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548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548A
KR20130105548A KR1020130028227A KR20130028227A KR20130105548A KR 20130105548 A KR20130105548 A KR 20130105548A KR 1020130028227 A KR1020130028227 A KR 1020130028227A KR 20130028227 A KR20130028227 A KR 20130028227A KR 20130105548 A KR20130105548 A KR 20130105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resource
terminal
base station
resource request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193B1 (ko
Inventor
강현정
라케쉬 타오리
손영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05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Abstract

본 발명은 협력 셀에서 수행되는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절차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기지국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에 있어서, 협력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결과를 상기 단말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UPLINK RESOURCE REQUEST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은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예컨대, 밀리미터파(mmW)와 같은 고주파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고려한다.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단말(Subscriber Station)과 기지국(Base Station) 간의 통신 가능 거리가 줄어들기 때문에 기지국의 셀 반경이 작아지게 되고, 그로 인해 단말의 서비스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지국의 개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할 때, 기지국의 셀 반경이 줄어들고 기지국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면, 단말의 셀 간 핸드오버 횟수가 증가하게 되고, 단말의 핸드오버로 인한 시스템의 오버헤드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존 무선 통신 시스템에 비해 단말의 이동 또는 단말의 주변의 장애물로 인해 단말과 기지국간의 무선 링크가 실패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다. 따라서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고주파 대역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공되는 서비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협력 셀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협력 셀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서비스를 협력 셀 내의 모든 기지국이 함께 처리할 수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단말의 서비스 별로 처리할 멤버 기지국이 협력 셀 내에서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에도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기지국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에 있어서, 협력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결과를 상기 단말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주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주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할당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기지국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협력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 주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근거로 결정된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근거로 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상기 보조 기지국에 의해 생성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기지국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에 있어서, 협력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결과를 상기 단말에게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주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수신부는, 상기 주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할당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기지국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협력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 주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근거로 결정된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근거로 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상기 보조 기지국에 의해 생성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단말과 상기 단말을 서비스하는 여러 기지국들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와 함께 수신한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관리하는 방안을 적용함으로써,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단말과 이를 서비스하는 여러 개의 기지국들 간에 효율적으로 자원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협력 셀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서비스를 협력 셀 내의 모든 기지국이 함께 처리할 수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단말의 서비스 별로 처리할 멤버 기지국이 협력 셀 내에서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에도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는 주기지국의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는 보조기지국의 동작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는 주기지국의 동작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는 보조기지국의 동작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구성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주기지국은 일 예로 매크로 기지국 등이 될 수 있고, 보조기지국은 소형 셀 예컨대, 펨토, 피코 셀, 마이크로 셀, 릴레이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기지국들이 협력하여 단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는 절차를 제안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절차를 설명한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에서 수행되는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고주파 대역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력 셀을 고려한다. 상기 협력 셀은 하나의 단말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기지국들로 구성되는 가상(virtual)의 셀이다. 