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306A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306A
KR20130106306A KR1020130027921A KR20130027921A KR20130106306A KR 20130106306 A KR20130106306 A KR 20130106306A KR 1020130027921 A KR1020130027921 A KR 1020130027921A KR 20130027921 A KR20130027921 A KR 20130027921A KR 20130106306 A KR20130106306 A KR 20130106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ening
connector
contact
fp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4317B1 (en
Inventor
신지 이노우에
노리히로 아사오카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6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3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3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PURPOSE: A connector is provided to make a housing thereof laterally and longitudinally symmetric, thereby improving production efficiency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 CONSTITUTION: A connector includes a housing. The housing has a first opening (18, the front view (A) of the housing) and a second opening (19, the rear view (B) of the housing). The connecting part of a counterpart is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communicates with the first opening. One side of the housing is a front side (12), and the first opening is horizontally formed at the front side. Communicating holes formed at the housing, and are laterally and longitudinally symmetric based on a side (28) vertically passing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s, 이하, 간단히 「FPC」라 함.)이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이하, 간단히 「FFC」라 함.)이 접속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자동화된 커넥터의 조립공정에서의 하우징의 상하방향의 판별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생산효율을 높이고, 제조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to which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ereinafter referred to simply as "FPC") and a flexible flat cable (hereinafter referred to simply as "FFC") are connec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capable of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and suppressing manufacturing costs by omitting the step of discriminati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using in the automated connector assembly step.

최근, 전자기기의 진보에 의해, 휴대전화기를 비롯한 휴대단말기 등은 고성능화가 진행됨과 아울러, 소형화도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기기에 실장(實裝)되는 여러 가지의 전자부품 모듈이나 프린트 기판 사이를 접속하기 위해서, 평형(平型) 유연 케이블인 FPC나 FFC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FPC나 FFC가 접속되는 커넥터도 전자기기의 진보에 맞추어 실장시키는 전자기기 내에서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저배화(低背化 : 두께를 얇게 하는 것)가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progress of electronic devices, portable terminals and other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improved in performance and miniaturized. In order to connect between the various electronic component modules mounted on such an electronic device, or a printed circuit board, FPC and FFC which are flat flexible cables are used. In order to reduce the space in the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FPC or FFC connector is also moun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reduction of the thickness is progressing.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FPC가 삽발(揷拔 : 꽂고 빼기)되는 FPC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FPC용 커넥터에 의하면, FPC가 삽입되는 단말차입구(端末差入口)가 형성되고, 접촉대상물이 되는 프린트 기판에 얹어 놓이는 절연성의 소켓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소켓 하우징은 접촉대상물이 되는 프린트 기판에서의 실장 높이가 1.5㎜ 이하로 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Literature 1 below discloses an FPC connector in which an FPC is inserted and inserted. According to the FPC connecto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below, a terminal inlet for inserting an FPC is formed, and the socket housing is provided with an insulative socket housing mounted on a printed board to be a contact object. The mounting height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used as a contact object is 1.5 mm or less.

그리고, 하기 특허문헌 1의 FPC용 커넥터에서는 소켓 하우징 외에 프린트 기판에 용착(溶着)되는 복수의 접촉자와, 규제탭이 구비되어 있고, 이들 구성부품에 의해 FPC용 커넥터가 조립되어 있다. 현재, 커넥터의 조립은 자동화 기기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 조립은, 예를 들면, 하우징을 제조라인으로 흘리고, 이 흘러 온 하우징에 접촉자나 규제탭 등을 순차 조립하도록 행해진다.And in the FPC connector of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in addition to a socket housing, the several contactor weld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regulation tab are provided, and the FPC connector is assembled by these components. At present, assembly of a connector is often performed by an automated device. This assembly is performed to flow a housing to a manufacturing line, for example, and to assemble a contactor, a regulation tab, etc. sequentially in this flowed housing.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2004-213917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13917

이와 같이, 커넥터가 자동화 기기에 의해 조립되는 경우, 이 자동화 기기에는 기초가 되는 구성부품, 예를 들면 하우징을 그 방향이 일정한 상태에서 공급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 커넥터의 조립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하우징을 자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파트 피더(parts feeder)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 파트 피더에 하우징의 방향을 판별하는 기구나, 공통의 방향이 되도록 하기 위한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In this way, when the connector is assembled by the automation device, the automation device is required to supply the underlying components, for example, th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thereof is constant. In the connector assembly process, a parts feeder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 housing is generally used. A mechanism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or a mechanism for providing a common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part feeder. It is.

파트 피더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방향을 판별하거나, 공통의 방향으로 하거나 하는 경우, 하우징의 방향이 좌우 반대이면, 예를 들면 파트 피더에 막대 모양의 부재를 구비해 두고, 하우징에 이 막대 모양의 부재가 걸리도록 하는 구성을 마련해 둠으로써, 좌우의 반전(反轉)이 행해져, 올바른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FPC용 커넥터의 하우징으로 대표되는 많은 하우징의 형상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Whe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is determined using a part feeder or the common direction is used, if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is reversed from left to right, for example, the part feeder is provided with a rod-shaped member, and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rod-shaped member. By arranging the structure to be applied, the left and right inversion is performed and the correct direction can be achieved. This is because the shapes of many housings represented by the housing of the FPC connecto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re formed in left-right symmetry.

