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320A - Web based multi center trial system - Google Patents

Web based multi center tria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320A
KR20130099320A KR1020120020731A KR20120020731A KR20130099320A KR 20130099320 A KR20130099320 A KR 20130099320A KR 1020120020731 A KR1020120020731 A KR 1020120020731A KR 20120020731 A KR20120020731 A KR 20120020731A KR 20130099320 A KR20130099320 A KR 20130099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eb
server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7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윤년
전효찬
최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웨어
Priority to PCT/KR2012/0015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29716A1/en
Priority to KR1020120020731A priority patent/KR20130099320A/en
Publication of KR20130099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3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Abstract

PURPOSE: A web based manifold research system is provided to improve the protection and security for a main modification item by setting a modification permission range by user according to user recognition. CONSTITUTION: A data server (50) stores and manages data. A web server (30) is connected to the data server. The web server controls data of the data server. A plurality of terminals (10) is communication-capably connected to the web server. The plurality of terminals implements a screen in a web page style by making an attribute corresponding to a data item stored in the data server by the web server. [Reference numerals] (10) Terminal; (30) Web server; (50) Data server; (AA) Procedure

Description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 {Web based multi center trial system}Web based multi center trial system

본 발명은 웹 기반 다기관 연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윈도우를 기반으로 한 통신을 통해 각 항목에 대한 속성값 구조로 저장되는 데이터를 웹 기반의 웹페이지 형태로 단말기에 구현하여 다기관 공동 연구에 필요한 기록, 통계를 실시간으로 유지 및 관리하는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nd in detail, data stored in the attribute value structure for each item through a window-based communication is implemented on a terminal in the form of a web-based web page for multi-center joint research.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that maintains and manages necessary records and statistics in real time.

병원에서 사용되는 많은 서식들은 전자의무기록(EMR) 제도가 시행되면서 전산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다수의 병원에서는 수기로 작성하여 이를 담당자가 취합, 정리,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관리하게 된다. Many forms used in hospitals are computerized by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 but in many hospitals, they are written by hand and collected, organized, and analyzed by a person in charge.

수기로 작성된 다수의 기록지를 해당 담당자가 취합, 정리, 분석하는 과정에서 담당자는 컴퓨터의 관련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진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들은 사용자의 편의보다는 취합, 정리, 분석하는 기능의 수행에 중점이 맞춰져 있으므로, 소프트웨어에 서툰 사용자가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이용하여 다수의 기록지를 관리하는 업무는 다소 어려운 업무이다.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organizing, and analyzing a large number of handwritten records, the person in charge uses the computer's related software. In this case, the software used is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collecting, organizing, and analyzing rather than the user's convenience, so that a user who is poor in software manages a plurality of recording papers using the function of the software.

즉,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다수의 기록지를 취합, 정리, 분석하는 업무는 기록지의 내용에 맞게 해당 내용을 저장할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정의하고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다수의 기록지를 전산화하는 업무이나, 소프트웨어에 익숙하지 않는 사용자가 소프트뤠어를 사용하기에는 그 기능이 복잡하고 어려운 업무일 것이다. That is, the task of collecting, organizing, and analyzing a plurality of recording sheets using software is to computerize a plurality of recording sheets through the process of defining and creating a table of a database to store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recording sheet, or to be familiar with the software. It may be a complicated and difficult task for a user who does not use the software.

또한, 다양한 기록지는 그 기록지의 종류에 따른 형식마다 입력되는 내용이 상이하므로, 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하여 매번 다양한 형식의 테이블이 계속 추가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since various types of recording papers have different contents input for each typ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ecording papers, various types of tables are continuously added to store each information in a database.

그리고, 근래에는 병원뿐만 아니라 소그룹 단위의 연구모임 또는 학회 등에서도 다수의 기록지를 가상의 공간인 웹 사이트를 기반으로 하여 웹페이지 형태의 전자기록형태로 연구 결과를 작성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연구 결과를 관리하게 된다. In recent years, research records or conferences in small groups, as well as hospitals, have been writing research results in the form of electronic records in the form of web pages, based on the web site, which is a virtual space. To manage.

