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602A - Folding mechanism for flat panel disply to store into ceiling - Google Patents

Folding mechanism for flat panel disply to store into cei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602A
KR20130097602A KR1020120019369A KR20120019369A KR20130097602A KR 20130097602 A KR20130097602 A KR 20130097602A KR 1020120019369 A KR1020120019369 A KR 1020120019369A KR 20120019369 A KR20120019369 A KR 20120019369A KR 20130097602 A KR20130097602 A KR 20130097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iling
pulley
support
view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3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30457B1 (en
Inventor
권우영
Original Assignee
권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우영 filed Critical 권우영
Priority to KR1020120019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457B1/en
Publication of KR20130097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6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4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015Arrangements for entertainment or communications, e.g. radio, tele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receiving a flat display panel in a ceiling is provided to efficiently receive a large flat panel in a ceiling using a small amount of power. CONSTITUTION: A device for receiving a flat display panel in a ceiling comprises a frame (300) for fixing a flat display panel. A rope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point (350) and lower connection point of the frame is wound around a pulley (130), and the frame is installed with scales hung on the pulley. The wheel (310) of the frame is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of a guiderail (200). When the rope connected to a lower connection point (440) is pulled, the frame is lifted up. When the frame is lifted up,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is reduced. The wheel of the frame moves along the guiderail, and the frame is moved to a receiving space of a ceiling.

Description

평판 표시장치의 천장 수납장치 {Folding Mechanism for flat panel disply to store into ceilin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mechanism for flat panel display,

이 발명은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LCD, PDP, OLED 등의 Flat Panel로 만든 TV, 모니터 등; 이하 평판)를 천장에 수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평판 천장 수납장치에 있어서, 권상기(Traction, 모터, 감속기 및 활차의 결합체)의 힘과 반동기(Recoil)의 도움으로 안내궤도(Guiding Rail), 지지대 및 활차(Pulley)에 의해 규제되는 궤도를 따라 평판을 장착하는 굽어진 틀(Display Housing, 이하 "틀")이 제2종지레와 천칭의 원리에 의해 이동을 하여 천장에 수납되거나 사용을 위하여 시청위치로 전개될 수 있는 장치이다. 이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때 불필요하게 공간 및 배치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평판을 천정에 매몰 수납함으로써 안전성, 공간의 활용성과 실내배치 및 장식의 유연성을 제고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toring a flat panel display (a flat panel display (TV, monitor, etc. made of flat panels such as LCD, PDP, OLED, etc .; below flat panel) on a ceiling. , A bent frame for mounting a plate along a track regulated by a guide rail, supports and pulleys with the aid of a recoil and the force of a traction machine (Display Housing, hereinafter " frame ") is a device that can be moved on the basis of the second type lever and the balance to be stored on the ceiling or deployed to a viewing position for us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hance safety, usability of space and flexibility of interior arrangement and decoration by storing a flat plate occupying space and arrangement position unnecessarily when not in use.

일반적으로 평판의 천장 수납은 수납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자 평판의 수직위치를 수평위치로 위상을 바꾸는 움직임에 기초한다. In general, the ceiling storage of the flat plate is based on the movement of chang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lat plate to the horizontal pos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storage space.

수직위치를 수평위치로 바꾸는 가장 직관적인 방식은 경첩식(Hinge방식)이며 대부분 제3종지레의 원리를 이용한 방식이다. The most intuitive way of changing the vertical position to the horizontal position is the hinge type (Hinge method), and most of them use the principle of the third class lever.

따라서 경첩식은 수납하고자 하는 천장의 높이가 높을수록 또 평판이 대형화하여 무게가 무거울수록 비례하여 수납에 필요한 힘이 더 필요하게 된다. Therefore, the hinge type is required to receive more power in proportion to the higher the height of the ceiling to be stored and the larger the plate weight is heavier.

이러한 이유로 천장이 낮고 무게가 가벼운 소형 평판에 한하여 경첩식 천장 수납장치가 실용화되어 자동차나 비행기 등의 실내에 적용되고 있다.For this reason, the hinged ceiling storage device is practically applied only to a small flat plate having a low ceiling and a light weight, and is applied to an interior of a car or an airplane.

그러나 천장이 높고 무게가 무거운 대형 평판을 사용하는 가정, 사무실 또는 기타의 실내 공간에서는 제3종지레의 원리를 이용한 경첩식 천장 수납장치가 작동하기 위한 기구 장치의 요구조건이 비약적으로 높아져 실용화 사례를 찾기가 어렵다. However, in homes, offices, or other indoor spaces with large ceilings and heavy weights, the requirements of the mechanism for the hinged ceiling enclosures using the principle of the third class lever have increased dramatically. Difficult to find

현재 상용화된 대형 평판의 천장 설치 장치는 평판 자체를 천정에 노출 고정 설치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설치 위치가 낮으면 안전, 공간활용 및 미관에 취약하고 높으면 시청시 시선 위쪽에 위치하여 장시간 시청하기에는 불편하게 되어 있다.
Currently, the commercially available large flat ceiling installation device adopts the method of fixing the flat panel itself to the ceiling, so if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low, it is vulnerable to safety, space utilization, and aesthetics. It is.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 발명이 제안 됨으로써, This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활차와 줄(Wire, Chain)로 힘의 방향을 바꾸어 적은 힘으로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하고, 천칭효과를 더하여 수납이 진행될수록 작은 힘으로 가동이 된다. 안내궤도와 지지대 및 굽어진 틀이 상호작용하여 작동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천장의 출입구를 작게 한다.It is possible to operate efficiently with less force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force with pulleys and wires, and with the balance effect, it operates with less force as the storage progresses. Guide tracks, supports and bent frames interact to minimize the space required for operation and reduce the entry and exit of the ceiling.

