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886A - Led module control apparatus for underground parking lot - Google Patents

Led module control apparatus for underground parking l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886A
KR20130108886A KR1020120030707A KR20120030707A KR20130108886A KR 20130108886 A KR20130108886 A KR 20130108886A KR 1020120030707 A KR1020120030707 A KR 1020120030707A KR 20120030707 A KR20120030707 A KR 20120030707A KR 20130108886 A KR20130108886 A KR 20130108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led
unit
light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7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60855B1 (en
Inventor
오석환
Original Assignee
최애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애남 filed Critical 최애남
Priority to KR1020120030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855B1/en
Publication of KR20130108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8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8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PURPOSE: An LED module lighting control device f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reduce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lighting a part of LED modules in normal and lighting all the LED modules when a car enters the underground parking lot. CONSTITUTION: An image detection unit (110) photographs an image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An image processing unit (120) obtains a distance value (S1) from the image detection unit to an actual object. A parking lot illumination control unit (130) outputs multiple switching signals to control the illuminance of the parking lot. An illumination unit (140) includes LED modules including a turned-on LED group and multiple turned-off LED groups. The illumination unit successively turns on the turned-off LED groups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distance value. [Reference numerals] (110) Image detection unit; (120) Image processing unit; (130) Parking lot illumination control unit; (140) Illumination unit

Description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 점등 제어 장치{LED module control apparatus for underground parking lot}LED lighting apparatus lighting control device for underground parking lot {LED module control apparatus for underground parking lot}

본 발명은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 점등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평상시에는 LED 전등기구를 구성하는 다수의 LED 모듈 중 일부만을 점등시키고 사람이나 자동차 진입시 모든 LED 모듈을 점등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이면서도 지하 주차장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 점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D lighting fixture lighting control device for underground parking, specifically, only a part of the plurality of LED modules constituting the LED lighting fixtures in everyday life and all LED modules to light when entering a person or car to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D lighting fixture lighting control device f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일반적인 주차장은 엘리베이터 방식과 다층순환 방식, 수평순환 방식, 평면왕복 방식, 퍼즐주차 방식, 2단 주차 방식, 철골지주 방식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There are various kinds of general parking lot such as elevator, multi-layer circulation, horizontal circulation, plane reciprocating, puzzle parking, two-stage parking, steel frame holding.

대단위 아파트 단지 등과 같은 집단 거주시설에서의 주차장은 많은 조명장치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전력 소모가 발생하여 관리비 상승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Parking lot in group residences, such as large apartment complexes, has to be installed in many lighting devices, causing a lot of power consumption, which is a major cause of the increase in maintenance costs.

특히, 지하 주차장과 같은 공간에서의 빛은 지하 주차장의 질과 성격을 결정하여 공간 이미지를 창출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지하 주차장에서의 심리적 불안감을 없애주고 안전 사고 예방의 역할을 담당한다.In particular, light in a space such as an underground parking lot is used not only as a means of creating a space image by determining the quality and character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but also plays a role of eliminating psychological anxiety an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따라서, 주차장 내부의 조명은 비단 에너지 절약형으로 설계되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차량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 동일 에너지 소비 대비 충분한 조도확보가 설계의 주 포인트가 되어야 한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lighting inside the parking lot is designed to be energy-saving type.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of the vehicle, the main point of the design should be to secure sufficient illumination compared to the same energy consumption.