협력 셀은 주기지국과 보조기지국 모두가 단말을 서빙(serving)함으로써 고주파 대역에서 약한 링크들의 신뢰성(reliability)를 증가시키고, 단말에게 다수개의 좋은 링크들을 제공함으로써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셀 가장자리(edge)에 위치한 단말의 핸드오버 동작 등으로 인한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단말이 협력 셀에 속한 여러 기지국들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단말이 협력 셀에 속한 기지국들 내에서 이동할 경우,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작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해당 단말의 경계 없는 이동성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고주파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과 여러 기지국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요구되므로, 상기 단말과 여러 기지국들 간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절차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100)과, 액세스 기지국(130)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100)은 102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기지국(130)를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100)은 104단계에서 상향링크 자원없이 상향링크 데이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서, 단말(100)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기지국(130)에게 전송할 상향링크 자원이 필요함을 인지한다. 상기 단말(100)은 106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기지국(130)에게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액세스 기지국(130)은 상기 106단계에서 수신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시그널을 처리하여 상기 단말(100)에게 108단계에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단말(100)은 상기 108단계에서 할당 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110단계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기지국(130)에게 전송한다. 상기 도 1과 같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단말(100)이 상기 하나의 액세스 기지국(13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수의 기지국들이 협력하여 협력 셀을 형성하고, 상기 협력 셀을 통해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고주파 대역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력 셀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협력 셀은 하나의 단말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기지국들로 구성되는 가상(virtual)의 셀이며, 예컨대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밀리미터파(mmW) 대역들에서 동작함을 가정한다. 상기 협력 셀이 두 개의 기지국들을 포함한다고 가정할 때, 하나의 기지국은 주(master)기지국으로써 상기 협력 셀 자원을 할당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나머지 기지국은 보조(slave)기지국으로써 상기 주기지국을 도와 해당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2단계에서 단말(200)은 주기지국(240)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상기 단말(200)은 협력 셀의 보조기지국1(250) 및 보조기지국2(260)과 204단계와 206단계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상기 단말(200)은 208단계에서 상기 협력 셀에 있는 주기지국(240), 보조기지국1(250) 혹은 보조기지국2(260)에게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 요청이 필요한지 결정한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208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피기백(piggybacked)으로 전송할 수 있는 상향링크 데이터가 있는지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200)은 상기 보조기지국1(250)에게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가 있음을 가정한다. 상기 단말(200)은 210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1(250)에게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와 추가적인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보조기지국1(250)에게 전송한다. 상기 보조기지국1(250)은 상기 단말(200)이 전송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212단계에서 상기 주기지국(240)에게 전송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보조기지국1(250)이 주기지국(240)으로 전송하는 상기 단말(200)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다음 <표 1>의 정보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주기지국(240)은 214단계에서 상기 212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단말(200)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고, 상기 단말(200)에게 상향링크 자원에 대한 할당을 결정한다. 상기 214단계는 주기지국(240)이 상기 단말(200)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협력 셀의 멤버 기지국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보조기지국1(250)과 보조기지국2(260)과 협상절차를 포함한다. 상기 주기지국(240)은 216단계에서 상기 단말(200)에게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주기지국(240)은 218단계와 220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1(250)과 보조기지국2(260)에게 상기 단말(200)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218단계와 220단계에서는 상기 보조기지국1(250)과 상기 보조기지국2(260)의 상향링크 자원이 상기 단말(200)에게 할당되었는지에 대한 여부 및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의 스케줄링 정보를 알려준다.
상기 단말(200)은 상기 216단계에서 할당 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주기지국(240), 보조기지국1(250), 혹은 보조기지국2(260)에게 222단계, 224단계 혹은 226단계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302단계에서 단말(300)은 주기지국(340)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상기 단말(300)은 협력 셀의 보조기지국1(350) 및 보조기지국2(360)과 304단계와 306단계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상기 단말(300)은 308단계에서 상기 협력 셀에 있는 주기지국(340), 보조기지국1(350) 혹은 보조기지국2(360)에게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 요청이 필요한지 결정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308 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피기백으로 전송할 수 있는 상향링크 데이터가 있는지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300)은 상기 보조기지국1(350)과 보조기지국2(360)에게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가 있음을 가정한다. 상기 단말(300)은 310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1(350)에게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와 추가적인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보조기지국1(350)에게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312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2(360)에게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와 추가적인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보조기지국2(360)에게 전송한다. 상기 310단계와 상기 312단계에서 전송하는 상향링크 자원 요청은 상기 단말(300)이 가입한 동일한 서비스 1에 대한 동일한 자원 요청 정보이다.
