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811A - Apparatus for protruding lower jaw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truding lower ja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7811A KR20130107811A KR1020120029898A KR20120029898A KR20130107811A KR 20130107811 A KR20130107811 A KR 20130107811A KR 1020120029898 A KR1020120029898 A KR 1020120029898A KR 20120029898 A KR20120029898 A KR 20120029898A KR 20130107811 A KR20130107811 A KR 201301078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rod
- mandible
- lower jaw
- fixing part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06—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an occlusal p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악(아래턱)을 구강 앞쪽으로 전진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악을 원래 위치보다 더 얼굴 앞쪽으로 전진시키며, 전진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하악 전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dvancing the mandible (lower jaw) to the front of the mouth.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capable of advancing the mandible forward to the face more than the original position and easily adjusting the advancing distance.
수면 중의 심한 코골이나 무호흡증은 누워 있는 상태에서 기도가 좁아지기 때문에 일어난다. 인체의 상악(윗턱)과 하악(아랫턱)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치로 교합되어 있는데, 하악을 얼굴 앞쪽으로 전진시키면 기도가 확장되기 때문에 수면중 코골이나 무호흡증이 감소한다.Severe snoring or apnea during sleep results from the narrowing of the airway in the lying state. The upper jaw (upper jaw) and the lower jaw (lower jaw) of the human body are occupied in a substantially constant position. Advancing the lower jaw forward in front of the face reduces air snoring or apnea because of the expansion of the airways.
이러한 수면중 코골이나 무호흡증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하악을 앞으로 전진시키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코골이 치료를 위해 기도를 확장하는 수술 요법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물리적인 하악 전진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게 기도를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rder to alleviate snoring or apnea during sleep, devices for artificially advancing the mandible forward are known. Although snoring may use surgical therapies to expand the airway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widen the airways by using a physic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이러한 하악 전진 장치의 일례를 들자면, 하악 전진 장치는 윗니와 아랫니에 각각 끼우는 상악 착용구와 하악 착용구로 구성된다. 물리적 구조상, 하악 착용구는, 상악 착용구보다 하악이 앞으로(즉, 착용 후의 얼굴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제작 및 설치된다. 따라서 상악 착용구와 하악 착용구를 각각 윗니와 아랫니에 착용함으로써 용이하게 하악이 앞으로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As an example of such a mandible forward device, the mandible forward device is composed of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worn in the upper teeth and lower teeth respectively. Physically, the lower jaw is manufactured and installed such that the lower jaw protrudes forward (ie, to the front of the face after wearing) than the upper jaw. Therefore,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are worn on the upper and lower teeth respectively, and the lower jaw is easily advanc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하악 전진 장치에서는 하악 착용구와 상악 착용구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시 상악과 하악을 좌우로 또는 상하로 움직일 수 없어서 수면 중 착용에 따른 불편감이 크고, 말을 하거나 하품 등을 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하악을 움직일 수 있는 제품도 있지만, 그 이동 범위에 한계가 있고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상 불편한 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andible forward device, because the mandible wearing mouth and the mandible wearing mouth are fixed, the upper and lower jaw cannot be moved from side to side or up and down when worn, resulting in large discomfort due to wearing during sleep and talking or yawning.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Some products can move the mandible, but the range of movement is limited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so there is a feeling of inconvenience.
또한 하악의 전진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번거롭다. 사람마다 코골이나 무호흡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도의 하악 전진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또는 같은 사람이라 하더라도 턱관절이나 근육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하악의 전진거리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It is also impossible or cumbersome to control the degree of advancement of the mandible. Because each person has different mandibular advancement distances to relieve snoring and apnea, or even the same perso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mandibular forward distance so as not to impair jaw joints or muscles.
본 발명자는 종래의 하악 전진 장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 구강에 무리를 주는 구조물이 없으면서도, 하악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하악 전진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개량된 하악 전진 장치에 관한 발명을 하게 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mandible forward device, the present inventors have an improved mandible forward device that can freely move the mandible and can easily adjust the mandible forward distance, without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imparting structure to the oral cavity. Invented about.