임상 연구의 경우 그 연구 기간이 1년 내지 3년 이상의 장시간이 소요되는 연구이며, 단독 연구의 경우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비용이 증가하는 반면, 여러 기관에서 참여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다기관 연구는 연구 시간을 줄이면서 양질의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 근래에는 단독 연구보다 다기관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the case of clinical studies, the study takes a long time from one year to three years or more, and a single study requires a lot of time and manpower, and the cost for continuous research increases, while various research organizations participate in the study. Ongoing multi-center research can lead to high-quality research results while reducing research time. Recently, multi-center research is being conducted more than single research.

다기관 연구의 경우 양질의 연구를 위하여 표준화된 양식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기록지에 의한 수기 기록의 경우 중복기록, 기록 누락, 보관의 어려움, 기록지의 분실 등 많은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the case of multi-center research, standardized form management is required for high quality research. In the case of handwritten records by record sheets, many disadvantages occur such as duplicate records, missing records, difficulty in archiving, and loss of records.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9803호에는 전자증례기록지 생성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자증례기록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On the other hand,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59803 discl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case recording paper and an electronic case recording paper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다양한 증례 기록지 이미지 양식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증례 기록지를 전산화하고, 증례 기록지의 다양한 정보와 그 형식을 단일화된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개시되며, 이러한 장점을 위해 전송되는 전자 증례 기록지 생성장치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전자증례기록지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전자증례기록지 관련 정보를 복수의 이미지 양식, 웹 페이지 형태의 전자증례기록지 표본 및 ODM 파일을 각각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파싱부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증례기록지 상에 임상시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된 전자증례기록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등록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The registered patent discloses the advantage of computerizing the case recording paper in an easier manner using various case recording paper image forms, and expressing various information and the format of the case recording paper in a unified form, which is transmitted for this advantage.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nic case recording sheet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case recording sheet generating apparatus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ring the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case recording sheet, and storing the electronic case recording sheet relat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image forms, web sample form and ODM file. Disclosed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ata parsing unit for extracting each of the data and storing the data in a database, and a data registration unit for inputting clinical trial data on an electronic case record shee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storing the input electronic case record sheet in a database. do.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로우 데이터를 활용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terminal connected via a network and managing stored data in real time using raw dat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웹 페이지에서 다수의 공동 연구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속성값 구조를 응용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pplying an attribute value structure that can simultaneously conduct a number of collaborative studies in one web page.

본 발명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서버; 상기 데이터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서버의 상기 데이터를 제어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항목과 대응되는 속성값이 웹 페이지 형태로 화면에 구현되는 다수의 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웹서버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항목의 변경을 입력하면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항목이 변경된 화면을 구현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변경된 사항의 저장을 입력하면, 상기 데이터와 대응되는 속성값이 변경되어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저장된 화면을 구현하며, 변경된 속성값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하는 구성을 가진다.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server for storing and managing data; A web server connected to the data server and controlling the data of the data server; A plurality of terminal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web server and configured to display attribute values corresponding to data items stored in the data server on a screen in the form of a web page; When the user inputs the change of the item through the terminal, the web server implements a screen in which the item is changed through the web page, and if the user inputs the storage of the changed item through the terminal, The attribu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ata is changed to implement a screen stored through the web page, and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d attribute value.

본 발명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은, 데이터서버와 웹서버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단말기는 웹페이지 형태로 화면이 구현되고 웹서버에 의해 단말기와 데이터서버가 제어되는 구성을 가진다. The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ata server, a web server, and a terminal. The terminal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cree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eb page and the terminal and the data server are controlled by a web server.

또한, 상기 데이터서버는 상기 웹서버를 통해 제어되고, 상기 웹서버와 상기 단말기는 윈도우 기반 네트워크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data server is controlled through the web server, the web server and the terminal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window-based network.

