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976A - 저장식 전기온수기 - Google Patents

저장식 전기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976A
KR20130103976A KR1020120025058A KR20120025058A KR20130103976A KR 20130103976 A KR20130103976 A KR 20130103976A KR 1020120025058 A KR1020120025058 A KR 1020120025058A KR 20120025058 A KR20120025058 A KR 20120025058A KR 20130103976 A KR20130103976 A KR 20130103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emperature
heater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민
Original Assignee
세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5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3976A/ko
Publication of KR20130103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식 전기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온수기본체(10)와, 온수기본체(10) 내부에 일정량의 유체를 가열 보관할 수 있도록 냉수를 급수할 수 있는 냉수급수통로와 온수를 출수할 수 있는 온수출수통로를 갖춘 저장탱크(14)와, 저장탱크(14)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4) 내의 유체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부(30)를 포함하는 저장식 전기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본체(10) 상에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온수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다수의 조작버튼(51)이 마련되고, 상기 온수기본체(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저장탱크(14)의 온수온도에 따라 설정된 온도범위 간격으로 3색 엘이디(LED)에 의해서 색상별로 표시하는 면발광표시창(41)이 구비되는 저장식 전기온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냉수급수통로와 온수출수통로 사이를 연결하여 급수되는 냉수의 일부를 온수출수통로 쪽으로 바이패스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연결파이프(21)와, 상기 연결파이프(21)로부터 공급되는 냉수공급량과 저장탱크(14)로부터 출수되는 온수출수량을 자동으로 조절 혼합할 수 있도록 온수출수통로 상에 장착된 혼합조절밸브(22)를 포함하는 냉온수혼합부(20)가 온수기본체(10) 상에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기 설정한 온수온도에 맞춰 일정하게 온수를 출수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저장식 전기온수기{STORING TYPE ELECTRIC HOT WATER MACHINE}
본 발명은 저장식 전기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높은 온수에 의해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온수기 자체 내에서 온수와 냉수를 항상 사용자가 지정한 온수 사용온도에 맞춰 자동 혼합하여 배출하게 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최대 사용 온수량을 늘릴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 중인 온수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효율적인 온수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한 저장식 전기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난방 및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대부분 전기나 가스를 사용하는 보일러를 설치하고 있으나, 보일러는 설치비용에 경제적인 부담을 감수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보일러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는 가스 또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는 순간온수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순간온수기는 흐르는 유체(냉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써, 착화속도가 빠르고 높은 발열을 얻을 수 있으나, 역시 설치 비용이 부담스럽고 장시간 가열에 따른 가스 혹은 전기 사용량이 많아서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다.
또한, 전기를 사용하는 순간온수기의 경우, 순간적으로 높은 발열을 얻기 위해 높은 전기사용량을 요구하는 히터부를 두고 있어 전기 과부하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이 높으며, 과부하가 걸리면 누전차단기가 작동하여 전기를 차단함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순간온수기는 이동하는 유체(냉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해서 온수를 만들기 때문에 수압의 상태나 유체(냉수)의 유동량에 따른 온수 온도가 매우 유동적이라 사용상의 불편함과 함께 온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 순간온수기의 단점을 보완하여 경제적인 비용이 저렴하면서 전기 사용량이 순간온수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한 저장식 전기온수기가 개발되어 개시되고 있다.
그 예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54332호(2001.11.24.공고)에 저장식 전기 온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54332호에 개시된 저장식 전기 온수기는, 전면 커버(102)와 후면 커버(101)로 구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에 일정량의 유체를 항시 보관하고 입수관(140)과 출수관(146)을 포함하는 수조(136)와, 상기 수조(136)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수조(136)내의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히타(122)와, 상기 입수관(140)에 부착되고 상기 수조(136)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수압을 조절하는 제1안전장치(138)와, 상기 수조(136)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136)내의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유체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시 상기 히타(122)에 공급되는 전기를 단전시키는 온도조절부(104)와, 상기 수조(136) 일측벽에 설치되고 수조(136)내의 수압이 일정 수압 이상 시 수조(136)내의 수압을 조절하는 제2안전장치(12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본체(100)와 수조(136)사이에는 에폭시 재질의 보온재(134)를 배치하여 상승된 유체의 온도를 보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저장식 전기 온수기의 온수 공급 과정을 살펴보면, 유체(냉수)가 입수관(140)을 통해 본체(100) 내부의 수조(136)에 입수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유체는 히타(122)에 의해 일정 온도까지 가열되어 보온 상태로 보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 출수기(148)에 구비된 출수기버튼(370)을 누르면, 저장되어 있는 온수가 출수관(146)을 통하여 배수되며, 이렇게 가열된 온수를 사용하면, 온수 사용량만큼의 유체가 입수관(140)을 통해서 수조(136)에 보충된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보충되는 유체는 일정온도까지 가열됨으로써, 항시 가열된 일정량의 온수를 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현재 국내에 유통 생산되고 있는 저장식 전기온수기는 내통이 스테인레스 소재로 프레스 가공하여 용접하는 방법으로 가공하고, 수입 제품은 강철통에 에나멜 코팅을 입힌 법랑으로 되어있다.
