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116A - 자세교정의자 - Google Patents

자세교정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116A
KR20130106116A KR1020120027766A KR20120027766A KR20130106116A KR 20130106116 A KR20130106116 A KR 20130106116A KR 1020120027766 A KR1020120027766 A KR 1020120027766A KR 20120027766 A KR20120027766 A KR 20120027766A KR 20130106116 A KR20130106116 A KR 20130106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frame
chest
seat plat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청미
Original Assignee
손청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청미 filed Critical 손청미
Priority to KR1020120027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6116A/ko
Publication of KR20130106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47C9/005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with forwardly inclined seat, e.g. with a knee-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을 지지하며 중앙에 수직지지봉(20)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다리(10)와, 이 다리(10)의 수직지지봉(20)의 상단에 구비되어 착석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판(30)과, 상기 다리(10) 또는 수직지지봉(20)에서 좌판(30)의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40)과, 이 지지프레임(40)의 상단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가슴을 받쳐주는 가슴받침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슴받침대(50)는 하면이 상기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되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플레이트(51)와, 상기 수평플레이트(51)에서 상향 돌출된 경질의 고정지지부(52)와, 착석자의 가슴과 접하도록 상기 고정지지부(52)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51)에서 상향 돌출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단부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탄성회동부(56)와, 이 탄성회동부(56)와 고정지지부(52) 사이에 게재되어 탄성회동부(56)의 회동에 따라 탄성가압되는 탄성스프링(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세교정의자{A chair for correcting a posture}
본 발명은 자세교정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업무 등을 위해 앉은 상태에서 상체가 앞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시켜 장시간 앉아있어도 편안하고 척추건강에도 도움을 주는 자세교정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과, 좌판을 지지하는 지지다리와,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등받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의자는 사무실이나 도서관 등에 비치되어, 학생이나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은 오랜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게 된다.
이러한 사람들 대부분은 의자의 등받이에 기대어 앉기도 하지만, 사무실에서 컴퓨터를 사용할 때에는 상체가 앞으로 쏠린 상태로 앉아있게 된다. 그런데, 상체가 앞으로 쏠린 상태를 오랜 시간 유지하게 되면 모든 하중이 허리에 집중됨으로써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자세가 올바르지 않아 척추측만증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종래의 의자는 사용자의 허리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가 사용자를 뒤에서만 지지할 뿐 사용자가 앞으로 쏠린 상태에서는 지지를 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실제 대다수의 사람들은 상체가 앞으로 쏠린 상태로 의자에 앉아 있는 경우가 많고, 영화를 보거나 인터넷 등을 이용하게 되면 이와 같은 자세가 오랜 시간 지속되어 신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등 많은 문제가 야기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427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가슴을 좀 더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받쳐주어 상체가 앞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올바른 자세를 유지시켜 장시간 앉아있어도 편안하고 척추건강에도 도움을 주는 자세교정의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바닥면을 지지하며 중앙에 수직지지봉(20)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다리(10)와, 이 다리(10)의 수직지지봉(20)의 상단에 구비되어 착석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판(30)과, 상기 다리(10) 또는 수직지지봉(20)에서 좌판(30)의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40)과, 이 지지프레임(40)의 상단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가슴을 받쳐주는 가슴받침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슴받침대(50)는 하면이 상기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되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플레이트(51)와, 상기 수평플레이트(51)에서 상향 돌출된 경질의 고정지지부(52)와, 착석자의 가슴과 접하도록 상기 고정지지부(52)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51)에서 상향 돌출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단부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탄성회동부(56)와, 이 탄성회동부(56)와 고정지지부(52) 사이에 게재되어 탄성회동부(56)의 회동에 따라 탄성가압되는 탄성스프링(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의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40)은 다리(10)의 수직지지봉(20)에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직지지봉(20)이 승강됨에 따라 좌판(30)과 가슴받침대(50)가 동시에 승강되어 좌판(30)과 가슴받침대(50)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의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수직지지봉(20)에서 니은자 형상으로 절곡된 제1지지프레임(41)과, 하단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수평플레이트(51)가 결합된 제2지지프레임(44)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44)을 제1지지프레임(41)에서 승강된 상태로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의자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슴받침대(50)의 탄성회동가압부(56)가 탄성스프링(58)에 의해 탄성지지되면서 회동되어 탄성회동가압부(56)의 회동각도가 다양하게 변화되므로, 체형이나 상체를 앞으로 숙이는 습관이 제각각인 착석자들의 가슴을 좀 더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상체가 앞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되어 자세가 교정되므로, 장시간 앉아있더라도 편안하고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슴받침대(50)가 장착된 지지프레임(40)이 다리(10)에서 승강되는 승강지지봉(20)에 구비되므로, 승강지지봉(20)의 승강에 따라 좌판(30)과 가슴받침대(50)가 동시에 승강되어 좌판(30)과 가슴받침대(50)간의 간격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대부분 표준체형의 착석자들은 좌판(30)의 승강과 별도로 가슴받침대(50)를 승강시킬 필요가 없어서 매우 편리하다. 