그리고, 상기 웹서버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는 사항이 임시 저장된 후 변경 데이터의 저장을 확인한 후 데이터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 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Then, the user inputs through the terminal to the web server is temporarily stored, and after confirming the storage of the change data is configured to change and store the data stored in the data server.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은 사용자별 필요 항목을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전체적으로 변형하지 않고 추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The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xpect the effect of adding necessary items for each user without changing the database structure as a whole.

본 발명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은 다양한 항목에 다양한 입력 타입으로 입력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웹 페이지 형태의 화면 구현으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the effect that can be input to a variety of items in a variety of input types,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ase of use by implementing the screen form of the web page.

승인된 사용자 인식에 의해 사용자별 변경 승인 범위를 설정하여 주요 변경 사항에 대한 보호 및 보안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사용자별 변경 내용 및 기록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By setting the scope of change approval for each user by the recognition of authorized users,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protection and security of major changes, and it is easy to manage the data by checking the changes and records by user. You can expect.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의 사용자 승인용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의 승인된 사용자용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for user approval of a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for the approved user of the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상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the present disclosure, It will be easily suggested,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claims are concepts sele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should be properly interpreted as meaning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grasping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의 사용자 승인용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for user approval of a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의 승인된 사용자용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3 is a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for an approved user of the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값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용 단말기(10)와,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10)에 웹 페이지 형태의 화면을 구현하는 웹서버(30)와, 상기 웹서버(30)에 의해 제어되면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서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rst, referring to Figure 1,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for inputting the desired value as a whole ( 10), a web server 30 which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implements a web page form screen on the terminal 10, and data stored and managed by the web server 30 while being controlled by the web server 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rver (50).

상기 단말기(10)는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상기 단말기(10)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다기관 연구의 형태에 따라 각 연구 기관별로 다수의 상기 단말기(10)가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terminal 10 may be formed in plural according to a user's environment, or may be formed of only one terminal 10. However,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10 are formed for each research institute according to the form of multi-center research is preferable.

그리고, 상기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원하는 값 즉,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terminal 10 is configured to enable various types of input so that a user can input a desired value, that is, data.

상기 웹서버(30)는 상기 단말기(30)와 윈도우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상기 단말기(30)가 다수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상기 단말기(10)와 상기 웹서버(30)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단말기(10)와 단말기(10)는 상기 웹서버(30)를 통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The web server 30 is connected to a network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30 based on a window. When the terminal 30 is formed in plural, each of the terminal 10 and the web server 30 are connected to a network, and the terminal 10 and the terminal 10 are networked through the web server 30. Leads to.

이는 각각의 상기 단말기(10)에서 각각의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데이터 사용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어느 하나의 상기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다른 하나의 상기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접속한 후 동일한 데이터를 각각 변경하는 경우 각각 저장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prevent confusion of data use when each user inputs data in each terminal 10. In other words, a control for storing each user when the user who uses the one terminal 10 and the user who uses the other one terminal 10 change the same data after connecting to use the same data. To do this.

상세히 살펴보면, 어느 하나의 상기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서버(50)에 저장된 데이터의 변경을 입력할 경우, 변경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전 다른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데이터 변경 저장을 확인하여 먼저 변경된 데이터를 저장한 후 다른 변경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변경의 혼선을 방지하게 된다. In detail, when a user who uses any one of the terminals 10 inputs a change of data stored in the data server 50, the user changes the data of the user who uses the other terminal 10 before storing the changed data. By confirming the storage, first save the changed data and then save the other change data to prevent crosstalk of data change.

상기 웹서버(30)는 상기 단말기(30)에 웹 페이지 형태의 화면을 구현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단말기(10)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웹서버(30)는 각각의 상기 단말기(10)를 제어하기 위한 호스트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 상기 단말기(10)는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web server 30 performs a function of implementing a screen in the form of a web page on the terminal 30 and temporarily stores data input from the terminal 10. In this case, the web server 30 performs a function of a host for controlling each of the terminals 10, and the terminal 10 performs a function of a client.

