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935A - System and method for joint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joint transmiss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1935A KR20130101935A KR1020120023062A KR20120023062A KR20130101935A KR 20130101935 A KR20130101935 A KR 20130101935A KR 1020120023062 A KR1020120023062 A KR 1020120023062A KR 20120023062 A KR20120023062 A KR 20120023062A KR 20130101935 A KR20130101935 A KR 201301019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base station
- cooperative communication
- signal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62 f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74 stimulated Rama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이 제1 기지국에 의한 제1 셀 영역과 제2 기지국에 의한 제2 셀 영역이 중첩된 협력 통신 영역을 포함하는 환경에서 단말로 협력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신호 정보 및 제2 신호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이 전송하여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이 각각 수신한 신호의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를 확인한다. 동작중인 타이머로 일시 정지를 요청하고,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를 토대로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 후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다면, 일시 정지한 타이머로부터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한 임계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확인한다. 임계 시간을 초과하였다면,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 단말로의 신호 전송 여부를 지시한다.In order to provide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ervice to a terminal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system includes a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in which a first cell area by a first base station and a second cell area by a second base station overlap, a first base station and a first base station are provided. 2 When the first sig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s received, the terminal transmits and checks the first reception strength and the second reception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respectively. If a request is made for a pause by an active timer, and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changed after checking whether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changed based on the first reception strength and the second reception strength, the threshold is set in advance by receiving time information from the paused timer. Check if the time is exceeded. If the threshold time is exceeded,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indicates whether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일반적으로 협력 통신(JT: Joint Transmission)이라 함은 셀 간섭에 의한 문제, 다중 경로 페이딩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각 셀을 형성하는 다수의 송신단이 서로 협력하여 다이버시티 이득을 내어 수신단을 지원하는 통신 방법을 의미한다. 즉, 단말이 복수의 셀 경계에 위치하면, 셀들이 동시에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여 전송 다이버시티 이득 및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효과를 얻는 방식을 지칭한다. In general, joint transmission (JT) refers to a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mitters forming each cell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achieve diversity gain to support a receiver by solving cell interference and multipath fading problems. Means. That is, when the terminal is located at a plurality of cell boundaries, it refers to a method in which cells simultaneously transmit signals to the terminal to obtain a transmission diversity gain and a multi input multi output (MIMO) effect.
이러한 협력 통신은 복수의 송신단들 사이에 정보 교환이 용이하며, 이를 통해 셀 간 간섭을 줄이고 주파수 스펙트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협력 통신은 무선 환경이 급변하기 때문에 단말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협력 통신 영역으로의 진출입을 판단하는 값이 계속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시스템은 이를 반영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단말의 상태를 살펴야 한다. 따라서,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고속 적응(fast adaptation)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이 경우 시스템에 과부하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Such cooperative communication facilitate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 plurality of transmitters, thereby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and increasing frequency spectrum efficiency. However, since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has a sudden change in the wireless environment, the value for determining the entry / exit into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is continuously changed even when the terminal is stopped, so the system must continuously look at the state of the terminal to reflect this. Accordingly, in order to reflect the state of the terminal in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fast adaptation function, an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cause an overload of the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의 잦은 협력 통신 영역의 진입/출입을 판단하고 진압/출입 여부에 따라 이를 처리하는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entry / exit of frequent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s of a terminal and processing the same according to suppression / exit.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이 제1 기지국에 의한 제1 셀 영역과 제2 기지국에 의한 제2 셀 영역이 중첩된 협력 통신 영역을 포함하는 환경에서 단말로 협력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A system for provid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operative communication region in which a first cell region by a first base station and a second cell region by a second base station overlap. Method for providing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terminal in the environment,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신호 정보 및 제2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 정보 및 제2 신호 정보로부터 상기 단말이 전송하여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이 각각 수신한 신호의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를 확인하는 단계; 동작중인 타이머로 일시 정지를 요청하고, 상기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를 토대로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일시 정지한 타이머로부터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한 임계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하였다면,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로의 신호 전송 여부를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Receiving first signal information and second sig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Confirming a first reception strength and a second reception strength of a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from the first sig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respectively received by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Requesting a pause with an active timer, and check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has been changed based on the first reception strength and the second reception strength; I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changed, receiving time information from the paused timer and checking whether a preset threshold time is exceeded; And if the threshold time has been exceeded, indicating whether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transmit a signal to the terminal.
