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533A - 전기 음향 변환기 - Google Patents

전기 음향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533A
KR20130099533A KR1020120021119A KR20120021119A KR20130099533A KR 20130099533 A KR20130099533 A KR 20130099533A KR 1020120021119 A KR1020120021119 A KR 1020120021119A KR 20120021119 A KR20120021119 A KR 20120021119A KR 20130099533 A KR20130099533 A KR 20130099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vibration
electroacoustic transducer
presen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1310B1 (ko
Inventor
오화영
윤종현
박경수
정승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1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3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음향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진동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의 측면방향에 위치되는 자석부를 포함하여, 상기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과 상기 자석부 간에 발생되는 자장에 의해 상기 아마추어가 진동한다.

Description

전기 음향 변환기{ELECTROACOUSTIC TRANSDUCER}
본 발명은 전기 음향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휴대폰, MP3플레이어, PMP 등 제품들의 보급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기기들은 음성이나 음악을 듣기 위하여 전기 음향 변환기인 이어폰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최근 이어폰의 외관상의 편의성,미적디자인,음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이어폰의 음질을 되도록 원음에 가까운 소리로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 신기술 중 한가지가 BA(Balanced Armature)라고 하는 것이다. 이 기술을 원래 수십년 전에 소개되었고, 보청기에 사용되어져 온 기술인데, 최근 이어폰에서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스피커 대신 사용하는 이 BA unit은 이어폰의 양쪽 귀에 한 개씩 총 2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성능향상을 위하여 1개 대신 2개 또는 3개 아니면 그 이상 개수의 BA unit을 사용하여 음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개수가 늘어날수록 크기가 커져서 귀에 장착하는 이어폰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효율적인 부품배치가 가능한 전기 음향 변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진동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의 측면방향에 위치되는 자석부를 포함하여, 상기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과 상기 자석부 간에 발생되는 자장에 의해 상기 아마추어가 진동하여, 상기 진동부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자석부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자석부는 상기 아마추어의 측면 끝단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자석부는 N극 및 S극이 상측 및 하측 또는 하측 및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코일은 상기 아마추어의 중심부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아마추어는 측면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진동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진동단은 상기 자석부의 중앙측을 향해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아마추어와 일측단이 연결되는 링크 및 상기 링크의 타측단과 연결되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하여, 상기 아마추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다이아프램을 진동시켜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구동부 및 진동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에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형성되는 사운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효율적인 부품배치가 가능하여 전기 음향 변환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요부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100)는 하우징(10)에 수용된 구동부(20) 및 구동부(20)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부(3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를 나타낸 요부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기 음향 변환기(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구동부(20)는 하우징(10)에 수용되되, 아마추어(Armature)(21)와, 아마추어(21)에 장착되는 코일(Coil)(22), 및 아마추어(21)의 측면방향에 위치된 자석부(23)를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Housing)(10)은 구동부(20) 및 진동부(30)를 수용한다. 이때, 하우징(10)은 내부에 구동부(20) 및 진동부(30)를 수용하는 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은 상측에 상부 커버(Cover)(11)가 위치되고, 하측에 하부커버(12)가 위치되며, 측면에 홀(hole) 부(13)가 위치된다. 여기서, 홀부(13)에 하우징(10)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사운드홀(sound hole)(13a)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아마추어(21)는 하우징(10)에 수용되고, 하우징(10)의 내측면 하부에 장착된다.
또한, 아마추어(21)의 측면 끝단에는 진동단(21a)이 돌출형성되되, 예를 들어 진동단(21a)은 사각기둥 형태로 측면방향을 향해 돌출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진동단(21a) 형태가 사각형 형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도 4를 참고하면, 진동단(21a)은 자석부(23)의 중앙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자석부(23)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여기서, 진동단(21a)의 끝단은 자석부(23)의 중앙측 근방에 위치된다. 이때, 자석부(23)는 N극 및 S극이 중앙측을 기준으로 상,하측 또는 하,상측에 위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코일(22)은 아마추어(21)에 장착되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코일(22)은 아마추어(21)의 중심부에 권취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코일(22)에 외부전원이 인가되어 전류가 흐르면 아마추어(21)가 자화되어 끝단이 움직이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자석부(23)는 하우징(10)에 수용되되, 아마추어(21)의 측면 끝단방향에 위치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자석부(23)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부(23)의 형태 및 배치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자석부(23)는 하단부가 하우징(10)의 내측면 하부에 고정되되, 예를 들어 자석부(23)의 하측단이 하우징(10)의 하부커버(12) 상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4를 참고하면, 자석부(23)의 N극 및 S극이 각각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되거나 하측 및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자석부(23)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부(23)가 영구자석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자석부(23)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진동부(30)는 하우징(10)에 수용되되, 아마추어(21)와 연결되는 링크(Link)(31) 및 링크(31)와 연결되는 다이아프램(Diaphram)(32)을 포함한다.
여기서, 링크(31)는 상측단이 아마추어(21)에 형성된 진동단(21a)의 하측면에 연결되어 아마추어(21)를 통해 진동을 전달받는다. 이때, 링크(31)는 예를 들어 원기둥 형태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31)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다이아프램(32)은 상측면이 링크(31)의 하측단과 연결되어, 링크(31)를 통해 아마추어(21)의 진동을 전달받아 소리를 발생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아마추어(21)에 장착된 코일(22)에 외부전원이 인가되어 전류가 흐르면 자성체로 이루어진 아마추어(21)가 자화된다. 이에 따라, 아마추어와 자석부(23) 간에 자장이 발생되어 아마추어(21)의 측면 끝단에 형성된 진동단(21a)이 진동되되, 아마추어(21)의 진동단(21a)이 수직으로 배치된 자석부(23)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진동된다.
여기서, 도 4를 참고하면, 아마추어(21)의 진동단(21a)은 자석부(23)의 중앙측을 향해 위치되되, 자석부(23)에 근접되게 위치된다. 이때, 예를 들어 자석부(23)의 S극이 하측에 위치되고 N극이 상측에 위치되면, 아마추어(21)의 진동단(21a)이 N극으로 자화될때는 하방향으로 아마추어(21)의 진동단(21a)이 움직이고, 아마추어(21) 끝단이 S극으로 자화될때는 상방향으로 아마추어(21)의 진동단(21a)이 움직여 진동된다.
그리고, 도 3을 참고하면, 아마추어(21)의 진동으로 아마추어(21)의 진동단(21a)에 연결된 링크(31) 및 링크(31)에 연결된 다이아프램(32)이 진동되며, 이에 따라 음향(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발생된 소리는 사운드홀(13a)을 통하여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아마추어(21)의 상,하부에 복수의 자석이 위치되고, 아마추어(21)에 요크(Yoke)가 고정되어 복수의 마그넷(Magnet)의 외측을 아마추어(21)가 감싸는 두께가 두꺼운 구조의 구성 대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는 종래의 아마추어(21)에 장착되는 요크 및 복수의 마그넷을 삭제하고, 자석부(23)를 아마추어(21) 측면 끝단에 위치시켜 전기 음향 변환기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전기 음향 변환기 10 : 하우징
11 : 상부커버 12 : 하부커버
13 : 홀부 13a: 사운드홀
20 : 구동부 21 : 아마추어
21a: 진동단 22 : 코일
23 : 자석부 30 : 진동부
31 : 링크 32 : 다이아프램