한편,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FPC용 커넥터의 하우징으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형상은 고의로 상하가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하우징의 상하방향의 판별을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상하방향이 비대칭으로 형성된 하우징은 조립공정에서 파트 피더를 이송 중에 하우징의 방향이 상하 반대라고 판별되었을 때, 한 번 라인으로부터 벗어나고, 재차, 파트 피더로 이송되어 상하방향의 판별이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하우징의 상하의 방향의 판별을 행하려면 시간이 걸리며, 다음의 조립공정에 하우징이 공급되는 양이 적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어, 결과적으로, 생산효율이 저하하고, 또, 생산 코스트가 높아져 버리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represented by the housing of the FPC connector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 1, the shape of the housing is deliberately formed upside down. This is to make it easy to discriminate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using. Thus, when the housing formed asymmetrically in the up-down direction is judged to be in the up-down direction during the conveyance of the part feeder in the assembling process, the housing is once departed from the line, and is transferred to the part feeder again to determine the up-down direction. For this reason, it takes time to determine the up-and-down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housing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housing supplied to the next assembling step is reduced. As a result,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It will ris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이 내포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하우징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인 면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대칭인 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수평인 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대칭인 형상으로 함으로써, 파트 피더에서의 상하의 판별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생산효율이 높아지며, 또, 제조비용이 억제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housing constituting the connector with a shap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vertical surfac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housing. In addition, by providing a horizontally symmetrical shape on the basis of the horizontal surface, it is possible to omit the step of discriminat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in the part feeder, to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to provide a connector with reduced manufacturing cos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커넥터는, 한쪽의 면에 끼워 맞춰지는 상대 측의 접속부가 삽입되는 폭 넓은 제1 개구와, 상기 한쪽의 면과 대향하는 다른 쪽의 면에 상기 제1 개구와 연통되는 제2 개구가 마련된 하우징을 가지는 커넥터로서,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connector of the 1st aspect of this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1st wide opening which the connection part of the partner side fitted in one surface is inserted, and the other surface which opposes the said one surface. A connector having a housing provided with a second open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opening,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한쪽의 면을 전면(前面)으로 하고, 상기 폭 넓은 제1 개구가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의 중심을 수직으로 지나는 면에 대해서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전면의 중심을 수평으로 지나는 면에 대해서 상하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one side of the housing is the front face and the wide first opening is arranged to be horizontal, the housing is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ace passing vertic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front face. 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up and down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surface passing horizont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또, 제2 형태의 커넥터는, 제1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가 연통되는 복수의 연통구멍이 마련되고,In the connector of the second aspect, in the connector of the first aspect,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in which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communicate.

상기 연통구멍에는 컨택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act is attached to the communication hole.

또, 제3 형태의 커넥터는, 제1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춰지는 상대 측은 FPC 혹은 FF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nector of the third aspect, the mating side of the connector of the first aspect is FPC or FFC.

또, 제4 형태의 커넥터는, 제1 ~ 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가 마련된 면 중 어느 한쪽의 면의 양단부에 한 쌍의 맞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부에는 보강탭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nector of the fourth aspect, in the connector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a pair of meshing portion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any one of the surfaces provided with the first opening or the second opening in the housing. And an reinforcing tab is attached to the engaging portion.

제1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은 상하 및 좌우의 구성이 외형뿐만 아니라 내부의 구조도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의 상대 측의 접속부가 삽입되는 폭 넓은 개구가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었을 때, 어느 쪽의 방향을 상하로 하여도 동일한 형상이 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하우징에 다른 부품을 장착하는 작업에 이르기까지 행해지는 하우징의 상하의 방향의 판별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의 효율을 올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 비해 단시간에 보다 많은 하우징을 다음의 공정으로 옮길 수 있게 되어, 제조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of the first aspect, the housings are symmetrically formed not only in appearance, but also in the internal structure,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 wide openings into which the connecting portion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using are inserted are arranged horizontally, Since the same shape is obtained even in either direction, the determination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housing, which is performed until the operation of attaching other components to the hous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nector, becomes unnecessary,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I can raise it. For this reason, more housings can be moved to the next process in a short time compared with the former, and manufactur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 제2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컨택트가 장착되는 하우징의 연통구멍도 상하 및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컨택트의 장착도 하우징의 상하의 방향에 관계없이 행할 수 있게 되어, 제조의 효율을 높이고,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connector, since the communication holes of the housing on which the contact is mounted are also form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symmetrically, mounting of the contact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housing,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 제3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FPC 혹은 FFC와 끼워 맞춰지는 범용성이 높은 커넥터를 얻을 수 있어, 설계의 폭을 넓힐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connector, a highly versatile connector fitted with an FPC or FFC can be obtained, and the width of the design can be widened.

