 목적지가 되는 대상체(도면에서는 침대: 500)방향으로 회전한 뒤, 상기 대상체의 높이로 상하조절하여 환자를 옮기게 된다. 여기에서, 상하조절보다 회전이 먼저 이루어지는 것은, 환자를 일정 높이까지 들어올린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질 경우, 환자의 낙상사고 발생 시, 부상의 정도가 심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무게중심이 하단에 있는 상태보다 안정성이 떨어져 기울거나 쓰러질 수 있어 2차적인 문제에 직면할 수 있으므로 회전이 먼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tient is transported by the rotation unit 250 after being seated on the boarding chair unit 200 in the bed or the walking aids and then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target object (bed 500 in the drawing) The patient is moved up and down by the height of the subject. Here, the rotation is performed earlier than the up-and-down adjustment because, if the patient is rotated up while lifting the patient up to a certain height, the degree of injury may be severe when a patient fall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is performed first because the stability can be lowered or collapsed than the case where the center of gravity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bottom, so that the secondary problem may be encountered.

위에서 언급한 무게중심에 따라, 구조적으로 안정성 있게 설계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하 프레임부(100)의 하단부 또는 상기 바퀴부(350)측의 중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설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enter of gravity, the w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frame parts 100 or the wheel part 350 can be designed to be relatively large in order to design the structure stab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에서 상기 바퀴부를 구성하여 이동식 장치로 예시하였으나, 본 장치를 환자가 사용하는 침대에 부착하거나 침대와 일체형으로 설계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제 2 안전장치부(305)의 고정 및 좌우 프레임부(110)에서 병진운동이 가능함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안전장치로서 사용자의 상반신, 어깨, 복부, 허벅지 중 어느 하나 이상, 즉 신체의 일부를 고정하는 제 1 안전장치부(300)와 상하 프레임부(100)의 상단에 구성된 좌우 프레임부(110)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FIG. 3 shows that the second safety device 305 is fixed and the left and right frame parts 110 are translationally movable. In addition, as a safety device, there are provided a first safety device 300 for fixing a part of the user's body, at least one of the upper body, the shoulders, the abdomen, and the thighs and the left and right frame parts 110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 parts 100, Can be confirmed.

상기 제 1 안전장치부(300)로는, 환자가 착용하는 하네스(harness)를 그 예로 들 수 있는데, 상기 하네스는 사용자의 상반신, 어깨, 복부, 허벅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 안아서 이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낙상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통상 제 1 안전장치부(300)는 탑승용 의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요에 따라, 제 2 안전장치부(305)와 연계하여 동작할 때를 대비하여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안전장치부(300)와 제 2 안전장치부(305)는 서로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가 마련되는 경우가 있으며, 나아가 제 1 안전장치부(300)와 제 2 안전장치부(305)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safety device 300 may include a harness worn by the patient. The harnes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upper body, the shoulder, the abdomen, and the thigh of the user, It enables fall prevention. Generally, the first safety device 300 is fixed to the chair, but it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in case of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safety device 305, if necessary. have. The first safety device 300 and the second safety device 305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Further, the first safety device 300 and the second safety device 305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integrally formed.

여기에서, 상기 좌우 프레임부(110)에 결속되어 사용자를 기립하여 지지할 수 있는 제 2 안전장치부(305)는 상기 좌우 프레임부(110)의 좌우 길이 방향으로 병진운동이 가능하다. The second safety device 305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frame parts 110 and capable of standing up and supporting the user can translate the left and right frame parts 110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이는 환자를 이송하고자 하는 위치로 상기 탑승 의자부(200)를 회전시켜 이송할 때, 필요에 따라 환자의 위치 조절이 요구되는 상황이 있을 경우에 유용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좌우 프레임부(110)의 하단방향에 개방된 홈이 구성되고, 내부로는 상기 제 2 안전장치부(305)가 결속될 수 있는 연결부(미도시)가 병진운동 가능하도록 레일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병진운동이 가능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기능에 목적을 두는 것이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is is useful when there is a situation wher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patient is required when the chair 200 is rotated and transferred to a position where the patient is to be transferred. To this end, a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left and right frame parts 110, and a connection part (not shown), to which the second safety device 305 can be coupled, can do. The rail is an embodiment for enabling translational motion, and is intended for functio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위에서는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제 2 안전장치부(305)를 좌우 프레임부(110)에 결속하여 안전수단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 1 안전장치부(300)를 상기 탑승 의자부(200)의 일측에 고정하고, 사용자가 제 1 안전장치부(300)를 착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낙상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afety device 305 can be secured to the left and right frame portions 110 to secure safety means. 1, in some cases, the first safety device 30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boarding chair 200 and the user wears the first safety device 300 , Which may contribute to preventing the user from falling.

