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328A - 통신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능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능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328A
KR20130097328A KR1020120018909A KR20120018909A KR20130097328A KR 20130097328 A KR20130097328 A KR 20130097328A KR 1020120018909 A KR1020120018909 A KR 1020120018909A KR 20120018909 A KR20120018909 A KR 20120018909A KR 20130097328 A KR20130097328 A KR 20130097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node
state information
node
access network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3180B1 (ko
Inventor
김진성
금기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180B1/ko
Priority to US13/774,392 priority patent/US9078202B2/en
Priority to EP13156376.9A priority patent/EP2632202B1/en
Priority to CN201310056552.XA priority patent/CN103298078B/zh
Publication of KR20130097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통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통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능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DETERMINING COMMUNICATION LINK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전자 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요구에 따른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랜 및 테더링(tethering)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상술한 무선랜은 IEEE 802.11 표준에 따른 통신 방식으로 좁은 지역(local area)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통신 기술을 나타낸다. 테더링은 셀룰러 망에 연결된 전자기기가 무선랜의 AP(Access Point)로 동작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외부 인터넷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기술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들이 혼재된 경우, 전자 기기는 AP와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또는 전송률(rate)을 고려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링크를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무선랜의 경우, 무선랜을 위한 AP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다르게 셀 계획(cell planning)이 고려되지 않고 무분별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무선랜은 ISM 대역폭(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을 사용하여 셀 내외에서 간섭의 영향이 크다.
따라서, 전자 기기에서 RSSI 또는 전송률과 같은 무선 채널 정보만을 고려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전자 기기는 필요로하는 전송률을 제공받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시스템에서 능동적으로 통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시스템에서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고려하여 통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시스템에서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고려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링크 상태 정보 및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고려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통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통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한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는 링크 연결 모듈과, 상기 링크 연결 모듈에서 결정한 접속 호스트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저장 모듈 및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결정하고,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링크 상태 정보 및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고려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링크를 결정함으로써, 최적의 링크 상태를 유지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QoS(Quality of Service)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통신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링크를 능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호스트 노드의 부하를 분산시켜 데이터 통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노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연결 모듈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연결 모듈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노드(client node)에서 통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Host node)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 및 MP3 등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에서 호스트 노드는 접속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 노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AP(Access Point), 호스트 AP, 무선랜 다이렉트 연결을 제공하는 그룹 주체(group owner) 및 기지국 등을 포함한다. 이때, 호스트 노드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 및 MP3 등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시스템은 접속 네트워크(100), 호스트 노드(110) 및 클라이언트 노드(120)를 포함한다.
접속 네트워크(100)는 호스트 노드(110)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 노드(120)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접속 네트워크(100)는 인터넷 망(102) 및 셀룰러 망(104)을 포함한다.
호스트 노드(110)는 클라이언트 노드(120)와 접속 네트워크(100)를 연결하여 클라이언트 노드(120)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호스트 노드(110)는 인터넷 망(102)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노드(120)로 무선 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AP(Access Point)(112), 셀룰러 망(104)을 이용한 테더링(tethering)을 통해 클라이언트 노드(120)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AP(114) 및 무선랜 다이렉트 연결을 제공하는 그룹 주체(group owner)(116)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랜 다이렉트는, 클라이언트 노드들이 무선랜을 통해 P2P(peer to peer)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방식으로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라 칭하기도 한다.
클라이언트 노드(120)는 호스트 노드(110)를 통해 접속 네트워크(10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때, 클라이언트 노드(120)는 각 호스트 노드(112, 114, 116)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무선 상태 정보에 따른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접속 네트워크(100)에 접속할 호스트 노드(110)를 선택한다. 여기서, 접속 네트워크 정보는 호스트 노드(110)에 연결된 접속 네트워크(100)의 종류 및 호스트 노드(110)와 접속 네트워크(100) 사이의 데이터 전송률을 포함한다. 무선 상태 정보는 호스트 노드(110)와 클라이언트 노드(120) 사이의 데이터 전송률을 포함한다. 이때, 무선 상태 정보는 채널 상태 정보라 칭하기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노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노드(200)는 저장 모듈(210), 프로세서(processor) 모듈(220), 링크 연결 모듈(230), 통신 시스템(240), 외부 포트(port)(250), 오디오 처리모듈(260), 입출력(IO, Input Output) 제어 모듈(270), 표시부(280) 및 입력부(2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 모듈(210), 통신 시스템(240) 및 외부 포트(250)는 다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저장 모듈(210)은 클라이언트 노드(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저장부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모듈(111),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112),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113),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114)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115)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부에 포함되는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 또는 프로그램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모듈(211)은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operation)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모듈(211)은 다수 개의 하드웨어들과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212)은 통신 시스템(240)이나 외부 포트(250)를 통하여 송신하고 수신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213)은 표시부(28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215)은 클라이언트 노드(2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모듈(220)은 메모리 제어기(2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222) 및 주변 인터페이스(2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 모듈(220)에 포함되는 메모리 제어기(2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2) 및 주변 인터페이스(223)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제어기(221)는 프로세서(222) 또는 주변 인터페이스(223)와 같은 구성요소의 저장 모듈(210) 접근을 제어한다.
