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952A - 안드로이드 플랫폼 상에서 별도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이용한 화면 분할 방법 - Google Patents

안드로이드 플랫폼 상에서 별도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이용한 화면 분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952A
KR20130108952A KR1020120030828A KR20120030828A KR20130108952A KR 20130108952 A KR20130108952 A KR 20130108952A KR 1020120030828 A KR1020120030828 A KR 1020120030828A KR 20120030828 A KR20120030828 A KR 20120030828A KR 20130108952 A KR20130108952 A KR 20130108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pplication
unit
pip
android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안
구지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코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코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코어테크
Priority to KR102012003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8952A/ko
Publication of KR20130108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8Object-oriented
    • G06F9/449Object-oriented method invocation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NDROID 플랫폼 상에서의 전면 어플리케이션(Foreground Application)이 동작 중인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화면의 일부를 점유하는 PIP (Picture In Picture) 구현 방법에 관한 것임.
본 발명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A)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A의 호출 또는 A와 상관없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면의 일부를 점유하는 형태로 PIP를 실행함에 있어서, A와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제작하는 방법과, A의 호출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A와 PIP를 함께 실행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ANDROID 플랫폼 상에서의 PIP를 실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안드로이드 플랫폼 상에서 별도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이용한 화면 분할 방법 { Implementation Method of PIP by using Separate Application Package on Android Platform }
본 발명은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에서의 분할 화면 구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 어플리케이션(Foreground Application)이 동작 중인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화면의 일부를 점유하는 방식의 PIP(Picture In Picture) 구현에 관한 것이다.
도 1a은 종래에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의 화면을 설명하기 도면으로, 다중 실행이 제한적인 플랫폼의 특성으로 인해 도 1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의 화면 상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만을 구동할 수 있다. 물론,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분할 화면을 구성하여, 마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별개로 동작하는 것과 같이 보이도록 구현한 일부 사례가 있으나 이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내에 해당 기능을 모두 포함하여 구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지향하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방식으로 구현된 PIP와는 구분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ANDROID 플랫폼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할 수 있으나, 전면 어플리케이션으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만이 화면을 독점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ANDROID 플랫폼의 높은 보급률과 하드웨어의 발달, 사용자의 요구로 화면이 넓어지고 있어 하나의 화면 상에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각각 다른 정보를 전달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ap과 함께 DMB, 동영상, 카메라 등을 함께 보여주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ANDROID 플랫폼 상에서도 분할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플랫폼 업데이트를 통해 개선된 API를 추가로 제공하고는 있으나 이 또한 도 1b와 같은 형태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내에 모두 포함하여 구현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서 지향하는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방식으로 구현된 PIP와는 구분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에서 서로 다른 별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전면 어플리케이션 위에 화면 일부를 점유하는 형태로 PIP를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어부, 장치의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장치의 상태나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처리 등을 나타내기 위한 영상 출력부, 영상을 받아들이기 위한 영상 입력부, 필요 시 정보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 음성 녹음, 통화 등을 위한 음성 입력부를 포함하여, 전면 어플리케이션 위에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일부를 점유하는 방식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면 어플리케이션(F)이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면 어플리케이션(F)의 요청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PIP 호출에 대해 응답하기 위한 감시부와 점유한 화면 일부에 대해 사용자의 입력 및 고유 기능을 수행한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처리부 등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랫폼은 장치의 화면 상에 전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인 상태에서 별도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이 화면의 일부를 점유하는 방식으로 PIP를 구현한다.