요소에 반동기(Recoil)을 설치하여 수납기동시 필요한 힘의 최대치를 낮추어 좀더 저 사양의 기구장치로도 대형 평판을 천장에 수납한다. By installing a recoil on the element, the maximum amount of force required to start the storage can be lowered so that a large flat plate can be stored on the ceiling even with a lower specification device.

기존 경첩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동력과 좁은 작동공간 그리고 작은 출입구로 하여금 천장수납장치의 설치 자유도를 높인다Compared to the existing hinge type, the relatively small power, narrow working space and small entrance increase the freedom of installation of the ceiling storage device.

이 발명에 의한 천장 수납장치를 통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 평판이 점유하고 있던 장소를 해방하여 추가적인 공간을 확보하게 하고 실내 공간 배치의 자유도를 높이고 실내 미관을 개선하게 된다.
The ceiling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ees the place occupied by the flat plate when not in use, thereby securing additional space,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of indoor space arrangement, and improving the interior aesthetics.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활차와 줄로 힘의 방향을 바꾸는 도르레 효과를 활용하여 제2종 지레의 원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줄을 틀의 하부 연결점에 고정, 받침점과 힘점을 가장 멀게 하여 제2종지레 원리상 최소의 힘으로 작동한다.Use the pulley effect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orce with pulleys and strings to make use of the principle of class 2 levers, and to fix the strings to the lower connection points of the frame, and to place the support and force points farthest, to minimize the force in principle. Works.

안내궤도는 틀이 이동중에도 지속적으로 받침점과 힘점이 멀게 유지되어 틀의 위상 변화에도 지속적으로 제2종지레의 원리상 최소의 힘으로 작동 되도록 한다.The guide orbit keeps the support point and the force point far away while the frame is moving so that it can be operated with minimum force on the principle of the second class lever continuously even if the frame phase changes.

천칭의 원리로 틀의 수납이동중 작용점의 위치를 받침점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납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힘을 기존방식 대비 지속적으로 축소한다. The principle of balance is to reduce the forc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device by continuously moving the position of the working point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oint during the storage movement of the frame.

틀이 천칭의 원리상 균형점을 넘어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려 할 때 안내궤도가 움직임을 통제하여 수납위치에 안정토록 한다.When the frame tries to move downwards beyond the balance point on the principle of balance, the guide orbit controls the movement so that it is stable in the storage position.

활차의 편중으로 천칭의 원리상 균형점을 넘는 상황을 조기에 발생시키고 이를 안내궤도를 이용 통제하여 틀의 기동에 필요한 실내공간을 줄이고 수납장치의 가동에 소요되는 힘을 통상 방식에 비해 작게 한다.Due to the pulley of the pulley, a situation that exceeds the balance point on the principle of balance is generated early and controlled using the guide track to reduce the interior space required for the maneuvering of the frame and to reduce the forc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devi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안내궤도, 받침점, 굽어진 틀의 상호작용으로 천장 수납장치가 최소의 공간을 점유하며 작동을 하도록 하고 수납을 위한 천장의 출입구가 경첩식 등 기존 방식에 비하여 작게 한다.The interaction between guide tracks, support points, and bent frames allows the ceiling storage device to operate while occupying minimal space, and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ceiling for storage is small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such as hinge type.

틀이 수납위치로 기동할 때 가장 많은 힘이 요구되는 점을 고려 권상기, 안내궤도 등 요소에 반동기(Recoil)를 장착하여 시청위치로 전개될 때 중력에 의해 축적된 반발력을 이용 기동 초기에 권상기의 부담을 줄인다.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frame requires the most force when maneuvering into the stowed position, a recoil is mounted on elements such as a hoist, a guide orbit, and the reaction force accumulated by gravity when deployed to the viewing position is used. Reduce the burden

전개할 때는 안내궤도의 전개점, 받침대, 줄의 하부 연결점(힘점)으로 틀을 시청위치에 고정하고 수납할 때는 안내궤도의 수납점, 받침대 및 줄의 연결점으로 수납위치에 고정한다.
When unfolding, the frame is fixed to the viewing position by the unfolding point of the guide track, the pedestal, and the lower connection point (strength point) of the file.

이 발명으로 얻어지는 효과는,
The effect obtained by this invention is

평판의 천장수납에 있어 적용원리상(제2종지레, 천칭) 가장 작은 힘을 요구하여 낮은 사양의 기구장치로도 대형 평판의 천장 수납이 가능하다.
The principle of application for the ceiling storage of flat plates (second class, balance) requires the smallest force, so it is possible to store large flat ceilings even with a low specification device.

단일 동력원으로 수납과 전개의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A single power source can carry out the entire process of storage and deployment.

수납과 전개를 위한 기동에 필요한 실내공간이 작아 천장 수납장치의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경첩식 등 기존 방식에 비해 높다.
Since the interior space required for maneuvering for storage and deployment is small,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eiling storage device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such as the hinge type.

매몰 수납을 하므로 설치 면에 대한 제약이 작아 창호 쪽이나 출입구 쪽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Since the storage is buried, the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s small, so it can be installed on the window side or the entrance side.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청 면을 앞뒤로 바꾸는 호환성이 있다.
It is compatible to switch the viewing side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평판의 크기가 커져도 그에 따른 천장공간의 높이 변화가 크지 않고 시청자의 시야각의 하한 변화가 작아 대형화에 따른 대응이 용이하다.
Even if the size of the flat plate increases, the height change of the ceiling space is not large, and the change of the lower limit of the viewing angle of the viewer is small.

수납과 전개 작동시 틀에 작용하는 힘은 틀의 옆면과 상하단 뒷면에 작용하여 시청방향인 전면에 교체 베젤(Bezel)을 장착하여 장식성을 높일 수 있다.
The force acting on the mold during storing and unfolding action acts on the sides and upper and lower back sides of the mold, so that the decorative bezel can be installed on the front side in the viewing direction.

