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922A -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 - Google Patents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922A
KR20130107922A KR1020120030109A KR20120030109A KR20130107922A KR 20130107922 A KR20130107922 A KR 20130107922A KR 1020120030109 A KR1020120030109 A KR 1020120030109A KR 20120030109 A KR20120030109 A KR 20120030109A KR 20130107922 A KR20130107922 A KR 20130107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pport member
mounting
movable support
upp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순기
Original Assignee
(주)지씨아이
주식회사 유리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씨아이, 주식회사 유리컴 filed Critical (주)지씨아이
Priority to KR102012003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7922A/ko
Publication of KR20130107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시야 확보로 인한 도어로의 장착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에 장착한 후에도 수납장의 상면에 구비된 레일프레임으로의 조립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납장 등의 상면에 설치된 전,후 레일프레임 상에서 일측 도어가 타측 도어의 전방으로 겹쳐져 개폐될 수 있도록 미닫이식 도어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이동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동지지부재는, 일측이 도어의 내측면 상에 장착 고정되며, 타측에는 상기 전,후 레일프레임 상으로 삽입되는 각 수직 이송롤러가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브레킷이 양단에 체결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Move the upper support member sliding doors}
본 발명은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시야 확보로 인한 도어로의 장착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에 장착한 후에도 수납장의 상면에 구비된 레일프레임으로의 조립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장은 각종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용도나 설치장소 또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종류로 제작되어 지며, 이러한 수납장의 전면에는 수납되는 물품의 노출로 인한 미관의 저하는 물론 물품의 손실 등을 방지하고자 개폐되는 도어를 구비한다.
이렇게, 수납장에 구비되는 도어는 통상 여닫이식과 미닫이식으로 나누어지며, 전자인 여닫이식의 경우에는 도어의 폭만큼 열리고 닫히는 회전반경을 확보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후자인 미닫이식의 경우에는 도어의 갯수 만큼의 레일 폭을 확보해야 하는 조건으로 인해 수납장 내의 수납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816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납장의 전방에 구비되는 일측 도어가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전,후로 이송되는 슬라이딩수단에 의하여 타측 도어의 전방으로 겹쳐지고 다시 원위치로 개폐되는 슬라이드형 욕실 수납장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2984호에도 상기한 등록실용신안에서와 같이 수납장의 전방에 구비되는 일측 도어가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전,후로 이송되는 슬라이딩수단에 의하여 타측 도어의 전방으로 겹쳐지고 다시 원위치로 개폐되는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욕실 수납장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에서, 등록실용신안이나 등록특허의 수납장에서 도어가 좌,우 슬라이딩 및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것은, 수납장의 상면과 밑면에 전,후로 각각의 레일프레임이 장착 고정되고, 상기 도어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의 상,하부 이동지지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상부 이동지지부재에는 레일프레임 상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그 상부 이동지지부재의 밑면으로 수직 이송롤러가 장착되며, 상기 하부 이동지지부재에는 상기 레이프레임 상에서 안내되는 각각의 수직 이송롤러가 전,후로 장착된 한 쌍의 슬라이딩수단이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각 도어가 전,후로 이송됨은 물론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각 도어의 전방으로 겹쳐지게 개방됨은 물론 원위치로 위치하여 폐쇄되도록 개폐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출원인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일측 도어가 타측 도어의 전방으로 겹쳐지도록 개폐되는 미닫이식 도어와 관련하여 여러 등록특허는 물론 출원 중에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가 전,후로 이송되고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납장(1)의 상면에 전,후로 설치된 레일프레임(110)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상부 이송지지판(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하향으로 절곡되어 도어(2)에 스크류 체결을 위한 체결홀(102a)이 형성된 부착면(102)과, 상기 부착면(102)의 상단에 수평면 형태로 밑면으로 상기 레일프레임(110)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수직 이송롤러(104)가 스크류 또는 통상의 피봇 방식에 의해 설치되는 장착면(105)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 이송지지판(100)은 부착면(102)과 장착면(105)이 한글 자음의 기억(ㄱ)자 180°로 회전된 판 형태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먼저 상부 이송지지판(100)의 부착면(102)에 형성된 체결홀(102a)을 이용하여 도어(2)의 내측면에 장착한 후 장착면(105)에 장착되어 있는 수직 이송롤러(104)를 수납장의 상면에 설치된 레일프레임(110)으로 삽입함에 따라 상부 이송지지판(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여닫이식 도어에 장착되는 상부 이송지지판(100)의 경우, 부착면(102)과 장착면(105)이 판 형태로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부착면(102)에 형성된 체결홀(102a)을 이용하여 도어(2)로 체결시 장착면(105)에 의해 작업자의 시야가 가려져 부착하기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과 함께 도어(2)의 내측면으로 상부 이송지지판(100)을 장착 후에도 수납장(1)의 상면에 설치된 전,후 레일프레임(110)으로 장착면(105)의 밑면으로 고정된 수직 이송롤러(104)를 삽입하기 난해한, 즉 수직 이송롤러(104)가 장착된 장착면(105)이 판 형태로 작업자가 장착면(105)의 밑면으로 장착된 수직 이송롤러(104)의 위치를 레일프레임(110)의 위치와 일치시켜 삽입하기가 