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544A -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544A
KR20130097544A KR1020120019280A KR20120019280A KR20130097544A KR 20130097544 A KR20130097544 A KR 20130097544A KR 1020120019280 A KR1020120019280 A KR 1020120019280A KR 20120019280 A KR20120019280 A KR 20120019280A KR 20130097544 A KR20130097544 A KR 20130097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ocessing
operator
radio
digital signal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도성
이동준
이기호
고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19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7544A/ko
Publication of KR2013009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2Mobility data transfer for traffic bypassing of mobility servers, e.g. location registers, home PLMNs or home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신호 처리 시스템은,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무선 신호를 처리하고, 사업자마다 할당받은 고유의 주파수 대역을 각각 사용하는 사업자가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신호 장치; 상기 사업자 별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 중에서 사업자가 동일한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SYSTEM FOR PROCESSING SIGNAL AND DEVICE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본 발명은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기지국은 크게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가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함께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모든 처리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셀에 다 설치하여야 하므로 셀 설계의 최적화에 한계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하나의 기지국에 복수의 안테나를 연결하여 필요한 방식대로 셀을 형성하여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효율적인 셀 설계는 가능하지만 시스템 용량을 극대화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무선 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지국의 새로운 구조 및 전송 방법이 필요하다.
종래에 제안된 CCC(Cloud Communication Center)는 기존 기지국 시스템과는 달리, 기지국의 디지털 신호처리부(DU, Digital Unit)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처리부(RU, Radio Unit)를 분리해 DU는 전화국에 집중 배치하고, RU는 서비스 지역에 설치하는 무선망 기술이다.
이때, 임의의 서비스 영역에 설치된 무선 신호 처리부와, 중앙에 설치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동일한 사업자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동일 사업자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신호의 수신 및 디지털 신호 처리가 이루어진 후, 마찬가지로 동일 사업자의 코어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비스 영역에서 복수의 오퍼레이터가 서로 망을 공유할 수 있도록 신호 처리 및 무선 자원 할당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신호 처리 시스템은,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무선 신호를 처리하고, 사업자마다 할당받은 고유의 주파수 대역을 각각 사용하는 사업자가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신호 장치; 상기 사업자 별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 중에서 사업자가 동일한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무선 신호를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를 통해 각각 수신하여 서비스 영역 별로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 각각에 대한 무선 자원 할당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사업자가 서로 다른 복수의 코어 시스템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설치된 복수의 셀을 관리하며, 복수의 셀의 무선 자원과 사업자 별 코어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무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코어 시스템은,
EPC(enhanced packet core), 가입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인증 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복수개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지원하고, 사업자 별 코어 시스템 각각의 이동성 관리 객체(MME)와 연결되며, 셀에 위치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어태치(Attach) 메시지의 PLMN을 토대로 해당하는 이동성 관리 객체(MME)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사업자 별 코어 시스템과 공통으로 연결되는 이동성 관리 객체(MME) 및 S-GW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이동성 관리 객체(MME)로부터 수신한 APN(Access Point Name) 기반의 해당하는 코어 시스템의 P-GW의 주소를 이용하여 특정 사업자의 코어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S-GW를 통해 사용 패킷량을 확인하여 사업자 별로 사용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블레이드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시스템은,
셀 마다 구비되며, 하나의 셀에 설치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접속되어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제1 멀티플렉서; 및 상기 복수의 제1 멀티플렉서 각각에 대응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멀티플렉서가 각각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해당하는 사업자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로 전달하는 복수의 제2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를 제어하며, 집중화된 가상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서, 사업자마다 할당받은 고유의 주파수 대역을 각각 사용하는 사업자가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신호 장치가 송신한 각각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사업자 별로 구비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전달받는 제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각각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서로 다른 고유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이고, 상기 서비스 영역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설치된 복수의 셀을 관리하며, 복수의 셀의 무선 자원과 사업자 별 코어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무선 자원 할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사업자 별 코어 시스템과 연동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복수개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지원하고, 사업자 별 코어 시스템 각각의 이동성 관리 객체(MME)와 연결되며, 셀에 위치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어태치(Attach) 메시지의 PLMN을 토대로 해당하는 이동성 관리 객체(MME)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사업자 별 코어 시스템과 공통으로 연결되는 이동성 관리 객체(MME) 및 S-GW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이동성 관리 객체(MME)로부터 수신한 APN(Access Point Name) 기반의 해당하는 코어 시스템의 P-GW의 주소를 이용하여 특정 사업자의 코어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S-GW를 통해 사용 패킷량을 확인하여 사업자 별로 사용량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서비스 영역에서 사업자 별로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멀티 사이트의 운용 및 무선 자원 할당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개략적인 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개략적인 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조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radio unit, 이하, 'RU'로 통칭함)(100),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igital unit, 이하, 'DU'로 통칭함)(200) 및 코어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RU(100)및 DU(200)는 무선 통신의 신호 처리 시스템을 이룬다.
