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778A -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based on ssvep - Google Patents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based on ssve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778A
KR20130108778A KR1020120030498A KR20120030498A KR20130108778A KR 20130108778 A KR20130108778 A KR 20130108778A KR 1020120030498 A KR1020120030498 A KR 1020120030498A KR 20120030498 A KR20120030498 A KR 20120030498A KR 20130108778 A KR20130108778 A KR 20130108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image
driving
un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38041B1 (en
Inventor
김래현
이충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3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041B1/en
Publication of KR20130108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7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0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6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indicating a condition of sleep, e.g. anti-dozing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6In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a vehicle based on steady 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 (SSVEP)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control the vehicle or warn a driver by accurately detecting information on the attention or the drowsiness of the driver with a camera based system combined with a bio-signal system. CONSTITUTION: A system (1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a vehicle based on SSVEP comprises a camera unit (12), a display unit (14), a brainwave detecting unit (18), a warning unit (19), and a control unit (16). The camera unit is installed on a rear vehicle and obtains images showing that a lamp installed on a front vehicle is flickering.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on the rear vehicle and supplies the flickering images to a driver. The brainwave detecting unit measures the brainwaves of the driver on the rear vehicle. The warning unit warns the driver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control unit with the information such as sound, smell, vibration, and the images.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by analyzing the flickering images and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or not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supplies a first flickering image of a pre-set first frequency to the driver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the dangerous situa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attention or the drowsiness of the driver by analyzing frequency properties of brainwaves when the driver receives the first flickering image. [Reference numerals] (12) Camera unit; (14) Display unit; (16) Control unit; (18) Brainwave detecting unit; (19) Warning unit

Description

SSVEP 기반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based on SSVEP}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based on SSVEP}

본 발명은 전방 차량의 운행 상태 및 운전자의 주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거나 차량을 감속 또는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that can control to warn a driver or to decelerate or stop a vehicle by us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a front vehicle and attention state information of a driver.

최근 차량을 보다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주행 제어에 관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차량에서 운전자의 졸음 또는 부주의 예방을 위한 기술로는 카메라 기반 시스템과 생체신호를 이용한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Recently, technologies related to safe driving control for driving a vehicle more safely have been developed. As a technique for preventing driver drowsiness or carelessness in a vehicle, a camera-based system and a system using a biosignal are typical.

카메라 기반 시스템은 전방 차량의 움직임 또는 운전자 차량과의 거리 등을 추정하여 사건 발생시 운전자에게 피드백을 주는 시스템이 있고, 운전자의 얼굴 인식을 통해 눈깜박임 패턴 혹은 얼굴근육의 변화를 검출하여 운전자에게 경고를 주는 시스템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51021호의 경우 동공 수축 정보를 검출하는 안경을 활용한 졸음 운정 방지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The camera-based system estimate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head or the distance from the driver's vehicle and provides feedback to the driver when an event occurs.The camera-based system detects blink patterns or facial muscle changes by alerting the driver to alert the driver. There is a giving system.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51021 discloses a drowsiness luck prevention method using glasses to detect pupil contraction information.

위 두 가지 시스템은 카메라 기반 시스템이기 때문에 외부 빛으로 인한 잡음에 취약하다는 본질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운전자마다 졸음으로 나타나는 행동학적 패턴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여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Since these two systems are camera-based systems, they have the inherent disadvantage of being vulnerable to noise caused by external light, and each driv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behavioral patterns of drowsiness are so diverse and complex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생체신호 기반 시스템은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생체신호(뇌파, 심전도, 맥파, 피부전도도, 피부 온도)가 운전자의 졸음특성과 일치했을 때 운전자에게 경고를 주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기존의 생체신호 기반 시스템은 생체신호 측정 시 운전자의 움직임에 제약을 주고, 운전자가 불가피하게 움직였을 때 생체신호 증폭기에서 움직임으로 인한 잡음이 운전자로부터 발생되는 고유한 생체신호보다 매우 크게 증폭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생체 신호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면서 운전자의 졸음 및 부주의를 판단하는 시스템은 실용성이 떨어진다.The biosignal-based system continuously measures the driver's biosignal and alerts the driver when the biosignal (eg, EEG, electrocardiogram, pulse wave, skin conductivity, skin temperature) matches the driver's drowsiness. The conventional biosignal-based system restricts the driver's movement when measuring the biosignal, and when the driver inevitably moves, the noise caused by the movement in the biosignal amplifier is greatly amplified than the unique biosignal generated from the driver. have. Therefore, a system for determining driver drowsiness and carelessness while continuously measuring bio signals is not practical.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5102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5102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기반 시스템과 생체신호 시스템을 결합하여 운전자의 졸음 및 부주의 상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경고를 하거나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combining a camera-based system and a bio-signal system to detect the driver's drowsiness and careless status information more accurately to alert the user or control the vehicle safet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vel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은 후방 차량에 설치되어 전방 차량에 설치된 등의 깜박임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부와, 상기 운전자의 뇌파를 검출하는 뇌파 검출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상기 깜박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전방 차량의 운행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운전자가 운행을 주의해야 할 위험 상황인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게에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의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뇌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which is installed in a rear vehicle and acquires a flickering image such as installed in a front vehicle, and a display unit which provides a flickering image to a driver of the rear vehicle. And, the brain wav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brain wave of the driver and the flashing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unit to detect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the dangerous situation that the driver should pay attention to the driving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angerous situation, the first flashing image of the first frequency preset to the driver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first blinking image is detected by the EEG detection unit Analyz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EEG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s attention state or drowsiness May include a fisherman.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표시부를 통항 상기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의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 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측정되는 뇌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provides the driver with a second blinking image of a second frequency set in advance through the display uni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brain wave measured by the EEG detector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second blinking image. Analysis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s attention state or drowsiness.

