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895A -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ni comic program manufacturing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and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 ani comic manufactured by the method - Google Patents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ni comic program manufacturing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and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 ani comic manufactured by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895A
KR20130107895A KR1020120030061A KR20120030061A KR20130107895A KR 20130107895 A KR20130107895 A KR 20130107895A KR 1020120030061 A KR1020120030061 A KR 1020120030061A KR 20120030061 A KR20120030061 A KR 20120030061A KR 20130107895 A KR20130107895 A KR 20130107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ic
scene
image
ani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0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57045B1 (en
Inventor
김지찬
한미라
Original Assignee
김지찬
한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찬, 한미라 filed Critical 김지찬
Priority to KR102012003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045B1/en
Publication of KR2013010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8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0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PURPOSE: A manufacturing method for ani-comic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pply various effects on an ani-comic image that manufactured two-dimensional comic contents to produce an ani-comic video, allowing enjoying two dimensional comic contents. CONSTITUTION: A computer performs image scanning on an original image of two dimensional comic contents. The computer stores an ani-comic image scanned (S10). The computer analyzes a coma-cut line classifying at least one scene and background on the ani-comic image. The computer performs first cropping along the coma-cut line (S20). The computer stores a first cropped scene for each a scene image. The computer reads a story board stored in advance (S30). The computer performs second cropping an area in which a basic scene image, imitative word, mimetic word, and effect based on the story board for each first cropped scene image (S40). The computer produces an ani-comic by an editing which gives an imitative word, mimetic word, and effect to a basic scene image based on a story board.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10) Store multiple video images constituting an image scanned animation; (S20) Perform a first cropping process (coma cut); (S30) Read out a story board; (S40) Perform a second cropping process (coma cut); (S50) Edit the images; (S60) Perform a dubbing process, a ME inserting, and a comprehensive editing process; (S70) Perform an encoding process regarding the type of a device

Description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방법,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및 그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애니코믹을 기록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The manufacturing method for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ni comic program manufacturing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and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 Ani comic manufactured by the method}A method for producing an anicomic by applying an effect of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anicomic production program by applying an effect of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and a readable record for recording an anicomic produced by the producing method.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ni comic program manufacturing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and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 Ani comic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방법,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및 그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애니코믹을 기록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2차원적인 코믹 콘텐츠를 가공한 애니코믹 이미지에 다양한 이펙트를 적용하여 애니코믹 영상물을 제작함으로써, 코믹북과 같은 2차원적인 코믹 콘텐츠를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통해 훨씬 더 실감나게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ime-comic production method by applying an effect of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anicomic production program by applying an effect of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nchor comic image by applying various effects to an anime comic image obtained by processing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thereby providing a variety of comic contents such as a comic book in various types So that you can enjoy it more realistically.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animation)은 만화 영화와 같이 화상(畵像)의 위치나 형태 등을 조금씩 바꾼 여러 장의 그림을 한 장면씩 촬영하여 영사하게 되면 연속 동작이 보이도록 하는 것으로 동화(動畵)라 지칭한다. 이러한, 애니메이션을 시청자가 한 시간 정도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만화에 비해 많은 그림을 그려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애니메이터가 장시간 참여하여 작업하게 된다.In general, animation is a technique of photographing a plurality of pictures that slightly change the position or shape of an image, such as a cartoon movie, and displaying a continuous motion when projected. Quot; In order to allow viewers to watch anime for about an hour, many animators are required to work for a long time because they have to draw many pictures compared to a general cartoon.

상기한 애니메이션 작업 구성원은 애니메이션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시나리오작가와 하나의 애니메이션 작품에 참여하는 다수의 애니메이터, 애니메이터들을 지휘 및 감독하는 감독, 애니메이션 작품의 상황에 따른 음성을 제공하는 성우, 애니메이션 작품의 상황별 효과음을 제공하는 음향효과 제작진에 의해서 완성되고, 완성된 애니메이션은 통상의 기획사에 의해 유통된다.The animation work members mentioned above include a scenario writer providing an animation scenario, a plurality of animators participating in one animation work, a director supervising and supervising animators, a voice actor providing voi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an animation work, It is completed by a sound effect production team that provides sound effects, and the completed animation is circulated by an ordinary agency.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 단계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프리 프로덕션 기획사에 의해 주관되는 애니메이션의 기획, 시나리오, 콘티 등을 결정하는 단계와, 프로덕션 제작사에 의해 제작되는 애니메이션의 원화, 동화, 채색 등의 제작 단계, 애니메이션의 음악, 더빙 편집 마무리하는 단계를 주관하는 포스트 프로덕션으로 크게 나뉘게 된다.The animation production proces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steps of determining animation planning, scenarios, conti, etc., which are supervised by the preproduction company, and the production of animation, animation, and coloring Stage production, music production, animation production, and post production.

프리 프로덕션 기획사에서는 작업 진행시 제작비용을 고려하여 애니메이션 제작사를 선정하고, 일반적으로 원화에서 채색, 동화에서 촬영 등으로 작업 범위를 정해 제작 하청을 주게 된다. 이러한, 대표적인 하청 작업은 동화, 채색이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 25분 상영기준 타임시트/450장, 원화/2000장, 동화/5000장, 채색/5000장이고, 미국의 경우 25분 상영기준 타임시트/500장, 원화/3000장, 동화/10000장, 채색/10000장이다.The pre-production agency selects an animation production company in consideration of the production cost in the course of the work, and generally sets the work scope by coloring in the Korean painting and shooting in the fairy tale, and subcontracting it. Such representative subcontracting work is fairy tale, coloring. For example, in Japan, the 25-minute screening time sheet / 450 sheets, the Korean won / 2000 sheets, the fairy tale / 5000 sheets, the coloring / 5000 sheets, Fairy tale / 10,000 sheets, color / 10000 sheets.

그러나 이러한 동적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당한 인력이 투입되어야만 하기에, 고가의 제작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However, in the case of producing such a dynamic animation, since a considerable manpower must be input as described above, expensive manufacturing costs have been incurred.

최근들어, 기존의 코믹북들을 상기와 같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할려는 시도가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데 복잡한 제작과정을 거쳐야 함은 물론, 엄청난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인기를 끄는 일부 코믹물만이 애니메이션으로 선택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duce existing comic books by animation as described above.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a complicated production process is required to produce one animation, and an enormous cost is incurred. Only some comics are selected and produced by animation.

