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801A - Contents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ntents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801A
KR20130101801A KR1020120022822A KR20120022822A KR20130101801A KR 20130101801 A KR20130101801 A KR 20130101801A KR 1020120022822 A KR1020120022822 A KR 1020120022822A KR 20120022822 A KR20120022822 A KR 20120022822A KR 20130101801 A KR20130101801 A KR 20130101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app
content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훈
전화주
강민호
Original Assignee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2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1801A/en
Publication of KR2013010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8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contents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mprove operation efficiency and system performance, and to receive the benefit of a pure terminal in the after service (AS), and to improve convenience of a user. CONSTITUTION: A storing part stores contents including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established event. A display part displays the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s, when the pre-established event occurs. A control part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oun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s to an arbitrary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part. [Reference numerals] (100) Content processing device; (200) Second device; (SP310) Output a content when an event occurs; (SP320) Transmit the content; (SP330) Receive and output the content; (SP340) Transmit a control signal

Description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Contents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명세서는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앱(App.)의 콘텐츠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통신 연결된 하나 이상의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하여 단말기 간에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ntent process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transmit content of one or more apps (App.)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a mirroring function in a background state to one or more communication terminals connected to th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greatly improving user convenience by providing a mirror function.

일반적으로, 콘텐츠 처리 시스템은, 임의의 제1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임의의 제2 단말기에서 공유/제어하는 시스템이다.In general, a content processing system is a system for sharing / controlling content provided in any first terminal in any second terminal.

이러한 콘텐츠 처리 시스템은, 상기 임의의 제1 단말기가 미들웨어 또는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 형태의 가상 모바일 스크린(Virtual Mobile Screen : VMS)을 포함하며, 상기 가상 모바일 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에 표시되고 있는 모든 화면을 상기 제2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기의 운영 효율 및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content processing system includes a virtual mobile screen (VMS) in which the first terminal is a middleware or a separate application program, and is displayed on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virtual mobile screen. By providing a screen to the second terminal,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operating efficiency and system performance of the first terminal.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시스템은, 상기 가상 모바일 스크린을 포함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루팅(rooting)을 수행하여, 추후 A/S 등에 있어서 순정 단말기의 혜택을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the root of the first terminal to include the virtual mobile screen (rooting) to receive the benefit of the genuine terminal in the after-sales service.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의 화면 오프 상태, 대기 상태, 절전 상태 등으로 인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는, 단말기들 간에 콘텐츠 공유(또는, 미러링 기능 수행)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The content processing system may share content (or perform a mirroring function) between terminals when the screen of the display of the first terminal is turned off due to a screen off state, a standby state, a power saving state, or the like of the first terminal. There is an impossible problem.

한국 특허 출원 번호 제10-2005-0029628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29628

본 명세서의 목적은, 제1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앱(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콘텐츠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임의의 제2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운영 효율 및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first terminal with content associated with one or more apps (or applications)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a preset mirroring function to an arbitrary second terminal in a background state, thereby providing the first terminal. To provide a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operating efficiency and system performance of the.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은, 제1 단말기가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과 관련된 콘텐츠만을 임의의 제2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별도의 루팅 기능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추후 A/S 등에 있어서 순정 단말기의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configure the first terminal to provide only a second terminal with content related to an app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a mirroring function,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routing function for the first terminal.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process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capable of providing the benefits of a genuine terminal in an after-sales service.

