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657A - Damp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door - Google Patents

Damp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657A
KR20130096657A KR1020130017464A KR20130017464A KR20130096657A KR 20130096657 A KR20130096657 A KR 20130096657A KR 1020130017464 A KR1020130017464 A KR 1020130017464A KR 20130017464 A KR20130017464 A KR 20130017464A KR 20130096657 A KR20130096657 A KR 20130096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apturing
capture
cap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2983B1 (en
Inventor
쇼헤이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ublication of KR20130096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6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9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PURPOSE: A buffer device for an openable door is provided to reduce vibration due to the capture motion of a capture member and a non-capture member and reduce coupling and uncoupling noise. CONSTITUTION: A buffer device for an openable door comprises a closing side non-capture member, an opening side non-capture member, and a capture lead-in device (20). The closing and opening side non-capture members are separately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a guiderail. The capture lead-in device drives the upper part of the guide rail in a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capture lead-in device comprises a first catch part (100), a second catch part (150), and a lead-in part (200). The first catch part captures the protrusion of the closing side non-capture member. The second catch part captures the opening side non-capture member. The lead-in part leads in the catch parts to the central sid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guiderail. [Reference numerals] (AA) Front side; (BB) Rear side

Description

개폐체 완충 장치{DAMP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DOOR}Switch body shock absorber {DAMP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나 서랍 등의 개폐체를, 열림 시에 강제적으로 완만하게 열림시키는 한편, 닫힘 시에 강제적으로 완만하게 닫힘할 수 있는 개폐체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that can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bodies such as sliding doors and drawers forcibly gently at the time of opening, while being forcibly closed at the closing.

종래의 개폐체 완충 장치는 예를 들면, 건물 측의 미닫이문 레일에 장착되어, 이 미닫이문 레일의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양쪽 모두에 각각 배치된 2개의 피포착부재와, 미닫이 측에 장착되어, 피포착부재를 포착하여 미닫이문을 열림 방향 또는 닫힘 방향으로 인입하기 위한 포착인입기구(捕捉引入機構)를 구비하고 있다. 이 포착인입기구는 미닫이문 레일의 긴 방향으로서, 미닫이문의 개폐 방향으로 연재 (延在)되어 있고, 그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각각의 단부(端部)에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포착부재(후크(hook))가 설치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switchgear shock absorber is mounted on, for example, a sliding door rail on the building side, and is mounted on two sliding members disposed on both the open side and the closed side of the sliding door rail, and on the sliding side. And a capturing and retracting mechanism for capturing the member to be caught and for pulling the sliding door in the open direction or the close direction. The capturing entry mechanism i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door rail, which extends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sliding door, and at each end of the opening side and the closing side, the shaft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al shaft. A supported capture member (hook) is provided.

이러한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포착부재는 포착인입기구의 내부에서 개폐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포착부재는 스프링에 의하여 개폐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스프링의 스프링 힘에 의하여 서로 당기도록 되어 있다.The capturing members on the open side and on the close side are slidably mov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respectively, in the capturing insertion mechanism. Further, the catching members on the open side and the close side are connect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by a spring, and are pulled together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또한,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포착부재는 서로 당기는 스프링 힘을 완충하기 위한 댐퍼(damper)에 의하여 개폐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apturing member on the open side and the close side is connect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by a damper for buffering the spring force pulling each other.

닫힘 측의 포착부재는 닫힘 측의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 포착전 상태(포착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닫힘 측의 포착부재는 포착인입기구의 본체부(케이싱)에 로크(lock)(걸림 고정)되어 있고, 개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 로크된 상태로부터, 미닫이문이 소정의 위치까지 닫혀지면, 닫힘 측의 피포착부재와 닫힘 측의 포착부재가 맞닿아, 포착부재가 회동된다. 이 때, 포착부재와 본체부와의 로크가 해제되어 포착부재가 개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됨과 함께, 닫힘 측의 포착부재가 닫힘 측의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게 된다.The capturing member on the closing side is for capturing the capturing member on the closing side. In this pre-captured state (captured release state), the capturing member on the closed side is locked (locked) to the main body portion (casing) of the capturing insertion mechanism, so that it cannot mov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From this locked state, when the sliding door is clos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captured member on the closing side and the capturing member on the closing side abut, and the capturing member is rotated. At this time, the lock between the capturing member and the main body is released to enable the capturing member to mov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nd the capturing member on the closing side captures the capturing member on the closing side.

한편, 열림 측의 포착부재는 열림 측의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열림 측의 포착부재 및 피포착부재도 닫힘 측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고, 미닫이문이 소정의 위치까지 열리면, 열림 측의 포착부재가 회동되어, 로크가 해제되어 포착부재가 개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됨과 함께, 열림 측의 포착부재가 열림 측의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pture member on the open side is for capturing the captured member on the open side. The capturing member and the capturing member on the open side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losing side, and when the sliding door is open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capturing member on the open side is rotated, the lock is released, and the capturing member can mov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In addition, the capture member on the open side captures the captured member on the open side.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개폐체 완충 장치에서는, 미닫이문이 닫힘 측 및 열림 측의 어느 소정 위치까지 이르지 않아,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포착부재가 어느 피포착부재도 포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어느 쪽의 포착부재도 포착인입기구의 본체부에 로크되어, 어느 쪽의 포착부재도 개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In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sliding door does not reach any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losing side and the opening side, either of the capturing members in the state where the capturing members on the opening side and the closing side do not capture any captured member. The member is also locked to the main body of the capturing insertion mechanism so that neither capturing member can mov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한편, 미닫이문이 닫힘 측의 소정의 위치까지 닫혀져 닫힘 측의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할 때에는, 닫힘 측의 포착부재의 로크는 해제되지만, 열림 측의 포착부재는 포착인입기구의 본체부에 로크되어 있으므로, 스프링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하여, 포착된 닫힘 측의 피포착부재가 열림 측으로 끌어당기도록 된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은 그 닫힘 시에 강제적으로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liding door is clos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losing side and the capturing member on the closing side picks up the captured member, the locking of the capturing member on the closing side is released, but the capturing member on the open side is the main body of the capturing retracting mechanism. Locked, the captured member on the closed side is pulled to the open side by the pushing force of the spring. As a result, the sliding door is forcibly moved in the closing direction at the time of its closing.

