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002A -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멀티 스트링 방식의 태양광발전용 전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멀티 스트링 방식의 태양광발전용 전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002A
KR20130105002A KR1020120027057A KR20120027057A KR20130105002A KR 20130105002 A KR20130105002 A KR 20130105002A KR 1020120027057 A KR1020120027057 A KR 1020120027057A KR 20120027057 A KR20120027057 A KR 20120027057A KR 20130105002 A KR20130105002 A KR 20130105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olar cell
string
voltage
inver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필
민병덕
유동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27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5002A/ko
Publication of KR20130105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00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Inverter Devi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멀티 스트링 방식의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을 구비한 멀티 스트링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태양전지 모듈이 직렬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태양전지 스트링에 대하여 cascaded H-bridge 형태로 연결된 멀티레벨 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레벨 인버터는,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 스트링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입력 전압 및 입력 전류로 입력받는 4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둘 이상의 H-bridge 모듈이 직렬연결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멀티 스트링 방식의 태양광발전용 전력변환장치 {A device for PV power conversion of high-efficiency multi-string using multi-level inverters}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용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멀티 스트링 방식의 태양광발전용 전력변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solar photovoltanic)이란 태양에너지에 의한 발전기술의 하나이다. 즉, 태양의 빛 에너지를 태양전지라는 광전 변환기를 써서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이용하는 것이다. 이는 부분적으로 빛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흐린 날에도 이용이 가능하여 태양 에너지의 이용 효율이 열 발전보다 높다.
그리고,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전을 위한 전력변환장치(PhotoVoltanic Power Conditioning System; PV PCS)에서는 용량을 최대한 감소시키고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태양전지 발전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대표적인 토폴로지(topology)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중/대용량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태양전지 어레이 모듈(PV 모듈)을 직렬로 연결한 스트링 방식(string inverter)의 시스템(101)과 PV 모듈을 직,병렬 연결하여 PCS에서 이용가능한 직류전압 레벨의 일정전압 이상으로 태양전지 어레이의 스트링을 연결하는 집중형 스트링(central inverter) 방식의 시스템(102)을 이용한다.
집중형 스트링 방식(102)은 태양전지 어레이의 설치시 환경적 요소나 자연적 요소에 의해 발생되는 부분적인 그늘효과, 모듈간 그룹핑되지 않았을 경우의 전압차 발생에 의한 직류전압의 부정합, 스트링의 길이나 접속방식에 따른 전압차 발생등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하나의 PCS에 접속시키는 등의 부작용이 따르게 되고, 여기서 발생된 에너지 손실분은 전체 시스템 산출량에서 1 내지 5% 정도의 에너지산출량을 저감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멀티스트링 인버터 방식의 시스템(103)은 스트링 인버터와 집중형 인버터의 장점을 결합한 형태로 인버터 한대로 전체 용량을 감당하고 다수의 컨버터를 포함하여 태양전지의 입력을 독립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병렬형태로 구성된 다수의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한다.
멀티스트링 인버터 방식의 장점은 태양전지 모듈의 종류가 다른 다수개의 그룹이 있는 경우에도 각각의 모듈에서 최대전력점을 검출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최대전력점추적제어(Maximum Power Tracking Control; MPPT)를 수행하여 최대에너지를 뽑을 수 있도록 독립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태양전지 판넬의 설치각도와 방향이 균일하지 않아도 스트링별로 독집제어가 가능하기에 최대전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집중형 인버터에서는 전체 모듈이 직병렬로 연결되어 하나로 제어되므로 최악의 모듈 성능이 전체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주게되어 발전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단점을 보완하여 한 부분의 발전성능의 저하가 전체로 파급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 멀티스트링 인버터 방식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대표적인 토폴로지(topology)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멀티스트링 인버터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DC/DC 컨버터를 이용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셀로부터 DC 전압을 입력받아 DC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고주파 변환을 수행하는 DC/DC 컨버터(201), DC/DC 컨버터에서 추력된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인버팅하는 DC/AC 인버터(202) 및 AC 전압을 사인 필터링하여 일반 부하 등으로 출력하는 사인 필터(203)를 포함한다. 이 경우, DC/DC 컨버터(201)는 MPPT 동작을 하고 직류 링크부분과 입력 PV 모듈을 분리시켜 모듈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있다.