본 명세서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단말기의 화면 오프 상태, 대기 상태, 절전 상태 등으로 인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꺼진 상태(off state)에서도 단말기들 간에 콘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transmit / receive content between terminals even when the screen of the display of the first terminal is turned off due to a screen off state, a standby state, a power saving state, etc. of the first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onvenience of a user.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장치는, 통신부;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포함된 버튼 또는 키가 선택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각인 경우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각에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which stores contents including imag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set event;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vide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when the preset event occur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imag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to any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preset event includes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specific library including a mirroring function. When executed, when the button or the key included i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 or the application including the library is selected, the preset time is set, and the specific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at the preset time It may be any one of the case that the app or the application is included.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content to the arbitrary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nly when the content is related to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specific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have.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ler may transmit imag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to the arbitrary terminals through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의 전송 중에, 상기 표시부가 화면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처리 장치가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및,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가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해당할 때,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계속하여 전송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the display unit or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display unit transitioning to a standby state when the display unit switches to a screen standby state while the content is being transmitted, and When the display unit or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switches to the power saving mode state, the content may be continuously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n the background state.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임의의 단말기는, 더미 단말기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rbitrary terminal may be a dummy terminal.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방법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포함된 버튼 또는 키가 선택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각인 경우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각에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Content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vent from the plurality of contents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on the display unit; And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to any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preset event is executed by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specific library including a mirroring function. If the button or the key included i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 or the application including the library is selected, the preset reservation time, and includes a specific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at the preset reservation time It may be any one of an app or an application that is executed.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ransmitting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may include: the communication unit only when the content is related to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specific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Through the content can be transmitted to the arbitrary terminal.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ransmitt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may transmit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to the arbitrary terminal through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전송 중에, 상기 표시부가 화면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처리 장치가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및,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가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해당할 때,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계속하여 전송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ransmitting of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may include the display unit or the display unit when the display unit transitions to a screen standby state during th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When the processing device enters the standby state and when the display unit or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enters the power saving mode, either of the cases, the content can be continuously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n the background state. have.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방법은, 제1 단말기에서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 실행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응 단말기 사이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실행된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포그라운드 및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그 각각과 하나 이상 대응되는 대응 단말기에 자신의 표시 영상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대응 단말기를 통한 입력을 연결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수신하여 자신에 대한 입력으로 처리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Content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ep of executing at least one app or application including a specific library including a mirroring function in the first terminal;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one or more corresponding terminals for receiving an image provided by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specific library including a mirroring function executed in the first terminal; Continuously providing an own display image of the app or the application including the specific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executed in the first terminal to a correspond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each in the foreground and background states; ; And receiving an input through the corresponding terminal from an app or application program of the connected first terminal and processing the input through the corresponding terminal as an input to the terminal.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미리 설정된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앱(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콘텐츠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임의의 제2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앱의 콘텐츠만을 상기 제2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운영 효율 및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providing content associated with one or more apps (or applications)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a preset mirroring function to any second terminal in the background state In addition, only the content of an app including a preset library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terminal to improve operating efficiency and system performance of the first terminal.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제1 단말기가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과 관련된 콘텐츠만을 임의의 제2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별도의 루팅 기능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추후 A/S 등에 있어서 순정 단말기의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configuring the first terminal to provide only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app including the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to any secon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 separate routing function for, it can be provided with the benefits of the genuine terminal in the after-sales service.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제1 단말기의 화면 오프 상태, 대기 상태, 절전 상태 등으로 인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도 단말기들 간에 콘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ven if the screen of the display of the first terminal is turned off due to the screen off state, standby state, power saving state of the first terminal, etc. By making it possible to transmit / receive,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표시부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gnal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ss of a conten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display unit of a conten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is a signal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ss of a conten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s a signal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ss of a conten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particular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when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incorrect technical terms that do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should be replaced with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correctly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or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may be further comprised of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urthermore,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처리 시스템(10)은, 제1 이동 단말기(또는, 콘텐츠 처리 장치)(100) 및, 제2 단말기(2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처리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콘텐츠 처리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콘텐츠 처리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tent processing system 10 includes a first mobile terminal (or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a second terminal 200. Not all components of the content processing system 10 shown in FIG. 1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content processing system 1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The content processing system 10 may also be implemented by components.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콘텐츠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미러링(mirroring)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 AML) 등 포함)를 포함하는(또는, 내장하는(embedded)) 미리 설정된 앱(상기 라이브러리 및, 광고 플랫폼 등 포함) 또는 응용 프로그램(상기 라이브러리 및, 광고 플랫폼 등 포함)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포함된 버튼/키가 선택되는 경우, 미리 예약된 시각에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저장된 콘텐츠는, 임의의 영상 정보(정지 영상, 동영상 등 포함), 음성 정보, 상기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화면(또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텔레매틱스 단말기(Telematics Terminal),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와이브로 단말기(Wibro Terminal),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순정 단말기(또는, 순정 폰) 또는 루팅 단말기(rooting terminal, 또는, 루팅 폰, 안드로이드 계열에 해당)(또는, 아이폰 계열의 경우, 탈옥(jail breaking) 폰)일 수 있다.When the preset event occurs,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outputs the prestored content in response to the event. The preset event may include a preset app that includes (or embeds) a library including a mirroring function (eg, an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AML), etc.). (Including the library and the advertising platform) or an application (including the library and the advertising platform) is executed, and a button / key included i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 or the application including the library is selected. This may be the case where a preset app or application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is execu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case, the pre-stored content may include a screen (or menu) such as arbitrary image information (including still images, videos, etc.), voice information, various user interfaces or graphic user interfaces according to execution results of the preset app or application program. Screen) and the like. Herein,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may include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telematics terminal,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Wibro Terminal,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Terminal, Audio Video Navigation (AVN) Terminal,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Terminal (Vehicle Navigation Device) Terminal) may be any one of various terminals. 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a genuine terminal (or genuine phone) or a rooting terminal (rooting terminal, or a rooting phone, Android-based) (or, in the case of iPhone, jail breaking phone May be).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출력 중인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유/무선 통신 연결된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transmits the video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utput content to the second terminal 200 connected to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콘텐츠를 전송할 전송 대상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 중에서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을 근거로 선택된 전송 대상 기기 및, 상기 미리 저장된 콘텐츠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설정된 콘텐츠와 전송 대상 기기를 근거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설정된 전송 대상 기기에 해당하는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event occurs,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outputs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to which the pre-stored content is to be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event. 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sets the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ed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based on a user input (or user selection) and the pre-stored content. 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transmits the content to any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et transmission target device based on the content set in response to the event and the transmission target device.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복수의 미리 설정된 개별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발생한 개별 이벤트에 대응하는 각각의 콘텐츠를 전송할 전송 대상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 중에서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을 근거로 선택된 전송 대상 기기 및, 대응하는 콘텐츠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백그라운드 상태(background state)로 상기 복수의 개별 이벤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각각 전송하는 도중에, 상기 복수의 개별 이벤트에 대응하는 콘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콘텐츠(또는, 상기 개별 이벤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메뉴 화면/영상)를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preset individual events occur,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outputs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for transmission of each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individual events. 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sets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ed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based on a user input (or user selection) and corresponding content. Here,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one of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vents (or, while transmitting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vents in a background state, respectively). A specific menu screen / video set in advance in response to the individual event may be output to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개별 이벤트에 대응하는 콘텐츠와 전송 대상 기기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개별 이벤트에 따른 각각의 콘텐츠를 대응하는 각각의 임의의 단말기(상기 제2 단말기(200) 등 포함)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is based o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vents and the transmission target device, each arbitrary terminal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vents (the second). Terminal 200, etc.).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가 화면 오프 상태, 대기 상태 및, 절전 모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중에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각이 되면,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 등 포함)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 결과에 따른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한다.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perform the mirroring function whe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reaches a preset reservation time while maintaining one of a screen off state, a standby state, and a power saving mode state. It executes a preset app or application including the included library (for example,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AML), etc.), and transmit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execution result to the second terminal (200).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가 동작 상태 등과 같은 임의의 상태에서, 화면 오프 상태, 대기 상태 및, 절전 모드 상태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특정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 등 포함)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 결과에 따른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is switched from a predetermined state such as an operating state to a predetermined specific state such as a screen off state, a standby state, a power saving mode state, and the like, Runs a preset app or application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a mirroring function (for example, an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AML), etc.), and transmit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execution result to the second terminal 200. .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할 때,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에만 상기 콘텐츠(또는,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해당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second terminal 200, the content (or the content) is executed only when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is executed. The execution result of the corresponding app or application including the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출력 중인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할 때,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에 대해서 동일한 통신 방식 또는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각각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when transmitt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utput content to the second terminal 200, the same communication scheme for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or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 중에,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가 화면 오프 상태, 대기 상태 및, 절전 모드 상태 등으로 전환되더라도, 백그라운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지속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while transmitt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to the second terminal 200,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is the screen off state, standby state and Even if the power saving mode is switched, the background state is maintained and th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is continued.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출력 중인 콘텐츠 또는 상기 전송 중인 콘텐츠에 대해서 임의의 제어 기능(예를 들어, 출력 중지, 전송 중지, 화면 제어 등 포함)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based on a control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any control function (for example, output stop, transmission stop, screen control for the output content or the content being transmitted) Etc.).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임의의 콘텐츠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단말기(200)는, 더미 단말기(dummy terminal)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임의의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뷰어 기능을 포함하는 뷰어 앱(viewer app.) 또는 뷰어 프로그램(viewer program)을 포함하는 더미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스마트 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텔레매틱스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와이브로 단말기, IPTV 단말기, AVN 단말기, PMP, 내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The second terminal 200 receives arbitrary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Here,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a dummy terminal. That is, the second terminal 200 includes a viewer app or a viewer program including a viewer function for outputting arbitrary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It may be a dummy terminal. In addition, the second terminal 200 includes a smart phone, a mobi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telematics terminal,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WiBro terminal, an IPTV terminal, an AVN terminal, a PMP, and a navigation terminal. It may be any one of various terminals such as (vehicle navigation device).