또한, 본 발명의 제1 일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은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경고부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The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unit that warns the driver,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river through the warn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not focused on driving or is dozing. The driver can be alerted.

상기 경고부는 소리, 진동, 영상, 냄새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The warning unit may alert the user by using one or more of sound, vibration, image, and smel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후방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rear vehicle to decelerate or sto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not concentrated or is dozing.

상기 표시부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be a head-up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은, 후방 차량에 설치되어 전방 차량에 설치된 등의 깜박임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부와, 상기 운전자의 뇌파를 검출하는 뇌파 검출부와,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의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측정되는 뇌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unit for acquiring a flickering image of the installed in the rear vehicle and the front vehicle, and the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flickering image to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and And an EEG detector detecting the EEG of the driver and providing the driver with a first blinking image of a first frequency preset through the display unit at a predetermined period, and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first blinking image.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driver's attention state or drowsiness by analyz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brain waves measured by the detec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상기 깜박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전방 차량의 운행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운전자가 운행을 주의해야 할 위험 상황인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의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측정되는 뇌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analyzes the flickering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unit to detect driving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to be careful of driving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And providing a second blinking image of a second frequency preset to the driver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nalyz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brainwave measured by the EEG detector when the user is provided with the second blinking image. Determine whether you are alert or sleepy.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은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경고부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arning unit for warning the driver, the control unit via the warn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not concentrated or doze off The driver can be alerted.

상기 경고부는 소리, 진동, 냄새,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The warning unit may alert the user by using one or more information of sound, vibration, smell, and image.

상기 경고부는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후방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warning unit may control the driver to decelerate or stop the rear vehicle when the driver is not focused on driving or is determined to be dozing.

상기 표시부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be a head-up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은 후방 차량에 설치되어 전방 차량에 설치된 등의 깜박임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후방 차량의 운전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검출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상기 깜박임 영상의 제1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측정되는 뇌파의 제2 주파수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rear vehicle and the camera unit for obtaining a flickering image, such as installed in the front vehicle, the brain wave detection unit for measuring the brain waves of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Whether the driver's attention state or drowsiness is detected by detecting a first frequency of the flickering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unit and compar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ed first frequency with a second frequency of the EEG measured by the EEG detector. Can be determin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깜박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전방 차량의 운행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운전자가 운행을 주의해야 할 위험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ct driving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by analyzing a flickering image obtained by the camera unit, and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to be careful of driving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은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경고부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warning unit for warning the driver, the control unit via the warn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not concentrated or doze off The driver can be alerted.

상기 경고부는 소리, 진동, 영상, 냄새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The warning unit may alert the user by using one or more information of sound, vibration, image, and smel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후방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slow down or stop the rear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not focused on driving or is dozing.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은 후방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전방 차량에 설치된 등의 깜박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깜박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전방 차량의 운행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운행을 주의해야 할 위험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의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상기 운전자의 제1 뇌파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제1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cquiring a flashing image, such as installed in the front vehicle using a camera unit installed in the rear vehicle, and analyzes the blinking image to obtai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Detecting,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and if the dangerous situation is determined, providing the driver with a first blinking image of a preset first frequency. And detecting the driver's first brain wave by the brain wave detector,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first blinking image, and analyzing the detected first brain wave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cautioned or drowsy. Determining may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은, 상기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의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상기 운전자의 제2 뇌파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제2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oviding a second blink image of the second frequency preset to the driver, and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second blink imag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a second brain wave of the driver by the brain wave detecto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is in a caution state or drowsiness by analyzing the detected second brain wave.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은,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warning the dri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does not concentrate on driving or is dozing.