반대로, 미닫이문이 열림 측의 소정의 위치까지 열려 열림 측의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하였을 때에는, 열림 측의 포착부재의 로크는 해제되지만, 닫힘 측의 포착부재는 포착인입기구의 본체부에 로크되어 있으므로, 스프링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하여, 포착된 열림 측의 피포착부재가 닫힘 측으로 끌어당기도록 된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은 그 열림 시에 강제적으로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liding door is open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pen side and the capture member on the open side has captured the captured member, the lock on the capture member on the open side is released, but the capture member on the closed side is the main body of the capture retracting mechanism. Locked, the captured member on the opened side is attracted to the closed side by the pushing force of the spring. As a result, the sliding door is forcibly moved in the opening direction at the time of its opening.

또한, 미닫이문의 열림 시 또는 닫힘 시는 상술한 댐퍼가 스프링의 밀어붙이는 힘을 완충하므로, 미닫이문은 완만하게 개폐하게 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In addition, when the sliding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damper described above buffers the pushing force of the spring, so that the sliding door is opened and closed smoothly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일본특허공개 2009-127293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9-127293

상술한 개폐체 완충 장치에서는, 미닫이문이 미닫이문 레일 위를 주행할 때에, 닫힘 측 또는 열림 측 중 어느 하나의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또는 포착 해제한다. 이 포착 또는 포착 해제하는 동작은 포착부재와 피포착부재가 맞닿아, 포착부재가 회동하면서 피포착부재와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하는 것에 의하여 행해진다. 즉, 포착부재와 피포착부재는 이 소정 위치에서의 미닫이문의 개폐력을 그대로 받아, 그 개폐력에 의하여 회동하여 피포착부재와 강제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한다. 또한, 이 포착부재가 회동하는 속도는 이 소정 위치에서 미닫이문을 개폐시키는 속도와 거의 같은 속도로 된다.In the above-mentioned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when the sliding door runs on the sliding door rail, the capturing member on either the closing side or the open side captures or releases the captured member. The capturing or releas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bringing the captur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capturing member and engaging or releasing the capturing member while the capturing member rotates. That is, the capturing member and the capturing member receive the opening / closing force of the sliding door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as it is, and rotate by the opening / closing force to forcibly engage or decouple the capturing member. In addition, the speed at which the capturing member rotates is almost the same as the speed at which the sliding door is opened and closed at this predetermined position.

그 때문에, 미닫이문을 힘차게 개폐시키려고 한 경우에는,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할 때, 포착부재가 빠른 속도로 회동하여 버려, 포착부재와 피포착부재가 강하게 맞닿는다. 그 때문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시에 큰 충격이 발생하여 버린다. 이 충격은 포착인입기구 전체에 진동을 일으키게 하고, 예를 들면, 열림 측의 포착 동작에 의한 진동이 닫힘 측의 포착부재에 전해져, 닫힘 측의 포착부재가 회동하여 로크가 빠져 버리는 등의 오동작이 생기는 일이 있었다.Therefore, when trying to open and close the sliding door vigorously, when engaging or releasing the sliding door, the capturing member rotates at a high speed, and the capturing member and the capturing member strongly contact each other. Therefore, a big shock occurs at the time of engagement or decoupling. This shock causes the entire trapping mechanism to vibrate. For example, a vibration caused by the capturing operation on the open side is transmitted to the capturing member on the closing side, and a malfunction such as the locking of the capturing member on the closing side swings out. It happened.

그 반대로, 닫힘 측의 포착 동작에 의한 진동이 열림 측의 포착부재의 오동작을 유인하기도 하였다On the contrary, the vibration by the capturing action on the closing side sometimes induced the malfunction of the capturing member on the open side.

또한, 미닫이문을 힘차게 개폐시킨 경우, 스프링이 포착부재를 끌어들이는 속도보다 댐퍼가 축장(縮長)하는 속도가 빨라지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스프링은 미닫이문의 개폐 속도에 추종하지 못하여 밀어붙이는 힘(인장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스프링 힘에 의하여 로크되어 있던 포착부재가 자중(自重)으로 회동하여 버려, 인입 동작중에 포착 동작이 해제되어 버릴 우려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sliding door is opened and closed vigorously, the speed at which the damper is elongated may be fast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spring draws the capture member. In this case, the spring cannot follow the opening / closing speed of the sliding door and thus cannot exert the pushing force (tensile force).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apturing member locked by the spring force rotates at its own weight and the capturing operation is released during the pulling operation.