종래기술에 따르면 지하 주차장의 에너지절약형 조명 및 설비제어시스템은 형광등 가로 5줄, 세로 10줄로 이루어져 조명제어모듈(Lighting Control Module, LCM) 및 CS(Control System)과 함께 지하 주차장 천장에 사람 또는 자동차를 식별할 수 있는 열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사람 또는 자동차가 나타나면 그 주위에 있는 조명등이 점등되도록 하고, 사람이나 자동차가 지나가면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하여 지하 주차장 조명에너지를 절약하도록 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energy-saving lighting and facility control system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consists of 5 rows of horizontal and 10 rows of fluorescent lamps. By installing a heat sensor that can be identified, when a person or a car appears, the lights around it turn on, and when a person or a car passes, the lamp is automatically turned off after a certain time to save energy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즉, 마이크로 콘트롤러부는 여러 대의 LCM을 통제하고 제어하는 CPU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열 감지 센서로 인해 사람 또는 자동차를 식별하고, 상기 열 감지 센서가 연결된 마이크로 콘트롤러부의 조명제어모듈(LCM)이 제어하는 모든 등을 온(ON)시킴과 함께, 일정시간 경과 후 오프(OFF)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That is, the microcontroller unit performs a function of a CPU that controls and controls a plurality of LCMs, and identifies a person or a vehicle due to a heat sensor, and is controlled by a light control module (LCM) of the microcontroller unit to which the heat sensor is connected. All of the lights are turned on and turned off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그러나, 이러한 주차장 조명시스템은 디밍회로시스템을 채용하고 있어 고가일뿐더러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단가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parking lot lighting system employs a dimming circuit system, which is expensive and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expensive to manufacture.

또한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해 전체 형광등을 점등시키지 않고 군데군데 점등시키는 경우 어두운 곳에서의 사람이나 자동차의 안전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특히, CCTV가 사람이나 자동차의 안전사고가 일어난 영역이 너무 어두워 촬영할 수 없어 사고 수습에도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when lighting the spots instead of the entire fluorescent lamp, there may be a safety accident of a person or a car in a dark place. In particular, CCTV is too difficult to shoot because the area where a safety accident of a person or a car has occurred is too dark to troubleshoot accidents.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를 구성하는 다수의 LED 모듈 중 일부만을 점등시키고 자동차 진입 시 모든 LED 모듈을 점등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이면서도 지하 주차장에서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 점등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usually light only a part of the plurality of LED modules constituting the LED light fixtures for underground parking lot and all LED modules when entering the car to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while underground It is to provide a LED lighting device control device f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at can achieve safety in a parking lo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하 주차장의 내의 소정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감지부와, 상기 영상 감지부로부터 실제 피사체까지의 거리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영상 내의 피사체 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윈도우 영역의 면적값을 계산하여 상기 면적값에 대응하는 상기 거리값을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 및 점등된 LED 그룹과 소등된 다수의 LED 그룹을 포함하는 LED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거리값의 증감에 따라 상기 디밍 소등된 다수의 LED 그룹을 순차적으로 디밍 점등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mage sensing unit for capturing an image of a predetermined area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nd a subject pattern in the image to obtain a distance value from the image sensing unit to the actual subject. And an LED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LED groups that are turned off and a lighted LED group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set a window area to calculate the area value of the set window area, and to obtain the d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area value. And an illumination unit for dimming and lighting the plurality of dimmed-off LED groups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distance value.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 주차장에 자동차가 들어오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등기구를 구성하는 다수의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 모듈 중 일부만을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진입 시 모든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 모듈을 점등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이면서도 지하 주차장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no car enters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nly a part of the plurality of LED light fixture modules for the underground parking lot constituting the light fixture may be turned on so that all the underground parking lot LED light fixture modules are turned on when the vehicle enters. While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처리부에 의해 수행되는 윈도우 추출 과정과 윈도우 산출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차장 조명 제어부와 조명부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mage processor shown in FIG. 1.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ndow extraction process and a window calculation process performed by the image processor illustrated in FIG. 2.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unit and the lighting unit shown in FIG. 1 in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 점등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LED lighting fixture lighting control device f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 점등 제어장치(100: 이하, 조명 제어 장치)는 영상 감지부(110), 영상 처리부(120), 조명 제어부(130) 및 조명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LED lighting fixtur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hereinafter, a lighting control device) f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sensing unit 110, an image processing unit 120, and a lighting control unit 130. ) And an illumination unit 140.