또, 제4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가 기판 등과 실장될 때에 접합되는 보강탭이 장착될 때에, 이 보강탭이 장착되는 하우징의 맞물림부는 상하 및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강탭의 장착도 하우징의 상하의 방향에 관계없이 행할 수 있게 되어, 제조의 효율을 높이고,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of the fourth aspect, when the reinforcing tab to be joined when the connector is mounted on the board or the like is mounte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housing to which the reinforcing tab is mounted is formed in up-down and left-right symmetry. It is possible to perform irrespective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housing,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도 1의 (A)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의 한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1의 (B)는 다른 쪽으로부터 본 커넥터이다.
도 2의 (A)는 실시형태 1의 하우징의 한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다른 쪽으로부터 본 사시도하다.
도 3의 (A)는 하우징의 정면도이며, 도 3의 (B)는 배면도이다.
도 4의 (A)는 하우징의 상면도이며, 도 4의 (B)는 저면도이다.
도 5의 (A)는 하우징의 한쪽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도 5의 (B)는 다른 쪽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6의 (A)는 도 2의 (A)의 VIA-VIA선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6의 (B)는 도 2의 (A)의 VIB-VI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컨택트의 사시도이며, 도 7의 (B)는 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보강탭의 사시도이며, 도 8의 (B)는 측면도이다.
도 9의 (A)는 하우징에 컨택트를 장착하는 조립공정을 설명하는 도 6의 (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며, 도 9의 (B)는 하우징에 보강탭을 장착하는 조립공정을 설명하는 도 6의 (B)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실시형태 2의 하우징의 도 6의 (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며, 도 10의 (B)는 실시형태 2의 컨택트의 도 7의 (B)에 대응하는 측면도이고, 도 10의 (C)는 실시형태 2의 커넥터의 도 9의 (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one sid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Embodiment 1, and FIG. 1B is a connector seen from the other side.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of Embodiment 1, and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other side.
FIG. 3A is a front view of the housing, and FIG. 3B is a rear view.
FIG. 4A is a top view of the housing, and FIG. 4B is a bottom view.
FIG. 5A is a side view seen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and FIG. 5B is a side view seen from the other side.
FIG. 6: (A) is sectional drawing in the VIA-VIA line of FIG. 2A, and FIG. 6B is sectional drawing in the VIB-VIB line of FIG.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and FIG. 7B is a side view.
FIG. 8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inforcing tab, and FIG. 8B is a side view.
FIG. 9A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6A illustrating an assembling process for attaching a contact to a housing, and FIG. 9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ssembling process for mounting a reinforcing tab in a housing. It is sectional drawing corresponding to 6 (B).
FIG. 10A is a 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6A of the housing of Embodiment 2, FIG. 10B is a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7B of the contact of Embodiment 2, and FIG. FIG. 10C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9A of the connector of Embodiment 2.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커넥터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것에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형태인 것에도 동일하게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embodiment shown below illustrates the connector for incorporating the technical thought of this invention, and does not intend to specify this invention to this, but is also another embodiment contained in a claim. The same can be adapted.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 ~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10)는 FPC(도시생략)와 접속되는 것이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컨택트(30)와, 하우징(11)의 양측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보강탭(36)으로 구성되어 있다.With reference to FIGS. 1-9, the connec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he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nnected to an FPC (not shown), and as shown in FIG. 1, a housing 11 into which an FPC is inserted and connected, and a plurality of contacts mounted in the housing 11 ( 30 and a pair of reinforcing tabs 36 attach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housing 11.

그리고, 커넥터(10)는 복수의 컨택트(30)가 프린트 기판 등에 남땜 등으로 용착되어 실장되며, 하우징(11)에 FPC가 삽입되어 컨택트(30)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하우징(11)의 양단에 장착된 보강탭(36)도 프린트 기판 등과 용착되도록 하면, 컨택트(10)를 보다 강고하게 실장시킬 수 있다. 이하, 각 구성부품에 대해서 설명한다.In the connector 10, a plurality of contacts 30 are welded and mounted on a printed board or the like, and the FPC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1 to be connected to the contacts 30. At this time, if the reinforcing tab 36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housing 11 is also welded to a printed board or the like, the contact 10 can be mounted more firmly. Hereinafter, each component is demonstrated.

우선, 도 2,도 6을 참조하여 하우징(11)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우징(11)은 저배(低背 : 두께를 얇게 함)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12), 후면(13), 한쪽 또는 다른 쪽의 측면(14, 15), 상면(16) 및 저면(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12)에는 FPC가 삽입되는 부분이 되는 폭이 넓은 제1 개구(18)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12)과 대향하는 후면(13)에는 복수의 컨택트(30)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2 개구(19)가 형성되어 있다(도 3의 (B) 참조). 또, 전면(12)의 제1 개구(18)와 후면(13)의 제2 개구(19)가 연통되는 연통구멍(20)이 하우징(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First, the housing 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6. The housing 11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low thickness (低 背: thin thickness), and includes a front face 12, a rear face 13, one side or another side face 14 and 15, an upper face 16, and a bottom face. It consists of (17). The front surface 12 is formed with a wide first opening 18 to be a portion into which the FPC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agents into which a plurality of contacts 30 are inserted into the rear surface 13 facing the front surface 12. Two openings 19 are formed (see FIG. 3B). In addition, a communication hole 20 through which the first opening 18 of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second opening 19 of the rear surface 1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s formed in the housing 11.

하우징(11) 내에 형성된 연통구멍(20)에는 후면(13)에 형성된 복수의 제2 개구(19)에 대응하도록 격벽(21)이 하우징(11)의 내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컨택트(30)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획되어 있다. 또, 각 격벽(21)은 하우징의 후면(13)으로부터 전면(12)의 약간 내측까지 형성되고, 그 중앙부는 FPC를 삽입할 수 있는 접속홈(22)이 제1 개구(18)의 가로 폭에 따라서 각각의 격벽(21)의 하우징(11)의 중앙과 후면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도 6의 (A) 참조).In the communication hole 20 formed in the housing 11, partition walls 21 are formed in the housing 11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19 formed in the rear surface 13, and the plurality of contacts 30 are formed. It is compartmentd for mounting. Further, each partition wall 21 is formed from the rear surface 13 of the housing to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urface 12 slightly, and the center portion thereof has a connecting groove 22 into which the FPC can be inserted. It is formed between the cente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1 of each partition wall 21 (refer FIG. 6 (A)).