또한,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순정 단말기(또는, 순정 폰) 또는 루팅 단말기(또는, 루팅 폰)(또는, 아이폰 계열의 경우, 탈옥 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a genuine terminal (or genuine phone) or a routing terminal (or routing phone) (or jailbreak phone in case of iPhone series).

또한,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econd terminal 200 stores an app or an application program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또한,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제2 단말기(200)를 통해 기존 영상 및/또는 음성 정보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 상기 임의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존 영상 및/또는 음성 정보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terminal 200 outputs the received content by using an app or an application program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terminal 200 receives the arbitrary content while outputting the existing video and / or audio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terminal 200, the second terminal 200 receives the existing video and / or audio information. Stop outputting and output the received content.

또한,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의해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한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에 대한 동기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동기화된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terminal 200 receives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by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the second terminal 200 performs a synchronization function for the received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and performs the synchronization. Outputted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제2 단말기(200)의 미리 설정된 음성 및/또는 영상의 코덱 설정 정보(또는, 상기 제2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근거로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200)의 설정 상태에 맞도록 재설정/재변환한 후, 상기 재설정/재변환된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terminal 200 is received based on codec setting information (or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0) of the preset voice and / or video of the second terminal 200. After resetting / reconverting the content to match the setting state of the second terminal 200, the reconfigured content may be output.

또한,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제어 신호(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의 콘텐츠 중단을 요청하는 정보,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임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등 포함)를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전송하여, 이를 통해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서 상기 제2 단말기(200)로의 콘텐츠 전송을 중지시키거나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임의의 기능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second terminal 200 controls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 user's operation (information requesting to stop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and any function of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to stop th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to the second terminal 200 or through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Control any function.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와 상기 제2 단말기(200) 각각은,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은, 무선랜(Wireless LAN :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 WMB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ere,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reless LAN (WLAN), Wi-Fi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and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b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 Band (UWB),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USB communication,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optical / coaxial cable, and the like.

이와 같이, 콘텐츠 처리 장치가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앱(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콘텐츠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임의의 제2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As such,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may provide content related to one or more apps (or applications) including the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to any second terminal in a background state.

또한, 이와 같이, 콘텐츠 처리 장치가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과 관련된 콘텐츠만을 임의의 제2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uch,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may provide only a second terminal with content related to an app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a mirroring function.

또한, 이와 같이, 콘텐츠 처리 장치의 제1 단말기의 화면 오프 상태, 대기 상태, 절전 상태 등으로 인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도 단말기들 간에 콘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may be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terminals even when the screen of the display of the first terminal is turned off due to the screen off state, standby state, power saving state, etc. of the first terminal of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저장부(110), 제어부(120), 표시부(130), 음성 출력부(140) 및, 통신부(15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콘텐츠 처리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콘텐츠 처리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storage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n audio output unit 140, and a communication unit 150. Not all components of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2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also be implemented by components.

상기 저장부(11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10 stores various user interfaces (UIs) and /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또한, 상기 저장부(110)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10 stores data, a program,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to operate.

또한, 상기 저장부(1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1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1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optical disk,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torage medium of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110 on the Internet, or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the web storage.

또한, 상기 저장부(110)는,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정보(콘텐츠, 제어 신호 등 포함)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10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cluding content, control signals, etc.)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또한, 상기 저장부(110)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음성 및/또는 영상 코덱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10 stores the audio and / or video codec sett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또한, 상기 저장부(110)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예약 시각 정보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10 stores reservation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setting.

또한, 상기 저장부(110)는,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임의의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10 stores any app or application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a mirroring function.