상기 보조기지국1(350)은 상기 단말(300)이 전송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314단계에서 상기 주기지국(340)에게 전송한다. 상기 보조기지국2(360)은 상기 단말(300)이 전송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316단계에서 상기 주기지국(340)에게 전송한다. 상기 314단계 내지 316단계에서 상기 전송하는 상기 단말(300)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기 <표 1>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주기지국(340)은 318단계에서 상기 314단계 내지 316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단말(300)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단말(300)에게 상향링크 자원에 대한 할당을 결정한다. 상기 318단계는 주기지국(340)이 상기 단말(300)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협력 셀의 멤버 기지국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보조기지국1(350)과 보조기지국2(360)과 협상절차를 포함한다. 상기 주기지국(340)은 320단계에서 상기 단말(300)에게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주기지국(340)은 322단계와 324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1(350)과 보조기지국2(360)에게 상기 단말(300)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322단계와 324단계에서는 상기 보조기지국1(350)과 상기 보조기지국2(360)의 상향링크 자원이 상기 단말(300)에게 할당되었는지에 대한 여부 및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의 스케줄링 정보를 알려준다.
상기 단말(300)은 상기 320단계에서 할당 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주기지국(340), 보조기지국1(350), 혹은 보조기지국2(360)에게 326단계, 328단계 혹은 330단계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320단계와 322단계와 324단계의 UL(UpLink) 자원 할당 정보는 동일하다 320단계와 322단계와 324단계의 UL 자원 할당 정보는 실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자원에 대한 정보이다. 그런데, 보조기지국1과 보조기지국2에서 할당하는 상향링크 자원의 위치는 다를 수도 있다. 동일한 양의 자원을 할당하되, 구체적인 OFDMA symbol 위치, offset 같은 파라미터는 기지국별로 다를 수 있다. 이때는 주기지국이 단말에게 각각의 보조기지국에서의 할당 위치 정보를 알려줘야 한다.
한편, 도 3에서는 다수의 기지국이 UL 데이터 수신에 관여하는 내용이 예로 기재되어 있지만, 주기지국과 모든 보조 기지국에서 UL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322단계는 320단계와 동일한 UL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고, 324단계는 UL 자원 할당 정보 전송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의 내용은 도 2 내지 도 12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도 2 내지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단말의 서비스를 협력 셀 내의 모든 기지국들이 함께 처리하는 경우에 대해 기술하였다. 상기 협력 셀 시스템에서 단말의 서비스 별로 처리할 멤버 기지국이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해당하는 서비스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상기 정해진 멤버 기지국에서만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의 서비스 별 멤버 기지국이 정해져 있는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402단계에서 단말(400)은 주기지국(440)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상기 단말(400)은 협력 셀의 보조기지국1(450) 및 보조기지국2(460)과 404단계와 406단계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이때 상기 단말(400)은 402단계에서 주기지국(440)과 서비스 1에 대한 상/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404단계에서 보조기지국1(450)과 서비스 2에 대한 상/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406단계에서 보조기지국2(460)과 서비스 3에 대한 상/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단말(400)은 408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3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 요청이 필요한지 결정한다. 또한 상기 단말(400)은 408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피기백으로 전송할 수 있는 상향링크 데이터가 있는지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400)은 상기 보조기지국 2(460)에게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가 있음을 가정한다.
상기 단말(400)은 410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2(460)에게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와 추가적인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보조기지국2(460)에게 전송한다. 상기 410 단계에서 전송하는 상향링크 자원 요청은 상기 단말(400)이 가입한 서비스 3에 대한 자원 요청 정보이다.
상기 보조기지국2(460)은 412단계에서 상기 단말(400)이 전송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처리한다. 상기 412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2(460)은 상기 단말(400)이 상기 서비스 3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상향링크 자원 영역에 대한 정보(이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라 칭함)를 다음 <표 2>와 같이 구성한다.
Figure pat00002
상기 보조기지국2(460)은 414단계에서 상기 <표 2>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주기지국(440)에게 전송한다.