상기 웹서버(30)에 의해 상기 단말기(10)는 웹 페이지 형태의 화면이 구현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By the web server 30, the terminal 10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without regard to the place by implementing the screen of the web page form.

상기 데이터서버(5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30)의 제어에 의해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웹서버(30)에 의해 특정 프로그램 예를 들면, 프로시져와 같은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도록 연결된다. The data server 50 performs a function of storing data input by a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web server 30, and by the web server 30 to a specific program, for example, a program such as a procedure. Connected so as to be controlled.

물론, 사용자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웹서버(30)에 의해 상기 데이터서버(50)가 관리되도록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Of course, according to a use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ata server 50 is managed by the web server 30 using a program desired by the user may be possible.

상기 프로시져는 특정한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상기 웹서버(30)에 의해 전달되는 특정한 내용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서버(50)에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를 통해 입력하는 내용을 기록하는 로그파일을 데이터와 함께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변경의 과정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ocedure is a kind of program that performs a specific process, and stores data about specific content transmitted by the web server 30. The data server 50 stores a log file for recording the contents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10 together with the data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data change process.

이처럼, 데이터 변경의 과정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연구 기록 및 연구 과정, 연구 일정 등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As such, the user can check the process of data change, and thus the user can check the research record, the research process, the study schedule, and the like.

상기 단말기(10)는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며, 호스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웹서버(30)와 다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기 데이터서버(50)는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도록 설정된다. Since the terminal 10 performs a function of a client, the terminal 10 is managed by a user, and the web server 30 performing a function of a host and the data server 50 storing a plurality of data are managed by an administrator. Is set to be.

상기 데이터서버(50)는 상기 웹서버(30)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웹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각각의 항목과 속성, 값, 추가정보 등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저장하게 된다. The data server 50 is controlled by the web server 30 to stor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web server 30 so as to manage each item, property, valu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like.

상기 항목은 각 데이터의 구분을 위한 값이며, 각각의 데이터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이 부여되고, 상기 웹서버(30)는 이러한 항목에 부여되는 값을 상기 데이터서버(50)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단말기(10)에 웹 페이지 형태의 화면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구현하게 된다. The item is a value for distinguishing each data, and different values are assigned according to the respective data, and the web server 30 receives the value assigned to the item from the data server 50. 10) implements the data desired by the user in the form of a web page.

그리고, 각각의 상기 항목에는 서로 다른 다수의 속성이 부여되며, 각 속성에는 해당 값과 각 값의 추가 정보가 대응되게 저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서버(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속성값 구조로 구성되어 각 항목의 추가 및 삭제 등과 같은 변경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Each of the item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attributes, and each attribute stores corresponding values and additional information of each value. As such, the data stored in the data server 50 is configured in an attribute value structure, and thus has an advantage of easy change such as adding and deleting each item.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중 제1데이터에 주소 또는 연락처 등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제1데이터의 항목에 해당하는 속성값을 변경하여 저장하면 되므로, 상기 데이터서버(50)에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전체적으로 변경할 필요가 없는 장잠을 가지게 된다. For example, if the address or contact information is to be changed in the first data of the data, the attribu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item of the first data may be changed and stored, and thus the overall database structure stored in the data server 50 may be changed. You have a sleep that does not need to change.

이때, 상기 변경은 상기 데이터서버(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를 통해 직접 입력하면서 상기 데이터의 수정, 추가, 삭제 등을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change refers to an operation of modifying, adding, or deleting the data while the user directly inputs the data stored in the data server 50 through the terminal 10.

또한, 상기 변경은 상기 데이터서버(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30)에서 제공되는 선택 사항 즉, 상기 데이터의 수정, 추가, 삭제 등과 같은 선택 사항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의 변환을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도 있다. The change may be performed by selecting one of the options provided from the web server 30, that is, the option of modifying, adding, or deleting the data, and storing the data stored in the data server 50. It may also mean an operation of performing a conversion to a desired value.

