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835A - 무장 마운트 - Google Patents

무장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835A
KR20130101835A KR1020120022883A KR20120022883A KR20130101835A KR 20130101835 A KR20130101835 A KR 20130101835A KR 1020120022883 A KR1020120022883 A KR 1020120022883A KR 20120022883 A KR20120022883 A KR 20120022883A KR 20130101835 A KR20130101835 A KR 20130101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lever
bracket
coupling par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0300B1 (ko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2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30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02Mountings without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02Mountings without wheels
    • F41A23/08Bip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기를 고정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이 탈부착되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에 장착된 상기 브라켓이 상기 마운트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은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마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바운트에서 분리되는 무장 마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장 마운트{Firearms mount}
본 발명은 무장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무장 마운트는 총기를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이다. 무장 마운트는 국경선이나 해안선 등 경계가 요구되는 곳에 배치된다. 무장 마운트는 경계지에 배치되어 원격으로 조작이 가능하다. 무장 마운트는 무인으로 조준, 격발 등이 가능하도록 총기를 지지 고정한다.
일반적으로 무장 마운트는 총기를 직접 고정하는 거치대와 거치대를 지지하는 삼각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격으로 총기를 격발시키므로 격발시 총기가 흔들리거나 거치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총기는 거치대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이때 총기는 거치대에 볼트나 핀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총기를 체결수단에 의해 거치대에 고정하는 경우, 정비 상의 이유로 총기를 거치대에서 분리할 때 일일이 볼트를 풀어야 하고, 정비 후 다시 거치대에 총기를 고정하기 위해서 볼트를 일일이 조여야 하므로 총기를 거치대에서 탈부착하는데 많이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 특히, 신속히 총기를 탈부착해야하는 상황에서 즉각적인 대응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총기의 탈부착이 용이한 무장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마운트는, 총기를 고정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이 탈부착되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에 장착된 상기 브라켓이 상기 마운트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은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마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바운트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총기의 격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마운트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총기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마운트에 상기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마운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마운트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이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단면이 사다리꼴일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단면이 상기 제1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마운트는, 결합된 상기 브라켓을 지지는 베이스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형상에 맞물리면서 상기 제1결합부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음각으로 형성된 제2결합부를 구비할 있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가 슬라이딩하면서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방향으로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는 결합된 제1결합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방향으로 막혀 있을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마운트와 결합하는 제1부와, 제1피봇에 의해 상기 제1부와 연결되는 제1레버와, 제2피봇에 의해 상기 제1레버와 연결되는 제2레버와, 제3피봇에 의해 상기 제3레버와 연결되는 제3레버와, 상기 제3레버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마운트에 장착된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2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레버는 상기 제1피봇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1레버가 상기 제2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레버는 상기 제2방향과 수직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2레버는 상기 제3레버가 상기 제2방향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상기 제3레버를 지지하고 상기 스핀들은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2결합부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결합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레버가 상기 제2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제1피봇, 제2피봇, 및 제3피봇이 일직선 상에 놓이게 되고, 상기 일직선은 상기 제1레버의 길이 방향과 일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나 핀의 사용없이도 용이하게 무장 마운트에 총기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총기의 정비나 교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마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장 마운트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장 마운트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장 마운트의 마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무장 마운트의 마우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7은 도 1에 도시된 무장 마운트의 이탈 방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10은 총기가 장착된 브라켓이 마운트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밖에도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마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장 마운트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장 마운트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장 마운트의 마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무장 마운트의 마우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7은 도 1에 도시된 무장 마운트의 이탈 방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마운트(100)는 브라켓(110), 마운트(120), 및 이탈 방지부(123)를 구비한다.
브라켓(110)은 총기(101)를 고정하며 마운트(120)에 슬라이딩되어 장착 또는 탈착된다. 브라켓(110)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1), 거치부(112), 및 제1결합부(113)을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111)는 거치부(112)와 제1결합부(113)를 지지한다. 몸체부(111)의 상부에 거치부(112)가 배치되며, 그 하부에 제1결합부(113)이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11)는 거치부(112) 및 제1결합부(11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몸체부(111)는 거치부(112) 및 제1결합부(113)와 별도로 형성된 후 결합될 수 있다.