이때, RU(100)는 기지국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으로서 DU(20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로 송수신하는 변환장치와, RF 증폭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RU(100)는 서비스 영역, 즉 셀에 설치되며, 각 셀마다 설치된 복수개의 RU(110, 120, 13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RU(100)와 DU(200)는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DU(200)는 기지국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으로서, 무선 신호를 암호화, 복호화하는 채널카드로 구성되며, DU 집중 센터로 운영된다. 그리고 코어 시스템(30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DU(200)는 RU(100)와 달리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주로 통신 국사에 집중화되어 설치되는 서버로서, 가상화된 기지국이다. 그리고 DU(200)는 복수의 RU(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기존의 통신 기지국은 이러한 RU(100) 및 DU(200) 각각에 대응하는 처리부를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포함하고,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이 서비스 영역에 설치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시스템은 RU(100) 및 DU(200)를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RU(100)만 서비스 영역에 설치된다.
코어 시스템(300)은 DU(200)와 외부 망의 접속을 처리하며, 교환기(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
이제, 도 2 ~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 2는 비표준 망 구축 방안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셀(100)에는 오퍼레이터(Operator)(310, 320) 별로 RU(100)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Operator)가 A사, B사, C사 라면(도면에서는 오퍼레이터 C는 생략되어 있음), 임의의 셀(401)에는 오퍼레이터(Operator)에 대응하는 사업자가 서로 다른 복수의 RU(100) 즉 A사 RU(101), B사 RU(103), C사 RU(105)가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셀(403) 역시 오퍼레이터(Operator)에 대응하는 사업자가 서로 다른 복수의 RU(100) 즉 A사 RU(101), B사 RU(103), C사 RU(105)가 설치된다.
이러한 A사 RU(101), B사 RU(103), C사 RU(105)는 코로케이션(Co-location) 서비스로 제공된다. 그리고 A사 RU(101), B사 RU(103), C사 RU(105)는 오퍼레이터(Operator) 즉 사업자 마다 할당받은 서로 다른 고유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셀(400)에는 제1 광 MUX(멀티플렉서, Multiplexer)(500)가 설치되어 셀(400) 내에 설치된 복수의 RU(100)와 접속되어 있다.
즉 임의의 셀(401)에는 제1 광 MUX1(501)가 설치되고, 다른 셀(403)에는 제1 광 MUXn(50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 시스템 즉 통신 국사에는 제1 광 MUX(멀티플렉서, Multiplexer)(500)에 대응하는 제2 광 MUX(600), 오퍼레이터(Operator) 즉 사업자 별로 구비된 복수개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700) 및 DU(200)가 설치되고, LTE CCC(Cloud Computing Center)를 이룬다. 그리고 이러한 LTE CCC는 CCC 운용 보전망(800)을 통하여 망관리시스템(NMS, network management system)(900)과 연동한다.
여기서, 제2 광 MUX(600)는 제1 광 MUX1(501)와 연결된 제2 광 MUX1(601)과, 제1 광 MUXn(503)과 연결되는 제2 광 MUXn(603)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제2 광 MUX(601, 603)는 사업자 별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700) 즉 A사 무선 신호 처리 서버(701), B사 무선 신호 처리 서버(703), C사 무선 신호 처리 서버(705)와 연결된다. 이러한 각각의 제2 광 MUX(601, 603)는 각기 연결된 제1 광 MUX(501, 503)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를 사업자 별로 분리하여 해당 사업자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701, 703, 705)로 전달한다.
또한, DU(200)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700)와 연결되고, 복수의 오퍼레이터(310, 320)와 연결된다. 이러한 DU(200)는 RU(100)가 설치된 복수 사이트를 관리하며, 복수 사이트의 무선 자원과 오퍼레이터별로 처리하는 무선 자원을 관리한다.
DU(200)는 각각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701, 703, 705)로부터 대역폭이 서로 다른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처리하고, 셀 별로 설치된 복수의 RU(100) 각각에 대한 무선 자원 할당을 제어한다.
또한, DU(200)는 집중화된 가상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DU(200) 및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700)는 블레이드(Blade)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DU(200)는 오퍼레이터(Operator) A(310), 오퍼레이터(Operator) B(320)와 연결되는데, 오퍼레이터(Operator) A(310), 오퍼레이터(Operator) B(320)는 사업자가 서로 다른 코어 시스템(300)을 지칭한다.