따라서, 애니메이션화되지 않은 기존의 코믹물은 여전히 책자 또는 코믹 뷰어 등을 통하여 2차원적인 콘텐츠 상태로 여전히 서비스되고 있는데 그치고 있다.Accordingly, existing uncommitted animations are still being serviced in a two-dimensional content state through booklets or a comic viewer.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동적인 완벽한 애니메이션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2차원적인 코믹 컨텐츠를 보다 실감나는 형태의 코믹 애니 영상물로 가공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휴대용 디바이스 등을 통하여 코믹 콘텐츠를 보다 더 실감나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by processing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into a more realistic comic-animated video even if the content is not completely dynamic, it is possible for the reader to realize the comic content more realistically through various portable devices It is required to develop a technique for enjoyment.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파노라마 영상이미지를 배경으로 하는 영상이미지합성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특허출원번호 제10-2002-0036450호)1. System and method for synthesizing a video image with a panoramic image as a background (Patent Application No. 10-2002-003645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차원적인 코믹 콘텐츠를 가공한 애니코믹 이미지에 다양한 이펙트를 적용하여 애니코믹 영상물을 제작함으로써, 코믹북과 같은 2차원적인 코믹 콘텐츠를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통해 훨씬 더 실감나게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imated comic image by applying various effects to an animated comic image obtained by processing a two- So that it can be enjoyed much more realistically.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방법은 2차원 코믹 콘텐츠 원본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스캐닝(Image scanning)을 수행한 다음, 스캔된 애니코믹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애니코믹 이미지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씬(Scene)과 배경을 구분하는 코마컷 선을 분석한 다음, 상기 코마컷 선에 맞추어 1차 크롭핑을 수행하고, 상기 1차 크롭핑된 씬을 각 씬 이미지 별로 저장하는 제 2 단계; 기작성되어 미리 저장된 스토리 보드를 독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1차 크롭핑된 씬 이미지 각각에 대해 상기 스토리 보드를 기초로 기본 씬 이미지, 의성어, 의태어 그리고 이펙트가 적용될 영역을 2차 크롭핑하고, 상기 2차 크롭핑된 영역을 각 영역 이미지 별로 저장하는 제 4 단계; 상기 2차 크롭핑된 영역 이미지 각각에 대해 상기 스토리 보드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씬 이미지에 의성어, 의태어 그리고 이펙트를 부여하는 편집에 의해 애니코믹을 생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n animic comic production method of effect application of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mprises performing image scanning on an original image of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A first step of storing a comic image; The method comprising: analyzing a comma cut line separating at least one scene and a background for the ani-comic image, performing first-order cropping in accordance with the coma cut line, A second step of storing each image; A third step of reading previously prepared storyboards; A second scene-cropping section for subjecting the basic scene image, monologues, stereotypes, and effects to the first-cropped scene image based on the storyboard, and storing the second-cropped area for each scene image Step 4; And a fifth step of generating an anecomic by editing the basic scene image based on the storyboard for each of the secondary-cropped area images, wherein the stereotypical words, the expressions, and the effects are given.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된 애니 코믹 영상에 더빙을 수행한 뒤, ME(Mixing Effect)를 삽입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애니 코믹을 구동시킬 디바이스에 따른 엔코딩을 수행한 뒤 엔코딩된 애니 코믹을 제공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 sixth step of performing dubbing on the generated ani-comic image and inserting a ME (Mixing Effect); and an encoding step of performing encoding according to a device for driving the generated an- And a seventh step of providing the second image data.

이때, 상기 기저장된 상기 스토리 보드는 사용자에 의해 액세스(access)가 가능하여 수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tored storyboard can be accessed by the user and can be modified.

또한, 상기 제 1 단계는 기저장된 컬러링 모델을 독출한 다음, 상기 스캔된 흑백의 애니코믹 이미지 각각에 상기 컬러링 모델로부터 추출된 색을 오버랩시키는 단계, 및 기저장된 레터링 모델을 독출한 다음, 상기 애니코믹 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제 1 언어의 자막을 제 2 언어의 자막으로 로컬라이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tep may include reading out the pre-stored coloring model, then overlapping the color extracted from the coloring model with each of the scanned black-and-white ani-comic images, and reading the previously stored lettering model, Localizing the subtitles of the first language included in each of the comic images into the subtitles of the second language.

또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각 영역 이미지를 이용해 화면배치를 수행하는 레이아웃과정; 상기 화면배치가 수행된 씬과 그 씬에 포함된 대사의 진행에 의거하여 씬에 움직임을 주는 카메라 워크과정; 상기 카메라 워크과정이 수행된 씬을 원본 콘텐츠의 순차적 흐름에 따라 연출하는 애니메이션화 과정; 상기 의성어, 의태어 및 이펙트가 적용된 영역을 무빙에 맞추어 삽입하는 이펙트 적용 과정; 및 상기 이펙트 적용된 데이터를 이용해 애니코믹 영상물을 생성하는 렌더링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fth step may include: a layout process of performing screen layout using each of the area images; A camera work process for giving motion to the scene based on the scenes in which the screen layout is performed and the dialogue included in the scenes; An animation process of directing the scene in which the camera work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a sequential flow of original contents; An effect application process of inserting the region where the above-mentioned whitish language, language, and effects a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moving; And a rendering process of generating an anicomic video using the effect-applied data.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2차원 코믹 콘텐츠 원본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스캐닝(Image scanning)을 수행한 다음, 스캔된 애니코믹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스캐닝 기능단; 상기 애니코믹 이미지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씬(Scene)과 배경을 구분하는 코마컷 선을 분석한 다음, 상기 코마컷 선에 맞추어 1차 크롭핑을 수행하고, 상기 1차 크롭핑된 씬을 각 씬 이미지 별로 저장하는 1차 크롭핑 기능단; 기작성되어 미리 저장된 스토리 보드를 독출하는 스토리 보드 독출 기능단; 상기 1차 크롭핑된 씬 이미지 각각에 대해 상기 스토리 보드를 기초로 기본 씬 이미지, 의성어, 의태어 그리고 이펙트가 적용될 영역을 2차 크롭핑하고, 상기 2차 크롭핑된 영역을 각 영역 이미지 별로 저장하는 2차 크롭핑 기능단; 상기 2차 크롭핑된 영역 이미지 각각에 대해 상기 스토리 보드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씬 이미지에 의성어, 의태어 그리고 이펙트를 부여하는 편집에 의해 애니코믹을 생성하는 애니코믹 편집 기능단; 상기 생성된 애니 코믹 영상에 더빙을 수행한 뒤, ME(Mixing Effect)를 삽입하는 포스트 프로덕션 기능단; 및 상기 생성된 애니 코믹을 구동시킬 디바이스에 따라 엔코딩을 수행하는 엔코딩 기능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스캐닝 기능단은, 기저장된 컬러링 모델을 독출한 다음, 상기 스캔된 흑백의 애니코믹 이미지 각각에 상기 컬러링 모델로부터 추출된 색을 오버랩시키고, 기저장된 레터링 모델을 독출한 다음, 상기 애니코믹 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제 1 언어의 자막을 제 2 언어의 자막으로 로컬라이징하고, 상기 애니코믹 편집 기능단은, 상기 각 영역 이미지를 이용해 화면배치를 수행하고, 상기 화면배치가 수행된 씬과 그 씬에 포함된 대사의 진행에 의거하여 씬에 움직임을 주고, 상기 카메라 워크과정이 수행된 씬을 원본 콘텐츠의 순차적 흐름에 따라 애니메이션화하고, 상기 의성어, 의태어 및 이펙트가 적용된 영역을 무빙에 맞추어 삽입하고, 상기 이펙트 적용된 데이터를 이용해 애니코믹 영상물을 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n animic comic production program by effect application of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 And then stores the scanned ani-comic image; The method comprising: analyzing a comma cut line separating at least one scene and a background for the ani-comic image, performing first-order cropping in accordance with the coma cut line, Primary cropping function that stores images by image; Storyboard reading function that reads previously created storyboard; A second scene-cropping section for subjecting the basic scene image, monologues, stereotypes, and effects to the first-cropped scene image based on the storyboard, and storing the second-cropped area for each scene image Secondary cropping function; An aniComic editing function for generating an ancicom for each of the secondary-cropped area images by editing the basic sound image based on the storyboard, wherein the basic sound image is given an algebraic word, an adjective word, and an effect; A post production function module for performing dubbing on the generated ani-comic image and inserting a ME (Mixing Effect); And an encoding function step for performing encoding according to a device to be driven by the generated anicomic, wherein the image scanning function unit reads the pre-stored coloring model, and then, for each of the scanned monochrome ani-comic images, Localizing the subtitles of the first language included in each of the ani-comic images into the subtitles of the second language after overlapping the colors extracted from the coloring model, reading the pre-stored lettering model, , Performing screen layout using each of the area images, moving the scene based on the scenes in which the screen layout is performed and the dialogue included in the scenes, An animation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 sequential flow, and the region to which the above-mentioned proper word, phrase and effect are applied is inserted into the moving image, With an effect applied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to render the Annie comical video.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애니코믹 영상물을 기록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특징으로 한다.Most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features a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n anicomic video material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production method is recorded.