본 발명의 목적은, 상악의 윗니에 끼우는 상악 착용구와, 하악의 아랫니에 끼우는 하악 착용구를 포함하며 하악을 앞으로 돌출하도록 전진시키는 하악 전진장치에 있어서, 상악 착용구에 설치되는 대략 상부 치열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의 지지봉과, 하악 착용구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봉에 걸리는 걸림판으로 구성되는 하악 전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xillary wearer fitted to the upper teeth of the upper jaw, and a mandibular wearer fitted to the lower teeth of the mandible, and in th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advancing the mandible forward, the shape of the upper upper teeth installed in the maxillary wearer It is to provide a mandrel forward device consisting of a support rod and a mandatory plate that is attached to the mandrel wearing port and is caught on the support r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악의 윗니에 끼우는 상악 착용구와, 하악의 아랫니에 끼우는 하악 착용구를 포함하며 하악을 앞으로 돌출하도록 전진시키는 하악 전진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jaw fitted to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including the lower jaw worn to fit in the lower teeth of the lower jaw provides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advancing the mandible forward.
상악 착용구의 아랫면에는 상부 치열의 형태와 대략 유사한 형태(가령, U자형)의 지지봉이 구비되고 하악 착용구의 윗면에는 걸림판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봉은 양단 끝 부분에 위치한 고정부를 통해서 상악 착용구의 후방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판은 하악 착용구의 전방부(입술쪽)에서 위로 돌출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jaw wearer is provided with a support rod of a shape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the upper teeth (eg, a U-shape), and a locking plate is provided on the upper face of the lower jaw wearer. The support rod is fixed to the rear of the upper jaw wearer through a fixing part located at both ends, and the locking plate protrudes upward from the front portion (lip side) of the lower jaw wearer.
이로써 하악을 앞으로 전진시켜서, 상기 지지봉에 의해 걸림판이 후퇴되는 힘이 저지되도록 하면, 하악의 생물 물리학적 작용에 의해서 하악 착용구가 구강의 후방으로 되돌아가려는 힘에 의해서 지지봉에 걸림판이 걸려서 하악이 전진된 상태로 있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mandible is moved forward and the force that the stopping plate is retracted by the supporting rod is prevented, the lowering member is caught by the supporting rod by the force of returning the mandible wearing member back to the rear of the mouth by the biophysical action of the lower jaw. It will remain
위의 구성에서, 상기 고정부를 축으로 지지봉을 상하로 이동하는 수단이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 지지봉 상하 이동 수단은, 지지봉의 고정부 후방에 지지용 줄을 달아 이를 상악 착용구에 연결 고정하고, 고정부의 임의의 상면에는 한계 설정용 줄을 달아 상악 착용구에 연결 고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means for moving the support rod up and down on the fixing portion axis. The support rod up and down movement means can be configured by attaching a support string behind the fixing part of the support rod to fix it to the maxillary wearing hole, and attaching a limit setting line to any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to connect and fix it to the maxillary wearing hole. have.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봉 상하 이동 수단은, 지지봉의 고정부에 지지용 줄을 달아 상악 착용구에 매달리도록 고정하여, 입을 벌릴 때에 상기 지지봉이 내려오다가 상기 고정부의 후방부가 상악 착용구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더 이상 내려오지 못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upport rod up and down movement means is attached to the fixing portion of the support rod to be fixed to the hanging on the maxillary fastener, so that the support rod is lowered when opening the mouth and the rea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is the surface of the maxillary fastener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it can no longer come down by contacting.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지지봉을 전후로(즉, 목구멍과 입술 사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하악의 전진 거리를 조절하는 하악 전진거리 조절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 하악 전진거리 조절 수단은 지지봉의 뒤쪽에 있는 고정부 및 이에 결합된 나사를 포함하여, 나사에 의해서 지지봉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ndible forward distanc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mandible forward distance by moving the support rod back and forth (ie, between the throat and the lips). The mandible forward distance adjust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s of the support rods by screws, including a fixing portion at the rear of the support rods and a screw coupled thereto.