상기 웹서버(30)는 데이터의 변경을 위하여 사용자가 조절 가능한 항목은 MTEXT, IMAGE, CHECK 등의 형태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MTEXT는 다수의 라인을 가지는 형태를 나타내고, IMAGE는 이미지를 담을 수 있는 형태를 나타내며, CHECK는 하나의 체크 박스를 담을 수 있는 형태를 나타낸다. The web server 30 may input a user adjustable item in the form of MTEXT, IMAGE, CHECK, etc. to change the data. The MTEXT represents a form having a plurality of lines, the IMAGE represents a form capable of containing an image, and the CHECK represents a form capable of containing one check box.

상기 IMAGE는 항목이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 형태의 내용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이러한 상기 IMAGE의 저장 방법을 예를 들어 보면 인체의 신체 부위를 밑그림으로 표시하는 이미지 작성된 컨트롤을 화면에 보여주고, 특정 부위를 표시하거나 텍스트로 입력을 하면 상기 웹서버(30)는 이러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서버(50)에 저장하게 된다. The IMAGE is used when an item needs to process contents of an image rather than text. For example, the IMAGE storage method shows an image created control that displays a body part of the human body as a sketch on the screen. When the specific part is displayed or input as text, the web server 30 stores the data in the data server 50.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를 통하여 데이터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에 구현되는 웹 페이지 상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화면상에서 선택하여 변경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When a user wants to change data through the terminal 10, the user selects data to be changed on a web page implemented in the terminal 10 on a screen and inputs the changed data.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를 통하여 변경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웹서버(30)는 변경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변경된 데이터로 상기 단말기(10)의 화면을 구현하거나, 변경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10)에 화면으로 출력하여 주게 된다. When the user inputs the changed data through the terminal 10, the web server 30 temporarily stores the changed data and then implements a screen of the terminal 10 with the changed data or transmits the changed data to the terminal ( 10)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이때, 상기 웹서버(30)는 사용자에게 데이터의 변경 적용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되며, 데이터의 변경 여부를 추가 확인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서버(50)로 전송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web server 30 performs a procedure for checking whether the change of data is applied to the user, and after additionally confirming whether the data has been changed, transmits the changed data to the data server 5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do.

상기 웹서버(30)에서 변경된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데이터서버(50)는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입력한 값으로 변경하여 저장하게 된다. When the changed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web server 30, the data server 50 changes the stored data to a value input by the user and stores the changed data.

한편, 상기 웹서버(30)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를 통해 상기 웹서버(30)에 접속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화면과 같이 사용자 확인 화면을 상기 단말기(10)에 구현하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user accesses the web server 30 through the terminal 10, the web server 30 implements a user confirmation screen on the terminal 10 as shown in FIG. 2. .

상기 단말기(10)에 사용자 확인 화면이 구현되면,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사용자 확인 코드와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승인된 사용자임을 확인하게 된다. When the user confirmation screen is implemented in the terminal 10, the user inputs a user confirmation code and a password using the terminal 10 to confirm that the user is an authorized user.

사용자가 승인된 사용자임이 확인되면, 해당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승인자용 화면 예를 들면 도 3과 같은 화면이 상기 단말기(10)에 구현된다. 상기 단말기(10)의 화면에 구현되는 승인자용 화면은 해당 사용자가 입력 및 저장이 가능하여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는 사용화면(12)과 해당 사용자가 데이터의 열람만 가능한 열람화면(14)으로 구현된다.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is an authorized user, a screen for the approver that can be used by the user, for example, a screen as shown in FIG. 3, is implemented in the terminal 10. The screen for the approver implement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is implemented as a use screen 12 that the user can input and store and change data, and a view screen 14 that the user can only view the data. .