상기 좌우 프레임부(110)는 상기 탑승 의자부(200)와 연동하는 것으로, 상기 탑승 의자부(200)가 회전될 때, 함께 회전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상하 프레임부(100)에 연결부분도 회전가능하게 설계되어야 함은 당연하다.The left and right frame parts 110 are interlocked with the boarding part 200 so that they must rotate together when the boarding part 200 is rotated. Therefor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upper and lower frame parts 100 should also be designed to be rotatable.

또한, 상기 좌우 프레임부(110)의 형상에 있어서, 도 3에서는 상기 상하 프레임부(100)를 중심으로 밸런스를 고려하여 'T'자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안정적인 설계가 이루어지면 상기 상하 프레임부(100)를 기준으로 한쪽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ㄱ"자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3, the left and right frame parts 110 are formed in a 'T'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balance around the upper and lower frame parts 100. However, if a stable design is made, the upper and lower frame parts 100 ") extending in only one direction.

도 4는 하지 보조시스템에서 활용되는 안전 지지대(310), 도 5는 하지 보조 시스템의 안전 지지대(310)와 통용가능한 제 2 안전장치부(305)를 도시하고 있다. Fig. 4 shows a safety support 310 used in the leg support system, Fig. 5 shows a second safety device 305 commonly used with the safety support 310 of the leg support system.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 및 기립/착석 동작을 보조하는 워커(walker) 타입의 하지 보조시스템은 환자의 장애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안전 지지대(310)를 착용할 수 있으며, 보행 시 신체를 지탱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를 상기 제 2 안전장치부(305)와 같이 사용하기 위해서, 환자가 상기 안전 지지대(310)를 착용한 상태로 하지 보조시스템(400)의 프레임에서 분리하여 상기 제 2 안전장치부(305)에 결속한 뒤, 탑승하여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동시킨다.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figure, a walker-type leg support system for assisting the walking and standing / sitting operations can selectively wear the safety support 310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patient, It is a device that can support the body. In order to use the same with the second safeguarding unit 305, the patient is separated from the frame of the undergarment supporting system 400 while wearing the safety support 310, After binding, they are moved by a method using rotary motion and translational motion.

도 6은 사용자의 기립/착석을 지원하는 원리를 나타낸다. 6 shows the principle of supporting the standing / sitting of the user.

위의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보행 및 기립/착석 동작을 보조하는 워커 타입의 하지 보조시스템과, 각종 보행보조기 또는 방바닥에서 생활이 많은 국내환경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The assistant system of the walker type that assists the walking and standing / sitting operation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assistant of the user in the domestic environment where there are many lives in various walking aids or the floor.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이송 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높이에 맞게 이동이 편리하도록 상하 프레임부(100)를 따라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기립 및 착석 동작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상기 탑승 의자부(200)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하 프레임부(100)를 따라 회전부(250)가 위쪽으로 움직임으로써 결합된 탑승 의자부(200)가 상부로 위치 조절되어 사용자는 기립 동작을 보조받을 수 있으며, 반대로 서 있는 상태에서 앉기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회전부(250)가 아래쪽으로 움직이면서 사용자의 착석 동작을 보조함으로써, 사용자의 무릎 관절 등의 하지에 가해지는 힘을 줄여줄 수 있다. 이러한 기립/착석 보조기능은 특히, 하지 근력이 약한 고령자 또는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transfer apparatus is capable of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along the upper and lower frame portions 100 so as to be easily mov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Using this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ssist the standing and sitting operations as shown in Fig. When the user rotates the rotary part 250 upward along the upper and lower frame parts 100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boarding chair part 200, the combined boarding part 200 is positioned upward, The rotation unit 250 moves downward to assist the user in the seating operation, thereby reducing the force applied to the lower extremity of the user's knee joint, etc. have. These standing / sitting assist functions can be particularly helpful for elderly people or patients with weak leg strength.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상하 프레임부 110: 좌우 프레임부
200: 탑승 의자부 250: 회전부
300: 제 1 안전장치부 305: 제 2 안전장치부
310: 안전 지지대 350: 바퀴부
400: 하지 보조시스템 500: 침대
100: upper and lower frame parts 110: left and right frame parts
200: boarding chair part 250: rotating part
300: first safety device part 305: second safety device part
310: safety support 350:
400: not auxiliary system 500: bed