영상 감지부(110)는 지하 주차장 내에 설치된 조명부(14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지하 주차장 내의 소정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로서, 상기 소정영역을 촬영한 영상을 프레임(frame) 단위로 출력한다.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영상 감지부(110)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CCD(charge-couple device), 또는 CMOS(Compli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카메라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영상 감지부(100)는 두 대 이상의 영상 센서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스테레오 카메라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대 이상의 영상 센서를 조합하여 구성된 스테레오 카메라는 차량과 같은 피사체의 절대 크기를 산출하여 인식률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The image detecting unit 110 is a camera installed adjacent to the lighting unit 140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nd photographs a predetermined area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he image sensing unit 110 outputs an image of the predetermined area in frame units. 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image sensing unit 110 may be a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a charge-couple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camera.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sensing unit 100 may be a stereo camera unit configured by combining two or more image sensors. As described above, the stereo camera configured by combining two or more image sensors may significantly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by calculating the absolute size of a subject such as a vehicle.

영상 처리부(120)는 상기 영상 감지부(110)에 의해 획득된 영상 프레임 내에서, 차량 또는 사람과 같은 피사체가 포함된 윈도우 영역(도 3의 W1, W2, W3: W1 〈 W2 〈 W3)을 추출하고, 추출된 윈도우 영역을 이용하여 카메라(110)로부터 차량까지의 거리값(S1)을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20)는 상기 추출된 윈도우 영역 내의 밝기 정보(또는 픽셀 계조값의 분포 정보)를 통해 차량이 전조등, 미등, 브레이크 등과 같은 광원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광원 검출값(S2)을 검출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피사체가 차량으로 한정되어 기술된다. 영상 처리부(120)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기술된다.The image processor 120 may select a window area (W1, W2, W3: W1 <W2 <W3 of FIG. 3) including a subject such as a vehicle or a person within the image frame acquired by the image detector 110. The distance value S1 from the camera 110 to the vehicle is output in real time using the extracted window area. Also, the image processor 120 may detect a vehicle light source S2 indicating an on / off state of a light source such as a headlight, a taillight, a brake, or the like through the brightness information (or distribution information of pixel gray scale values) in the extracted window area. Is detected and output. 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ubject is described as being limited to a vehicle. The image processor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주차장 조명 제어부(130)는 상기 영상 처리부(120)로부터의 거리값(S1) 및 상기 차량 광원 상태값(S2)을 입력받아서, 주차장 조명의 조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칭 신호(SW1 ~ SW4)를 출력한다.The parking lot lighting controller 130 receives a distance value S1 and the vehicle light source state value S2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nd controls a plurality of switching signals SW1 to SW4 to control the illumination of the parking lot lighting. Outputs

조명부(130)는 지하 주차장 내에 조명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다수의 LED 모듈일 수 있으며, 각 LED 모듈은 다수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130)는 상기 주차장 조명 제어부(130)로부터 인가된 스위칭 신호(SW1 ~ SW4)의 따라 차량의 움직임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 일부 LED 모듈만을 디밍 점등시키거나, 차량의 움직임을 인식한 경우, 차량이 카메라로 접근함에 따라 모든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 모듈을 순차적으로 디밍 점등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이면서도 지하 주차장에서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The light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provide lighting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plurality of LED modules, each LED modul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When the lighting unit 130 does not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witching signals SW1 to SW4 applied from the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unit 130, only some LED modules are dimmed or lit, or whe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s recognized. As the vehicle approaches the camera, the LED light fixture modules for all underground parking lots can be dimmed and turned on sequentially to reduce safety and reduce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이러한 주차장 조명 제어부(130)와 조명부(140)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description of the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unit 130 and the light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below.