이상의 구조는 적절한 구조 변경을 통하여 상하 대칭 구조로 변형할 수도 있다. 즉, 지지봉을 하악 착용구에 설치하고, 걸림판을 상악 착용구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필요한 구조적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structure may be transformed into a vertically symmetrical structure through appropriate structural changes. That is, the support rod can be installed in the lower jaw, and the stopping plate can be installed in the upper jaw. The structural change required in this case i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단순한 구성을 통하여 하악을 전진시킬 수 있으며, 본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입을 상하로 벌릴 수 있고 좌우로도 움직일 수 있어서 착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악 전진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하악의 전진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vance the mandible throug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open the mouth up and down and move from side to side even in the state of wearing the device can solve the wearer's inconvenience. In addition, even when the mandible forwar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the mandible forward distance can be easily adjus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의 기본 실시예의 측면도.
도 2a는 도 1의 상악 착용구(100)의 저면 사진.
도 2b는 하악 착용구(200)의 평면 사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 전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로서, 하악 착용구(200)를 생략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 전진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로서, 하악 착용구(200)를 생략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로서, 하악 착용구(200)를 생략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 전진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로서, 하악 착용구(200)를 생략한 도면.
도 5는 도 4b를 실제로 구현한 실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
도 6은 도 3a∼5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변형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7은 도 6 실시예의 구조물을 상하 대칭으로 변경한 실시예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basic embodiment of the mandible advan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bottom photo of the
Figure 2b is a plan view of the lower jaw worn 200.
Figure 3a is a simplified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ndible forward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3b is a simplified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ndible forward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4a is a simplified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4b is a simplified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ndible forwar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Figure 4b.
6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modified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A-5.
FIG. 7 is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FIG. 6 embodiment is changed to upper and lower symmetry. FIG.
도 1,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의 기본 실시예의 개념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앞", "정면", "전방"은 구강의 앞쪽, 즉, 얼굴쪽을 지칭하고, "뒤" 또는 "후방"은 구강의 뒤쪽, 즉, 목구멍 쪽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1, 2a, 2b briefly illustrate the concept of a basic embodiment of th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ront", "front", "front" refers to the front of the mouth, i.e., the face side, and "back" or "back" refers to the back of the mouth, i.e., the throat side. do.
도 1, 2a, 2b를 참조하면, 윗니(1)와 아랫니(2)에 각각 끼우는 상악 착용구(100)와 하악 착용구(200)가 있다. 상악 착용구(100)의 아랫면에는 지지봉(10)이 설치되어 있고, 하악 착용구(200)의 윗면에는 걸림판(20)이 설치되어 있다. 걸림판(20)을 도면에는 매끈한 판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걸림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단차 또는 턱을 두는 것도 가능하다(예를 들어 낚시 바늘에 있는 미늘과 같은 역할). 이러한 단차나 턱의 형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1, 2a, and 2b, there is an upper
지지봉(10)은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략, 상악 착용구(100)의 형태, 즉 상부 치열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가령, U자형)를 띠며, 양단 끝 부분에 위치한 고정부(15)를 통해서 상악 착용구(100)의 후방에 고정된다. 지지봉(10)은 대략 1.5∼3mm 직경의 철 또는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2A, the
