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335A - 낚시용 인조미끼 - Google Patents

낚시용 인조미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335A
KR20130104335A KR1020120025741A KR20120025741A KR20130104335A KR 20130104335 A KR20130104335 A KR 20130104335A KR 1020120025741 A KR1020120025741 A KR 1020120025741A KR 20120025741 A KR20120025741 A KR 20120025741A KR 20130104335 A KR20130104335 A KR 20130104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fish
artificial bait
lure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조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조무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조무역
Priority to KR1020120025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4335A/ko
Publication of KR2013010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11Artificial bait for fishing flexible or with flexible appendages, e.g., w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어의 유인 능력이 우수한 인조미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인조미끼는 몸체(10)와 꼬리(20)를 포함하는 광어 형상이고, 몸체(10)의 꼬리부분 하반부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에어홀(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꼬리(20)에서 연장되는 투명꼬리부(22)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몸체(10)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측면에는, 몸체의 두께가 보강되는 비드부분(16)이 머리부분에 형성되고, 몸체의 일부를 절개한 슬릿부분(18)이 꼬리부분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낚시용 인조미끼{A Lure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인조미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액션의 연출을 통한 물고기의 섭이 활동을 유발하는 시각적 효과와 물고기의 측선을 통하여 감지하는 물의 파동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조미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실제 미끼를 사용하는 경우와 실제 미끼의 형상을 가지는 인조미끼(Lure)를 이용하는 것으로 대별될 수 있다. 인조 미끼를 사용하여 물고기를 낚는 것을 통상 루어 낚시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인조미끼는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하드베이트와, 연질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소프트 베이트로 나누어질 수 있다. 그리고 소프트 베이트 중에는 벌레 등의 형상을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만든 웜(Worm)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웜은 벌레 등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낚시용 바늘을 꿰어서 캐스팅한 후 릴링(reeling)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액션을 연출시킴으로써 물고기의 섭이 본능을 유발시켜 공격하게 하여 후킹을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루어낚시에서는 인조미끼, 즉 웜의 기능이 중요시 된다고 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시각적 효과를 들 수 있다. 시각적 효과란 물고기가 빨리 미끼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웜 자체의 액션이나 웜 주변 환경(예를 들면 기포를 발생시키는 등)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물고기에게 흥미를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시각적 효과 이외에도 물고기의 섭이 본능을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이면 더욱 효과적인 웜이라고 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루어는, 단순히 형상 또는 색깔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물고기의 시각적 본능에 호소하거나, 물고기의 본능과 관련하여 부상형 또는 침강형으로 구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루어 낚시에 있어서 물고기의 조과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물고기의 섭이 본능을 자극하여 공격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웜 자체의 액션을 화려하게 하는 것도 중요하고, 웜이 수면에 착수하여 침강하는 그 주변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이와 같은 시각적 효과뿐만 아니라 물고기가 자극 또는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각기관을 잘 이용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물고기에게 최대한의 시각적 또는 감각적 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인조미끼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환경에서는 조과가 가장 우수한 인조미끼를 제공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조미끼는, 몸체와 꼬리를 포함하는 광어 형상이고, 몸체의 꼬리부분 하반부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에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꼬리에서 연장되는 투명꼬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투명꼬리부에 의하여 조류 등에 의한 액션이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측면에는, 몸체의 두께가 보강되는 비드부분이 머리부분에 형성되고, 몸체의 일부를 절개한 슬릿부분이 꼬리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인조미끼는 소프트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인조미끼는, 에어홀의 존재로 인하여 침강시 경사진 상태의 침강 또는 불규칙한 움직임을 연출할 수 있어서, 물고기에게 시각적으로 어필할 수 있고, 비거리를 더욱 늘릴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투명꼬리부에 의하여 수중에서의 액션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파동에 의한 유인, 그리고 비거리 향상이라는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드부분 및 슬릿부분에 의하여, 바늘에 꿰어진 상태의 인조미끼를 정확한 원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날카로운 바늘 단부가 물고기를 후킹하기에 유리한 장점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조미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조미끼의 동작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조미끼의 평면 예시도.