본 발명에 의하면, 2차원적인 코믹 콘텐츠를 가공한 애니코믹 이미지에 다양한 이펙트를 적용하여 애니코믹 영상물을 제작함으로써, 코믹북과 같은 2차원적인 코믹 콘텐츠를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통해 훨씬 더 실감나게 즐길 수 있고, 그러한 영상물을 제작하는 비용 또한 기존의 애니메이션 제작 비용과 대비하여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reating an anecomic video by applying various effects to an anime image processed with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it is possible to enjoy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such as a comic book through a variety of devices in a more realistic way And the cost of producing such a video can be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st of producing an ani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을 위한 단말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도 1의 애니코믹 편집 기능단에 의해 수행되는 세부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 내지 도 13은 도 2의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방법에 의해 순차적으로 구현된 제작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erminal for an anime-comic production by applying effects of two-dimensional comic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n anime-comic production method by applying effects of two-dimensional comic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detailed steps performed by the anicomic editing function section of FIG. 1;
Figs. 4 to 13 are diagrams showing an image produced sequentially by an anime-comic production method by applying effects of the two-dimensional comic contents of Fig. 2;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 코믹 제작을 위한 단말(10)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0)은 I/O 인터페이스(11), 애니코믹 제작모듈(12) 및 저장부(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부(13)는 다양한 종류의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상변화 램), F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1 is a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erminal 10 for anicomic production by applying effects of two-dimensional comic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terminal 10 includes an I / O interface 11, an aniocomic creation module 12, and a storage unit 13. The storage unit 13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Generally, the storage unit 13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NVM), a flash memory,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change random access memory (FRAM), and ferroelectric RAM (FRAM).

한편, 애니코믹 제작모듈(12)은 이미지 스캐닝 기능단(12a), 1차 크롭핑 기능단(12b), 스토리 보드 독출 기능단(12c), 2차 크롭핑 기능단(12d), 애니코믹 편집 기능단(12e), 포스트 프로덕션 기능단(12f), 그리고 엔코딩 기능단(12g)을 포함한다.The aniocomic production module 12 includes an image scanning function module 12a, a primary cropping module 12b, a storyboard reading module 12c, a secondary cropping module 12d, A functional stage 12e, a post-production functional stage 12f, and an encoding functional stage 12g.

이하, 애니코믹 제작모듈(12)의 구성을 중심으로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ducing an anime comic by application of an effect of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ani-comic production module 12.

한편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odule may mean a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hardware for perform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ftware for driving the hardware. For example, the module may mean a logical unit of a predetermined code and a hardware resource for executing the predetermined code, and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a physically connected code or a kind of hardware. Can be easily deduced to the average expert in the field of < / RTI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애니코믹 편집 기능단에 의해 수행되는 세부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애니코믹의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nime-comic production method by applying effects of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detailed steps performed by the aniComic editing function stage of FIG. A method of producing an anime comic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먼저, 이미지 스캐닝 기능단(12a)은 I/O 인터페이스(11)를 통해 수신한 2차원 코믹 콘텐츠 원본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스캐닝(Image scanning)을 수행한 다음, 스캔된 애니코믹 이미지를 저장부(13)에 저장한다(S10). 이 경우, 미리 설정된 페이지 사이즈로 변환하여 다수의 애니코믹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상태는 도 4와 같다.First, the image scanning function unit 12a performs image scanning on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original image received via the I / O interface 11, and then transmits the scanned ani- (S10). In this case, the preset page You can create and save multiple animated images by converting to size. The stored state is as shown in FIG.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스캐닝 기능단(12a)은 코믹북과 같은 2차원 코믹 콘텐츠 원본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스캐닝하고, 그 각각 스캐닝된 원본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페이지 사이즈에 맞춰 변환한 다음 애니코믹 이미지로 저장한다.More specifically, the image scanning function unit 12a sequentially scans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original image such as a comic book, converts each scanned original image to a preset page size, and then stores the image as an ani-comic image .

여기서 페이지 사이즈가 HD 기준일 경우, 화면비율로 1080*720(16:9), 가로 픽셀이 1300 픽셀 이상, 해상도는 300DPI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page size is the HD standard, it is preferable to set 1080 * 720 (16: 9) as the aspect ratio, 1300 pixels or more as the horizontal pixel, and 300 DPI or more as the resolution.

한편, 페이지 사이즈가 SD 기준일 경우, 화면비율로 720*486(4:3), 가로 픽셀이 1100 픽셀 이상, 해상도는 300DPI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ge size is the SD standard, it is desirable to set 720 * 486 (4: 3) as the aspect ratio, 1100 pixels or more as the horizontal pixel, and 300 DPI or more as the resolution.

이미지 스캐닝 기능단(12a)은 추가적 기능으로 컬러링 모델 및 레터링 모델을 저장부(13)로부터 독출하여 각각의 애니코믹 이미지에 각각 오버랩 및/또는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저장부(13)에 재저장할 수 있다.The image scanning function module 12a reads the coloring model and the lettering model from the storage unit 13 as an additional function and performs a function of overlapping and / or converting each of the respective ancillic images and restoring the same in the storage unit 13 .

여기서 컬러링 모델은 흑백의 애니코믹 이미지에 색을 오버랩함으로써, 흑백 이미지에 색을 칠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레터링 모델은 제 1 언어의 자막을 제 2 언어의 자막으로 로컬라이징함으로써 언어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coloring model means performing a task of coloring a black-and-white image by overlapping a color with an ani-comic image in black and white, and the lettering model is a method in which a language conversion is performed by localizing a subtitle of a first language into a subtitle of a second language .

단계(S10) 이후, 1차 크롭핑 기능단(12b)은 단계(S10)에서 이미지 스캐닝된 다수의 애니코믹 이미지 각각에 대하여 코마컷(koma-cut)에 의해 트리밍(trimming) 하는 1차 크롭핑(cropping)을 수행한다(S20). 1차 크롭핑 진행 과정은 도 5와 같을 수 있다.After step S10, the first cropping function stage 12b performs a first cropping operation in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scanned ani-comic images is trimmed by a coma-cut in step S10. (step S20). The primary cropping process may be as shown in FIG.

