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259A - Pipe laying system, and pipe laying ship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ipe laying system, and pipe laying ship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259A
KR20130097259A KR1020120018761A KR20120018761A KR20130097259A KR 20130097259 A KR20130097259 A KR 20130097259A KR 1020120018761 A KR1020120018761 A KR 1020120018761A KR 20120018761 A KR20120018761 A KR 20120018761A KR 20130097259 A KR20130097259 A KR 20130097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pipe
work unit
unit
pip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7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35251B1 (en
Inventor
홍영화
박선규
박성국
유홍재
이희원
임옥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251B1/en
Publication of KR20130097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2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2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3Pipe-lay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 F16L1/1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the pipes being S- or J-shaped and under tension during laying
    • F16L1/19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the pipes being S- or J-shaped and under tension during laying the pipes being J-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4Cable-lay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02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fixed on or to vessels
    • F16L1/205Pipe-laying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02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fixed on or to vessels
    • F16L1/207Pipe handl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pipe laying system and a pipe laying ship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pipe connection work by dividing the pipe connection work into multiple works through multiple work units. CONSTITUTION: A pipe laying system (100) comprises a first work unit (10), a second work unit (20), and an elevation control unit. The first work unit is formed on the top of a hull and performs a first pipe connection work on each pipe connection plane of the hull. The second work uni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work unit and performs a second pipe connection work on the pipe connection plane where the first pipe connection work is performed. The elevation control unit vertically elevates the second work unit.

Description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PIPE LAYING SYSTEM, AND PIPE LAYING SHIP HAVING THE SAME}PIPE LAYING SYSTEM, AND PIPE LAYING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installation system and a pipe installation ship having the same.

파이프 설치선은 연해 또는 심해를 이동하며 선체에 마련된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저에 복수의 파이프가 연결된 파이프라인을 설치(laying)한다. 예컨대,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는 방법에 따라서 S-lay, J-lay, Reel-lay, Flex-lay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The pipe installation ship moves the inshore or deep sea and lays a pipeline in which a plurality of pipes are connected to the sea floor by using a pipe installation system provided in the hull. For example, S-lay, J-lay, Reel-lay, Flex-lay and the like are us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pipeline on the sea floor.

이 중, J-lay 방식은 파이프 설치선에 장착된 타워를 이용하여 대략 48m 길이의 파이프를 수직으로 세워 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한 후, 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라인을 해저에 설치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타워에는 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스테이션(Workstation)이 마련되어 있으며, 작업스테이션은 통상적으로 타워의 하부에 설치된다. 예컨대, 작업스테이션에는 파이프 연결면(또는 조인트 필드)에 대한 용접작업, 용접검사, 코팅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용접은 통상적으로 3단계~4단계의 복수의 단계로 이루어진다.Among these, J-lay method uses a tower mounted on a pipe installation ship to vertically install a pipe of approximately 48m in length and performs pipe connection work, and then installs the pipeline where pipe connection work is performed on the sea floor. . To this end, the tower is provided with a workstation (Workstation) for performing the pipe connection work, the workstation is usual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ower. For example, the work station may be provided with facilities for performing welding work, welding inspection, coating work, etc. on the pipe connecting surface (or joint field). At this time, welding generally consists of a plurality of steps of three to four steps.

이러한 J-lay 방식은 심해설치를 위해 개발되었으나, 타워 길이의 한계로 인해 설치속도가 느리다. 즉, 하나의 작업스테이션에서 통상적으로 파이프 4개의 조인트 필드에 대해 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됨으로 파이프설치작업이 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스테이션을 확장시키거나, 한번에 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되는 파이프의 개수를 늘려 파이프설치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This J-lay method was developed for deep sea installation, but the installation speed is slow due to the limitation of tower length. That is, the pipe installation work can be delayed because the pipe connection work is performed on the joint field of four pipes in one work st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work station or increase the number of pipes in which pipe connection work is performed at one tim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ipe installation work.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수의 작업유닛을 통해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하여 수행함으로써, 파이프의 설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e installation system and a pipe installation line having the same by improving the pipe installation efficiency by performing a pipe connection work through a plurality of work unit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파이프설치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작업유닛을 선체내에 수용하고 파이프설치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유닛을 선체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선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ipe installation system that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hip by accommodating the work unit in the hull when not performing the pipe installation work and projecting the work unit to the outside of the hull when performing the pipe installation work and this We want to provide a pipe install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선체 상부에 마련되며, 각각의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1작업유닛;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에 겹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작업유닛에 의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2작업유닛; 및 상기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상기 제2작업유닛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방으로 이동된 상기 제2작업유닛을 상기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원위치시키는 승강제어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pe installation system for installing a pipeline on the seabed, provided in the upper hull, the first work unit for performing a first pipe connection operation for each pipe connection surface; A second working unit provide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first working unit and performing a second pipe connecting operation to the pipe connecting surface on which the first pipe connec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first working unit; And an elevating control unit for moving the second work unit provide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downward, or moving the second work unit moved downward to the original position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A system can be provided.