주변 인터페이스(223)는 클라이언트 노드(2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222) 및 저장 모듈(210)의 연결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 기기(200)가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222)는 저장 모듈(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하여 해당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및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연결 모듈(230)은 통신시스템(240)을 통해 접속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링크 연결 모듈(230)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각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한다. 이후, 링크 연결 모듈(230)은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접속 네트워크에 접속할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한다.
링크 연결 모듈(230)은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링크 연결 모듈(230)은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스캔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링크 연결 모듈(230)은 현재 접속된 접속 호스트 노드와의 채널 상태 정보가 기준 값 이하가 되는 경우,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링크 연결 모듈(230)은 현재 접속된 접속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가준 값 이하가 되는 경우,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통신시스템(240)은 링크 연결 모듈(230)에서 결정한 통신 링크에 대한 호스트 노드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시스템(240)은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수 개의 통신 서브 모듈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무선랜 및 Bluetooth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랜은 테더링 및 무선랜 다이렉트 방식을 포함한다.
외부 포트(250)는 클라이언트 노드(200)가 다른 장치와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외부 포트(250)는 USB 또는 FIREWIRE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60)는 스피커(speaker) 및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와 클라이언트 노드(2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입출력 제어모듈(270)은 표시부(280)과 입력부(29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2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시부(280)는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노드(2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한다. 만일, 표시부(28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표시부(280)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 모듈(270)을 통해 프로세서 모듈(22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입력부(29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 모듈(270)을 통해 프로세서 모듈(22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290)는 클라이언트 노드(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버튼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부(29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키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은 통신 링크를 결정하는 링크 연결 모듈(230)의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연결 모듈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연결 모듈(230)은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300) 및 링크 선택부(310)를 포함한다.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를 통해 각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각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300)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와 클라이언트 노드 사이의 무선 상태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300)는 제어 신호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300)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와 클라이언트 노드 사이의 무선 상태 정보 및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300)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와 클라이언트 노드 사이의 무선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제 2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300)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와 클라이언트 노드 사이의 무선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제 2 제어 신호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프로브 응답 신호(probe response) 및 비컨 신호(beacon)를 포함한다.
이후,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300)는 각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각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한다. 이때,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300)는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무선 상태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 호스트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무선 상태 정보에 적용하는 가중치는 각 호스트 노드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접속 네트워크의 병목 현상 정보를 포함한다.
링크 선택부(310)는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300)에서 추정한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한다. 이때, 링크 선택부(310)는 클라이언트 노드(200)의 서비스 종류에 따른 접속 호스트 노드 선택 알고리즘을 통해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링크 선택부(310)는 링크 상태 정보가 가장 좋은 호스트 노드를 접속 호스트 노드로 선택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링크 연결 모듈(230)은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확인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링크 연결 모듈(230)은 하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추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연결 모듈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연결 모듈(230)은 채널 상태 확인부(400),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410) 및 링크 선택부(420)를 포함한다.
채널 상태 확인부(400)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채널 상태를 추정한다.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410)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를 통해 각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410)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410)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프로브 응답 신호(probe response) 및 비컨 신호(beacon)를 포함한다.
이후,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410)는 각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 및 채널 추정부(400)에서 추정한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한다. 이때,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410)는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무선 상태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 호스트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무선 상태 정보에 적용하는 가중치는 각 호스트 노드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접속 네트워크의 병목 현상 정보를 포함한다.