보다 구체적으로, 1차 크롭핑 기능단(12b)은 이미지 스캐닝된 애니코믹 이미지 각각에서 이미지 중 배경과 씬(Scene)을 구분하는 코마컷 선을 분석한 다음, 상기 코마컷 선에 맞추어 1차 크롭핑을 수행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ropping function unit 12b analyzes a comma cut line that distinguishes a background and a scene from each other in each of the image-scanned ani-comic images, and then, in accordance with the coma cut line, Perform the ping.

이에 따라 1차 크롭핑된 씬 이미지 각각은 파일확장자 PNG 또는 JPEG로 저장부(13)에 분리되어 저장된다.Accordingly, each of the first-cropped scene images is separate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as a file extension PNG or JPEG.

단계(S20) 이후, 스토리 보드 독출 기능단(12c)은 기작성되어 저장된 스토리 보드를 저장부(13)로부터 독출한다(S30). 저장된 스토리 보드는 도 6의 예시와 같을 수 있다.After step S20, the storyboard reading function section 12c reads out the previously prepared storyboard from the storage section 13 (S30). The stored storyboard may be the same as the example of Fig.

여기서 스토리 보드는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스토리 흐름에 따라 작성된 애니코믹의 장면 및 스토리 진행 및 이펙트 정보 등을 포함한다.Here, the storyboard includes scenes, story progression, effect information, and the like of an animated comic created according to the story flow of the two-dimensional comic contents.

저장부(13)에 저장된 스토리 보드는 액세스(access)가 가능하여 경우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수정가능하다.The storyboar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can be accessed and can be modified by the user as the case may be.

단계(S30) 이후, 2차 크롭핑 기능단(12d)은 1차 크롭핑된 씬 이미지 각각에 대해 상기 스토리 보드를 기초로 기본 씬 이미지, 의성어, 의태어, 그리고 이펙트가 적용될 영역을 2차 크롭핑한다(S40). 2차 크롭핑 수행과정은 도 7과 같을 수 있다.After step S30, the secondary cropping function section 12d performs a secondary cropping operation on the scene image to be applied to the basic scene image, monaural, monaural, and effect based on the storyboard for each of the primary cropped scene images (S40).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econd cropping may be as shown in FIG.

보다 구체적으로, 스토리 보드에 의거하여 1차 크롭핑된 각 씬 이미지에서 의성어, 의태어 또는 이펙트가 적용될 영역을 분리한 뒤 저장부(13)에 저장하고, 필요할 경우 분리된 영역은 상기 컬러링 모델에 의해 컬러링이 수행된다.More specifically, in each scene image that has been firstly cropped based on the storyboard, a region to be subjected to a morpheme, a morpheme or an effect is separ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and if necessary, Coloring is performed.

단계(S40) 이후, 애니코믹 편집 기능단(12e)은 단계(S40)에서 1차 크롭핑된 다수의 씬 이미지 및/또는 2차 크롭핑된 다수의 애니코믹 이미지 각각에 대한 연출 및 편집을 수행한다(S50).After the step S40, the anicomic editing function unit 12e performs rendering and editing for each of a plurality of scene images primarily cropped and / or a plurality of secondarily cropped animage images at step S40 (S50).

여기서, 애니코믹 영상 편집은 도 3과 같이 레이아웃과정(Layout)(S51), 카메라 워크과정(Camera Work)(S52), 애니메이션화 과정(Animation)(S53), 이펙트 적용과정(Effect)(S54), 그리고 렌더링과정(Rendering)(S55)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3, the layout process (Layout) S51, the camera work process S52, the animation process S53, the effect application process S54, Then, a rendering process (S55) is sequentially performed.

이하 세부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The details of the process are described below.

레이아웃과정(Layout)(S51)은 크롭핑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애니코믹 이미지들을 씬의 내용, 씬에 포함된 캐릭터의 포지션에 맞춰 배치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특히 캐릭터의 동선에 혼란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 수행된다.The layout process (Layout) (S51) is a process of arranging a plurality of ani-comic images generated by cropping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scene and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included in the scene. In this process, care is taken to avoid confusion, especially in the movement of the character.

첫째로, 작은 크기로 설정된 바운더리(boundary) 내의 씬의 경우에는, 글자와 그림의 해상도가 떨어지므로 상황별 레이아웃 연출과 나타나는 방향들을 고려하여 배치한다.First, in the case of a scene within a boundary set to a small size, since the resolution of the character and the picture is low, it is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layou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tuation is presented.

둘째로, 중간 크기로 설정된 바운더리 내의 씬의 경우에는, 가운데에 위치시켜 움직임을 주되 상황별 레이아웃 연출과 나타나는 방향들을 고려하여 배치한다.Secondly, in the case of a scene within a boundary set to a medium size, it is positioned in the center and motion is given, but it is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layou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it appears.

셋째로, 레이어를 겹쳐서 연출할 경우, 하위 레이어는 흐리게 배치한다.Third, when layers are superimposed, the lower layers are arranged in a blurred manner.

넷째로, 큰 크기로 설정된 바운더리 내의 씬의 경우에는, 대사의 순서에 따라 상황별 레이아웃 연출과 나타나는 방향들을 고려하여 배치한다.Fourth, in the case of a scene within a boundary set to a large size, arranging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layout direction an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metabolism.

단계(S52)에서의 카메라 워크과정은 씬에 포함된 대사의 진행에 의거하여 씬에 움직임을 주며, 특히 다음 씬과 겹치지 않는 움직임을 줌과 동시에, 캐릭터의 동선에 혼선을 주지 않도록 설정된다.The camera work process in step S52 is set so as to give movement to the scene based on the progress of the dialogue included in the scene, in particular to give mo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next scene, and to prevent crossing of the character's line.

또한, 카메라 워크과정은 각 씬에 포함된 대사를 충분히 읽을 수 있도록 적절한 타임을 주며, 씬의 내용을 충분히 볼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In addition, the camera work process gives enough time to read the dialogue contained in each scene, and places the contents of the scene sufficiently in view.

또한, 카메라 워크과정은 처음부터 끝까지 정지 영상이 없도록 하며, 아주 천천히라도 움직임을 평균 1초에 1 마이크로-분(micro Minute) 사이에 있도록 설정한다.In addition, the camera work process ensures that there is no still image from start to finish, and that the motion is set to be between 1 micro-minute (micro-min) per second on average.

또한, 카메라 워크과정은 강한 움직임의 파장이 있는 씬의 경우, 그에 맞는 진동효과를 주도록 설정한다. 예컨대, 폭파, 총 쏘는 모습, '쿵' 떨어지는 장면 등에 진동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work process is set so as to give a vibration effect corresponding to a scene having a strong motion wavelength. For example, a vibration effect can be given to a blasting, a shooting shot, a scene in which a 'bang' falls.

또한, 카메라 워크과정은 기본 장면전환(Transition)을 주고, 기타 장면전환을 추가로 넣을 수 있도록 설정한다.In addition, the camera work process sets the default transitions and allows for additional other transitions.