상기 주기지국(440)은 416단계에서 상기 414단계에서 수신한 단말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400)에게 전송할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예를 들어, 스케줄링 정보를 구성한다. 상기 주기지국(440)은 418단계에서 상기 단말(400)에게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주기지국(440)은 420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2(460)에게 상기 단말(400)에 대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주기지국(440)은 420단계에서 보조기지국2(460)의 상향링크 자원이 상기 단말(400)에게 할당되었는지에 대한 여부 및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의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보조기지국2(460)에게 알려준다.
상기 단말(400)은 상기 418단계에서 할당 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422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2(460)에게 상기 서비스 3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502단계에서 단말(500)은 주기지국(540)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상기 단말(500)은 협력 셀의 보조기지국1(550) 및 보조기지국2(560)과 504단계와 506단계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이때 상기 단말(500)은 주기지국(540)과 서비스 1에 대한 상/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보조기지국1(550)과 서비스 2에 대한 상/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보조기지국2(560)과 서비스 3에 대한 상/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단말(500)은 508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3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 요청이 필요한지 결정한다. 또한 상기 단말(500)은 508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피기백으로 전송할 수 있는 상향링크 데이터가 있는지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500)은 상기 보조기지국 1(550)에게 전송할 서비스 2 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가 있음을 가정한다.
상기 단말(500)은 510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1(550)에게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와 상기 서비스 3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보조기지국1(550)에게 전송한다.
상기 보조기지국1(550)은 512단계에서 상기 단말(500)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신호가 다른 기지국에서 처리하는 서비스 3에 해당함을 파악하고, 상기 주기지국(540)에게 상기 단말(500)의 상향링크 자원요청을 전달한다. 상기 512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1(550)이 상기 주기지국(540)에게 전달하는 정보는 상기 <표 1>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주기지국(540)은 514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1(550)로부터 수신한 상기 단말(500)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3을 담당하는 보조기지국2(560)에게 전달한다. 상기 514단계에서 전달하는 정보는 상기 <표 1>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기지국2(560)은 516단계에서 상기 주기지국(540)을 통해 전달받은 상기 단말(500)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처리한다. 상기 516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2(560)은 상기 단말(500)이 상기 서비스 3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상향링크 자원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 2>와 같이 구성한다.
상기 보조기지국2(560)은 518단계에서 상기 <표 2>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주기지국(540)에게 전송한다.
상기 주기지국(540)은 520단계에서 상기 518단계에서 수신한 단말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500)에게 전송할 상향링크 자원 할당정보 예를 들어, 스케줄링 정보를 구성한다. 상기 주기지국(540)은 522단계에서 상기 단말(500)에게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주기지국(540)은 524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2(560)에게 상기 단말(500)에 대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주기지국(540)은 524단계에서 보조기지국2(560)의 상향링크 자원이 상기 단말(500)에게 할당되었는지에 대한 여부 및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의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보조기지국2(560)에게 알려준다.
상기 단말(500)은 상기 522단계에서 할당 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526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2(560)에게 상기 서비스 3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도 5의 예에서는 상기 512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1(550)이 상기 주기지국(540)에게 상기 서비스 3에 대한 단말(500)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협력 셀 내의 멤버 기지국들이 각자 담당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주기지국(540)에게 전달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를 담당하는 멤버 기지국에게 직접 상기 단말(500)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600단계에서 협력 셀 멤버 기지국들과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은 602단계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 요청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602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향링크 자원 요청이 필요하다면 상기 단말은 604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과 함께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며, 이때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이 필요한 서비스와 상기 현재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의 서비스가 동일한지 여부도 함께 판단한다. 상기 604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이 필요한 서비스와 상기 현재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의 서비스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606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이 필요한 서비스와 동일하지 않지만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과 함께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606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과 함께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가 없으면 상기 단말은 608단계에서 stand-alone 방식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한다. 상기 단말은 612 단계에서 상기 608단계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향링크 자원을 획득하고 614단계에서 상기 획득한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협력 셀 멤버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만약 상기 606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과 함께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가 있고 서로 다른 서비스에 해당한다면, 상기 단말은 610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와 함께 전송한다. 상기 610단계에서 전송하는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에는 서로 다른 서비스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기 상향링크 자원이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함께 포함한다.<도 2, 도 3, 도 5에 해당함.> 상기 서비스 정보는 <표 1> 또는 <표 2>의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612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상기 604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과 함께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가 있고 동일한 서비스에 해당한다면, 상기 단말은 616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와 함께 전송한다.<도 4에 해당함.> 상기 616단계에서 전송하는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에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이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후 상기 단말은 612단계로 진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는 주기지국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주기지국은 700단계에서 단말과의 상/하향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주기지국은 702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702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주기지국은 706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한다. 상기 706단계에서 상기 주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요청한 상향링크 자원이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서비스에 대해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지 여부 및 할당할 수 있는 상향링크 자원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협력 셀 내에 속한 보조기지국과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협상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주기지국은 상기 706단계의 처리 결과에 따라 708단계에서 상기 단말에게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
