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691A -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691A
KR20130110691A KR1020120032840A KR20120032840A KR20130110691A KR 20130110691 A KR20130110691 A KR 20130110691A KR 1020120032840 A KR1020120032840 A KR 1020120032840A KR 20120032840 A KR20120032840 A KR 20120032840A KR 20130110691 A KR20130110691 A KR 20130110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polygon
address
information
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재
윤성환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0691A/ko
Publication of KR20130110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시계획단계에서의 건물주소 자동생성에 대한 방법이 개시된다. UCSS시스템의 입력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산출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2D GIS 도시정보와 건물관리대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물주소를 자동 생성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시군구, 법정동, 지적도, 2D 건물 데이터와 건물관리대장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물 군용도, 건물 군 구조, 건물 군 규모 등의 건물정보 및 건물주소 자동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 {Automatic Production System for Address}
본 발명은 도시기초정보를 기반으로 도시공간정보의 하나인 건물의 주소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와 자원의 고갈에 따른 건축적 대응은 건축물 데이터 구축방식을 친환경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며, 현재보다 에너지의 사용을 줄이면서도 그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건축물의 구법 및 재로, 그리고 생산방식의 총제적인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도시차원의 신.재생 에너지 적용 사례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U-기반의 차세대 에너지공급시스템과 U-City와의 접목 기술에 대한 예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유비쿼터스 기술을 도시공간에 구현하는 U-City기술과 지구온난화 및 도시 열섬현상과 같은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친환경 Eco City 기술이 융·복합하는 Eco City 기술을 건설 분야에 적용할 경우 많은 비용절감 및 편익증대 등 건설 산업 효율화에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이 가능하다. 또한 GIS DB를 활용하여 도시에너지 수요예측, 도시에너지 수요공급 네트워크 계획 작성, 도시 저탄소화 평가 및 법제도 검토, 저탄소 도시모델 시나리오 제시, 도시에너지 통합관리 및 가시를 통해 도시 계획 초기단계 및 도시운영단계에서 저탄소 녹색도시를 위한 도시에너지 계획 및 운영방안 제시에 활용되는 통합지원시스템의 기초데이터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특정지역(예컨대, 도시공간)의 GIS 도시정보 및 건물관리대장 데이터를 활용하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시군구, 법정동, 지적도, 2D 건물 데이터와 건물관리대장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물 군 용도, 건물 군 구조, 건물 군 규모 등의 건물정보 및 건물주소 자동 생성하는 주소부여 자동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주소부여 자동생성 시스템은 기존도시에 주소를 부여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인 지적도 쉐이프파일(Shape File), 행정구역 경계인 시.군.구.동 쉐이프파일(Shape File), 지적정보 쉐이프파일(Shape File), 건축물정보, 주소를 부여할 건물 쉐이프파일(Shape File)을 선택하여 건물 폴리곤의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S10); 각 필드에 들어갈 속성정보를 건물 폴리곤과 시.군.구.동 경계와 지적정보 쉐이프파일(Shape File)과의 포함관계를 분석하는 단계(S20); 기준이 되는 필드를 정하여 공간정보와 속성정보인 건물관리대장의 정보를 건물 쉐이프파일(Shape File)에 연결하는 단계(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소부여 자동생성 방법에 의하면, 도시 공간을 GIS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시공간을 3D로 모델링하고 모델링 결과를 연산하여 MESH별 GIS DB를 자동으로 생성가능하게 함으로써 MESH별 단위 에너지소비량 등을 예측할 수 있는 입력 자료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건물 주소, 건폐율, 용적률, 건물 층수, 건물 면적에 대한 필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건물관리대장 DB의 속성데이터와 연동하여, 속성이 부여됨으로써 각 속성은 레이별로 관리가 가능하다. 계획도시의 경우 도시관리계획도와 연동하여 이를 바탕으로 2D 건물 폴리곤을 형성 한 후, 높이 값과 속성 데이터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국제표준을 준수하는 파일포맷으로 생성 및 저장될 수 있어서, 입출력 기능을 통해 타 시스템과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소부여 자동생성 시스템의 플랫폼인 모델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소부여 자동 생성 시스템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소부여 자동 생성 시스템의 모델러를 통해 공간상의 GIS 정보를 구축하고 구축된 정보를 바탕으로 객체가 모델링되고 상기 공간상에 가시화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고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 관련된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을 실행함에 있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은 입력 항목을 구분하는 단계, 각 항목에 대한 필드 명을 생성하는 단계, 건물 폴리곤에 식별자료 지번을 사용하여 매칭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 항목은 시군구 속성, 법정동 속성, 지번속성이 포함된 데이터와 건물관리대장에 포함된 속성 중에서 건축면적, 건폐율, 연면적, 용적률, 구조, 용도, 높이 등의 속성 데이터를 사용하여 건물 폴리곤 데이터와 건축물 관리대장 데이터의 연계를 지번을 식별자로 해서 연동하여 건물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작업으로서 필지의 폴리곤과 건물 레이아웃 폴리곤의 포함관계를 이용, 포함관계를 자동적으로 검색하여 어떤 필지의 지번을 자동적으로 부여해서 식별자 정보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필지의 지번과 건물이 일대일로 대응하지 않을 경우 문제 해결 방법은 한 필지 내에 복수의 건축물이 있는 경우 해당필지내의 건축 레이아웃 폴리곤의 크기와 건축물관리 대상 상의 건축면적 간에 크기순으로 폴리곤과 관리대장 레코드를 조인하는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항목에서 건축면적에 대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연면적으로 대처하고 연면적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대안하여 진행한다.