상기 경고하는 단계는, 소리, 진동, 영상, 냄새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lerting step may include alerting the user with one or more of sound, vibration, image, and smell.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은,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후방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controlling to decelerate or stop the rear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not concentrating on driving or is dozing. .

상기 제1 깜박임 영상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blinking imag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head-up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은, 표시부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로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의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측정되는 제1 뇌파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상기 제1 뇌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oviding a first flickering image of the first frequency preset to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at a predetermined period through the display unit, the driver Detecting a frequency of the first EEG measured by the EEG detector when the image is blinked; And analyz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detected first brain wave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in an alert state or drowsiness.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은,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전방 차량에 설치된 등의 깜박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깜박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전방 차량의 운행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운전자가 운행을 주의해야 할 위험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의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상기 운전자의 제2 뇌파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제2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acquiring a flashing image, such as installed in the front vehicle using a camera unit, and analyzes the blinking image to detect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and if the driv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providing the driver with a second blinking image of a preset second frequency; Detecting the second brain wave of the driver by the brain wave detector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second blinking image, and analyzing the detected second brain wave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cautioned or drowsy It may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은,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warning the dri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not concentrating on driving or is dozing.

상기 경고하는 단계는, 소리, 진동, 영상 냄새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lerting step may include alerting the user with one or more of sound, vibration, and smell of an image.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방법은,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후방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ontrolling to decelerate or stop the rear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not concentrating on driving or is dozing. .

상기 제1 깜박임 영상을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blinking image may be provided to a user through a head-up display.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은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전방 차량에 설치된 등의 깜박임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깜박임 영상의 제1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와, 뇌파 검출부를 이용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뇌파의 제2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cquiring a flickering image of the back installed in the front vehicle using a camera unit, detecting a first frequency of the obtained flickering image, EEG detection unit Measuring an EEG of a driver of a rear vehicle, detecting a second frequency of the measured EEG, and compar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with each other; I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or not sleepiness.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은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warning the dri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not focused on driving or dozing.

상기 경고하는 단계는, 소리, 진동, 냄새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rning may include warning the user with one or more of sound, vibration, and smell.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은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후방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o decelerate or stop the rear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does not concentrate on driving or is dozing.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카메라 기반 시스템과 생체신호 시스템을 결합하여 보다 정확하게 운전자의 주의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en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driver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by combining the camera-based system and the biosignal syste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SSVEP(Steady 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 기법을 이용함으로써 사전에 학습할 필요가 없으며, 생체 신호의 측정을 연속적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learned in advance by using a Steady 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 (SSVEP) technique,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not having to continuously measure a biological signal.

도 1은 SSVEP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의 제1 동작 모드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의 제2 동작 모드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수행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SSVEP.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operation mode of the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on mode of the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vehicle safety performan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ode of a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도면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 및 방법의 가능한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위 내용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only possible embodiments of the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도 1은 SSVEP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SSVEP.

SSVEP(Steady 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는 뇌파 응답의 생리학적 기전을 이용하는 기법으로 일정 주기로 깜박이는 빛을 응시하면 대뇌 피질의 뇌파에서 빛이 깜박이는 주기와 동기화된 신호가 검출되는 원리를 이용한다.Steady 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 (SSVEP) is a technique that uses the physiological mechanism of EEG response, which uses the principle that when a flashing light is seen at regular intervals, a signal that is synchronized with the flashing cycle is detected in the cerebral cortex.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c)에서와 같이 깜박이는 모니터를 응시하게 되면 (a)에서 15 Hz의 뇌파가 시계열적으로 검출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화하여 살펴보면, (b)에서와 같이 15Hz에서 스펙트럼의 피크점이 발생하게 되고, 스펙트럼 하모닉으로 인해 30Hz, 45Hz에서도 피크점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when the user gazes at the flickering monitor as in (c), it can be seen that brain waves of 15 Hz are detected in time series in (a). As can be seen, the peak point of the spectrum occurs at 15 Hz, and the peak point occurs at 30 Hz and 45 Hz due to the spectral harmonic.

본 발명은 이러한 SSVEP 기법을 활용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후방 차량에 설치된 표시부에서 발생되는 깜박임 영상 또는 전방 차량의 후미등, 브레이크 등과 같은 등에서 발생하는 깜박임 영상을 응시하는 경우 뇌파에서 검출되는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주의 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경고를 하거나 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detected in the EEG when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gazes at the flickering image generated from the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rear vehicle or the rear image of the front vehicle, brake, etc. using the SSVEP technique. To determine the driver's attention state,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the user 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10)은 카메라부(12)와, 표시부(14)와, 제어부(16)와, 뇌파 검출부(18)와, 경고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12, a display unit 14, a controller 16, an EEG detector 18, and a warning.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ortion 19.