상기 제1작업유닛은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면과 상기 제2작업유닛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마련되며, 파이프의 하중을 지지하여 파이프가 일정한 속도로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working unit is provided in an area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orking uni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orking unit, and includes a tensioner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pipe to move the pipe downward at a constant speed Can be.

상기 제1작업유닛은 상기 제2작업유닛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면과 상기 제2작업유닛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마련에 마련된 상기 텐셔너를 상기 제1작업유닛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작업유닛의 중심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텐셔너를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면과 상기 제2작업유닛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원위치시키는 텐셔너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work unit includes the tensioner provided in an area betwee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work unit a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work unit when the second work unit moves downward. And a tensioner moving unit for moving the tensioner move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first work unit or in the reg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ork uni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ork unit. can do.

상기 제1작업유닛 및 상기 제2작업유닛에서 수행되는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은 복수의 용접작업, 용접검사 및 코팅작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작업유닛 및 상기 제2작업유닛에는 상기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하여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작업스테이션이 마련될 수 있다.Each pipe connection work performed in the first work unit and the second work unit includes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welding work, welding inspection and coating work, and the first work unit and the second work unit include: Each work station may be provided for dividing pipe work.

상기 제2작업유닛은 상기 제1작업유닛과 상기 제2작업유닛에서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work unit may include a support clamp for supporting the pipe so that each pipe connection work is stably performed in the first work unit and the second work uni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선체 상부에 마련되며, 각각의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1작업유닛; 상기 제1작업유닛으로부터 선체 저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작업유닛에 의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2작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작업유닛 및 상기 제2작업유닛은 상기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하여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작업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pe installation system for installing a pipeline on the seabed,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is provided on the hull, the first working unit for performing a first pipe connection operation for each pipe connection surface; And a second work unit extending from the first work unit below the bottom of the hull and performing a second pipe connection work on the pipe connection surface on which the first pipe connection work is performed by the first work unit. In addition, the first work unit and the second work unit may be provided with a pipe installation system including a respective work station for dividing and performing the pipe connection work.

상기 작업스테이션은 복수의 용접작업, 용접검사 및 코팅작업 중 하나 이상을 분할하여 수행하기 위한 설비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The work station may each include facilities for dividing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welding operations, welding inspection and coating opera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pe installation ship having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또한, 파이프 설치선은 상기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이용하여 파이프라인을 해저에 J-lay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pe installation ship can install the pipeline on the sea floor by the J-lay method using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은 복수의 작업유닛을 통해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하여 수행함으로써, 파이프연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Pipe instal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ipe installation line having the same by dividing the pipe connection work through a plurality of work unit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ipe connection work.

또한, 파이프연결작업 수행시,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수중으로 잠기도록 제2작업유닛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1작업유닛과 제2작업유닛에 의해 파이프연결작업이 분할되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연결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pipe connecting operation, the second work unit is moved downwar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work unit overlapped inside the first work unit is submerged, so that the pipe is formed by the first work unit and the second work unit. By making the connection work be divid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pipe connection work.

또한, 파이프연결작업이 완료되면, 제1작업유닛의 내측으로 제2작업유닛이 원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연결작업을 완료된 파이프 설치선의 이동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ipe connection work is completed, the second work unit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thereby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movement of the pipe installation line completed the pipe connection work.

