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961A -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961A
KR20130101961A KR1020120072809A KR20120072809A KR20130101961A KR 20130101961 A KR20130101961 A KR 20130101961A KR 1020120072809 A KR1020120072809 A KR 1020120072809A KR 20120072809 A KR20120072809 A KR 20120072809A KR 20130101961 A KR20130101961 A KR 20130101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wavelength
signal
downlink
wdm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술
김현수
최병석
박미란
권오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739,027 priority Critical patent/US8971710B2/en
Publication of KR2013010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9Bidirection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72Wavelength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송신기; 상기 하향 WDM 광신호를 파장다중화하는 표준형 파장다중화기; 파장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를 분기시키는 제1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 파장다중화된 상향 WDM 광신호를 분리하는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 상기 제1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에 의해 분기된 하향 WDM 광신호 및 상기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에 의해 분리된 상향 WDM 광신호를 파장역다중화하는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를 이용하여 하향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수신기; 및 상기 하향 전기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광송신기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Optical Line Terminal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Optical Power and Wavelength of Downstream WDM Optical Signals in Bidirectional Wavelength-division-multiplexing Optical Network}
본 발명은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방향 파장분할다중(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방식이란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다수의 광신호를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이다. WDM 광네트워크의 구성은 중앙기지국(Central Office: CO), 광가입자 단말기(Optical Network Unit: ONU)들 및 CO와 ONU들을 연결하는 광 분배망(Optical Distribution Network)으로 이루어진다. 여러 가지의 광 분배망 중에서 가장 경제적인 구조는 광가입자들의 인접 지역에 파장다중/역다중화기를 포함하는 원격 노드(Remote node: RN)를 설치하고 CO와 RN 사이를 단일 광섬유로 연결한 이후에 RN과 ONU들 사이를 광섬유로 연결하는 구조이다.
현재, 가장 잘 알려져 있는 WDM 광네트워크의 구조는 하향 WDM 광신호와 상향 WDM 광신호의 파장 대역을 분리하여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을 사용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파장-대역 분리형 방식의 WDM 광네트워크의 구조는 CO와 RN에 각각 하나의 순환형 파장다중/역다중화기를 배치하고 단일 광섬유로 CO-파장다중/역다중화기와 RN-파장다중/역다중화기를 연결한 이후에 파장다중/역다중화기의 각각의 포트와 ONU를 연결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이다. 이때, 광트랜시버는 파장-대역 분리용 광 필터, 광송신기 및 광수신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파장-대역 분리용 광 필터는 파장-분리 대역이 좁을수록 기술적으로 구현이 어렵다. 따라서, C-band 파장 대역에서 상향 WDM 광신호를 사용하고 L-band 파장 대역에서 하향 WDM 광신호를 사용하는 경우, CO에 하향 WDM 광신호를 파장다중화하는 광모듈과 상향 WDM 광신호를 파장역다중화하는 광모듈을 분리하는 방안이 많이 채택되고 있다.
전술한 종래의 파장다중화기와 파장역다중화기를 분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WDM 광네트워크의 광회선 종단 장치(Optical Line Terminal: OLT)에서는 OLT의 광송신기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방안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대표적인 제어/감시 방안은 파장다중화기의 출력부에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 제어/감시용 파장역다중화기 및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 파장역다중화기를 추가해야하므로 시스템의 크기와 구축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파장다중화기의 출력부에 반사형 탭커플러와 광송신기의 전면에 제어-감시용 수광소자를 두는 방식이 제안되었는데, 이 또한 다파장 기준신호 발생 장치와 고가의 락인 앰프(Lock-in-amp)를 필요로 하여 시스템 구축이 복잡하고 비용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광회선 종단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는, 저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송신기; 상기 하향 WDM 광신호를 파장다중화하는 표준형 파장다중화기; 파장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를 분기시키는 제1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 파장다중화된 상향 WDM 광신호를 분리하는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 상기 제1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에 의해 분기된 하향 WDM 광신호 및 상기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에 의해 분리된 상향 WDM 광신호를 파장역다중화하는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를 이용하여 하향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수신기; 및 상기 하향 전기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광송신기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는, 저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송신기; 상기 하향 WDM 광신호를 파장다중화하는 표준형 파장다중화기; 파장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 및 파장다중화된 상향 WDM 광신호를 순환시키고, 반사된 WDM 광신호를 재순환시키는 광순환기; 순환된 WDM 광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형 탭커플러; 재순환된 WDM 광신호를 파장역다중화하는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를 이용하여 