또한, 상기 저장부(110)는, 임의의 영상 정보(정지 영상, 동영상 등 포함), 음성 정보, 상기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화면(또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10 may include arbitrary image information (including still images, moving images, etc.), audio information, and various screens (or menus) such as various user interfaces or graphic user interfaces according to execution results of the app or application program. Screen)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120 performs an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1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 등 포함)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포함된 임의의 버튼/키가 선택되는 경우, 미리 예약된 시각인 경우, 상기 미리 예약된 시각에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앱/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reset event occurs, the controller 120 outputs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and / or the voice output unit 140 in response to the event. . Here, the preset event, when a preset app or application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for example, including an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AML), etc.) is executed, the app containing the library or If any button / key included i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is selected, and if it is a pre-scheduled time, the preset app / application including the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is executed at the pre-scheduled time. It may be any one of the cases.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출력 중인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동일한 통신 방식 또는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을 통해 유/무선 통신 연결된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임의의 단말기는, 더미 단말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the video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utput content to any terminal connected to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same communication method or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Here, the arbitrary terminal may be a dummy terminal.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콘텐츠를 전송할 전송 대상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상기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 중에서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을 근거로 선택된 전송 대상 기기 및,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저장부(110)에 저장된 콘텐츠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설정된 전송 대상 기기를 근거로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콘텐츠를 해당하는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event occurs, the control unit 120 displays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to which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is to be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event. Display.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may select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ed based on a user input (or user selection)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storage unit 110 in response to the event. Set the content stored in). 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transmits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to a corresponding terminal based on the set transmission target device.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복수의 미리 설정된 개별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발생한 개별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110)에 미리 저장된 각각의 콘텐츠를 전송할 전송 대상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preset individual events occur,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a device for selecting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to transmit each content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110 in response to each of the generated individual events. The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상기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 중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개별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콘텐츠에 대한 전송 대상 기기를 설정/확인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sets / confirms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for each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individual event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among the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설정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개별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콘텐츠를 해당하는 임의의 단말기에 각각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콘텐츠를 해당하는 임의의 단말기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개별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 또는 상기 개별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110)에 미리 저장된 특정 콘텐츠/화면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respective cont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dividual events to an arbitrary terminal based on the se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the respective contents to a corresponding terminal in a background state, and at the same time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dividual events or the individual events. The specific content / scree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각이 될 때, 상기 예약 시각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상기 라이브러리를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preset time is reached, the controller 120 executes a preset app or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reserved time. Here, the preset app or application program includes the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대기 상태, 절전 모드 상태 및, 상기 표시부(130)가 화면 오프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각이 될 때, 상기 예약 시각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et time is set while the display unit 130 maintains any one of the standby state, the power saving mode state, and the display off state, the control unit 120 corresponds to the reserved time in advance. You can also run a set app or application.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상기 콘텐츠 포함)를 상기 예약 시각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대응하는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the execution result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app or the application program to the corresponding predetermine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eservation tim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할 때,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상기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른 콘텐츠인 경우에 한해서만,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상기 콘텐츠 포함)만을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when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second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app or an application that includes the library that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includes the mirroring function Only in the case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execution result of the,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content to the second terminal (200). That is,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only the execution result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app or the application including the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to the second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도중에, 상기 표시부(130)의 화면 상태가 화면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30) 또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가 대기 상태 또는 절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creen state of the display unit 130 is switched to the screen off state while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the control unit 120 performs the display unit 130 or the content processing. Even when the device 100 is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or the power saving state, it is possible to continue to transmit the content in the background state.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가 동작 상태(operation state/mode) 등과 같은 임의의 상태에서, 화면 오프 상태, 대기 상태 및, 절전 모드 상태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특정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 등 포함)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 결과에 따른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in any state, such as an operation state (operation state / mode), such as a screen off state, a standby state, a power saving mode state, etc. When switched, a preset app or application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eg, including an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AML), etc.) is executed, and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execution result is displayed on the second terminal ( 200).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임의의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출력 중인 콘텐츠 또는 상기 전송 중인 콘텐츠에 대해서 임의의 제어 기능(예를 들어, 출력 중지, 전송 중지, 화면 제어 등 포함)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performs an arbitrary control function (for example, output stop, transmission stop, screen control, etc.) on the content being output or the content being transmitted based on an arbitrary control signal. .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지도 데이터나 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various contents such as various menu screens using a user interface and / or a graphic user interfa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ncludes a menu screen including various text or image data (including map data and various information data) and data such as icons, list menus, combo boxe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0 may be a touch screen.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콘텐츠를 표시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 or the applic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스피커가 될 수도 있다.The voice output unit 140 outputs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a signal processed by a predetermined signal by the controller 120. Here, the voice output unit 140 may be a speaker.

상기 통신부(15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LAN), 와이 파이,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USB 통신, 이더넷, 시리얼 통신,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communicates with any component inside or any at least one terminal outside via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LAN, Wi-Fi, Wibro, Wimax, HSD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Broadb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MBS), and the like. Can be. In ad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Bluetooth, RFID, infrared communication, UWB, Zigbee, adjacent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Also, the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USB communication,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optical / coaxial cable, and the like.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 또는 임의의 기능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receive a signal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or a function selection by a user, or receive a command or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n operation such as touching / scrolling a displayed screen. I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not shown).

또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조그 셔틀(Jog Shuttle), 마우스(mouse),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터치 펜(Touch Pen)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input unit may receive a signal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put by a user, and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touch screen, and a jog. Various devices such as a wheel, a jog switch, a jog shuttle, a mouse, a stylus pen, a touch pen, and the like may be used.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3 is a signal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ss of a conten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먼저,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미리 저장된 콘텐츠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 등 포함)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포함된 버튼/키가 선택되는 경우, 미리 예약된 시각인 경우, 상기 미리 예약된 시각에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저장된 콘텐츠는, 임의의 영상 정보(정지 영상, 동영상 등 포함), 음성 정보, 상기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화면(또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스마트 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텔레매틱스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와이브로 단말기, IPTV 단말기, AVN 단말기, PMP, 내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First, when a preset event occurs,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outputs the content stored in advance i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in response to the event. Here, the preset event is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the library when a preset app or application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a mirroring function (eg, including an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AML)) is executed. When the button / key included i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program is selected, when the preset time, or when the preset app or application including the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is executed at the pre-scheduled time, etc. have. In this case, the pre-stored content may include a screen (or menu) such as arbitrary image information (including still images, videos, etc.), voice information, various user interfaces or graphic user interfaces according to execution results of the preset app or application program. Screen) and the like. Here,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is a smart phone,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telematics terminal, notebook computer,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WiBro terminal, IPTV terminal, AVN terminal, PMP, navigation terminal It may be any one of various terminals such as (vehicle navigation device).