게다가 냉수가 직결식으로 연결되어 일정 용량으로 저장되어 있는 것을 바이메탈 방식으로 히터부를 직접 제어하여 사용자가 온도를 설정한 온도로 가열하여 보온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이때, 설정온도는 대부분 80℃ 까지 올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순간적으로 뜨거운 물에 의해 화상에 우려가 있어 60℃ 이하로 권장하고 있다.
종래 전기온수기의 사용 환경을 고려할 때, 예를 들면, 15 리터(ℓ)의 용량으로 설계된 전기온수기에서 60℃로 가열하여 저장한 경우, 사용자가 뜨거운 온수에 화상을 입을 것을 우려하여 보통 40℃ 안팎의 온수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 냉온수전을 이용하여 온수와 냉수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바, 냉수전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의 온도가 보통 15℃임을 감안할 때, 냉수와 온수를 섞어 쓴다고 가정하면 실제 사용량은 최대 27 리터(ℓ)가 된다.
하지만 이것도 60℃의 물이 고스란히 섞였을 때를 가정한 것이므로 실제 상황과는 다르다. 냉수가 온수를 사용하는 과정 중에 저장탱크에 공급되면서 온수의 온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실제로 저장식 전기온수기를 사용할 경우 저용량(15 리터)의 경우는 40℃ 안팎의 온수 15리터(ℓ) 정도가 된다. 게다가 온수 사용자는 사용도중 온수의 온도변화를 느끼게 되어 계속 온수/냉수 혼합밸브를 조정해야 할 것이고 이 과정에서 온수를 낭비하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저장식 온수기의 또 하나의 단점은 소비자가 설정한 온도가 얼마인지 나타나있지 않고 그리고 사용 중에 온수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인지할 수 없어 온수 사용 중에 얼마만큼의 온수가 남아 있는지 알 수 없어 효율적인 온수 사용을 할 수 없고, 온수 사용 중 갑자기 온수가 끊기고 냉수가 나오는 경험을 하게 되어 당황하게 된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54332호(2001.11.24. 공고, 명칭: 저장식 전기 온수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저장식 전기온수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높은 온수에 의해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온수기 자체 내에서 온수와 냉수를 항상 사용자가 지정한 온수 사용온도에 맞춰 자동 혼합하여 배출하게 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최대 사용 온수량을 늘릴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 중인 온수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효율적인 온수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한 저장식 전기온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온수기본체와, 온수기본체 내부에 일정량의 유체를 가열 보관할 수 있도록 냉수를 급수할 수 있는 냉수급수통로와 온수를 출수할 수 있는 온수출수통로를 갖춘 저장탱크와, 저장탱크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탱크 내의 유체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부를 포함하는 저장식 전기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본체 상에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온수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다수의 조작버튼이 마련되고, 상기 온수기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저장탱크의 온수온도에 따라 설정된 온도범위 간격으로 3색 엘이디(LED)에 의해서 색상별로 표시하는 면발광표시창이 구비되는 저장식 전기온수기를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수급수통로와 온수출수통로 사이를 연결하여 급수되는 냉수의 일부를 온수출수통로 쪽으로 바이패스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냉수공급량과 저장탱크로부터 출수되는 온수출수량을 자동으로 조절 혼합할 수 있도록 온수출수통로 상에 장착된 혼합조절밸브를 포함하는 냉온수혼합부가 온수기본체 상에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기 설정한 온수온도에 맞춰 일정하게 온수를 출수할 수 있도록 된 저장식 전기온수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온수혼합부에는 상기 혼합조절밸브의 밸브 개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축 상에 배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정, 역회전 가능하게 연결 배치되는 원호형 밸브조절기어와, 상기 원호형 밸브조절기어의 중심 회동점에 연결 배치되어 회전 연동되면서 혼합조절밸브의 반원형 차단만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밸브개폐축과, 상기 혼합조절밸브에 의해 온수 및 냉수가 혼합된 후 혼합 출수되는 온수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온수출수통로 상에 장착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 내의 온수온도는 제조시 설정된 최대온도(예를 들어, 최대온도 80℃)로 항시 유지 및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히터부에 마련된 시이즈 히터가 기 설정된 온도변화 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반복 작동되어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기본체의 외주면에 저장탱크의 온수온도에 따라 설정된 온도범위 간격으로 3색 엘이디(LED)에 의해서 색상별로 표시하는 면발광표시창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 중인 온수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효율적인 온수 사용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 설정한 온수온도에 맞춰 일정하게 온수를 출수할 수 있도록 온수기본체 내의 냉수급수통로와 온수출수통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냉수공급량과 저장탱크로부터 출수되는 온수출수량을 자동으로 조절 혼합하는 혼합조절밸브를 포함하는 냉온수혼합부를 구비함으로서, 사용자가 높은 온수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전기온수기 자체 내에서 온수와 냉수를 항상 설정된 온도로 자동 혼합하여 배출하게 함에 따라 안전하면서도 최대 사용 온수량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르면, 냉수만 나오는 단수전을 사용하던 사용자가 전기온수기를 설치할 때, 전기온수기 설치와 별도로 냉온수 수전으로 교체하거나 온수용 단수전을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냉수만 사용하던 수전에서도 별도의 추가 비용 없이 전기온수기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저장용량으로도 가열 및 사용 조건에 따라 