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395A - 전력제어방법 및 설치 - Google Patents

전력제어방법 및 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395A
KR20130098395A KR1020137013763A KR20137013763A KR20130098395A KR 20130098395 A KR20130098395 A KR 20130098395A KR 1020137013763 A KR1020137013763 A KR 1020137013763A KR 20137013763 A KR20137013763 A KR 20137013763A KR 20130098395 A KR20130098395 A KR 20130098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djustment
adjustment amount
pucch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4611B1 (ko
Inventor
수에밍 판
주캉 센
수에주안 가오
Original Assignee
다 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 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 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98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sent by anoth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장치가 네트워크측 장치가 확정하여 송신하는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장치가 상기 전력 조정량을 근거로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제어방법 및 장치를 공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사용하여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확정함으로써, PUCCH 송신 다이버시티를 도입한 후 정확하게 전력 제어를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또한 각 PUCCH format이 독립적으로 송신 다이버시티 전력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전력제어방법 및 설치{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본 출원은 2010년 11월 9일에 중국 특허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1010539342.2이고, 발명의 명칭이 "전력제어방법 및 장치"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청구하는 것으로서, 그 전체 내용을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결합시켰다.
본 발명은 통신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력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미래장기진화)는 3G(3rd Generation, 3세대 디지털 통신)을 진화시킨 것으로서, LTE는 3G의 무선접속 기술을 개선 및 보강하였고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주파수분할다중)과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다입력다출력)를 상기 LTE 안테나 네트워크 발전의 표준으로 삼고 있다. 그중, LTE 시스템에서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력제어방식을 규정하였는데, 구체적으로는 UE측이 기지국의 설정과 스케줄링 상황을 통해 PUCCH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LTE-A(LTE-Advanced, LTE 어드밴스드)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 멀티안테나의 송신방식을 도입하였으며,이때 PUCCH의 경우 송신 다이버시티의 기술을 이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구체적인 송신 다이버시티 메커니즘은 SORTD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기지국측이 UE(User Equipment, 사용자장치)의 각 상향링크 안테나 포트에 독립된 PUCCH 채널리소스를 할당하여, UE가 다수의 안테나포트를 동시에 사용하여 각각 다른 PUCCH 리소스로 PUCCH 송신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발명자는 종래기술에 적어도 이하 문제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양한 포맷의 PUCCH format(포맷)은 모두 SORTD를 지원하는데, 각 포맷이 SORTD를 가동시키는지 여부는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즉 UE는 PUCCH format 1a를 송신할 때 SORTD를 이용하고, PUCCH format 2를 송신할 때는 단일 안테나 포트 방식을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기지국측에서 획득하는 PUCCH 단일 안테나 송신과 송신 다이버시티 SORTD 송신의 검출성능에는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PUCCH 전력제어방식을 사용할 경우, UE의 송신 전력과 기지국이 희망하는 전력 간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SORTD는 PUCCH 검출 성능을 3dB 향상시켰는데, UE가 만약 각 안테나 포트에 대응되는 PUCCH 채널에서 여전히 종래의 전력 제어 방식 및 관련 파라미터 설정에 따라 전력을 설정하였다면, UE의 총 출력 전력이 실제 필요한 송신전력인 3dB를 초과하게 되어, UE의 소비전력을 소모시키고, 사용자 간과 셀 간의 간섭을 증가시켜 시스템 성능에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UE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고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력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장치가 네트워크측 장치가 확정하여 송신하는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장치가 상기 전력 조정량을 근거로 송신 PUCCH 채널에 사용되는 송신전력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장치가 확정하여 송신하는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과;
상기 전력 조정량을 근거로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전력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장치가 사용자장치의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며 취득값 집합이 미리 설정된 전력 조정량을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층의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상기 사용자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장치의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며 취득값 집합이 미리 설정되는 전력 조정량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모듈과;