또한, 미닫이문을 힘차게 개폐시키려고 한 경우에는, 포착부재가 빠른 속도로 회동하고, 포착부재와 피포착부재가 힘차게 결합 혹은 결합 해제하게 되어, 결합음 혹은 결합 해제음이 발생하여 버린다. 이러한 소리는 특히, 조용한 가정의 거실 등에서 귀에 거슬리는 소리로 들리게 되는 일이 있다.In addition, when trying to open and close the sliding door vigorously, the capturing member rotates at a high speed, and the capturing member and the capturing member are forcibly engaged or decoupled, resulting in a coupling sound or a decoupling sound. Such sounds may be heard as annoying sounds, especially in the living room of a quiet home.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피포착부재와 포착부재와의 포착 동작에 의한 진동을 작게 하고, 또한 결합음 혹은 결합 해제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개폐체 완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opening / closing shock absorber which can reduce vibration caused by the capturing operation between the captured member and the capturing member, and further reduce the coupling sound or the decoupling sound. It is to provide.

상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폐체 또는 상기 개폐체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의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각각에 설치된 피포착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기 개폐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포착인입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닫힘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있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포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이 로크되는 제1 캐치부(catch portion)와, 열림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있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포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이 로크되는 제2 캐치부와, 상기 제1 캐치부 및 상기 제2 캐치부를 개폐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캐치부가 닫힘 측의 상기 포착부재를 포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1 캐치부를 상기 제2 캐치부 측으로 인입하고, 상기 제2 캐치부가 열림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2 캐치부를 상기 제1 캐치부 측으로 인입하는 제1 탄성체와, 상기 제1 탄성체가 상기 제1 캐치부 또는 상기 제2 캐치부를 입입하는 힘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한 개폐체 완충 장치로서, 상기 제1 캐치부 및 제2 캐치부는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부재, 및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하여 상기 피포착부재와 맞닿아 압압됨으로써 상기 포착부재를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을 각각 갖고,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할 때에, 상기 피포착부재에 대하여 상기 맞닿음 블록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subject, this invention is a trapped member provided in each of the opening side and the closing side of any one of the opening | closing body or the fixing member which can guide the said opening-and-closing movement, and among the said fixing member or the said opening-closing body. And a trapping and retracting mechanism, which is attached to any one and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wherein the capturing and retract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when the captured member on the closing side is captured and is not captured. When the first catch portion in which the movement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is locked and the capturing member on the open side is captured, the movable member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The second catch portion that is locked, the first catch portion and the second catch portion are connect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so that the first catch portion When the first catching part is captured, the first catching part is led to the second catching part side, and when the second catching part catches the captured member on the open side, the second catching part is brought to the first catching part side. An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having a first elastic body to be introduced and a buffer member for cushioning a force for the first elastic body to enter the first catch portion or the second catch portion, the first catch portion and the second catch The contacting member is pressed against the captured member by the capturing member for capturing the capturing member and the opening / closing force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long the fixing member to linearly move the capturing member so that the capturing member is moved. Each having a contact block for capturing and configured to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block is pressed against the captured member when the captured member is captured. That is characterized.

이 구성에 의하면, 개폐체를 힘차게 개폐하였더라도, 맞닿음 블록이 이동하여 제1 캐치부(또는 제2 캐치부)에서의 충격이 작게 억제되게 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even if the opening / closing body is opened and closed vigorously, the contact block moves and the impact at the first catch portion (or the second catch portion) is suppressed small.

또한, 상기 피포착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포착인입기구가 상기 개폐체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The captured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fixing member, and the capture and pulling mechanism may be attach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이 구성에 의하면, 개폐체의 구조에 맞추어, 장착하기 쉬운 쪽에 포착인입기구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capture | acquisition insertion mechanism can be comprised in the side which is easy to moun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a switching body.

또한,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개폐체를 개폐시키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The capturing member is moved at a speed slow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is opened and closed.

이 구성에 의하면, 포착부재가 이동하는 기세를 누그려 뜨려, 포착부재를 천천히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can depress the momentum which a capture member moves, and can move a capture member slowly.

또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따라 상기 포착부재 및 상기 맞닿음 블록을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The capturing insertion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 link mechanism for linearly sliding the capturing member and the abutment block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force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along the fixing member.

이 구성에 의하면, 포착부재를 회동하지 않고,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a to-be-acquired member is captured as a slide moves, without rotating a capture | acquisition member.

또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포착부재에 장착된 링크 핀과, 상기 링크 핀이 삽입 통과되는 유도(誘導)구멍을 갖고, 상기 유도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내포(內包)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맞닿음 블록에는 상기 링크 핀이 삽입 통과되는 경사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피포착부재에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경사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맞닿음 블록이 상기 내포 블록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the link mechanism has a link pin mounted to the capturing member, and a guide block through which the link pin is inserted, and an inner block for moving the capturing member up and down along the guide hole. And the abutment block, wherein the abutment block is formed with an inclined hole through which the link pin is inserted, and when the pressing member is pressed by the captured member, the capturing member mov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long the inclined hole. In addition, the contact block may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containment block.

이 구성에 의하면, 링크기구에 의하여, 포착부재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맞닿음 블록이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ntact block moves back and forth while the capture member moves up and down by the link mechanism.

또한, 상기 링크기구에는 상기 내포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 사이에, 개폐 방향으로 축장하는 제2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Further, the link mechanism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elastic body that is arrang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between the inner block and the abutting block.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탄성체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맞닿음 블록의 이동을 완충하고, 또한 복귀 동작을 촉진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movement of the contact block which the 2nd elastic body moves to the front-back direction is buffered, and the return operation | movement is promoted.