또, 연통구멍(20)에는 컨택트(30)가 장착되는 컨택트 유지부(24)가 마련되어 있다. 컨택트 유지부는 후면(13) 측의 각 격벽(21) 및 접속홈(22)이 형성된 각 격벽(21)의 상부 및 하부의 일부에 의해, 컨택트(30)가 유지되게 된다. 또한, 전면(12)에 마련된 제1 개구(18)는 삽입되는 FPC의 가로 폭 및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며, 연통구멍(20)의 높이 방향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개구(18)의 입구는 FPC가 삽입하기 쉽게 테이퍼(23)가 제1 개구(18)의 가로방향의 폭을 따라서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hole 20 is provided with a contact holding part 24 to which the contact 30 is mounted. The contact holding part maintains the contact 30 by a part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each partition wall 21 in which the partition wall 21 and the connection groove 22 in the back side 13 were formed. Moreover, the 1st opening 18 provided in the front surface 12 is formed in the width | variety width and thickness of the FPC inserted, and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 variety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2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inlet of the first opening 18 has a taper 23 formed up and down along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 18 so that the FPC can be inserted easily.

또, 하우징(11)의 상면(16) 및 저면(17)은 하우징(11)이 저배의 직방체 형상이기 때문에, 표면적이 가장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 한쪽 또는 다른 쪽의 측면(14, 15)에는 후술하는 보강탭(36)이 장착되는 맞물림부(25)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맞물림부(25)는 하우징(11)의 전면(12)의 제1 개구(18)의 양단에 형성되고, 하우징(11)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슬릿 모양의 맞물림 홈(26)이 하우징(11)의 대략 중앙부 부근까지 형성되고, 이들 맞물림 홈(26)의 중심에는 맞물림 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16 and the lower surface 17 of the housing 11 have the largest surface area because the housing 11 has a 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Moreover, the engaging part 25 to which the reinforcement tab 36 mentioned later is mounted is provided in one or the other side surface 14 and 15, respectively. The engagement portion 25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opening 18 of the front surface 12 of the housing 11, and the slit-shaped engagement groove 26 formed 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1 is provided with the housing 11. ) Is formed to approximately the center portion, and the engaging projection 27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se engaging grooves 26.

그리고, 실시형태 1의 하우징(11)은 저면(17)을 아래로 하여 배치되었을 때, 전면(12)의 중심을 수직으로 지나는 면(28)에 대해서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전면(12)의 중심을 수평으로 지나는 면(29)에 대해서 상하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 ~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1)은 수직 및 수평의 각 면(28, 29)에 대해서, 상면(16)과 저면(17)은 동일한 형상으로 상하 및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도 3 및 도 5 참조), 또, 한쪽의 측면(14)과 다른 쪽의 측면(15)도 동일한 형상으로 상하 및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며, 보강탭(36)이 장착되는 한 쌍의 맞물림부(25)도 상하 및 좌우로 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하우징(11) 내부의 형상도 상하 및 좌우대칭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개구(18), 제2 개구(19) 및 연통구멍(20), 또한 연통구멍(20)에 형성되는 컨택트 유지부(24)의 각 형상도 상하 및 좌우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6 참조).In addition, when the housing 11 of Embodiment 1 is arrange | positioned with the bottom face 17 down, it is comprised by the left-righ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surface 28 which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12 perpendicularly, It consists of up-down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surface 29 which horizontally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12).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S. 3-6, the housing 11 has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left-right symmetry with the same shape with respect to each surface 28 and 29 of a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3 and 5, and one side surface 14 and the other side surface 15 are also formed in the same shape up and down, left and right symmetrical, the reinforcing tab 36 is a pair The engaging portion 25 is also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ee FIGS. 3 and 4).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1 is also formed in the same shape up-down and left-right symmetrically, and is formed in the 1st opening 18, the 2nd opening 19, and the communication hole 20, and also the communication hole 20. FIG. Each shape of the contact holding part 24 used is also formed symmetrically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refer FIG. 3 and FIG. 6).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컨택트(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컨택트(30)는 소정 두께의 판상체로 형성되어 있고, 컨택트 본체(31)와, 이 컨택트 본체(31)의 위쪽 및 아래쪽으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되어 양다리로 형성된 접촉부(32)와, 컨택트 본체(31)의 접촉부(32)와 반대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3)와, 이 돌출부(33)의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마련되어 프린트 기판과 납땜 등으로 용착되는 고정부(35)로 구성되어 있다.Next, the contact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The contact 30 is formed of the plate-shaped body of predetermined thickness, the contact body 31, the contact part 32 formed in both legs,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is contact body 31, and the contact body 31 The projection part 33 which protruded to the opposite side to the contact part 32 of this, and the fixing part 35 which extends below this projection part 33, and is welded by a printed board, solder, etc. are comprised.

접촉부(32)는 양다리로 형성된 접촉부(32a, 32b)의 내측에 FPC가 삽입되었을 때, 상하의 접촉부(32a, 32b)에 의해 FPC가 끼워 지지되게 된다. 이 때, 양다리의 접촉부(32a, 32b)의 틈새는 FPC의 두께보다 약간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FPC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하의 접촉부(32a, 32b)가 확대되며, 이 때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FPC가 끼워 지지되게 된다.When the FPC is inserted into the contact portions 32a and 32b formed with both legs, the contact portion 32 is fitted with the FPC by the upper and lower contact portions 32a and 32b. At this time, the gap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32a and 32b of both legs is formed to be slightly narr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PC. When the FPC is inserted, the upper and lower contact portions 32a and 32b are enlarged, and the FPC is inserted by the elastic force generated at this time. Will be supported.