걸림판(20)은 하악 착용구(200)에서 위로 돌출되어 있다. 도 2b에서는 하악 착용구 성형시에 일체로 성형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 1에서 개념적으로 설명한 것과 같이 별도의 소재를 부착할 수도 있다. 걸림판(20)의 폭 W는 임의적이다. 단, U자형 지지봉(10)의 굴곡 부위에 접촉하여 걸림 작용(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봉에 의해 걸림판이 후퇴되는 힘이 저지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지지봉(10)의 곡률과 유사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그러나 오히려 곡률이 없는 것이 더 유리한 경우에는 곡률 없이 가공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The
걸림판(20)의 위치는 지지봉(10)의 위치와 어긋나게 설치된다. 어긋난 정도는 하악 착용구(200)가 착용자의 하악을 원래 위치보다 더 앞으로 전진시킨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로 결정한다.The position of the locking
상악 착용구(100)와 하악 착용구(200)를 각각 윗니와 아랫니에 착용한 다음에, 하악을 앞으로 전진시켜서, 상기 지지봉(10)에 걸림판(20)이 걸리도록 하면, 하악의 생물 물리학적 작용에 의해서 하악 착용구(200)가 구강의 후방으로 되돌아가려는 힘 F이 지지봉(10)에 접한 걸림판(20)에 의해 저지되어서 하악이 전진된 상태로 있게 된다.Wearing the upper jaw (100) and the lower jaw (200) on the upper and lower teeth, respectively, and then advance the mandible forward, i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윗니 아랫니에 착용하면 하악이 원 위치보다 앞으로 전진된 상태에서 지지봉(10)과 걸림판(20)에 의해서 하악이 제자리로 복원되는 것이 저지되기 때문에 하악이 전진한 상태로 있게 되어 기도가 확장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upper teeth and lower teeth, the mandible is advanced because the mandible is prevented from being restored to its place by the
도 3a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실시예를 개량한 것으로서, 지지봉(10)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한 실시예를 나타낸다(도 3a에서는 하악 착용구는 생략하여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는 지지봉 상하 이동 수단이 구비된다. 지지봉 상하 이동 수단은, 도 3a에서 보는 것과 같이, 지지봉(10)의 고정부(15) 후방에 지지용 줄(16)을 달아 이를 상악 착용구(100)에 연결 고정하고, 고정부(15)의 임의의 상면에는 한계설정용 줄(17)을 달아 상악 착용구(100)에 연결 고정한다. 지지용 줄(16)에 의해서 지지봉(10)의 기단부가 상악 착용구(100)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한계설정용 줄(17)의 길이로 정해지는 범위 Rud 내에서 지지봉(10)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3A is an improvement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and shows an embodiment embodied in a structure capable of moving the
지지봉 상하 이동 수단은, 도 3b의 실시예서와 같이 단순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3b에서와 같이, 지지봉(10)의 고정부(15)에 지지용 줄(14)을 달아 상악 착용구(100)에 매달리도록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입을 벌리면, 걸림판(20)과 접촉되어 있는 지지봉(10)이 내려오다가 상기 고정부(15)의 후방부(19)가 상악 착용구(100)의 표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지지봉(10)이 더 이상 내려올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a의 지지용 줄(16)이 필요없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부(15)의 후방부(19)는 고정부(15) 몸체 자체가 될 수도 있고, 소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록 부착한 돌출물(도시하지 않음)이 될 수도 있다.The support rod up-and-down movement means can also be comprised simply like the Example book of FIG. 3B.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ure 3b, by fixing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하로 입을 벌릴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하악 전진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말을 하거나 하품을 하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mouth can be opened up and down while wearing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the user can speak or yawn while wearing the mandible forwar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에서 지지용 줄(16, 14) 또는 한계설정용 줄(17)로 용수철을 이용해도 된다. 이 밖에 구체적인 결합 구조에 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FIGS. 3A and 3B, a spring may be used as the
도 4a는 지지봉(10)을 전후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한 하악 전진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람에 따라서 하악의 전진 위치를 조절하거나, 같은 사람의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하악의 전진 위치를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하악 전진거리 조절수단에 의해서, 하악의 전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하악 전진거리 조절수단은, 지지봉(10)의 뒤쪽에 있는 고정부(15) 및 이에 결합된 나사(18)를 포함하여, 전후 방향으로 Rfb의 범위 내에서 지지봉(10)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gure 4a shows an embodiment of the mandible forward device adopting a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도 4b는 도 3b에 상응하는 지지봉 상하 이동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 4a에 구현한 것을 나타낸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b를 통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단, 고정부(15)의 후방부(19)가 나사(18) 머리가 될 수도 있고 별도의 돌출물(도 3b에 관한 설명 참조)이 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b의 개념을 실제로 구현한 상악 착용구의 실제 모습을 나타낸다.FIG. 4B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rod vertical movement means corresponding to FIG. 3B. The description thereof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B and thus will be omitted. However, the