상기 제1 신호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 식별 정보, 상기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한 신호에 대하여 상기 제1 기지국이 수신한 제1 수신 세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 식별 정보, 상기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한 신호에 대하여 상기 제2 기지국이 수신한 제2 수신 세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ignal information includes the first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a first reception strength received by the first base station with respect to a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to the first base station.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may include the secon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econd reception strength received by the second base station with respect to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to the second base station.
상기 제1 신호 정보 및 제2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 정보 및 제2 신호 정보로부터 각각 단말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단말의 이전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Receiving the first sig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confirm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sig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respectively, and the previous position of the terminal stored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may include the step of identifying.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이전 위치가 상기 협력 통신 영역의 외부라면, 상기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의 차가 미리 설정한 진입 임계값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의 차가 상기 진입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단말이 상기 협력 통신 영역의 외부로부터 상기 협력 통신 영역으로 진입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의 차가 상기 진입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이 상기 협력 통신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changed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ception strength and the second reception strength is greater than a preset entry threshold value if the previous location of the terminal is outside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ception strength and the second reception strength is greater than the entry threshold, the terminal entering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from the outside of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and confirming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has been changed;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ception strength and the second reception strength is smaller than the entry threshold, the terminal may be located outside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to confirm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has not been changed. .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이전 위치가 상기 협력 통신 영역의 내부라면, 상기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의 차가 미리 설정한 진출 임계값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의 차가 상기 진출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이 상기 협력 통신 영역의 내부로부터 상기 협력 통신 영역 외부로 진출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의 차가 상기 진출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단말이 상기 협력 통신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changed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ception strength and the second reception strength is smaller than a preset advance threshold if the previous location of the terminal is inside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ception intensity and the second reception intensity is less than the advance threshold, the terminal advancing from the inside of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to the outside of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to confirm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has been changed;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ception intensity and the second reception intensity is greater than the advance threshold,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is located inside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and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has not been changed.
상기 단말로의 신호 전송 여부를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가 변경된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indicating whether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may include updating and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hose location is changed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제1 기지국에 의한 제1 셀 영역과 제2 기지국에 의한 제2 셀 영역이 중첩된 협력 통신 영역을 포함하는 환경에서, 단말로 협력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In an environment including a cooperative communication region in which a first cell region by a first base station and a second cell region by a second base station overlap each other, which i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providing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service,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한 신호의 제1 신호 정보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한 신호의 제2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정보 수신부; 단말에 대한 단말 식별 정보와 함께 단말의 이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위치 저장부; 제어에 의해 동작중인 상태를 일시 정지하거나, 일시 정지 상태에서 리셋하여 새로 동작하거나, 일시 정지 상태를 동작 상태로 변경하고,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 및 상기 제1 신호 정보 및 제2 신호 정보로부터 단말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 위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말의 이전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신호 정보 또는 상기 제2 신호 정보에 포함된 신호 수신 세기 정보 및 상기 타이머로부터 수신한 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의 상기 협력 통신 영역으로의 진입/진출을 판단하는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를 포함한다.A signal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from the first base station or the second base station, first signal information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first base station and second signal information of a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A terminal loc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previous location of the terminal together with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A timer for temporarily stopping the operating state by the control, resetting from the pause state to newly operate, changing the pause state to the operating state, and providing time information; And confirm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sig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to confirm previou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stored in the terminal location storage unit, and a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information or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And a terminal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entry / exit of the terminal into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based on reception strength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imer.