상층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상기 사용자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한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장치를 제공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이하 장점을 구비한다: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사용하여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전력을 확정함으로써, PUCCH 송신 다이버시티를 도입한 후 전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던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또한 각 PUCCH format이 독립적으로 송신 다이버시티 전력제어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해야 할 도면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물론, 이하 설명 중의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에일 뿐이며,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았다는 전제 하에, 이러한 도면을 근거로 기타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제공하는 전력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가 제공하는 전력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사용자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장치의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분명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묘사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실시예의 전부는 아니다. 본 발명 중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았다는 전제 하에 획득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LTE 시스템에서, UE측은 기지국의 설정 및 스케쥴링 상황에 따라 PUCCH 송신전력을 계산할 수 있는데, 그 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i에서 UE가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 PPUCCH의 계산 방식은 이하 공식을 포함하되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01
[dBm] 공식(1)
공식(1)에서, PCMAX는 상층이 설정한 UE의 최대 송신전력으로서, 상기 PCMAX는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파라미터
Figure pct00002
는 상층이 설정한 파라미터로서,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 가능하며, 상기 파라미터
Figure pct00003
는 PUCCH format 1a와 상대적으로 상이한 PUCCH format에 대응되는 전력 오프셋이며, 그 중 상기 PUCCH format은 PUCCH format 1/1a/1b/2/2a/2b 등 다양한 포맷을 포함하나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h(n)은 PUCCH가 전송하는 비트수와 관련된 전력 오프셋으로서, 그 중 nCQI는 적재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채널품질지시) 비트수에 대응되고, nHARQ는 적재된 ACK(Acknowledge Character, 확인응답문자)/NACK(Negative Acknowledgment, 부정응답문자) 비트수에 대응된다.
PO _ PUCCH는 송신전력 목표값으로서, 셀 전속 부분PO _ NOMINAL _ PUCCH과 UE 전속 부분 PO _ UE _ PUCCH 두 부분을 서로 더하여 구성된다.
PL은 UE가 측량하는 경로 손실값이고;
g(i)는 전력제어명령어의 누적량이다.
LTE-A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송신 다이버시티를 도입하였으며, SORTD 방식을 채택한 후, 이하 각종 포맷, 예를 들어 PUCCH format 1/1a/1b/2/2a/2b/3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PUCCH format은 모두 SORTD 방식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각종 포맷이 SORTD를 가동시키는지 여부는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즉 UE가 PUCCH format 1a를 송신할 때 SORTD를 사용하고, PUCCH format 2를 송신할 때에는 단일 안테나 포트 방식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기지국측에서 획득하는 PUCCH 단일 안테나와 송신 다이버시티 SORTD 송신의 검출성능에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LTE-A 시스템에서 UE측은 기지국의 설정을 근거로 정보와 스케줄링 정보를 측량하여 PUCCH 송신 전력을 계산하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i에서 UE가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하는 송신전력 PPUCCH의 계산 방식은 이하 공식을 포함하나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04
공식(2)
공식(2)에서, PCMAX는 상층이 설정한 UE의 최대 송신전력이고; 파라미터
Figure pct00005
는 상층이 설정한 파라미터이며; h(n)은 PUCCH가 적재한 비트수와 관련된 전력 오프셋으로서, 그 중 nCQI는 적재된 CQI 비트수에 대응되고, nHARQ는 적재된 ACK/NACK 비트수에 대응되며; PO_PUCCH는 송신전력 목표값이고; PL은 UE가 측량하는 경로손실값이며; g(i)는 전력제어명령어 누적량이고;
Figure pct00006
는 송신다이버시티와 관련된 전력 조정량이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공식(2)는 공식(1)의 PUCCH 전력 제어 공식을 개진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송신다이버시티와 관련된 전력 조정량을 도입하여
Figure pct00007
로 표기하였다. 그 중, F'는 PUCCH format을 나타내며, 각 PUCCH format F'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컨피규어러블
Figure pct00008
파라미터값 집합을 정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파라미터
Figure pct00009