이하, 상술한 영상 처리부(120)에서 이루어진 영상 처리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image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by the image processor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처리부에 의해 수행되는 윈도우 추출 과정과 윈도우 산출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mage processor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ndow extraction process and a window calculation process performed by the image processor illustrated in FIG. 2.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프레임 내에서 차량이 포함된 움직임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움직임 영역을 이용하여 카메라(110)로부터 차량까지의 거리값(S1)을 검출하며, 상기 움직임 영역 내의 밝기 정보(또는 픽셀 계조값의 분포 정보)를 통해 차량이 전조등, 미등, 브레이크 등과 같은 광원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image processor 120 extracts a motion region including a vehicle in an image frame, and detects a distance value S1 from the camera 110 to the vehicle by using the extracted motion region. The vehicle detects an on / off state of a light source such as a headlight, a taillight, a brake, etc. through brightness information (or distribution information of pixel gray scale values) in the movement area.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변환부(121), 윈도우 추출부(122), 윈도우 면적 계산부(123), 거리 계산부(124), 룩업 테이블(125) 및 차량 광원 검출부(126)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image processor 120 may include an image converter 121, a window extractor 122, a window area calculator 123, a distance calculator 124, a lookup table 125, and a vehicle light source detector 126. It includes.

영상 변환부(121)는 영상 감지부(110)로부터 인가받은 영상 프레임을 프레임 단위로 입력받아서 영상 프레임을 조명 등의 변화에 강인한 전처리 영상(pre-processing image)으로 변환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영상 변환부(121)는 영상 프레임을 프레임 단위로 입력받기 위해, 앞 단에 이전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현재 영상이 입력되면 저장된 이전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출력하는 프레임 메모리가 구비될 수 있다. The image converting unit 121 receives an image frame received from the image detecting unit 110 in units of frames and converts the image frame into a pre-processing image that is robust to changes in lighting and the lik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mage converter 121 stores the previous image in frame units in order to receive the image frame in frame units, and outputs the stored previous image in frame units when the current image is input. Frame memory may be provided.

윈도우 추출부(122)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변환부(121)로부터 출력되는 전처리 영상을 소정 윈도우 사이즈(W1)를 이용하여 화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스캔하고, 상기 소정 윈도우 사이즈(W1)로 스캔된 전처리 영상에 포함된 모든 픽셀들의 계조값(또는 전처리 계수 값들)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이 평균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계조값보다 큰 경우, 해당 윈도우는 차량 패턴이 있는 것으로 판별하고, 판별된 해당 윈도우의 사각 꼭지점들(a, b, c, d)의 좌표 정보를 산출한다. 차량의 패턴을 판별하는 기법에는 다양한 기법이 있을 수 있으며, 예컨대, 얼굴 검출 패턴에 이용되는 아다부스트 기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A, the window extractor 122 sequentially scans the preprocessed image output from the image converter 121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creen using a predetermined window size W1.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grayscale values (or preprocessing coefficient values) of all the pixels included in the preprocessed image scanned at the predetermined window size W1 is calculated and this average value is larger than the preset reference grayscale value, the corresponding window is displayed. It determines that there is, and calculates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determined rectangular vertices (a, b, c, d) of the corresponding window. There may be a variety of techniques for determining the pattern of the vehicle, for example, an ad-boost technique used for the face detection pattern may be used.

윈도우 면적 계산부(123)는 상기 윈도우 추출부(122)로부터 전달된 해당 윈도우(W1)의 사각 꼭지점들(a, b, c, d)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윈도우(W1)의 면적값을 계산한다. The window area calculator 123 uses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rectangular vertices a, b, c, and d of the window W1 transmitted from the window extractor 122 to determine the area value of the window W1. Calculate

거리 계산부(124)는 룩업 테이블(125)을 참조하여 상기 윈도우 면적 계산부(123)로부터 전달된 면적값에 대응하는 거리값(S1)을 산출하여, 조명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상기 룩업 테이블(125)에는 차량의 패턴이 포함된 윈도우의 면적과 카메라로부터 실제 차량까지의 거리 값이 학습된 데이터가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일종의 메모리로서, 거리 계산부(124)는 상기 윈도우 면적 계산부(123)로부터 전달된 면적값을 메모리 주소값으로 이용하여 상기 주소값에 맵핑되는 거리값(123)을 상기 룩업 테이블(125)에서 독출하여 산출하게 된다. The distance calculator 124 calculates a distance value S1 corresponding to the area value transmitted from the window area calculator 123 with reference to the lookup table 125 and transmits the distance value S1 to the lighting controller 130. The look-up table 125 is a kind of memory in which the area of the window including the vehicle pattern and the data of the distance value from the camera to the actual vehicle are learned in the form of a table, and the distance calculator 124 is the window area. The distance value 123 mapped to the address value is read from the lookup table 125 using the area value transferred from the calculator 123 as a memory address value.