고정부(35)는 컨택트 본체(31)의 접촉부(32)의 반대 측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33)의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마련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35)가, 커넥터(10)가 프린트 기판에 실장되었을 때, 프린트 기판과 납땜 등으로 용착되어 고정됨과 아울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이 된다.The fixing part 35 is formed by extending downward of the protruding part 33 which protrudes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contact part 32 of the contact main body 31, and is formed. When the connector 10 is mounted on the printed board, the fixing portion 35 is welded and fixed by soldering or the like to the printed board, and becomes a par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또, 컨택트 본체(31)의 상부에는 돌기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컨택트(30)가 하우징(11)에 삽입되었을 때, 이 돌기부(34)가 하우징(11)에 압입(壓入)됨으로써, 컨택트(30)가 하우징(11)에 위치결정 및 고정되어 장착되게 된다.Moreover, the protrusion part 34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ntact main body 31, When the contact 3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1, this protrusion part 34 press-fits into the housing 11, The contact 30 is positioned and fixed to the housing 11 to be mounted.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보강탭(36)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강탭(36)은 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상체로 형성된 보강탭 본체(37)와, 이 보강탭 본체(37)의 한쪽의 측면으로부터 대략 중앙부까지 오목 모양으로 형성된 감입부(嵌入部)(38)와, 이 감입부(38)의 상하에 마련된 한 쌍의 협지부(狹持部)(39)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측의 협지부(39a)의 감입부(38) 측에는 돌기(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하측의 협지부(39b) 및 보강탭 본체(37)의 하측에는 소정의 길이 연장하여 마련된 고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감입부(38)는 하우징(11)의 맞물림부(25)의 맞물림 돌기(27)와 끼워 맞춰지는 부분이며, 또, 한 쌍의 협지부(39a, 39b)는 하우징(11)의 맞물림부(25)의 맞물림 돌기(27)가 끼워 지지되는 부분이 된다.Next, the reinforcement tab 36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The reinforcing tab 36 is a reinforcing tab main body 37 formed of a plate-like body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 recess 38 formed in a concave shape from one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tab main body 37 to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And a pair of clamping portions 39 provided above and below the fitting portion 38. Moreover, the projection 40 is formed in the indentation part 38 side of the upper gripping part 39a, and the predetermined length is extend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gripping part 39b and the reinforcement tab main body 37, and is provided. The fixing part 41 is formed. Moreover, the fitting part 38 is a part fitted with the engaging protrusion 27 of the engaging part 25 of the housing 11, and the pair of clamping parts 39a and 39b are engaging with the housing 11, respectively. The engagement protrusion 27 of the part 25 becomes a part which is supported.

다음에, 주로 도 1 및 도 9를 참조하여 커넥터(10)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의 커넥터(10)는 몰드성형이나 압연(壓延)펀칭가공에 의해 형성된 각 부품이 생산라인에 배치되며, 자동화 기기에 의해서 조립이 행해진다.Next, assembling of the connector 10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9. The connector 10 of Embodiment 1 arrange | positions each component formed by mold shaping | molding or a rolling punching process in a production line, and an assembly is performed by an automated machine.

우선, 하우징(11)에 컨택트(30) 및 보강탭(36)을 장착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하우징(11)이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된다. 이 때, 하우징(11)은 파트 피더에 공급되어 이송라인이 이송되고, 이 이송 중에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다음의 공정으로 진행되게 된다. 이 때, 실시형태 1의 하우징(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12)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수직 및 수평의 면(28, 29)에 대해서, 상하 및 좌우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11)은 상하의 구조가 반대로 되어 있어도 동일한 형상이 되기 때문에, 파트 피더에 의한 상하의 판별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 종래와 같이, 상하가 반대로 이송된 하우징에 대해서, 라인으로부터 벗어나 재차 파트 피더로 공급하여 상하의 판별을 재차 행하는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First, in order to mount the contact 30 and the reinforcement tab 36 in the housing 11, the plurality of housings 11 are aligned in the same direction. At this time, the housing 11 is supplied to the part feeder and the conveying line is conveyed, and the conveying line is alig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during the conveying to proceed to the next process. At this time, the housing 11 of Embodiment 1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urfaces 28 and 29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12 as mentioned above. For this reason, since the housing 11 becomes the same shape even if the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is reversed, it is not necessary to discriminate the upper and lower sides by the part feeder. There is no need for the step of supplying the feeder again to determine the top and bottom.

또, 하우징(11)의 좌우의 판별에 대해서는 하우징(11)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할 필요가 없고, 또, 전후의 판별만 종래와 같이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시간당에 하우징(11)을 다음의 공정으로 내보낼 수 있는 양이 증가하고, 생산효율이 향상하며, 또, 제조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using 11 is formed in left-righ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right-and-left discrimination of the housing 11, it does not need to carry out, and only the front and back determination can be performed only by rotating horizontally like conventionally. Therefore, the quantity which can export the housing 11 to a next process per unit time increases, production efficiency improves,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suppressed.

