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333A -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333A
KR20130099333A KR1020120020750A KR20120020750A KR20130099333A KR 20130099333 A KR20130099333 A KR 20130099333A KR 1020120020750 A KR1020120020750 A KR 1020120020750A KR 20120020750 A KR20120020750 A KR 20120020750A KR 20130099333 A KR20130099333 A KR 20130099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vacuum insulation
panel
vacuum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5862B1 (ko
Inventor
신선수
최두진
박계균
이우철
신기수
Original Assignee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씨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8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도율은 매우 우수하나, 표면이 날카로운 재질 및 외부 충격에 의해 진공 손상이 쉬우며, 또한 벽체에 시공이 어려운 진공단열재를 합성수지재의 얇은 패널과 표면 마감재로 일체화 시켜, 외부 충격 및 긁힘 등의 요인에 의한 진공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한 규격화로 시공이 간편하고, 진공 복합단열재의 가벼운 무게로 벽면에 접착제 만으로 바로 시공이 가능하고, 별도의 마감 보드로 추가 시공 없이 한번의 단열시공으로 전체적인 시공을 마치거나, 추가로 시트지나 벽지 등 또는 도장으로 간편하게 실내 마감을 가능하게 하여, 진공단열재를 기존 건물에 마감보드 등의 해체 작업을 하기 않고, 전문적인 시공자가 아니라도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 후에도 단열재에 의한 실내 공간 축소 없이 초박형으로 단열 보강을 가능하게 만든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과거 단열이 미비하였던 건축물 또는 아파트 확장 부위 등의 단열 보강을 대규모 공사 없이, 벽체 철거 및 벽체 구성요소(몰딩, 걸레받이 등)의 철거작업 없이 간편하게 누구나 시공을 가능하게 하여, 단열 보강 공사가 이루어 지더라도 내부 면적 축소를 최소화하여 실시하여, 일반적인 단열벽지 등의 실질적인 효과가 발현되지 않는 구조를 뛰어넘어, 실질적인 단열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 건물의 냉,난방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궁극적으로는 열전도율 성능이 매우 우수한 진공단열재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방지 및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러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이 적용됨으로써 진공단열재가 건설현장의 내장단열재로써 널리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Vacuum insulation composite panel and using the same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열전도율은 매우 우수하나, 표면이 날카로운 재질 및 외부 충격에 의해 진공 손상이 쉬우며, 현장에서 절단을 할 수 없고, 또한 벽체에 시공이 어려운 진공단열재를 합성수지재의 얇은 패널과 표면 마감재로 일체화 시켜, 외부 충격 및 긁힘 등의 요인에 의한 진공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한 규격화로 시공이 간편하고, 진공 복합단열재의 가벼운 무게로 벽면에 접착제 만으로 바로 시공이 가능하고, 별도의 마감 보드로 추가 시공 없이 한번의 단열시공으로 전체적인 시공을 마치거나, 추가로 시트지나 벽지 등 또는 도장으로 간편하게 실내 마감을 가능하게 하여, 진공단열재를 기존 건물에 마감보드 등의 해체 작업을 하지 않고, 전문적인 시공자가 아니라도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 후에도 단열재에 의한 실내 공간 축소 없이 초박형으로 단열 보강을 가능하게 만든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발포성 단열재 및 섬유상 단열재의 열전도율이 0.032~0.045W/mK 의 단열성능을 나타내는 반면, 진공단열재는 0.002~0.010 W/mK 의 고성능을 나타내는 단열재이다. 이러한 진공단열재의 높은 단열성능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건축용으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제조기술의 진보로 독일, 영국, 일본, 미국, 캐나다, 한국, 중국 등의 나라에서 상업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진공단열재를 벽체에 시공하기 위한 시공방법, 외부 요인에 의한 진공 손상을 차단할 수 있는 보호재, 복잡한 시공구조 및 높은 시공 비용 증가 등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진공단열재를 외부 충격 및 긁힘 등에 의한 진공 손상 보호 및 시공이 용이하도록 이전부터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여러 종류의 복합패널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개발되어진 복합패널들은 주로 복합패널 제조가 복잡하여 복합패널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공은 용이할 수 있으나, 시공 시간의 증대 및 추가되는 시공방법으로 시공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JP2007-031941 호에는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복합단열재의 구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발명은 진공단열재를 그라스울 또는 미네랄울 사이에 진공단열재를 삽입한 복합단열재로 시공은 목상 사이에 복합단열재를 설치한 후 양쪽은 마감 판재로 마감하는 방식으로 목조 건물등의 단열에 효과적으로 시공을 할 수는 있으나, 열전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목상에 의한 열교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진공단열재의 단열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또한 전문적인 단열 시공자가 아니면 시공 및 마감작업을 할 수가 없다.