또한, 제1작업유닛 내측에 제2작업유닛이 겹치게 마련됨으로써, 파이프 설치선의 선체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work unit is provided to overlap inside the first work unit, thereby securing the hull space of the pipe installation shi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 시스템이 구비된 파이프 설치선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연결작업 수행 전에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연결작업 수행을 위해 제1작업유닛 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한 제2작업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에 적재된 파이프를 세워 제1작업유닛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다.
1 illustrates a pipe installation line equipped with a pipe instal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pipe installation system including a second work unit provided to overlap inside a first work unit before performing a pipe connection 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pipe installation system including a second work unit moved downward from an inside of a first work unit to perform a pipe connection 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llustrate a process of moving the pipe mounted on the hu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ving it inside the first work uni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 시스템이 구비된 파이프 설치선을 도시한다.1 illustrates a pipe installation line equipped with a pipe instal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선(1)은 추진체에 의해 이동하면서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해저에 파이프를 설치한다. 이를 위해 파이프 설치선(1)은 바지선(3)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를 크레인(2)을 이용하여 선체 상부에 적재시키고, 적재된 파이프를 일렉터(4)(Elector)를 이용하여 타워 형태로 마련된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으로 이송한다. 그러면,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은 각각의 파이프를 이동시키면서 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각 파이프를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으로 이송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4와 도 5에서 후술한다. 파이프 설치선(1)은 예컨대, J-lay 방식으로 파이프를 심해에 설치하는 선박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을 기초로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에 대해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ipe installation l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pipe on the sea floor using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100 while moving by a propellant. To this end, the pipe installation line 1 loads the pipe transferred by the barge 3 to the upper part of the hull using the crane 2, and loads the loaded pipe in the form of a tower using the collector 4 (Elector). Transfer to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100 provided. Then,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100 performs the pipe connection work while moving each pipe. A method of transferring each pipe to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he pipe installation line 1 may include, for example, a ship that installs the pipe in the deep sea in a J-lay manner. Hereinafter,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100 is demonstrated based on FIG. 2 and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연결작업 수행 전에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연결작업 수행을 위해 제1작업유닛 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한 제2작업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도시한다.2 illustrates a pipe installation system including a second work unit provided to overlap inside a first work unit before performing a pipe connection 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shows a pipe installation system including a second working unit moved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working unit for performing the pipe conn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은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하여 수행하며, 복수의 파이프(41~43)가 연결된 파이프라인(40)을 해저에 설치한다. 이러한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은 파이프 설치선(1)에 타워 형태로 마련되어 수직하게 설치되거나,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이 수직으로 설치된 형태를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2 and 3,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by dividing the pipe connection work, the pipeline 40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ipes 41 ~ 43 on the seabed Install.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1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ower on the pipe installation line 1 to be installed vertically, or may be installed at an angle at an ang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orm in which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100 is installed vertically. 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100 is demonstrated concretely.

상술한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은 제1작업유닛(10), 제2작업유닛(20) 및 승강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승강제어부는 설치위치를 한정하지 않으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The pipe installation system 100 described above includes a first work unit 10, a second work unit 20, and a lift control unit. Here, the lifting control unit does not limit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us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제1작업유닛(10)은 선체(1a) 상부에 마련되며, 각각의 파이프 연결면(또는 조인트 필드)에 대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1작업유닛(10)은 제1작업스테이션(12), 텐셔너(Tensioner)(14) 및 텐셔너 이동부(16)를 포함한다.The first work unit 10 is provided above the hull 1a and performs a first pipe connection operation on each pipe connection surface (or joint field). To this end, the first work unit 10 comprises a first work station 12, a tensioner 14 and a tensioner moving part 16.

제1작업스테이션(12)은 제1작업유닛(10)의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파이프연결작업 중 용접작업은 3단계 내지 4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수행된다. 그리고, 용접작업이 완료되면 용접검사 및 코팅작업이 이루어진다. The first work station 12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work unit 10, and performs the first pipe connection work. Typically, the welding work during the pipe connection work is carried out through a process of three to four steps. Then, when the welding work is completed, welding inspection and coating work is performed.

이하, 제1작업스테이션(12)은 예컨대 4단계를 거쳐 수행되는 용접작업 중 제1파이프연결작업으로서 제1용접작업(1단계~2단계)을 수행하고, 후술할 제2작업스테이션(22)은 제2파이프연결작업으로서 제1용접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제2용접작업(3단계~4단계)과 용접검사 및 코팅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컨대 제1작업스테이션(12)이 용접작업, 용접검사를 수행하고, 제2작업스테이션(22)이 코팅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inafter, the first work station 12 performs the first welding work (steps 1 to 2) as the first pipe connection work among the welding work performed through four steps, for example, and the second work station 22 to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pipe connection opera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performing the second welding operation (steps 3 to 4), welding inspection and coating operation except for the first welding oper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work station 12 may perform a welding operation, a welding inspection, and the second work station 22 may perform a coating operation.

제1작업스테이션(12)은 제1파이프연결작업(제1용접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작업스테이션(12)은 기 이송된 파이프(42)와 새로 이송된 신규 파이프(41)에 대한 정렬(라인업) 작업을 수행하는 얼라이너(Aligner)(미도시)를 마련할 수 있다. 예컨대, 얼라이너(미도시)는 제1작업스테이션(12)의 상단 또는 내측에 마련되며, 제1작업스테이션(12)으로 이송된 신규 파이프(41)와 기 이송된 파이프(42)를 정렬시켜 상술한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술한 일렉터(4, 도 1 참조)에 의해 신규 파이프가 정렬된 상태에서 제1작업스테이션(12)으로 이동되거나, 제1작업스테이션(12)에 파이프가 정렬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통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얼라이너가 생략될 수 있다.The first work station 12 may comprise a facility for performing a first pipe connection operation (first weld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first work station 12 may provide an aligner (not shown) for performing an alignment (lineup) operation on the previously conveyed pipe 42 and the newly transferred new pipe 41. . For example, an align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top or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station 12 to align the new pipe 41 and the pre-transmitted pipe 42 transferred to the first work station 12. The above-described first pipe connecting operation is performed. However, by the above-described collector 4 (see FIG. 1), the new pipe may be moved to the first workstation 12 in the aligned state, or the pipe may be moved to the first workstation 12 in the aligned state. If the guide passage (not shown) is formed so that the aligner can be omitted.