링크 선택부(420)는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410)에서 추정한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한다. 이때, 링크 선택부(420)는 클라이언트 노드(200)의 서비스 종류에 따른 접속 호스트 노드 선택 알고리즘을 통해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링크 선택부(420)는 링크 상태 정보가 가장 좋은 호스트 노드를 접속 호스트 노드로 선택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노드는 통신시스템(240)을 통해 접속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결정하는 링크 연결 모듈(23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노드는 링크 연결 모듈(230)을 저장 모듈(1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의 형태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노드는 501단계에서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스캔 주기가 도래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현재 접속된 접속 호스트 노드와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현재 접속된 접속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스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주변에 위치한 호스트 노드로 스캔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스캔 요청 메시지를 방송한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로부터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로부터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응답 신호에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와 클라이언트 노드 사이의 무선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 신호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와 클라이언트 노드 사이의 무선 상태 정보 및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와 클라이언트 노드 사이의 무선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제 2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와 클라이언트 노드 사이의 무선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제 2 제어 신호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프로브 응답 신호(probe response) 및 비컨 신호(beacon)를 포함한다. 접속 네트워크 정보는 호스트 노드가 연결된 접속 네트워크의 종류 및 호스트 노드와 접속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전송률을 포함한다. 무선 상태 정보는 호스트 노드와 클라이언트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률을 포함한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509단계로 진행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각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노드는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무선 상태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한 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511단계로 진행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노드는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사용하는 서비스 종류에 따른 서로 다른 접속 호스트 노드 선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무선 상태 정보에 적용하는 가중치는 각 호스트 노드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513단계로 진행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스캔 이벤트 발생 이전에 접속된 호스트 노드와 511단계에서 선택한 호스트 노드가 동일한 호스트 노드인지 확인한다.
접속 호스트 노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517단계로 진행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한편, 접속 호스트 노드가 변경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515단계로 진행하여 511단계에서 선택한 접속 호스트 노드로 통신 링크를 변경하는 로밍(roaming)을 수행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노드는 끊김없는(seamless)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전 연결(pre association) 동작을 지원한다.
통신 링크를 변경하는 로밍을 수행한 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517단계로 진행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노드는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성공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만일,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다른 접속 호스트 노드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501단계로 진행하여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호스트 노드로 스캔을 요청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511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노드는 하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추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노드는 601단계에서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스캔 주기가 도래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현재 접속된 접속 호스트 노드와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현재 접속된 접속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스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주변에 위치한 호스트 노드로 스캔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스캔 요청 메시지를 방송한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로부터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로부터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응답 신호에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제어 신호를 수신한 각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각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추정한다.
각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각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확인한 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각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노드는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무선 상태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한 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613단계로 진행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노드는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사용하는 서비스 종류에 따른 서로 다른 접속 호스트 노드 선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615단계로 진행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스캔 이벤트 발생 이전에 접속된 호스트 노드와 613단계에서 선택한 호스트 노드가 동일한 호스트 노드인지 확인한다.
접속 호스트 노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619단계로 진행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한편, 접속 호스트 노드가 변경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617단계로 진행하여 613단계에서 선택한 접속 호스트 노드로 통신 링크를 변경하는 로밍(roaming)을 수행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노드는 끊김없는(seamless)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전 연결(pre association) 동작을 지원한다.
통신 링크를 변경하는 로밍을 수행한 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619단계로 진행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노드는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성공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만일,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다른 접속 호스트 노드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601단계로 진행하여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호스트 노드로 스캔을 요청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613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로 스캔을 요청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노드는 하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요청없이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서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노드는 701단계에서 주변에 위치하는 호스트 노드의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호스트 노드의 제어 신호는 프로브 응답 신호(probe response) 및 비컨 신호(beacon)를 포함한다.
호스트 노드의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호스트 노드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접한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호스트 목록을 갱신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가 호스트 목록에 포함되는 않은 제 1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목록에 제 1 호스트 노드를 추가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노드가 호스트 목록에 포함되는 제 2 호스트 노드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목록에서 제 2 호스트 노드를 삭제할 수도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스캔 주기가 도래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현재 접속된 접속 호스트 노드와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현재 접속된 접속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701단계로 진행하여 호스트 노드의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한편, 스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707단계로 진행하여 호스트 노드의 제어 신호에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와 클라이언트 노드 사이의 무선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 신호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와 클라이언트 노드 사이의 무선 상태 정보 및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와 클라이언트 노드 사이의 무선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제 2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와 클라이언트 노드 사이의 무선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제 2 제어 신호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709단계로 진행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각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노드는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무선 상태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한 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711단계로 진행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노드는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사용하는 서비스 종류에 따른 서로 다른 접속 호스트 노드 선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무선 상태 정보에 적용하는 가중치는 각 호스트 노드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713단계로 진행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스캔 이벤트 발생 이전에 접속된 호스트 노드와 711단계에서 선택한 호스트 노드가 동일한 호스트 노드인지 확인한다.