사용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현재의 15리터(ℓ) 저장식 전기온수기의 사용 환경을 개선하여 10리터(ℓ) 용량의 전기온수기로도 구현하도록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고, 이는 저장식의 최대 단점인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온수기본체의 외주면을 마우스 형상과 같이 미려한 곡면을 갖도록 설계함으로써, 벽걸이형으로 거치하여도 외관이 수려하여 인테리어 효과가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 현재 유통되는 용량이 15리터(ℓ)에 히터 1.5kW를 사용하여 60℃까지 약 40분이 소요되지만, 용량은 10리터(ℓ)로 줄이고 히터를 2.0kW를 사용함으로써 60℃까지 약 20분이 소요되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하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특히, 저용량 온수기(15리터 이하)의 경우, 저장 용량이 작아 저장하는 물의 양이 최대 15kg이므로 굳이 스테인레스 또는 법랑으로 내통을 만들 필요가 없어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열수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폴리에틸렌 혼합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혼합물로 사출 성형 또는 블로우 성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54332호에 개시된 저장식 전기 온수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저장식 전기 온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저장식 전기 온수기의 사용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의 외관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의 전면커버를 벗겨낸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의 히터부 구성을 보여주는 내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에 장착되는 자동 혼합조절밸브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에 장착되는 자동 혼합조절밸브를 보여주는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가 벽면에 장착되어 냉수급수관 및 온수배출관에 연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는 필요로 하는 온수의 저장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구성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로써 온수의 저장량이 15리터(ℓ) 이하의 저용량 저장식 전기온수기를 예로 하며, 이처럼 저용량인 관계로 설치 방식에서도 벽면 등에 걸어서 장착할 수 있는 벽걸이형 저장식 전기온수기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저장식 전기온수기의 전면, 배면, 저면, 하단과 같은 방향을 지칭하는 설명은 저장식 전기온수기가 벽면에 장착된 상태를 고려하여 그 위치 관계에 따라 부여된 것임으로, 첨부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를 참조하면 이를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이 추구하는 사상은 첨부도면에 의해 도시되고 이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될 벽걸이형 저장식 전기온수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의 외관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1)는 통상적인 저장식 전기온수기가 갖추어야할 기본적인 구성을 갖추고 있다.
즉,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1)는 일정량의 온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20)를 형성하는 중간커버(13)와, 상기 중간커버(13)를 감싸고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커버(11) 및 배면커버(12)를 포함함으로써, 일정한 체적을 갖춘 온수기본체(1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커버(11) 및 배면커버(12)와, 저장탱크(20)를 형성하는 중간커버(13)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은 보온재를 충진함으로써, 가열된 온수가 저장탱크(20)에 저장된 상태에서 온수의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온수기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커버(11)는 배면커버(12)의 전면에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유연하게 곡면진 형상을 취함으로써 대략적으로 컴퓨터용 마우스 형상을 갖는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1)의 외관이 부드러운 곡면 형태를 갖는 마우스 형상의 외관 구조를 취함으로써, 소비자(사용자)에게 안전하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어필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벽걸이형으로 설치했을 때 인테리어 효과를 갖도록 외관을 미려하게 설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기본체(10)가 벽면에 장착되었을 때, 온수기본체(10)의 최하단부에 해당하는 온수기본체(10)의 하단 둘레면에는 저장탱크(14) 내로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수연결구(15)와, 저장탱크(14) 내에서 가열된 온수를 출수할 수 있는 온수연결구(16)가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이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수연결구(15)는 저장탱크(14)에 일체로 관통 연결된 냉수급수구(17)와의 사이에 냉수 급수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수연결구(16)는 저장탱크(14)에 일체로 관통 연결된 온수출수구(18)와의 사이에 온수 출수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커버(13)의 일측 부위에는 저장탱크(14) 내 냉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부(30)가 마련되어 있는 바, 상기 히터부(30)에는 저장탱크(14) 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시이즈 히터(3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시이즈 히터(31)는 전원 공급에 따라 저장탱크(14) 내에 공급되는 냉수 및 저장탱크(14) 내에서 저장된 온수를 지속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조시 설정된(혹은 셋팅된) 최대 80℃까지 온수를 가열하여 항시 80℃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시이즈 히터(31)는 주지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열선인 