의 취득값 집합을 {0, -1, -2, -3}dB와 같이 4가지 가능성으로 정의하여,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할 수 있으며, 2bits 상층 시그널링을 통해 양자화되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을 콩해 UE에게 송신된다. 물론, 실제 응용에서는 취득값 집합의 크기가 기타 값, 예를 들어 2개의 취득값 또는 8개의 취득값을 포함하는 등 역시 배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이하 4가지 상이한 PUCCH format에 대하여 4개의 상이한 RRC 시그널링 설정
Figure pct00010
이 존재한다. 표 1에 도시된 상이한 PUCCH format에 대응되는
Figure pct00011
취득값 집합 중 하나의 경우와 같이, 그 중 상이한 F'에 대응되는
Figure pct00012
취득값 집합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13
상기 상황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일종의 전력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 사용자장치가 네트워크측 장치가 확정하여 송신하는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는 기지국을 포함하나 단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그 중, 다양한 포맷의 PUCCH format은 모두 SORTD를 지원할 수 있고, 각종 포맷이 SORTD를 작동시키는지 여부는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각종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에 대하여, 사용자장치는 네트워크측 장치가 확정하여 송신하는 각 PUCCH fort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조정량을 수신하여야 하며, 상기 전력 조정량의 취득값 집합은 미리 설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UCCH format 1의 경우, 전력 조정량(즉 미리 설정된 취득값 집합)은 {al, b1, c1, d1}으로, 상기 a1, b1, c1, d1의 값은 실제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PUCCH format 3의 경우, 전력 조정량(즉 미리 설정된 취득값 집합)은 {a4, b4, c4, d4} 등이다.
더 나아가, 사용자장치의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즉 미리 설정된 취득값 집합)은 네트워크측(예를 들어 기지국)이 확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은 기지국에 의해 확정되고, 또한 기지국이 상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장치에게 송신한다. 즉 상기 상층 시그널링에 각종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이 휴대된다.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이 PUCCH format 1의 전력조정량을 {a1, b1, c1, d1}이라고 확정하였을 때, RRC 시그널링을 통해 미리 설정된 취득값 집합 {a1, b1, c1, d1}을 사용자장치에게 송신한다.
단계 102: 사용자장치가 상기 전력 조정량을 근거로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확정하는 단계로서, 그 중 사용자장치는 상기 전력 조정량, 및 네트워크측의 설정, 측량 정보와 스케쥴링 정보를 근거로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확정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장치는 공식(2)를 근거로 송신 PUCCH 채널에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확정할 수 있으며, 상기 확정 과정은 상기 과정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더이상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겠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사용하여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확정함으로써, PUCCH 송신 다이버시티를 도입한 후 정확하게 전력 제어를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또한 각 PUCCH format이 독립적으로 송신 다이버시티 전력 제어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일종의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네트워크측 장치가 사용자장치가 송신 다이버시티의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그렇다면 단계 202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다면 과정을 종료한다. 그 중,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는 기지국을 포함하되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202: 기지국이 사용자장치의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확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전력 조정량의 취득값 집합은 미리 설정되는 것이다.
그 중, 다양한 포맷의 PUCCH format은 모두 SORTD를 지원할 수 있고, 각종 포맷이 SORTD를 작동시키는지 여부는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장치의 각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조정량에 대하여, 기지국은 먼저 사용자장치가 송신할 가능성이 있는 PUCCH format을 확정한 다음, 상기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확정한다(상기 전력 조정량의 취득값 집합은 미리 설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장치가 PUCCH format 1의 송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는 경우, 본 단계에서 기지국은 PUCCH format 1에서의 전력조정량을 확정해야 하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전력 조정량의 미리 설정된 취득값 집합이 {a1, b1, c1, d1}이라고 확정할 수 있다.
단계 203: 기지국이 상층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사용자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로서, 예를 들어,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 PUCCH format(즉 사용자장치가 송신할 가능성이 있는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사용자장치에게 송신한다.
단계 204: 사용자장치가 네트워크측 장치가 확정하여 송신하는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즉 사용자장치는 수신된 RRC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조정량을 확정한다.