마지막으로, 카메라 워크과정은 스토리 보드를 기본으로 편집하되, 사용자에 의한 임의적으로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Finally, the camera work process is edited based on the storyboard, but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modify it by the user.

한편, 상술한 기본 장면전화 및 기타 장면전환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Meanwhile, the basic scene telephone and other scene transi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기본 장면전환은 팬 라이트/레프트(Pan right/left) 기법, 틸트 업/다운(Tilt Up/Down) 기법, 그리고 줌 인/아웃(Zoom in/out)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First, the basic scene transi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pan right / left technique, a tilt up / down technique, and a zoom in / out technique.

팬 라이트/레프트 기법은 가로형 씬의 경우 사용하며, 대사 및 다음 장면의 진행방향을 고려하는 방식이다.The fan light / left technique is used in the case of a horizontal type scen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metabolism and the next scene is considered.

틸트 업/다운 기법은 세로형 씬의 경우 사용하며, 대사 및 다음 장면의 진행방향을 고려하는 방식이다.The tilt-up / down technique is used for vertical scenes, which considers the direction of the dialogue and the direction of the next scene.

줌 인/아웃 기법은 씬에서 부각시키고자 하는 부분을 고려하는 방식이다.The zoom in / out technique is a way to take into account the areas you want to highlight in the scene.

다음으로 기타 장면전환은 슬라이드(Slide) 기법, 진동효과(상하좌우) 기법, 진동효과(좌우) 기법, 물결효과 기법, 진동효과(상하) 기법, 그리고 로테이션/트위스트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Next, the other scenes can be used as a slide technique, a vibration effect technique, a vibration effect technique, a wave effect technique, a vibration effect technique, and a rotation / twist technique.

슬라이드(Slide) 기법은 모서리에서 씬이 슬라이딩되면서 커지도록 구성하는 방식이다.The Slide technique i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cene so that it grows as the scene slides at the corner.

진동효과(상하좌우) 기법은 2차 크롭핑 기능단(12d)에 의해 추출된 의성어를 적용할 영역에 대해 상하좌우로 진동효과를 주는 방식이다.The vibration effect (up / down / left / right) technique gives a vibration effect to upper, lower, left, and right regions to apply the equirector extracted by the second cropping function stage (12d).

진동효과(좌우) 기법은 2차 크롭핑 기능단(12d)에 의해 추출된 의성어를 적용할 영역에 대해 좌우로 진동효과를 주는 방식이다.The vibration effect (left and right) technique is a method in which the vibration effect is applied to the area to be applied with the right-sighted word extracted by the second-cropping function section (12d).

물결효과 기법은 사물의 움직임에 맞추어 물결 효과를 주는 방식이다.The wave effect technique is a wave effect effec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objects.

진동효과(상하) 기법은 2차 크롭핑 기능단(12d)에 의해 추출된 의성어를 적용할 영역에 대해 상하로 진동효과를 주는 방식이다.The vibration effect (upper and lower) technique is a method of giving a vibration effect up and down to the region to which the equirector extracted by the second cropping function stage (12d) is applied.

로테이션/트위스트 기법은 씬 간의 장면전환 시 사용하며 씬을 로테이션(Rotation) 하거나 트위스트(Twist)하는 방식이다.The rotation / twist technique is used to switch scenes between scenes, and the scene is rotated or twisted.

단계(S53)에서의 애니메이션화 과정(Animation)은 카메라 워크과정(S52)이 완료되면 카메라 워킹 프로세스를 기초로 씬의 전, 후를 순차적으로 연출하여 애니메이션화 하는 것으로서, 원본이미지를 최대한 왜곡 내지 손상시키지 않고 원본이미지 상의 문자와 그림이 모두 나타나도록 수행한다.The animation process in step S53 sequentially animates the animation before and after the camera walking process based on the camera walking process when the camera work process S52 is completed. The animation process does not distort or damage the original image as much as possible Performs to display both characters and pictures on the original image.

또한, 애니메이션화 과정은 2차 크롭핑 기능단(12d)에 의해 추출된 의성어 및 의태어를 적용할 영역을 중심으로 연출하며, 스토리 보드를 기본으로 편집하되, 사용자에 의한 임의적으로 수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애니메이션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nimation process is centered on the area to be applied with the explicit word and the urn, extracted by the second cropping function unit 12d, and edited based on the storyboard, allowing arbitrary modification by the user. Hereinafter, the anim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FIG.

애니메이션화 과정의 제 1 방식의 예로는, 씬 상에서 손으로 사물을 치거나 흔들 경우, 해당 소리에 맞추어 의성어 글자를 순차적 등장시킴과 더불어 카메라 진동효과를 함께 주어 실감나게 표현하는 것이다.An example of the first method of the animation process is to sequentially display the letters of consonant in accordance with the sound when the object is hit or shaken by hand on the scene, and to express the sensation with the camera vibration effect together.

애니메이션화 과정의 제 2 방식의 예로는, 단조로운 장면에서 움직임이 있는 사물은 위치와 크기의 변화를 주어 생동감을 부여하는 것으로, 날아가는 나비를 표현할 경우 사용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second method of the animation process is that a moving object in a monotonous scene changes its position and size to give a feeling of liveliness and can be used when expressing a flying butterfly.

애니메이션화 과정의 제 3 방식의 예로는, 단계(S51)의 레이아웃과정에 의해 배치된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레이어를 분리시켜서 날개를 움직여주거나, 캐릭터의 마스크를 사용하여 반짝거리는 듯한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third method of the animation process, the layer may be separated based on the layout arranged by the layout process of step S51, and the wing may be moved, or a shining effect may be applied using the character mask.

애니메이션화 과정의 제 4 방식의 예로는, 씬에서 놀라는 표시가 있는 경우, 캐릭터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반짝반짝하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fourth method of the animation process, when there is a surprising indication in a scene, a twinkling effect can be applied using a character's mask.

애니메이션화 과정의 제 5 방식의 예로는, 씬에 포함된 강조 문자를 하나씩 등장하도록 하며, 크기와 타이밍에 변화를 주어 강조하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fifth method of the animation process, emphasis characters included in the scene appear one by one, and the effect of emphasizing by changing the size and the timing can be applied.

애니메이션화 과정의 제 6 방식의 예로는, 2차 크롭핑 기능단(12d)에 의해 추출된 의성어 및 의태어를 적용할 영역을 씬 외부의 이미지로 모두 표현될 수 있도록 하며, 씬에 대해 테두리 처리를 하여 배경과 구분될 수 있도록 하는 표현을 적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sixth scheme of the anim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express all the regions outside of the scene where the monophonic and monotonic terms extracted by the second cropping function unit 12d are to be applied, You can apply expressions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backgrounds.

애니메이션 과정의 제 7 방식의 예로는, 씬의 캐릭터가 생각, 경청, 놀랄 때 눈을 깜빡 거리는 효과를 적용하거나 눈동자가 움직이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seventh scheme of the animation process is that a character in a scene can apply an eye blinking effect or a pupil moving effect when thinking, listening, or being surprised.