만약 상기 702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주기지국은 704단계에서 협력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704단계에서 수신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기 <표 1>에 해당한다. 상기 704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보조기지국을 통해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수신하였으면, 상기 주기지국은 7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한다. 상기 주기지국은 708단계에서 상기 단말에게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고(또는 상향 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고), 보조기지국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전달한다. 즉, 상기 주기지국은 보조기지국의 상향링크 자원이 상기 단말에게 할당되었는지에 대한 여부 및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의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보조기지국에게 알려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는 보조기지국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기지국은 800단계에서 상기 단말과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보조기지국은 802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802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보조기지국은 804단계에서 상기 주기지국에게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804단계에서 상기 주기지국에게 전달하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기 <표 1>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기지국은 806단계에서 상기 주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806단계의 상향링크 할당 정보는 상기 보조기지국의 상향링크 자원 영역 중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할당된 자원에 해당한다. 상기 보조기지국은 상기 806단계의 상향링크 할당 정보에서 지시한 자원 영역에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808단계).
상기 도 7와 도 8에서는 단말의 서비스와 상관없이 협력 셀의 멤버 기지국들이 상기 단말의 상/하향링크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하는 경우에 대해 상기 주기지국과 상기 보조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단말의 서비스별로 담당하는 협력 셀의 멤버 기지국이 정해지는 경우에 대해 상기 주기지국과 상기 보조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는 주기지국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주기지국은 900단계에서 상기 단말과의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주기지국은 902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902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자원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주기지국은 904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의 대상이 되는 서비스가 상기 주기지국의 담당 서비스인지 판단한다. 상기 904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주기지국이 담당하고 있는 서비스에 해당하면 상기 주기지국은 906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한다. 상기 906단계에서 상기 주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요청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지 여부 및 할당할 수 있는 상향링크 자원의 양을 결정한다. 상기 주기지국은 상기 906단계의 처리 결과에 따라 908단계에서 상기 단말에게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 상기 908단계에서 상기 주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 할당할 상향링크 자원의 양을 결정하고 상기 할당할 상향링크 자원의 영역 등을 포함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만약 상기 904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주기지국이 담당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 요청이 아니라면, 상기 주기지국은 912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담당하는 보조기지국에게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912단계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기 <표 1>을 포함한다. 상기 주기지국은 914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담당하는 보조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대한 할당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914단계에서 수신하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표 2>를 포함한다. 상기 주기지국은 상기 914단계에서 수신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908단계에서 상기 단말에게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지시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만약 상기 902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주기지국은 910단계에서 협력 셀 내의 보조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910단계에서 수신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정보는 상기 <표 1>에 해당한다. 상기 910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보조기지국을 통해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수신하였으면 상기 주기지국은 상기 904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상기 910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보조 기지국을 통해 상기 <표 1>의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주기지국은 916단계에서 협력 셀 내의 보조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정보를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916단계에서 수신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정보는 상기 <표 2>에 해당한다. 상기 916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보조기지국을 통해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정보를 수신하였으면 상기 주기지국은 상기 908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916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보조기지국을 통해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혹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주기지국은 900단계로 귀환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협력 셀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는 보조기지국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기지국은 1000단계에서 상기 단말과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보조기지국은 1002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1002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보조기지국은 1004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의 대상이 되는 서비스가 상기 보조기지국의 담당 서비스인지 판단한다. 상기 1004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보조기지국이 담당하고 있는 서비스에 해당하면 상기 보조기지국은 1006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처리하고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상향링크 자원에 대한 정보를 작성한다. 상기 1006단계에서 상기 보조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요청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지 여부 및 할당할 수 있는 상향링크 자원의 양을 결정하며, 상기 보조기지국이 할당할 상향링크 자원 정보는 상기 <표 2>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기지국은 1008단계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주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상기 보조기지국은 1010단계에서 상기 주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1010단계의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보조기지국이 1008단계에서 전송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기지국은 상기 1010단계의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가 지시하는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1012단계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만약 상기 1004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보조기지국이 상기 서비스에 대한 담당 기지국이 아니면, 상기 보조기지국은 1014단계에서 상기 주기지국에게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1014단계에서 상기 주기지국에게 전달하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기 <표 1>의 정보를 포함한다.