오퍼레이터(Operator) A(310), 오퍼레이터(Operator) B(320)의 구성은 서로 동일하며, 오퍼레이터(Operator) A(31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EPC(enhanced packet core)(311)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313) 및 s/p-GW(315)를 포함한다. 그리고 AAA(317)는 가입자 정보 시스템인 HSS(Home Subscriber Server)(319), 인증 기관인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321) 및 SPR(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323)을 포함한다.
여기서, EPC(311)는 AAA(317)과 연동하고, EPC(311)는 사업자 운용보전망(325)을 통해 NMS(327)와 연동한다.
이상의 오퍼레이터(Operator) A(3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311, 313, 315, 317, 319, 321, 323, 325, 327)에 대한 설명은 LTE 표준 문서에 기재된 내용을 준용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DU(200)는 각 오퍼레이터(310, 320)의 MME(313)와 연결된다. 그리고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MME(313)와 연결될 수 있다.
다음, 도 3 및 도 4는 표준 망 구축 방안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때, 도 2의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DU(200)는 오퍼레이터(Operator) A(330) 및 오퍼레이터(Operator) B(340)와 연결된다. 이때, 오퍼레이터(Operator) A(330) 및 오퍼레이터(Operator) B(340)의 구성은 서로 동일하며, 오퍼레이터(Operator) A(33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HSS(331), MME(332), S-GW(333), P-GW(334), PCRF(Policy and Charging Resource Function)(335), IMS(IP Multimedia Subsystem) (336)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LTE 표준 문서에 기재된 내용을 준용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DU(200)는 오퍼레이터(Operator) A(330) 및 오퍼레이터(Operator) B(340) 각각의 MME(332)와 연결된다. 그리고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Attach 메시지(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토대로 해당하는 MME를 선택한다. 따라서, DU(200)는 복수개의 PLMN을 지원한다. 그리고 단순히 RAN 서비스만 제공하여 망이 단순하다. 그리고 과금 등 사용자 망 사용량 확인 등의 지능적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MME(351)는 DU(200) 및 S-GW(352)와 연결되고, S-GW(352)는 오퍼레이터(Operator) A(350) 및 오퍼레이터(Operator) B(360)와 연결된다. 이때, 오퍼레이터(Operator) A(350) 및 오퍼레이터(Operator) B(360)의 구성은 서로 동일하며, 오퍼레이터(Operator) A(35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HSS(353), P-GW(354), PCRF(355), IMS(356)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LTE 표준 문서에 기재된 내용을 준용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도 4는 일반적인 로밍 구조(Roaming Architecture)에 관한 것이고, MME(351)가 DU(200)로 호 접속해 APN(Access Point Name) 기반의 해당하는 P-GW(354)의 주소를 DU(200)에게 제공하여 DU(200)는 해당 사업자 즉 오퍼레이터로 연동하게 된다.
또한, DU(200)는 S-GW(352)와 연동하며, S-GW(352)를 통해 사용 패킷량을 확인하여 오퍼레이터 별로 사용량(Usage) 검출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DU(200)는 도 5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DU(200)는 제1 인터페이스부(201), 신호 처리부(203), 무선 자원 할당부(205) 및 제2 인터페이스부(207)를 포함한다.
제1 인터페이스부(201)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700)와 연동하여 신호 송수신을 담당한다. 즉 사업자마다 할당받은 고유의 주파수 대역을 각각 사용하는 사업자가 서로 다른 복수의 RU(100)가 송신한 각각의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203) 및 무선 자원 할당부(205)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를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700)로 전달한다.
신호 처리부(203)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700)로부터 전달받은 사업자가 서로 다른 복수의 RU(100)가 송신한 각각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처리한다. 즉 DU(200)의 본래 기능 즉 기지국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담당한다.
무선 자원 할당부(205)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700)로부터 전달받은 각각의 무선 신호를 토대로 복수의 RU(100) 각각에 대한 무선 자원의 할당을 제어한다. 즉 RU(100)의 무선 신호 송수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채널 설정 등을 제어한다. RU(100)가 설치된 복수 사이트를 관리한다. 그리고 복수 사이트의 무선 자원과 오퍼레이터별로 처리하는 자원을 관리한다.
제2 인터페이스부(207)는 도 2~ 도 4에서 설명한 MME(313, 332, 351)와의 연동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S-GW(352)와 연동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때, 제2 인터페이스부(207)는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Attach 메시지(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토대로 해당하는 MME를 선택한다.
또한, 제2 인터페이스부(207)는 APN(Access Point Name) 기반의 해당하는 P-GW(354)의 주소를 MME(351)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사업자 즉 오퍼레이터와 연동한다.
또한, 제2 인터페이스부(207)는 S-GW(352)를 통해 사용 패킷량을 확인하여 오퍼레이터 별로 사용량(Usage)을 검출한다.