관계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제품 사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30)에는 저장탱크(14)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도시되지 않은 온도게이지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1)의 차별화된 기능의 한 가지로써, 사용자가 사용 중인 온수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효율적인 온수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추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1)는 전면커버(11) 면에 3색 엘이디(LED)를 이용한 면발광 조명을 사용하여 저장탱크(14)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커버(2)의 전면 일측에는 엘이디(LED)에 의해 구현되는 면발광표시창(41)이 마련되어 있고, 이 면발광표시창(41) 부근에 사용자가 직접 온수온도 설정 및 전원 공급 여부를 선택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조작버튼(5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면발광표시창(41)에서는 약 10℃의 온도범위 간격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온수온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고, 그 중앙에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온도를 디지털 방식의 수치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창(예를 들어, 첨부도면에 나타난 57℃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온도가 수치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면발광표시창(41)에서 구현되는 색상은 70℃초과 ~ 80℃: 빨강, 60℃초과 ~ 70℃: 주황, 50℃초과 ~ 60℃: 노랑, 40℃초과 ~ 50℃: 연두색, 30℃초과 ~ 40℃: 초록색, 20℃초과 ~ 30℃: 파랑색 등과 같은 방식으로, 저장탱크(14) 내의 온수온도에 따라 면발광표시창(41)이 점진적으로 색상 변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때, 상기 히터부(30)의 시이즈 히터(31) 작동 시에만 조명이 자동으로 켜지도록 하고, 시이즈 히터(31) 작동이 멈추면 잠시 후 자동 소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색상별 온도범위는 약 10℃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온도범위를 구획하여 설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온도범위별 색상 또한 상기 예시에 나타난 색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3색 엘이디(LED)를 면발광조명기판(도시안됨)에 회로 설계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는 면발광 조명은 이미 주지 관용적인 기술인 관계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3색 엘이디(LED)를 이용한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는 면발광 조명을 구현하는 조건(변수)으로, 저장탱크(14) 내의 온수온도를 도시되지 않은 온도게이지로 감지하고, 이 감지된 온수온도를 변수로 하여 면발광표시창(41)에서 색상별로 온수온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발광조명기판(도시안됨)을 상기 중간커버(13)의 일측에 마련된 엘이디기판장착부(40) 상에 장착 구현하고 있다는 데 그 기능적 특징을 두고 있는 것이다.
상기 조작버튼(51)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시이즈 히터(31)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시이즈 히터(31)의 작동을 자동 혹은 반자동 모드로 설정하거나, 소비자가 사용하고 싶은 온수온도를 조절 설정할 수 있는 버튼들로써, 이러한 조작버튼(51)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매우 보편화된 기술사항임으로, 여기서는 첨부도면에 나타난 4개의 버튼으로 조작버튼(51)이 구현된 것을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하기로 한다.
이러한 다수의 조작버튼(51)은 상기 엘이디기판장착부(40)에 설치되는 면발광 조명기판(도시안됨)과 연계되어 작동하도록 구현되는 관계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이디기판장착부(40)와 인접하여 조작버튼장착부(50)가 마련됨은 당연하다.
이렇게 상기 면발광표시창(41)에서 온수온도를 색상별로 표시 구현하는 기능을 통해서 소비자는 저장탱크(14) 내의 온수온도를 멀리서도 한 눈에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현재 전기온수기(1)가 내가 원하는 사용량을 준비하고 있는 지를 사용 전에 파악하여 사용 시점을 조절할 수 있고, 사용 중에도 온수의 상태를 감지하고 사용량을 계획적으로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저장식 전기온수기(1)는 최대 80℃까지 온수를 가열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됨으로써, 저장탱크(14) 내의 온수온도가 80℃에 도달하면, 상기 히터부(30)의 시이즈 히터(31)의 작동은 자연스럽게 정지하게 되고, 상기 면발광표시창(41)은 파란색 조명으로 색상을 표시하고 있다가 시이즈 히터(31)가 멈추게 됨에 따라 자동 소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버튼(51) 중 버튼 조작을 통해서 시이즈 히터(31)가 가동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탱크(14) 내의 온수온도는 제조시 항상 최대온도(예를 들어, 80℃)까지 가열하여 저장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저장탱크(14)의 온수온도가 임의의 온도(예를 들어, 70℃)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자동으로 시이즈 히터(31)가 작동하여 80℃까지 온수를 가열하고, 온수온도가 80℃에 도달하면, 시이즈 히터(31)의 작동이 멈추게 되며, 이 상태에서 저장탱크(14) 내의 온수 온도는 자연적으로 서서히 자연 냉각되어 70℃에 도달하면, 다시 시이즈 히터(31)가 작동하여 온수를 가열하는 상기 작업을 자동적으로 반복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온수 사용을 위해 시이즈 히터(31)의 전원을 온(ON)하여 시이즈 히터(31)를 작동시키게 되면, 자연스럽게 저장탱크(14) 내의 온수온도에 따라 상기 면발광표시창(41)의 색상이 표시되게 되고, 사용자는 표시되는 색상에 따라 저장탱크(14) 내 온수온도를 시각적으로 인지하여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1)는, 항상 제조시 설정된(혹은 셋팅된) 최대온도(예를 들어, 80℃)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관계로, 사용자가 높은 온수에 의해 화상을 입을 우려가 높았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온수기본체(10) 내에서 항상 최대온도 상태의 온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온수기본체(10) 