거치부(112)는 총기(101)와 직접 결합하여 총기(101)를 몸체부(111)에 지지한다. 거치부(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기의 길이 방향으로 총기(10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거치부(112)는 총기(101)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서 총기(101)와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거치부(112)는 볼트 또는 핀과 같은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총기(101)를 고정할 수 있다.
제1결합부(113)는 몸체부(111)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결합부(113)는 그 종단면이 다각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13)의 종단면은 사다리꼴일 수 있다. 제1결합부(113)는 총기(101)의 격발 방향인 제2방향(A)에서 그 반대 방향인 제1방향(B)으로 갈수록 그 종단면이 작아질 수 있다. 제2방향(A)의 일단면(113a)은 제1방향(B)의 타단면(113b)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방향(B)으로 갈수록 종단면이 작아짐으로써 제2결합부(122)에 대한 제1결합부(113)의 슬라이딩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다.
제1결합부(113)는 마운트(120)의 제2결합부(122)에 슬라이딩하면서 브라켓(110)과 마운트(120)를 결합시키며, 다시 제2결합부(122)에서 슬라이딩하면서 브라켓(110)과 마운트(120)를 분리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결합부(1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방향(B)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므로, 제1결합부(113)는 제2결합부(122)에 대해 제1방향(B)으로 슬라이딩하며 결합되며, 다시 제2방향(A)으로 슬라이딩하여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113)는 그 종단면이 사다리꼴이므로 제1결합부(113)가 제2결합부(122)에 결합한 후에는 제1방향(B)의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마운트(120)는 베이스부(121)와 제2결합부(122)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21)는 결합된 브라켓(110)을 지지한다. 제2결합부(122)는 제1결합부(113)이 슬라이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제1결합부(1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베이스부(121) 상에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13)은 그 단면이 사다리꼴이며 제1방향(B)으로 갈수록 그 단면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바, 제2결합부(122)는 제1결합부(113)에 대응되어 베이스부(121) 상에서 제1방향(B)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음각이 형성된다. 제2결합부(122)의 일측(122a)은 제2방향(A)을 향하여는 개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122b)은 제1방향(B)을 향하여 닫혀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결합부(113)은 제2결합부(122)의 개방된 일측(122a)으로부터 제1방향(B)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제2결합부(122)와 결합된다. 제1결합부(113)을 제2결합부(122)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제2방향(A)을 향하여 제1결합부(113)이 슬라이딩함으로써 제1결합부(113)가 제2결합부(122)에서 분리된다.
이탈 방지부(123)는 베이스부(121)의 제2방향(A)을 향하는 일측(121a)에 배치되며, 마운트(120)에 장착된 브라켓(110)이 제2방향(A)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이탈 방지부(123)는 제1부(1231), 제1레버(1232), 제2레버(1233), 제3레버(1234), 및 스핀들(1235)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부(1231)는 베이스부(121)의 일측면(121a)에 배치된다. 제1부(1231)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부(121)에 결합된다. 제1부(1231)은 제1레버(1232)가 회전함에 있어서 이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1레버(1232)는 제1부(1231)와 제1피봇(1236)에 의해 결합된다. 제2레버(1233)는 제2피봇(1237)에 의해 제1레버(1232)와 연결되며, 제3레버(1234)는 제3피봇(1238)에 의해 제2레버(1233)과 연결된다. 제3레버(1234)의 일단에는 스핀들(1235)이 배치된다. 스핀들(1235)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제1레버(1232)는 제1피봇(123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레버(12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1232)는 그 길이 방향이 제2방향(A)과 교차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제1레버(1232)를 회전시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이 제2방향(A)(또는 제1방향(B))과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피봇(1236), 제2피봇(1237), 및 제3피봇(1238)이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며, 제1피봇(1236), 제2피봇(1237), 및 제3피봇(1238)이 놓인 일직선은 제2방향(A)(또는 제1방향(B))과 평행일 수 있다. 도 7과 같이 제1피봇(1236), 제2피봇(1237), 및 제3피봇(1238)이 일직선 상에 놓이게 되면 제3레버(1234)의 일단에 배치된 스핀들(1235)은 제2결합부(122)에 결합된 제1결합부(113)의 일측면(113a)과 접하게 되고, 제2레버(1233)는 제3레버(1234)를 지지하여 제3레버(1234)가 제2방향(A)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결합부(113)이 제2결합부(122)에서 제2방향(A)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운트(120)에서 브라켓(11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즉, 제1결합부(113)을 제2결합부(122)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제2방향(A)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레버(1232)를 도 6에서와 같이 제2방향(A)과 교차되도록 회전시켜 스핀들(1235)가 제1결합부(113)의 일측면(113a)에서 떨어지게 한다. 이로써 제1결합부(113)가 제2결합부(122)에서 제2방향(A)으로 슬라이딩되어 분리될 수 있다.
도 8 내지 10은 총기가 장착된 브라켓이 마운트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이다.
도 8은 브라켓(110)과 마운트(12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브라켓(110)과 마운트(120)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브라켓(110)을 마운트(120)에 결합하기 위해 이탈 방지부(123)의 제1레버(1232)를 도 6에서와 같이 제2방향(A)에 교차되는 위치에 오도록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브라켓(110)이 마운트(120)에 슬라이딩하여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도 9는 브라켓(110)이 마운트(120)에 슬라이딩하여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브라켓(110)의 제1결합부(도 2의 113)이 제1방향(B)으로 슬라이딩하여 마운트(120)의 제2결합부(도 4의 122)에 맞물도록 결합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10은 브라켓(110)이 마운트(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지 할 수 있는 위치에 이탈 방지부(123)가 배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탈 방지부(123)의 제1레버(1232)가 제2방향(A)(또는 제1방향(B))가 평행하게 위치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스핀들(1235)이 제1결합부(113)의 일측부(113a)에 접하게 되어 제1결합부(113)이 제2방향(A)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브라켓(110)을 마운트(12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이탈 방지부(123)의 제1레버(1232)를 제2방향(A)(또는 제1방향(B))과 교차가 되도록 회전을 시켜 제1결합부(113)이 제2방향(A)으로 슬라이딩하여 분리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마운트(100)는 브라켓(110)을 마운트(120)에 볼트나 핀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결합부(113)를 제2결합부(122)에 슬라이딩하여 결합하고 이탈 방지부(123)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제1결합부(113)이 제2결합부(12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운트(120)에서 브라켓(11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탈 방지부(123)의 제1레버(1232)의 위치를 변경하고 제1결합부(113)를 제2결합부(122)에서 슬라이딩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마운트(100)는 볼트나 핀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브라켓과 마운트을 결합하는 기술에 비해 간단하고 신속하게 브라켓(110)을 마운트(120)에 결합하고 또한 분리할 수 있다.
100: 무장 마운트 101: 총기
110: 브라켓 111: 몸체부
112: 거치부 113: 제1결합부
120: 마운트 121: 베이스부
122: 제2결합부 123: 이탈 방지부