한편, 명세서에서 사업자와 오퍼레이터가 혼용 사용되었는데, 이 두 용어는 서로 개념이 서로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1.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무선 신호를 처리하고, 사업자마다 할당받은 고유의 주파수 대역을 각각 사용하는 사업자가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신호 장치;
    상기 사업자 별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 중에서 사업자가 동일한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무선 신호를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를 통해 각각 수신하여 서비스 영역 별로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 각각에 대한 무선 자원 할당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사업자가 서로 다른 복수의 코어 시스템과 각각 연결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설치된 복수의 셀을 관리하며, 복수의 셀의 무선 자원과 사업자 별 코어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코어 시스템은,
    EPC(enhanced packet core), 가입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인증 센터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복수개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지원하고, 사업자 별 코어 시스템 각각의 이동성 관리 객체(MME)와 연결되며, 셀에 위치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어태치(Attach) 메시지의 PLMN을 토대로 해당하는 이동성 관리 객체(MME)를 선택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사업자 별 코어 시스템과 공통으로 연결되는 이동성 관리 객체(MME) 및 S-GW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이동성 관리 객체(MME)로부터 수신한 APN(Access Point Name) 기반의 해당하는 코어 시스템의 P-GW의 주소를 이용하여 특정 사업자의 코어 시스템과 연동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S-GW를 통해 사용 패킷량을 확인하여 사업자 별로 사용량을 검출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블레이드 서버로 구현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셀 마다 구비되며, 하나의 셀에 설치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접속되어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제1 멀티플렉서; 및
    상기 복수의 제1 멀티플렉서 각각에 대응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멀티플렉서가 각각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해당하는 사업자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로 전달하는 복수의 제2 멀티플렉서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를 제어하며, 집중화된 가상 서버로 구현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
  12.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서,
    사업자마다 할당받은 고유의 주파수 대역을 각각 사용하는 사업자가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신호 장치가 송신한 각각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사업자 별로 구비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전달받는 제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각각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서로 다른 고유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이고, 상기 서비스 영역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설치된 복수의 셀을 관리하며, 복수의 셀의 무선 자원과 사업자 별 코어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무선 자원 할당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사업자 별 코어 시스템과 연동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복수개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지원하고, 사업자 별 코어 시스템 각각의 이동성 관리 객체(MME)와 연결되며, 셀에 위치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어태치(Attach) 메시지의 PLMN을 토대로 해당하는 이동성 관리 객체(MME)를 선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사업자 별 코어 시스템과 공통으로 연결되는 이동성 관리 객체(MME) 및 S-GW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이동성 관리 객체(MME)로부터 수신한 APN(Access Point Name) 기반의 해당하는 코어 시스템의 P-GW의 주소를 이용하여 특정 사업자의 코어 시스템과 연동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S-GW를 통해 사용 패킷량을 확인하여 사업자 별로 사용량을 검출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KR1020120019280A 2012-02-24 2012-02-24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KR20130097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280A KR20130097544A (ko) 2012-02-24 2012-02-24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280A KR20130097544A (ko) 2012-02-24 2012-02-24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544A true KR20130097544A (ko) 2013-09-03

Family

ID=4944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280A KR20130097544A (ko) 2012-02-24 2012-02-24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75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408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grated high-capacity data and wireless IoT (internet of things) services
US1190304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ell identification in wireless networks
US11716122B2 (en) Beam management enhancement for FR2 with V-Pol/H-Pol virtualization
CN107005919B (zh) 用于使用未授权频带的单独lte ran的方法和装置
JP2022550865A (ja)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e2インタフェースを介するサービス加入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12312418A (zh) 一种用户面数据的获取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60278110A1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810654A (zh) 中立主机网络中的重定向
CN113661780B (zh) 混合基站和rrh
JP7483903B2 (ja) Pucch、pusch、及びsrs用のul空間関係スイッチ
US10091697B1 (en) Mitigation of uplink interference within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US20230361979A1 (en) Selection of tdd patterns for dl and ul communication
KR20230130061A (ko)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등록 영역 내 이기종 슬라이스배치
EP4050937A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130097544A (ko)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KR20130097546A (ko) 신호 처리 시스템
KR20130097545A (ko) 신호 처리 시스템
KR102230149B1 (ko)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007538A1 (en) Provision for Near-RT RIC to Update Policy Capabilities on A1 Interface
KR101515594B1 (ko)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무선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시스템
US20220311478A1 (en)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enhancements for fr2 with v-pol/h-pol virtualization
US20220377578A1 (en) Optimized X2 Cell Reporting
US10158415B1 (en) Macro base station to manage a frequency list
KR20170044313A (ko) Epc 네트워크 환경에서 끊어짐 없는 트래픽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6965115A (zh) 用于新空口广播接收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