또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포착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착 해제하였을 때에, 상기 제1 탄성체의 밀어붙이는 힘을 유지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 lock mechanism that holds the push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when the capture member is slid and moved to release the capture member.

이 구성에 의하면, 한쪽 측의 포착부재 측에, 다른 한쪽 측의 포착부재를 인입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capture member of the other side can be led in to the capture member side of the one side.

또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동작하도록 하여도 좋다.The locking mechanism may be operated by moving the captur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구성에 의하면, 포착부재의 상하 이동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로크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ocking mechanism can be simply configured by us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apture member.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완충 장치에서는, 상기 제1 캐치부 및 제2 캐치부는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부재, 및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하여 상기 피포착부재와 맞닿아 압압됨으로써 상기 포착부재를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을 각각 갖고,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할 때에, 상기 피포착부재에 대하여 상기 맞닿음 블록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폐체를 힘차게 개폐하였더라도, 맞닿음 블록이 이동하여 제1 캐치부(또는 제2 캐치부)에서의 충격이 작게 억제된다. 그 때문에, 포착 동작에 의한 진동이 전달되는 제2 캐치부(또는 제1 캐치부)에서, 그 전달되는 진동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진동이 전달되는 제2 캐치부(또는 제1 캐치부)에서, 진동에 의한 오동작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다.In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tching portion and the second catching portion are caught by the catching member for catching the captured member, and by the opening and closing force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long the fixing member. Each contact block has a contact block for linearly moving the capturing member to catch the capturing member by being pressed against the member, and the contact block is pressed against the capturing member when capturing the capturing member. Since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move to a direction, even if an opening / closing body is opened and closed vigorously, the contact block will move and the impact in a 1st catch part (or 2nd catch part) will be suppressed small. Therefore, in the 2nd catch part (or 1st catch part) to which the vibration by a capture operation is transmitted, the transmitted vibration can be made small. Therefore, in the second catch portion (or first catch portion) to which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lfunction caused by the vibration.

또한, 미닫이문을 힘차게 개폐시킨 경우로서, 제1 탄성체가 포착부재를 인입하는 속도보다 댐퍼가 축장하는 속도가 빠르게 되어, 제1 탄성체의 밀어붙이는 힘을 발휘할 수 없도록 되었더라도, 맞닿음 블록이 피포착부재에 압압되어 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한, 포착 동작이 해제될 일은 없다. 그 때문에, 포착 동작중에 이러한 오동작이 생기는 일이 없어, 신뢰성이 높은 개폐체 완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when the sliding door is opened and closed vigorously, even if the damper extends fast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first elastic body pulls in the capturing member, the contact block is captured even if the push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cannot be exerted. The capturing operation is not released as long as it is pressed by the member and moved in this pressing direction. Therefore, such a malfunction does not occur during the capturing operation, and a highly reliable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can be provided.

또한, 개폐체를 힘차게 개폐하였더라도, 맞닿음 블록이 이동하여 피포착부재에 맞닿는 기세를 완충함으로써, 포착시에 맞닿음 블록과 피포착부재가 접촉할 때의 결합음(충돌음)을 억제하여, 결합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is opened and closed vigorously, the contact block moves and buffers the force of contact with the member, thereby suppressing the coupling sound (collision) when the contact block and the member are contacted at the time of capture, The sound can be made smaller.