텐셔너(14)는 제1작업유닛(10)의 내측면과 제2작업유닛(20)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하나 이상 마련된다. 텐셔너(14)는 파이프의 하중을 지지하며 각 파이프를 일정한 속도로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예컨대, 텐셔너(14)는 제1작업유닛(10) 내측으로 각각의 파이프가 이송되면, 각 파이프를 제1작업유닛(10)의 제1작업스테이션(12)으로 일정속도로 이동시킨다. One or more tensioners 14 are provided in an area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work unit 10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work unit 20. The tensioner 14 supports the load of the pipes and moves each pipe downward at a constant speed. For example, the tensioner 14 moves each pipe to the first work station 12 of the first work unit 10 at a constant speed when the pipes are transferred into the first work unit 10.

텐셔너 이동부(16)는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20)이 파이프연결작업을 위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제1작업유닛(10)의 내측면과 제2작업유닛(20)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마련된 텐셔너(14)를 제1작업유닛(10)의 중심(X’) 방향으로 이동시켜 텐셔너(14)에 의해 파이프가 지지되도록 한다. The tensioner moving part 16 include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ork unit 10 and the first work unit 10 when the second work unit 20 provide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10 moves downward for the pipe connection work. 2 The tensioner 14 provided in the area between the outer surfaces of the work unit 2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X ′ of the first work unit 10 so that the pipe is supported by the tensioner 14.

또한, 텐셔너 이동부(16)는 제1작업유닛(10) 및 제2작업유닛(20)에 의한 파이프연결작업이 모두 완료된 경우(즉, 해저 파이프라인(40) 설치가 완료된 경우), 제2작업유닛(20)이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에 원위치될 수 있도록 텐셔너(14)를 제1작업유닛(10)의 내측면과 제2작업유닛(20)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원위치시킨다. 텐셔너 이동부(16)는 예컨대 액추에이터(Actuat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텐셔너(14)가 텐셔너 이동부(16)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다양한 직경을 가진 파이프의 연결작업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nsioner moving unit 16 has completed the pipe connection work by the first work unit 10 and the second work unit 20 (that is,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subsea pipeline 40 is completed), the second Position the tensioner 14 in the area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work unit 10 and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work unit 20 so that the work unit 20 can be repositioned inside the first work unit 10. Replace it. The tensioner moving part 16 may b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an actuator. In this way, the tensioner 14 is movable by the tensioner moving part 16 to flexibly cope with the connection work of pipes having various diameters.

제2작업유닛(20)은 제1작업유닛(10)에 의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고, 제2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해당 파이프라인(40)을 해저에 설치한다. 이때, 제1작업유닛(10) 및 제2작업유닛(20)에 의해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라인(40)은 제2작업유닛(20)의 하단에 마련된 개구부(23)를 통해 수중으로 하강하면서 해저에 설치된다. 개구부(23)의 주변부에는 수밀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밀폐부재(23a)가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work unit 20 performs a second pipe connection operation on the pipe connection surface on which the first pipe conn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first work unit 10, and the corresponding pipeline on which the second pipe conn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stall (40) on the seabed. At this time, the pipeline 40 in which each pipe connec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first work unit 10 and the second work unit 20 is provided through an opening 23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work unit 20. It is installed on the seabed while descending underwater.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23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23a) for maintaining the watertight state.

이러한 제2작업유닛(20)은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에 겹치게 마련되며, 파이프연결작업 수행시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1작업유닛(10)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20)이 수중으로 이동하여 제2작업유닛(20)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도록, 선체(1a)에는 수중과 연결되는 문풀(Moon pool)(30)이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work unit 20 is provide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10, and moves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10 when performing the pipe connection work. Here, the door work connected to the water in the hull (1a) so that the second working unit 20 overlapping the inside of the first working unit 10 is moved to the water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working unit 20 is locked. pool 30 may be provided.