내의 온수공급통로 상에 냉수가 자동으로 공급되어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온수배출관(60) 쪽에서는 사용자가 조작버튼(51)을 통해 지정한 사용 온수온도에 맞춰 항상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항상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온수온도로 사용할 수 있게 온수와 냉수가 자동 혼합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냉온수혼합부(20)를 온수기본체(10) 내의 온수공급통로 상에 구비함으로써, 보다 안전하면서도 최대 사용 온수량을 늘릴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1)에 마련된 냉온수혼합부(20)에는, 연결파이프(21), 혼합조절밸브(22), 전동모터(23), 구동기어(24), 밸브조절기어(25), 판상브라켓트(26), 밸브개폐축(27), 온도센서(28) 등을 갖추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파이프(21)는 냉수연결구(15)를 통해 공급되는 냉수가 온수연결구(16)를 통해 출수되는 온수와 혼합될 수 있도록 냉수연결구(15) 쪽과 온수연결구(16) 쪽 사이에 각각 T자형으로 바이패스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혼합조절밸브(22)는 기계식 개폐를 통해서 온수와 냉수를 설정된 온도로 적절하게 혼합할 수 있는 밸브로써, 상기 혼합조절밸브(22)에는 밸브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냉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원호형 밸브조절기어(25)가 밸브개폐축(27)을 중심으로 정, 역회전 가능하게 연결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동모터(23)에는 상기 밸브조절기어(25)를 정,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밸브조절기어(25)와 맞물리는 구동기어(24)가 연결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파이프(21)로 연결된 온수연결구(16) 쪽의 온수출수통로 상에는 전동모터(23)에 의해 작동되어 냉수와 온수를 자동으로 혼합할 수 있는 혼합조절밸브(22)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온수연결구(16) 방향에는 온도센서(28)를 설치하여 출수되는 온도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온도센서(28)에서 감지된 출수되는 온수온도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가 일치할 수 있도록 전동모터(23)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돌면서 혼합조절밸브(22)를 조절하여 온수량과 냉수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조절밸브(22), 전동모터(23), 구동기어(24), 밸브조절기어(25)는 판상브라켓트(26)에 의해 상호 대향되게 유기적으로 배치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상브라켓트(26)의 저면 쪽에 전동모터(23)가 배치되고, 전동모터(23)의 구동축 상에 구동기어(24)가 연결 배치되는 바, 상기 구동기어(24)는 판상브라켓트(26) 상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판상브라켓트(26)의 상면에 관통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어(24)가 배치된 판상브라켓트(26)의 동일평면 상에 원호형 밸브조절기어(25)가 밸브개폐축(27)을 중심으로 구동기어(24)와 맞물린 상태로 배치된다.
이처럼, 상기 냉수연결구(15)쪽의 냉수급수통로와 온수연결구(16)쪽의 온수출수통로 사이에 연결파이프(21)와 혼합조절밸브(22)가 마련됨으로써, 냉수연결구(15) 쪽으로 급수되는 냉수 중 일부가 연결파이프(21)를 통해서 온수출수구(18)를 통해 출수되는 온수 쪽으로 공급되어 서로 혼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조절밸브(22)의 밸브개폐축(27) 상에는 온수출수구(18)를 통해 출수되는 온수가 연결파이프(21) 쪽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온수출수통로를 차단하는 대략 반원형 차단막 구조가 연결 배치되는 갖추고 있으며, 상기 밸브개폐축(27)에 연결된 반원형 차단막이 온수출수통로를 얼마나 차단하고, 연결파이프(21)를 통해 공급되는 냉수의 흐름 통로를 얼마나 개방하느냐에 따라 온수와 냉수의 혼합량이 결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모터(23)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써, 상기 전동모터(23)는 온수출수구(18)를 통해 저장탱크(14)로부터 출수되는 온수가 기 설정된 온수온도(면발광표시창(41)에 수치로 나타나는 설정온도)로 일정하게 출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8)의 감지 신호에 따라 혼합조절밸브(22)의 밸브 개폐 정도를 자동으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부(도시안됨)의 제어를 통해서 정,역회전 방향(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제어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에서 제조시 셋팅된 저장탱크(14)의 온수온도가 항상 최대 80℃로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에서는 항상 80℃로 가열된 온수가 저장탱크(14)로부터 제공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80℃의 온수를 그대로 사용하고자 조작버튼(51)을 통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온수온도를 80℃로 설정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혼합조절밸브(22)가 완전히 폐쇄되어 연결파이프(21)를 통해 냉수가 온수 쪽으로 혼합되지 못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저장탱크(14)의 온수출수구(18)를 거쳐 온수연결구(16)로 출수되는 온수온도는 최대 80℃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온수온도를 조작버튼(51)을 통해서 57℃ 정도로 설정한 상태에서 온수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전동모터(23)가 구동하여 구동기어(24)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구동기어(24)의 회전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밸브조절기어(25)가 시계방향 쪽으로 약간씩 회전 이동함과 동시에 밸브개폐축(27)이 회전하여 반원형 차단막이 연결파이프(21)의 냉수 흐름통로를 개방하여 냉수를 공급함과 아울러 온수출수통로를 약간 좁혀서 온수의 출수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처럼, 온수의 출수량과 냉수의 공급량이 조절되어 온수연결구(16) 쪽에서 적절하게 혼합 출수되면, 이때, 온수연결구(16) 쪽에 배치된 온도센서(28)가 이를 감지하여 냉수와 혼합되어 출수되는 실질적인 온수온도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설정한 온수온도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게 된다.