수납위치에는 보호면(실리콘 돌기 또는 융의 쿠션패드)이 있어 장기간 수평 보관에 따른 화면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 is a protective surface (silicone projection or velvety cushion pad) at the storage position to prevent the screen from sagging due to long-term horizontal storage.

수납과 전개를 위한 천장 출입구가 작아 미관에 유리하다.
The ceiling entrance for storage and deployment is small, which is good for aesthetics.

이 발명은 이러한 효과를 통하여 평판의 천장수납이 용이하게 하며 이를 통하여 실내에 추가적인 공간을 확보하게 하며, 안전을 제고하고, 실내공간 배치의 자유도를 높이고, 실내 미관을 개선하는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ceiling storage of the flat plate through this effect, thereby ensuring an additional space in the room, to enhance the safety,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layout of the interior space, and to effectively achieve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interior aesthetics. It is a useful invention.

도1은 이 발명에 적용되는 기본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2는 이 발명의 기본적인 얼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동력공급원인 권상기의 기본 구성, 틀과의 연결 및 작동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4는 안내궤도의 기본 구성과 틀의 형태, 틀과의 연결 및 작동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5는 틀의 기본 구성과 위치, 권상기 및 안내궤도와 지지대의 연결 및 작동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6은 지지대의 구성과 위치, 틀과의 연결 및 작동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7은 틀의 전개와 수납에 따른 천장의 출입구 문의 구조와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구성도
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basic principle applied to this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source, the connection and operation of the frame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guide orbit, the form of the frame, the connection and operation of the fram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and position of the frame, the hoist and guide track and the connection and operation of the support
Figure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position of the support, the connection and operation of the frame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doorway of the ceiling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storage of the frame

아래에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이 실시의 예는 이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ut merely as exemplification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 발명에 적용된 기본 원리를 단계적으로 설명(도1)하면, When explaining the basic principle applied to this invention step by step (Fig. 1),

(가)는 기존 경첩식(Hinge 방식, 주로 제3종지레의 원리에 의한 작동)의 동작을 나타내며 천장내 공간의 제약으로 힘점의 위치가 경첩에 가까울 수밖에 없어 작동을 위해 커다란 힘이 소요될 수 있음으로 도해한다. 천장이 높을수록 틀의 길이가 늘어나고 평판이 대형화될수록 무게가 무거워져 제3종지레 원리를 활용하는 경첩식 수납장치의 사용이 곤란해 진다.(A) indicates the operation of the existing hinge type (Hinge method, mainly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third type lever), and the position of the power point can only be close to the hing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pace in the ceiling. To illustrate. The higher the ceiling, the longer the frame, and the larger the plate, the heavier the weight, making it difficult to use a hinged enclosure that utilizes the third type of paper principle.

(나)는 제1종과 제2종지레의 작동 동작을 설명하며 천장의 좁은 구조에서 제1종지레의 원리에 의한 장치의 작동이 제3종지레의 경첩식과 유사한 문제에 직면함을 보여주고 있다. 틀의 굽은 면을 활용할 경우 제1종지레의 원리를 활용할 수있으나 천장 공간의 제약으로 제2종지레의 원리를 이용하는 방식보다 비효율적이다. 제2종지레의 원리 또한 적용은 가능하나 힘점이 평판 하단의 실내 공간에 위치하여 단순 적용이 곤란한 문제를 보여주고 있다.(B)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ype levers, showing that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first type lever in the narrow structure of the ceiling faces a problem similar to the hinge type of the third type lever. have. If the curved surface of the frame is used, the principle of the first type lever can be used, but it is inefficient than the method using the second type l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ceiling space. Although the principle of the second class lever can be applied, the force point is located in the interior space at the bottom of the flat plate, which shows a problem that simple application is difficult.

(다)는 도르래에 의한 천칭원리의 작동을 도해하고 있다. 천칭의 원리상 균형점을 넘으면 반대 방향으로 쏠림을 설명하고 있으며 균형점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작용점이 받침점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요되는 힘이 점점 줄어들 수 있음을 보여준다. (C)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balance principle by the pulley. When the balance point is over the balance point, the deflection is expla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moving point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oint can be reduced gradually.

(라)는 제2종지레, 천칭의 원리, 안내궤도(200)가 같이 상호작용하며 작동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이는 (나)와 (다)의 작동방식을 혼합하여 다른 한쪽으로의 과도한 작동을 안내궤도를 사용하여 통제하여 원리상 가장 작은 힘으로 위상변화를 얻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D) shows the second lever, the principle of balance, and the guide orbit 200 how they interact and work together. This demonstrates that a mixture of (B) and (C) can be used to control the excessive operation to the other side using a guide orbit to obtain a phase change with the smallest force in principle.

(마)는 (라)의 작용원리에 상부의 일부를 굽힌(350) 틀로 수납장치의 작동 궤적을 최소화하여 이 발명이 목적하는 최소의 힘과 작동공간으로 평판의 천장 수납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굽은 틀은 직선형 틀에 비하여 활차(130)에만 매달린 상태로도 수직가까운 위치에 안정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E) shows that the working principle of (D) minimizes the operation trajectory of the storage device with a frame 350 bent at the upper part thereof, so that the ceiling of the flat plate can be accommodated with the minimum force and working space for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curved frame can be stabiliz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vertical even when suspended only in the pulley 130 as compared to the straight frame.

이 발명에 따른 천장 수납장치의 기본 얼개(도2)를 설명하고 수납위치(가)에서 시청위치(나)로의 전개를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basic diaphragm (FIG. 2) of the ceiling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from the storage position (a) to the viewing position (b) will be described below.