상당히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816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29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시야 확보로 인한 도어로의 장착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에 장착한 후에도 수납장의 상면에 구비된 레일프레임으로의 조립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대가 높은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브래킷으로 연결대의 양단이 정확한 위치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 이동지지판의 좌,우로의 위치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납장 등의 상면에 설치된 전,후 레일프레임 상에서 일측 도어가 타측 도어의 전방으로 겹쳐져 개폐될 수 있도록 미닫이식 도어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이동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동지지부재는, 일측이 도어의 내측면 상에 장착 고정되며, 타측에는 상기 전,후 레일프레임 상으로 삽입되는 각 수직 이송롤러가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브레킷이 양단에 체결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브래킷은, 도어의 내측면에 스크류로 장착 고정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대의 끝단이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끝단 장착부의 반대 측에 수직 이송롤러가 장착되는 장착축이 형성되는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대는 길이방향으로 수평면과 경사면이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연결대의 끝단 수평면 및 경사면과 대응되는 형태의 장착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에 형성되는 장착공을 적어도 두개 이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야 확보로 인한 도어로의 장착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에 장착한 후에도 수납장의 상면에 구비된 레일프레임으로의 조립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닫이식 도어로의 상부 이동지지부재의 장착이 시야 확로 인한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이루어져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수납장의 상면에 설치된 레일프레임으로의 거치 또한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고정브래킷을 연결하는 연결대를 경사면과 수평면으로 형성하여 높은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브래킷을 더욱 안정으로 연결시킴은 물론 연결대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높은 대응력을 가져 변형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고정브래킷으로 연결대의 양단이 정확한 위치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연결대를 고정브래킷으로 더욱더 긴밀하고 밀착 고정시켜 높은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상부 이동지지판의 좌,우로의 위치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길이나 하중에 따라 고정브래킷을 원하는 위치로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도어의 슬라이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도어에 결합된 상태의 요부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종래 미닫이식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상부 이송지지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도어에 결합된 상태의 요부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1) 등의 상면에 설치된 전,후 레일프레임(110) 상에서 일측 도어(2)가 타측 도어(2)의 전방으로 겹쳐져 개폐될 수 있도록 미닫이식 도어(2)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이동지지부재(10)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시야 확보로 인한 도어로의 장착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에 장착한 후에도 수납장의 상면에 구비된 레일프레임으로의 조립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이동지지부재(10)는, 일측이 도어(2)의 내측면 상에 장착 고정되며, 타측에는 상기 전,후 레일프레임(110) 상으로 삽입되는 각 수직 이송롤러(104)가 장착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는 통상적인 브래킷 형태인 한 쌍의 고정브래킷(20)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브레킷(20)이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양단에 체결되는 연결대(30)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상부 이동지지부재(10)는 종래와 같이 판 형태로 작업자의 시야가 가려졌던 것을 한 쌍의 고정브래킷(20)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을 연결하는 연결대(30)로 구성됨에 따라 작업자에게 넓은 시야를 확보하여 고정브래킷의 후술하는 장착부를 도어의 내측면으로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 또한 단시간 내에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고정브래킷(20)의 구비되는 수직 이송롤러(104)로 또한 작업자가 시야가 확보된 상태에 수납장(1)의 상면에 설치된 레일프레임(110)으로 삽입시켜 거치하는 작업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짐으로써, 미닫이식 도어로의 상부 이동지지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브래킷(20)은, 하향으로 절곡되어 도어(2)의 내측면에 스크류로 장착 고정하기 위한 장착공(22a)이 형성되는 장착부(22)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며 중간에 중공부(24a)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대(30)의 끝단이 통상적인 스크류 체결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부(24)와, 상기 체결부(24)의 끝단 장착부(22)의 반대 측에 수직 이송롤러(104)가 장착되는 장착축(26a)이 형성되는 연장부(26)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체결부는 도어의 내측면으로 장착되는 장착부와 수납장의 상면에 설치된 레일프레임으로 삽입되어 안내되는 연장부의 장착축 상에 장착된 수직 이송롤러가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며 중공부는 사다리꼴 형태의 양 측면이 아닌 상면의 평면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대(30)는, 길이방향으로 수평면(32)과 경사면(34)이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서, 한 쌍의 고정브래킷을 서로 연결시 높은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한 체결부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체결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도어에 설치 후에는 도어의 하중에 대해서도 높은 대응력을 가져 변형됨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도 가진다.