Claims (8)

  1. 총기를 고정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이 탈부착되는 마운트; 및
    상기 마운트에 장착된 상기 브라켓이 상기 마운트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 를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은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마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마운트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마운트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
    상기 총기를 거치하는 거치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몸체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마운트에 상기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마운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마운트에서 분리되며,
    상기 마운트는,
    결합된 상기 브라켓을 지지는 베이스부; 및
    상기 제1결합부의 형상에 맞물리면서 상기 제1결합부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음각으로 형성된 제2결합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마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단면이 사다리꼴이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단면이 상기 제1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마운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가 슬라이딩하면서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방향으로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결합부는 결합된 제1결합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방향으로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마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마운트와 결합하는 제1부;
    제1피봇에 의해 상기 제1부와 연결되는 제1레버;
    제2피봇에 의해 상기 제1레버와 연결되는 제2레버;
    제3피봇에 의해 상기 제3레버와 연결되는 제3레버; 및
    상기 제3레버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마운트에 장착된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2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핀들; 을 구비하는 무장 마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는 상기 제1피봇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마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가 상기 제2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레버는 상기 제2방향과 수직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2레버는 상기 제3레버가 상기 제2방향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상기 제3레버를 지지하고 상기 스핀들은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2결합부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결합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마운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가 상기 제2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제1피봇, 제2피봇, 및 제3피봇이 일직선 상에 놓이게 되고, 상기 일직선은 상기 제1레버의 길이 방향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마운트.
KR1020120022883A 2012-03-06 2012-03-06 무장 마운트 KR101550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883A KR101550300B1 (ko) 2012-03-06 2012-03-06 무장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883A KR101550300B1 (ko) 2012-03-06 2012-03-06 무장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835A true KR20130101835A (ko) 2013-09-16
KR101550300B1 KR101550300B1 (ko) 2015-09-07

Family

ID=4945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883A KR101550300B1 (ko) 2012-03-06 2012-03-06 무장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3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7046A1 (en) * 2009-06-09 2010-12-09 Carson Cheng Detachable mounting arrangement for universal bi-p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300B1 (ko)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3955B2 (en) Small fire-arm sight mount
US9568282B1 (en) Apparatus for securely mounting accessories to a camera or firearm
US20200025522A1 (en) Mounts for optical sighting devices
US6931778B1 (en) Clamp for weapon mount
US9736376B1 (en) Tilt head, camera stage, multi-post monitor mount and camera stabilizer encompassing the same
US10390617B2 (en) Bracket for slide rail
PT1716383E (pt) Dispositivo de montagem para armas de fogo
US10054401B2 (en) Apparatus for mounting accessories on a tactical rail of a firearm
JP2019009417A (ja) 連結アセンブリ及びそのブラケット装置
WO2017207942A3 (fr) Tourelle canon comportant au moins un magasin a munition et caisse a munitions destinee a equiper un tel magasin
KR20130101835A (ko) 무장 마운트
US20110242827A1 (en) Removable mounting system
US11371802B2 (en) Handguard quick dismantling structure of toy gun
JP2016201335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US20100039791A1 (en) Reflector Mounting Apparatus
CN104102074A (zh) 相机装置和安装接合器
JP4949070B2 (ja) 小火器用照準装置
JP2016109893A (ja) レンズ鏡胴およびカメラ本体を同時に支持可能なカメラバランサ
US10712122B2 (en) Firearm accessory mount
US2824503A (en) Quick attachable mounting for photographic cameras
KR102155968B1 (ko) 소총용 레일 어댑터
JP2003005085A (ja) 倒立顕微鏡転倒防止機構
JP2015227575A (ja) パネル設備の固定具
US1805547A (en) Machine gun mount
US20240085004A1 (en) Illumination system, light, and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