수납장치는 권상기(100), 안내궤도(200), 틀(300), 지지대 및 출입문으로 구성이 되며, 권상기는 모터와 감속기(110), 반동기(120), 활차(130) 및 줄(140)의 주요 구성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납창치를 움직이는 주요 구동부이다. The storage device includes a hoisting machine 100, a guide track 200, a frame 300, a support stand, and a door. The hoisting machine includes a motor, a speed reducer 110, a recoiler 120, a pulley 130, and a string 140. It is composed of the main components and is the main drive that moves the storage device.

권상기는 줄의 양끝을 틀의 상부 연결점(450)과 하부 연결점(440)에 체결한 후 활차에 감아 천칭형태로 틀과 연결 한다. 권상기는 필요에 따라 앞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hoisting machine is fastened to the upper connection point 450 and the lower connection point 440 of the frame and then wound around the pulley to connect with the frame in the form of a balance. The hoist may be positioned forward if necessary.

안내궤도는 바퀴가 움직일 수 있는 궤도홈(210)을 가지며 앞쪽 끝은 수납위치 고정점(250), 뒷쪽 끝(260)은 시청위치 고정점이 된다. 틀의 바퀴가 궤도홈에 삽입되어 틀과 연결이 되며 바퀴는 궤도홈을 따라 이동한다. 시청위치 고정점(260) 부위에 반동기(230)을 갖춘다. The guide track has a track groove 210 through which the wheel can move, the front end of which is a storage position fixing point 250, and the rear end 260 is a viewing position fixing point. The wheel of the frame is inserted into the track groove and connected to the frame, and the wheel moves along the track groove. The reaction machine 230 is provided at the viewing position fixing point 260.

틀은 평판을 장착하고 수납위치와 시청위치로 전환하는 구조물로 측면에 궤도홈(320)을 가지며 상부가 굽어져(350) 있다. 궤도홈에는 지지대(420,410)의 바퀴가 삽입되어 지지대에 의해 틀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권상기의 활차와 줄에 의해 연결이 된다. The frame is a structure that mounts a flat plate and switches to a storage position and a viewing position, and has an orbital groove 320 at a side thereof and has an upper portion bent 350. The wheels of the supports 420 and 410 are inserted into the track grooves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frame by the supports. It is connected by the pulley and the string of the hoist.

지지대는 안내궤도와 함께 이동중 틀의 이동경로를 규제하여 최적의 경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한을 가지고 작동(420)을 하거나 틀의 움직임을 고정(410)하고 평판의 면을 보호(480)한다.The support is operated with the upper and lower limits to control the movement path of the frame during the movement along with the guide orbit 420 or to fix the movement of the frame (410) and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plate (480).

출입구는 틀이 수납되어 있을 때는 닫혀 천장의 미관을 개선하고 틀의 전개시에는 열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entrance is closed when the frame is stored,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ceiling and opening when the frame is deployed.

이상의 얼개를 가진 수납장치는 수납위치(가)에 있는 틀을 활차가 회전하며 줄을 인양하여 상부 연결점(450)을 끌어당겨 후방으로 이동토록 한다. 동시에 권상기에 설치된 반동기(120)가 작동을 하며 힘이 축적되기 시작한다. 틀의 바퀴가 안내궤도의 궤도홈을 이동하며 지지대(420)의 규제를 받아 틀이 요구된 최적의 궤적으로 전개되도록 한다. 틀의 이동중 활차에 의한 천칭효과로 무게중심이 바뀌게 되면 활차의 인양력 없이도 틀의 자체 무게에 의해 전개가 계속 되는데 이때부터 활차는 틀의 하강을 규제하게 된다. 활차는 틀의 하부 연결점에 체결된 줄을 규제하여 과도한 속도의 전개를 막는다. 활차가 하부 연결점에 체결된 줄을 인출함에 따라 틀의 전개가 지속 된다. 전개 과정에서 안내궤도, 지지대 및 활차와 줄의 역할로 틀이 최소한의 동작공간을 차지하며 전개하게 되고 출입구의 폭 또한 최소화가 된다. 바퀴가 안내궤도의 일정부분을 지나면서 안내궤도에 설치된 반동기(260)에 힘이 축적이 된다. 틀이 시청위치로 전개가 되면 틀의 바퀴(310)가 안내궤도의 시청위치 고정점(260)에 도달하여 정지하며 제1고정점을 형성하게 된다. 동시에 줄을 인출하던 활차가 멈추어 줄로 하부 고정점을 지탱하며 제2고정점을 형성한다. 틀의 굽어진 형태로 인하여 지지대(410)가 최대 위치로 전개가 되고 이를 틀의 굽은 면 상부가 무게로 압박을 하며 제3고정점을 형성하여 시청위치에서 3개의 고정점으로 틀을 안정적으로 고착하게 된다.The storage device having the above-mentioned diaphragm rotates the frame in the storage position (a) and pulls the string to pull the upper connection point 450 to move rearward. At the same time, the recoiler 120 installed in the hoisting machine operates and force begins to accumulate. The wheel of the frame moves the track groove of the guide track and is regulated by the support 420 so that the frame is developed into the optimal trajectory required. If the center of gravity is changed due to the balance effect caused by the pulley during the movement of the frame, the development continues by the weight of the frame without lifting the pulley. The pulley prevents excessive speed development by regulating the strings fastened to the lower connection points of the frame. As the pulley pulls the rope fastened to the lower connection point, the development of the frame continues. In the process of deployment, the guide tracks, supports, pulleys and strings are used to develop the frame, which takes up minimal operating space and minimizes the width of the entrance. As the wheel passes through a portion of the guide track, force is accumulated in the recoil 260 installed in the guide track. When the frame is deployed to the viewing position, the wheel 310 of the frame reaches the viewing position fixing point 260 of the guide track and stops to form the first fixed point. At the same time, the pulley that draws the rope stops and supports the lower fixed point with the rope, forming a second fixed point. Due to the curved shape of the frame, the support 410 is deployed to the maximum posi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ent surface of the frame is pressed by weight to form a third fixed point, thereby stably fixing the frame to three fixed points at the viewing position. Done.