이처럼, 상기 단말기(10)에 구현되는 화면을 상기 사용화면(12)과 상기 열람화면(14)으로 구분하여 구현하는 것은 사용자에 따라 데이터의 변경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데이터 변경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면서, 데이터 변경 오류 확률을 절감시키기 위함이다. As described above, implementing the screen implemented in the terminal 10 by dividing the screen into the use screen 12 and the view screen 14 improves the accuracy of data change by limiting the change range of data according to a user. This is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change error.

물론, 승인된 사용자에 따라 상기 사용화면(12)과 상기 열람화면(14)을 모두 사용하여 데이터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Of cours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data to be changed using both the use screen 12 and the view screen 14 according to the approved user.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를 통해 상기 웹서버(30)에 접속하게 되면, 상기 웹서버(30)는 승인된 사용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로그인 화면을 상기 단말기(10)의 화면에 구현하게 된다. When a user accesses the web server 30 through the terminal 10, the web server 30 implements a login screen for confirming whether the user is an authorized user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상기 로그인 화면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식별코드와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승인된 사용자 여부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승인된 사용자로 확인되면 상기 웹서버(30)에서는 승인된 사용자용 화면을 상기 단말기(10)의 화면에 구현하게 되고, 승인된 사용자로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로그인 화면이 계속 상기 단말기(10)의 화면에 구현된다. In the login screen, the user inputs a user identification code and a password to transmit whether the user is an authorized user. At this time, if the user is confirmed as the approved user, the web server 30 implements the approved user screen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If the user is not confirmed as the authorized user, the login screen continues to the terminal 10. ) Is implemented on the screen.

이는 다기관 공동 연구에 따른 데이터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며, 연구 기록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This is to improve the security of the data according to multi-center joint research,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records.

그리고, 승인된 사용자용 화면이 상기 단말기(10)에 구현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의 열람 또는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승인된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이 상기 단말기(10)의 화면에 구현된다. When the approved user screen is implemented in the terminal 10, the user can view or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 this case, different screens are implement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authorized user.

즉, 상기 사용화면(12)과 상기 열람화면(14)은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동일하게 구현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나, 데이터의 정확성, 신뢰성 등을 고려할 때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이 구현되도록 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That is, the use screen 12 and the view screen 14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 Of course, the same implementation may be possible, but in consideration of the accuracy, reliability, and the like of the data, a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different screens according to the user may be desirable.

승인된 사용자용 화면에서 사용자가 데이터의 변경을 선택하여 변경된 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웹서버(30)는 해당 데이터의 값을 변경하게 된다. 다만, 이때에는 상기 웹서버(30)에 변경된 데이터가 임시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10)의 화면으로 변경된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change of data and inputs the changed data in the approved user screen, the web server 30 changes the value of the corresponding data. However, in this case, the changed data is output to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while the changed data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web server 30.

상기 단말기(10)의 화면으로 변경된 데이터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웹서버(30)는 변경된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는 연구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When the changed data is output to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the web server 30 checks whether the changed data is stored. This is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data.

사용자가 변경된 데이터의 저장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웹서버(30)는 상기 데이터서버(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로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When the user selects to store the changed data, the web server 30 performs an operation of changing the data stored in the data server 50 to data input by the user.

상기 데이터서버(50)에 저장된 데이터가 변경되면, 상기 데이터서버(50)에서는 데이터의 변경과 동시에, 데이터의 변경사항과 변경일자, 변경내용 등을 저장하게 된다. When the data stored in the data server 50 is changed, the data server 50 stores the change, the date and the change of the data and the like at the same time as the data is changed.

상기 데이터서버(50)에 변경된 데이터가 저장되면, 상기 웹서버(30)는 상기 단말기(10)의 동작의 시작 또는 동작의 종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웹서버(30)와 상기 단말기(10)의 접속을 차단 또는 연결시켜 주게 된다. When the changed data is stored in the data server 50, the web server 30 may select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 or the end of the operation of the web server 30 and the terminal 10. The connection will be blocked or connected.