이때, 제2작업유닛(20)은 적어도 일부가 수중으로 잠기도록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부터 일정거리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일정거리 하방으로 이동한 제2작업유닛(20)의 후단부는 제1작업유닛(10)의 하단부에 일부 겹쳐진 상태에서 정지된다. 이는, 해저 파이프라인(40) 설치작업이 완료되어 다시 제2작업유닛(20)을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 겹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second work unit 20 may be moved downward from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10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work unit is locked underwater. Then, the rear end of the second work unit 20 moved downward by a certain distance is stopped in a state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work unit 10. This is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subsea pipeline 40 and to move the second work unit 20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10 again.

이러한 제2작업유닛(20)의 이동을 위해, 제1작업유닛(10)은 피니언 형태의 구동휠(15)을 포함하고, 제2작업유닛(20)은 구동휠(15)과 맞물리는 래크 형태의 레일(25)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제2작업유닛(20)이 구동휠(15)을 포함하고, 제1작업유닛(10)이 레일(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작업유닛(20)은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거나,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에 겹치도록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제2작업유닛(20)은 유압피스톤 방식 또는 와이어를 이용한 도르레 방식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order to move the second work unit 20, the first work unit 10 includes a drive wheel 15 in the form of a pinion, and the second work unit 20 is engaged with the drive wheel 15. It may include a rail 25 in the form.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work unit 20 may include a driving wheel 15, and the first work unit 10 may include a rail 25. Through this, the second work unit 20 may move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10 or move upwar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10.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for example, the second work unit 20 may be implemented to be moved up and down by a hydraulic piston method or a pulley method using a wire.

또한, 상술한 제2작업유닛(20)은 다른 실시 예에서 적어도 일부가 수중으로 잠기도록 제1작업유닛(10)으로부터 선체 저면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승강제어부가 생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work unit 20 described above may be fixed in a form extending from the first work unit 10 to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of the hull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work unit 20 is underwater.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lifting control unit may be omitted.

한편, 제1작업유닛(10)에 의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고, 제2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해당 파이프라인(40)을 해저에 설치하기 위해, 상술한 제2작업유닛(20)은 제2작업스테이션(22) 및 지지클램프(24)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second pipe connect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pipe connecting surface on which the first pipe connec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first work unit 10, and the corresponding pipeline 40 on which the second pipe connecting operation is performed is placed on the seabed. For installation, the above-mentioned second work unit 20 comprises a second work station 22 and a support clamp 24.

제2작업스테이션(22)은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한다. 제2작업스테이션(22)은 제2작업유닛(20)의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작업스테이션(22)은 제2파이프연결작업으로서 예컨대, 상술한 제1작업스테이션(12)에서 수행된 제1용접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제2용접작업 및 용접검사와 코팅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work station 22 performs a second pipe connecting operation on the pipe connecting surface on which the first pipe connect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second work station 22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work unit 20. The second work station 22 is a facility for performing second welding work, welding inspection and coating work except for the first welding work performed at the first work station 12 as the second pipe connection work. Can include them.

따라서, 종래에 하나의 작업스테이션에서 수행되었던 파이프연결작업(복수의 용접작업, 용접검사 및 코팅작업 등)이 제1작업유닛(10)과 제2작업유닛(20)의 작업스테이션에서 분할 수행되므로, 파이프연결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ipe connection work (plural welding work, welding inspection and coating work, etc.),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performed at one work station, is dividedly performed at the work stations of the first work unit 10 and the second work unit 20. In addition, the productivity of pipe connection work can be improved.

지지클램프(24)는 제1작업유닛(10)과 제2작업유닛(20)에서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파이프(라인)를 지지한다. 예컨대, 제1작업유닛(10)에 마련된 상술한 텐셔너(14)가 제1작업스테이션(12)으로 파이프를 이동시키면, 제1작업스테이션(12)은 지지클램프(24)에 의해 지지되는 기 이송된 파이프(42)와 텐셔너(14)에 의해 지지되는 신규 파이프(41)에 대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클램프(24)는 다양한 직경을 가진 파이프에 적용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상술한 텐셔너(14)와 함께 다양한 직경을 가진 파이프의 연결작업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The support clamp 24 supports the pipe (line) so that each pipe connection work is stably performed in the first work unit 10 and the second work unit 20. For example, when the above-mentioned tensioner 14 provided in the first work unit 10 moves the pipe to the first work station 12, the first work station 12 is transferred to the machine supported by the support clamp 24. The first pipe connecting operation is stably performed for the new pipe 41 supported by the pipe 42 and the tensioner 14. The support clamp 24 may be manufactured to be applicable to pipes having various diamet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the connection work of pipes having various diameters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tensioner 14 which is movable.

승강제어부는 제1작업유닛(10)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2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방으로 이동된 제2작업유닛(20)을 제1작업유닛(10) 내측에 겹치게 원위치시킨다. 승강제어부는 설치위치가 한정되지 않으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The lifting control unit moves the second work unit 20 provide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10 downward, or overlaps the second work unit 20 moved downward to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10. Replace it. The elevating control un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ecause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not limited.