애니메이션화 과정의 제 8 방식의 예로, 2차 크롭핑 기능단(12d)에 의해 추출된 의태어를 적용할 영역 상의 의태어의 뜻에 맞도록 글자 레이어에 직접적 표현을 적용할 수 있다. 즉, 글자 간의 노출타이밍 또는 크기로 애니메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As an example of the eighth method of the animation process, direct expression can be applied to the character layer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the vernacular on the region to which the vernacular extracted by the second cropping function stage 12d is to be applied. That is, it indicates the animation effect with the exposure timing or magnitude between characters.

애니메이션화 과정의 제 9 방식의 예로는, 씬 간의 장면전화 시, 장면전환에 어울리는 적절한 트렌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된 장면전환 기법인 와이프 트랜지션(wipe transition)을 적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ninth method of the animation process, when a scene call is made between scenes, an appropriate transition suitable for scene transition can be appli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pply a wipe transition, which is a known scene change technique.

애니메이션화 과정의 제 10 방식의 예로는, 씬 상의 캐릭터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포인트 부분에 반짝이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tenth method of the animation process, a glitter effect can be applied to a point portion using a mask of a character in a scene.

애니메이션화 과정의 제 11 방식의 예로는, 단조로운 장면일 경우, 씬 상의 레이어를 분리하여 단독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eleventh method of the animation process, in the case of a monotonous scene, a single animation effect can be applied by separating the layers in the scene.

애니메이션화 과정의 제 12 방식의 예로는, 씬 상의 스피드 감을 나타내는 유선효과의 레이어를 2가지 패턴으로 분리시켜 순차로 출력시켜 적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twelfth method of the animation process, the wired effect layer representing the speed feeling in the scene can be divided into two patterns and sequentially output and applied.

애니메이션화 과정의 제 13 방식의 예로는, 씬 중에 포함되어 중요한 물체로 분류된 것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thirteenth method of the animation process, an animation effect can be applied to an object included in the scene and classified as an important object.

애니메이션화 과정의 제 14 방식의 예로는, 씬이 총 쏘는 장면일 경우, 총구에 마스크를 사용하여 빛이 번쩍이는 효과를 적용할 수 있으며, 후술할 라이트 이펙트와 함께 사용가능하다.An example of the 14th method of the animation process is that, when the scene is shot, the mask can be used to apply a flashing effect to the muzzle, and can be used with the light effect described below.

이펙트 적용 과정(Effect)(S54)은 애니메이션화 과정(S53) 이후 이펙트 작업을 하는 것으로 애니코믹의 무빙에 맞추어 삽입시킨다.The effect applying process (Effect) (S54) is an effect work after the animation process (S53), and is inserted in accordance with the animated comic motion.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이펙트 적용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effect applic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FIG.

이펙트 적용과정의 제 1 방식의 예로는, 씬 상에 조명이 포함될 경우 조명에 맞춰 컬러 라이트(Color light) 이펙트를 적용시킨다.An example of a first way of applying an effect is to apply a Color light effect to the scene when the scene is illuminated.

이펙트 적용과정의 제 2 방식의 예로는, 애니코믹의 타이틀 로고에 라이트/슬라이드(Light/Slide) 효과를 적용시킨다. 이런 타이틀 효과는 작품의 특징에 맞추어 적용하여 기본으로 넣어주되, 경우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An example of a second way of applying an effect is to apply a Light / Slide effect to the anycoric title logo. These title effects a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and put into the base, but they can be omitted in some cases.

이펙트 적용과정의 제 3 방식의 예로는, 씬 상에 특정 물체의 주변에 반짝이는 형상이 있는 경우, 씬 상에 포함된 대사 내용에 맞춰 사물을 부각시키기 위해 라이트/로테이션(light/rotation) 효과를 적용시킨다.An example of a third way of applying an effect is to use a light / rotation effect to highlight objects in the context of the scene when there is a shiny shape around the object in the scene .

이펙트 적용과정의 제 4 방식의 예로는, 씬 쌍에 성냥이 포함된 경우 성냥 불이 켜지는 효과를 적용시키거나, 성냥 불이 타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 라이트 효과를 사용한다. 이 경우 공지의 와이프 트랜지션(wipe transition) 효과를 동시 사용하여 성냥에서부터 주변이 밝아지도록 적용시킨다.An example of a fourth way of effect application process is to use a light effect to apply a match fire effect when a scene pair includes a match, or to show the effect of a match fire effect. In this case, the known wipe transition effect is used simultaneously so as to brighten the surroundings from the match.

이펙트 적용과정의 제 5 방식의 예로는, 씬 상에 머리를 넘기는 연출, 위대함을 연출하기 위해서 라이트 효과를 적용시킨다.As an example of the fifth method of application of the effect, a light effect is applied in order to produce a directing and greatness in the scene.

이펙트 적용과정의 제 6 방식의 예로는, 씬 상에 신비한 연출, 변신하는 연출, 기 모으는 연출을 표현하기 위해서 씬에 맞게 포그 라이트(fog light) 효과를 적용시킨다.An example of the sixth way of application of the effect application is to apply the fog light effect to the scene to express mysterious production, transformational production, and stimulating production in the scene.

이펙트 적용과정의 제 7 방식의 예로, 씬 상에 마술을 부리는 연출, 기를 모으는 연출, 빛이 그려져 있는 연출을 포함시키기 위해서 라이트 효과를 적용시키되, 기를 모으는 연출의 경우 서서히 밝아지도록 적용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seventh method of application of the effect, a light effect is applied in order to include a magic rendering, a gathering of a flag, and a presentation in which a light is drawn in a scene.

이펙트 적용과정의 제 8 방식의 예로는, 2차 크롭핑 기능단(12d)에 의해 추출된 의태어를 적용할 영역과 씬 상에 포함된 빛 형상에, 라이트 효과를 적용하며, 이 경우 강하게 켜지도록 추가적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eighth method of application of the effect, a light effect is applied to a region to be applied to the stereotype extracted by the second cropping function stage (12d) and a light shape contained in the scene, and in this case, Additional effects can be applied.

이펙트 적용과정의 제 9 방식의 예로는, 씬에 포함된 폭파 후 또는 연기가 피어 오르는 연출을 위해 포그 라이트 효과를 적용시킨다. 이 경우 포그 라이트 효과 자체에 페이드-인/아웃(Fade-in/out)을 적용시켜 점점 사라지도록 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example of the ninth method of applying an effect is to apply a foglite effect for post-explosion or smoky presentation in a scen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pply fade-in / out to the fog light effect itself and gradually disappear.

이펙트 적용과정의 제 10 방식의 예로는, 씬에서 강하게 표현해야 할 객체에 라이트닝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배경색에 맞추어 라이트닝의 색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An example of a tenth method of application of an effect is to apply a lightening effect to an object to be strongly expressed in the scene, and in this case, include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color of lightening to the background color.

이펙트 적용과정의 제 11 방식의 예로는, 씬 상에서 총 쏘는 연출, 대포 쏘는 연출시 총구에서 반짝이도록 하기 위해 라이트 효과를 적용시킨다. 이 경우 연기 효과도 함께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example of the 11th method of applying an effect is to apply a light effect to make the shot in the scene flash in the muzzle when directing the shot or shooting the artillery.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express the smoke effect together.