단계 205: 사용자장치가 상기 전력 조정량을 근거로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사용하여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확정함으로써 PUCCH 송신 다이버시티를 도입한 후 정확하게 전력제어를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또한 각 PUCCH format이 독립적으로 송신 다이버시티 제어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발명 구상에 따라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장치를 더 제공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측 장치가 확정하여 송신하는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11)과;
상기 전력 조정량을 근거로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전력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모듈(12)을 포함하는 사용자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수신모듈(11)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가 확정하여 송신하는 각종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력 조정량의 취득값 집합은 미리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 수신모듈(11)은 더 나아가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층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는데 더 사용되며, 상기 상층 RRC 시그널링에 각종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이 휴대된다.
상기 확정모듈(1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조정량, 네트워크측의 설정, 측량정보 및 스케줄링 정보를 근거로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확정모듈(12)은 더 나아가 공식
Figure pct00014
을 근거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i에서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확정하며;
그 중, PCMAX는 상층이 설정한 UE의 최대 송신 전력이고;
파라미터
Figure pct00015
는 상층이 설정한 파라미터이며;
h(n)은 PUCCH가 적재한 비트수와 대응되는 전력 오프셋이고, nCQI는 적재된 CQI 비트수에 대응되며, nHARQ는 적재된 ACK/NACK 비트수에 대응되고;
PO_PUCCH는 송신전력 목표값이며;
g(i)는 전력제어명령어 누적량이고;
PL은 UE가 측량하는 경로손실값이며;
Figure pct00016
는 상기 전력 조정량이다.
그 중, 본 발명의 장치의 각 모듈은 일체형으로 집적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다. 상기 모듈은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다수의 서브모듈로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방법과 마찬가지의 발명 구상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측 장치를 더 제공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사용자장치의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며 취득값 집합이 미리 설정된 전력 조정량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모듈(21)과;
상층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절량을 상기 사용자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한 송신모듈(22)을 포함한다.
상기 확정모듈(21)은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장치가 송신할 가능성이 있는 PUCCH format을 확정하고, 상기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송신모듈(22)은 구체적으로 상층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상기 사용자장치에게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는 또한
상기 사용자장치가 송신 다이버시티의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듈(23)을 더 포함한다.
그 중, 본 발명의 장치의 각 모듈은 일체형으로 집적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다. 상기 모듈은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다수의 서브모듈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방식의 설명을 통하여,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소프트웨어에 필수적인 하드웨어 플랫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고,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실현할 수도 있으나, 다수의 경우 전자가 더욱 바람직한 실시방식임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이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다)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기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약간의 명령을 포함한다.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첨부도면이 단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도일 뿐, 도면 중의 모듈 또는 플로우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실시예의 장치 중의 모듈은 실시예의 설명에 따라 실시예의 장치에 분포될 수도 있고, 상응하는 변화를 주어 본 실시예와 다른 하나 또는 다수의 장치에 위치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모듈은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고, 다수의 서브모듈로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번호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으로, 실시예의 우열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 공개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몇 가지 구체적인 실시예일 뿐이나, 본 발명은 결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분야의 기술자가 생각해낼 수 있는 변화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1)

  1. 사용자장치가 네트워크측 장치가 확정하여 송신하는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장치가 상기 전력 조정량을 근거로 송신 PUCCH 채널에 사용되는 송신전력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장치가 네트워크측 장치가 확정하여 송신하는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장치가 네트워크측 장치가 확정하여 송신하는 각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수신하며, 상기 전력 조정량의 취득값 집합은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량의 취득값 집합은 구체적으로,
    전송되는 채널 포맷이 구체적으로 PUCCH format 1일 때,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 취득값 집합은 적어도 두 개의 취득값을 포함하고;
    전송되는 채널 포맷이 구체적으로 PUCCH format 1a/1b and channel selection일 때,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 취득값 집합은 적어도 3n 개의 취득값을 포함하며;
    전송되는 채널 포맷이 구체적으로 PUCCH format 2/2a/2b일 때,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 취득값 집합은 적어도 두 개의 취득값을 포함하고;