상기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은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에서 위치 정보가 변경된 단말로의 신호 전송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제2 기지국으로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상태 변경 지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system may include a transmission state change indicating unit requesting signal transmission to the first base station or the second base station in order to change the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terminal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to the terminal whose location information is changed. .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의 잦은 협력 통신 영역의 진입/출입에 따른 협력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ystem overload for providing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ervice due to frequent entry / exit of a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of a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협력 통신 방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cooperative communication method.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terminal includes a mobile station (MS), a mobile terminal (MT), a subscriber station (SS),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An access terminal (AT),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or some of functions of a mobile terminal, a subscriber station, a mobile subscriber station, a user equipment,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식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base station (BS) is an access point (AP), a wireless access station (Radio Access Station, RAS), a Node B (Node B), a transceiver station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 (Mobile Multihop Relay) -BS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or part of functions such as an access point, a radio access station, a Node B, a base transceiver station, and an MMR-BS.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앞서, 일반적인 협력 통신 방법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efore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eneral cooperation communic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first.
도 1은 일반적인 협력 통신 방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cooperative communication metho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30)이 두 개의 하위 셀의 경계 즉, 협력 통신 영역에 위치하면, 식별 정보가 서로 다른 하위 셀들에 위치한 기지국(20, 20')들은 각각 단말로 동시에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30)이 협력 통신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협력 통신 영역으로부터 진출하였는지를 판단할 때에는, 단말(30)이 하위 셀들의 기지국(20, 20')들로 전송하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의 수신 세기를 보고 판단한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terminal 30 i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wo sub-cells, that is, a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the
즉, 두 하위 셀들의 기지국(20, 20')들이 단말(30)로부터 전송된 SRS의 수신 세기를 확인하고, 가상화 서버(10)는 두 SRS의 수신 세기의 크기를 확인한 시스템이 두 신호의 세기 차이가 미리 설정한 수치보다 큰지 또는 미리 설정한 수치보다 작은지 판단하여 협력 통신 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진출을 구별한다. 여기서 SRS를 전송하는 등의 무선 환경은 지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단말(30)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도 SRS의 수신 세기 값이 계속 변화한다.That is,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에 대한 잦은 SRS의 수신 세기의 변동을 처리하여 협력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연동하여, 기지국들로부터 전송되는 SRS의 수신 세기에 대한 정보를 통해 협력 통신을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Therefo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 system and method that can provide cooperative communication by handling a change in the reception strength of a frequent SRS for a terminal. The cooperativ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100)이 가상화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100)에 연동한 복수의 기지국을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으로 예로 하여 설명하며, 제1 기지국의 영역에 대한 제1 셀의 식별자는 "1"이라 가정하고 제2 기지국의 영역에 대한 제2 셀의 식별자는 "2"라 가정하여 설명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that the cooperativ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의 구조도이다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100)은 신호 정보 수신부(110),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 타이머(130), 전송 상태 변경 지시부(140) 및 단말 위치 저장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cooperative
신호 정보 수신부(110)는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으로부터 신호 정보를 각각 수신한다. 여기서 신호 정보는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이 각각 셀 영역에 위치한 단말로부터 SRS를 수신한 SRS 수신 세기 정보, 각 기지국이 관리하는 셀의 셀 식별 정보 및 SRS를 전송한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The
즉, 단말은 제1 기지국의 제1 셀과 제2 기지국의 제2 셀이 중첩된 곳(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협력 통신 영역'이라 지칭함)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1 셀의 영역 또는 제2 셀의 영역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협력 통신 영역에 단말이 위치하면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SRS를 동시에 수신하게 된다. That is, the terminal may be located in a place where the first cell of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overla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r the area of the first cell or It may be located anywhere in the region of the second cell. In this case, when the terminal is located in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simultaneously receive the SR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만약, 단말이 제1 셀의 영역 또는 제2 셀의 영역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한다면 단말이 위치한 셀의 기지국만이 혹은 두 기지국이 서로 다른 세기로 SRS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신호 정보 수신부(110)는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으로부터 동시에 동일한 단말에 대한 SRS 수신 세기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제1 기지국 또는 제2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SRS 수신 세기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If the terminal is located in any one of the region of the first cell or the region of the second cell, only the base station of the cell in which the terminal is located or the two base stations receive the SRS with different strengths. Accordingly, the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는 신호 정보 수신부(110)가 수신한 신호 정보 중 단말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이후 설명할 단말 위치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의 이전 위치가 협력 통신 영역 내인지 협력 통신 영역 밖인지를 확인한다. 먼저, 단말의 이전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신호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SRS 수신 세기 정보를 확인한다.The terminal entry /
그리고 SRS 수신 세기 정보가 복수인 경우에는 복수의 SRS 수신 세기의 차이를 확인한 후, 이전 단말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기지국을 예로 하여 설명하므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SRS 수신 세기 값과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2 SRS 수신 세기 값의 차를 계산한다. When there is a plurality of SRS reception strength inform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RS reception strengths is checked, and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set threshold is excee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revious terminal. Sinc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wo base stations as an example, a difference between a first SRS reception strength value received from a first base station and a second SRS reception strength value received from a second base station is calculated.