일본 공개특허 JP4622450 호에는 복합단열재를 사용한 바닥 난방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발명에서 진공단열재 주변으로 발포스티로폴 원료를 발포시켜, 일체화 된 복합패널이 있으며, 이 복합패널은 바닥에도 진공단열재 시공이 용이하도록 발포스치로폴을 진공단열재 6면에 보호재 역할을 하여 시공이 용이하지만, 실제로 스티로폴 발포시 높은 온도로 인하여 내부에 있는 진공단열재의 필름 부분이 연화되어 진공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진공단열재에 의한 단열성능을 확보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KR0389397 호에는 복합진공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발명은 진공단열재를 금형에 장착하고 폴리우레탄 발포 원액을 주입하여 진공단열재의 적층필름을 보호하는 피복재로 구성되는 복합 진공단열재로, 폴리우레탄이 효과적으로 진공단열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열성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을 적용함으로 단열성능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보드의 특성상, 벽체에 접착제 만으로 부착 고정시키기는 어려우며, 또한 마감 보드를 폴리우레탄에 직접 시공하기에도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따라서,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진공이 외부 요인에 의해 손상되기 쉬우며, 시공이 어려우며, 벽체 마감 등이 어려운 고성능 초박형 진공단열재를 누구나 저비용 및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단열시공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성능이 매우 우수하지만, 외부 충격 및 긁힘 등에 의해 진공이 손상되기 쉬우며, 벽체에 설치 및 시공이 어려운 진공단열재를 외부 충격에도 보호 가능하며, 전문 시공자가 아니더라도 시공이 가능하고 기존 단열성능이 부족한 벽체에 대해 철거작업 및 재시공 등의 복잡한 시공 공정 없이, 실내공간 축소 없이 기존 벽체에 바로 설치하여 단열성능을 확보하고, 일체화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로 한번의 단열시공으로 전체적인 시공을 마치거나, 추가로 시트지나 벽지 등 또는 도장으로 간편하게 실내 마감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합성수지 패널, 표면마감재로 구성되는 규격화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성능 보강이 필요한 벽면에 단열 보강시공을 위한 기존 마감벽체의 해체공사 등을 진행하지 않고, 기존 벽면에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을 접착제로 설치 후 별도의 마감공정 없이 시공을 마치거나, 추가로 시트지, 도배, 도장으로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상의 단열재보다 월등히 우수한 단열효과와 동등 이상의 열관류율 성능을 나타내면서도 단열재의 두께는 최소화 하여 단열성능 확보를 위한 실내 공간 축소 없이 구현할 수 있는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으로 높은 단열성능의 진공단열재를 건축 단열재로 사용함으로써 특히 기존에 단열이 미비한 벽체에 단열 보강을 기존 설치된 마감 벽체를 철거하는 등의 복잡한 시공 없이, 단시간에 내부 마감시공까지 마칠 수 있으며, 초박형으로 단열 보강 시공 후에도 공간 축소가 거의 없으며, 또한 낮은 열전도율로 인해 에너지 소비가 많은 단열이 미비한 건물들의 냉,난방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단열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A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B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단열시공 단면도 A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단열시공 입체도 A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단열시공 단면도 B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단열시공 입체도 B
본 발명은 단열성능 보강이 필요한 벽면(콘크리트 또는 마감보드)에 단열 보강시공을 위한 기존 마감벽체의 해체공사 등을 진행하지 않고, 전문 시공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간편하게 단열 보강시공을 할 수 있게, 기존 벽면에 규격화된 일체형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을 접착제로 설치 후 별도의 마감공정 없이 시공을 마치거나, 추가로 시트지, 도배, 도장으로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은 진공단열재, 합성수지 패널, 표면마감재로 구성되는 규격화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이다.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은 종래 각각 별도로 규격화된 진공단열재와 합성수지 패널 및 표면마감재를 하나의 규격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종래 각각 별도로 규격화된 진공단열재와 합성수지 패널 및 표면마감재를 순차적으로 시공함에 따른 시공상의 어려움과 진공단열재의 손상 및 합성수지 패널과 표면마감재의 자투리 손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진공단열재, 합성수지 패널 및 표면마감재가 일체형으로 규격화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A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A는 진공단열재(3), 합성수지 패널(B) 및 표면마감재(C)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B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B는 진공단열재(3) 및 합성수지 패널(B)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의 각 구성성분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진공단열재는 종전 일반단열재보다 단열성능을 현저히 개선시킨 열전도율값이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의 ‘가’ 등급 단열재 (열전도율값 0.034W/mK) 보다 월등히 뛰어난 수준인 0.010W/mK 이하의 성능을 발휘하는 고성능의 단열재로 현재 적용되는 일반적인 그라스울, 발포 단열재 두께보다 절반 이하의 두께로 시공하여도 동등수준 이상의 열관류율 성능확보가 발현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재의 열전도율값은 0.008W/mK 이하의 고효율인 진공단열재이며, 보다 바람직한 열전도율값은 0.002~0.010W/mK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진공단열재는 못질을 하면 안되는 특성을 가지며 컷팅 또한 어려운 재질의 진공단열재이다.
