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2875A - 전기 음향 변환기 - Google Patents

전기 음향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2875A
KR20130102875A KR1020120024042A KR20120024042A KR20130102875A KR 20130102875 A KR20130102875 A KR 20130102875A KR 1020120024042 A KR1020120024042 A KR 1020120024042A KR 20120024042 A KR20120024042 A KR 20120024042A KR 20130102875 A KR20130102875 A KR 20130102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link
electroacoustic transducer
presen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현
박경수
윤종현
오화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2875A/ko
Publication of KR20130102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음향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제1 자력부, 상기 제1 자력부와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자력부, 상기 제2 자력부에 장착된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 일측이 연결된 링크 및 상기 링크의 타측에 연결된 진동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음향 변환기{ELECTROACOUSTIC TRANSDUCER}
본 발명은 전기 음향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휴대폰, MP3플레이어, PMP 등 제품들의 보급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기기들은 음성이나 음악을 듣기 위하여 일본 공개특허 2006-04176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최근 이어폰의 외관상의 편의성, 미적디자인, 음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이어폰의 음질을 되도록 원음에 가까운 소리로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 신기술 중 한가지가 BA(Balanced Armature)라고 하는 것이다. 이 기술을 원래 수십년 전에 소개되었고, 보청기에 사용되어져 온 기술인데, 최근 이어폰에서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스피커 대신 사용하는 이 BA unit은 이어폰의 양쪽 귀에 한 개씩 총 2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성능향상을 위하여 1개 대신 2개 또는 3개 아니면 그 이상 개수의 BA unit을 사용하여 음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개수가 늘어날수록 크기가 커져서 귀에 장착하는 이어폰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음량이 작고 저음의 표현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 2006-041768호
본 발명의 관점은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구조의 전기 음향 변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기 음향 변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는, 본 발명은 전기 음향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제1 자력부, 상기 제1 자력부와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자력부, 상기 제2 자력부에 장착된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 일측이 연결된 링크 및 상기 링크의 타측에 연결된 진동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자력부와 상기 제2 자력부 사이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상기 제2 자력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탄성부 및 상기 링크를 거쳐 상기 진동부재에 전달됨으로써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제1 자력부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제2 자력부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전자석은 코일로 이루어지져, 전기가 연결되면 전자기력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제1 자력부는 상기 제2 자력부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제1 자력부와, 상기 제2 자력부 및 상기 링크는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진동부재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기 진동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진동부재는 진동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탄성부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던 부품들을 대신하여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탄성부로 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증대되고, 전기 음향 변환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탄성부의 진동변위가 증대되어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절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절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100)는 하우징(10)과, 제1 자력부(20)와, 탄성부(40)와, 링크(50) 및 진동부재(60)를 포함하여 음향을 발생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기 음향 변환기(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하우징(10)은 전기 음향 변환기(100)의 구성요소들을 수용 및 지지한다. 여기서, 전기 음향 변환기(100)의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어, 제2 자력부(30), 제2 자력부(30), 탄성부(40), 링크(50) 및 진동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은 내부에 수용부(14)가 형성된 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은 상측에 상부 커버(Cover)(11)가 위치되고, 하측에 하부커버(12)가 위치되며, 측면에 홀(hole) 부(13)가 위치된다. 여기서, 홀부(13)에 하우징(1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사운드홀(sound hole)(13a)이 형성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1 자력부(20)는 하우징(10)의 수용부(14)에 수용되어, 하우징(1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1 자력부(20)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자력부(20)가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자력부(20)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배치되고, 제2 자력부(30)의 양측에 복수개로 위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자력부(20)의 형태 및 배치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자력부(20)는 제2 자력부(30)의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자력부(30)는 하우징(10)의 수용부(14)에 제1 자력부(2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2 자력부(30)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자석은 외부전원에 의해 전기가 연결되면 전자기력이 발생되는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100)의 제2 자력부(30)가 전자석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2 자력부(30)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2 자력부(30)에 전기가 연결되어 전자기력이 발생되면 제1 자력부(20)와 제2 자력부(30) 사이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제2 자력부(30)가 진동된다. 이때, 제1 자력부(20)와 제2 자력부(30)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제2 자력부(30)가 수직방향으로 상하이동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탄성부(40)는 제2 자력부(30)에 장착되어 진동발생시 제2 자력부(30)와 연동된다. 여기서, 탄성부(40)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제2 자력부(30)에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다.
링크(50)는 일측이 탄성부(40)에 연결되고, 타측이 진동부재(60)에 연결되어 탄성부(40)의 진동을 진동부재(60)로 전달한다. 이때, 예를 들어 링크(5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하측단이 탄성부(40)의 상측면에 고정되고, 상측단이 진동부재(60)의 하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링크(50)는 제2 자력부(30)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진동부재(60)는 링크(50)의 타측에 연결되어 링크(5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음향을 발생시킨다. 이때, 진동부재(60)는 진동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4를 참고하면, 제1 자력부(20)인 코일에 전기가 공급되면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제1 자력부(20)와 제2 자력부(30) 사이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 자력부(30)가 상,하 이동(진동)을 하고, 제2 자력부(30)와 탄성부(40)인 판스프링이 연동된다.
아울러, 탄성부(40)에 연결된 링크(50)가 진동부재(60)인 진동판에 진동을 전달하고, 진동판이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하우징(10) 내부에 발생된 음향은 하우징(10)의 사운드홀(13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100)는 종래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아마추어 및 요크를 포함하는 진동발생 구성 대신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탄성부(40)를 구비하여 전기 음향 변환기(100)의 크기를 줄 일 수 있다.
또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고, 종래 보다 진동부재(60)의 동작(진동)변위를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음압 및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전기 음향 변환기 10 : 하우징
11 : 상부커버 12 : 하부커버
13 : 홀부 13a: 사운드홀
14 : 수용부 20 : 제1 자력부
30 : 제2 자력부 40 : 탄성부
50 : 링크 60 : 진동부재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제1 자력부;
    상기 제1 자력부와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자력부;
    상기 제2 자력부에 장착된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 일측이 연결된 링크; 및
    상기 링크의 타측에 연결된 진동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자력부와 상기 제2 자력부 사이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상기 제2 자력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탄성부 및 상기 링크를 거쳐 상기 진동부재에 전달됨으로써 음향이 발생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부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전기 음향 변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자력부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코일로 이루어지져, 전기가 연결되면 전자기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부는 상기 제2 자력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부와, 상기 제2 자력부 및 상기 링크는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진동부재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기 진동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진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KR1020120024042A 2012-03-08 2012-03-08 전기 음향 변환기 KR20130102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042A KR20130102875A (ko) 2012-03-08 2012-03-08 전기 음향 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042A KR20130102875A (ko) 2012-03-08 2012-03-08 전기 음향 변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875A true KR20130102875A (ko) 2013-09-23