하향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수신기; 및 상기 하향 전기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광송신기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는, 고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송신기; 상기 하향 WDM 광신호를 파장다중화하는 표준형 파장다중화기; 파장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를 분기시키는 제1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 파장다중화된 상향 WDM 광신호를 분리하는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 상기 제1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에 의해 분기된 하향 WDM 광신호 및 상기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에 의해 분리된 상향 WDM 광신호를 파장역다중화하는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를 이용하여 하향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수신기; 및 상기 하향 전기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광송신기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는, 고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생성하고, 파장역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를 분기시키며, 분기된 하향 WDM 광신호를 이용하여 하향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송신기; 상기 하향 WDM 광신호를 파장다중화하고, 되먹임되는 하향 WDM 광신호를 파장역다중화하는 제1 표준형 파장다중화기; 파장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제1 표준형 파장다중화기에 되먹임시키는 반사형 탭커플러; 상기 하향 전기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광송신기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모듈; 상기 파장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 및 파장다중화된 상향 WDM 광신호를 분리하는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 분리된 WDM 광신호를 파장역다중화하는 제2 표준형 파장다중화기; 및 상기 제2 표준형 파장다중화기에 의해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수신기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속의 상향 WDM 광신호와 저속의 제어/감시용 하향 WDM 광신호가 각각 고주파수와 저주파수로 분리되는 광회선 종단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신호 전달 체계와 제어/감시 신호 체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하나의 광선로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레일리 역산란(Rayleigh Backscattering)과 광부품에서의 반사광 등에 의한 신호 왜곡의 영향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고품질의 제어/감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신호를 감시 및 제어하는 파장다중/역다중화기와 수광소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광회선 종단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광회선 종단 장치의 단순화, 소형화 및 저가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회선 종단 장치(Optical Line Terminal: OLT)(100)는 중앙기지국(Central Office: CO)에 위치하는 장치로서, 광송신기(110), 표준형 파장다중화기(120), 두 개의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130, 140),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150),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160), 광수신기(170) 및 신호 처리모듈(180) 등을 포함한다. 또한, OLT(100)는 광송신기(110)를 제어하는 광원 드라이버(102)를 더 포함한다. 광원 드라이버(102)는 후술하는 광원(112)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광원(112)을 제어한다.
광송신기(110)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고속으로 변조된 하향 WDM 광신호에 제어와 감시를 목적으로 하는 저주파 대역의 변조 신호를 추가하여 저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하향 WDM 광신호의 주파수는 1kHz 정도의 저주파수이다.
이를 위해, 광송신기(110)는 고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발생하는 광원(112) 및 저주파 대역의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생기(114)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112)은 파장-가변형 레이저 광원, 파장-고정형 레이저 광원, 광대역 비간섭성 광원 및 외부-주입 파장-고정형 광대역 광원 등이 될 수 있다.
표준형 파장다중화기(120)는 광송신기(110)에서 생성된 하향 WDM 광신호를 파장다중화한다. 여기서, 표준형 파장다중화기(120)는 채널의 중심 파장 또는 주파수 간격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구현된 파장다중/역다중화기 장치로서, AWG(Arrayed Waveguide Grating)와 박막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130, 140)는 표준형 파장다중화기(120)에 의해 파장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를 분기시킨다. 이에,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130, 140)는 대부분의 광파워를 광선로용 광섬유(600)로 전달하고, 일부 광파워를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160)로 전달한다.
한편, 광가입자 단말기(Optical Network Unit: ONU)(800)의 광송신기(810)는 고속 변조를 통하여 생성된 상향 WDM 광신호를 원격 노드(Remote node: RN)(700)의 파장다중화기(710)로 전송한다. RN(700)의 파장다중화기(710)는 상향 WDM 광신호를 파장다중화하여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150)로 전송한다.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150)는 RN(700)의 파장다중화기(710)에 의해 파장다중화된 상향 WDM 광신호를 파장 대역별로 분리하여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160)로 전달한다.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160)는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130, 140)에 의해 분기된 하향 WDM 광신호 또는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150)에 의해 분리된 상향 WDM 광신호를 파장역다중화한다. 여기서,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160)는 채널의 중심 파장 및 주파수 간격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구현된 파장다중/역다중화기 장치로서, 하향 WDM 광신호와 상향 WDM 광신호를 모두 파장역다중화할 수 있는 순환형 AWG로 구성될 수 있다.