시청위치(나)에서 수납위치로의 이동은 역순으로 작동을 하며 기동 초기단계에 가장 큰 힘이 소요되는데 이때 반동기들의 작동에 의한 반발력으로 권상기의 부담을 경감시켜 좀더 작은 힘으로 작동이 가능토록 한다.
The movement from the viewing position (b) to the storage position operates in the reverse order and takes the greatest force in the initial stage of the maneuvering. At this time, the repulsive force by the reaction of the recoilers reduces the burden of the hoist and enables the operation with a smaller force. .

권상기(도3)는The hoist (Fig. 3)

모터와 감속기, 활차(130)와 줄(140) 및 반동기(120)로 구성된다. It consists of a motor, a reducer, a pulley 130 and a string 140, and a recoiler 120.

권상기와 틀은 상부 연결점(450)과 하부 연결점(440)에 체결된 줄이 활차에 감겨 천칭과 같은 형태로 연결된다. 활차와 줄은 틀이 제2종지레의 원리에 의해 효율적인 힘으로 작동이 되고 기동중 천칭의 원리에 의해 소요되는 힘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The hoisting machine and the frame are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point 450 and the lower connection point 440 by a rope wound around a pulley. Pulleys and strings are important elements that allow the frame to operate efficiently by the principle of the second lever and to reduce the force required by the principle of balance during maneuvering.

활차는 권상기의 힘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하며 줄(140)을 양방향으로 인양과 인출을 한다. 활차에 감기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2가지 범주(가, 나)에 들게 된다. 이중 B는 단순하게 걸쳐져 활차의 회전력을 줄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홈을 만들어 줄과 활차의 접촉면을 넓히거나 사슬구조(160,161) 등을 갖도록 한다. The pulley rotates in both directions with the force of the hoist and lifts and draws the string 140 in both directions. There are many ways to wind the pulleys, but basically there are two categories (A, B). B is simply spanned to make a groove to effectively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ey to the rope to widen the contact surface of the rope and the pulley or to have a chain structure (160,161).

(가)는 힘을 받는데 유리하나 작동중 줄이 상호 간섭을 할 수 있어 그 입출을 통제할 안내틀(170, Roller)를 갖고 (나)에 비하여 지름만큼 힘점(결과적으로 틀)을 더 인양해 들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줄이 연결되는 상부 연결점(450)에는 작동중 틀의 모양에 따른 줄의 이완을 조절하고 줄의 긴장성(Tension)을 높이기 위한 완충장치(150)을 장비하게 된다. 권상기는 수납기동시 최대부하가 걸릴 때 이를 완화하기 위한 반동기(120, Recoil)을 가지게 되며 이는 권상기의 최대 부하 수준을 낮추는데 기여를 한다.
(A) is advantageous to the force, but the strings can interfere with each other during operation, so it has a guide frame (170, Roller) to control the entry and exit and lifts the power point (consequently the frame) by diameter compared to (B).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taken. The upper connection point 450 to which the string is connected is equipped with a shock absorber 150 to adjust the relaxation of the string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rame during operation and to increase the tension of the string. The hoist has a recoiler 120 (Recoil) to alleviate this when the maximum load is taken during storage startup, which contributes to lowering the maximum load level of the hoist.

안내궤도(도4)는 수납장치가 작동할 때 틀이 움직이는 궤적을 규제하는 중요한 구성부분으로 궤도홈(210)과 그 양끝에 수납위치 고정점(250)과 시청위치 고정점(260)이 있으며 고정위치 고정점 쪽에는 반동기(230)이 설치되어 있다.The guide track (Fig. 4) is an important component for regulating the trajectory of the movement of the frame when the storage device is operated, and there are the track groove 210 and the storage position fixing point 250 and the viewing position fixing point 260 at both ends thereof. A recoiler 230 is installed at the fixed position side.

안내궤도와 틀은 틀의 바퀴(310)가 안내궤도의 궤도홈에 삽입되어 연결(나)되며, 틀은 바퀴가 안내궤도의 궤도홈에 물려 궤도를 타고 이동하며 움직임의 궤적이 제어된다. 안내궤도의 반동기(230)는 틀이 시청위치로 전개할 때 틀의 무게 및 권상기에 의하여 압축되며 힘을 축적(다)하며 완충의 역할을 하고 수납기동을 시작할 때 반발력으로 권상기에 걸리는 최대 부하를 낮추어 준다.The guide track and the frame are connected to the wheel 310 of the frame is inserted into the track groove of the guide track (b), the frame is wheeled by the track groove of the guide track to move on the track and the trajectory of the movement is controlled. The guideway recoil 230 is compressed by the weight and hoist of the frame when the frame is deployed to the viewing position, accumulates the force, acts as a buffer, and provides the maximum load on the hoist with repulsive force when starting the storage operation. Lower it.

안내궤도는 천칭원리에 따라 틀이 균형점을 넘어 반대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틀이 이동하는 중 지속적으로 제2종지레에서 받침점과 힘점의 거리를 최대로 유지(가)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balance principle, the guide track prevents the frame from being orien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eyond the balance point and continuously maintains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supporting point and the force point in the second type lever while the frame is moving.

안내궤도와 틀의 굽은 부분(350), 그리고 지지대(420)에 의하여 그려진 틀의 궤적(가)은 직선 틀의 궤도보다 작아 작동시 소요공간을 작게 차지(도1-라)한다. The trajectory of the frame drawn by the guide track, the curved portion 350 of the frame, and the support 42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linear frame, and thus occupies a small amount of space required during operation.