실제 차량이 카메라 쪽으로 이동하거나, 반대로 카메라 쪽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거리 계산부로부터 계산되는 거리값은 변동된다. 즉, 피사체(차량,사람 등)가 카메라 쪽으로 접근하게 되면, 화면상에 포착되는 차량 패턴의 크기는 증가하므로, 증가된 차량 패턴을 포함하도록 설정된 윈도우 사이즈 또한 증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차량 윈도우 추출부(122)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패턴의 크기 증가된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윈도우를 추출하고, 이후, 윈도우 면적 계산부(123)가 크기가 증가한 윈도우의 사각 꼭지점을 이용하여 피사체(차량,사람 등) 이동에 따라 증가된 윈도우 면적값을 상기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획득하게 된다. 즉, 거리 계산부(124)는 룩업 테이블(125)을 참조하여 증가된 윈도우 면적에 대응하는 거리값을 산출함으로써, 차량 이동에 따른 거리값을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When the actual vehicle moves toward the camera or vice versa away from the camera side, the distance value calculated from the distance calculator is varied. That is, when the subject (vehicle, person, etc.) approaches the camera, the size of the vehicle pattern captured on the screen increases, so that the window size set to include the increased vehicle pattern will also increase. Accordingly, the vehicle window extracting unit 122 extracts a window including all of the increased size of the vehicle pattern, as shown in FIG. 3B, and then the window area calculating unit 123 is increased in size. The window area value increa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vehicle, person, etc.) is obtained by using the rectangular vertex of the increased window with reference to the lookup table. That is, the distance calculator 124 may calculate the d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 real time by calculating the d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d window area with reference to the lookup table 125.

카메라로부터 차량까지의 거리값(S1)은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더와 같은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로부터 차량까지의 거리값을 산출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센서의 추가로 인한 비용이 상승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영상 처리 과정을 통해 간단하게 거리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The distance value S1 from the camera to the vehicle may calculate the distance value from the camera to the vehicle using a distance sensor such as an infrared sensor or a radar, but in this case, the cost due to the addition of the sensor increases, which is not preferable. Can not do it.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calculate the distance value through the above image processing process.

한편, 차량 광원 검출부(126)는 상기 추출된 윈도우 영역 내의 밝기 정보(또는 픽셀 계조값의 분포 정보)를 통해 차량이 전조등, 미등, 브레이크 등과 같은 광원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한다. The vehicle light source detector 126 detects an on / off state of a light source such as a headlight, a taillight, a brake, etc., through the brightness information (or distribution information of pixel gray scale values) in the extracted window area.

구체적으로, 차량 광원 검출부(126)는 상기 차량 윈도우 추출부(122)에 의해 차량 패턴이 있는 것으로 판별된 윈도우 영역을 사전에 설정된 서브 윈도우 사이즈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스캐닝한다. 이후, 스캔된 서브 윈도우 영역 내의 모든 픽셀들의 계조값의 평균값이 상기 전체 윈도우 영역의 모든 픽셀들의 계조값보다 큰 경우, 해당 서브 윈도우 영역은 상기 윈도우 영역의 내의 나머지 영역에 비해 휘도값이 높은 영역으로서, 이 영역은 차량의 전조등, 미등, 브레이크 등과 같은 광원 영역으로 판별될 수 있다. 즉, 현재 차량의 광원이 켜진 상태로 주차장으로 진입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차량 광원 검출부(126)는 이러한 판별된 결과를 차량 광원 검출값(S2)으로서 출력한다. Specifically, the vehicle light source detecting unit 126 sequentially scans the window area determined by the vehicle window extracting unit 122 to have a vehicle pattern from the top to the bottom at a preset sub window size. Subsequently,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gray values of all the pixels in the scanned sub window area is larger than the gray values of all the pixels in the entire window area, the corresponding sub window area is an area having a higher luminance value than the remaining areas in the window area. This area may be determined as a light source area such as a headlight, taillight, brake, or the like of the vehicle.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the parking lot while the light source of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vehicle light source detection unit 126 outputs this determined result as the vehicle light source detection value S2.