여기서, 승강제어부는 제1작업유닛(10) 및 제2작업유닛(20)에 의해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이동정보 및 외부로부터 수신한 제어명령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1작업유닛(10)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20)을 제1작업유닛(10)의 중심축(X’)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Here, the elevat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preset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perform each pipe connection operation by the first work unit 10 and the second work unit 20 The second work unit 20 provide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unit 10 may be moved downward along the central axis X ′ of the first work unit 10.

또한, 승강제어부는 제1작업유닛(10) 및 제2작업유닛(20)에 의해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이 완료되면(즉, 해저 파이프라인(40) 설치작업이 완료된 경우), 미리 설정된 이동정보 및 외부로부터 수신한 제어명령 중 하나 이상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 제2작업유닛(20)이 제1작업유닛(10) 내측에 겹치게 원위치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control unit when each pipe connection work is completed by the first work unit 10 and the second work unit 20 (that is,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subsea pipeline 40 is completed), the predetermined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second work unit 20 moved downwar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ontrol commands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move upward so that the second work unit 20 overlaps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10.

예컨대, 제2작업유닛(20)의 이동을 위해 상술한 래크와 피니언 방식을 사용할 경우, 승강제어부는 제1작업유닛(10)에 마련된 구동휠(15)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구동시켜 제2작업유닛(20)을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ack and pinion method described above is used for the movement of the second work unit 20, the lift control unit drives the driving wheel 15 provided in the first work unit 10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to perform the second work unit 20. The work unit 20 can be moved downward or upward.

한편, 상술한 내용에서는 제1작업유닛(10) 및 제2작업유닛(20)이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 수행하는 작업유닛은 3개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작업유닛이 서로 겹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승강제어부는 겹치게 마련된 각각의 작업유닛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방으로 이동된 각각의 작업유닛을 서로 겹치게 원위치시키게 된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work unit 10 and the second work unit 20 have been described by dividing the pipe connection work as an example, but this is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ree or more work units for dividing the pipe connection work may be provided, and each work unit may be provid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is case, the above-mentioned lifting control part moves each work unit provided overlapping downwards, or makes each work unit moved downwards overlap one another.

이하, 도 2와 도 3을 기초로 파이프 설치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해저에 파이프라인(40)을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installing the pipeline 40 on the sea floor using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2 and 3.

제1작업유닛(10) 및 제2작업유닛(20)에 의해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승강제어부가 제1작업유닛(10)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제2작업유닛(20)을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킨다. 제2작업유닛(20)은 래크와 피니언 방식, 유압피스톤 방식 또는 와이어를 이용한 도르레 방식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In order to perform the respective pipe connection work by the first work unit 10 and the second work unit 20, the lifting control part is provided with the second work unit 20 provide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10 downward. Move a certain distance. The second work unit 20 may be moved by a rack and pinion method, a hydraulic piston method or a pulley method using a wire.

다음으로,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 파이프가 이송되면, 제1작업유닛(10)이 각각의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한다.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 파이프를 이송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서 후술한다. 예컨대 제1작업유닛(10)은 제1파이프연결작업으로서 상술한 제1용접작업을 해당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수행한다.Next, when the pipe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10, the first work unit 10 performs a first pipe connection operation for each pipe connecting surface. A method of transferring the pipe to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or example, the first work unit 10 performs the aforementioned first welding operation on the pipe connecting surface as the first pipe connecting operation.

다음으로, 제1작업유닛(10)이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을 제2작업유닛(20)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제1작업유닛(10)에 마련된 텐셔너(14)가 각 파이프를 일정속도로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first working unit 10 moves the pipe connecting surface on which the first pipe connect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the second working unit 20. This may be achieved by a process in which the tensioner 14 provided in the first work unit 10 moves each pipe downward at a constant speed.

다음으로, 제2작업유닛(20)이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제2작업유닛(20)은 복수의 용접작업 중 제1작업유닛(10)에 의해 수행된 제1용접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제2용접작업 및 용접검사와 코팅작업을 해당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수행한다.Next, the second work unit 20 performs a second pipe connection operation on the pipe connection surface. At this time, the second work unit 20 performs the second welding work, welding inspection and coating work except for the first welding work performed by the first work unit 10 among the plurality of welding work on the pipe connection surface. To perform.

다음으로, 제2작업유닛(20)이 제2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라인(40)을 해저에 설치한다. 이는 제1작업유닛(10)에 마련된 텐셔너(14)가 각 파이프를 일정속도로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Next, the second work unit 20 installs the pipeline 40 on which the second pipe connection work is performed on the seabed. This may be achieved by a process in which the tensioner 14 provided in the first work unit 10 moves each pipe downward at a constant speed.