그리고, 해당 단말의 이전 위치가 협력 통신 영역의 외부였다면 계산한 차이 값이 협력 통신 영역으로의 진입을 알리는 임계값보다 큰지 확인하고, 단말의 이전 위치가 협력 통신 영역의 내부였다면 계산한 차이 값이 협력 통신 영역으로부터의 진출을 알리는 임계값보다 작은지 확인한다. 여기서, 단말이 협력 통신 영역으로부터 진출하되 제1 기지국 또는 제2 기지국 중 어느 영역으로 진출하였는지 확인하는 사항은 이미 알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f the previous location of the terminal is outside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is determined to be larger than a threshold indicating the entry into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Check if it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indicating departure from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Here, it is known that the terminal advances from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but to which area of the first base station or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는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것을 확인하면 이전에 동작하고 있는 타이머(130)가 일시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이전에 동작하여 일시 정지된 타이머(130)로부터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한 임계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확인한다. When the terminal entry /
만약 임계 시간을 초과하였다면 단말이 협력 통신 영역으로 진입하거나 협력 통신 영역으로부터 진출한 것이므로, 단말의 진입/진출에 따른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하고, 일시 정지한 타이머(130)가 새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단말의 위치 정보와 단말의 식별 정보를 단말 위치 저장부(150)로 전달하여, 이전 위치 정보가 갱신되도록 한다.If the threshold time is exceeded, the terminal enters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or enters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Therefore, the terminal confirms that the location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entry / exit of the terminal, and controls the timer 130 to pause.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r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그러나 임계 시간을 초과하지 않았다면 무선 환경에 따른 SRS 수신 세기 변경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는 별도의 신호 정보가 입력될 때까지 일시 정지한 타이머(130)가 이어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However, if the threshold time is not exceeded, it is determined that the SRS reception strengt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wireless environment. Accordingly, the terminal entry /
타이머(130)는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의 제어를 통해 동작한다. 즉, 타이머(130)는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가 이미 동작중인 타이머(130)에 대해 일시 정지할 것을 요청하거나, 일시 정지한 타이머(130)가 계속 동작하도록 요청하거나 일시 정지된 타이머(130)가 새로 동작하도록 요청하면,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의 요청에 따라 타이머(130)의 동작이 제어된다. 다시 말해, 타이머(130)는 단말이 협력 통신 영역으로 진입하거나 협력 통신 영역으로부터 진출하는 등 단말의 위치가 변경될 때에는 일시 정지된 상태가 리셋(reset)되어 새로 동작하지만,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을 때에는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는 추가로 동작한다.The timer 13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entry /
그리고 타이머(130)는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의 시간 정보를 단말이 협력 통신 영역에서 진출했는지 혹은 협력 통신 영역으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타이머(130)를 별도로 구성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에서 타이머(13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타이머(130)는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각각 달리 동작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The timer 130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has entered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or the time information in the paused stat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configuration of the timer 130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terminal entry /
전송 상태 변경 지시부(140)는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에서 단말이 협력 통신 영역으로 진출했는지 혹은 협력 통신 영역으로부터 진출했는지 판단한 결과에 따라 해당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각 기지국으로 신호 전송 방법에 대한 상태 변경을 지시한다. The transmission state
즉,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가 단말이 제1 기지국의 영역 혹은 제2 기지국의 영역으로부터 협력 통신 영역으로 진입하였다고 판단하면, 전송 상태 변경 지시부(140)는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 해당 단말로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그러나 단말이 협력 통신 영역으로부터 제1 기지국의 영역 혹은 제2 기지국의 영역으로 진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전송 상태 변경 지시부(140)는 제1 기지국 또는 제2 기지국 중 어느 한 곳으로 단말로의 신호 전송을 지시한다.That is, when the terminal entry /