이하, 이상 설명한 영상 처리 결과에 따른 조명의 점등 제어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lighting control process of the lighting according to the image processing resul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차장 조명 제어부와 조명부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unit and the lighting unit shown in FIG. 1 in detail.

도 4을 참조하면, 조명 제어부(130)는 영상 처리부(120)의 거리값 산출부(S1)로부터 거리값(S1)을 입력받으며, 만일 영상 처리 결과 차량의 광원이 검출되면, 차량 광원 검출값(S2)을 더 입력 받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lighting controller 130 receives the distance value S1 from the distance value calculator S1 of the image processor 120, and if the light source of the vehicle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image processing, the vehicle light source detection value. You will be prompted to enter (S2).

조명 제어부(130)는 조명부(14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구성으로서, 일종의 마이컴일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조명 제어부(130)은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받은 거리값(S1)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스위칭 신호(SW1 ~ SW4)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예컨대, 피사체(차량, 사람 등)가 카메라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영상 처리부(120)에서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제1 내지 제4 거리값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경우, 조명 제어부(130)는 제1 거리값에 따라 제1 스위칭 신호(SW1)를, 제2 거리값에 따라 제2 스위칭 신호(SW2)를 제3 거리값에 따라 제3 스위칭 신호(SW3)를 제4 거리값에 따라 제4 스위칭 신호(SW4)를 출력한다. 이때, 조명 제어부(130)가 영상 처리부의 처리 결과에 따라 차량 광원 검출값(S2)을 더 입력받는 경우, 어떠한 스위칭 신호도 출력하지 않는다. 즉, 차량의 전조등, 미등과 같은 광원을 킨 상태로 지하 주차장에 진입한 경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영상 처리 과정을 통해 자동으로 인식하고, 그 인식결과에 따라 조명 제어부는 어떠한 스위칭 신호도 출력하지 않는다.The lighting controller 130 i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lighting unit 140. The lighting control unit 130 may be a kind of microcomputer, and above all, the lighting control unit 130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tance value S1 received from the image processor. The switching signals SW1 to SW4 are sequentially output. For example,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sequentially outputs the first to fourth distance values that gradually decrease as the subject (vehicle, person, etc.) moves toward the camera, the illumination controller 130 may apply the first distance value. Accordingly, the first switching signal SW1, the second switching signal SW2 according to the second distance value, the third switching signal SW3 according to the third distance value, and the fourth switching signal SW4 according to the fourth distance value. ) In this case, when the lighting controller 130 further receives the vehicle light source detection value S2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image processor, it does not output any switching signal. That is, when enter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with a light source such as a headlight or a taillight of a vehicle turned on,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cognizes it through an image processing process, and the lighting controller does not output any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result. .

조명부(140)는 전원부(142), 구동부(144), LED 모듈(146) 및 다수의 스위칭부(148A ~ 148D)를 포함한다. The lighting unit 14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42, a driving unit 144, an LED module 146, and a plurality of switching units 148A to 148D.

전원부(142)는 LED 모듈(146)에 전원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42 supplies AC pow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LED module 146.

구동부(144)는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구성으로서, A/D 컨버터일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44 converts the AC power into DC power and may be an A / D converter.