또한,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개폐체를 개폐시키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포착부재가 이동하는 기세를 누그려 뜨려, 포착부재를 천천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착시에 포착부재가 상한까지 이동하였을 때에, 링크 핀과 유도구멍의 상단부와의 충돌음을 억제하여, 동작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capturing member is moved at a speed slow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is opened and closed, the capturing member can be depressed to move the capturing member to move slowly. As a result, when the capturing member moves to the upper limit at the time of capturing, the collision sound between the link pin and the upper end of the guide hole can be suppressed and the operation sound can be made small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완충 장치를 구비한 미닫이 상부의 정면도로서, 미닫이문이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상태로부터 미닫이문을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 상태로부터 미닫이문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포착인입기구를 단체(單體)로 나타낸 것이며, 미닫이문이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도 1 상태)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포착인입기구를 단체로 나타낸 것이며, 미닫이문을 닫힌 상태(도 2 상태)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포착인입기구를 단체로 나타낸 것이며, 미닫이문을 연 상태(도 3 상태)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포착인입기구를 상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포착인입기구를 하측에서 본 분해 해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캐치부를 분해한 상태의 확대도이며, (a)는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우측에서 본 사시도, (b)는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캐치부를 뒤쪽 비스듬하게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매달림부와 인입부와의 장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인입부와 후측 가이드 롤러부와의 장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는 포착인입기구의 평면도, (b)는 포착인입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a)의 C-C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 캐치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후측 부분의 확대정면도, (b)는 X-X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캐치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후측 부분의 확대정면도, (b)는 Y-Y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2 캐치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후측 부분의 확대정면도, (b)는 Z-Z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2 캐치부의 단면도이며, (a)는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전 상태, (b)는 포착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of an upper sliding door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door is located in the middle.
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door is closed from the state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liding door is opened from the state of FIG. 1.
Fig. 4 is a unitary view of the capturing and pulling mechanism, and i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a state where the sliding door is located in the middle (Fig. 1 state).
Fig. 5 is a unitary view of the capturing and pulling mechanism, and i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a state where the sliding door is closed (Fig. 2 state).
Fig. 6 is a view showing the capturing and pulling mechanism as a unit, and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a sliding door is opened (Fig. 3 state).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as seen from above.
8 is an explod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as viewed from below.
9 is an enlarged view of a state where the first catch part is disassembled, (a)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ight side obliquely upward, and (b)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bottom obliquely leftward.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atch part viewed obliquely from the rear sid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mounting portion of the hanging portion and the lead por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expands and shows the attachment part of a lead part and a rear guide roller part.
Fig. 13A is a plan view of the trapping mechanism, and b is a front view of the trapping mechanism.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3A.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atch portion, (a)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rear portion, and (b) is a XX cross-sectional view.
FIG. 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atch portion, (a)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rear portion, and (b) is a YY cross-sectional view.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of a 2nd catch part, (a)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rear part, (b) is ZZ sectional drawing.
It is sectional drawing of a 2nd catch part, (a)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before a capture | acquisition member capture | acquires a to-be-acquired member, (b) shows the state after a capture | acquisi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는 개폐체 완충 장치(10)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체 완충 장치(10)를 미닫이문 장치에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switching body shock absorber 1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drawing. In addition, this embodiment demonstrates using the switching body shock absorber 10 for a sliding door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완충 장치(10)를 구비한 미닫이문(2)의 상부의 정면도로서, 미닫이문(2)이 개폐 방향(지면 좌우방향)에서의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포착인입기구(20)를 단체로 나타낸 것이며, 미닫이문(2)이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도 1의 상태)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포착인입기구(20)로서, 미닫이문(2)을 닫힌 상태(도 2의 상태)에 대응하는 사시도, 도 6은 미닫이문(2)을 연 상태(도 3의 상태)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sliding door 2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door 2 is located in the middl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plan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ll be. 2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sliding door 2 from the state of FIG. 1, and FIG. 3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sliding door 2 from the state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the state which capture | acquisition capture | acquisition mechanism 20 is unitary, and the state which the sliding door 2 is located in the middle (state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the state where the sliding door 2 is closed (the state of FIG. 2) as the capture | acquisition insertion mechanism 20, and FIG. 6 is the state which opened the sliding door 2 (the state of FIG. 3). A corresponding perspective view.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전측(전(前)방향)」이란, 도 1의 좌측(문 닫힘 측)을 말하는 것으로 하고, 「후측(후(後)방향)」이란, 도 1의 우측(문 열림 측)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하, 좌우」의 방향은 도 1의 개폐체 완충 장치(10)를 전측이 보았을 때의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front side (front direction)" use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shall mean the left side (door closing side) of FIG. 1, and "rear side (rear direction)" means the right side of FIG. We shall say (door open side).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up-down, left-right" shall mean the direction when the front side sees the switching body shock absorber 10 of FIG.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하는 「닫힘 시」란, 개폐체 완충 장치(10)가 닫힘 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는 위치로부터 미닫이문이 완전하게 닫힌 위치까지 이동할 때까지를 말한다. 그 반대로, 「열림 시」란, 개폐체 완충 장치(10)이 열림 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는 위치로부터 미닫이문이 완전하게 열린 상태로 될 때까지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losed time" used in this specification means until the sliding door moves from the position which catches the to-be-acquired member 11 of the closing side to a position where the sliding door is completely closed. On the contrary, "opening time" shall mean until the sliding door fully opens from the position which the opening-closing body shock absorber 10 captures the to-be-acquired member 11 of the opening side.

도 1∼도 3에 나타내는 미닫이 장치는 건물의 개구부의 상연부(上椽部)를 따라 전후방향(개폐 방향)으로 연재되는 가이드 레일(1)과, 이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개구부를 개폐하는 미닫이문(2)(개폐체)과, 미닫이문(2)의 열림 시 또는 닫힘 시에 제동하면서, 이 미닫이문(2)을 열림 위치 또는 닫힘 위치로 유도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10)로 구성되어 있다.The sliding device shown in FIGS. 1-3 is the guide rail 1 extend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opening-closing direction) along the upper edge part of the opening part of a building, and along this guide rail 1 in the front-back direction. Sliding door 2 (opening and closing body) which opens and closes an opening by moving, and opening / closing buffer which guides this sliding door 2 to an open position or a closed position while braking when the sliding door 2 is opened or closed. It consists of the apparatus 10.

개폐체 완충 장치(10)는 가이드 레일(1)의 전측에 배치된 닫힘 측의 피포착부재(11)와, 가이드 레일(1)의 후측에 배치된 열림 측의 피포착부재(11)와, 이 가이드 레일(1) 위를 전후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한 포착인입기구(20)로 구성되어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10 includes the capturing member 11 on the closing sid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rail 1, the capturing member 11 on the opening sid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guide rail 1, The guide rail 1 is constituted by a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that can travel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2개의 피포착부재(1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11a)를 갖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피포착부재(11)는 포착인입기구(20)의 구조에 맞추어, 전측 및 후측의 소정의 위치(미닫이문(2)을 개폐 방향으로 유도하는 위치)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wo to-be-acquired members 11 are formed in the concave shape which has the protrusion part 11a which protrudes toward the lower side. Such a member 11 is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position for guiding the sliding door 2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of the trapping mechanism 20.