단말 위치 저장부(150)는 단말의 식별 정보 및 해당 단말의 이전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이전 상태 정보라 함은 단말이 협력 통신 영역에 위치해 있는지, 혹은 제1 기지국 영역 또는 제2 기지국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만 위치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The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시스템(100)을 통해 협력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이전에 제1 기지국의 제1 셀 영역에서 협력 통신 영역으로 진입한 후 SRS를 전송하였다고 가정한다.A method of provid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through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정보 수신부(110)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신호 정보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신호 정보를 수신하면(S100),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는 제1 신호 정보 및 제2 신호 정보로부터 각각 단말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S110). 여기서, 제1 신호 정보 및 제2 신호 정보는 각각 단말로부터 수신한 SRS 수신 세기 정보, 각 기지국의 식별 정보 및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는 S110 단계에서 확인한 단말 식별 정보를 토대로 단말 위치 저장부(15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단말들에 대한 위치 정보 중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의 이전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S12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이전에 제1 기지국의 제1 셀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에, S120 단계에서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는 단말이 제1 기지국 영역에 있었음을 확인한다.The terminal entry /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는 단말의 이전 위치를 확인한 후, S100 단계에서 수신한 제1 SRS 신호 정보와 제2 SRS 신호 정보로부터 SRS 수신 세기를 확인한다(S130). SRS 수신 세기는 제1 기지국이 SRS를 수신한 수신 세기(이하, P1이라 지칭함)와 제2 기지국이 SRS를 수신한 수신 세기(이하, P2라 지칭함)가 포함되어 있다.After confirming the previous position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entry /
S130 단계를 통해 수신 세기를 확인한 후,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는 타이머(130)로 동작중인 타이머를 일시 정지하도록 요청한다(S140). 이때 타이머(130)는 단말이 제1 기지국의 영역에 있을 때부터 동작을 시작한 것이다. After checking the reception strength through step S130, the terminal entry /
타이머(130)가 일시 정지 상태가 되면,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는 제1 기지국에 대한 SRS 수신 세기(P1)와 제2 기지국에 대한 SRS 수신 세기(P2)를 토대로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S150). 즉, P1과 P2의 차를 계산한 후 단말의 이전 위치에 따라 협력 통신 영역으로 진입하였는지, 혹은 협력 통신 영역으로부터 진출하였는지를 확인한다.When the timer 130 is in the paused state, the terminal entry /
이를 위해,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100)은 협력 통신 영역으로의 진입을 파악하기 위한 임계값(이하, '진입 임계값'이라 지칭함)과 협력 통신 영역으로부터의 진출을 파악하기 위한 임계값(이하, '진출 임계값'이라 지칭함)을 미리 설정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S150 단계에서 P1과 P2의 차이 값과 S120 단계에서 확인한 단말의 이전 위치 정보를 토대로 진입 임계값 또는 진출 임계값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 변경을 파악하게 된다.To this end, the cooperativ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협력 통신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므로, S150 단계에서는 P1과 P2의 차이 값이 진입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 수학식 1과 같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of entering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step S15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P1 and P2 is greater than the entry threshold. This may be expressed as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진입 임계값| > |P1-P2|| Entry threshold | > | P1-P2 |
반대로 진출 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다음 수학식 2를 이용하여 확인한다.On the contrary, whe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advance, check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Quot; (2) "
|진출 임계값| < |P1-P2|| Entry threshold | <| P1-P2 |
S150 단계에서 P1과 P2의 차이 값이 진입 임계값보다 크다고 확인하면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것이므로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는 일시 정지된 타이머(130)로부터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확인한다. 그리고 획득한 시간 정보에 대한 값이 미리 설정한 임계 시간에 대한 값보다 큰지 확인한다(S160). 이는 단말이 SRS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무선 환경이 다양한 이유로 변하기 때문에, 단말이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서도 협력 통신 영역의 진입/진출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50 that the difference between P1 and P2 is greater than the entry threshold,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s changed, so the terminal entry /