광수신기(170)는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160)에 의해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를 이용하여 하향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광수신기(170)는 수신파워 감지(Received Singnal Strength Indication: RSSI)형 광수신기(172), 1×2 전기신호 파워 분배기(174) 및 전기 필터(176) 등을 포함한다.
RSSI형 광수신기(172)는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160)에 의해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의 신호 세기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1×2 전기신호 파워 분배기(174)는 RSSI형 광수신기(172)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를 고속의 상향 전기 신호와 저속의 하향 전기 신호로 나누는데, 고속의 상향 전기 신호를 상위계층으로 전송하고, 저속의 하향 전기 신호를 전기 필터(176)를 거쳐 신호 처리모듈(180)로 전송한다.
신호 처리모듈(180)은 전기 필터(176)를 통과한 하향 전기 신호의 세기에 따라 광송신기(110)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OLT(100)는 고속의 상향 WDM 광신호와 저속의 제어/감시용 하향 WDM 광신호의 주파수 영역을 구분하고, 제어/감시용 하향 WDM 광신호 전달시 광섬유의 역산란 광신호와 광부품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반사 신호를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150)를 이용하여 차단함으로써, 광송신기를 제어 및 감시하는 고품질의 OLT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T(200)는 도 1의 OLT(100)와 구성요소가 대부분 유사하나, 도 1의 OLT(100)의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150)와 두 개의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130, 140)를 대신하여 광순환기(230)와 반사형 탭커플러(240)를 포함한다. 따라서, 광순환기(230)와 반사형 탭커플러(240)를 제외한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순환기(230)는 표준형 파장다중화기(220)에 의해 파장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 또는 RN(700)의 파장다중화기(710)에 의해 파장다중화된 상향 WDM 광신호를 순환시켜 반사형 탭커플러(240)로 전달한다.
또한, 광순환기(230)는 반사형 탭커플러(240)에서 반사된 WDM 광신호를 재순환시켜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260)로 전달한다.
반사형 탭커플러(240)는 광순환기(230)를 통해 전달된 WDM 광신호를 반사기(250)를 이용하여 반사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T(200)는 도 1의 OLT(100)의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150)와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130, 140)를 대신하여 광순환기(230)와 반사형 탭커플러(240)를 포함함으로써,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OLT(300)는 도 1의 OLT(100)와 구성요소가 대부분 유사하나, 광수신기(370)의 구조가 상이하다.
즉, 도 1의 OLT(100) 광수신기(170)는 RSSI형 광수신기(172), 1×2 전기신호 파워 분배기(174) 및 전기 필터(176)로 구성되는 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OLT(300)의 광수신기(370)는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371), 광 필터(372), 일반형 광수신기(373), 신호-감지용 수광소자(374) 및 전기 필터(375)를 포함한다.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371)는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360)에 의해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를 분기시킨다.
광 필터(372)는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371)에 의해 분기된 WDM 광신호 중 하향 WDM 광신호를 차단한다.
일반형 광수신기(373)는 광 필터(372)를 통과한 WDM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감지용 수광소자(374)는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371)에 의해 분기된 WDM 광신호 중 하향 WDM 광신호를 감지하여 하향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전기 필터(375)는 신호-감지용 수광소자(374)에 의해 변환된 하향 전기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OLT(300)에서는 일반형 광수신기(373)를 사용하여 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상향 WDM 광신호와 하향 WDM 광신호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기 전에 분리되므로 시스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OLT(400)는 도 3의 OLT(300)에서 광송신기(310)의 저주파 발생기(314)와 신호-감지용 수광소자(374)의 후단에 위치하는 전기 필터(375)가 제거되고, 전기 필터(375)를 대신하여 신호-감지용 수광소자(475)의 전단에 위치하여 하향 WDM 광신호만을 투과시키는 광 필터(474)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OLT(400)에서는 광송신기의 저주파 발생기와 광수신기의 전기 필터가 제거됨으로써, 전기회로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OLT(500)는 신호-감지용 수광소자(518)의 위치가 도 4의 OLT(400)와 상이하다. 즉, 도 4의 OLT(400)의 신호-감지용 수광소자(475)는 광수신기(470)에 위치하는 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OLT(500)의 신호-감지용 수광소자(518)는 광송신기(510)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OLT(500)의 광송신기(510)는 광원(512),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514), 광고립기(516) 및 신호-감지용 수광소자(518)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OLT(500)에서는 표준형 파장다중화기(520)의 전면에 반사형 탭커플러(530)가 배치된다.