그러나, 도 2의 멀티스트링 토폴로지의 단점으로는 단일의 인버터에 대해 입력되는 전압의 일부를 별도의 절연 DC/DC 컨버터로서 태양광 셀로부터 DC 전압을 입력받아 DC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고주파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단일의 전력 제공시스템에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는 DC/DC 컨버터 및 DC/AC 인버터를 구비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컨버터와 인버터의 효율의 곱으로 시스템 효율이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컨버터의 효율이 낮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의 효율이 감소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효율의 DC/DC 컨버터를 필요로 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DC/DC 컨버터의 최고 효율을 98% 이상으로 올리기는 불가능하고, DC/DC 컨버터의 PCS의 용량을 대용량(250kW 이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대용량 DC/DC 컨버터가 필요하게 되는데, 컨버터의 효율을 고효율로 유지하면서 대용량을 이루도록 구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안출하기 위한 것으로, 멀티스트링 방식의 장점 및 고효율의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DC/DC 컨버터를 이용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효과적인 토폴로지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멀티 스트링 방식의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을 구비한 멀티 스트링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장치로 다수의 태양전지 모듈이 직렬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태양전지 스트링에 대하여 cascaded H-bridge 형태로 연결된 멀티레벨 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레벨 인버터는,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 스트링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입력 전압 및 입력 전류로 입력받는 4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둘 이상의 H-bridge 모듈이 직렬연결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H-bridge 모듈은, 연속되는 다음 상의 H-bridge 모듈 또는 부하로 인가되는 전압으로 2단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멀티레벨 인버터는, 상기 둘 이상의 H-bridge 모듈에 포함된 제1 H-bridge 모듈의 출력전압이 연속하는 제2 H-bridge 모듈의 입력전압으로 직렬 연결되는 형태로 연속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스트링 방식의 장점 및 고효율의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DC/DC 컨버터를 이용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효과적인 토폴로지를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방식과 비교하여 인덕터에서의 스위칭 주파수가 줄어들게 되어 스위칭 로스(switching loss)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시스템 효율이 최대로 높아지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태양전지 발전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대표적인 토폴로지(topology)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멀티스트링 인버터 방식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대표적인 토폴로지(topology)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V PCS에서 이용하는 cascaded H-bridge 방식의 토폴로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ascaded H-bridge 방식의 PV PCS에서의 PWM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ascaded H-bridge 방식의 PV PCS를 구성하는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ascaded H-bridge 방식의 PV PCS에서 3상 출력 중 한 상의 출력 전압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ㅊ PV PCS에서 시간에 따른 출력효율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본 발명은 멀티스트링 방식의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장치 시스템에서 DC/DC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cascaded H-bridge 형태의 새로운 토폴로지를 제안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V PCS에서 이용하는 cascaded H-bridge 방식의 토폴로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V PCS는 입력단의 DC/DC 커컨버터 없이 cascaded H-bridge 방식을 이용한다. 도시된 토폴로지에 따르면, 하나의 상에 대하여 다수개의 PV 모듈이 직렬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트링 PV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대하여 4개의 트랜지스터 T11, T12, T13, T14로 구성된 제1 H-bridge 모듈(301)을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DC/DC 컨버터는 필요로 하지 않게 한다. 또한, 멀티 인버터로 동작하도록 트랜지스터 T21, T22, T23, T24로 구성된 제2 H-bridge 모듈(302) 및 트랜지스터 T31, T32, T33, T34로 구성된 제3 H-bridge 모듈(303) 등 다수개의 H-bridge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cascaded H-bridge를 이용하게 되면 각 H-bridge 모듈별로 독립적으로 MPPT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최대전력 검출을 이용할 수 있고, 스위칭 전압의 크기를 2단으로 구성하게 되어 전체 5 레벨의 PWM 파형을 출력하게 되어 일반적인 방식보다 스위칭 주파수가 줄어들게 되어 스위칭 로스(switching loss)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하여 시스템 효율이 최대로 높아지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ascaded H-bridge 방식의 PV PCS에서의 PWM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종래의 멀티인버터를 이용하는 full bridge 형태인 H-bridge 방식의 PV PCS에서 검침되는 PWM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데, 일반적인 full bridge 방식의 스위칭 파형은 직류링크 입력전압을 전체를 스위칭하는 형태의 3 레벨(100V, 0V, -100V) PWM 파형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높은 스위칭 전압으로 인하여 시스템 효율성이 절감될 수 있다.