이펙트 적용과정의 제 12 방식의 예로는, 씬 상에서 핵심이 되는 부분에 렌즈 플레어(Lens Flare) 효과를 적용시킨다.As an example of the twelfth method of effect application process, a lens flare effect is applied to a part which is a key part in the scene.

렌더링과정(Rendering)(S55)은 이펙트 적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니코믹 영상물을 생성하는 단계이다.The rendering process (R55) is a process of generating an anecomic video using the effect-applied data.

이 경우 비디오는 출력 포맷으로 파일확장자를 MOV로 적용시키며, 코덱은 Apple ProRes 422(HQ)을 적용시킨다.In this case, the video uses the file extension MOV as the output format, and the codec applies Apple ProRes 422 (HQ).

한편 오디오 출력 포맷으로 48,000KHz, 16Bit, 2ch Stereo를 적용시킨다.On the other hand, 48,000KHz, 16Bit, 2ch Stereo are applied as audio output format.

단계(S51 내지 S55)를 포함하는 단계(S50) 이후의 과정으로, 포스트 프로덕션 기능단(12f)은 렌더링된 애니메이션에 더빙을 수행하며, ME 삽입함으로써, 종합 편집을 수행한다(S60).In a step after step S50 including steps S51 to S55, the post production function section 12f performs dubbing on the rendered animation and performs comprehensive editing by ME insertion (S60).

여기서 ME 삽입은 추가적인 믹스 이펙트(Mix Effect)를 의미한다.Here, ME insertion refers to an additional mix effect.

단계(S60) 이후, 엔코딩 기능단(12g)은 애니코믹 영상물을 구동시킬 디바이스에 따라 엔코딩을 수행한 뒤 엔코딩된 애니코믹물을 저장부(13)에 저장한 뒤, 서비스를 제공한다(S70).After step S60, the encoding function section 12g performs encoding according to the device for driving the anycicopic video, stores the encoded anicomic material in the storage section 13, and provides a service (S70).

여기서, 디바이스는 스마트 TV와 같은 유선단말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및 태블릭 PC와 같은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Here, the device is a broad concept including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as well as a wired terminal such as a smart TV.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단말 11: I/O 인터페이스
12: 애니메이션 제작모듈 12a: 이미지 스캐닝 기능단
12b: 1차 크롭핑 기능단 12c: 스토리 보드 독출 기능단
12d: 2차 크롭핑 기능단 12e: 영상 편집 기능단
12f: 포스트 프로덕션 기능단 12g: 그리고 엔코딩 기능단
13: 저장부
10: Terminal 11: I / O interface
12: animation production module 12a: image scanning function module
12b: Primary Cropping function 12c: Storyboard reading function module
12d: 2nd cropping function only 12e: image editing function unit
12f: post-production function only 12g: and encoding function stage
13:

Claims (6)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방법에 있어서,
2차원 코믹 콘텐츠 원본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스캐닝(Image scanning)을 수행한 다음, 스캔된 애니코믹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애니코믹 이미지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씬(Scene)과 배경을 구분하는 코마컷 선을 분석한 다음, 상기 코마컷 선에 맞추어 1차 크롭핑을 수행하고, 상기 1차 크롭핑된 씬을 각 씬 이미지 별로 저장하는 제 2 단계;
기작성되어 미리 저장된 스토리 보드를 독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1차 크롭핑된 씬 이미지 각각에 대해 상기 스토리 보드를 기초로 기본 씬 이미지, 의성어, 의태어 그리고 이펙트가 적용될 영역을 2차 크롭핑하고, 상기 2차 크롭핑된 영역을 각 영역 이미지 별로 저장하는 제 4 단계;
상기 2차 크롭핑된 영역 이미지 각각에 대해 상기 스토리 보드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씬 이미지에 의성어, 의태어 그리고 이펙트를 부여하는 편집에 의해 애니코믹을 생성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방법.
A method of producing an animic comic by applying an effect of a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A first step of performing image scanning on the original image of the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and then storing the scanned ani-comic image;
Analyzing the coma cut line that distinguishes at least one scene from the background with respect to the animated image, performing a first cropping according to the coma cut line, and applying the first cropped scene to each scene. A second step of storing for each image;
A third step of reading previously prepared storyboards;
Secondly cropping the region to which the basic scene image, onomatopoeia, synonyms, and effects are to be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cropped scene images, and storing the second cropped region for each region image. Fourth step;
A fifth step of generating an anecomic by editing the basic scene image based on the storyboard for each of the secondary-cropped area images, wherein the anomic word, the stereotype, and the effect are given;
Dimensional comic contents by applying an effect of the two-dimensional comic conten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
상기 생성된 애니 코믹 영상에 더빙을 수행한 뒤, ME(Mixing Effect)를 삽입하는 제 6 단계;
상기 생성된 애니 코믹을 구동시킬 디바이스에 따른 엔코딩을 수행한 뒤 엔코딩된 애니 코믹을 제공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fter the fifth step,
A sixth step of dubbing the generated ani-comic image and inserting a ME (Mixing Effect);
And an encoding step of encoding the generated animated comic in accordance with a device to be driven, and then providing an encoded animated comic. [5] The method of claim 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기저장된 컬러링 모델을 독출한 다음, 상기 스캔된 흑백의 애니코믹 이미지 각각에 상기 컬러링 모델로부터 추출된 색을 오버랩시키는 단계, 및
기저장된 레터링 모델을 독출한 다음, 상기 애니코믹 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제 1 언어의 자막을 제 2 언어의 자막으로 로컬라이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ading the pre-stored coloring model and then overlapping each of the scanned black and white ani-comic images with the color extracted from the coloring model; and
Localizing the caption of the first language included in each of the ani-comic images into a caption of a second language after reading the previously stored lettering model;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an effect to the two-dimensional comic conten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각 영역 이미지를 이용해 화면배치를 수행하는 레이아웃과정;
상기 화면배치가 수행된 씬과 그 씬에 포함된 대사의 진행에 의거하여 씬에 움직임을 주는 카메라 워크과정;
상기 카메라 워크과정이 수행된 씬을 원본 콘텐츠의 순차적 흐름에 따라 연출하는 애니메이션화 과정;
상기 의성어, 의태어 및 이펙트가 적용된 영역을 무빙에 맞추어 삽입하는 이펙트 적용 과정; 및
상기 이펙트 적용된 데이터를 이용해 애니코믹 영상물을 생성하는 렌더링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A layout process of performing screen layout using the respective area images;
A camera walk process of moving a scene on the basis of the scene on which the screen arrangement is performed and the progression of dialogue included in the scene;
An animation process of directing the scene on which the camera walk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a sequential flow of original content;
An effect application process of inserting the onomatopoeia, the onomatopoeia, and the region to which the effect is applied according to the moving; And
A rendering process of generating an animated video using the effected data;
An animation production method by applying the effect of the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2차원 코믹 콘텐츠 원본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스캐닝(Image scanning)을 수행한 다음, 스캔된 애니코믹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스캐닝 기능단;
상기 애니코믹 이미지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씬(Scene)과 배경을 구분하는 코마컷 선을 분석한 다음, 상기 코마컷 선에 맞추어 1차 크롭핑을 수행하고, 상기 1차 크롭핑된 씬을 각 씬 이미지 별로 저장하는 1차 크롭핑 기능단;
기작성되어 미리 저장된 스토리 보드를 독출하는 스토리 보드 독출 기능단;
상기 1차 크롭핑된 씬 이미지 각각에 대해 상기 스토리 보드를 기초로 기본 씬 이미지, 의성어, 의태어 그리고 이펙트가 적용될 영역을 2차 크롭핑하고, 상기 2차 크롭핑된 영역을 각 영역 이미지 별로 저장하는 2차 크롭핑 기능단;
상기 2차 크롭핑된 영역 이미지 각각에 대해 상기 스토리 보드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씬 이미지에 의성어, 의태어 그리고 이펙트를 부여하는 편집에 의해 애니코믹을 생성하는 애니코믹 편집 기능단;
상기 생성된 애니 코믹 영상에 더빙을 수행한 뒤, ME(Mixing Effect)를 삽입하는 포스트 프로덕션 기능단; 및
상기 생성된 애니 코믹을 구동시킬 디바이스에 따라 엔코딩을 수행하는 엔코딩 기능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스캐닝 기능단은,
기저장된 컬러링 모델을 독출한 다음, 상기 스캔된 흑백의 애니코믹 이미지 각각에 상기 컬러링 모델로부터 추출된 색을 오버랩시키고, 기저장된 레터링 모델을 독출한 다음, 상기 애니코믹 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제 1 언어의 자막을 제 2 언어의 자막으로 로컬라이징하고,
상기 애니코믹 편집 기능단은,
상기 각 영역 이미지를 이용해 화면배치를 수행하고, 상기 화면배치가 수행된 씬과 그 씬에 포함된 대사의 진행에 의거하여 씬에 움직임을 주고, 상기 카메라 워크과정이 수행된 씬을 원본 콘텐츠의 순차적 흐름에 따라 애니메이션화하고, 상기 의성어, 의태어 및 이펙트가 적용된 영역을 무빙에 맞추어 삽입하고, 상기 이펙트 적용된 데이터를 이용해 애니코믹 영상물을 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animation production program by applying the effect of the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An image scanning func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image scanning on the original 2D comic content image, and then store the scanned animated image;
Analyzing the coma cut line that distinguishes at least one scene from the background with respect to the animated image, performing a first cropping according to the coma cut line, and applying the first cropped scene to each scene. A first cropping function for storing images for each image;
A storyboard reading function unit that reads previously written storyboards;
Secondly cropping the region to which the basic scene image, onomatopoeia, synonyms, and effects are to be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cropped scene images, and storing the second cropped region for each region image. Secondary cropping function;
An animation editing function stage for generating an anicomic by editing the on-scene scene based on the storyboard for each of the secondary cropped region images;
A post-production function stage for inserting a mixed effect (ME) after performing dubbing on the generated any comic image; And
And an encoding function stage configured to perform encoding according to a device to drive the generated any comic.
The image scanning function stage,
After reading the pre-stored coloring model, overlapping the color extracted from the coloring model on each of the scanned black and white animated image, reading the pre-stored lettering model, and then a first language included in each of the animated image. Localize subtitles in to a second language subtitle,
The animated editing function stage,
Performs screen layout using the image of each area, moves the scene based on the scene where the screen layout is performed and the dialogue included in the scene, and sequentially performs the scene where the camera walk process is performed. Animation according to the flow, insert the area where the onomatopoeia, pseudonymology and effects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moving, and renders an animated video using the effected data to produce the animation by applying the effects of the two-dimensional comic conten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애니코믹 영상물을 기록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The readable recording medium which recorded the animated video material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4.
KR1020120030061A 2012-03-23 2012-03-23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ni comic program manufacturing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KR101457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061A KR101457045B1 (en) 2012-03-23 2012-03-23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ni comic program manufacturing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061A KR101457045B1 (en) 2012-03-23 2012-03-23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ni comic program manufacturing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895A true KR20130107895A (en) 2013-10-02
KR101457045B1 KR101457045B1 (en) 2014-10-31