반사형 탭커플러(530)는 반사기(550)를 이용하여 표준형 파장다중화기(520)에 의해 파장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를 반사시켜 표준형 파장다중화기(520)에 되먹임시킨다.
표준형 파장다중화기(520)는 반사형 탭커플러(530)에 의해 되먹임되는 하향 WDM 광신호를 파장역다중화한다.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514)는 표준형 파장다중화기(512)에 의해 파장역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를 분기시킨다.
광고립기(516)는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514)에 의해 분기된 하향 WDM 광신호가 광원(512)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신호-감지용 수광소자(518)는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514)에 의해 분기된 하향 WDM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광회선 종단 장치 102: 광원 드라이버
110: 광송신기 112: 광원
114: 저주파 발생기 120: 표준형 파장다중화기
130, 140: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 150: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
160: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 170: 광수신기
172: 수신파워 감지형 광수신기 174: 1×2 전기신호 파워 분배기
176: 전기 필터 180: 신호 처리모듈
600: 광섬유 700: 원격 노드
710: 파장다중화기 800: 광가입자 단말기
810: 광송신기

Claims (16)

  1. 저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송신기;
    상기 하향 WDM 광신호를 파장다중화하는 표준형 파장다중화기;
    파장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를 분기시키는 제1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
    파장다중화된 상향 WDM 광신호를 분리하는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
    상기 제1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에 의해 분기된 하향 WDM 광신호 및 상기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에 의해 분리된 상향 WDM 광신호를 파장역다중화하는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를 이용하여 하향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수신기; 및
    상기 하향 전기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광송신기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기는 고속의 하향 WDM 광신호에 저주파 대역의 변조 신호를 추가하여 저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기는,
    고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발생하는 광원; 및
    저주파 대역의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파장-가변형 레이저 광원, 파장-고정형 레이저 광원, 광대역 비간섭성 광원 및 외부-주입 파장-고정형 광대역 광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형 파장다중화기는 AWG(Arrayed Waveguide Grating)와 박막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는 순환형 AWG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기는,
    상기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의 신호 세기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파워 감지형 광수신기;
    전기 신호를 고속의 상향 전기 신호와 저속의 하향 전기 신호로 나누는 1×2 전기신호 파워 분배기; 및
    상기 하향 전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전기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기는,
    상기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를 분기시키는 제2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
    상기 제2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에 의해 분기된 WDM 광신호 중 하향 WDM 광신호를 차단하는 광 필터;
    상기 광 필터를 통과한 WDM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일반형 광수신기;
    상기 제2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에 의해 분기된 WDM 광신호 중 하향 WDM 광신호를 감지하여 하향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감지용 수광소자; 및
    상기 하향 전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전기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9. 저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송신기;
    상기 하향 WDM 광신호를 파장다중화하는 표준형 파장다중화기;
    파장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 및 파장다중화된 상향 WDM 광신호를 순환시키고, 반사된 WDM 광신호를 재순환시키는 광순환기;
    순환된 WDM 광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형 탭커플러;
    재순환된 WDM 광신호를 파장역다중화하는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를 이용하여 하향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수신기; 및
    상기 하향 전기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광송신기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기는 고속의 하향 WDM 광신호에 저주파 대역의 변조 신호를 추가하여 저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기는,
    상기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의 신호 세기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파워 감지형 광수신기;
    전기 신호를 고속의 상향 전기 신호와 저속의 하향 전기 신호로 나누는 1×2 전기신호 파워 분배기; 및
    상기 하향 전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전기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12. 고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송신기;
    상기 하향 WDM 광신호를 파장다중화하는 표준형 파장다중화기;
    파장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를 분기시키는 제1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
    파장다중화된 상향 WDM 광신호를 분리하는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
    상기 제1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에 의해 분기된 하향 WDM 광신호 및 상기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에 의해 분리된 상향 WDM 광신호를 파장역다중화하는 순환형 파장역다중화기;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를 이용하여 하향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수신기; 및
    상기 하향 전기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광송신기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기는,
    고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발생하는 광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기는,
    상기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를 분기시키는 제2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