만약 상기 보조기지국은 상기 1016단계에서 상기 주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1016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보조기지국은 상기 10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요청을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1016단계에서는 상기 주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로 기술하였으나, 상기 협력 셀 내의 다른 보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송신부(1100), 수신부(1110), 제어부(1120)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1100), 수신부(1110)는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은 주기지국 또는 보조기지국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20)는 도 2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절차에 따라 주기지국 또는 보조기지국과 접속하여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하고, 주기지국에서 처리된 할당된 자원에 따라서 주기지국 및 보조기지국으로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술할 주기지국과 보조기지국은 도 12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송신부(1200), 수신부(1210), 제어부(1220)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1200), 수신부(1210)는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을 각각 포함한다. 만약 상기 기지국이 주기지국일 경우, 상기 송신부(1200), 수신부(1210)는 보조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을 각각 포함한다. 만약 상기 기지국이 보조기지국일 경우, 상기 송신부(1200), 수신부(1210)는 주기지국 및 다른 보조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기지국이 주기지국인 경우, 도 2 및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표 1에 해당함)를 처리하여 단말에게 상향링크 자원에 대한 할당을 결정한다.
상기 제어부(12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기지국이 주기지국인 경우, 도 5 및 도 4에서와 같이, 보조기지국에서 전송된 상향링크 자원 영역에 대한 정보(표 2에 해당함)를 처리하여 단말에게 상향링크 자원에 대한 할당을 결정한다.
상기 제어부(12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기지국이 보조기지국인 경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면,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표 1에 해당함)를 생성하고, 이를 주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2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기지국이 보조기지국인 경우,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와 상기 보조기지국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동일할 경우에는, 상기 보조기지국이 표 2와 같은 상향링크 자원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 및 처리하고, 동일 서비스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를 처리하는 보조기지국으로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과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2)

  1.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기지국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에 있어서,
    협력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근거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자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한 단말의 식별자;
    상향링크 자원을 요구하는 서비스 식별자; 및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하는 상향링크 자원의 양을 나타내는 상향링크 자원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은,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가입한 서비스를 처리하는 협력 셀 내의 모든 보조 기지국으로 전송됨을 포함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서비스 별로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근거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자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 및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한 단말의 식별자;
    상향링크 자원을 요구하는 서비스 식별자; 및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상향링크 자원의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8.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주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주기지국으로부터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한 단말의 식별자;
    상향링크 자원을 요구하는 서비스 식별자; 및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하는 상향링크 자원의 양을 나타내는 상향링크 자원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은,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가입한 서비스를 처리하는 협력 셀 내의 모든 보조 기지국으로 전송됨을 포함하는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서비스 별로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지국에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주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주기지국으로부터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한 단말의 식별자;
    상향링크 자원을 요구하는 서비스 식별자; 및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상향링크 자원의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하는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하는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15.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기지국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협력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
    주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근거로 결정된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할당 정보에 따라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상기 보조 기지국에 의해 생성됨을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한 단말의 식별자;
    상향링크 자원을 요구하는 서비스 식별자; 및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하는 상향링크 자원의 양을 나타내는 상향링크 자원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은,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가입한 서비스를 처리하는 협력 셀 내의 모든 보조 기지국으로 전송됨을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서비스 별로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
    상기 주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근거로 결정된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기지국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한 단말의 식별자;
    상향링크 자원을 요구하는 서비스 식별자; 및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상향링크 자원의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22.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기지국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에 있어서,