본 발명의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의 진공단열재의 심재는 흄드실리카, 침강실리카, 글라스울, 발포성 합성수지, 퍼라이트, 셀룰로오즈, 에어로겔인 진공단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이다.
본 발명의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바람직한 진공단열재의 일 실시예는 본 출원인의 출원특허 제10-2010-0051717호 합성실리카를 이용한 진공단열재의 내부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진공단열패널에 기재된 진공단열재이다. 이 진공단열재는 5~50nm의 평균 입자크기를 갖는 합성실리카를 포함하는 분말 혼합물과 6~40mm로 절단된 유기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혼합물의 배합 후 열수축필름으로 6면랩핑(Wrapping)하여 만들러지는 진공단열재로서 열전도도가 0.0045W/mK로 우수한 진공단열재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바람직한 진공단열재의 합성수지 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현재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단열 벽지 같은 경우는 10mm 두께의 PE폼 (폴리에틸렌폼)에 도배지를 부착한 제품으로 실제 단열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는 PE폼의 열전도율이 약 0.042 W/mK 로 이를 벽체의 열관류율로 적용하면 약 2.0 W/㎡K 수준으로 단열 효과를 기대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또한 시중에 얇은 단열재로 판매되고 있는 열반사 단열재의 경우도 소재가 PE폼 재질로 실질적인 열전도율은 단열 벽지와 같은 수준으로 사실상 단열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열관류율 0.50 W/㎡K 수준으로 단열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최소한 일반적인 부피형 단열재 기준하였을 때 65mm 이상의 두께를 적용하여야 하며, 이때는 내부 공간 축소를 감안하여야 하며, 혹은 벽체를 철거 후 다시 단열공사를 진행해야 하는 대규모 공사를 가져오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재는 열전도율이 0.008 W/mK 이하의 단열재로 통상 시중에서는 열전도율 0.0045 W/mK 이하의 진공단열재가 판매 중이며, 이를 이용한 8mm적용 단열 시공시 벽체의 열관류율은 약 0.49 W/㎡K 수준으로 기존의 단열 벽지의 열관류율 보다 약 4배 이상 단열효과를 가져오며, 실질적인 단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진공단열재와 합성수지 패널을 일체화 제작함으로서 이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재 패널의 물성은 PP(Poly Propylene), PE(Poly 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 Ethylene), LDPE(Low Density Poly Ethylene), PVC(Poly Viynyl Chloride), PC(Poly Carbon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등 일정강도 이상을 발휘할 수 있는 재료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므로 일반적인 열가소송 수지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이면 플라스틱류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재 패널의 두께 및 물성은 시공장소의 환경에 맞추어 적정한 재질 및 규격을 합성수지재 박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바람직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의 표면마감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표면마감재는 박막의 형태로 제공되는 플라스틱류 또는 지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시공장소의 환경에 맞추어 목재나 금속류를 사용할 수도 있고, 규격, 물성 및 무늬 등 디자인은 당업자의 설계변경에 의하여 적의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바람직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의 제작은 규격화된 진공단열재와 규격화된 박형의 합성수지재 패널, 규격화된 시트지 등의 표면 마감재, 이렇게 규격화를 통하여 자동화 제작이 가능하다.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제작시 사용되는 접착제는 실란트, 에폭시 접착제, 우레탄 접착제, 핫멜트 등을 사용한다.