도 2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10)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서 언급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2 is a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vehicle safety driv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entioned in the [Measuring Solution].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ystem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카메라부(12)는 후방 차량에 설치되어 전방 차량에 설치된 등의 깜박임 영상을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전방 차량에 설치된 등은 후미등, 브레이크등 등의 어떠한 등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전방 차량의 등은 일정한 주기로 깜박일 수 있는데, 이러한 깜박임 영상이 운전자의 주의 상태를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camera unit 12 is installed in the rear vehicle and serves to acquire a flickering image of the back installed in the front vehicle. The lights installed in the front vehicle may be any lights such as tail lights and brake lights. The lights of the front vehicle may blink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blink image is used to determine a driver's attention stat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표시부(14)는 후방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4)는 전방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깜박임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고, 전방 차량의 운행 상태와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주기로 깜박임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표시부(14)는 고급 차량에 적용되어 전면 유리에 영상을 표시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4 is installed in the rear vehicle and serves to provide a flickering image to the user. In detail, the display unit 14 may provide a blinking image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front vehicle, or may provide the blinking image at a predetermined period irrespective of the driving state of the front vehicle. The display unit 14 may be configured as a head up display (HUD) that is applied to a high-end vehicle to display an image on the windshield.

뇌파 검출부(18)는 후방 차량의 운전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뇌파 검출부(18)는 운전자의 신체 부위에 결합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16)의 명령이 있는 경우에만 운전자의 뇌파를 측정한다.The EEG detecting unit 18 serves to measure the EEG of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The EEG detecting unit 18 may be coupled to the body part of the driver, and measures the EEG of the driver only when there is a command of the controller 16 to be described later.

경고부(19)는 후술할 제어부(16)의 명령에 따라 소리, 냄새, 진동, 영상 등의 정보로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는 역할을 한다.The warning unit 19 serves to warn the driver with information such as sound, smell, vibration, image, etc.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controller 16 to be described later.

제어부(16)는 카메라부(12)에서 획득된 깜박임 영상을 분서하여 전방 차량의 운행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운행 정보에 따라 운전자가 운행을 주의해야 할 위험 상황인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표시부(14)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의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고, 운전자가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뇌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 analyzes the flickering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unit 12 to detect driving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to be careful of driving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first blinking image of the preset first frequency through the display unit 14, the driver's attention state by analyz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EEG detected by the EEG detector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first blinking image Or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drowsiness.

또한, 제어부(16)는 다른 방법으로 미리 설정된 주기로 표시부(14)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의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고, 운전자가 상기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뇌파 검출부에서 측정되는 뇌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 provides the driver with the second blinking image of the second frequency preset through the display unit 14 at a predetermined period, and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second blinking imag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measured brain waves may be analyzed to determine a driver's attention state or drowsiness.

즉, 제어부(16)는 이러한 두 가지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동작하거나, 두 가지 모드를 적절히 조합하여 동작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16 may operate by selecting any one of these two modes, or by combining the two modes as appropriate.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n operation of 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의 제1 동작 모드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operation mode of the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일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10)의 카메라부(12)는 전방 차량의 깜박임 영상을 획득한다(S310). 제어부(16)는 카메라부(12)로부터 이 깜박임 영상을 획득한 후 브레이크 등이 일정 시간 계속하여 켜져 있다거나, 비상등이 주기적으로 깜박인다거나, 후미등의 위치가 급속도로 변하는 등의 상황인지를 분석하고, 이 분석 결과로부터 전방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를 검출한다(S320). Referring to FIG. 3, the camera unit 12 of the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a flickering image of a front vehicle (S310). The control unit 16 analyzes whether the brake light is continuously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emergency light periodically blinks, or the rear light position changes rapidly after acquiring the blinking image from the camera unit 12. Then,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is detected from the analysis result (S320).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방 차량의 브레이크 등이 일정 시간 계속하여 켜져 있다거나, 비상등이 주기적으로 깜박인다거나, 후미등의 위치가 급속도로 변하는 등의 상황이라면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운행을 주의해야 할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한다(S330). As mentioned earlier, if the brake lights of the front vehicle are on continuously for a certain time, the emergency lights blink periodically, or the rear lights change rapidly,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should be wary of driving. It is determined that the situation (S330).

이렇게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후방 차량에 설치된 표시부(14)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주기의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한다(S340) 다음, 뇌파 검출부(18)는 운전자가 상기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의 제1 뇌파을 검출한다(S35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anger situation, the display unit 14 installed in the rear vehicle provides the driver with a first blink image of a predetermined cycle (S340) Next, the EEG detector 18 provides the driver with the first blink image. When receiving the first brain wave is detected (S350).