일 예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포함된 앱(상기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 포함)이 실행될 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행된 앱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410)를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표시부(130)에 표시하고, 상기 실행된 앱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SP310).For example, when the app (including the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included in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is executed,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executes the executed app as shown in FIG. 4. Display image information 410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130 of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and output audi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ecuted app to the audio output unit 140 of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Output through (SP310).

이후,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출력 중인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유/무선 통신 연결된 임의의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임의의 더미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와 상기 제2 단말기(200) 각각은,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은, 무선랜(WLAN), 와이 파이,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USB 통신, 이더넷, 시리얼 통신,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 또는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순정 단말기(또는, 순정 폰) 또는 루팅 단말기(또는, 루팅 폰)에 상관없이,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말기일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transmits the video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utput content to any second terminal 200 connected to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second terminal 200 includes an app or an application program including the library and may be an arbitrary dummy terminal. In addition, each of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ere,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LAN, Wi-Fi, Wibro, Wimax (Wimax), HSD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Broadb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MBS), etc. will be included. Can be. In ad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Bluetooth, RFID, infrared communication, UWB, Zigbee, adjacent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Also, the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USB communication,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optical / coaxial cabl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or the second terminal 200 includes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regardless of the genuine terminal (or genuine phone) or the routing terminal (or routing phone). It can be any terminal that includes an app or application.

또한, 상기 제2 단말기(200)로 전송 가능한 콘텐츠는, 상기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실행되는(또는, 출력되는) 콘텐츠만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출력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출력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인 경우(또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는 경우)에 한해서만,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targeted only to content that is executed (or outputted) in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the library. That is,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confirms whether the app or the application related to the content being output includes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an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the app or application related to the content being output Only when the program is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or when the content is related to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the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the content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send to.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영상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할 때, 동일한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through the same communication method when transmitt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200, or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일 예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출력 중인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는 와이파이 방식으로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상기 출력 중인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 정보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한다.For example,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transmits the vide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utput content to the second terminal 200 in a Wi-Fi manner, and the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utput content is in a Bluetooth manner. Transmit to the second terminal 200.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영상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 중에,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표시부(130)가 화면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가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가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등에도, 지속적으로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영상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switch the display unit 130 of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to the screen off state while transmitt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200. In this case, whe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is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even whe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is switched to the power saving mode state, the image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is continuously recorded in the background state.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콘텐츠를 전송할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 중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전송 대상 기기(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기에 상기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SP320).In addition, when the event occurs,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displays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to which the prestored content is to be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event, and the user is selected from one or more terminals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The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target device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200)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SP320).

이후,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예를 들어, 상기 영상 정보 및/또는 상기 음성 정보 등 포함)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저장 및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으로 각각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한 경우,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킨 후, 상기 동기화된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Thereafter, the second terminal 200 receives the content (for example, includ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 or the audio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stores the received content, and Output In this case, whe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transmits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200 in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the second terminal 200 transmits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After synchronizing with each other, and outputs the synchronized imag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일 예로,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와이파이 방식으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와 상기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킨 후, 상기 동기화된 영상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동기화된 음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200)의 음성 출력부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동기화된 영상 정보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영상 정보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200 receives the video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by the Wi-Fi method and th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by the Bluetooth method, respectively. After synchronizing the received video information with the audio information, the synchronized video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synchronized audio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audio of the second terminal 200. Output to negative. In this case, the synchronized image information may be the same image information as shown in FIG. 4.

또한,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제2 단말기(200)의 미리 설정된 음성 및/또는 영상의 코덱 설정 정보(또는, 상기 제2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200)의 설정 상태에 맞도록 재설정한 후, 상기 재설정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based on codec setting information (or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0) of the preset voice and / or video of the second terminal 200. After resetting the received content to match the setting state of the second terminal 200, the reset content may be output.

이와 같이,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만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SP330).As such, the second terminal 200 may receive and output only content output through an app / application program including the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SP330).

이후,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 또는 상기 제2 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서 상기 출력 중인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해당하는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해당 단말기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SP340).Subsequently,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content is generated by either one of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or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a corresponding terminal. The corresponding terminal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may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SP340).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5 is a signal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ss of a conten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먼저,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복수의 미리 설정된 개별 이벤트가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개별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미리 저장된 각각의 콘텐츠를 전송할 전송 대상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을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미리 설정된 개별 이벤트는,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 등 포함)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포함된 버튼/키가 선택되는 경우, 미리 예약된 시각에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저장된 콘텐츠는, 임의의 영상 정보(정지 영상, 동영상 등 포함), 음성 정보, 상기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화면(또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스마트 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텔레매틱스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와이브로 단말기, IPTV 단말기, AVN 단말기, PMP, 내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First, whe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individual events occur sequentially,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transmits each content previously stored in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in response to the sequentially occurring individual events.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a devi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of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Here, the plurality of preset individual events may include a library when a preset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a mirroring function (eg, including an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AML)) is executed. When the button / key included i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 or the application is selected, the preset application or the application including the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is execu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case, the pre-stored content may include a screen (or menu) such as arbitrary image information (including still images, videos, etc.), voice information, various user interfaces or graphic user interfaces according to execution results of the preset app or application program. Screen) and the like. Here,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is a smart phone,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telematics terminal, notebook computer,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WiBro terminal, IPTV terminal, AVN terminal, PMP, navigation terminal It may be any one of various terminals such as (vehicle navigation device).

일 예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포함된 제1 앱(상기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 포함), 제2 앱(상기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 포함) 및, 제3 앱(상기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 포함)이 순차적으로 실행될 때, 상기 실행된 제1 앱에 대응하는 제1 콘텐츠, 상기 실행된 제2 앱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 및, 상기 실행된 제3 앱에 대응하는 제3 콘텐츠를 각각 수신할 단말기를 설정하기 위한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For example,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first app (including the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a second app (including the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included i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and When 3 apps (including the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are executed sequentially, the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xecuted first app,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xecuted second app, and the executed third app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for setting a terminal to receive corresponding third content.