따라서,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는 기지국의 SRS 수신 세기뿐만 아니라 단말이 위치를 변경한 시점에 새로 동작한 타이머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SRS 수신 세기의 변동을 처리하도록 하여,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100)의 부하를 줄여주고자 한다. 그러므로, S160 단계에서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는 타이머(130)로부터 수신한 이전 단말 위치에 따른 이전 시간 정보와 미리 설정한 임계 시간을 비교한다. 임계 시간은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비교한다.Accordingly, the terminal entry /
[수학식 3]&Quot; (3) "
"이전 시간 < 진입 이벤트 유지 임계 시간" 또는 "Previous time <entry event retention threshold time" or
"이전 시간 < 진출 이벤트 유지 임계 시간""Previous time <exit event retention threshold time"
만약 이전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 길이가 미리 설정한 임계 시간 길이보다 길면, 단말의 위치가 제1 기지국 영역에서 협력 통신 영역으로 혹은 그 반대의 경우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하여,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는 타이머(130)로 전송 중지한 시간을 리셋하고 새로 타이머가 동작하도록 지시한다(S170). 그리고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는 전송 상태 변경 지시부(140)를 통해 해당 단말로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 양쪽에서 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시한다(S180). 또한 신호 전송 지시와 함께 단말 위치 저장부(150)로 단말의 식별 정보와 함께 단말 위치 정보를 전달하여, 갱신되도록 한다.If the time length according to the previous time information is longer than the preset threshold time length, it is confirmed tha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s chang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area to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or vice versa, the terminal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20 ) Resets the time at which transmission is stopped to the timer 130 and instructs a new timer to operate (S170). In addition, the terminal entry /
그러나 S150 단계에서 계산한 P1과 P2와의 차이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또는 S160 단계에서 이전 시간 길이가 임계 시간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다. 따라서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120)는 전송 상태 변경 지시부(140)로 별도의 지시 없이, 기존에 제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S190).Howeve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P1 and P2 calculated in step S150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or when the previous time length is shorter than the threshold time length in step S160, it is confirmed tha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has not been changed. Accordingly, the terminal entry /
이와 같이 SRS 수신 세기뿐만 아니라 타이머를 이용하면, 수시로 변동하는 SRS 수신 값의 변동 처리를 위한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100)의 부하를 줄여줄 수 있고, 실제 측정 오차에 의한 잦은 협력 통신 영역으로의 진입/진출에 의한 처리 부하를 줄여줄 수 있다.Using the timer as well as the SRS reception strength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of the cooperati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3)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신호 정보 및 제2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 정보 및 제2 신호 정보로부터 상기 단말이 전송하여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이 각각 수신한 신호의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를 확인하는 단계;
동작중인 타이머로 일시 정지를 요청하고, 상기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를 토대로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일시 정지한 타이머로부터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한 임계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하였다면,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로의 신호 전송 여부를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협력 통신 제공 방법.A method for providing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ervice to a terminal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system includes a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in which a first cell area by a first base station and a second cell area by a second base station overlap.