한편, 도 6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로부터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구강 후방측의 고정부(15)에 연결되었던 지지용 줄(14)(16) 또는 한계 설정용 줄(17)이 없고, 구강의 후방측에는 제2의 고정부(15') 만이 설치되고, 이 제2고정부(15')와 소정 거리 전방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중간 고정부(24)가 설치되어 지지봉(10')을 지지한다. 중간 고정부(24)에 지지되어 있는 지지봉(10')은 상하로 일정 거리 W 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어서, 중간 고정부(24)에 지지봉 관통공을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지지봉(10')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용 줄(14)(16) 또는 한계설정용 줄(17)이 없고, 그 대신에 중간 고정부(24)에 의해서 지지봉(10')의 상하 가동 범위의 한계가 정해진다. 이에 상응하여 제2고정부(15')에도 상하로 지지봉(10')이 움직일 수 있는 유격이 있도록 가공하여야 한다.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modified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re is no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지지봉(10')에는, 제2고정부(15')와 중간 고정부(24) 사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너트(22)가 결합된다. 너트(22)는 지지봉(10')의 나사산을 따라 길이 방향(즉, D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앞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된 하악 전진거리 조절수단과 같은 목적을 위한 것이다. 너트(22)를 이용한 하악 전진거리 조절 수단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너트(22)를 D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킴에 따라 너트(22)는 중간 고정부(24)의 후방 끝 및 제2고정부(15')의 전방 끝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너트(22)의 위치를 적절히 선정한 상태에서, 하악을 전방으로 전진시켜서 걸림판(20)을 지지봉(10')에 접촉하여 걸면 지지봉(10')이 후방으로 밀려서 너트(22)가 제2고정부(15')의 전방 끝에 접촉하게 되어 하악의 전진 거리가 결정된다. 즉, 너트(22)를 제2고정부(15')와 중간 고정부(24) 사이에서 움직여 원하는 위치에 둠으로써 지지봉(10')과 걸림판(2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됨으로써, 하악의 전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upporting rod 10 'in this embodiment, a thread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fixing portion 15' and the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지지봉(10)(10')이 상악 착용구(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표시하였지만, 그와 반대로, 지지봉(10)(10')을 하악 착용구(200)에 설치하고, 상악 착용구(100)에 걸림판(20)을 설치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도 1∼5에 나타낸 구조와 모든 구성요소가 상하 대칭 구조로 설치된다. 단, 이 경우에는 상악의 걸림판(20)에 하악의 지지봉(10)(10')이 앞에서 걸리도록 지지봉(10)(10')의 위치가 걸림판(20)의 위치보다 앞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이렇게 상하 구조가 바뀐 경우에 도 6에 나타낸 하악 전진거리 조절수단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너트(22)의 위치가 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악 착용구(100)에 설치된 걸림판(20)에 지지봉(10')이 접촉되도록 하악을 전진시키면, 중간 고정부(24)의 후방 끝에 너트(22)가 접촉하여 하악의 전진 거리가 조절된다. 즉, 너트(22)의 위치를 옮김으로써 하악의 전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Thus, the operation of the mandible forward distance adjusting means shown in FIG. 6 when the upper and lower structures are changed will be described. Referring to FIG. 7, when the position of the
윗니(1), 아랫니(2), 상악 착용구(100), 하악 착용구(200), 지지봉(10)(10'), 고정부(15), 지지용 줄(14)(16), 한계설정용 줄(17), 나사(18), 후방부(19), 걸림판(20), 너트(22), 제2고정부(15'), 중간 고정부(24)Upper teeth (1), lower teeth (2), upper jaw (100), lower jaw (200), support rods (10) (10 '), fixing part (15), support string (14) (16),
Claims (14)
상악 착용구(100)의 아랫면에는 지지봉(10)이 구비되고, 하악 착용구(200)의 윗면에는 걸림판(20)이 구비되되,
상기 지지봉(10)은, 양단 끝 부분에 위치한 고정부(15)를 통해서 상악 착용구(100)의 후방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판(20)은 하악 착용구(200)의 전방부(입술쪽)에서 위로 돌출됨으로써,
하악을 앞으로 전진시켜서, 상기 지지봉(10)에 걸림판(20)이 걸리도록 하면, 하악의 생물 물리학적 작용에 의해서 하악 착용구(200)가 구강의 후방으로 되돌아 가려는 힘에 의해서 지지봉(10)에 걸림판(20)이 걸려서 하악이 전진된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전진 장치.In th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that includes the upper jaw fitted to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worn to the lower jaw of the mandible, and advances the mandible forward,
The support rod 1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jaw wearer 100, and the stopping plate 2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ntle wearer 200.