이때, 제어부(16)는 운전자에게 제공한 제1 깜박임 영상의 주파수와 검출된 제1 뇌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한다(S360). 제1 깜박임 영상의 주파수는 제어부(16)가 표시부(14)를 통하여 제어하는 값으로 이미 알고 있는 값이며, 제1 뇌파에서 제1 깜박임 영상의 주파수와 동기화된 주파수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고 있거나, 졸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뇌파에서 제1 깜박임 영상의 주파수와 동기화된 주파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 analyz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blinking image provided to the driver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ed first brain waves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in a state of caution or drowsiness (S360). The frequency of the first blinking image is a value already known as a valu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6 through the display unit 14, and when the frequency synchronized with the frequency of the first blinking image is detected by the first brain wave, the driver operates. You may decide to focus on or do not fall asleep. On the contrary, when the frequency synchronized with the frequency of the first blinking image is not detected in the first brain wav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river does not concentrate on driving or is dozing.

이때, 제어부(16)는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표시부(14)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고, 뇌파 검출부(18)를 이용하여 뇌파를 검출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값을 측정할 필요는 없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 provides the first blinking image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4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angerous situation, and detects the brain wave using the brain wave detector 18 to continuously measure the value. There is no.

이러한 분석으로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하고(S370),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경고한다(S380). 반대로, 운전에 집중하고 있거나, 졸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면 경고 없이 종료한다.The analysis determines that the driver does not concentrate on driving or is dozing (S370), and warns the dri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does not concentrate on driving or is dozing (S380). On the contrary,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focused on driving or is not sleepy, it ends without warning.

이때, 경고의 방법은 소리, 냄새, 영상, 진동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경고 소리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운전자에게 자극적인 냄새를 제공하거나, 밝은 빛의 영상을 제공하거나, 핸들 또는 운전석 좌석 등을 진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arning method may use a method such as sound, smell, image, vibration. That is, a method of providing a warning sound message, providing an irritating smell to the driver, providing an image of bright light, or vibrating a handle or a driver's seat may be us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의 제2 동작 모드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on mode of the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제2 동작 모드는 도 3의 제1 동작 모드와는 달리, 전방 차량의 운행 정보에 따른 위험 상황인지 여부에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주기로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뇌파를 측정함으로써 운전자의 주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사용한다.Unlike the first operation mode of FIG. 3, the second operation mode of FIG. 4 provides a blinking image at a predetermined cycle regardless of whether the vehicle is in danger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and measures the driver's brain waves. Use a method of judging the state.

즉,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6)는 표시부(14)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로 표시부(14)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한다(S410). 이는 전방 차량의 운행 상태와는 무관하게 운전자의 주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기 위함이다.That is, 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16 provides a second blinking image to the driver through the display unit 14 at a predetermined period through the display unit 14 (S410). This is to periodically check the driver's attention state regardless of the driving state of the front vehicle.

운전자에게 제2 깜박임 영상이 제공될 때, 운전자의 제2 뇌파를 검출한다(S420).When the second blinking image is provided to the driver, the second brain wave of the driver is detected (S420).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깜박임 영상의 주파수는 제어부가(16)가 이미 알고 있으며, 제2 뇌파의 주파수에서 제2 깜박임 영상의 주파수와 동기화된 주파수가 검출되는지에 따라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한다(S430).As in FIG. 3, the frequency of the second blinking image is already known to the controller 16, and the driver's attention state or drowsiness depends on whether a frequency synchronized with the frequency of the second blinking image is detected at the frequency of the second brain wav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S430).

이때,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거나 졸고 있는지를 판단하여(S44),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경고하고(S450), 운전에 집중하고 있거나, 졸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면 종료한다.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iver is not concentrating on driving or dozing (S44), and if the driver is not concentrating on driving or is dozing, the user is warned (S45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he is concentrating on driving or not dozing, the user ends do.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도 3 및 도 4의 제1 및 제2 모드는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se first and second modes of FIGS. 3 and 4 can be used selectively or in combination as appropriat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5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본 발명의 다른 일시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20)은 [과제의 해결 수단]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에 대응되는 것으로 도 2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 (10)에서 표시부(14)가 제거된 것과 구성이 동일하다.The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5 corresponds to the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Measuring Solution], and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14 is removed from the safety travel system 10.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20)은 카메라부(22)와, 뇌파 검출부(24)와, 제어부(26)와 경고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22, an EEG detecting unit 24, a control unit 26, and a warning unit 28. It is composed.

카메라부(22), 뇌파 검출부(24) 및 경고부(28)의 역할은 도 2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제어부(26)의 동작에 대해서만 상술한다.The roles of the camera unit 22, the brain wave detector 24, and the warning unit 28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2, and thus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and onl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어부(26)는 카메라부(22)에서 획득된 깜박임 영상의 제1 주파수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주파수와, 뇌파 검출부(18)에서 측정되는 뇌파의 제2 주파수의 특성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한다. The controller 26 detects a first frequency of the flickering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unit 22,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frequenc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frequency of the EEG measured by the EEG detector 18, and the driver's attention. Determine whether you are sleepy or sleepy.