Family

ID=4963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061A KR101457045B1 (en) 2012-03-23 2012-03-23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ni comic program manufacturing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04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025A (en) * 2015-03-25 2016-10-06 네이버 주식회사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catoon data
KR20160115869A (en) * 2016-08-12 2016-10-06 네이버 주식회사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catoon data
CN111429341A (en) * 2020-03-27 2020-07-17 咪咕文化科技有限公司 Video processing method, video processing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30022551A (en) * 2021-08-09 2023-02-16 주식회사 플레이칸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nim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0577A (en) * 1997-08-04 1999-04-23 Sony Corp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data, and transmission medium thereof
KR100374914B1 (en) * 2000-08-30 2003-03-06 송대호 Method for production of animation using publishing comic picture
US8223152B2 (en) * 2008-11-13 2012-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authoring animation through storyboar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025A (en) * 2015-03-25 2016-10-06 네이버 주식회사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catoon data
US9996964B2 (en) 2015-03-25 2018-06-12 Naver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cartoon content
KR20160115869A (en) * 2016-08-12 2016-10-06 네이버 주식회사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catoon data
CN111429341A (en) * 2020-03-27 2020-07-17 咪咕文化科技有限公司 Video processing method, video processing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429341B (en) * 2020-03-27 2023-08-18 咪咕文化科技有限公司 Video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30022551A (en) * 2021-08-09 2023-02-16 주식회사 플레이칸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ni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045B1 (en)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4897T3 (en) Method and device to handle multiple video streams using metadata
Bowen Grammar of the Shot
US8860865B2 (en) Assisted video creation utilizing a camera
KR101457045B1 (en)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ni comic program manufacturing Ani comic by applying effects for 2 dimensional comic contents
JP2020074041A (en) Imaging device for gaming,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20251081A1 (en) Image editing device, image editing method, and program
JP5043746B2 (en)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image reproduction method, and image reproduction program
CN113259778A (e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using virtual character for automatic video production
KR10044891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supplying animation composed with real picture
US20170287521A1 (en) Methods, circuits, devices, systems and associated computer executable code for composing composite content
JP5509287B2 (en) Reproduction display device, reproduction display program, reproduction display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erver
KR10256968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nimation
Michael Animating with Flash 8: creative animation techniques
Muzaffar o’g’li COMPUTER TECHNOLOGY FOR SPECIAL EFFECTS
Agustina et al. A short film making with 3D CGI and live action footage usage using compositing technique and key frames method
WO2007073010A1 (en) Media mak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Lancaster DSLR Cinema: A beginner’s guide to filmmaking on a budget
JP2006198136A (en) Game apparatus
Knowles The Temporal Image Mosaic and its Artistic Applications in Filmmaking
JP510624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erver
Routhier How Will We Archive And Preserve The Movies Of Tomorrow?
Willoughby Digital Filmmaking For Kids For Dummies
KR100867897B1 (en) Media mak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Turčić Light painting photography and its application in visual (video) media
Yamazaki Plug-in to After Effects: Third Party Plug-in Mas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