줄의 궤적(라)는 전개의 진행에 따라 틀의 기둥 뒷면 형상(351)에 따라 줄이 어떠한 형태로 작동하는지 보여준다. 틀이 일정한 정도 이상 하강(690)하였을 때 틀과 줄이 밀착하여 줄의 위상이 변하게 된다.
The trajectory of the string (D) shows how the string work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ck of the pillar of the mold as the development progresses. When the frame is lowered by a certain degree (690), the frame and the line are in close contact and the phase of the line is changed.

틀(도5)은 평판을 장착하고 천장수납장치에서 수납과 전개를 위하여 공간을 이동하는 부분이다.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강력한 줄의 교차설치(340)로 구조강화를 한다. The frame (Fig. 5) is a part for mounting the flat plate and moving the space for storage and deployment in the ceiling storage device.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strength, the structure is strengthened by the strong installation of cross lines 340.

틀은 바퀴구조가 안내궤도에 삽입되어 연결이 된다. 또한 틀의 측면에 궤도홈이 있어 여기에 지지대(410,420)의 바퀴가 삽입되어 연결이 되고 궤도(320)를 오가며 틀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The frame is connected by inserting the wheel structure into the guide track. In addition, there is a track groove on the side of the frame is inserted into the wheels of the support (410,420) is connected to and from the track 32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rame.

틀은 상부 연결점(450)과 하부 연결점(440)에 줄이 체결되어 활차에 감겨 연결된다. 틀은 활차에 줄에 의해 천칭처럼 매달려 활차의 회전에 의하여 가동되며 천칭원리의 활용한 기동을 한다. The frame is connected to the pulley is fastened to the pulley to the upper connection point 450 and the lower connection point 440. The frame hangs like a balance by the rope on the pulley and is op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pulley, which makes use of the principle of balance.

틀의 굽어진 부분(350)은 틀의 이동궤적을 작게 하여 수납 및 전개를 위한 작동중 실내 공간 점유를 줄이고, 천장의 출입문의 폭을 작게 하며, 지지대가 최대전개되는 점에서 고정점을 형성한다. The curved portion 350 of the mold reduces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mold to reduce the occupancy of the interior space during operation for storage and deployment, to reduce the width of the door of the ceiling, and to form a fixed point at the point where the support is fully developed. .

틀은 시청위치로 고정될 때 바퀴와 안내궤도에 의해 제1일고정점을 형성하고, 활차와 하부 연결점에 고정된 줄에 의해 제2고정점을 형성하며, 지지대(410)의 최대 전개점에 틀의 무게로 제3고정점을 형성하며 안착된다.The frame forms the first fixed point by the wheels and guide tracks when the frame is fixed to the viewing position, the second fixed point by the rope fixed to the pulley and the lower connection point, and the frame at the maximum deployment point of the support 410. It is seated by forming a third fixed point with the weight of.

굽어진 틀은 직선틀에 비하여 활차와 줄에 의존하여 평판이 수직에 가깝게 전개 할 수 있도록 하며, 전개를 위한 기동에서 줄의 지지점(691)이 되어 활차에 의한 인양력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The curved frame allows the flat plate to be developed vertically, depending on the pulley and the string, compared to the straight frame, and in the maneuver for deployment, it becomes the support point 691 of the string to increase the lifting force by the pulley.

틀의 뒷면은 융기한 부분(351)이 있어 가로보를 설치하여 구조를 강화할 수 있으며 틀의 기동시 위치에 따라 인양 각도(도4 라)를 변화시켜 활차에 의한 줄의 인양력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틀의 뒷면 줄과 접촉하는 부분에 줄이 들어갈 수 있는 홈(330)이 있어 전개시 일정 위치(도4-690)이후에는 줄이 틀의 홈으로 들어가 이물질이 틀과 줄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시청위치로 전개되었을 때 줄을 보이지 않게 하여 미관도 개선을 한다.
The back of the frame has a raised portion 351, which can be installed to reinforce the structure by installing a cross beam, and also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lifting force of the rope by the pulley by changing the lifting angle (Fig. 4D) according to the position at the time of starting the frame. . There is a groove (33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line in contact with the rear line of the frame, when the deployment at a certain position (Fig. 4-690) after the line goes into the groove of the frame, foreign matter caught between the frame and the line It also improves aesthetics by preventing lines from being seen when deployed to the viewing position.

지지대(도6)은 틀의 이동중 상하 움직임을 제한(420)하여 틀의 상하한 내에서 움직이도록 하며, 틀이 전개할 때 천장 출입문을 열며(410), 틀이 전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는 틀의 굽은 면에 의해 무게를 받고 반동기(430)의 전개 제한으로 틀의 고정점 중의 하나가 되고, 틀이 수납위치에 도달하여 고정되면 평판의 화면을 받쳐 평판의 처짐을 방지(480) 한다.Support (Fig. 6) is to move within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frame 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frame up and down (420), open the ceiling door when the frame is deployed (410), when the frame reaches the deployment position of the frame The weight is bent by the curved surface and becomes one of the fixing points of the frame due to the expansion limit of the reaction machine 430. When the frame reaches the storage position and is fixed, the screen of the flat plate is prevented from sagging of the flat plate.

틀의 하단 연결점(440)은 체결된 줄에 의해 시청위치에 전개되었을때 틀의 하중을 견디는 지지대가 된다.The bottom connection point 440 of the frame is a support that bears the load of the frame when deployed at the viewing position by a fastened string.

지지대(410, 420)는 틀의 측면홈에 바퀴를 삽입하여 틀과 연결이 되며 틀의 기동중 틀의 측면에 설치된 궤도홈를 따라 움직인다.
Supports 410 and 420 are connected to the frame by inserting a wheel into the side groove of the frame and moves along the track groov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rame during the movement of the frame.