추가 부속자재로 열전도율이 우수한 우레탄 보드 및 압출 폴리스티렌 단열재를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의 두께 및 형태에 맞추어 제작하여, 시공시 발생될 수 있는 자투리 부위에 적용할 수 있다.이는 진공단열재 특성상 현장에서 절단이 불가능 하기에, 규격화 제품으로 시공 시 자투리가 발생되는 최소 부위에 시공 편리성을 위해서 적용한다. 최소 부위의 적용으로 전체 벽체의 열관류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바람직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공단열재는 진공 처리를 한 단열재 이기에 진공이 손상되면 진공단열재의 단열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진공단열재를 건축 단열재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진공단열재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는 전문 시공자가 취급을 하고 시공을 진행해야 된다. 또한, 진공단열재 특성상 단열 시공 후 마감 작업이 상당히 까다롭고 어렵다. 이는 진공단열재 표면 특성 때문에 마감보드를 직접 마감하기 상당히 어려우며, 마감보드가 없는 상태에서는 외부 충격 요인 등에 대해 진공단열재가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진공 상태를 보장하는 것에 상당한 무리가 따른다. 진공단열재 표면 특성 때문에 도배 마감 및 도장 마감 또한 실시하기 상당히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를 전문 시공자가 아니라도 누구나 뛰어난 단열성능을 갖춘 진공단열재를 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기존 단열이 미비한 건물 등에 간단히 설치하여 냉,난방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을 도출하게 된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본 발명의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바람직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단열시공 단면도 A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단열시공 입체도 A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A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보강이 필요한 벽면(1)에 진공단열재(3), 합성수지 패널(4), 표면마감재(5)가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을 접착제(2)로 부착 고정한다. 부착시에는 하단에서 부터 밀착하여 시공한다.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실란트와 핫멜트를 동시에 사용한다. 실란트와 핫멜트는 모두 친환경 제품을 사용한다. 상기의 접착제는 진공단열재 표면 특성상 실란트가 가장 접착력이 우수하며 핫멜트는 보조 접착제로 부착시 실란트가 경화되기 까지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을 부착시킴으로 단열시공을 포함한 모든 시공이 끝마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의 단열시공 단면도 B 및 입체도 B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B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1)에 진공단열재(3), 합성수지 패널(4)가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B를 접착제(2)로 부착 고정한다. 부착방법 및 접착제에 대한 기술구성은 상기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A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다.
도 3 및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품 형태는 단열시공 후 보호재 틈새에 충진재를 채워 넣어 기밀성을 추가로 확보한 형태이며, 충진재는 줄눈 형태의 디자인적 외관을 표현할 수 있으며,
충진재가 채워진 후 그 표면을 시트, 도배 및 도장(7) 작업을 진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은 내부 공간의 축소영향도 거의 없이 누구나 간편하고 쉽게 단열 보강을 하여 궁극적으로는 단열이 되지 않았던 기존 건물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데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1. 두께 및 단열성 측정
전술한 바와 같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방법에 준하여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구조를 설치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단열시공방법 및 구조의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두께 및 단열성능을 측정하였다. 두께는 통상적인 0.5mm의 정밀도로 측정하였고, 열전도율은 KS L 9016에 규정하는 방법으로 평균온도 20±5℃ 에서 측정하였다.
열관류율(K)은 계산방법과 측정방법을 병행하였고, 측정방법은 KS F 2277(건축용 구성재의 단열성 측정 방법)에 따라 열관류율을 측정하였다.
계산방법은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의 지역별 건축물 부위의 열관류율표 중 공동주택의 측벽(중부지역)의 열관류율을 기준으로 열관류율 계산으로 측정하였다.