Claims (10)

  1.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진동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에 장착된 코일; 및
    상기 아마추어의 측면방향에 위치되는 자석부를 포함하여,
    상기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과 상기 자석부 간에 발생되는 자장에 의해 상기 아마추어가 진동하여, 상기 진동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상기 아마추어의 측면 끝단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N극 및 S극이 상측 및 하측 또는 하측 및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아마추어의 중심부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는 측면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진동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동단은 상기 자석부의 중앙측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아마추어와 일측단이 연결되는 링크; 및
    상기 링크의 타측단과 연결되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하여,
    상기 아마추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다이아프램을 진동시켜 음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및 진동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형성되는 사운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KR1020120021119A 2012-02-29 2012-02-29 전기 음향 변환기 KR101831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19A KR101831310B1 (ko) 2012-02-29 2012-02-29 전기 음향 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19A KR101831310B1 (ko) 2012-02-29 2012-02-29 전기 음향 변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533A true KR20130099533A (ko) 2013-09-06
KR101831310B1 KR101831310B1 (ko) 2018-02-22

Family

ID=4945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119A KR101831310B1 (ko) 2012-02-29 2012-02-29 전기 음향 변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3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1768A (ja) * 2004-07-26 2006-02-09 Rion Co Ltd 電気音響変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310B1 (ko)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9593B1 (en) Earphone device
US9154884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2006203709A (ja) 振動体
JP2016529829A (ja) 感覚信号出力装置
US9071909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KR20110016802A (ko) 이어폰
KR20160112893A (ko)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이중 주파수 저음강화 이어폰
CN111937409B (zh) 具有轴向和径向磁化电路的分布式模式扬声器电磁致动器
US10820113B2 (en) Speaker
US9820051B2 (en) Electromagnetic speaker
JP5700704B2 (ja) スピーカ装置
US9706310B2 (en) Acoustic device
KR20100122350A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20160067344A (ko) 초소형 복합 진동 마이크로스피커
US20120308070A1 (en) Slim type speaker and magnetic circuit therefor
KR20100122349A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US10979815B2 (en) Speaker
JP2012119845A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
JP5239150B2 (ja) 骨伝導スピーカー
US10149060B2 (en) Long stroke speaker
KR100987464B1 (ko) 지향성 스피커
CN113542472B (zh) 一种电子设备
US9621993B2 (en) Electromagnetic speaker
US10979800B2 (en) Sounding device
CN102316401A (zh) 多功能微型扬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