    상기 제2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에 의해 분기된 WDM 광신호 중 하향 WDM 광신호를 차단하는 제1 광 필터;
    상기 제1 광 필터를 통과한 WDM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일반형 광수신기;
    상기 제2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에 의해 분기된 WDM 광신호 중 하향 WDM 광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2 광 필터; 및
    상기 제2 광 필터를 통과한 하향 WDM 광신호를 하향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감지용 수광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15. 고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생성하고, 파장역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를 분기시키며, 분기된 하향 WDM 광신호를 이용하여 하향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송신기;
    상기 하향 WDM 광신호를 파장다중화하고, 되먹임되는 하향 WDM 광신호를 파장역다중화하는 제1 표준형 파장다중화기;
    파장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제1 표준형 파장다중화기에 되먹임시키는 반사형 탭커플러;
    상기 하향 전기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광송신기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모듈;
    상기 파장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 및 파장다중화된 상향 WDM 광신호를 분리하는 파장 대역 분리/결합기;
    분리된 WDM 광신호를 파장역다중화하는 제2 표준형 파장다중화기; 및
    상기 제2 표준형 파장다중화기에 의해 파장역다중화된 WDM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수신기;
    를 포함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기는,
    고속의 하향 WDM 광신호를 발생하는 광원;
    상기 제1 표준형 파장다중화기에 의해 파장역다중화된 하향 WDM 광신호를 분기시키는 광파워 분기용 탭커플러;
    분기된 하향 WDM 광신호가 상기 광원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광고립기; 및
    상기 분기된 하향 WDM 광신호를 하향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감지용 수광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KR1020120072809A 2012-02-09 2012-07-04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KR20130101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39,027 US8971710B2 (en) 2012-02-09 2013-01-11 Optical line terminal for bidirectional wavelength-division-multiplexing optical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3394 2012-02-09
KR1020120013394 2012-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961A true KR20130101961A (ko) 2013-09-16

Family

ID=4945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809A KR20130101961A (ko) 2012-02-09 2012-07-04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19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1693A (en) * 2013-09-30 2015-07-01 Anue Systems Inc Optical tap modules having integrated splitters and aggregated multi-fiber tap output connectors
WO2020122635A3 (ko) * 2018-12-12 2020-08-06 주식회사 온페이스 5g 통신용 광파 회로와 이를 이용한 단일 채널의 전이중 광통신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1693A (en) * 2013-09-30 2015-07-01 Anue Systems Inc Optical tap modules having integrated splitters and aggregated multi-fiber tap output connectors
WO2020122635A3 (ko) * 2018-12-12 2020-08-06 주식회사 온페이스 5g 통신용 광파 회로와 이를 이용한 단일 채널의 전이중 광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946B2 (en) Optical network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n optical network
KR100921797B1 (ko)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
US81802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reach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US9124368B2 (en) Transceiver for use in fibre network
US10313048B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t least two bidirectional communication links using coherent detection
EP2157722B1 (en) WDM PON RF overlay architecture based on quantum dot multi-wavelength laser source
JP5092895B2 (ja) 光通信装置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US2009001064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pgrading passive optical networks
US8971710B2 (en) Optical line terminal for bidirectional wavelength-division-multiplexing optical network
EP2518915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asing wavelength of a tunable laser,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comprising same
KR20080082828A (ko) Wdm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의 파장 무의존 광원을이용한 하향 광송신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광선로 종단 시스템
WO2010093195A2 (ko) 저잡음 다파장 광원을 구비한 저잡음 광신호의 전송 장치, 저잡음 다파장 광원을 이용한 방송 신호 전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광가입자망
JP2004274752A (ja) 波長分割多重方式の受動型光加入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140076112A (ko) 상향 및 하향 광신호 감시 및 제어를 위한 광회선 종단 장치
US20100021164A1 (en) Wdm pon rf/video broadcast overlay
EP2656520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ceiving an optical input signal and transmittning an optical output signal
CN101471730B (zh) 基于波分复用结构的光纤宽带接入系统及光网络单元
CN103001911B (zh) 自相干检测正交频分复用无源光网络系统和传输方法
CN106160840B (zh) 波分复用无源光网络光纤链路分布式保护装置及其保护方法
JP2010283644A (ja) 光アクセス網、光通信方法および光加入者装置
US20090304388A1 (en) Optical Branching Apparatus and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US85655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ptical markers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KR20130101961A (ko)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광네트워크에서 하향 wdm 광신호의 광출력과 파장을 제어 및 감시하는 광회선 종단 장치
US20050259988A1 (en) Bi-directional optical access network
KR100557141B1 (ko) 방송통신융합 ftth용 광신호 전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