상기 체결부(24)에는 상기 연결대(30)의 끝단 수평면(32) 및 경사면(34)과 대응되는 형태의 장착홈(24b)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연결대의 끝단을 체결부로 결합시 장착홈으로 인하여 연결대의 끝단을 체결하기 이전에 장착홈으로 삽입됨에 따라 가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닐 체결한 후에는 상기 연결대의 끝단이 장착홈으로 삽입되어 체결됨으로 인한 더욱더 유동성 없이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어 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장착부(22)에 형성되는 장착공(22a)을 적어도 두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일측 장착부는 도어 프레임의 모서리에 구비된 다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고정편과 체결 고정되고, 타측 장착부는 도어 프레임의 중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통상적인 다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가동편으로 체결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장착부에 형성된 여러 개의 장착공과 고정편 및 가동편으로 형성된 각 체결홀의 필요로 하는 위치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고정브래킷의 전체적인 좌,우로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에 따라 도어의 양측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의 간격을 도어의 길이나 하중에 따라 원하는 위치로 고정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하여 도어의 하중으로 인한 상부 이동지지부재의 변형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1 : 수납장 2 : 도어
10 : 상부 이동지지부재 20 : 고정브래킷
22 : 장착부 22a : 장착공
24 : 체결부 24a : 중공부
24b : 장착홈 26 : 연장부
26a : 장착축 30 : 연결대
32 : 수평면 34 : 경사면
104 : 수직 이송롤러 110 : 레일프레임

Claims (5)

  1. 수납장(1) 등의 상면에 설치된 전,후 레일프레임(110) 상에서 일측 도어가 타측 도어의 전방으로 겹쳐져 개폐될 수 있도록 미닫이식 도어(2)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이동지지부재(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동지지부재(10)는, 일측이 도어(2)의 내측면 상에 장착 고정되며, 타측에는 상기 전,후 레일프레임(110) 상으로 삽입되는 각 수직 이송롤러(104)가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20)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브레킷(20)이 양단에 체결되는 연결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20)은, 도어의 내측면에 스크류로 장착 고정하기 위한 장착공(22a)이 형성되는 장착부(22)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대의 끝단이 체결되는 체결부(24)와, 상기 체결부의 끝단 장착부의 반대 측에 수직 이송롤러가 장착되는 장착축(26a)이 형성되는 연장부(26)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30)는 길이방향으로 수평면(32)과 경사면(34)이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
  4. 제3항에 있었어,
    상기 체결부(24)에는 상기 연결대(30)의 끝단 수평면(32) 및 경사면(34)과 대응되는 형태의 장착홈(26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22)에 형성되는 장착공(22a)을 적어도 두개 이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
KR1020120030109A 2012-03-23 2012-03-23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 KR20130107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109A KR20130107922A (ko) 2012-03-23 2012-03-23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109A KR20130107922A (ko) 2012-03-23 2012-03-23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922A true KR20130107922A (ko) 2013-10-02

Family

ID=4963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109A KR20130107922A (ko) 2012-03-23 2012-03-23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79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20797A1 (en) Slide rail mechanism and bracket device thereof
CN103415671B (zh) 具有家具柜体和折叠盖板的家具
US9739080B2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sliding door
RU2012120333A (ru) Дверная петля для скрытого расположения между дверным полотном и дверной коробкой
KR101415815B1 (ko)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KR20140026546A (ko) 서랍
ITPD20130335A1 (it) Sistema di fissaggio per mobili
KR20190002256U (ko) 욕실장 미닫이식 개폐문의 구조
KR20120006945U (ko) 욕실용 선반기구
CN207355784U (zh) 包括抽屉侧壁和保持件的组件系统及相应的抽屉
KR20130107983A (ko) 미닫이식 도어용 하부 이동지지부재
KR200448166Y1 (ko) 일체형 도어 연결부재를 갖는 슬라이드형 욕실 수납장
KR20130107922A (ko) 미닫이식 도어용 상부 이동지지부재
CN203676488U (zh) 一种移门衣柜
BR112019019708B1 (pt) Arranjo de placa de montagem e método correspondente
CN104077843A (zh) 自动售货机
US4152034A (en) Knock-down furniture system
ITMI971604A1 (it) Dispositivo di collegamento e di regolazione della disposizione spaziale di due pannelli
TWI763950B (zh) 用於抽屜及其類似物的拉出式導軌
JP5079572B2 (ja) 間仕切へのドアの取付構造
CN101674756A (zh) 用于影响家具部件运动的装置和系统、用于这种装置的安装结构和家具
KR101600065B1 (ko) 미닫이식 도어용 슬림형 틀프레임
KR200470666Y1 (ko) 선반 지지 장치
KR101654918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롤러 브라켓
CN203852033U (zh) 一种抽屉的侧板加高减噪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