    전송되는 채널 포맷이 구체적으로 PUCCH format 3일 때,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 취득값 집합은 적어도 두 개의 취득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종 채널 포맷에 대응되는 각 전력 조정량 취득값 집합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장치가 네트워크측 장치가 확정하여 송신하는 각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장치가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층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상기 상층 RRC 시그널링에 각종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이 휴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장치가 상기 전력 조정량을 근거로 송신 PUCCH 채널에 사용되는 송신전력을 확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장치는 상기 전력 조정량, 네트워크측의 설정, 측량 정보 및 스케쥴링 정보를 근거로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전력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장치가 상기 전력 조정량, 네트워크측의 설정, 측량 정보 및 스케쥴링 정보를 근거로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전력을 확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장치가 공식
    Figure pct00017
    을 근거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i에서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확정하며;
    그 중, PCMAX는 상층이 설정한 UE의 최대 송신 전력이고;
    파라미터
    Figure pct00018
    는 상층이 설정한 파라미터이며;
    h(n)은 PUCCH가 적재한 비트수와 대응되는 전력 오프셋이고, nCQI는 적재된 CQI 비트수에 대응되며, nHARQ는 적재된 ACK/NACK 비트수에 대응되고;
    PO_PUCCH는 송신전력 목표값이며;
    g(i)는 전력제어명령어 누적량이고;
    PL은 UE가 측량하는 경로손실값이며;
    Figure pct00019
    는 상기 전력 조정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네트워크측 장치가 확정하여 송신하는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과;
    상기 전력 조정량을 근거로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전력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가 확정하여 송신하는 각종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력 조정량의 취득값 집합은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더 나아가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층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는데 더 사용되며, 상기 상층 RRC 시그널링에 각종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이 휴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조정량, 네트워크측의 설정, 측량정보 및 스케줄링 정보를 근거로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확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모듈은 더 나아가 공식
    Figure pct00020
    을 근거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i에서 PUCCH 채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확정하며;
    그 중, PCMAX는 상층이 설정한 UE의 최대 송신 전력이고;
    파라미터
    Figure pct00021
    는 상층이 설정한 파라미터이며;
    h(n)은 PUCCH가 적재한 비트수와 대응되는 전력 오프셋이고, nCQI는 적재된 CQI 비트수에 대응되며, nHARQ는 적재된 ACK/NACK 비트수에 대응되고;
    PO_PUCCH는 송신전력 목표값이며;
    g(i)는 전력제어명령어 누적량이고;
    PL은 UE가 측량하는 경로손실값이며;
    Figure pct00022
    는 상기 전력 조정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장치.
  13. 네트워크측 장치가 사용자장치의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며 취득값 집합이 미리 설정된 전력 조정량을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층의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상기 사용자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사용자장치의 송신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확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사용자장치가 송신할 가능성이 있는 PUCCH format을 확정하고, 상기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은 구체적으로:
    전송되는 채널 포맷이 구체적으로 PUCCH format 1일 때,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 취득값 집합은 적어도 두 개의 취득값을 포함하고;
    전송되는 채널 포맷이 구체적으로 PUCCH format 1a/1b and channel selection일 때,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 취득값 집합은 적어도 3n 개의 취득값을 포함하며;
    전송되는 채널 포맷이 구체적으로 PUCCH format 2/2a/2b일 때,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 취득값 집합은 적어도 두 개의 취득값을 포함하고;
    전송되는 채널 포맷이 구체적으로 PUCCH format 3일 때,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 취득값 집합은 적어도 두 개의 취득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각종 채널 포맷에 대응되는 각 전력 조정량 취득값 집합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층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상기 사용자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층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상기 사용자장치에게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장치가 사용자장치의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하는 전력 조정량을 확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사용자장치가 송신 다이버시티의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장치가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장치의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확정하는 조작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장치가 송신할 가능성이 있는 PUCCH format을 확정하고, 상기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확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은 구체적으로 상층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PUCCH format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응되는 전력 조정량을 상기 사용자장치에게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장치.
  21. 제 18항 또는 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장치가 송신 다이버시티의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장치.