본 발명의 사시도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인조미끼는 어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넙치와 같이 편평한 몸체(10)를 가지는 것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넙치, 도다리, 가자미 등과 같이 편평한 몸체(10)를 가지는 것을 넙치형상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인조미끼는 부드러운 재질에 속하는 소프트 베이트의 일종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인조미끼는 웜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조미끼의 몸체(10)의 양측에는 지느러미(12)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에어홀(14)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에어홀(14)은 몸체(10)의 가로방향을 중심으로 꼬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에어홀(14)은 몸체(10)의 꼬리부분 하단부에서도 지느러미(12)와 인접한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홀(14)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면 캐스팅 시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여 비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에어홀(14)은 몸체(10)를 중심으로 꼬리부분인 하반부에 집중하여 성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꼬리부분이 가볍게 된다. 따라서 캐스팅 후 수면에 도착하여 침강할 때, 기본적으로 몸체(10)의 머리 부분부터 가라앉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인조미끼는 머리 부분부터 가라앉게 되는데, 이는 경사진 상태로 가라 않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동시에 가라앉는 것에 비하여 물고기에게 시각적으로 눈에 띄게 되어, 액션 상으로도 유리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에어홀(14)에 물이 차면서 침강할 때, 에어홀의 내부를 통하는 물의 흐름 등에 의하여 불규칙적인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 역시 물고기를 시각적으로 유인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 또한 수면에 착지하여 침강하기 시작할 때, 상기 에어홀(14)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는 기포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러한 기포도 물고기를 시각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인조미끼는 투명꼬리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투명꼬리부(22)는 몸체(10)의 후단부에 형성된 꼬리(20)에서 연장 성형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꼬리부(22)는 꼬리(20)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투명꼬리부(22)는 실질적으로 투명하기 때문에 물고기의 눈에는 인식될 수 없다.
인조미끼가 자연상태에서 실제 취이하던 먹어감 보다 너무 크면 실질적으로 먹이 활동을 하는 물고기에게 부담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몸체(10) 및 꼬리(20)는 실제 먹이 활동을 하는 물고기가 한입에 삼킬 수 있을 정도의 적당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은 투명꼬리부(22)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투명꼬리부는 인조미끼 전체의 액션, 캐스팅시의 비거리 확보 등에 유리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즉 투명꼬리부(22)는 수중에서 물의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그와 연결된 꼬리(20) 및 꼬리와 연결된 몸체(10)에 조류에 의한 움직임을 연출하게 된다. 이러한 예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꼬리부(22)가 조류 또는 수중 물체에 반응하여 반복적으로 움직이게 되면 이러한 동작은 꼬리(20) 및 몸체(10)로 연결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움직임은 물고기를 유인하는 액션으로 작용하게 되어, 시각적으로 아주 좋은 유인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꼬리부(22)에서 기인하는 액션이 연출되면 이러한 액션은 실제로 수중에서 일정한 파장을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물고기는 측선을 통하여 압력 등과 같은 파장에 기인하는 요소들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명꼬리부(22)에 기인하여 형성되는 수중의 파장은 대상 물고기가 측선을 통하여 감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크기에 경계심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투명꼬리에 의하여 더욱 커진 수중의 파장으로 먹이감의 존재를 물고기에게 알리는 결과가 되어 실질적으로 대상어가 인조미끼에게 관심을 가지게 하는 좋은 결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투명꼬리부(22)도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은 당연한데, 투명고리부(22)의 존재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인조미끼의 무게도 늘어나는 것은 당연하다. 무게가 늘어나면 캐스팅시 비거리도 당연히 늘어나게 된다. 즉, 상기 투명꼬리부(22)에 의하여, 전체적인 비거리가 증가함과 동시에 물고기를 유혹하는 액션도 좋아짐에 비하여, 크기는 물고기가 섭이활동시 부담이 되지 않도록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3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인조미끼의 몸체(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측에는 비드부분(16) 길이 방향을 따라 성형되어 있다. 상기 비드부분(16)은 실제 몸체(10)의 두께보다 조금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볼록하게 돌출 성형된 부분이다. 이러한 비드부분(16)은 실질적으로 바늘을 인조미끼에 끼워서 캐스팅 등 동작을 수행할 때, 바늘이 끼워진 부분이 정확하게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10) 보다 좀 더 두껍게 형성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드부분(11)은 바늘이 끼워지는 부분의 주변부에만 일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인조미끼의 머리에 가까운 부분에만 일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드부분(16)이 형성된 부분의 꼬리 부분에는 몸체(10)의 일부를 절개하여 따낸 슬릿부분(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부분(18)은 인조미끼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부분 형성되고, 좁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슬릿부분(18)은 상대적으로 몸체(10)를 더욱 얇게 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슬릿부분(18)은 인조미끼의 몸체에 끼워지는 바늘의 미늘 및 날카로운 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바늘의 단부 및 미늘 등이 더욱 돌출되어 미세한 입질에도 충분히 후킹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소프트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본 발명의 인조미끼는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바늘이 관통한 상태로 사용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에 꿰어진 바늘(30)에서, 미늘을 포함하는 날까로운 단부, 즉 후킹이 시작되는 단부(32)는 상기 슬릿부분(18)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슬릿부분(18)에 바늘(30)의 단부(32)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바늘의 단부는 충분히 노출되거나 슬릿부분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물고기의 입질시 정확한 후킹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상기 슬릿부분(18)은, 단순히 몸체(10)의 일부를 절개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고, 몸체(10)의 일부분에 아주 좁은 폭을 가지는 슬릿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바늘(30)이 관통하는 몸체(10)의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드부분(16)이 되도록 하는 것이 사용상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몸체
12 ...... 지느러미
14 ..... 에어홀
20 ..... 꼬리
22 ..... 투명꼬리부
30 ..... 바늘