이 판단에 따라 설정온도와 동일하면, 밸브조절기어(25)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회전량은 현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설정온도보다 출수되는 온수온도가 더 높게 되면, 밸브조절기어(25)가 시계방향으로 좀 더 회전하여 냉수 공급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온수 출수량을 줄여주게 되며, 설정온도보다 출수되는 온수온도가 더 낮게 되면, 밸브조절기어(25)를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 이동하여 냉수 공급량을 줄여 줌과 동시에 온수 출수량을 늘려 온수연결구(16)로 출수되는 온수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순간적으로 반복 시행됨으로써, 온수와 냉수가 적절히 혼합됨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온수온도 57℃에 맞춰 온수연결구(16)로 출수됨으로써, 사용자는 항상 안전하게 원하는 온수온도로 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기온수기(1)의 저장탱크(14) 내에 저장된 온수온도를 소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가능한 높게 설정(예를 들어, 무조건 80℃로 유지)하여 온수열량을 최대로 저장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저장탱크(14) 내의 온수가 그대로 출수 되면, 순간적으로 높은 온수(예를 들어, 저장된 온수온도 80℃)에 의해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전기온수기(1) 자체의 냉온수혼합부(20)에서 온수와 냉수가 항상 사용자가 조작버튼(51)을 조작하여 지정하는 원하는 사용온도에 맞춰 자동으로 혼합하여 배출하게 됨으로써,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냉온수혼합부(20)에서 온수와 냉수가 항상 자동 혼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온수 사용온도(설정온도)로 온수가 공급되게 되면, 최대 사용 온수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종래 저장식 전기온수기의 경우, 화상 우려로 인해서 15 리터(ℓ)의 용량으로 설계된 전기온수기에서 대략 60℃로 가열하여 저장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이와 같은 종래 저장식 전기온수기에서 사용자가 보통 40℃ 안팎의 온수를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냉온수용 수전을 갖추고 있다는 전제하에서 수동으로 냉온수용 수전을 조절하여 공급되는 온수온도를 조절하다고 가정한다.
이때, 냉수전으로 공급되는 냉수의 온도가 보통 15℃임을 감안할 때, 냉수와 온수를 섞어 쓴다고 가정하면, 실제 사용량은 최대 27 리터(ℓ)가 된다. 즉, "열량 = 유량 × 밀도 × 비열 × 온도변화량"이라는 수식을 이용하여 냉수량을 구하면, 냉수량은 12리터가 되고, 결과적으로 온수량과 냉수량을 합치면 최대 27 리터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온수 사용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범위 내에서 온수와 냉수가 자동으로 혼합되어 공급되는 관계로, 화상 우려가 없어 저장탱크(14) 내에서 최대 80℃까지 온수를 가열 저장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종래와 동일 조건으로 40℃의 온수를 사용한다고 하면, 상기 수식에 의하여 80℃의 온수 15리터(ℓ)와 15℃의 냉수 24리터(ℓ)를 혼합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최대 39리터(ℓ)를 사용하는 효과가 있는 관계로, 대략 144%의 효율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혼합조절밸브(22)를 이용하여 항상 자동으로 온수와 냉수를 혼합하여 사용자가 지정하는 일정한 온도(설정온도)의 온수를 공급하기 때문에, 종래 온수온도를 맞추기 위해 냉온수용 수전을 수동으로 사용자가 조절하는 과정에서 온수를 흘려보내는 낭비가 없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1)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1)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걸쇠와 지지대 등을 이용하여 예컨데 목욕실, 씽크대 하부, 그리고 세면대 하부 등의 벽면(W)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배출관(60), 냉수급수관(70), 외부 전원에 전원선(80)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저장식 전기온수기(1)는 냉수급수관(70)과 냉수연결구(15)를 상호 연결하여 냉수가 저장탱크(14)의 내부로 급수되어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저장탱크(14)에 저장된 물(냉수)은 시이즈 히터(31)에 의해 일정 온도(예를 들어, 최대 80℃)까지 가열하여 보온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1)에서 저장탱크(14)의 내부에 저장된 온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온수꼭지 또는 샤워기(도시안됨)을 조작하게 되면, 온수가 온수출수구(18)와 온수연결구(16)를 거쳐 온수배출관(60)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14) 내에서는 항상 80℃로 가열 저장된 온수가 온수출수구(18)를 통해 공급되게 되는바, 사용자가 80℃의 온수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화상을 입을 개연성이 높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에서는 미리 사용자가 조작버튼을 통해서 사용을 원하는 온수온도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온수온도를 40℃로 조작버튼(51)을 통해서 지정하게 되면, 상기 저장탱크(14)에서 항상 80℃로 온수를 공급하더라도 온수기본체(10) 내의 온수공급통로 상에서 상기 80℃의 온수에 사용자가 지정한 40℃의 온수온도로 떨어뜨릴 수 있는 만큼의 냉수가 순간적으로 공급되어 자동 혼합됨으로써, 온수연결구(16) 쪽으로 빠져나오는 온수온도는 40℃를 유지한 체로 온수배출관(60)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온수연결구(16) 쪽으로 빠져나오는 온수온도는 온도센서(28)에서 온도를 감지하게 되고, 이 온도센서(28)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온수와 냉수의 혼합량이 적절히 조절되게 된다.