다음에, 하우징(11)은 컨택트(30)를 장착하는 공정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컨택트(30)가 하우징(11)의 후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개구(19)로부터 컨택트(30)가 양다리로 형성된 접촉부(32)로부터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 때, 컨택트(30)는 세로방향이 되도록 삽입되고, 컨택트(30)에 형성된 양다리의 상하의 접촉부(32a, 32b)가 하우징(11)의 연통구멍(20)에 형성된 컨택트 유지부(24)를 따라서 삽입되며, 또한 컨택트 본체(31)의 상부의 접촉부(32a)에 형성된 돌기(40)가 하우징(11) 내에 압입됨으로써 컨택트(30)의 장착이 완료한다. 이 컨택트 유지부(24) 및 돌기(40)에 의해, 컨택트(30)가 하우징(11)으로부터의 빠짐방지(retaining)됨과 아울러, 위치결정되게 된다. 또, 컨택트(30)가 장착되는 방향은 컨택트(30)에 형성된 고정부(35)가 하측이 되게 된다(도 9의 (A) 참조).Next, the housing 11 is transferred to the process of mounting the contact 30. Then, the contact 30 is inserted and mounted from the contact portion 32 formed with both legs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19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1. At this time, the contact 30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tact holding portions 24 formed at the communication holes 20 of the housing 11 have upper and lower contact portions 32a and 32b of both legs formed in the contact 30. Accordingly, the projection 4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1 by inserting the projection 40 formed at the contact portion 32a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ct body 31 to complete the mounting of the contact 30. By this contact holding part 24 and the protrusion 40, the contact 30 is retained from the housing 11, and is positioned. In addi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30 is mounted, the fixing part 35 formed in the contact 30 becomes the lower side (see FIG. 9A).

다음에, 하우징(11)은 보강탭(36)을 장착하는 공정으로 이송된다. 보강탭(36)은 하우징(11)의 한쪽 및 다른 쪽의 측면(14, 15)에 형성된 맞물림부(25)에 장착된다. 이 장착은 보강탭(36)의 감입부(38)를 하우징(11)의 맞물림부(25)의 맞물림 돌기(27)에 끼워 넣게 하고, 이 맞물림 돌기(27)를 보강탭(36)의 협지부(39)가 끼워 지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 상하의 협지부(39a, 39b)에 의해 하우징(11)의 맞물림부(25)에 마련된 맞물림 홈(26)이 맞물린다. 또, 보강탭(36)의 상측의 협지부(39a)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40)가 하우징(11)의 맞물림 돌기(27)에 압입됨으로써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보강탭(36)이 장착되는 방향은 보강탭(36)의 하측의 협지부(39b) 및 보강탭 본체(37)의 하측에 형성된 고착부(41)가 하측이 되게 된다(도 9의 (B) 참조). 이상으로, 커넥터(10)의 조립이 완료한다.Next, the housing 11 is transferred to the process of mounting the reinforcement tab 36. The reinforcement tab 36 is mounted to the engaging portion 25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14, 15 of the housing 11. This mounting causes the fitting portion 38 of the reinforcing tab 36 to fit into the engaging projection 27 of the engaging portion 25 of the housing 11, and the engaging projection 27 is narrowed by the reinforcing tab 36. It is performed by the branch part 39 being clamped. At this time, the engaging groove 26 provided in the engaging portion 25 of the housing 11 is engaged by the upper and lower clamping portions 39a and 39b. Moreover, the projection 40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lamping part 39a of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ement tab 36 is fixed by press-fitting into the engagement projection 27 of the housing 11. In addi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inforcing tab 36 is mounted, the clamping portion 41b formed below the reinforcing tab 36 and the fixing portion 41 formed below the reinforcing tab body 37 become the lower side (Fig. 9). (B)). This completes the assembly of the connector 10.

또한, 실시형태 1의 커넥터에서는 커넥터에 FPC가 접속되었을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FFC 등과 접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Moreover, although the case where FPC was connected to the connector was demonstrated in the connector of Embodiment 1, it is not limited to this, It can also be made to connect with FFC etc .. FIG.

[실시형태 2][Embodiment 2]

실시형태 1의 커넥터에서는 상대 측에 FPC나 FFC가 접속되기 위해서, 양다리로 형성된 접촉부를 가지는 컨택트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가지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실시형태 2의 커넥터에서는 막대 모양의 접촉부를 가지는 컨택트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가지는 경우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 의해 상대 측은 FPC나 FFC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용 커넥터나 전선용 커넥터와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또한, 실시형태 2의 커넥터는 실시형태 1의 커넥터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in order to connect the FPC and the FFC to the opposite side, the case in which the housing is formed so as to mount a contact having a contact portion formed on both legs has been described. A case of having a housing formed to mount a contact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Embodiment 2, the counterpart side shows the Example which can be connected not only to FPC and FFC but also to a board | substrate connector or an electric wire connector. In addition, the connector of Embodiment 2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to the part common to the connector of Embodiment 1, and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실시형태 2의 커넥터(10A)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측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하우징(11A)과, 하우징(11A)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컨택트(30A)와, 하우징(11A)의 양측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보강탭(36)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connector 10A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1A to which a mating connector (not shown) is inserted and connected, a plurality of contacts 30A mounted in the housing 11A, It consists of a pair of reinforcement tabs 36 attached to the both ends of the housing 11A.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1A)은 저배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12A)에는 상대 측의 컨택트가 삽입되는 부분이 되는 폭이 넓은 제1 개구(18A)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12A)과 대향하는 후면(13A)에는 복수의 컨택트(30A)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2 개구(19A)가 형성되어 있다(도 3의 (B) 참조). 또, 전면(12A)의 제1 개구(18A)와 후면(13A)의 제2 개구(19A)가 연통되는 연통구멍(20A)이 하우징(11A)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A, the housing 11A is formed in a 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wide first opening 18A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12A to be a portion into which a contact on the opposite side is inserted.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19A into which the plurality of contacts 30A are inserted are formed in the rear surface 13A facing the front surface 12A (see FIG. 3B). In addition, a communication hole 20A in which the first opening 18A of the front surface 12A and the second opening 19A of the rear surface 13A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11A.