[계산식 1]
K = 1 / [ R1 + {Σ( d0/λ0) } + Ro ]
R1: 실내 표면열 전달 저항
Ro : 실외 표면열 전달 저항
d0 : 재료의 두께
λ0 : 재료의 열전도율
발포단열재, 진공단열재의 두께 및 시공시 단열성능 비교
두께
(mm)
열전도율
(W/mK)
열관류율
(W/㎡K)
비고
발포단열재 65 0.039 0.50 석고보드 9.5mm
마감
진공단열재 8 0.0045 0.49 합성수지 박판 2mm
주)발포단열재는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비드법 1종 3호 사용
측정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공단열재의 경우, 종래의 일반단열재에 비해 열전도율은 약 7배 이상 뛰어나며, 1/8 이하의 두께를 적용하여도 열관류율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일반 단열재 적용시에는 석고보드 등의 마감보드가 별도로 추가되기에 실질적인 두께는 75mm 정도로 표현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 벽체(콘크리트 또는 마감보드)
(2) 접착제
(3) 진공단열재
(4) 합성수지 매널
(5) 표면 마감재
(6) 충진재
(7) 시트, 도배 및 도장

Claims (7)

  1. 진공단열재, 합성수지 패널, 표면마감재가 접착제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2. 잔공단열재, 합성수지 패널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규격화된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진공단열재의 심재는 흄드실리카, 침강실리카, 글라스울, 발포성 합성수지, 퍼라이트, 셀룰로오즈, 에어로겔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재 패널은 부직포, 글라스천 등으로 합지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재 패널은 PP(Poly Propylene), PE(Poly 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 Ethylene), LDPE(Low Density Poly Ethylene), PVC(Poly Viynyl Chloride), PC(Poly Carbon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실란트, 에폭시 접착제, 우레탄 접착제, 실리콘 접착제, 합성고무 접착제, 핫멜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7. 진공단열재에 합성수지재 패널과 표면 마감재를 접착제로 일체화하여 단열시공 및 마감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진공단열재 복합패널을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KR1020120020750A 2012-02-29 2012-02-29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KR101415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750A KR101415862B1 (ko) 2012-02-29 2012-02-29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750A KR101415862B1 (ko) 2012-02-29 2012-02-29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333A true KR20130099333A (ko) 2013-09-06
KR101415862B1 KR101415862B1 (ko) 2014-07-07

Family

ID=4945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750A KR101415862B1 (ko) 2012-02-29 2012-02-29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559A (ko) 2015-07-23 2017-02-02 주식회사 케이씨씨 진공 단열재 일체형 복합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206B1 (ko) * 2020-08-11 2021-05-10 (주)에이비엠 벽체용 복합 유니트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7407B2 (ja) * 2004-09-27 2010-10-20 アキレス株式会社 建築物の高断熱構造の施工法
KR101210576B1 (ko) * 2010-02-23 2012-12-11 오씨아이 주식회사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외장마감패널 및 이의 설치방법
JP2011252283A (ja) * 2010-05-31 2011-12-15 Lic Co Ltd 外壁パネルと外壁パネルの連結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559A (ko) 2015-07-23 2017-02-02 주식회사 케이씨씨 진공 단열재 일체형 복합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862B1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05868A1 (en) Composit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WO2008129281A2 (en) Insulating panel
KR20140047137A (ko) 열보호 단열 패널이 있는 단열 창유리
KR101645974B1 (ko) 진공단열재 내장 복합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442782A (zh) 一体化板
KR101415862B1 (ko)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CN203613665U (zh) 以充气塑胶袋为保温芯材的中空保温板
CN104563429A (zh) 多层铝塑复合阻燃保温隔热材料
CN202787532U (zh) 内墙保温隔热复合气泡膜
KR20130013332A (ko) 복합단열패널
CN204826235U (zh) 聚氨酯无空腔防火型外墙保温系统
KR100851231B1 (ko) 건축용 내장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내장패널
CN207393037U (zh) 一种保温、隔热和隔音的免漆门
CN203569709U (zh) 轻质防火真空保温板
KR101431012B1 (ko) 무기 발포 판재를 이용한 내단열 밀착 시공방법
KR20190139116A (ko)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016756B (zh) 一种保冷箱
CN107780608A (zh) 一种建筑外墙用多功能一体式装置
CN105625661A (zh) 一种外墙保温装饰板及其制备方法
KR101190082B1 (ko) 문(도어)에 적용하는 진공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206737748U (zh) 一种多功能塑钢门窗系统
CN204252300U (zh) 一种墙体保温层结构
EP4079512A1 (en) Multilayer item for thermal insulation of an opening of a window frame of a building
CN103643745A (zh) 以充气塑胶袋为保温芯材的中空保温板及制造方法和应用
CN204826239U (zh) 挤塑板无空腔防火型外墙保温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