The support rod 10 is fixed to the rear of the upper jaw wearing hole 100 through the fixing portion 15 located at both ends, and the locking plate 20 is the front portion (lip side) of the lower jaw wearing hole 200. Protrude upward from),
By advancing the mandible forward, if the catching plate 20 is caught by the support rod 10, the mandrel wearing hole 200 by the force to return to the rear of the oral cavity by the biophysical action of the mandible 10 The jamming plate 20 is cau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dible is in the advanced state, mandible forward device.
하악 착용구(200)의 윗면에는 지지봉(10)이 구비되고, 상악 착용구(100)의 아랫면에는 걸림판(20)이 구비되되,
상기 지지봉(10)은, 양단 끝 부분에 위치한 고정부(15)를 통해서 하악 착용구(200)의 후방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판(20)은 상악 착용구(100)의 전방부(입술쪽)에서 위로 돌출됨으로써,
하악을 앞으로 전진시켜서, 상기 걸림판(20)에 지지봉(10)이 걸리도록 하면, 하악의 생물 물리학적 작용에 의해서 하악 착용구(200)가 구강의 후방으로 되돌아 가려는 힘에 의해서 걸림판(20)에 지지봉(10)이 걸려서 하악이 전진된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전진 장치.In th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that includes the upper jaw fitted to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worn to the lower jaw of the mandible, and advances the mandible for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jaw wearing hole 200 is provided with a support rod 10,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jaw wearing hole 10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late 20,
The support rod 10 is fixed to the rear of the lower jaw wearing hole 200 through the fixing portion 15 is located at both ends, the locking plate 20 is the front portion (lip side) of the upper jaw wearing device 100 Protrude upward from),
By advancing the mandible forward, if the support rod 10 is caught by the locking plate 20, the lowering wearer 200 is forced to return to the rear of the mouth by the biophysical action of the mandible. )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rod (10) is caught so that the mandible is advanced.
중간 고정부(24)에 지지되는 지지봉(10')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지지됨으로써 지지봉(10')의 상하 가동 범위의 한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전진 장치.According to claim 3, The support rod vertical movement means, the second fixing part 15 'is provided in the upper jaw wearing port 100 on the rear side of the oral cavity, and the second fixing part 15' is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Intermediate fixing part 24 is install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side to support the support rod 10 ',
The support rod 10 'supported by the intermediate fixing part 24 is supported so as to move up and down, so that the limit of the vertical movement range of the support rod 10' is determined, The mandible forward apparatus.
제2고정부(15')와 중간 고정부(24) 사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에 결합되어 지지봉(10')의 나사산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너트(22)가 추가로 포함되는, 하악 전진 장치.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upport rod (10 '),
A thread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fixing part 15 'and the intermediate fixing part 24
And a nut (22) coupled to the thread and reciprocating along the thread of the support rod (10 ').
중간 고정부(24)에 지지되는 지지봉(10')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지지됨으로써 지지봉(10')의 상하 가동 범위의 한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전진 장치.According to claim 8, The support rod up and down movement means, the second fixing portion 15 'is provided in the lower wear mouth 200 on the rear side of the oral cavity, the second fixing portion 15'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Intermediate fixing part 24 is install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side to support the support rod 10 ',
The support rod 10 'supported by the intermediate fixing part 24 is supported so as to move up and down, so that the limit of the vertical movement range of the support rod 10' is determined, The mandible forward apparatus.