포착인입기구(20)는 하측이 개구되는 단면 ㄷ자 형상의 가이드 레일(1)의 안쪽에 수용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1)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착인입기구(20)에는, 그 전측부와 후측부의 각각에 가이드 롤러(21)(도 1∼도 3에서, 전측에 4개, 후측에 2개)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 롤러(21)가 가이드 레일(1)의 전동면(轉動面)(1a) 위를 전동함으로써, 포착인입기구(20)가 가이드 레일(1)의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is housed inside the guide rail 1 having a cross-sectional c-shape in which the lower side is opened, and is mounted to be movabl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guide rail 1. More specifically,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is provided with guide rollers 21 (four in the front side and two in the rear side) in each of the front side part and the rear side part thereof. The guide roller 21 is driven on the raceway 1a of the guide rail 1, so that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can move free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

또한, 포착인입기구(20)의 전측 부분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매달림부(3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매달림부(300)에는, 미닫이문(2)의 상단(上端) 각부(角部)(도 1의 지면 왼쪽으로 비스듬한 위쪽의 각부)가 장착되어 있고, 미닫이문(2)의 전단(前端) 부분을 매다는 형태로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2)을 개폐 방향(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착인입기구(20)의 가이드 롤러(21)가 가이드 레일(1) 위를 전동하여, 미닫이문(2)이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개폐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ront part of the capture | acquisition drawing-in mechanism 20 is provided with the suspension part 300 mentioned later for details. The hanging part 300 is equipped with the upper end part of the sliding door 2 (the upper part obliquely to the left side of the page in Fig. 1), and the front end of the sliding door 2 is mounted. It is supported in the form of hanging parts. As a result, when the sliding door 2 is mov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guide roller 21 of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rolls on the guide rail 1, and the sliding door 2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Open and close smoothly.

또한, 포착인입기구(20)는 아니지만, 미닫이문(2)의 우측의 상단 각부에도 매달림부(5)가 장착되어 있다. 이 매달림부(5)는 미닫이문(2)의 후단(後端) 부분을 매다는 형태로 지지하고 있고, 미닫이문(2)은 가이드 레일(1)의 전동면(1a)을 전동 가능한 가이드 롤러(21)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개폐하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the capture | acquisition insertion mechanism 20, the suspension part 5 is attached also to the upper-angle corner part of the right side of the sliding door 2. As shown in FIG. The hanging portion 5 supports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liding door 2 in the form of hanging, and the sliding door 2 is a guide roller 21 which can roll the driving surface 1a of the guide rail 1. ), The opening and closing smooth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이 포착인입기구(20)에는, 도 1∼도 3 및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에 위치하는 제1 캐치부(100)와, 후측에 위치하는 제2 캐치부(1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캐치부(100)는 포착인입기구(20)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닫힘 시의 소정의 위치에서 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한다. 또한, 제2 캐치부(150)도 포착인입기구(20)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열림 시의 소정의 위치에서 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한다(포착 동작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As shown in FIGS. 1-3 and 4-6, the capture | acquisition drawing-in mechanism 20 has the 1st catch part 100 located in the front side, and the 2nd catch part 150 located in the rear side. It is installed. The first catch portion 100 is capable of sli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side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and captures the projection 11a of the front-side captured member 1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t the time of closing. do. In addition,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is also capable of sli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side the capturing insertion mechanism 20, so that the projection 11a of the rear-side captured member 11 is mov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t the time of opening. Acquisition (details of the captur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포착인입기구(2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2)이 개폐 방향에서의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가 2개의 피포착부재(11) 사이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 모두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하지 않고 있다. 즉, 이 상태에서는, 포착인입기구(20)는 기능하지 않는다(대기 상태). 이 대기 상태에서는, 제1 캐치부(100)는 포착인입기구(20)의 본체 측에 로크(상세한 사항은 후술함)된 상태에서 포착인입기구(20)의 전단 측에 위치하고, 제2 캐치부(150)도 로크된 상태에서 포착인입기구(20)의 후단 측에 위치한다(도 4 참조).As shown in FIG. 1, the capture | acquisition drawing-in mechanism 20 has the 1st catch part 100 and the 2nd catch part 150 in the state which the sliding door 2 is located in the middle of an opening-closing direction. It is located between the capture member (11). In this state, neither the first catch part 100 nor the second catch part 150 captures the projection part 11a of the to-be-collected member 11. In other words, in this state,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does not function (standby state). In this standby state, the first catch portion 100 is position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in a state of being locked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main body side of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and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is also locat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in the locked state (see FIG. 4).

이 대기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전측(도 1의 지면 좌측. 문 닫힘 측)으로 이동시키면, 미닫이문(2)의 닫힘 시에, 상술한 캐치부(100)의 로크가 해제되어, 제1 캐치부(100)가 전측에 위치하는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한다(문 닫힘 상태. 도 2 참조).When the sliding door 2 is moved to the front side (the left side of the ground, the door closing side in Fig. 1) from this standby state, the locking of the catch portion 100 described above is released when the sliding door 2 is closed, 1 catch part 100 captures the to-be-acquired member 11 located in the front side (door closed state. See FIG. 2).