KR1020137013763A 2010-11-09 2011-11-09 전력제어방법 및 장치 KR101674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539342.2 2010-11-09
CN2010105393422A CN102083181B (zh) 2010-11-09 2010-11-09 一种功率控制方法和设备
PCT/CN2011/081994 WO2012062208A1 (zh) 2010-11-09 2011-11-09 一种功率控制方法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395A true KR20130098395A (ko) 2013-09-04
KR101674611B1 KR101674611B1 (ko) 2016-11-09

Family

ID=44088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763A KR101674611B1 (ko) 2010-11-09 2011-11-09 전력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11180B2 (ko)
EP (1) EP2696628B1 (ko)
KR (1) KR101674611B1 (ko)
CN (1) CN102083181B (ko)
WO (1) WO20120622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8361A (ko) * 2012-09-26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3181B (zh) 2010-11-09 2013-11-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和设备
US9838182B2 (en) * 2012-05-24 2017-12-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HARQ ACK/NACK and wireless device using same
CN103929800B (zh) * 2013-01-11 2017-09-2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pucch功率控制方法及装置
WO2016154924A1 (zh) * 2015-03-31 2016-10-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射功率调整方法及设备
WO2018128365A1 (ko) 2017-01-05 2018-07-12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636011B1 (en) 2017-06-16 2022-03-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systems of power control for uplink transmission
CN115038154A (zh) * 2017-06-16 2022-09-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发送功率的确定方法及装置、终端
US11419059B2 (en) 2017-11-17 2022-08-16 Datang Mobile Communications Equipment Co., Ltd. Uplink power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WO2019095880A1 (zh) * 2017-11-17 2019-05-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上行功率控制方法及移动通信终端
CN110769491B (zh) * 2018-07-27 2021-10-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功率控制方法和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064A (ko) * 2002-07-29 2005-03-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포맷 채널을 이용한 간섭 감소와전력 제어
KR20090120486A (ko) * 2007-02-14 2009-11-2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Lte를 위한 프리앰블 기반 업링크 전력 제어
WO2010032773A1 (ja) * 2008-09-22 2010-03-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5145A4 (en) * 2001-10-09 2010-06-02 Interdigital Tech Corp CLOSED LOOP POWER CONTROL WITH PROPAGATION WEAKENING COMPENSATION
US8107987B2 (en) * 2007-02-14 2012-01-3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uplink power control of wireless communications
UA96181C2 (ru) * 2007-02-14 2011-10-10 Кве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Управление мощностью на основе прембулы в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для lte
US8670396B2 (en) * 2009-09-29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allocation for transmit diversity
US8374136B2 (en) * 2009-10-02 2013-02-1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ransmission diversity scheme on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with ACK/NACK differentiation
IN2012DN02811A (ko) * 2009-10-02 2015-07-2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CN102083181B (zh) 2010-11-09 2013-11-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064A (ko) * 2002-07-29 2005-03-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포맷 채널을 이용한 간섭 감소와전력 제어
KR20090120486A (ko) * 2007-02-14 2009-11-2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Lte를 위한 프리앰블 기반 업링크 전력 제어
WO2010032773A1 (ja) * 2008-09-22 2010-03-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KR20110081954A (ko) * 2008-09-22 2011-07-15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국 및 무선기지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8361A (ko) * 2012-09-26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375649B2 (en) 2012-09-26 2019-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uplink control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611B1 (ko) 2016-11-09
EP2696628A1 (en) 2014-02-12
WO2012062208A1 (zh) 2012-05-18
EP2696628B1 (en) 2019-09-25
EP2696628A4 (en) 2016-01-06
CN102083181A (zh) 2011-06-01
US20140022994A1 (en) 2014-01-23
US10111180B2 (en) 2018-10-23
CN102083181B (zh)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47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control
JP6798006B2 (ja) 上りリンクの送信方法
KR101674611B1 (ko) 전력제어방법 및 장치
KR101936556B1 (ko) 업링크 협력 멀티-포인트
JP637656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2014020485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distributed antennas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 same
KR20190025972A (ko) 업링크 전송 파워 제어의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EP3437224B1 (en) Low complexity multi-configuration csi reporting
EP2777334B1 (en) Uplink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20190149301A1 (en) Reference signal send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EP27455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base station and network central processing device
WO2016163186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集積回路、および、通信方法
JP2022183303A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WO2021186417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using a transmit power difference between antennas
WO2017020578A1 (zh) Srs的指示发送方法、srs的发送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