하우징(11A) 내에 형성된 연통구멍(20A)에는 후면(13A)에 형성된 복수의 제2 개구(19A)에 대응하도록 격벽(21A)이 하우징(11A)의 내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컨택트(30A)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획되어 있다. 또, 연통구멍(20A)에는 컨택트(30A)가 장착되는 컨택트 유지부(24A)가 마련되어 있다.In the communication hole 20A formed in the housing 11A, a partition 21A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11A so as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19A formed in the rear surface 13A, and the plurality of contacts 30A. It is compartmentd for mounting. Moreover, the contact holding part 24A to which the contact 30A is attached is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hole 20A.

또한, 하우징(11A)의 한쪽 또는 다른 쪽의 측면에는 보강탭(36)이 장착되는 맞물림부(25)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은 실시형태 1의 하우징(11)과 공통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engagement part 25 to which the reinforcement tab 36 is attached is provided in one side or the other side surface of 11 A of housings, it is common to the housing 11 of Embodiment 1,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그리고, 실시형태 2의 하우징(11A)은, 실시형태 1의 하우징(11)과 마찬가지로, 저면(17A)을 아래로 하여 배치되었을 때, 전면(12A)의 중심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면(28)에 대해서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도 3 참조), 전면(12A)의 중심을 수평으로 지나는 면(29)에 대해서 상하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실시형태 2의 하우징에 대해서도 실시형태 1의 하우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nd the housing 11A of Embodiment 2 is the surface 28 which passes vertic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12A, when the bottom surface 17A is arrange | positioned similarly to the housing 11 of Embodiment 1, and is arranged. It is comprised by the left-right symmetry with respect to (refer FIG. 3), and is comprised by the up-down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surface 29 which horizontally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12 A of front surfaces. By doing in this way, the effect of the housing of Embodiment 1 can also be acquired also about the housing of Embodiment 2.

다음에,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30A)는 소정 두께의 판상체로 형성되어 있고, 컨택트 본체(31A)와, 이 컨택트 본체(31A)의 대략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막대 모양의 접촉부(32A)와, 컨택트 본체(31A)의 접촉부(32A)와 반대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3)와, 이 돌출부(33)의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마련되어 프린트 기판과 납땜 등으로 용착되는 고정부(35)로 구성되어 있다.Next, as shown in FIG. 10B, the contact 30A is formed of a plate-shaped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provided with a contact body 31A extending from the substantially center portion of the contact body 31A. A contact portion 32A having a shape, a protrusion 33 protruding to the opposite side to the contact portion 32A of the contact body 31A, and a fixing portion which extends below the protrusion 33 and is welded by a printed board, solder or the like. It consists of 35.

접촉부(32A)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대 측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때, 상대 측의 컨택트와 접촉부(32A)가 접촉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35), 돌기부(34)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의 컨택트(30)와 공통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형태 2의 보강탭도 실시형태 1의 보강탭(36)과 공통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tact portion 32A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when the mating connector is inserted, the contact on the mating sid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32A.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part 35 and the protrusion part 34 are common with the contact 30 of Embodiment 1,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ement tab of Embodiment 2 is also common with the reinforcement tab 36 of Embodiment 1,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그리고, 실시형태 2의 커넥터(10A)의 조립은 실시형태 1의 커넥터와 동일한 조립공정에 의해서 행할 수 있으며(도 10의 (C) 참조), 실시형태 1의 커넥터(10)의 조립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nd the assembly of the connector 10A of Embodiment 2 can be performed by the same assembly process as the connector of Embodiment 1 (refer FIG. 10 (C)), and the same effect as the assembly of the connector 10 of Embodiment 1 is carried out. Can be obtained.

또한, 실시형태 2에서는 접촉부(32A)를 막대 모양으로 형성했지만, 접촉부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대 측에 따라 변경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tact part 32A was formed in rod shape in Embodiment 2, the shape of a contact part is not limited to this, You may change according to a partner side.

또, 실시형태 1, 2의 하우징의 형상은 상기의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상하 및 좌우가 대칭인 구성을 가지고 있으면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housing of Embodiment 1, 2 is not limited to said shape,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which is symmetrical in upper and lower sides, it can be formed in arbitrary shapes.

또, 실시형태 1, 2의 컨택트는 모두 동일한 크기가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길이가 긴 컨택트와 길이가 짧은 컨택트를 준비하고, 이들을 교호(交互)로 하우징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커넥터에 FPC 등이 접속되었을 때, 교호로 배열된 컨택트의 협지부가 엇갈리게 FPC 등을 끼워 지지하기 때문에, 높은 유지력을 얻을 수 있어서 안정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acts of Embodiments 1 and 2 may not all be the same size. For example, a long contact and a short contact may be prepared, and these may be alternately mounted in the housing. By doing in this way, when FPC etc. are connected to a connector, since the clamping part of the contact arrange | positioned alternately will hold | pin FPC etc., high holding force can be obtained and a stable connection is attained.