제2고정부(15')와 중간 고정부(24) 사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에 결합되어 지지봉(10')의 나사산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너트(22)가 추가로 포함되는, 하악 전진 장치.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upport rod (10 '),
A thread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fixing part 15 'and the intermediate fixing part 24
And a nut (22) coupled to the thread and reciprocating along the thread of the support rod (10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9898A KR101352200B1 (en) | 2012-03-23 | 2012-03-23 | Apparatus for Protruding Lower Ja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9898A KR101352200B1 (en) | 2012-03-23 | 2012-03-23 | Apparatus for Protruding Lower Jaw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7811A true KR20130107811A (en) | 2013-10-02 |
KR101352200B1 KR101352200B1 (en) | 2014-01-15 |
Family
ID=4963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9898A KR101352200B1 (en) | 2012-03-23 | 2012-03-23 | Apparatus for Protruding Lower Jaw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220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72738A1 (en) * | 2013-11-12 | 2015-05-21 | 이성완 | Temporomandibular joint correcting device |
WO2016027949A1 (en) * | 2014-08-21 | 2016-02-25 | 심소희 | Orthopedic applicance for temporomandibular joint, and wing spac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89456B2 (en) | 2002-08-19 | 2004-11-17 | 優一郎 河原 | Mouthpiece for improving apnea syndrome or snoring |
KR100489439B1 (en) | 2005-01-26 | 2005-05-12 | 황청풍 |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e and sleep apnea |
KR200439343Y1 (en) | 2006-12-08 | 2008-04-04 | 이승규 | Snoring prevention apparatus |
KR101073746B1 (en) * | 2009-03-18 | 2011-10-13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for the free movement of the Mandibular and Preventing from Snoring |
-
2012
- 2012-03-23 KR KR1020120029898A patent/KR10135220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72738A1 (en) * | 2013-11-12 | 2015-05-21 | 이성완 | Temporomandibular joint correcting device |
CN105555223A (en) * | 2013-11-12 | 2016-05-04 | 李成完 | Temporomandibular joint correcting device |
WO2016027949A1 (en) * | 2014-08-21 | 2016-02-25 | 심소희 | Orthopedic applicance for temporomandibular joint, and wing spac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2200B1 (en) | 2014-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10502B1 (en) | Anti-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device | |
JP4709146B2 (en) | Device for treating nocturnal breathing disorders | |
EP3103420A1 (en) |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nd method and kit for producing said device | |
KR100787188B1 (en) |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 |
US10945875B2 (en) | Device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or snoring | |
US20080115791A1 (en) | Mandibular Advancement Mouthpiece, An Intraoccusal Removable Improved Device For Eliminating Or Reducing Snoring | |
KR101288834B1 (en) |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 |
US20110168187A1 (en) | Device for Treating Night Time Breathing Problems | |
US20140072927A1 (en) |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 |
US20150075540A1 (en) | Apparatus for the prevention of sleep apnea | |
KR101218036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snoring with an snoring relative seriousness of subject | |
JP2009542377A5 (en) | ||
CN101090746A (en) | Airway establishment appratus and stepless controller to be used therein | |
CN104981223A (en) | Oral appliance | |
IN2014DN10199A (en) | ||
KR101352200B1 (en) | Apparatus for Protruding Lower Jaw | |
KR102159365B1 (en) | Oral apparatus for snoring and sleep apnea | |
KR101481801B1 (en) | Orthopedic appliances for temporomandibular jiont and the wing spacer | |
KR101990318B1 (en) | Mitigation mechanisms for snoring and sleep bruxism of using anti-departure and jaw joint movement | |
KR20160127987A (en) | Dental impression bite tray | |
AU2017306852B2 (en) | Device and appliance for mandibular advancement and process for making a device for mandibular advancement | |
KR101374011B1 (en) | Apparatus for snoring prevention | |
JP2007325917A (en) | Mouthpiece | |
JP2016131822A (en) | Laryngopharynx endoscope | |
CN204542525U (en) | A kind of device alleviating sno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