이 문 닫힘 상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캐치부(100)가 전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면서, 스프링(226)(도 7 및 도 8 참조)의 힘으로 중앙부 측(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포착인입기구(20)는 포착한 피포착부재(11)를 미닫이문(2) 측(도 1의 우측. 후측)으로 끌어당기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2)은 상대적으로 닫히는 방향(도 1의 좌측. 전측)으로 강제적으로 이동되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2)이 전측의 문 버팀쇠(3)와 맞닿을 때까지 완전하게 닫혀지게 된다. 또한, 이 문 닫힘 상태에서는, 제2 캐치부(150)는 로크된 상태에서, 대기 상태와 같은 위치에 머물려 있다.In this door closed state, as shown in FIG. 5, while the 1st catch part 100 catches the to-be-acquired member 11, the center part side by the force of the spring 226 (refer FIG. 7 and FIG. 8) is carried out. Move to (arrow A direction). That is,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acts to pull the captured member 11 to the sliding door 2 side (right side, rear side in FIG. 1). As a result, the sliding door 2 is forcibly moved in the relatively closing direction (left side, front side in FIG. 1), and as shown in FIG. 2, the sliding door 2 is engaged with the front door stop 3 of the front side. It will be completely closed until it is reached. Moreover, in this door closed state, the 2nd catch part 150 stays in the same position as a standby state in the locked state.

한편, 대기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후측(도 1의 지면 우측. 문 열림 측)으로 이동시키면, 미닫이문(2)이 완전하게 열 때의 열림 시에, 상술한 캐치부(150)의 로크가 해제되어, 제2 캐치부(150)가 후측에 위치하는 포착인입부재(11)를 포착한다(문 열림 상태. 도 3 참조).On the other hand, when the sliding door 2 is moved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rear side (the right side of the ground in Fig. 1, the door opening side), the catch portion 150 described above is opened when the sliding door 2 is completely opened. The lock is released, and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captures the trapping retracting member 11 positioned at the rear side (door open state. See FIG. 3).

이 문 열림 상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캐치부(150)가 후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면서, 스프링(226)의 힘으로 중앙부 측(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포착인입기구(20)는 포착한 피포착부재(11)를 미닫이문(2) 측(도 1의 좌측. 전측)으로 끌어당기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2)은 상대적으로 열리는 방향(도 1의 우측. 후측)으로 강제적으로 이동되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2)이 후측의 문버팀 쇠(4)와 맞닿을 때까지 완전하게 열리게 된다. 또한, 이 문 열림 상태에서는, 제1 캐치부(100)는 로크된 상태에서, 대기 상태와 같은 위치에 머물려 있다.In this door open state, as shown in FIG. 6, the 2nd catch part 150 moves to the center part side (arrow B direction) by the force of the spring 226, capturing the captured member 11 of a rear side. . That is,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acts to pull the captured member 11 to the sliding door 2 side (left side, front side in FIG. 1). As a result, the sliding door 2 is forcibly moved in a relatively open direction (right side and rear side in FIG. 1), and as shown in FIG. 3, the sliding door 2 is engaged with the rear door stopper 4. It opens completely until it reaches it. Moreover, in this door open state, the 1st catch part 100 stays in the same position as a standby state in the locked state.

도 7은 포착인입기구(20)를 위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포착인입기구(20)를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제1 캐치부(100)를 분해한 상태의 확대도이며, (a)는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우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b)는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제2 캐치부(150)를 뒤쪽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as viewed from above,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as viewed from below.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ate which disassembled the 1st catch part 100,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ight side obliquely upward, and (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bottom obliquely leftward.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atching part 150 viewed obliquely downward.

포착인입기구(20)는 도 4∼도 6 및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하는 제1 캐치부(100)와, 후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는 제2 캐치부(150)와, 이러한 캐치부(100, 150)를 가이드 레일(1)의 연재방향(전후방향)을 따라 중앙 측으로 인입하기 위한 인입부(20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4-6, 7 and 8, the capture | acquisition drawing-in mechanism 20 has the 1st catch part 100 which captures the projection part 11a of the to-be-adhered member 11, and the back side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for capturing the member 11 and the catch portion 200 for introducing the catch portions 100 and 150 to the center sid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 ).

제1 캐치부(100)는 후술하는 링크 핀(140)의 위치에 따라 동작하는 링크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캐치부(100)는 도 7, 도 8, 특히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와 소정 위치에서 맞닿는 맞닿음 블록(110)과, 이 돌기부(11a)를 포착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포착판(120)과, 이러한 맞닿음 블록(110)과 포착판(120)을 내포하여 이들 전체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내포 블록(130)과, 이러한 맞닿음 블록(110), 포착판(120), 제1 내포 블록(130)이 링크기구로서 동작하기 위한 링크 핀(14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1st catch part 100 is comprised as a link mechanism which operat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nk pin 140 mentioned later. Specifically, the first catch portion 100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the protrusion 11a of the member 11 to be captured, as shown in Figs. 7 and 8, in particular, Figs. 9 (a) and 9 (b). The contact block 110 which abuts, the capture plate 120 which moves up and down in order to capture this protrusion part 11a, and this contact block 110 and the capture plate 120 are contained, and are moved back and forth in these whole. The first containment block 130 moving in the direction, and the contact block 110, the capture plate 120, and the first containment block 130 are constituted by a link pin 140 for operating as a link mechanism. .

맞닿음 블록(110)은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111)와, 이 본체부(111)의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부가 본체부(111)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받침부(112)로 구성되어 있다.The abutment block 1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main body portion 111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protrudes obliquely upwardly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portion 111,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larger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11. It consists of the support part 112 which protrudes upwards.