접속 호스트 노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717단계로 진행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한편, 접속 호스트 노드가 변경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715단계로 진행하여 711단계에서 선택한 접속 호스트 노드로 통신 링크를 변경하는 로밍(roaming)을 수행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노드는 끊김없는(seamless)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전 연결(pre association) 동작을 지원한다.
통신 링크를 변경하는 로밍을 수행한 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717단계로 진행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노드는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성공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만일,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다른 접속 호스트 노드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701단계로 진행하여 호스트 노드의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711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노드는 하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추정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노드는 801단계에서 주변에 위치하는 호스트 노드의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호스트 노드의 제어 신호는 프로브 응답 신호(probe response) 및 비컨 신호(beacon)를 포함한다.
호스트 노드의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803단계로 진행하여 호스트 노드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접한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호스트 목록을 갱신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가 호스트 목록에 포함되는 않은 제 1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목록에 제 1 호스트 노드를 추가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노드가 호스트 목록에 포함되는 제 2 호스트 노드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목록에서 제 2 호스트 노드를 삭제할 수도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805단계에서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스캔 주기가 도래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현재 접속된 접속 호스트 노드와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801단계로 진행하여 호스트 노드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한편, 스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807단계로 진행하여 호스트 노드의 제어 신호에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의 헤더에서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현재 접속된 접속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809단계로 진행하여 제어 신호를 수신한 각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각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추정한다.
각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각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확인한 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811단계로 진행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각 호스트 노드와의 무선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노드는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무선 상태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추정한 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813단계로 진행하여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노드는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사용하는 서비스 종류에 따른 서로 다른 접속 호스트 노드 선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815단계로 진행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스캔 이벤트 발생 이전에 접속된 호스트 노드와 813단계에서 선택한 호스트 노드가 동일한 호스트 노드인지 확인한다.
접속 호스트 노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819단계로 진행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한편, 접속 호스트 노드가 변경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817단계로 진행하여 813단계에서 선택한 접속 호스트 노드로 통신 링크를 변경하는 로밍(roaming)을 수행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노드는 끊김없는(seamless)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전 연결(pre association) 동작을 지원한다.
통신 링크를 변경하는 로밍을 수행한 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819단계로 진행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후, 클라이언트 노드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노드는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성공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만일,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다른 접속 호스트 노드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801단계로 진행하여 호스트 노드의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805단계로 진행하여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통신 링크를 변경하기 위한 로밍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813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노드는 각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노드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의 호스트 노드들 중 어느 하나를 접속 호스트 노드로 선택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노드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의 호스트 노드들의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도 1에 도시된 AP(112), 호스트 AP(114) 및 무선랜 다이렉트 연결을 제공하는 그룹 주체(116)의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를 접속 호스트 노드로 선택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노드는 동일한 통신 방식의 호스트 노드들 중 어느 하나의 호스트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는 다수 개의 AP들 중 어느 하나를 접속 호스트 노드로 선택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노드는 동일한 통신 방식의 호스트 노드들 및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의 호스트 노드들이 혼재된 상태에서 통신 링크를 위한 접속 호스트 노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호스트 노드와 클라이언트 노드는 무선 자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호스트 노드와 클라이언트 노드가 유선 자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노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호스트 노드들의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노드는 유선 자원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들 및 무선 자원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들의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3)

  1. 통신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통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정보는, 호스트 노드에 연결된 접속 네트워크의 종류 및 호스트 노드와 접속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와 호스트 노드 사이의 채널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채널 정보는, 데이터 전송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각각의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서 상기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각각의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서 상기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각각의 호스트 노드와의 채널 상태 정보를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에 적용할 가중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각 호스트 노드의 병목 현상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한 후, 상기 접속 호스트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스캔 주기,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와 상기 호스트 노드와의 채널 상태 정보 및 상기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통신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통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한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는 링크 연결 모듈과,
    상기 링크 연결 모듈에서 결정한 접속 호스트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정보는, 호스트 노드에 연결된 접속 네트워크의 종류 및 호스트 노드와 접속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와 호스트 노드 사이의 채널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채널 정보는, 데이터 전송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 모듈은, 각각의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서 상기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 모듈은, 각각의 호스트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서 상기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하고,