다른 일 예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포함된 제1 앱(상기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 포함)이 실행되면, 상기 실행된 제1 앱에 대응하는 제1 콘텐츠를 수신할 단말기를 설정하기 위한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표시부(130)의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앱 실행 추가 메뉴/버튼(미도시) 등이 선택되어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포함된 제2 앱(상기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 포함)이 실행되면, 상기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에 상기 실행된 제2 앱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를 수신할 단말기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추가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앱이 실행되어 해당하는 콘텐츠를 수신할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130)의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앱 실행 추가 메뉴/버튼의 선택에 따라 추가로 해당 앱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할 단말기를 선택하는 상기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SP510).As another example, when the first app (including the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included in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is execu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may correspond to the executed first app.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for setting a terminal to receive the firs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Thereafter,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select an app execution additional menu / button (not shown) displayed on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30 and include it i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user selection. When the second app (including the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is executed, a menu for setting a terminal to receiv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xecuted second app is further displayed on the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is configured to display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on which the one or more apps are executed to receive corresponding content on the display unit 130. The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a terminal to receive addi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pp may be variably chang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n app execution additional menu / button displayed in a partial region (SP510).

이후,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의 콘텐츠 각각에 대한 전송 대상 기기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 대상 기기에 해당하는 단말기는,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임의의 더미 단말기일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sets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Here,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target device includes an app or an application program including the library and may be an arbitrary dummy terminal.

일 예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전송 대상 기기 선택 화면 중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제1 콘텐츠의 전송 대상 기기를 제2 단말기(200)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앱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의 전송 대상 기기를 임의의 제3 단말기로 설정하고, 상기 제3 앱에 대응하는 제3 콘텐츠의 전송 대상 기기를 임의의 제4 단말기로 설정한다(SP520).For example,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select, based on a user selection,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of the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 from a transmission target device sele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s a second terminal. Set to (200), set the target device for transmitting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pp to an arbitrary third terminal, and set the target device for the thir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ird app to the arbitrary fourth; Set to the terminal (SP520).

이후,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200)는, 상기 설정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콘텐츠 각각을 해당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와 해당 단말기 각각은,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은, 무선랜(WLAN), 와이 파이,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USB 통신, 이더넷, 시리얼 통신,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 또는 상기 해당 단말기는, 순정 단말기(또는, 순정 폰) 또는 루팅 단말기(또는, 루팅 폰)에 상관없이,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말기일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200 transmits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based on the set informa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and the corresponding terminal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ere,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LAN, Wi-Fi, Wibro, Wimax (Wimax), HSD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Broadb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MBS), etc. will be included. Can be. In ad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Bluetooth, RFID, infrared communication, UWB, Zigbee, adjacent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Also, the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USB communication,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optical / coaxial cabl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or the corresponding terminal, regardless of the original terminal (or genuine phone) or the routing terminal (or routing phone),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It may be any terminal including a.

또한, 복수의 상기 해당 단말기로 전송 가능한 콘텐츠는, 상기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실행되는(또는, 출력되는) 콘텐츠만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실행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실행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인 경우에 한해서만, 상기 실행된 앱/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를 상기 해당 단말기에 각각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that can b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s may be targeted only to content executed in (or output to) an app or an application program including the library. That is,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checks whether the executed app or application includes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an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the executed app or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have the mirroring function. Only in the case of the included library,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to the executed app / application The content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respectively.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각각의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상기 해당 단말기에 전송할 때, 동일한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through the same communication method when transmitt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spective content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Alternatively,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일 예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제1 콘텐츠에 포함된 제1 영상 정보는 와이파이 방식으로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콘텐츠에 포함된 제1 음성 정보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며, 상기 제2 콘텐츠에 포함된 제2 영상 정보는 무선랜 방식으로 상기 제3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콘텐츠에 포함된 제2 음성 정보는 지그비 방식으로 상기 제3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제3 콘텐츠에 포함된 제3 영상 정보는 와이브로 방식으로 상기 제4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3 콘텐츠에 포함된 제3 음성 정보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제4 단말기에 전송한다.For example,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transmits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content to the second terminal 200 in a Wi-Fi manner, and the first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content is Bluetooth.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in a second manner, and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third terminal in a wireless LAN manner and the second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content is a Zigbee scheme. The third terminal transmits the third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hird content to the fourth terminal through WiBro, and the third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hird content is transmitted through the Bluetooth method. To transmit.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발생한 복수의 개별 이벤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당하는 각각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도중에, 상기 발생한 복수의 개별 이벤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콘텐츠(또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메뉴 화면/영상)를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transmits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plurality of individual events to the respectiv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stat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plurality of individual events. Any content (or a specific menu screen / video set in advance in response to the eve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of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즉,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발생한 복수의 개별 이벤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당하는 각각의 단말기에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발생한 복수의 개별 이벤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가장 먼저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콘텐츠 또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도 있다.That is,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transmits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plurality of individual events to each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state, and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plurality of individual events. Among them,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vent that occurred first or the content having the highest priority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of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일 예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상기 제1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제3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3 콘텐츠를 상기 제4 단말기에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실행된 제1 앱, 제2 앱 및, 제3 앱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표시부(130)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SP530).For example,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first content to the second terminal 200 in the background state, transmit the second content to the third terminal, and transmit the third content to the fourth terminal. The display unit 130 of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transmits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executed first app, second app, and third app while being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 may be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140 of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SP530).

이후, 복수의 단말기 각각은,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예를 들어, 상기 영상 정보 및/또는 상기 음성 정보 등 포함)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저장 및 출력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각각은,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으로 각각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전송한 경우,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킨 후, 상기 동기화된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Thereafter,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receives content (for example, includ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 or th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stores and outputs the received content. 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s configured to synchronize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transmits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 a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 Thereafter, the synchronized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are output.