즉, 도 5의 제어부(26)는 후방 차량에 별도의 표시부를 설치하지 않고, 전방 차량의 등의 깜박임 영상의 주파수와 운전자의 뇌파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운전자의 주의 상태를 판단한다. 이는 운전자가 전방 차량의 등을 주시하고 있지 않으면 전방 차량의 등의 깜박임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가 뇌파에서 검출되지 않음을 이용한 것이다. That is, the controller 26 of FIG. 5 compares the frequency of the flickering image of the back of the front vehicle with the frequency of the brainwave of the driver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display unit in the rear vehicle to determine the driver's attention state. This is because if the driver is not looking at the back of the front vehicle, the same frequency as the blinking frequency of the back of the front vehicle is not detected in the EEG.

이때, 전방 차량의 등의 깜박임은 비상등 깜박임 등이 될 수 있으며, 카메라부(22)로부터 획득되는 깜박임 영상으로부터 전방 차량의 깜박임 영상의 제1 주파수는 별도로 계산되어야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t this time, the flickering of the lights of the front vehicle may be a flashing of the emergency lights, and the first frequency of the flickering image of the front vehicle has to be calculated separately from the flickering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22.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ode of a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주행 시스템(20)의 카메라부(22)는 전방 차량의 등의 깜박임 영상을 획득한다(S610). The camera unit 22 of the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a flickering image of the back of the front vehicle (S610).

제어부(26)는 깜박임 영상을 수신하여, 깜박임 영상의 주파수를 검출한다(S620).The control unit 26 receives the blinking image and detects the frequency of the blinking image (S620).

또한, 뇌파 검출부(24)는 운전자의 뇌파를 측정하고(S630), 주파수를 검출한다(S640).In addition, the brain wave detector 24 measures the driver's brain wave (S630) and detects a frequency (S640).

제어부(26)는 깜박임 영상의 주파수와, 뇌파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동기화된 주파수가 검출되는지를 기초로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한다(S650).The controller 26 compares the frequency of the flickering image with the frequency of the brain waves and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is in a state of caution or drowsiness based on whether the synchronized frequency is detected (S650).

이때,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거나, 졸고 있는지를 판단하여(S660),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경고를 하고(S67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종료한다.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iver does not concentrate on driving or is dozing (S66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does not concentrate on driving or is dozing, the user is warned (S670).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 및 방법으로 전방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 및 운전자의 주의 상태 정보를 보다 더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경고를 하거나, 차량 주행 제어를 함으로써 보다 더 안전한 차량 주행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accurately detect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and the atten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driver with this configuration and method, and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user can be warned or the vehicle driving control is made safer. Can be enabled.

10 :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12 : 카메라부
14 : 표시부 16 : 제어부
18 : 뇌파 검출부 19 : 경고부
10: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12: camera unit
14 display unit 16 control unit
18: EEG detection unit 19: Warning unit

Claims (34)