Claims (6)

상하 프레임부;
상기 상하 프레임부와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탑승 의자부;를 포함하는,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Upper and lower frame parts;
A rotary part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frame parts so as to be able to rotate and move up and down; And
Includes; the boarding chair uni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unit can sit user;
Rotary feed and standing / sitting ai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좌우로 지지 구조를 갖는 좌후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eft frame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frame parts and having a left and right support structu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상반신, 어깨, 복부 또는 허벅지를 감싸는 제 1 안전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first safety device surrounding the upper body, the shoulder, the abdomen or the thigh for the safety of the us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프레임부에 좌우 병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를 기립하여 지지하는 제 2 안전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afety devic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frame parts so as to be able to transl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stand up and support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프레임부의 최하부에는 설치된 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Rotational conveyance and standing / seating assistan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wheel portion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and lower fram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프레임부를 기준으로 한쪽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좌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left and right frames extending only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frame portions.
KR1020120033613A 2012-03-30 2012-03-30 standing / sitting assist and transfer system using rotational mechanism KR1014488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613A KR101448887B1 (en) 2012-03-30 2012-03-30 standing / sitting assist and transfer system using rotational mechanis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613A KR101448887B1 (en) 2012-03-30 2012-03-30 standing / sitting assist and transfer system using rotational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088A true KR20130111088A (en) 2013-10-10
KR101448887B1 KR101448887B1 (en) 2014-10-13

Family

ID=4963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613A KR101448887B1 (en) 2012-03-30 2012-03-30 standing / sitting assist and transfer system using rotational mechanis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88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2005B2 (en) 2017-09-19 2021-07-06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handles for patient ambulation
US11116680B2 (en) 2017-09-19 2021-09-14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ient ingress and egress
US11160705B2 (en) 2017-10-20 2021-11-02 Stryker Corporation Adjustable patient support apparatus for assisted egress and ingres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05A (en) * 1991-05-28 1996-01-16 Shigeo Ishiok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bathing device
JP2000300626A (en) * 1999-04-23 2000-10-31 Toshiaki Mitarai Auxiliary lift device
KR20040018066A (en) * 2002-08-22 2004-03-02 김광표 movement lift
JP2004135855A (en) * 2002-10-17 2004-05-13 Naoaki Kamitsukuri Care support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2005B2 (en) 2017-09-19 2021-07-06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handles for patient ambulation
US11116680B2 (en) 2017-09-19 2021-09-14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ient ingress and egress
US11723821B2 (en) 2017-09-19 2023-08-15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ient ingress and egress
US11160705B2 (en) 2017-10-20 2021-11-02 Stryker Corporation Adjustable patient support apparatus for assisted egress and ingress
US11806290B2 (en) 2017-10-20 2023-11-07 Stryker Corporation Adjustable patient support apparatus for assisted egress and ing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887B1 (en)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9977B2 (en) Multi-functional and multipositional bed
US8172023B1 (en) Personal mobility device
US8336133B2 (en) Multi-functional patient transfer device
KR20140050884A (en) Robot of transportation for patients nursing
US10987266B2 (en) Rotational/translational transfer lift
JP2007181639A (en) Stand-up assist chair
US20150272797A1 (en) Patient transfer device
JP6111498B2 (en) Transfer assist device
JP2008279232A (en) Transfer machine
KR101448887B1 (en) standing / sitting assist and transfer system using rotational mechanism
KR101299351B1 (en) Wheelchair integrated lower-limb exercise/rehabilitation device
KR101642442B1 (en) Bed With Apparatus For Assistance Of Standing Up
KR20200002529A (en) A wheelchair that is easy to get on and off
US20190290521A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patient
KR20130098508A (en) A moving method for a patient paralyzed from the waist down
KR101878411B1 (en) Stretcher cart for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 and nuclear disaster situation
CN111616878A (en) Nursing robot
KR102423485B1 (en) 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US20210282994A1 (en) Assistant for stabilizing, mobilizing and securing a patient
JP6343215B2 (en) Side rail for bed and bed with standing assistance device using the same
US20160058635A1 (en) Mobility device
JP2001129032A (en) Nursing care assisting device
US10813810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ssisting persons from a lying position to a sitting position and a sitting position to a lying position
CN214484919U (en) Movable unilateral supporting type nursing equipment for lower limbs
KR20170121586A (en) Hoist device for pat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