일 예로,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와이파이 방식으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와 상기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킨 후, 상기 동기화된 영상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동기화된 음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3 단말기는, 상기 무선랜 방식으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와 상기 지그비 방식으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킨 후, 상기 동기화된 영상 정보를 상기 제3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동기화된 음성 정보를 상기 제3 단말기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4 단말기는, 상기 와이브로 방식으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와 상기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킨 후, 상기 동기화된 영상 정보를 상기 제4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동기화된 음성 정보를 상기 제4 단말기에 출력한다.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200 receives the video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by the Wi-Fi method and th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by the Bluetooth method, respectively. After the received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the synchronized video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synchronized audio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second terminal 200. . In addition, the third terminal receives the video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in the wireless LAN method and th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in the Zigbee method, respectively. After synchroniz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e synchronized video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hird terminal, and the synchronized audio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third terminal. In addition, the fourth terminal receives the video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audio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by the Bluetooth method, respectively, and receives the received video. After synchronizing the information with the audio information, the synchronized video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fourth terminal, and the synchronized audio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fourth terminal.

또한,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각각은, 해당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음성 및/또는 영상의 코덱 설정 정보(또는, 상기 해당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해당 단말기의 설정 상태에 맞도록 재설정한 후, 상기 재설정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may transmit the received content to a sett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based on codec setting information (or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of preset audio and / or video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fter resetting to fit, the reset content may be output.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각각은,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만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SP540).As such,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may receive and output only content output through an app / application program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SP540).

이후,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 또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서 상기 출력 중인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해당하는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해당 단말기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or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conten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a corresponding terminal, so as to control the control signal. The corresponding terminal receiving the may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일 예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제2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상기 제1 콘텐츠의 전송 중단을 요청하는 정보 등 포함)를 근거로 상기 제2 단말기(200)로의 상기 제1 콘텐츠 전송을 중지한다(SP550).As an example,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based on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including information requesting to stop transmission of the first content). The first content transmission is stopped (SP550).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6 is a signal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ss of a conten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먼저,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표시부(130)가 화면 오프 상태, 대기 상태 및, 절전 모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스마트 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텔레매틱스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와이브로 단말기, IPTV 단말기, AVN 단말기, PMP, 내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SP610).First,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unit 130 of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is a preset reservation time in any one of a screen off state, a standby state, and a power saving mode state. Here,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is a smart phone,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telematics terminal, notebook computer,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WiBro terminal, IPTV terminal, AVN terminal, PMP, navigation terminal It may be any one of various terminals such as a vehicle navigation device (SP610).

이후,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가 화면 오프 상태, 대기 상태 및, 절전 모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각이 되는 경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 등 포함)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화면 오프 상태, 대기 상태 및, 절전 모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reaches the preset reservation time in any one of a screen off state, a standby state, and a power saving mode state,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mirror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Runs a pre-configured app or application that includes a library containing functionality (eg, including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AML), etc.). In this case,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is a preset app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in a background state while maintaining one of the screen off state, the standby state, and the power saving mode state as it is. Or you can run the application.

일 예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표시부(130)가 화면 오프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각이 되면,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포함된 앱(상기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 포함)을 실행한다(SP620).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130 of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reaches a preset reservation time in a screen off state,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app included i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the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SP620).

이후,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실행 중인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P630).Thereafter,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checks whether the running app or the application program includes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SP630).

이후,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실행 중인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한다(SP640).Thereafter,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terminates the app or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state if the running app or the application does not include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as a result of the check ( SP640).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실행 중인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면,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상기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미리 저장된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유/무선 통신 연결된 임의의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저장된 콘텐츠는, 임의의 영상 정보(정지 영상, 동영상 등 포함), 음성 정보, 상기 미리 설정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화면(또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임의의 더미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와 상기 제2 단말기(200) 각각은,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은, 무선랜(WLAN), 와이 파이,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USB 통신, 이더넷, 시리얼 통신,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 또는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순정 단말기(또는, 순정 폰) 또는 루팅 단말기(또는, 루팅 폰)에 상관없이,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말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if the running app or application includes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as a result of the check, in the background state to the pre-stored content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 or application The included image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ny second terminal 200 connected to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Here, the pre-stored content may include arbitrary image information (including still images, videos, etc.), audio information, and various screens (or menus) such as various user interfaces or graphic user interfaces according to execution results of the preset app or application. Screen)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second terminal 200 includes an app or an application program including the library and may be an arbitrary dummy terminal. In addition, each of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ere,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LAN, Wi-Fi, Wibro, Wimax (Wimax), HSD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Broadb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MBS), etc. will be included. Can be. In ad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Bluetooth, RFID, infrared communication, UWB, Zigbee, adjacent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Also, the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USB communication,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optical / coaxial cabl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or the second terminal 200 includes a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regardless of the genuine terminal (or genuine phone) or the routing terminal (or routing phone). It can be any terminal that includes an app or application.

즉,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 등 포함)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에 한해서만,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상기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른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be executed in a background state only when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a preset mirroring function (for example, an 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AML), etc.) is executed.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 or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영상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할 때, 동일한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through the same communication method when transmitt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200, or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일 예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상기 실행 중인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는 와이파이 방식으로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상기 실행 중인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 정보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한다(SP650).For example,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transmits the vide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unning app or application to the second terminal 200 in a Wi-Fi manner, and executes the running app or application. The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in a Bluetooth manner (SP650).

이후,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예를 들어, 상기 영상 정보 및/또는 상기 음성 정보 등 포함)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저장 및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서로 다른 통신 방식으로 각각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킨 후, 상기 동기화된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Thereafter, the second terminal 200 receives the content (for example, includ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 or the audio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stores the received content, and Output In this case, when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are respectively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in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the second terminal 200 synchronizes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then synchronizes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Outputted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일 예로,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와이파이 방식으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와 상기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킨 후, 상기 동기화된 영상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동기화된 음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200)에 출력한다.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200 receives the video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by the Wi-Fi method and th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100 by the Bluetooth method, respectively. After the received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the synchronized video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synchronized audio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second terminal 200. .