Receiving first signal information and second sig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Confirming a first reception strength and a second reception strength of a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from the first sig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respectively received by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Requesting a pause with an active timer, and check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has been changed based on the first reception strength and the second reception strength;
I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changed, receiving time information from the paused timer and checking whether a preset threshold time is exceeded; And
If the threshold time is exceeded, indicating whether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transmit a signal to the terminal;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상기 제1 신호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 식별 정보, 상기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한 신호에 대하여 상기 제1 기지국이 수신한 제1 수신 세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 식별 정보, 상기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한 신호에 대하여 상기 제2 기지국이 수신한 제2 수신 세기를 포함하는 협력 통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ignal information includes the first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first reception strength received by the first base station with respect to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to the first base station,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includes the secon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including the second reception strength received by the second base station with respect to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to the second base station. Way.
상기 제1 신호 정보 및 제2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 정보 및 제2 신호 정보로부터 각각 단말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단말의 이전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협력 통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2,
Receiving the first sig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Confirm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sig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and confirming a previous position of the terminal stored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이전 위치가 상기 협력 통신 영역의 외부라면,
상기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의 차가 미리 설정한 진입 임계값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의 차가 상기 진입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단말이 상기 협력 통신 영역의 외부로부터 상기 협력 통신 영역으로 진입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의 차가 상기 진입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이 상기 협력 통신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협력 통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2,
Checking whether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has changed,
If the previous location of the terminal is outside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Determining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ception intensity and the second reception intensity is greater than a preset entry threshold valu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ception strength and the second reception strength is greater than the entry threshold, the terminal entering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from the outside of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and confirming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has been changed;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ception strength and the second reception strength is less than the entry threshold,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is located outside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and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has not been changed.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이전 위치가 상기 협력 통신 영역의 내부라면,
상기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의 차가 미리 설정한 진출 임계값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의 차가 상기 진출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이 상기 협력 통신 영역의 내부로부터 상기 협력 통신 영역 외부로 진출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수신 세기의 차가 상기 진출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단말이 상기 협력 통신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협력 통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2,
Checking whether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has changed,
If the previous location of the terminal is inside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Determining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ception intensity and the second reception intensity is smaller than a preset advance threshol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ception intensity and the second reception intensity is less than the advance threshold, the terminal advancing from the inside of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to the outside of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to confirm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has been changed;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ception intensity and the second reception intensity is greater than the advance threshold,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is located inside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and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has not been changed.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일시 정지된 타이머가 리셋되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협력 통신 제공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After confirming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has been changed,
Controlling the paused timer to reset and operate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일시 정지된 타이머가 이어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협력 통신 제공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fter confirming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has not changed,
Controlling the paused timer to continue runn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상기 단말로의 신호 전송 여부를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가 변경된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협력 통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Indicating whether to transmit a signal to the terminal,
Updating and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hose location has been changed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상기 단말의 위치가 상기 협력 통신 영역이면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말의 위치가 상기 제1 기지국의 영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의 영역 중 어느 한 곳이면 상기 단말이 위치한 영역의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협력 통신 제공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I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is controlled to transmit a signal to the terminal,
And if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s any one of the region of the first base station or the region of the second base station, controlling the base station of the region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to transmit a signal to the terminal.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한 신호의 제1 신호 정보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한 신호의 제2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정보 수신부;
단말에 대한 단말 식별 정보와 함께 단말의 이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위치 저장부;
제어에 의해 동작중인 상태를 일시 정지하거나, 일시 정지 상태에서 리셋하여 새로 동작하거나, 일시 정지 상태를 동작 상태로 변경하고,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 및
상기 제1 신호 정보 및 제2 신호 정보로부터 단말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 위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말의 이전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신호 정보 또는 상기 제2 신호 정보에 포함된 신호 수신 세기 정보 및 상기 타이머로부터 수신한 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의 상기 협력 통신 영역으로의 진입/진출을 판단하는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
를 포함하는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A system for providing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ervice to a terminal in an environment including a cooperative communication region in which a first cell region by a first base station and a second cell region by a second base station overlap.