Claims (4)

  1. 몸체(10)와 꼬리(20)를 포함하는 광어 형상이고, 몸체(10)의 꼬리부분 하반부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에어홀(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미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꼬리(20)에서 연장되는 투명꼬리부(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조미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측면에는, 몸체의 두께가 보강되는 비드부분(16)이 머리부분에 형성되고, 몸체의 일부를 절개한 슬릿부분(18)이 꼬리부분에 형성되는 인조미끼.
  4. 제 3 항에 있어서, 소프트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인조미끼.


KR1020120025741A 2012-03-13 2012-03-13 낚시용 인조미끼 KR20130104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741A KR20130104335A (ko) 2012-03-13 2012-03-13 낚시용 인조미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741A KR20130104335A (ko) 2012-03-13 2012-03-13 낚시용 인조미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335A true KR20130104335A (ko) 2013-09-25

Family

ID=4945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741A KR20130104335A (ko) 2012-03-13 2012-03-13 낚시용 인조미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43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986A (ko) 2015-07-15 2017-01-25 영 균 김 기포 발생 기능을 갖는 루어
KR102099046B1 (ko) 2019-08-29 2020-04-08 함성국 낚시용 인조미끼
KR20240000496U (ko) 2022-09-07 2024-03-14 이병운 바늘분리조립형 두족류 채집 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986A (ko) 2015-07-15 2017-01-25 영 균 김 기포 발생 기능을 갖는 루어
KR102099046B1 (ko) 2019-08-29 2020-04-08 함성국 낚시용 인조미끼
KR20240000496U (ko) 2022-09-07 2024-03-14 이병운 바늘분리조립형 두족류 채집 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82464A1 (en) Artificial fish lures and methods
US7263798B2 (en) Removable head for a fishing lure
US9185891B2 (en) Instant response protective sinker and hook combination
US3760529A (en) Live bait holder
KR101144267B1 (ko)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US20120005944A1 (en) Frog Fishing Lure and Method of Use
US9615552B2 (en) Fishing lure
US4214396A (en) Fishing lures
JP6978919B2 (ja) ルアー
US20180027786A1 (en) Fishing Lure and Related Methods
US20180153147A1 (en) Fishing lure
US2955378A (en) Artificial fish lures
KR20130104335A (ko) 낚시용 인조미끼
US4477994A (en) Artificial fishing lures
US9485974B1 (en) Elastomeric cover for the weighted head of a jig-type fishing lure
US20160270379A1 (en) Fishing Hook with Moveably Attached Jighead
US3662485A (en) Fish lure
US20180125046A1 (en) Weedless fishing lure device
KR20080081128A (ko) 모조미끼
US20150264903A1 (en) Self-designed fishing lure
US20180014516A1 (en) Forward Gliding and Upward Reversing Fishing Lure
RU2011123602A (ru) Искусственная рыболовная приманка (варианты)
KR102261100B1 (ko) 낚시용 루어
US1336227A (en) Artificial floating fly and hook
KR101489690B1 (ko) 낚시용 인조미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