10, 10A : 커넥터 11, 11A : 하우징
12, 12A : 전면 13, 13A : 후면
14 : 한쪽의 측면 15 : 다른 쪽의 측면
16 : 상면 17, 17A : 저면
18, 18A : 제1 개구 19, 19A : 제2 개구
20, 20A : 연통구멍 21, 21A : 격벽
22 : 접속홈 23 : 테이퍼
24, 24A : 컨택트 유지부 25 : 맞물림부
26 : 맞물림 홈 27 : 맞물림 돌기
28 : 수직의 면 29 : 수평의 면
30, 30A : 컨택트 31, 31A : 컨택트 본체
32, 32A : 접촉부 33 : 돌출부
34 : 돌기부 35 : 고정부
36 : 보강탭 37 : 보강탭 본체
38 : 감입부 39 : 협지부
40 : 돌기 41 : 고착부
10, 10A: connector 11, 11A: housing
12, 12A: front 13, 13A: rear
14: side of one side 15: side of the other side
16: top 17, 17A: bottom
18, 18A: first opening 19, 19A: second opening
20, 20A: communication hole 21, 21A: bulkhead
22: connection groove 23: taper
24, 24A: contact holding portion 25: engaging portion
26: meshing groove 27: meshing projection
28: vertical plane 29: horizontal plane
30, 30A: contact 31, 31A: contact body
32, 32A: contact part 33: protrusion part
34: projection part 35: fixed part
36: reinforcement tab 37: reinforcement tab body
38: indentation part 39: narrowing part
40: protrusion 41: fastening part

Claims (4)

한쪽의 면에 끼워 맞춰지는 상대 측의 접속부가 삽입되는 제1 개구와, 상기 한쪽의 면과 대향하는 다른 쪽의 면에 상기 제1 개구와 연통되는 제2 개구가 마련된 하우징을 가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한쪽의 면을 전면(前面)으로 하고, 상기 제1 개구가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의 중심을 수직으로 지나는 면에 대해서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전면의 중심을 수평으로 지나는 면에 대해서 상하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 connector having a housing provided with a first opening into which a connecting portion of a mating side fitted to one surface is inserted, and a second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pening on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one surface,
When the said one surface of the said housing is made into the front surface, and when the said 1st opening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said 1st opening may be horizontal, the said housing may be comprised by right and lef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surface which perpendicularly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aid front surface, And a connector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surface passing horizont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가 연통되는 복수의 연통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연통구멍에는 컨택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for communicating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nd a contact is attached to the communication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춰지는 상대 측은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 혹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ting side to be fitted i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flat cable.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가 마련된 면 중 어느 한쪽의 면의 양단부에 한 쌍의 맞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부에는 보강탭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pair of engaging portions at both ends of either surface of the surface provided with the first opening or the second opening,
And the reinforcing tab is mounted on the engaging portion.
KR1020130027921A 2012-03-19 2013-03-15 Connector KR10203431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62252 2012-03-19
JP2012062252A JP2013196892A (en) 2012-03-19 2012-03-19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306A true KR20130106306A (en) 2013-09-27
KR102034317B1 KR102034317B1 (en) 2019-10-18

Family

ID=49194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921A KR102034317B1 (en) 2012-03-19 2013-03-15 Connec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196892A (en)
KR (1) KR102034317B1 (en)
CN (1) CN103326160B (en)
TW (1) TWI565150B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367U (en) * 1993-12-17 1995-07-04 ティアック株式会社 connector
JP2001223046A (en) * 2000-02-10 2001-08-1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Connector for flat wiring materials
JP2002334734A (en) * 2001-05-07 2002-11-22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Connecting end structure of flat cable
JP2004213917A (en) 2002-12-27 2004-07-29 Jst Mfg Co Ltd Connector for fpc
JP2008066245A (en) * 2006-09-11 2008-03-21 Molex Inc Relay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2915B1 (en) * 2002-12-30 2004-04-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circuit boards to flat flexible cables
JP2005294163A (en) * 2004-04-02 2005-10-20 Jst Mfg Co Ltd Electric connector with reinforcement tab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367U (en) * 1993-12-17 1995-07-04 ティアック株式会社 connector
JP2001223046A (en) * 2000-02-10 2001-08-1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Connector for flat wiring materials
JP2002334734A (en) * 2001-05-07 2002-11-22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Connecting end structure of flat cable
JP2004213917A (en) 2002-12-27 2004-07-29 Jst Mfg Co Ltd Connector for fpc
JP2008066245A (en) * 2006-09-11 2008-03-21 Molex Inc Relay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26160A (en) 2013-09-25
CN103326160B (en) 2017-03-22
TWI565150B (en) 2017-01-01
KR102034317B1 (en) 2019-10-18
TW201351797A (en) 2013-12-16
JP2013196892A (en)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1251B2 (en) connector
JP5946804B2 (en) connector
KR101232437B1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241686B1 (en) Board-to-board connector
US11095059B2 (en) Connector
JP5912632B2 (en) connector
JP2017079214A (en) connector
JP5859938B2 (en) Receptacle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425324B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CN111934110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JP2014191882A (en) Electric connector
US10707619B2 (en) Movable connector
US6702619B2 (en) Horizontal electric connector
CN110233373B (en) Connector component
KR20130109804A (en) Connector construction for pcb mounting
JP6069541B2 (en) connector
KR102034317B1 (en) Connector
WO2015072153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with same
JP2019033035A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US9831620B2 (en) Modular jack connector and terminal module
JP5271314B2 (en) Surface mount connection terminals
EP2750253A1 (en) Connector
JP2008171627A (en) Female terminal fitting
JP2005340024A (en) Base plate mounting type electric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