반면,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ascaded H-bridge 방식의 PV PCS에서 검침되는 PWM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며, 스위칭 전압의 크기를 2단으로 구성함에 따라 5 레벨(200V, 100V, 0V, -100V, -200V)의 PWM 파형으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ascaded H-bridge 방식의 PV PCS에서는 출력 필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종래 대용량의 PCS에서는 인버터 출력에 대한 사인 필터의 사이즈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구현되어 시스템의 사이즈, 무게 및 효율에도 영향을 주게 되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경우 도 4의 (a)와 비교하여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위칭 파형의 고조파를 줄일 수 있어 부가적으로 사인 필터를 줄일 수 있어 시스템의 성능을 실질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ascaded H-bridge 방식의 PV PCS를 구성하는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PV PCS 회로도는 계통 연계형 전력전환장치의 특성에 따라 3상으로 구성하며, 각 상을 구성하는 멀티 인버터(501, 502, 503)는 각각 2개의 cascaded H-bridge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를 갖도록 구현하였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개의 H-bridge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H-bridge 모듈은 n개로 확장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ascaded H-bridge 방식의 PV PCS에서 3상 출력 중 한 상의 출력 전압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도 5에 도시된 3상 멀티레벨 인버터 중 한 상(501)을 예로 든 것으로, 한 상(501)은 제1 H-bridge 모듈(501a) 및 제2 H-bridge 모듈(501b)의 2 레벨로 구성된다.
이때, 도 6의 하단 좌측에 도시된 PWM 파형 그래프를 참조하면, 제1 H-bridge 모듈(501)의 제1 트랜지스터(T11)과 제3 트랜지스터(T13)에서 측정되는 PWM 파형은 소정 주기에 따라 반대로 나타나게 되고, 이는 제2 H-bridge 모듈의 제1 트랜지스터(T21)과 제3 트랜지스터(T23)에서 측정되는 PWM 파형과 동일한 형태를 나타낸다. 즉, 각각의 H-bridge 모듈은 제1 트랜지스터 및 제3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으로 입력전압을 2단으로 스위칭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6의 하단 우측에 도시된 전압 파형 그래프를 참조하면, 2 레벨의 멀티레벨 인버터로 구성된 한 상(501)에서 측정되는 출력 전압(VH)은 5 레벨의 전압파형으로 출력되고, 제2 H-bridge 모듈(501b)의 출력전압(VH2) 역시 2단으로 스위칭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V PCS에서 시간에 따른 출력효율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ascaded H-bridge 방식의 멀티레벨 인버터를 사용하는 경우 PV PCS의 효율(701)은 최대 98%까지 향상되는 것으로 다른 일반적인 계통연계 그리드에서의 효율(702)보다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을 구비한 멀티 스트링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태양전지 모듈이 직렬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태양전지 스트링에 대하여 cascaded H-bridge 형태로 연결된 멀티레벨 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레벨 인버터는,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 스트링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입력 전압 및 입력 전류로 입력받는 4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둘 이상의 H-bridge 모듈이 직렬연결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멀티 스트링 방식의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bridge 모듈은,
    연속되는 다음 상의 H-bridge 모듈 또는 부하로 인가되는 전압으로 2단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멀티 스트링 방식의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레벨 인버터는,
    상기 둘 이상의 H-bridge 모듈에 포함된 제1 H-bridge 모듈의 출력전압이 연속하는 제2 H-bridge 모듈의 입력전압으로 직렬 연결되는 형태로 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멀티 스트링 방식의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장치.