Family

ID=4945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042A KR20130102875A (ko) 2012-03-08 2012-03-08 전기 음향 변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28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03816B (zh) 具有电磁扬声器和微型扬声器的扬声器单元
US8774447B2 (en) Crossover double speaker
JP3198475U (ja) 圧電セラミックスデュアルバンド低音強化型イヤホン
KR101047548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CN102196329B (zh) 耳机
TWI436651B (zh) 多功能微型喇叭
KR20100138153A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US10820113B2 (en) Speaker
KR101111894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20130067227A (ko) 내부 공명 챔버가 구비된 마이크로스피커
KR20160067344A (ko) 초소형 복합 진동 마이크로스피커
US20120308070A1 (en) Slim type speaker and magnetic circuit therefor
KR101534629B1 (ko) 패널 가진형 스피커
KR101111100B1 (ko) 이어폰용 고음질 스피커 유닛
CN110740409A (zh) 一种电声器件及电子设备
KR101503821B1 (ko) 양방향 스피커
CN202514066U (zh) 多功能微型扬声器
KR100992043B1 (ko) 초소형 복합 진동 마이크로스피커
KR20080095962A (ko) 왜율 방지 성능을 구비한 동 위상 저음 반전 방식의 출력구조를 갖는 전기음향변환 유닛
CN209642956U (zh) 一种新型扬声器
KR20130102875A (ko) 전기 음향 변환기
KR100769885B1 (ko) 전자음향변환기
KR101364670B1 (ko) 아마츄어 타입 스피커
CN107820172B (zh) 喇叭以及包括该喇叭的耳机
KR102272386B1 (ko) 박형 음향 트랜스듀서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