한편, 상기 웹서버(30)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를 통해 상기 데이터의 변경 값을 입력하기 전 상태에서, 다른 상기 단말기(10)를 통한 상기 웹서버(30)로의 접속을 파악하여 동일 데이터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web server 30 is the same before the user inputs the change value of the data through the terminal 10, the same by grasping the connection to the web server 30 through the other terminal 10 The use of the data is determined.

다른 상기 단말기(10)를 통하여 동일한 데이터의 사용이 감지되면, 상기 웹서버(30)는 먼저 변경을 요청한 상기 단말기(10)의 변경된 데이터를 변경하여 임시 저장한 후 다른 상기 단말기(10)의 화면은 변경된 데이터로 화면을 재구성하게 된다. When the use of the same data is detected through the other terminal 10, the web server 30 first changes and temporarily stores the changed data of the terminal 10 requesting the change and then displays the screen of the other terminal 10. Will reconstruct the screen with the changed data.

이는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웹서버(30)에서 변경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10)로 구현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웹서버(30)는 상기 단말기(10)와의 접속 차단을 위한 종료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This can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and if the set time has elapsed after implementing the changed data in the web server 30 to the terminal 10, the web server 30 is the terminal 10 Determine whether or not to terminate the connection with.

사용자가 상기 접속 차단을 위한 종료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웹서버(30)는 상기 단말기(10)와의 접속을 차단하면서,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termination for the access blocking, the web server 30 terminates the operation while blocking the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10.

상기 웹서버(30)는 상기 단말기(10)와의 접속이 차단되면, 임시 저장된 변경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서버(50)로 전송하여 변경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고, 상기 데이터서버(50)는 변경전 데이터의 내용과 변경일자, 변경내용 등을 저장하게 된다.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10 is blocked, the web server 30 transmits the temporarily stored change data to the data server 50 to store the changed data, and the data server 50 stores the changed data. The contents, the date of change and the contents of the change will be save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본 발명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은, 웹을 기반으로 하여 웹페이지 형태의 화면을 단말기에 구현하여 데이터서버에 속성값 구조로 저장되는 각 데이터를 유지, 변경,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The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aintain, change, and manage each data stored in the attribute value structure in the data server by implementing a web-based screen on th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은, 사용자별 필요 항목을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전체적으로 변형하지 않고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웹 페이지 형태의 화면 구현으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Therefore, the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adding the necessary items for each user without changing the database structure as a whole, and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by implementing the screen form of the web page. do.

이러한 많은 효과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은 의료 산업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Due to these many effects, the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highly applicable to not only the medical industry but also various industries related thereto.

10. 단말기 12. 사용화면
14. 열람화면 30. 웹서버
50. 데이터서버
10. Terminal 12. Use Screen
14. Reading Screen 30. Web Server
50. Data Server