첫 번째, 한 필지 내에 건물레이아웃 폴리곤과 건축물관리대장 레코드를 랜덤하게 매칭, 두 번째 사용자가 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 뷰어에서 각 필지별로 레코드와 폴리곤을 뷰잉 시켜놓고 마우스로 일대일 대응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매칭이 된 건물들은 off로 하고 매칭이 안 된 필지를 순차적으로 돌면서 매칭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소부여 자동생성 시스템의 플랫폼인 모델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소부여 자동 생성 시스템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소부여 자동 생성 시스템의 모델러를 통해 공간상의 GIS 정보를 구축하고 구축된 정보를 바탕으로 객체가 모델링되고 상기 공간상에 가시화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각각의 기능은 분리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이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구분되거나 별도의 코드로 작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은, 본 발명의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하며, 소정의 코드와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뜻하며,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DB에 매칭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뜻한다. DB는 하나의 테이블 혹은 다수의 테이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해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레이어 트리(Layer 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설치되어 기술 구현을 실행하여 기존도시 GIS데이터 및 계획도시 GIS데이터를 구축하여 3차원 도시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GIS정보 생성 및 수신이 가능하며 자체적으로 특정지역의 GIS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모델러 플랫폼이 아닌 별도의 GIS 플랫폼에서 작성된 GIS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모델러는 기존도시 및 계획도시 지형 GIS를 구축하기 위해 고도정보(DEM, Digital Elevtion Model), 쉐이프파일(Shape File), 정사영상(위성항공사진, GeoTiff)를 가지고 타일링 과정을 거쳐 GIS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GIS정보는 모델러에서 제공되는 UI를 통해 편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소부여 자동생성 시스템의 구조 및 프로세스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기존도시에 주소를 부여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인 지적도 쉐이프파일(Shape File), 행정구역 경계인 시.군.구.동 쉐이프파일(Shape File), 지적정보 쉐이프파일(Shape File), 건축물정보, 주소를 부여할 건물 쉐이프파일(Shape File)을 선택하여 건물 폴리곤의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S10)과;
각 필드에 들어갈 속성정보를 건물 폴리곤과 시.군.구.동 경계와 지적정보 쉐이프파일(Shape File)과의 포함관계를 분석하는 단계(S20)과;
기준이 되는 필드를 정하여 공간정보와 속성정보인 건물관리대장의 정보를 건물 쉐이프파일(Shape File)에 연결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속성테이블의 필드명은 사용자가 임의대로 정할 수 있으며 다른 정보와 연결할 경우를 대비해서 같은 성격의 필드 명은 동일하게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기존도시 GIS 및 계획도시 GIS 자동부여 자동생성 시스템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각 폴리곤들에 대해 포함관계 분석시 중심점을 기준으로 건물 폴리곤에 대해서 시.군.구.동, 지적정보 데이터가 포함되는 건물 폴리곤을 검색하여 건물관리대장의 건축면적, 건폐율, 연면적, 용적률, 주구조, 주용도, 높이 정보를 건물 쉐이프파일(Shape File)에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기능이 적용되지 않은 건물 객체에 대해서는 연결되지 않은 건물 폴리곤의 및 속성테이블의 활성화를 적용하여 지번을 입력, 반경 100-200m 평균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4는 모델러를 통하여 입력된 지역의 GIS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 열람 및 구축된 공간정보에 포함된 여러 객체에 대해 모델링 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모델러 플랫폼이 주소부여 자동생성 시스템을 통하여 3차원 도시공간을 형성한 결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리공간정보에는 특정 건축물을 나타내는 객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지리공간정보에는 상기 건물 객체의 위치 및 형태만 표현되고 있으므로, 상기 공간에 있는 객체에 대해 GIS 데이터 구축 후, 모델링된 객체는 상기 공간정보의 객체와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델러는 주소부여 자동생성 시스템을 통하여 도시 GIS데이터를 구축하고 건물 객체에 대해 단위공간이 표현되도록 모델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델러는 상기 공간정보에 새로운 시설물 객체를 삽입할 수도 있다. 도시GIS데이터 구축으로 각각의 속성정보를 조합하여 새로운 도시 건물 생성이 가능하며, 시설물 객체를 표현하는 템플릿을 라이브러리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템플릿 객체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해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나아가 다수의 객체를 일정한 파라미터를 편집할 수 있는 UI(건물 형태, 높이, 크기, 층)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상기 정보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객체의 높이 및 층 정보를 이용하여 볼륨을 생성하여 각각의 단위공간에 대해 3D 가시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기초 데이터인 Shape File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객체 유형정보의 선택 및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에 대한 유형정보를 자동으로 편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모델러는 공간 구성을 위한 UI 및 파라미터의 편집을 통해 GIS 정보를 바탕으로 모델링 된 객체와 기존의 단위 공간을 표현하지 않는 객체와 상기 공간정보 상에 대체가 가능하며, 새로운 객체 역시 상기 공간에 삽입하여 기존 및 계획도시 GIS 데이터 구축에 대해 자동생성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의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에 대해 일시적인 예시를 참고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치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기존도시에 주소를 부여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인 지적도 쉐이프파일(Shape File), 행정구역 경계인 시.군.구.동 쉐이프파일(Shape File), 지적정보 쉐이프파일(Shape File), 건축물정보, 주소를 부여할 건물 쉐이프파일(Shape File)을 선택하여 건물 폴리곤의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S10);