KR1020120027057A 2012-03-16 2012-03-16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멀티 스트링 방식의 태양광발전용 전력변환장치 Ceased KR20130105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57A KR20130105002A (ko) 2012-03-16 2012-03-16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멀티 스트링 방식의 태양광발전용 전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57A KR20130105002A (ko) 2012-03-16 2012-03-16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멀티 스트링 방식의 태양광발전용 전력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002A true KR20130105002A (ko) 2013-09-25

Family

ID=4945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057A Ceased KR20130105002A (ko) 2012-03-16 2012-03-16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멀티 스트링 방식의 태양광발전용 전력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500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8744A1 (en) * 2014-03-13 2015-09-17 Qatar Foundation For Education, Science And Community Development Modulation and control methods for quasi-z-source cascade multilevel inverters
WO2016159517A1 (ko) * 2015-03-30 2016-10-06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H-브리지 멀티 레벨 인버터
KR20170010401A (ko) * 2014-05-27 2017-01-31 선파워 코포레이션 광기전 시스템 보호
CN106451560A (zh) * 2016-11-29 2017-02-22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级联h桥并网逆变器mppt启动方法及主控制器
CN113273074A (zh) * 2018-11-14 2021-08-17 先进工程解决方案全球控股私人有限公司 用于设定点跟踪中的最小延迟的交错开关模式功率级的加性合成
CN117955427A (zh) * 2024-02-01 2024-04-30 中科智寰(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低压输出直流电能路由器及光伏接入供电系统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8744A1 (en) * 2014-03-13 2015-09-17 Qatar Foundation For Education, Science And Community Development Modulation and control methods for quasi-z-source cascade multilevel inverters
US10027126B2 (en) 2014-03-13 2018-07-17 Qatar Foundation For Education, Science And Community Development Modulation and control methods for quasi-Z-source cascade multilevel inverters
KR20170010401A (ko) * 2014-05-27 2017-01-31 선파워 코포레이션 광기전 시스템 보호
WO2016159517A1 (ko) * 2015-03-30 2016-10-06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H-브리지 멀티 레벨 인버터
CN106451560A (zh) * 2016-11-29 2017-02-22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级联h桥并网逆变器mppt启动方法及主控制器
CN106451560B (zh) * 2016-11-29 2019-02-01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级联h桥并网逆变器mppt启动方法及主控制器
CN113273074A (zh) * 2018-11-14 2021-08-17 先进工程解决方案全球控股私人有限公司 用于设定点跟踪中的最小延迟的交错开关模式功率级的加性合成
CN117955427A (zh) * 2024-02-01 2024-04-30 中科智寰(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低压输出直流电能路由器及光伏接入供电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i et al. An assessment of recent multilevel inverter topologies with reduced power electronics components for renewable applications
Wu et al.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a seven-level inverter
Latran et al. Investigation of multilevel multifunctional grid connected inverter topologies and control strategies used in photovoltaic systems
US9520721B2 (en) Solar photovoltaic three-phase micro-inverter and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Kouro et al. Photovoltaic energy conversion systems
KR20130105002A (ko)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멀티 스트링 방식의 태양광발전용 전력변환장치
Farhadi-Kangarlu et al. A single dc-source five-level inverter applied in stand-alone photovoltaic systems considering mppt capability
Marks et al. Photovoltaic power systems: a review of topologies, converters and controls
Brando et al. A high performance control technique of power electronic transformers in medium voltage grid-connected PV plants
Biswas et al. Modified H-bridge multilevel inverter for Photovoltaic micro-grid systems
KR101281079B1 (ko) 전력 품질이 개선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hoi et al. Cascaded H-bridge converter with multiphase isolated DC/DC converter for large-scale PV system
Venkatesan et al. A survey of single phase grid connected photovoltaic system
Naik et al. Three-level NPC inverter with novel voltage equalization for PV grid interface suitable for partially shaded conditions
Sheir et al. A high efficiency single-phase multilevel packed U cell inverter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Vekhande et al. Central multilevel current-fed inverter with module integrated DC-DC converters for grid-connected PV plant
Chadl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ovel five-level inverter topology
Khajehoddin et al. Cascaded multilevel converters and their applications in photovoltaic systems
Bhattacherjee et al. A single-phase cascaded H-Bridge inverter for grid-tie photovoltaic system addressing the problem of unbalances in H-Bridge cells
AU2021106653A4 (en) A Micro Multilevel Inverter
Kanakasabapathy Multistring seven-level inverter for standalone photovoltaic systems
Chander et al. Dual input converter fed transformerless multilevel inverter for standalone PV application
KR101352474B1 (ko) 직병렬 가변 어레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Patel et al. A novel multilevel inverter with symmetric and asymmetric dc-link voltages for solar photovoltaic based microgrid applications
Sharma et al. Cascaded flying capacitor half bridge inverter for power rating enhancement in PV based inver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1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4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