    협력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근거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자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에게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한 단말의 식별자;
    상향링크 자원을 요구하는 서비스 식별자; 및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하는 상향링크 자원의 양을 나타내는 상향링크 자원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은,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가입한 서비스를 처리하는 협력 셀 내의 모든 보조 기지국으로 전송됨을 포함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서비스 별로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부;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근거로,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될 자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상기 제어부;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에게 전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상기 전송부를 포함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한 단말의 식별자;
    상향링크 자원을 요구하는 서비스 식별자; 및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상향링크 자원의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하는 주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29.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주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수신부는, 상기 주기지국으로부터 스케쥴링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함을 포함하는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한 단말의 식별자;
    상향링크 자원을 요구하는 서비스 식별자; 및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하는 상향링크 자원의 양을 나타내는 상향링크 자원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은,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가입한 서비스를 처리하는 협력 셀 내의 모든 보조 기지국으로 전송됨을 포함하는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서비스 별로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지국에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제어부;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주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주기지국으로부터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한 단말의 식별자;
    상향링크 자원을 요구하는 서비스 식별자; 및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상향링크 자원의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포함하는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하는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하는 보조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36.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기지국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협력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주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를 근거로 결정된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근거로 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함을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상기 보조 기지국에 의해 생성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는,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한 단말의 식별자;
    상향링크 자원을 요구하는 서비스 식별자; 및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하는 상향링크 자원의 양을 나타내는 상향링크 자원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은,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가입한 서비스를 처리하는 협력 셀 내의 모든 보조 기지국으로 전송됨을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서비스 별로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주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근거로 결정된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쥴링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기지국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한 단말의 식별자;
    상향링크 자원을 요구하는 서비스 식별자; 및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상향링크 자원의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요청 정보에 따라서 생성됨을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장치.
KR1020130028227A 2012-03-15 2013-03-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17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6501 2012-03-15
KR1020120026501 2012-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548A true KR20130105548A (ko) 2013-09-25
KR102017193B1 KR102017193B1 (ko) 2019-09-02

Family

ID=4915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227A KR102017193B1 (ko) 2012-03-15 2013-03-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94963B2 (ko)
KR (1) KR102017193B1 (ko)
WO (1) WO20131376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99266B1 (en) * 2013-06-08 2018-05-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obtaining mobile network data resources
US9426662B2 (en) 2013-06-26 2016-08-23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Capacity sharing between wireless systems
EP2863681B1 (en) 2013-10-21 2017-08-23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handover for dual connectivity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US9479940B2 (en) * 2014-05-01 2016-10-25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Capacity sharing between wireless systems
CN106416360A (zh) * 2014-06-25 2017-0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预留方法、装置、接入点及网络服务器
US9730196B2 (en) 2014-07-29 2017-08-08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LTE control channel reservation in RF bands with competing communication systems
US10278103B2 (en) 2014-12-30 2019-04-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MeNB handover without SeNB chan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2984453C (en) 2015-05-14 2022-01-25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in listen before talk systems
KR20170100188A (ko) * 2016-02-25 2017-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향링크 비직교성 다중 접속 기법 및 협력 수신 지원 기법