후방 차량에 설치되어 전방 차량에 설치된 등의 깜박임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부;
상기 운전자의 뇌파를 검출하는 뇌파 검출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상기 깜박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전방 차량의 운행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운전자가 운행을 주의해야 할 위험 상황인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의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뇌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A camera unit installed in the rear vehicle and acquiring a flickering image such as installed in the front vehicle;
A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flickering image to a driver of the rear vehicle;
An EEG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EEG of the driver; And
Analyzing the flickering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unit to detect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to pay attention to the driving inform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angerous situation Provide a first blinking image of the first frequency preset to the driver, and analyz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EEG detected by the EEG detector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first blinking image to alert the driver of the driver's attention state or drowsiness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의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측정되는 뇌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provides a second blinking image of a second frequency preset to the driver through the display uni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brain wave measured by the EEG detector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second blinking image. And analyzing the driver's attention state or drowsin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경고부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warning unit for warning the driver,
And the control unit warns the driver through the warn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not focused on driving or is doz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소리, 진동, 영상, 냄새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warning unit warns the user by using one or more of sound, vibration, image, smel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후방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ear vehicle to decelerate or sto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does not concentrate on driving or is doz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display unit is a head-up display.
후방 차량에 설치되어 전방 차량에 설치된 등의 깜박임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부;
상기 운전자의 뇌파를 검출하는 뇌파 검출부; 및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의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측정되는 뇌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A camera unit installed in the rear vehicle and acquiring a flickering image such as installed in the front vehicle;
A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flickering image to a driver of the rear vehicle;
An EEG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EEG of the driver; And
Providing the first blinking image of the first frequency preset to the driver through the display unit at a predetermined period, and analyz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EEG measured by the EEG detector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first blinking image Vehicle control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s attention state or drowsines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상기 깜박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전방 차량의 운행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운전자가 운행을 주의해야 할 위험 상황인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의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측정되는 뇌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ler analyzes the flickering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unit to detect driving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to be careful of driving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the second blinking image of the second frequency preset to the driver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nalyz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EEG measured by the EEG detector when the user is provided with the second blinking imag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whether or not drowsiness.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경고부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Further comprising a warning unit for warning the driver,
And the control unit warns the driver through the warn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not focused on driving or is doz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소리, 진동, 영상, 냄새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arning unit warns the user by using one or more information of sound, vibration, image, smell.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후방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ear vehicle to decelerate or sto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does not concentrate on driving or is doz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display unit is a head-up display.
후방 차량에 설치되어 전방 차량에 설치된 등의 깜박임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후방 차량의 운전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검출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상기 깜박임 영상의 제1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측정되는 뇌파의 제2 주파수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A camera unit installed in the rear vehicle and acquiring a flickering image such as installed in the front vehicle;
An EEG detecting unit for measuring EEG of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Whether the driver's attention state or drowsiness is detected by detecting a first frequency of the flickering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unit and compar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ed first frequency with a second frequency of the EEG measured by the EEG detector.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상기 깜박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전방 차량의 운행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운전자가 운행을 주의해야 할 위험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by analyzing the flickering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unit, and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is in danger of being wary of driving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Odometer control system.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경고부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Further comprising a warning unit for warning the driver,
And the control unit warns the driver through the warn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not focused on driving or is dozing.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소리, 진동, 영상, 냄새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warning unit warns the user by using one or more information of sound, vibration, image, smell.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후방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ear vehicle to decelerate or sto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does not concentrate on driving or is dozing.
후방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전방 차량에 설치된 등의 깜박임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깜박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전방 차량의 운행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운행을 주의해야 할 위험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의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상기 운전자의 제1 뇌파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제1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Acquiring a flickering image of the back installed in the front vehicle by using a camera unit installed in the rear vehicle;
Detect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by analyzing the blinking image;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a first flickering image of a first frequency preset to the driver when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situation; And
Detecting the first brain wave of the driver by the brain wave detector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first blink image; And
And analyzing the detected first brain waves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in an caution state or drowsines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의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상기 운전자의 제2 뇌파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제2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Providing a second blinking image of a second frequency preset to the driver;
Detecting the second brain wave of the driver by the brain wave detector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second blinking image; And
And analyzing the detected second brain waves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in an caution state or drowsiness.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2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or 19,
And warning the driver if the driver is not concentrating on driving or is determined to be dozing.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하는 단계는,
소리, 진동, 영상, 냄새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warning step,
And warning the user with one or more of sound, vibration, image, and smell.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후방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2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or 19,
And controlling the driver to decelerate or stop the rear vehicle when the driver is not focused on driving or is determined to be dozing.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깜박임 영상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the first blink image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head-up display.
표시부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로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의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제1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측정되는 제1 뇌파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상기 제1 뇌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Providing a first blinking image of a preset first frequency to a driver of a rear vehicle at a predetermined cycle through the display unit;
Detecting a frequency of the first brain wave measured by the brain wave detector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first blink image;
And analyzing the detected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brain wave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in a caution state or drowsiness.
제24항에 있어서,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전방 차량에 설치된 등의 깜박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깜박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전방 차량의 운행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운전자가 운행을 주의해야 할 위험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운전자에게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의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제2 깜박임 영상을 제공받을 때 상기 뇌파 검출부에서 상기 운전자의 제2 뇌파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제2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Acquiring a blinking image of the light installed in the front vehicle by using the camera unit;
Detect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by analyzing the blinking image;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is in danger of being wary of driving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a second blinking image of a preset second frequency to the driver when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situation;
Detecting the second brain wave of the driver by the brain wave detector whe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the second blinking image; And
And analyzing the detected second brain waves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in an caution state or drowsiness.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2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4 or 25,
And warning the driver if the driver is not concentrating on driving or is determined to be dozing.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하는 단계는,
소리, 진동, 영상, 냄새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The warning step,
And warning the user with one or more of sound, vibration, image, and smell.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후방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2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4 or 25,
And controlling the driver to decelerate or stop the rear vehicle when the driver is not focused on driving or is determined to be dozing.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깜박임 영상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first blink image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head-up display, the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method.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전방 차량에 설치된 등의 깜박임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깜박임 영상의 제1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뇌파 검출부를 이용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뇌파의 제2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운전자의 주의 상태 또는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Acquiring a flickering image of the light installed in the front vehicle by using the camera unit;
Detecting a first frequency of the obtained flicker image;
Measuring the brain wave of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using the brain wave detector;
Detecting a second frequency of the measured brain wave; And
And compar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in a caution state or drowsiness.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깜박이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전방 차량의 운행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운전자가 운행을 주의해야 할 위험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31. The method of claim 30,
Detect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by analyzing the blinking image;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is in danger of being wary of driving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3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0 or 31,
And warning the driver if the driver is not concentrating on driving or is determined to be dozing.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하는 단계는,
소리, 진동, 영상, 냄새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33. The method of claim 32,
The warning step,
And warning the user with one or more of sound, vibration, image, and smell.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않고 있거나, 졸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후방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주행 제어 방법.
3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0 or 31,
And controlling the driver to decelerate or stop the rear vehicle when the driver is not focused on driving or is determined to be dozing.
KR1020120030498A 2012-03-26 2012-03-26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based on SSVEP KR1013380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498A KR101338041B1 (en) 2012-03-26 2012-03-26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based on SSVE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498A KR101338041B1 (en) 2012-03-26 2012-03-26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based on SSVE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778A true KR20130108778A (en) 2013-10-07
KR101338041B1 KR101338041B1 (en) 2013-12-09