이후, 승강제어부는 해저 파이프라인(40)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 제2작업유닛(20)을 원위치시킨다.After that, the lifting control unit returns the second working unit 20 to the inside of the first working unit 10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subsea pipeline 40 is completed.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에 적재된 파이프를 세워 제1작업유닛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다.4 and 5 illustrate a process of moving the pipe mounted on the hu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ving it inside the first work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작업유닛(20)이 제1작업유닛(10)의 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면, 제1작업유닛(10)으로 각각의 파이프가 이송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work unit 20 moves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10, each pipe is transferred to the first work unit 10.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렉터(4)는 선체(1a) 상부에 적재된 파이프 중 이송지지부(6)로 이동된 각각의 파이프를 세워 제1작업유닛(10)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일렉터(4)는 제1작업유닛(10)의 작업스테이션 상단에 마련된 입구(17)에 파이프를 정렬시킨다. 여기서, 제1작업유닛(10)에 마련된 텐셔너(14)가 해당 파이프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일정속도로 파이프가 제1작업유닛(10)의 작업스테이션으로 하강되도록 한다. 1, 4 and 5, the collector 4 stands up each pipe moved to the transfer support 6 among the pipes mounted on the hull 1a and moves to the first work unit 10. Let's do it. Then, the collector 4 aligns the pipe to the inlet 17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work station of the first work unit 10. Here, the tensioner 14 provided in the first work unit 10 supports the weight of the pipe so that the pipe descends to the work station of the first work unit 10 at a constant speed.

이러한 일렉터(4)는 파이프를 홀딩하기 위한 핸드부(4a)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다. 핸드부(4a)는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파이프를 홀딩한 상태에서 제1작업유닛(10) 상단의 입구(17)에 파이프를 정렬시켜 놓는다. 텐셔너(14)와 핸드부(4a)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되며, 텐셔너(14)는 액추에이터 등에 의해 밀려나와 입구(17)에 정렬된 파이프를 지지하면서 일정속도로 파이프를 제1작업유닛(10)의 작업스테이션으로 하강시키게 된다.This collector 4 has at least one hand portion 4a for holding the pipe. The hand part 4a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pipe is aligned with the inlet 17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work unit 10 while the pipe is held. The tensioner 14 and the hand portion 4a are provid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the tensioner 14 is pushed out by an actuator or the like to support the pipe aligned with the inlet 17, and the pipe is operated at a constant speed by the first work unit 10. Will descend into the workstation.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foregoing has shown and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possible.

1: 파이프 설치선 4: 일렉터
10: 제1작업유닛 12: 제1작업스테이션
14: 텐셔너 16: 텐셔너 이동부
20: 제2작업유닛 22: 제2작업스테이션
24: 지지클램프 100: 파이프 설치 시스템
1: pipe installation line 4: collector
10: first working unit 12: first working station
14: tensioner 16: tensioner moving part
20: second working unit 22: second working station
24: support clamp 100: pipe mounting system