한편, 표준체형을 벗어나는 착석자의 경우 가슴받침대(50)만을 별도로 승강시키도록 구성하여, 체형에 맞게 가슴받침대(50)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자세교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의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좌판 및 가슴받침대의 높이조절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상기 실시예 중 가슴받침대의 내부구성 및 작동을 보인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의자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4는 상기 실시예 중 좌판과 가슴받침대의 높이조절의 작동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상기 실시예 중 가슴받침대의 내부구성 및 작동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의자는 바닥면을 지지하며 중앙에 수직지지봉(20)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다리(10)와, 이 다리(10)의 수직지지봉(20)의 상단에 구비되어 착석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판(30)과, 상기 수직지지봉(20)에서 좌판(30)의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40)과, 이 지지프레임(40)의 상단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가슴을 받쳐주는 가슴받침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리(10)는 중앙의 수직부(11)의 하단에서 복수개의 지지발(12)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형상이며 지지발(12)의 단부에 바퀴(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1)에는 좌판(30)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봉(20)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좌판(30)은 수직지지봉(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한다. 좌판(30)의 후단에는 약간 상향절곡된 이탈방지턱(31)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둔부의 이탈을 막는다. 좌판(30)의 하단에는 수직지지봉(20)을 승강시키는 조작레버(3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40)은 니은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일단이 수직지지봉(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지지프레임(41)과, 기역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하단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제2지지프레임(44)과, 제2지지프레임(44)을 제1지지프레임(41)에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9)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직지지봉(20)의 상단에는 링형상의 설치브래킷(21)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의 하단에는 수직지지봉(20)의 설치브래킷(2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링체(42)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링체(42)가 설치브래킷(21)의 외주면에서 슬립되어, 제1지지프레임(41)이 수직지지봉(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한편, 설치브래킷(21)의 하단에 스냅링(22)이 설치되어 링체(42)가 설치브래킷(2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44)은 수직프레임부(45)와 수평프레임부(48)로 구성되고, 수평프레임부(48)는 착석자의 가슴높이 정도에 위치되며 수직프레임부(45)에는 중공부(46)가 형성된다. 제2지지프레임(44)은 파이프를 절곡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제1지지프레임(41)의 상향된 타단에는 제2지지프레임(44)의 중공부(46)로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축경된 연장부(43)가 구비된다. 제2지지프레임(44)의 하단부에는 중공부(46)와 연통되는 통공(47)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49)은 통공(47)에 삽입되는 핀 형상이며 후단에 손잡이가 구비된다. 이때, 제1지지프레임(41)의 연장부(43)에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삽입공(43a)이 소정간격 이격 형성된다. 제2지지프레임(44)의 수직프레임부(45)를 제1지지프레임(41)의 연장부(43)를 따라 슬라이드시킨 후 고정수단(49)을 통공(47)을 통해 삽입공(43a)에 삽입시켜, 착석자는 제2지지프레임(44)의 높이를 자신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슴받침대(50)는 도 5a에서와 같이 수평플레이트(51), 고정지지부(52), 탄성회동부(56) 및 탄성스프링(58)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플레이트(51)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그 하면이 제2지지프레임(44)의 수평프레임부(48)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슴받침대(50)의 높이조절은 제2지지프레임(44)을 제1지지프레임(41)에서 승강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지지부(52)는 착석자의 가슴이 직접 닿지 않는 부분으로 경질로 이루어지며, 수평플레이트(51)의 상면을 따라 연장된 수평지지판(53)과, 이 수평지지판(53)의 중앙부에서 상향 돌출된 수직지지판(5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지지부(52)는 경질로 이루어져서 수평플레이트(51)에 볼트(55)나 접착제 등으로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수평플레이트(51)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탄성회동부(56)는 착석자의 가슴이 직접 닿는 부분으로 스폰지와 같은 발포성형체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지지부(52)의 수직지지판(54)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때, 도 5a에서와 같이 탄성회동부(56)는 고정지지부(52)의 수직지지판(54)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수직지지판(54)의 측면 및 상면을 커버하도록 연장되어 착석자의 가슴을 좀 더 편안하게 지지해 줄 수 있다. 한편, 고정지지부(52)의 수직지지판(54)의 후방에도 스폰지와 같은 발포성형체가 구비된다.
그리고, 탄성회동부(56)의 배면에는 가압판(57)이 구비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단부가 전후방향을 따라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회동부(56)는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전후방향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 탄성회동부(56)의 하단이 고정지지부(52)에 힌지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58)은 고정지지부(52)와 탄성회동부(56)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가압판(57)에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지지부(52)에 고정된다. 한편, 고정지지부(52)와 탄성회동부(56)는 외피(59)에 의해 감싸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의자의 좌판(30)에 앉은 착석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수직지지봉(20)을 승강시켜 좌판(3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수직지지봉(20)을 승강시키면 지지프레임(40)이 함께 승강되어 좌판(30)과 가슴받침대(50)간의 간격은 그대로 유지되므로, 가슴받침대(50)의 높이조절은 별도로 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나, 착석자의 체형에 따라 제2지지프레임(44)을 제1지지프레임(41)에서 승강시켜 가슴받침대(50)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가슴받침대(50)가 좌판(30)의 측방에 위치되도록 지지프레임(40)을 수직지지봉(20)에서 회전시키면 착석자는 편리하게 좌판(30)에 앉을 수 있다.