Family

ID=4963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498A KR101338041B1 (en) 2012-03-26 2012-03-26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based on SSVE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04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9280A1 (en) 2014-10-13 2016-04-20 MY E.G. Services Berhad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road safety
CN107015489A (en) * 2016-01-28 2017-08-0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The brake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vehicle
US10310600B2 (en) 2015-03-23 2019-06-04 Hyundai Motor Company Display apparatus, vehicle and display method
CN110481567A (en) * 2019-08-09 2019-11-22 苏州凯云迪电子科技有限公司 Vehicle safety warning system, method and security warning vehicle based on smell
WO2021036541A1 (en) * 2019-08-23 2021-03-04 杭州曼安智能科技有限公司 Ssvep-based attention evaluation method, training method, and brain-computer interface
CN116788271A (en) * 2023-06-30 2023-09-22 北京理工大学 Brain control driv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man-machine cooperation contr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1168B2 (en) 2019-01-31 2021-08-1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utonomous driving support systems including vehicle headrest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incorporating the same
KR20210057897A (en) 2019-11-12 2021-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safety driving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2799A1 (en) 2007-06-12 2008-12-18 Panasonic Corporation Brain wave interface system and starter
US8155736B2 (en) 2009-03-16 2012-04-10 Neurosky, Inc. EEG control of devices using sensory evoked potential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9280A1 (en) 2014-10-13 2016-04-20 MY E.G. Services Berhad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road safety
US10310600B2 (en) 2015-03-23 2019-06-04 Hyundai Motor Company Display apparatus, vehicle and display method
CN107015489A (en) * 2016-01-28 2017-08-0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The brake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vehicle
CN110481567A (en) * 2019-08-09 2019-11-22 苏州凯云迪电子科技有限公司 Vehicle safety warning system, method and security warning vehicle based on smell
WO2021036541A1 (en) * 2019-08-23 2021-03-04 杭州曼安智能科技有限公司 Ssvep-based attention evaluation method, training method, and brain-computer interface
CN116788271A (en) * 2023-06-30 2023-09-22 北京理工大学 Brain control driv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man-machine cooperation control
CN116788271B (en) * 2023-06-30 2024-03-01 北京理工大学 Brain control driv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man-machine cooperation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041B1 (en)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041B1 (en)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based on SSVEP
JP7032966B2 (en) Vehicle safety support devices and methods
US96827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river status
JP4772935B2 (en) Attention state determinat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JP4841425B2 (en) Method and mechanism for controlling automobile subsystems based on driver behavior interpretation
KR101259663B1 (en) Incapacity monitor
WO2015175435A1 (en) Driver health and fatigu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50379362A1 (en) Imaging device based occupant monitoring system supporting multiple functions
JP6627684B2 (en) Driver status determination device, vehicle control system
Collet et al. Associating vehicles automation with drivers functional state assessment systems: A challenge for road safety in the future
JP2011180873A (en)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method
JP2013089250A (en)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and communicating condition of driver
KR101731190B1 (en) Apparatus for sensing of driver's condition using electrocardiogram and method thereof
KR1016464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ndition of driver based on a signal of heartbeat
JP2007075342A (en) Nap prevention device for vehicle and nap prevention method
JPH11314534A (en) Caution ability reduction preventive device for vehicle
JP2009528600A5 (en)
WO2018207905A1 (en) Vehicle driving control system and vehicle driving control method
JP2017079055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sleepy state of driver
JP2010063682A (en) Driver monitoring apparatus
JP2009093284A (en) Drive support device
US2017016488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drowsiness
JP2023131010A (en) Attention alert device
CN108597183B (en) Fatigue alarm device
JP5075457B2 (en) Alarm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