Claims (6)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서버;
상기 데이터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서버의 상기 데이터를 제어하는 웹서버; 및
상기 웹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항목과 대응되는 속성값이 상기 웹서버에 의해 웹 페이지 형태로 화면이 구현되는 다수의 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웹서버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항목의 변경을 입력하면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항목이 변경된 화면을 구현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변경된 사항의 저장을 입력하면, 상기 데이터와 대응되는 속성값이 변경되어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저장된 화면을 구현하며, 변경된 속성값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하는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
A data server for storing and managing data;
A web server connected to the data server and controlling the data of the data server;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web server and configured to display a property value corresponding to a data item stored in the data server in a web page form by the web server; And,
The web server comprises:
When the user inputs a change of an item through the terminal, a screen in which the item is changed is implemented through the web page, and when the user inputs the storage of the changed item through the terminal, an attribu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ata is changed and the A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that implements a stored screen through a web page and changes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changed attribute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직접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수정, 추가, 삭제를 포함하는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nge is a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comprising the modification, addition, deletion of data stored in the database directly input through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은 상기 웹서버에서 제공되는 선택 사항들 중 하나가 선택되어 입력되는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nge is a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that is selected and input one of the options provided by the web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단말기에 구현되는 웹 페이지에 사용자별 입력 정보를 입력하면, 승인된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에 따라 승인된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에 웹 페이지 형태로 구현되도록 동작하는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eb server comprises:
And inputting user input information into a web page implemented in the terminal. The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operates to recognize the approved user so that the approved data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eb page on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서버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의 변경을 입력하면 상기 웹서버에서 변경된 데이터로 임시 저장되고, 데이터의 변경 여부 확인을 추가 확인한 후 변경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server,
And a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for storing the changed data after additionally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data has been changed, when the user inputs a change of data through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서 사용자가 조절 가능한 항목조절형태는 MTEXT, IMAGE, CHECK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에 웹 페이지 형태로 구현하는 웹 기반 다기관 연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eb server is a web-based multi-center research system that implements a user control item in the user information table in the form of a web page on the terminal including MTEXT, IMAGE, CHECK.
KR1020120020731A 2012-02-29 2012-02-29 Web based multi center trial system KR20130099320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1527 WO2013129716A1 (en) 2012-02-29 2012-02-29 Web-based multi-centered research system
KR1020120020731A KR20130099320A (en) 2012-02-29 2012-02-29 Web based multi center tria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731A KR20130099320A (en) 2012-02-29 2012-02-29 Web based multi center tria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320A true KR20130099320A (en) 2013-09-06

Family

ID=4908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731A KR20130099320A (en) 2012-02-29 2012-02-29 Web based multi center trial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99320A (en)
WO (1) WO2013129716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506A (en) 2018-08-01 2020-02-1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Image analysis method for manifold research and syste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739A (en) * 2000-06-13 2001-12-20 정명식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internet site offering database of research source
KR20010000780A (en) * 2000-10-19 2001-01-05 박범서 A System for Joint Research on the Internet
JP2002175206A (en) * 2000-12-08 2002-06-21 Yaskawa Electric Corp Devic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base system,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progr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506A (en) 2018-08-01 2020-02-1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Image analysis method for manifold research and system thereof
US11574726B2 (en) 2018-08-01 2023-02-07 Wonkwang University Center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Image analysis method for multicenter study and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9716A1 (en)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89644A9 (en) Informatics platform for integrated clinical care
US20050203976A1 (en) Systems, tool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files and metadata to and from a storage means
US98242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ed sign-on methods for non-programmatic integration systems
US20170052944A1 (en) Content digitization and digitized content characterization systems and methods
US9183202B2 (en) Notification methods for non-programmatic integration systems
US202001930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inical study management
US2019001230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3294915A (en) Multifunctional medical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US20230124483A1 (en) Electronic data document for use in clinical trial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5469645B2 (en) Document management server system
US9081632B2 (en) Collaboration methods for non-programmatic integration systems
KR101257286B1 (en) System for smart electronic consent form base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US11309065B2 (en) Management and tracking solution for specific patient consent attributes and permissions
US20120102397A1 (en) Safety methods for non-programmatic integration systems
KR20130099320A (en) Web based multi center trial system
JP2008129643A (en)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KR1014847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on Form in Medical Information System
CN104063828A (en) Method and system for self-help generation of health files
CN111883224A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4807984B2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document management system setting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4141887A1 (en) Methods, systems, computing devices for digital cooperation
US20040193613A1 (en) Method and system of context scanning
EP3144829A1 (en) Medical-document management apparatus,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medical-document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US20230253079A1 (en) CLINICAL TRIAL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IMPROVEMENT INCLUDING A COMBINED SCREENSHARING, VIDEO CONFERENCING, SOURCE CAPTURE AND eCRF/CLINICAL TRIAL DOCUMENT RECONCILIATION SYSTEM
US201700613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ster-client virtual workspace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