US10588146B2 (en) * 2016-04-05 2020-03-10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request collection through license-assisted operation
WO2021197615A1 (en) * 2020-04-03 2021-10-07 Nokia Technologies Oy Interference avoidance for reliable uplink transmiss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085A (ko) 2003-09-0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억세스 접속 방법
US20080123585A1 (en) * 2003-05-12 2008-05-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ast Setup Of Physical Communication Channels
WO2009023470A2 (en) * 2007-08-13 2009-02-1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Long term evolution medium access control procedures
WO2010011084A2 (ko) * 2008-07-23 2010-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룰라 인프라 구조를 임의로 자기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00157901A1 (en) * 2007-06-18 2010-06-24 Sanderovitz Amichay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and method for base station utilization
KR20100106936A (ko) * 2009-03-24 2010-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지국, 기지국의 셀 관리 방법, 기지국의 신호 검출 방법, 단말 및 단말의 송신 방법
US20110002275A1 (en) * 2009-07-01 2011-01-06 Alvarion Ltd. Resource alloc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842B1 (ko) * 2005-08-25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시스템 및방법
ATE422144T1 (de) * 2006-05-03 2009-02-15 Motorola Inc Ermittlung des ressourcenaustausches in einem zellularen kommunikationssystem
US8428013B2 (en) * 2006-10-30 2013-04-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random access in a wireless communcation system
CN101262696B (zh) * 2007-03-09 2012-07-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系统间通信的方法和系统以及终端设备
JP5572149B2 (ja) 2008-03-21 2014-08-1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アップリンク・グラントを求める無用なスケジューリング要求を禁止する方法
EP2283688B1 (en) * 2008-05-21 2018-10-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coordinated inter-cellinterference cancellation
KR101655325B1 (ko) * 2009-03-06 2016-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중계국을 지원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그룹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20100246548A1 (en) * 2009-03-24 2010-09-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ase station, method for managing cell, method for detection signal,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3585A1 (en) * 2003-05-12 2008-05-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ast Setup Of Physical Communication Channels
KR20050024085A (ko) 2003-09-0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억세스 접속 방법
US20100157901A1 (en) * 2007-06-18 2010-06-24 Sanderovitz Amichay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and method for base station utilization
WO2009023470A2 (en) * 2007-08-13 2009-02-1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Long term evolution medium access control procedures
WO2010011084A2 (ko) * 2008-07-23 2010-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룰라 인프라 구조를 임의로 자기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00106936A (ko) * 2009-03-24 2010-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지국, 기지국의 셀 관리 방법, 기지국의 신호 검출 방법, 단말 및 단말의 송신 방법
US20110002275A1 (en) * 2009-07-01 2011-01-06 Alvarion Ltd. Resource alloc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193B1 (ko) 2019-09-02
WO2013137690A1 (en) 2013-09-19
US20130242907A1 (en) 2013-09-19
US9094963B2 (en) 201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19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9992782B2 (en) Device-to-device (D2D) subframe with cell identifier
US9467900B2 (en) Servi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879593B1 (ko) 단말간 직접 통신 및 단말 릴레잉 방법
KR10171266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투피 통신의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US9743329B2 (en) Base station handover method, X2 interface setup method,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system
US103272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symmetric carrier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545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40029531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transmission of base st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65373A (ko) D2d 그룹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US10159021B2 (en)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3526820A (ja) 階層的セル構造を有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での干渉制御装置及び方法
KR1019498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9006243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할당방법 및 시스템
KR20100048350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셀 운영 장치 및 방법
KR2010006777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셀의 자원 운영 장치 및 방법
KR20140125499A (ko) 클라우드 기지국 시스템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303390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US10531378B2 (en) User equipment detection for energy saving cell activation
CN110972316A (zh) 一种v2x终端的传输资源调度方法
KR20200115002A (ko) Configured Grant의 충돌 시 대안자원을 지시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2128205A1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移動局装置処理能力の管理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20130106157A (ko)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US20170367018A1 (en)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EP2991420B1 (en) Uplink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