또한,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제2 단말기(200)의 미리 설정된 음성 및/또는 영상의 코덱 설정 정보(또는, 상기 제2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200)의 설정 상태에 맞도록 재설정한 후, 상기 재설정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based on codec setting information (or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0) of the preset voice and / or video of the second terminal 200. After resetting the received content to match the setting state of the second terminal 200, the reset content may be output.

이와 같이, 상기 제2 단말기(200)는,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만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SP660).As such, the second terminal 200 may receive and output only the content output through the app / application program including the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SP660).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100) 또는 상기 제2 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서 상기 출력 중인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해당하는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해당 단말기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content from any one of the content processing device 100 or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a corresponding terminal, The corresponding terminal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may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앱(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콘텐츠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임의의 제2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운영 효율 및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erminal provides content related to one or more apps (or applications) including a library including a preset mirroring function to an arbitrary second terminal in a background state. Operation efficiency and system performance of the first terminal can be improved.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과 관련된 콘텐츠만을 임의의 제2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별도의 루팅 기능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추후 A/S 등에 있어서 순정 단말기의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configured to provide only the content related to the app including the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to any second terminal as described above, so as not to perform a separate routing function for the first terminal. There is no need to receive the benefits of the genuine terminal in the after-sales service.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의 화면 오프 상태, 대기 상태, 절전 상태 등으로 인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도 단말기들 간에 콘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transmit / receive content between terminals even when the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is turned off due to the screen off state, standby state, power saving state, etc. of the first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n this way,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콘텐츠 처리 시스템 100: 콘텐츠 처리 장치
110: 저장부 120: 제어부
130: 표시부 140: 음성 출력부
150: 통신부 200: 제2 단말기
10: content processing system 100: content processing device
110: storage unit 120: control unit
130: display unit 140: audio output unit
150: communication unit 200: second terminal

Claims (10)

통신부;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포함된 버튼 또는 키가 선택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각인 경우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각에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장치.
A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which stores contents including imag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set event;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vide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when the preset event occurs; And
And a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to any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preset event,
When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specific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is executed, when a button or key included i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 or the application including the library is selected, when the preset time is set, and And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specific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is executed at the preset reservation ti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 the content to the arbitrary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nly when the content is related to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specific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the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are transmitted to the arbitrary terminals through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의 전송 중에, 상기 표시부가 화면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처리 장치가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및,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가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해당할 때,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계속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During th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when the display unit transitions to the screen standby state, when the display unit or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display unit transitions to the standby state, and the display unit or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switches to the power saving mode state If the content of any one of the case,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inuously transmitting the cont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n the background st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단말기는,
더미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bitrary terminal,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ummy terminal.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포함된 버튼 또는 키가 선택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각인 경우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예약 시각에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방법.
Displaying, on a display unit,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vent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previously stored in a storage unit when a preset event occurs; And
And transmitt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to any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The preset event,
When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specific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is executed, when a button or key included i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 or the application including the library is selected, when the preset time is set, and And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specific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is executed at the preset reservation tim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ransmitting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nly when the content is related to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specific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ransmitting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to the arbitrary terminal through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전송 중에, 상기 표시부가 화면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처리 장치가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및,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콘텐츠 처리 장치가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해당할 때,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계속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ransmitting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During th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when the display unit transitions to the screen standby state, when the display unit or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display unit transitions to the standby state, and the display unit or the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switches to the power saving mode state If the content of any one of the case, the content process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inuously transmitting the cont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n the background state.
제1 단말기에서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 실행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응 단말기 사이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실행된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특정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포그라운드 및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그 각각과 하나 이상 대응되는 대응 단말기에 자신의 표시 영상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대응 단말기를 통한 입력을 연결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수신하여 자신에 대한 입력으로 처리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방법.
Executing at least one app or application including a specific library including a mirroring function in the first terminal;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one or more corresponding terminals for receiving an image provided by an app or an application including a specific library including a mirroring function executed in the first terminal;
Continuously providing an own display image of the app or the application including the specific library including the mirroring function executed in the first terminal to a correspond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each in the foreground and background states; ;
Receiving an input through the corresponding terminal by an app or an application program of the connected first terminal and processing the input through the corresponding terminal as an input to the terminal; Content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120022822A 2012-03-06 2012-03-06 Contents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301018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822A KR20130101801A (en) 2012-03-06 2012-03-06 Contents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822A KR20130101801A (en) 2012-03-06 2012-03-06 Contents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801A true KR20130101801A (en) 2013-09-16

Family

ID=4945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822A KR20130101801A (en) 2012-03-06 2012-03-06 Contents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180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784A1 (en) * 2014-03-14 2015-09-17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irroring services
US10585636B2 (en) 2014-12-09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mobil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784A1 (en) * 2014-03-14 2015-09-17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irroring services
US10740060B2 (en) 2014-03-14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irroring services
US10585636B2 (en) 2014-12-09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mobi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5379B2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between devices and device using the same
US1156175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transmitting images thereof
CN105389040B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664247B1 (en) Remote rendering for efficient use of wireless bandwidth for wireless docking
US10025451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screen
CN104866262B (en) Wearable device
KR102219861B1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7327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via portion of display
CN103677711A (en) Method for connecting mobile terminal and external display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KR2013013460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600070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of electronic device
US982634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10705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60003400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22572A (en) terminal apparatus, server and contol method thereof
KR102246555B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314548A (en) Double-screen display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KR20130101801A (en) Contents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554980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ontent change
KR20140123818A (en) Controlling Method for Audio outpu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331334B2 (en) Multiple transparent annotation layers for use with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188684B1 (en) Contents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10677456A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equipment
KR102475336B1 (en) User equipment,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667721B1 (en) Method for multiple display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