도 3에서 도시하는 장치의 화면에는 전면 어플리케이션(Foreground Activity)과 더불어 화면을 일부 점유한 어플리케이션(PIP Activity)이 활성화되는 상태를 표현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장치의 화면 표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 장치의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12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0),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140), 장치의 상태나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처리 등을 나타내기 위한 영상 출력부(151), 영상을 받아들이기 위한 영상 입력부(152), 필요 시 정보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161), 음성 녹음, 통화 등을 위한 음성 입력부(162)는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감시부 및 처리부로 구성된 PIP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P)를 장치에 설치하여 전면 어플리케이션(F)의 요청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PIP 어플리케이션(P)에 포함된 감시부는, 사전 정의한 Intent 메시지(I)가 수신되면 해당 메시지(I)에 따라 PIP 어플리케이션(P)의 처리부를 초기화하고 전면 어플리케이션(F)의 화면 일부를 점유하여 고유 기능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전면 어플리케이션(F)의 요청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면 일부를 점유한 PIP 어플리케이션(P)은 점유한 화면 일부에 대한 자원 일체를 반환한 후 소멸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PIP 어플리케이션(P)은 실제 화면에 표시되기까지의 구동 시간을 개선하기 위해서 감시부를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프로세스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ANDROID 플랫폼 상에서의 화면 일부의 점유 수단은 PIP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P)의 AndroidMainfest.xml 설정에서 PIP 어플리케이션(P)의 화면(Activity)에 Theme.Dialog 속성을 지정함으로써 전체 화면이 아닌 화면 일부를 점유하는 방식으로 PIP 어플리케이션(P)의 구동이 가능하며, 이와 더불어 전면 어플리케이션(F)이 PIP 어플리케이션(P)의 점유 영역 외부에 대해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PIP 어플리케이션(P)의 화면이 초기화되는 onCreate 함수 호출 시,
getWindow().setFlags(WindowManager.LayoutParams.FLAG_NOT_TOUCH_MODAL,
WindowManager.LayoutParams.FLAG_NOT_TOUCH_MODLA);
상기와 같이 입력부(120)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여 전면 어플리케이션(F)이 PIP 어플리케이션(P)의 점유 영역 외부에 대해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지정할 수 있다. 이때, PIP 어플리케이션(P)의 화면(Activity)에 지정한 Theme.Dialog 속성으로 인하여 점유 영역 외부의 전면 어플리케이션(F) 영역이 어둡게(DIM) 처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getWindow().clearFlags(WindowManager.LayoutParams.FLAG_DIM_BEHIND);
상기와 같이 영상 출력부(151)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여 PIP 어플리케이션(P)의 점유 영역 외부의 전면 어플리케이션(F) 영역 전체가 어둡게(DIM) 처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면 어플리케이션(F)이 동작하는 중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작성된 화면의 일부를 점유하는 PIP 어플리케이션(P)을 구동하여 하나의 화면에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화면에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ANDROID 플랫폼이 적용된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전면 어플리케이션(F)의 변경 없이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 증대뿐 아니라 PIP 어플리케이션(P)를 포함하기를 기대하는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를 만드는 제조사에게 손쉽게 주요 어플리케이션을 PIP 어플리케이션(P)으로 만들어 포함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한편, 마켓을 통한 별도의 PIP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판매도 가능하여 새로운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시장 창출도 가능하다.
도 1a은 종래의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의 화면을 설명하기 도면
도 1b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내에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기능을 포함하여 분할 화면을 구성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화면 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관련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
110 : 제어부
120 : 입력부
130 : 메모리
140 : 통신부
150 : 영상 처리부
151 : 영상 출력부
152 : 영상 입력부
160 : 음성 처리부
161 : 음성 출력부
162 : 음성 입력부