    각각의 호스트 노드와의 채널 상태 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 모듈은, 상기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에 각각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각 호스트 노드의 병목 현상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 모듈은,
    상기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링크 상태 정보 결정부와,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는 링크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 모듈은,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한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 모듈은, 스캔 주기,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와 상기 호스트 노드와의 채널 상태 정보 및 상기 호스트 노드의 링크 상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저장 모듈 및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결정하고, 각각의 호스트 노드에 대한 링크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 호스트 노드를 결정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정보는, 호스트 노드에 연결된 접속 네트워크의 종류 및 호스트 노드와 접속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와 호스트 노드 사이의 채널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채널 정보는, 데이터 전송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20018909A 2012-02-24 2012-02-24 통신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능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63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909A KR101863180B1 (ko) 2012-02-24 2012-02-24 통신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능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3/774,392 US9078202B2 (en) 2012-02-24 2013-02-22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ely determining communication link in communication system
EP13156376.9A EP2632202B1 (en) 2012-02-24 2013-02-22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ely determining communication link in communication system
CN201310056552.XA CN103298078B (zh) 2012-02-24 2013-02-22 通信系统中主动地确定通信链路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909A KR101863180B1 (ko) 2012-02-24 2012-02-24 통신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능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328A true KR20130097328A (ko) 2013-09-03
KR101863180B1 KR101863180B1 (ko) 2018-05-31

Family

ID=4779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909A KR101863180B1 (ko) 2012-02-24 2012-02-24 통신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능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78202B2 (ko)
EP (1) EP2632202B1 (ko)
KR (1) KR101863180B1 (ko)
CN (1) CN1032980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8215B2 (ja) * 2013-02-26 2018-02-1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60851B2 (en) * 2013-03-01 2018-01-02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access to transmission medium in a wireless environment
CN104602308B (zh) * 2013-10-30 2018-10-30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将终端在多个无线ap之间进行切换的方法和系统
CN114080006B (zh) * 2022-01-19 2022-05-27 珠海大横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飞行设备的通信方法及设备、服务器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4214B2 (en) 2003-12-01 2008-11-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access point channel selection
KR20050065123A (ko) 2003-12-24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수의 무선랜 접속장치가 설치된 환경에서 무선랜접속장치의 최대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과무선랜 접속장치의 채널 연결 설정 방법
US20080049694A1 (en) * 2004-05-21 2008-02-28 Yusuke Kinoshita Third-Generation Mobile-Communication/Wireless-Lan Integration System and Third-Generation Mobile-Communication/Wireless-Lan Integration Method
US8811201B2 (en) * 2008-04-18 2014-08-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cess network selection in a multi-access network environment
KR101493528B1 (ko) 2008-12-12 2015-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초고처리율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대역 스위치 방법 및 이를위한 프레임 포맷
US8351358B2 (en) * 2009-05-27 2013-01-08 Venturi Wireless, Inc. Channel state transition optimization
KR101433967B1 (ko) 2009-06-03 2014-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 선택 정보 제공 방법
US8228883B2 (en) 2010-01-03 2012-07-2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tories, Inc. Method and network for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network with fixed transmission intervals
KR101694735B1 (ko) * 2010-03-24 2017-01-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테더링 서비스 기반 트래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9037147B2 (en) * 2012-09-14 2015-05-19 Fujitsu Limited Network controlled tethering of wireless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98078A (zh) 2013-09-11
EP2632202A2 (en) 2013-08-28
EP2632202A3 (en) 2016-07-06
US9078202B2 (en) 2015-07-07
US20130223425A1 (en) 2013-08-29
CN103298078B (zh) 2018-08-07
EP2632202B1 (en) 2017-08-30
KR101863180B1 (ko)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40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erminal
KR101154736B1 (ko) 무선 네트워크 선택 및 핸드오버의 장치, 시스템, 및 방법
EP28568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a network access technology switching event
KR101762993B1 (ko) 전자 장치들에 망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212537B2 (en) D2D communication discovery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0813058B2 (en)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US97632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140112324A1 (en) Wi-fi p2p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91856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roximity-based services
KR102178481B1 (ko) 연결 정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863180B1 (ko) 통신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능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93100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WO2023050354A1 (zh) 一种sdt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263424B (zh) 一种接入网络的控制方法及通信设备
US201601653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plicit exclusion, inclusion and ranking of discovery and connectivity mechanisms
US9426691B2 (en) Load balancing method and rel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12073059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using downlink and uplink over separate radio channels or different operators
US20180070392A1 (en) Connection method of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CN117083815A (zh) panel状态的处理方法、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20150129082A (ko) 전기장을 이용한 링크 설정 장치 및 방법
WO2023151546A1 (zh) 传输方式确定方法、第一终端及中继终端
CN113225781B (zh) 网络接入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258011B (zh) 信息发送方法、信息接收方法、装置及终端
US20230021273A1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determining protocol architecture
CN114500511A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