특히, 혼합조절밸브(22)에 도달하는 온수의 유량은 최대로 설정된 온수(예를 들어, 80℃) 상태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온수출수구(18)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에 혼합되는 냉수 공급량이 하나의 변수로 작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하는 온수온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는바, 이와 같은 조절작업은 사전에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서 일정 정도 데이터화되어 자동으로 제품 내에 프로그램화됨으로써, 상기 혼합조절밸브(22)의 개폐량이 사용자가 지정하는 온수온도에 따라 어느 정도 결정되게 된다.
물론, 공급되는 냉수 온도에 따라 냉수 공급을 위한 혼합조절밸브(22)의 개폐량에 오차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순간순간 온수와 냉수가 자동으로 혼합되어 온수연결구(16)로 빠져나갈 때의 온수온도를 온도센서(28)에서 감지함에 따라 그 감지된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혼합조절밸브(22)의 개폐량이 보정되게 된다.
예를 들어, 냉수 공급량을 결정하는 변수로써 공급되는 냉수온도까지도 감안할 수 있도록 냉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도시안됨)를 갖추게 되면, 혼합조절밸브(2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데 있어서 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음은 당연하나, 그에 따른 부품수 증가 및 제어 기능 부가에 따른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가열된 온수를 사용하면, 사용량만큼의 냉수가 냉수급수관(70)과 냉수연결구(15)을 거쳐 냉수급수구(17)를 통해 저장탱크(14)의 내부에 공급되어 보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장식 전기온수기(1)의 경우, 자동모드 상태에서는 저장탱크(14)의 온수온도가 항상 80℃를 유지하도록 지속적으로 시이즈 히터(31)의 온(ON)/오프(OFF)가 반복되어 저장탱크(14)의 내부에 공급되거나 저장된 물(냉수 또는 온수)을 반복적으로 가열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열된 온수온도에 따라 전면커버(11)에 배치된 면발광표시창(41)에서 온수온도에 따른 색상에 맞춰 면 발광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용이하게 저장탱크(14) 내의 온수온도를 인지하여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에 도시되고 미설명부호 29는 접촉센서(29)로써, 밸브조절기어(25)의 반시계 방향 회전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고, 32는 배선통로(32)로써, 온수기본체 내부에서 각 부품간의 연결을 위한 전선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통로로 이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냉수만 나오는 단수전을 사용하던 사용자가 전기온수기를 설치할 때, 전기온수기 설치와 별도로 냉온수 수전으로 교체하거나 온수용 단수전을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냉수만 사용하던 수전에서도 별도의 추가 비용 없이 전기온수기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저장용량으로도 가열 및 사용 조건에 따라 사용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현재의 15리터(ℓ) 저장식 전기온수기의 사용 환경을 개선하여 10리터(ℓ) 용량의 전기온수기로도 구현하도록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고, 이는 저장식의 최대 단점인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벽걸이형으로 거치하여도 인테리어 효과가 날 수 있도록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유통되는 용량이 15리터(ℓ)에 히터 1.5kW를 사용하여 60℃까지 약 40분이 소요되지만, 용량은 10리터(ℓ)로 줄이고 히터를 2.0kW를 사용함으로써 60℃까지 약 20분이 소요되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하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특히, 저용량 온수기(15리터 이하)의 경우, 저장 용량이 작아 저장하는 물의 양이 최대 15kg이므로 굳이 스테인레스 또는 법랑으로 내통을 만들 필요가 없어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열수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폴리에틸렌 혼합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혼합물로 사출 성형 또는 블로우 성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 : 전기온수기 10 : 온수기본체
11 : 전면커버 12 : 배면커버
13 : 중간커버 14 : 저장탱크
15 : 냉수연결구 16 : 온수연결구
17 : 냉수급수구 18 : 온수출수구
20 : 냉온수혼합부 21 : 연결파이프
22 : 혼합조절밸브 23 : 전동모터
24 : 구동기어 25 : 밸브조절기어
26 : 판상브라켓트 27 : 밸브개폐축
28 : 온도센서 29 : 접촉센서
30 : 히터부 31 : 시이즈 히터
32 : 배선통로 40 : 엘이디기판장착부
41 : 면발광표시창 50 : 조작버튼장착부
51 : 조작버튼 60 : 온수배출관
70 : 냉수급수관 80 : 전원선

Claims (4)

  1. 온수기본체(10)와, 온수기본체(10) 내부에 일정량의 유체를 가열 보관할 수 있도록 냉수를 급수할 수 있는 냉수급수통로와 온수를 출수할 수 있는 온수출수통로를 갖춘 저장탱크(14)와, 저장탱크(14)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4) 내의 유체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부(30)를 포함하는 저장식 전기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본체(10) 상에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온수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다수의 조작버튼(51)이 마련되고,