Claims (8)

  1. 제어부,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장치의 상태나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처리 등을 나타내기 위한 영상 출력부, 영상을 받아들이기 위한 영상 입력부, 필요 시 정보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 음성 녹음, 통화 등을 위한 음성 입력부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화면을 분할하는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면 어플리케이션(F)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전 정의된 Intent 메시지에 반응하여 화면의 일부를 점유하는 방식으로 분할 화면을 생성하는 분할 화면 생성 수단,
    화면 일부를 점유한 점유 어플리케이션(P)으로 인해 입력 및 출력이 제한된 전면 어플리케이션(F)을 정상 동작하도록 설정하는 수단,
    분할 화면 생성까지의 구동 시간을 개선하기 위한 Intent 메시지 감시부의 백그라운드 서비스 프로세스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방식으로 전면 어플리케이션과 동시에 화면의 일부를 점유하는 방식으로 PIP 기능을 갖는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할 생성 수단은,
    전면 어플리케이션의 요청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면의 일부를 점유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PIP 기능을 포함하는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화면의 일부를 점유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PIP 어플리케이션이 전면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와는 별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전면 어플리케이션의 요청 및 제어부의 제어에 대한 처리를 담당하는 감시부와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처리부로 구성되는 PIP 기능을 포함하는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PIP 어플리케이션의 화면(Activity)에 Theme.Dialog 속성을 갖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의 일부를 점유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PIP 기능을 포함하는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PIP 기능을 개시하기까지의 시간 지연 개선 등을 위해 전면 어플리케이션의 요청 및 제어부의 제어에 대한 처리를 담당하는 감시부를 백그라운드 서비스 프로세스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의 일부를 점유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PIP 기능을 포함하는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화면을 점유하는 PIP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해 점유된 영역 외부의 전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영역이 어둡게 설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PIP 어플리케이션의 화면(Activity)에,
    WindowManager.LayoutParams.FLAG_DIM_BEHIND 속성을 갖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의 일부를 점유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PIP 기능을 포함하는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화면을 점유하는 PIP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해 점유된 영역 외부의 전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영역이 어둡게 설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PIP 어플리케이션의 화면(Activity)에,
    WindowManager.LayoutParams.FLAG_DIM_BEHIND 속성을 갖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의 일부를 점유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PIP 기능을 포함하는 ANDROID 플랫폼을 적용한 장치
KR1020120030828A 2012-03-26 2012-03-26 안드로이드 플랫폼 상에서 별도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이용한 화면 분할 방법 KR20130108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828A KR20130108952A (ko) 2012-03-26 2012-03-26 안드로이드 플랫폼 상에서 별도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이용한 화면 분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828A KR20130108952A (ko) 2012-03-26 2012-03-26 안드로이드 플랫폼 상에서 별도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이용한 화면 분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952A true KR20130108952A (ko) 2013-10-07

Family

ID=4963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828A KR20130108952A (ko) 2012-03-26 2012-03-26 안드로이드 플랫폼 상에서 별도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이용한 화면 분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895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1493A (zh) * 2017-12-13 2018-06-0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及相关产品
US10114479B2 (en) 2014-02-21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N115273517A (zh) * 2022-08-12 2022-11-01 润芯微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车载智能显示方法及其显示系统
US11960697B2 (en) 2021-08-10 202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controlling method and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4479B2 (en) 2014-02-21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N108121493A (zh) * 2017-12-13 2018-06-0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及相关产品
US11960697B2 (en) 2021-08-10 202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controlling method and device
CN115273517A (zh) * 2022-08-12 2022-11-01 润芯微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车载智能显示方法及其显示系统
CN115273517B (zh) * 2022-08-12 2023-07-18 润芯微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车载智能显示方法及其显示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91275B (zh) 程序优化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741293B1 (ko) 동적 입력 장치의 맥락 제어 기법
AU2013293535B2 (en) Providing access to a remote application via a web client
WO2016197590A1 (zh) 用于在终端设备上提供截屏服务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EP2782038A1 (en) Resource management in a processor for trusted and untrusted applications
WO2017101325A1 (zh) 一种车载显示控制方法及其装置
CN110955499B (zh) 处理器核心配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8959514B2 (en) Virtual machine monitor display split using multiple client devices in a virtualization system
EP2963935A1 (en) Multi screen display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s
JP5585721B2 (ja) 情報装置、画面切替え方法、及び画面切替えプログラム
KR102121358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30108952A (ko) 안드로이드 플랫폼 상에서 별도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이용한 화면 분할 방법
CN106233243A (zh) 多架构管理器
CN105404547A (zh) 一种操作系统的融合方法及装置
CN104615432B (zh) 闪屏信息处理方法及客户端
US11249771B2 (en) Terminal input invocation
US20200201673A1 (en) View switching
CN113784049A (zh) 安卓系统虚拟机的摄像头调用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0702346B (zh) 一种振动测试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3986961A (zh) 一种基于qnx车载系统实现画中画的方法和装置
CN109634702B (zh) 一种信息提示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KR20210137107A (ko) 낮은 컴퓨팅 능력을 갖는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모바일 디바이스 및 키트
CN111241588B (zh) 一种在应用中实现辅助功能的方法及装置
KR20130057588A (ko) 다른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윈도우를 컨트롤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KR20130062078A (ko)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