출입구(도7)는 문 두개로 개폐가 되며 시청위치로 전개시 틀의 앞으로 열리는 문(710)과 전개과정에서만 열렸다 수납이나 시청위치로 고정되면 닫히는, 상방으로 열리는 문(720)이 있다. 출입구의 문을 2개로 하여 문이 열리면서 틀의 앞을 가리는 부분의 줄여준다.      The doorway (Fig. 7) is opened and closed by two doors and there is a door 710 that opens only in front of the frame when it is deployed to the viewing position and a door 720 that is opened only when it is fixed to the storage or viewing position. With two doors at the entrance, the door opens to reduce the area covering the front of the frame.

(가)는 틀이 수납위치에 도달하며 지지대(410)을 들어올려 문(710)이 닫혀 고정된 상태이고, (다)는 틀이 바퀴(490)을 밀어 올려 문(720)이 열리고 지지대(410)와 함께 아래로 내려가며 문(710)을 눌러 여는 과정이다. (A) the frame reaches the storage position and lifts the support 410, the door 710 is closed and fixed, (C) the frame pushes the wheel 490, the door 720 is opened and the support ( 410 is down and the process of opening the door 710 by pressing down.

(나)는 틀이 시청위치로 전개되어 고정될 때 문(710)이 반동기(430)가 허용하는 최대로 열리며 무게로 누르는 틀을 지지하며 제3고정점을 형성하며 틀을 고정시킨다.(B) The door 710 is opened to the maximum allowed by the recoil 430 when the frame is deployed to the viewing position and supports the frame pressed by weight, and forms a third fixed point to fix the frame.

문(720)은 활차와 틀에 연결된 줄에 의해서도 열릴 수 있다.
The door 720 may also be opened by a string connected to the pulley and the frame.

100 권상기(Traction) - 모터(Motor), 감속기(Speed Reducer) 및 활차(Pulley)의 결합체
120, 230, 430 반동기(Recoil) - 탄성력을 이용 태엽을 감듯이 힘을 축적하였다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장치.
200 안내궤도(Guiding Rail) - 반동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틀이 최적의 궤도를 갖도록 고안된 궤도홈을 갖고 있는 틀의 안내하는 장치.
300 틀 (Display Housing) -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를 장착하는 틀로 수납장치 작동시 실제 수납위치나 시청위치로 수직과 수평의 위상 변화를 위해 이동하는 장치.
410,420,440, 450, 480 지지대 (Support) - 틀의 움직임을 규제하며 무게를 지탱하는 장치
620 장치의 가동시 틀의 움직임의 궤적
630 장치의 가동시 줄의 위상 변화의 궤적
710, 720 출입구 (Door) - 틀이 드나드는 출입구를 만들기 위해 천장에 낸 개폐식 문
100 Traction-Combination of Motor, Speed Reducer and Pulley
120, 230, 430 Recoil-A device that relies on elastic forces to accumulate forces as if wound up.
200 Guiding Rail-A frame guide that contains a recoil and has a raceway groove designed to provide an optimal trajectory.
300 Frame (Display Housing)-A device that mounts a flat panel display. It moves to chang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hase to the actual storage position or viewing position when operating the enclosure.
410,420,440, 450, 480 Support-A device that supports the weight and regulates the movement of the mold.
620 Trajectory of movement of the frame during operation
630 Trajectory of Joule Phase Change in Operation
710, 720 Doors-Retractable doors ceilinged to create a doorway

Claims (8)

평판 표시장치를 고정하는 틀(300)의 상부 연결점(350)과 하부 연결점(340)에 체결된 줄을 활차(130)에 감아 틀을 도르래에 매달린 천칭과 같이 설치하며; 안내궤도(200)의 궤도홈(210)에 틀의 바퀴(310)를 삽입 연결하고; 활차의 회전력에 의해 하부 연결점(440)에 체결된 줄이 인양되면 제2종지레의 원리에 의하여 시청위치에 있는 틀을 위로 들어올리며; 들어 올려지는 과정에서 천칭원리에 의해 작동에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며; 틀의 상부에 있는 바퀴가 안내궤도를 따라가며 틀이 천장 내부의 수납공간으로 이동함으로써; 틀이 수직의 시청위치에서 수납 가능한 수평위치로 위상 변화하여 천장 내부 공간에 수납 되도록 하고; 필요시에 반대의 과정을 통해 시청위치로 전개 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갖는 평판 표시장치 천장 수납장치.
A rope fastened to the upper connection point 350 and the lower connection point 340 of the frame 300 fixing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to the pulley 130 and installed as a balance hanging on the pulley; Inserting and inserting the wheel 310 of the frame into the track groove 210 of the guide track 200; If the rope fastened to the lower connection point 440 by the pulley of the pulley lifts the frame in the view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second lever; The lifting force reduces the force required for operation by lifting principle; The wheels at the top of the frame move along the guide orbit and the frame moves to the interior of the ceiling; The frame is changed in phase from a vertical viewing position to a horizontal position that can be stored so as to be stored in a ceiling internal space; A flat panel display ceiling receiving device having a feature that enables deployment to a viewing position through a reverse process if necessary.
제1항에 있어서,
활차와 줄에 의해 중력만으로 시청위치를 점할 수 있으며, 무게에 의해 지지대와 제3고정점을 형성하게 하며, 안내궤도 및 지지대와 함께 수납위치와 시청위치 간 작동에 필요한 공간을 작게 하고 천장의 출입구의 폭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가 굽은 틀을 장착한 수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can grab the viewing position by gravity only by pulleys and strings, and it forms the support and the third fixed point by weight, and it reduces the spac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between the storage position and the viewing position together with the guide track and the support and the entrance of the ceiling. Receptacle with upper bent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o reduce the width of the
제1항에 있어서,
틀의 후단부가 제2종지레의 원리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할 때 천칭원리에 의하여 작용점이 받침점 쪽으로 조기에 근접하여 틀을 들어올리는 데 필요한 힘을 줄이고 , 안내궤도 등과 함께 틀의 이동궤적을 제어하여 천장 출입구의 폭을 줄일 수 있도록 틀이 수평으로 있을 때 틀의 무게중심에서 벗어나 편중 배치한 활차를 장착한 수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rear end of the frame moves upward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second type lever, the force required to lift the frame early and close to the supporting point by the balance principle is reduced by the balance principle. Receptacle with pulleys placed one-sided away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rame when the frame is horizontal to reduce the width of the doorway
제1항에 있어서,
작동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틀의 궤적으로 역설계가 가능하고, 이렇게 설계된 궤도홈의 굴곡과, 지지대, 활차와 줄의 상호작용으로 틀이 작동할 때 작동 궤적을 작게 하고 출입구의 폭을 줄여주는 궤도홈을 갖는 안내궤도를 장착한 수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jectory of the frame can be reverse engineered to minimize the working space, and the tracks that make the operation track smaller and the width of the doorway smaller when the frame is oper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bend groove, the support, the pulley and the rope designed in this way Receiving device with guide track with groove
제1항에 있어서,
틀의 이동중 틀이 천장내 좁은 공간 내에서 위치가 벗어나지 않도록 틀의 상하한 움직임을 제어하는 지지대와 틀의 무게를 활용하여 제3고정점을 형성하는 지지대 및 평판의 화면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장착한 수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ome of the support to control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of the frame so that the frame does not deviate from the narrow space in the ceiling during the movement of the frame, and the support for forming the third fixed point by using the weight of the frame, and the support to prevent the screen from sagging of the flat plate. Or fully loaded storage