Claims (9)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선체 상부에 마련되며, 각각의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1작업유닛;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에 겹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작업유닛에 의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2작업유닛; 및
상기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마련된 상기 제2작업유닛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방으로 이동된 상기 제2작업유닛을 상기 제1작업유닛 내측에 겹치게 원위치시키는 승강제어부;
를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
In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for installing the pipeline on the sea floor,
A first work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ull and performing a first pipe connection operation on each pipe connection surface;
A second working unit provide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first working unit and performing a second pipe connecting operation to the pipe connecting surface on which the first pipe connec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first working unit; And
An elevating control unit for moving the second work unit provide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downward or repositioning the second work unit moved downwar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first work unit;
Pipe installat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업유닛은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면과 상기 제2작업유닛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마련되며, 파이프의 하중을 지지하여 파이프가 일정한 속도로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텐셔너를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work unit
And a tensioner provided in an area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work unit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work unit, the tensioner supporting a load of the pipe to move the pipe downward at a constant spe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업유닛은
상기 제2작업유닛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면과 상기 제2작업유닛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마련에 마련된 상기 텐셔너를 상기 제1작업유닛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작업유닛의 중심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텐셔너를 상기 제1작업유닛의 내측면과 상기 제2작업유닛의 외측면 사이의 영역에 원위치시키는 텐셔너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work unit
When the second work unit is moved downward, the tensioner provided in the area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work unit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work unit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irst work unit. Or a tensioner moving unit for returning the tensioner move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first work unit to an area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work unit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ork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업유닛 및 상기 제2작업유닛에서 수행되는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은 복수의 용접작업, 용접검사 및 코팅작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작업유닛 및 상기 제2작업유닛에는 상기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하여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작업스테이션이 마련된 파이프 설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Each pipe connection work performed in the first work unit and the second work unit includes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welding work, welding inspection and coating work, and the first work unit and the second work unit include: Pipe installation system with each work station for dividing pipe 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업유닛은
상기 제1작업유닛과 상기 제2작업유닛에서 각각의 파이프연결작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클램프를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work unit
And a support clamp supporting the pipe so that each pipe connection work is stably performed in the first work unit and the second work unit.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선체 상부에 마련되며, 각각의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1작업유닛;
상기 제1작업유닛으로부터 선체 저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작업유닛에 의해 제1파이프연결작업이 수행된 파이프 연결면에 대해 제2파이프연결작업을 수행하는 제2작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작업유닛 및 상기 제2작업유닛은 상기 파이프연결작업을 분할하여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작업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
In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for installing the pipeline on the sea floor,
A first work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ull and performing a first pipe connection operation on each pipe connection surface;
And a second work unit extending from the first work unit below the bottom of the hull and performing a second pipe connection work on the pipe connection surface on which the first pipe connection work is performed by the first work unit. ,
And said first working unit and said second working unit comprise respective working stations for dividing and performing said pipe connecting wor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스테이션은
복수의 용접작업, 용접검사 및 코팅작업 중 하나 이상을 분할하여 수행하기 위한 설비를 각각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workstation is
A pipe installation system each comprising a facility for dividing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welding operations, welding inspection and coating operation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Pipe installation ship provided with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of any one of Claims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이용하여 파이프라인을 해저에 J-lay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설치선.
9. The method of claim 8,
Pipe installat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to install the pipeline on the sea floor by the J-lay method using the pipe installation system.
KR1020120018761A 2012-02-24 2012-02-24 Pipe laying system, and pipe laying ship having the same KR1013352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61A KR101335251B1 (en) 2012-02-24 2012-02-24 Pipe laying system, and pipe laying ship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61A KR101335251B1 (en) 2012-02-24 2012-02-24 Pipe laying system, and pipe laying ship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259A true KR20130097259A (en) 2013-09-03
KR101335251B1 KR101335251B1 (en) 2013-12-03

Family

ID=4944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761A KR101335251B1 (en) 2012-02-24 2012-02-24 Pipe laying system, and pipe laying ship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25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839B1 (en) * 2014-02-07 2015-03-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Drill ship
KR20160118224A (en) * 2013-12-02 2016-10-11 오션플로어 비.브이. Device for launching a subsurface mining vehicle into a water mass and recovering the same from the water mas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6352B2 (en) * 2007-02-13 2013-02-05 Sbm Atlantia, Inc. System usable with a pipe laying vess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224A (en) * 2013-12-02 2016-10-11 오션플로어 비.브이. Device for launching a subsurface mining vehicle into a water mass and recovering the same from the water mass
KR101506839B1 (en) * 2014-02-07 2015-03-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Drill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251B1 (en) 201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5050B1 (en) Marine pipeline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s
US10393288B2 (en) Marine reel lay method pipeline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s
US10125895B2 (en) Marine pipeline installation vessel and method
AU2008233376B2 (en) Pipeline laying vessel and method of laying a pipeline
CN105042184A (en) Light double-node pipeline J-shaped laying system
KR101335251B1 (en) Pipe laying system, and pipe laying ship having the same
KR20140028865A (en) Drill pipe transportation method for drilling
US20110286801A1 (en) J-lay system with dual loading capability
CN105333226A (en) Laying device of deepwater J-shaped pipe laying ship
EP3289263B1 (en) Marine reel lay method pipeline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s
US8870495B2 (en) Vessel and method for laying a pipeline
CN106461121B (en) Pipe installation system for J-pipe laying, offshore pipelaying system and method of treating a pipe or fitting
KR101368673B1 (en) Pipe providing apparatus, pipe laying ship, pipe providing system and pipe lay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358145B1 (en) Pipe laying system and pipe laying ship having the same
WO2019117712A9 (en) Marine j-lay pipelaying system and method
EP3224517B1 (en) Marine pipelaying system and method for lowering and/ or raising an offshore pipeline and including one or more accessories thereto
CN205001657U (en) Light -duty binode pipeline J type system of laying
KR20150010290A (en) Method for mounting a pipeline of Offshore Platforms
KR101503275B1 (en) Subsea Christmas Tree Transporting System and Transporting Method
KR101399856B1 (en) Structure used for pipe laying in subsea
EP3485188B1 (en) Installation pallet
KR101412491B1 (en) Structure used for pipe laying in subsea
KR20140024570A (en) Hand rail preceding installation method for block of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