A signal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from the first base station or the second base station, first signal information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first base station and second signal information of a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A terminal loc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previous location of the terminal together with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A timer for temporarily stopping the operating state by the control, resetting from the pause state to newly operate, changing the pause state to the operating state, and providing time information; And
Check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sig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to confirm the previou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stored in the terminal location storage, and receiving th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information or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Terminal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entry / exit of the terminal into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based on the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imer.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상기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에서 위치 정보가 변경된 단말로의 신호 전송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제2 기지국으로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상태 변경 지시부
를 포함하는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0,
Transmission state change indicating unit for requesting the signal transmission to the first base station or the second base station in order to change the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terminal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to the terminal whose location information is changed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상기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는,
상기 타이머로 동작 상태의 변경을 제어하고, 위치가 변경된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 위치 저장부로 전달하여 갱신하도록 하는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0,
The terminal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change of the operation state with the timer, and transmitting and upd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terminal whose location has been changed to the terminal location storage unit.
상기 단말 진입/진출 판단부는,
상기 제1 신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 세기인 제1 신호 세기와, 상기 제2 신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 세기인 제2 신호 세기의 차이 값을 계산하고,
미리 설정한 상기 협력 통신 영역으로의 진입을 판단하는 진입 임계값 또는 상기 협력 통신 영역에서 진출을 판단하는 진출 임계값과 상기 차이 값을 비교하여 상기 협력 통신 영역으로의 진입/진출을 판단한 후,
상기 타이머로부터 수신한 시간 정보가 미리 설정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지 확인하여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협력 통신 영역으로의 진입/진출을 확인하는 협력 통신 제공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2,
The terminal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A first signal strength that is a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terminal by the first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strength that is received by the second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Calculate the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After determining the entry / exit into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by comparing an entry threshold value for determining entry into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previously set or an exit threshold value for determining entry in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and the difference value,
And confirming whether the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imer exceeds a preset threshold time, and confirming entry / exit into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area when the threshold time is excee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062A KR20130101935A (en) | 2012-03-06 | 2012-03-06 | System and method for joint transmis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062A KR20130101935A (en) | 2012-03-06 | 2012-03-06 | System and method for joint transmiss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1935A true KR20130101935A (en) | 2013-09-16 |
Family
ID=4945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3062A KR20130101935A (en) | 2012-03-06 | 2012-03-06 | System and method for joint transmiss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01935A (en) |
-
2012
- 2012-03-06 KR KR1020120023062A patent/KR20130101935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191969B2 (en) | Device/UE-oriented beam recovery and maintenance mechanisms | |
US9084174B2 (en) |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handover control method | |
US9060351B2 (en) | Decoupled downlink and uplink | |
US20180041889A1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JP2017506035A5 (en) | ||
JP4934218B2 (en) | Automatic processing of neighboring cells | |
US9642100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ssion-power control device | |
WO2012046657A1 (en) | Base station and method | |
KR20120050019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emergency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9554325B2 (en)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ignal quality with multiple access points | |
US10045272B2 (en) | Method for connecting to access point in WLAN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US20240205801A1 (en) | Discovery resource selection based on rsrp value of a uu link | |
US9479370B2 (en) | Radio relay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processer for controlling radio relay apparatus | |
US10313944B2 (en) | Relay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30101935A (en) | System and method for joint transmission | |
KR20170008831A (en) |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of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of mobile station apparatus | |
JP2013046398A (en) | Radio relay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 |
JP2006005812A (en) | Multi-pop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arrier detector | |
US9521677B2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llocation of resource blocks | |
KR2010001508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expansion of communication range | |
JP2013207562A (en) |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
JP5707512B2 (en) | Wireless relay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cessor | |
US9756577B2 (en) | Method for defining parameter values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piece of user equipment | |
JP2013168881A (en) | Communication relay system, communication relay system control method, and relay device | |
WO2024035685A1 (en) | Relay ue selection in u2u relay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