청구항1에 있어서,
틀의 움직임에 의하여 출입구를 여닫는 작동구조를 갖는 출입문을 장착한 수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device equipped with a door having an operating structure that opens and closes the door by the movement of the frame
청구항1에 있어서,
시청위치에서 수납위치로 기동시 기동에 필요한 힘의 최대치를 반발력으로 줄여 주고 틀의 시청위치로 안착시 작동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권상기, 안내궤도 및 지지대에 설치한 반동기(Recoil)를 갖는 수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device with recoil installed on hoist, guide track and support to reduce the maximum force required for maneuvering when starting from the viewing position to the storing position to repulsion and to absorb the working shock when seated at the viewing position of the frame.
청구항1에 있어서,
중간 가로 기둥을 설치하여 틀의 구조를 강화하고, 틀의 위치에 따라 줄과 접촉하는 면에 변화를 주어 줄의 인양력을 높이고, 일정 범위 이상 전개시 줄이 수납되어 들어가 이물질이 줄과 틀 사이에 끼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홈을 가진, 하반부를 뒤쪽으로 두껍게 한 세로기둥을 갖은 틀을 장착한 수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trengthen the structure of the frame by installing a middle horizontal column, increase the lifting force of the rope by changing the surface contact with the rop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ame, and when the wire is developed over a certain range, foreign substances are stored between the rope and the frame. Receptacle with frame with vertical column with thickened lower half at the rear with grooves to prevent accidents

KR1020120019369A 2012-02-24 2012-02-24 Folding Mechanism for flat panel disply to store into ceiling KR1013304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369A KR101330457B1 (en) 2012-02-24 2012-02-24 Folding Mechanism for flat panel disply to store into cei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369A KR101330457B1 (en) 2012-02-24 2012-02-24 Folding Mechanism for flat panel disply to store into cei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602A true KR20130097602A (en) 2013-09-03
KR101330457B1 KR101330457B1 (en) 2013-11-15

Family

ID=4944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369A KR101330457B1 (en) 2012-02-24 2012-02-24 Folding Mechanism for flat panel disply to store into cei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4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281A1 (en) * 2015-12-10 2017-06-15 권우영 Display device ceiling storage apparatus having extension ar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8596B2 (en) * 2005-02-24 2007-08-29 株式会社藤森電機製作所 On-vehicle monitor storage device
KR20100138387A (en) * 2009-06-25 2010-12-31 주식회사 유환 Ceiling mounted electronic bo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281A1 (en) * 2015-12-10 2017-06-15 권우영 Display device ceiling storage apparatus having extension 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457B1 (en) 201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9209B1 (en) Pleated screens
CA2315817C (en) Cable elevator with a drive plate
US11498811B2 (en) Elevator display systems
KR101126197B1 (en) Lifting Device
JP2015519775A (en) Counterbalance lift mechanism and method
JP6160961B2 (en) Vehicle door structure
JP2001039645A (en) Elevator without machine-room
CN101066746A (en) TV set elevator
KR20130097602A (en) Folding mechanism for flat panel disply to store into ceiling
JP2010208054A (en) Electric vertical moving board device
KR20160036787A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machine room-less elevator
KR101577566B1 (en) Movable batten
KR101062981B1 (en) Sliding elevation device with flat panel display
JP2019035319A (en) Cord stopper device and partition device
KR101542723B1 (en) Folding Mechanism with variable frame arm for flat panel disply to store into ceiling
KR20170056901A (en) Display Device being Stored into the Ceiling
KR101581881B1 (en) Automatically Monitor Receiving Type Desk
JP5626745B2 (en) Up-and-down opening / closing roll screen frame device and sash equipped with this up-and-down opening / closing roll screen frame device
KR101265037B1 (en) display elevation system
KR20170068904A (en) Device with extendable arm(s) to store Display(s) into the Ceiling
JP2007063899A (en) Natural ventilating window
JP3886081B2 (en) Abyss handrail device
JP2005138998A (en) Lift for storing projector in ceiling
CN101490353A (en) Apparatus for sliding gates or sliding doors
JP2001002352A (en) Elev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