LED 모듈(146)은 상기 구동부(144)를 통해 직류전원을 입력받아서 지하 주차장을 조명하는 구성으로서, LED 모듈은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5 LED 그룹(146E)을 사이에 두고, 제1 내지 제4 LED 그룹(146A~146D)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The LED module 146 is configured to illuminate an underground parking lot by receiving DC power through the driving unit 144. The LED module has a fifth LED group 146E interpos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The first to fourth LED groups 146A to 146D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다수의 스위칭부(148A ~ 148D)는 제1 스위칭 신호(SW1)에 따라 제1 LED 그룹(146A)과 구동부(144) 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칭부(148A), 제2 스위칭 신호(SW2)에 따라 제2 LED 그룹(146B)와 구동부(144) 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칭부(148B), 제3 스위칭 신호(SW3)에 따라 제3 LED 그룹(146C)과 구동부(144) 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3 스위칭부(148C) 및 제4 스위칭 신호(SW4)에 따라 제4 LED 그룹(146D)과 구동부(144) 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4 스위칭부(148D)를 포함한다. 제5 LED 그룹은 노드(N1)를 통해 구동부(144)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거리값 산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거리값(S1)의 크기에 따라 해당 스위칭부가 온되어, 해당 LED 그룹은 직류전원 공급받아 점등하게 되며, 이때, 해당 스위칭부는 오프에 해당하는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기 전까지는 온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피사체(차량,사람 등)가 카메라 쪽으로 접근함에 따라 LED 모듈은 구성하는 각 LED 그룹이 순차적으로 켜지면서 가장 가깝게 카메라 쪽으로 근접하게 되면, 모든 LED 그룹이 점등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피사체(차량, 사람 등)가 카메라로부터 점자 멀어지게 되면 점등된 모드 LED 그룹이 순차적을 디밍 소등되어, 제5 그룹만 디밍 점등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plurality of switching units 148A to 148D may include a first switching unit 148A and a second switching signal SW2 for switc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LED group 146A and the driving unit 144 according to the first switching signal SW1. The second switching unit 148B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LED group 146B and the driver 144 according to, and between the third LED group 146C and the driver 144 according to the third switching signal SW3. And a fourth switching unit 148D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urth LED group 146D and the driver 144 according to the third switching unit 148C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and the fourth switching signal SW4. The fifth LED group is connected to the driver 144 through the node N1. 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tance value S1 output from the distance value calculating unit, and the corresponding LED group is turned on by being supplied with a DC power supply. Keep it on until it's on. As a result, as the subject (vehicle, person, etc.) approaches the camera, the LED module turns on sequentially when each LED group constituting the LED is turned on closest to the camera. On the contrary, when the subject (vehicle, person, etc.) moves away from the camera, the lit mode LED group is sequentially dimmed off, so that only the fifth group maintains the dimming lighting state.

만일 차량이 전조등, 미등 또는 브레이크 등과 같은 광원을 킨 상태로 지하 주차장에 진입하게 되면, 카메라는 이를 인식하여, 제1 내지 제4 LED 그룹(146A~146D)은 디밍 소등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5 LED 그룹(146E)만 디밍 점등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사체(차량, 사람 등) 진입 시 모든 LED 모듈을 점등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이면서도 지하 주차장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If the vehicle enters the underground parking lot with the light source such as headlights, taillights or brakes turned on, the camera recognizes this and the first to fourth LED groups 146A to 146D maintain the dimming off state, Only LED group 146E remains dimming on. By doing so, all LED modules are turned on when entering a subject (vehicle, person, etc.),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Claims (5)