그리고, 착석자는 가슴을 가슴받침대(50)에 밀착되도록 하며, 업무를 보는 과정에서 상체가 앞으로 쏠리게 되면서 가슴이 가슴받침대(50)의 탄성회동부(56)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b에서와 같이, 탄성회동부(56)가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단부가 후방으로 회동되므로 탄성스프링(58)이 탄성가압된다. 이때, 탄성스프링(5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회동부(56)가 착석자의 가슴을 보다 안정적으로 받쳐주게 된다.
한편, 착석자들은 체형이나 습관 등에 따라 상체가 앞으로 쏠리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탄성회동부(56)가 회동되는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때, 탄성스프링(58)에 의해 탄성회동부(56)의 회동각도가 다양하게 형성되므로, 탄성회동부(56)가 착석자들의 가슴을 압박하지 않고 좀 더 부드럽고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바닥면을 지지하며 중앙에 수직지지봉(20)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다리(10)와, 이 다리(10)의 수직지지봉(20)의 상단에 구비되어 착석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판(30)과, 상기 다리(10) 또는 수직지지봉(20)에서 좌판(30)의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40)과, 이 지지프레임(40)의 상단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가슴을 받쳐주는 가슴받침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슴받침대(50)는 하면이 상기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되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플레이트(51)와, 상기 수평플레이트(51)에서 상향 돌출된 경질의 고정지지부(52)와, 착석자의 가슴과 접하도록 상기 고정지지부(52)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51)에서 상향 돌출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단부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탄성회동부(56)와, 이 탄성회동부(56)와 고정지지부(52) 사이에 게재되어 탄성회동부(56)의 회동에 따라 탄성가압되는 탄성스프링(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40)은 다리(10)의 수직지지봉(20)에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직지지봉(20)이 승강됨에 따라 좌판(30)과 가슴받침대(50)가 동시에 승강되어 좌판(30)과 가슴받침대(50)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의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수직지지봉(20)에서 니은자 형상으로 절곡된 제1지지프레임(41)과, 하단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수평플레이트(51)가 결합된 제2지지프레임(44)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44)을 제1지지프레임(41)에서 승강된 상태로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의자.
KR1020120027766A 2012-03-19 2012-03-19 자세교정의자 KR20130106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766A KR20130106116A (ko) 2012-03-19 2012-03-19 자세교정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766A KR20130106116A (ko) 2012-03-19 2012-03-19 자세교정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116A true KR20130106116A (ko) 2013-09-27

Family

ID=4945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766A KR20130106116A (ko) 2012-03-19 2012-03-19 자세교정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611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8212A (zh) * 2016-03-30 2016-06-29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可收缩台板至座板底下的椅子
KR20160082334A (ko) 2014-12-29 2016-07-08 조규홍 책상 부착용 자세교정 장치
KR20170029145A (ko) 2015-09-07 2017-03-15 조규홍 책상 부착용 자세교정 장치
KR20190081416A (ko) 2017-12-29 2019-07-0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유도용 의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334A (ko) 2014-12-29 2016-07-08 조규홍 책상 부착용 자세교정 장치
KR20170029145A (ko) 2015-09-07 2017-03-15 조규홍 책상 부착용 자세교정 장치
CN105708212A (zh) * 2016-03-30 2016-06-29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可收缩台板至座板底下的椅子
CN105708212B (zh) * 2016-03-30 2018-06-29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可收缩台板至座板底下的椅子
KR20190081416A (ko) 2017-12-29 2019-07-0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유도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601B2 (en) Back structure for a chair
JP6700487B2 (ja) 姿勢の変化に伴って変形可能な腰下敷用椅子
US20140028067A1 (en) Seat pad adjustable chair
US20180289164A1 (en) Adjustable back support assembly for the back of a chair
KR20130106116A (ko) 자세교정의자
KR20130103988A (ko)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CN203852066U (zh) 可调节扶手和椅背的办公椅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KR101281675B1 (ko) 의자 좌판에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KR101077053B1 (ko) 의자용 가슴받이의 탄성 변위구조
KR20130042727A (ko)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KR101447650B1 (ko) 의자 좌판에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JP6041586B2 (ja) 椅子及びその座板
KR20140093055A (ko) 탄성수단을 갖는 의자용 좌판
KR20160065507A (ko) 에어쿠션이 구비된 의자
KR101552791B1 (ko) 자전거 운동이 가능한 의자
CN204949985U (zh) 一种一体式可站立计算机桌椅装置
KR20140015182A (ko) 회동지지부가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이 구비된 의자
JPH0646556U (ja) 胸あて付椅子
KR20130001400U (ko) 기능성 의자
KR20120063643A (ko)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CN213188835U (zh) 一种具有良好舒适性的靠背椅
KR200323364Y1 (ko) 의자
KR101797704B1 (ko) 스쿼트 운동기구를 가지는 의자
CN206238846U (zh) 一种休闲躺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