    상기 온수기본체(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저장탱크(14)의 온수온도에 따라 설정된 온도범위 간격으로 3색 엘이디(LED)에 의해서 색상별로 표시하는 면발광표시창(4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식 전기온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급수통로와 온수출수통로 사이를 연결하여 급수되는 냉수의 일부를 온수출수통로 쪽으로 바이패스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연결파이프(21)와, 상기 연결파이프(21)로부터 공급되는 냉수공급량과 저장탱크(14)로부터 출수되는 온수출수량을 자동으로 조절 혼합할 수 있도록 온수출수통로 상에 장착된 혼합조절밸브(22)를 포함하는 냉온수혼합부(20)가 온수기본체(10) 상에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기 설정한 온수온도에 맞춰 일정하게 온수를 출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식 전기온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혼합부(20)에는 상기 혼합조절밸브(22)의 밸브 개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동모터(23)와, 상기 전동모터(23)의 구동축 상에 배치되는 구동기어(24)와, 상기 구동기어(24)와 맞물려 정, 역회전 가능하게 연결 배치되는 원호형 밸브조절기어(25)와, 상기 원호형 밸브조절기어의 중심 회동점에 연결 배치되어 회전 연동되면서 혼합조절밸브(22)의 반원형 차단만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밸브개폐축(27)과, 상기 혼합조절밸브(22)에 의해 온수 및 냉수가 혼합된 후 혼합 출수되는 온수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온수출수통로 상에 장착되는 온도센서(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식 전기온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14) 내의 온수온도는 제조시 설정된 최대온도로 항시 유지 및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히터부(30)에 마련된 시이즈 히터(31)가 기 설정된 온도변화 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반복 작동되어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식 전기온수기.
KR1020120025058A 2012-03-12 2012-03-12 저장식 전기온수기 KR20130103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058A KR20130103976A (ko) 2012-03-12 2012-03-12 저장식 전기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058A KR20130103976A (ko) 2012-03-12 2012-03-12 저장식 전기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976A true KR20130103976A (ko) 2013-09-25

Family

ID=4945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058A KR20130103976A (ko) 2012-03-12 2012-03-12 저장식 전기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39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123A (ko) * 2017-05-29 2018-12-07 권기복 실시간 수질 감시 및 수질 개선 로봇
CN110056683A (zh) * 2019-05-22 2019-07-26 世保康环境电器(南京)有限公司 一种顶出式出水方式的双切双温控制龙头
KR20200086073A (ko)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귀뚜라미 순간 가열 기능을 갖는 저장식 온수기
KR102176153B1 (ko) * 2020-02-10 2020-11-09 이병교 다이렉트 온수 제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123A (ko) * 2017-05-29 2018-12-07 권기복 실시간 수질 감시 및 수질 개선 로봇
KR20200086073A (ko)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귀뚜라미 순간 가열 기능을 갖는 저장식 온수기
CN110056683A (zh) * 2019-05-22 2019-07-26 世保康环境电器(南京)有限公司 一种顶出式出水方式的双切双温控制龙头
CN110056683B (zh) * 2019-05-22 2024-01-26 世保康环境电器(南京)有限公司 一种顶出式出水方式的双切双温控制龙头
KR102176153B1 (ko) * 2020-02-10 2020-11-09 이병교 다이렉트 온수 제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1108B (fi) Lämpimän veden automaattinen syöttölaite
US8833670B2 (en) Intelligent thermostatic water outflowing device
CN108953749B (zh) 一种淋浴控制系统
EP3333493B1 (en) Water circulation module and hot water system using the same
KR20130103976A (ko) 저장식 전기온수기
EP3697972B1 (en)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shower system
US20060022062A1 (en) On-cue hot-water circulator
US20220170246A1 (en) Device for a shower, consisting of a housing, a temperature controller, an lcd screen, a led ring, two opening taps; a hot and cold water inlet; a three-way valve, a flowmeter connected to a pump; a thermostatic valve, a servomotor; and an integrated circuit card; method
WO2009135434A1 (zh) 智能供水中央处理器及水龙头
US10466725B2 (en) Device for controlling water heater
KR20150025785A (ko) 직수형 전기 순간온수기
CN211372786U (zh) 水温控制装置及热水器
KR20160072566A (ko) 온도센서와 펌프를 이용한 온수조절 밸브 시스템
CN204438540U (zh) 电热水器系统及电热水器的恒温控制装置
CN212619351U (zh) 集成式进出水装置及热水器
CN211345878U (zh) 一种调节温度的燃气热水器系统
CN111219866A (zh) 一种含独立调节温度水龙头的燃气热水器系统
RU174451U1 (ru) Устройство экономного потребления воды
KR101028404B1 (ko) 가스전기 일체형 레인지
CN211345809U (zh) 一种含独立调节温度水龙头的燃气热水器系统
EP3736387A1 (en) Automatic faucet
CN211345825U (zh) 一种调节温度的燃气壁挂炉系统
JP2004251519A (ja) ガス調理機器
EP3879926B1 (en) Heating cartridge for a dispensing assembly and dispensing assembly comprising said heating cartridge
CN216361152U (zh) 一种水温调节快的水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