    각 필드에 들어갈 속성정보를 건물 폴리곤과 시.군.구.동 경계와 지적정보 쉐이프파일(Shape File)과의 포함관계를 분석하는 단계(S20);
    기준이 되는 필드를 정하여 공간정보와 속성정보인 건물관리대장의 정보를 건물 쉐이프파일(Shape File)에 연결하는 단계(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
  2. 입력 항목을 구분하는 단계, 각 항목에 대한 필드 명을 생성하는 단계, 건물 폴리곤에 식별자료 지번을 사용하여 매칭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항목은 시군구 속성, 법정동 속성, 지번속성이 포함된 데이터와 건물관리대장에 포함된 속성 중에서 건축면적, 건폐율, 연면적, 용적률, 구조, 용도, 높이 등의 속성 데이터를 사용하여 건물 폴리곤 데이터와 건축물 관리대장 데이터의 연계를 지번을 식별자로 해서 연동하여 건물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작업으로서 필지의 폴리곤과 건물 레이아웃 폴리곤의 포함관계를 이용, 포함관계를 자동적으로 검색하여 어떤 필지의 지번을 자동적으로 부여해서 식별자 정보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


KR1020120032840A 2012-03-30 2012-03-30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 KR20130110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840A KR20130110691A (ko) 2012-03-30 2012-03-30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840A KR20130110691A (ko) 2012-03-30 2012-03-30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691A true KR20130110691A (ko) 2013-10-10

Family

ID=4963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840A KR20130110691A (ko) 2012-03-30 2012-03-30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06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60A (ko) * 2016-06-24 2018-01-04 한국국토정보공사 토지 정보와 건물 정보의 통합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902115A (zh) * 2019-01-28 2019-06-18 中山大学 一种面向栅格数据的区域与流域数据程序化提取方法
CN112463905A (zh) * 2020-11-30 2021-03-09 湖北金拓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矢量数据shp文件并行写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60A (ko) * 2016-06-24 2018-01-04 한국국토정보공사 토지 정보와 건물 정보의 통합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902115A (zh) * 2019-01-28 2019-06-18 中山大学 一种面向栅格数据的区域与流域数据程序化提取方法
CN109902115B (zh) * 2019-01-28 2022-03-04 中山大学 一种面向栅格数据的区域与流域数据程序化提取方法
CN112463905A (zh) * 2020-11-30 2021-03-09 湖北金拓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矢量数据shp文件并行写入方法
CN112463905B (zh) * 2020-11-30 2022-06-03 湖北金拓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矢量数据shp文件并行写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rtoluzzi et al. Automating the cre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s for existing buildings
CN105701103B (zh) 一种基于地理信息的三维应用系统
CN110704928B (zh) 一种从bim模型到gis模型的转换方法
CN102411764B (zh) 电网设备的数据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110321443B (zh) 三维实景模型数据库构建方法、装置及数据服务系统
CN101158966B (zh) 一种基于矢量和栅格混合表示的城市环境量化数据组织方法
CN109918526A (zh) 一种面向规划管理的bim与3dgis融合方法
CN105701104A (zh) 一种基于地理信息的三维数据引擎系统
CN103177103A (zh) 一种三维地理信息系统管理平台
CN104392037A (zh) 一种城市场景参数化建模系统
CN105243237A (zh) 一种装配工艺结构树及其构建方法
Barbato et al. GIS-BIM interoperability for regeneration of Transurban areas
KR20130110691A (ko) 주소부여 자동 생성시스템
CN105303465A (zh) 基于cim模型的树形视图定义及展示方法
CN105786994A (zh) 一种基于地理信息的油气田勘探开发信息集成系统及方法
Wüst et al. Applying the 3D GIS DILAS to archaeology and cultural heritage projects requirements and first results
CN105426601A (zh) 一种基于bim的多样性设计方案汇报方法及其系统
Arayici et al. Modeling 3D scanned data to visualize the built environment
Preka et al. 3D building modeling in LoD2 using the CityGML standard
CN104392035B (zh) 一种基于Web的城市三维建模方法
Karim et al. The development of multi-scale data management for CityGML-based 3D buildings
Stavric et al. From 3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owards 5D city information modeling
CN104484763A (zh) 一种基于三维的美丽村镇建设的方法和系统
Gotlib et al. Cartographical presentation of BIM models
CN103077551A (zh) 海岛信息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