지하 주차장의 내의 소정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감지부;
상기 영상 감지부로부터 실제 피사체까지의 거리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영상 내의 피사체 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윈도우 영역의 면적값을 계산하여 상기 면적값에 대응하는 상기 거리값을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 및
디밍 점등된 LED 그룹과 디밍 소등된 다수의 LED 그룹을 포함하는 LED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거리값의 증감에 따라 상기 디밍 소등된 다수의 LED 그룹을 순차적으로 디밍 점등하는 조명부
를 포함하는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 점등 제어장치.
An image sensor for capturing an image of a predetermined area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n order to obtain a distance value from the image sensing unit to a real subject, a window area including a subject pattern in the image is set, and an area value of the set window area is calculated to calculate the d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area value. An image processing unit to obtain; And
An LED module including a dimmed LED group and a dimmed off LED group, wherein the illumination unit sequentially dims and lights the dimmed off LED group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distance value;
LED lighting fixture lighting control device for underground parking,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 의해 차량의 "전조등", "미등", "브레이크등"을 포함하는 차량 광원이 검출된 경우, 상기 다수의 디밍 소등된 다수의 LED 그룹의 소등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인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 점등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ghting unit,
When the vehicle light source including the "headlight", "taillight", "brake light" of the vehicle is detec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hat maintains the unlit state of the plurality of dimmed off LED groups LED lighting fixture lighting contro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윈도우 영역을 서브 윈도우 영역으로 스캐닝하고, 스캐닝한 서브 윈도우 영역을 구성하는 픽셀들의 평균 계조값이 상기 윈도우 영역을 구성하는 전체 픽셀들의 평균 계조값보다 큰 경우, 상기 차량 광원이 검출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인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 점등 제어장치.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Scanning the window area into the sub-window area, and when the average gray value of the pixels constituting the scanned sub window area is larger than the average gray value of all the pixels constituting the window area,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light source is detected. LED lighting fixture lighting control device for underground parking l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윈도우 영역의 면적값에 따라 사전에 학습된 거리값을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 점등 제어장치.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memory storing a distance value previously learned according to the area value of the window area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값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상기 거리값에 따라 다수의 스위칭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다수의 LED 그룹과 구동 전원 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다수의 스위칭부를 순차적으로 스위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 점등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gh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value,
Wherein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ing signals are sequentially output according to the increasing distance values, thereby sequentially turning on the plurality of switching units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LED groups and a driving power source. Control unit.
KR1020120030707A 2012-03-26 2012-03-26 LED module control apparatus for underground parking lot KR1013608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707A KR101360855B1 (en) 2012-03-26 2012-03-26 LED module control apparatus for underground parking l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707A KR101360855B1 (en) 2012-03-26 2012-03-26 LED module control apparatus for underground parking l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886A true KR20130108886A (en) 2013-10-07
KR101360855B1 KR101360855B1 (en) 2014-02-07

Family

ID=4963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707A KR101360855B1 (en) 2012-03-26 2012-03-26 LED module control apparatus for underground parking l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8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3417A (en) * 2018-05-29 2018-09-07 孙艳玲 A kind of low energy consumption underground parking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930A (en) * 1997-05-20 1998-12-05 홍종만 Distance discrimination device and method between driving vehicles
KR200451773Y1 (en) * 2010-08-20 2011-01-12 김종삼 Underground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3417A (en) * 2018-05-29 2018-09-07 孙艳玲 A kind of low energy consumption underground parking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8513417B (en) * 2018-05-29 2024-03-01 深圳金桔照明科技有限公司 Low-energy-consumption underground parking garage illumin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855B1 (en)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3634B2 (en) Lighting control device and lighting system
US9497393B2 (en) Systems and methods that employ object recognition
JP5438414B2 (en) Brightness detection system and lighting system using the same
CN202033568U (en) Illuminating system
JP2016522976A (en) Luminance control device for lighting device
JP5230371B2 (en) Lighting system
CN102946663A (en) Image recognition intelligent illuminatio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716955A (en) Classroom zoned intelligent illumination system specific to night classes in universities
JP2004189229A5 (en)
JP2008059846A (en) Lighting device,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KR101453806B1 (en) Dimming Control System Using Image Data
KR2009012764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monitoring camera using according to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JP2013096947A (en) Human sensor and load control system
KR20130016660A (en) The streelight which has lamp on/off and step-dimming control function by the motion detection of camera sensor
CN113438779A (en) Method for triggering street lamp illumination intensity adjustment based on image
EP2536258B1 (e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JP2010176942A (e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JP2000306684A (en) Image monitor device and its illumination control method
KR101360855B1 (en) LED module control apparatus for underground parking lot
CN116847515B (en) Intelligent street lamp energy-sa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01281054A (en) Illuminance detector
JP5114262B2 (en) Lighting system
KR20100086709A (en) Illumination management system of underground parkimg
KR100982356B1 (en) A lighting control unit of a parking zone and control method
JP2013182811A (en)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and illumin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