본체부(111)는, 그 내측이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고, 이 공동은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공동 안에는, 그 하측의 개구로부터, 포착판(120)이 삽입되어 조립된다. 또한, 본체부(111)에는,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부터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향하여 뻗는 경사구멍(1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구멍(111a)은 본체부(111)의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제1 캐치부(100)가 조립될 때에 링크 핀(140)이 삽입 통과되게 된다.The main body 111 has a cavity inside thereof, and the cavity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In this cavity, the capture plate 120 is inserted and assembled from the lower opening. Further, the main body portion 111 is formed with an inclined hole 111a that extends obliquely forward and obliquely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inclined hole 111a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1 so that the link pin 140 is inserted when the first catch portion 100 is assembled.

받침부(112)의 전측의 면에는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11)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하여 기립하는 맞닿음면(1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닿음면(112a)은, 미닫이문(2)이 닫힘 시의 소정의 위치까지 도달하였을 때에, 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와 맞닿아 압압되게 된다.9 (a) and 9 (b), the contact surface 112a which stands up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body part 111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art 112. As shown in FIG. When the contact surface 112a reaches the predetermined position at the time when the sliding door 2 closes,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projection part 11a of the to-be-acquired member 11, and is pressed.

또한, 받침부(112)의 후측의 면에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스프링 수용홈(1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수용홈(112b)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113)의 일단부가 지지된다.Moreover, as shown to FIG. 9 (b), the spring accommodating groove 112b of the shape concave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12. As shown in FIG. One end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13 is supported by this spring receiving groove 112b.

포착판(12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포착 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포착 돌기(121)는, 포착판(120)이 링크기구에 의하여 윗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술한 받침부(112)와 이 포착 돌기(121)로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전후방향에서 포착하게 된다.The capture plate 1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a capture protrusion 121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thereof. This capture | acquisition protrusion 121 is the projection part 11a of the to-be-attached member 11 with the above-mentioned support part 112 and this capture | acquisition protrusion 121, when the capture | acquisition plate 120 moved upwards by the link mechanism. ) Is captured from front to back.

이 포착 돌기(121)의 후면에는, 테이퍼(taper) 맞닿음면(1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 맞닿음면(121a)은 테이퍼의 하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이다. 이 테이퍼 맞닿음면(121a)에는, 미닫이문(2)을 닫힘 상태(도 2 참조)로부터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가 맞닿는다. 그리고, 돌기부(11a)가 포착 돌기(121)를 이 테이퍼면과 수직한 방향인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향하여 눌러 내리게 된다. 이에 의해, 돌기부(11a)를 포착한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문 닫힘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A taper abutting surface 121a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pturing protrusion 121. The taper contact surface 121a is an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upwardly obliquely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taper. When moving the sliding door 2 from the closed state (refer FIG. 2) to the opening direction, the projection part 11a of the to-be-adhered member 11 abuts on this taper contact surface 121a. And the projection part 11a pushes down the capture | acquisition protrusion 121 obliquely downward to the front which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is taper surface. Thereby, it releases from the state which captured the protrusion part 11a, and returns to a standby state from the door closed state.

또한, 포착판(120)에는, 포착 돌기(121)의 전측에 위치하는 보조 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 돌기(122)는 상술한 포착 돌기(121)와 받침부(112)에 의하여 돌기부(11a)를 포착할 수 없었을 때에, 포착 돌기(121)와 이 보조 돌기(122) 사이에 돌기부(11a)를 포착하는, 말하자면 보조적으로 설치된 것이다.In addition, the capture plate 12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projection 122 loc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capture protrusion 121. When the auxiliary projection 122 cannot capture the projection 11a by the capturing projection 121 and the supporting portion 112 described above, the projection 11a is formed between the projection projection 121 and the auxiliary projection 122. ), That is to say, installed auxiliary.

이 보조 돌기(122)는 포착 돌기(121)와 보조 돌기(122)로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한 경우이라도, 개폐체 완충 장치(10)가 미닫이문(2)을 폐지(閉止)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착 돌기(122)는 미닫이문(2)을 열 때에 있어서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에 의하여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되었을 때에, 포착 돌기(122)가 하측으로 휘어서 피포착부재(11)를 보조 돌기(122)의 전측으로 퇴피하도록 되어 있다.Even if the auxiliary protrusion 122 captures the member 11 with the catching protrusion 121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122,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buffer device 10 causes the sliding door 2 to be closed. It is supposed to be. More specifically, when the catching protrusion 122 is pressed forward by the protrusion 11a of the captured member 11 when opening the sliding door 2, the catching protrusion 122 is bent downward and avoided. The capture member 11 is retra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protrusion 122.

또한, 포착판(120)에는, 포착 돌기(121)의 하측에 위치하여,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구멍(123)은 링크 핀(140)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큰 직경의 둥근 구멍이며, 이 장착구멍(123)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링크 핀(140)이 삽입 통과된다. 이에 의해, 포착판(120)은 링크 핀(140)의 이동에 따라 링크 핀(140)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apture plate 120 is provided with mounting holes 123 located below the capture protrusion 121 and penetr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mounting hole 123 is a round hole having a diameter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ink pin 140, and a link pin 14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23. As a result, the capture plate 120 moves together with the link pin 14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link pin 140.

제1 내포 블록(130)은 도 7, 도 8, 특히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외곽부(131)와, 이 외곽부(131)의 후단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하는 지지부(132)와, 외곽부(131)의 좌우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좌우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안내 돌기부(133, 134)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8, in particular, Figs. 9A and 9B, the first nesting block 130 has an outer portion 131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t consists of the support part 132 which protrudes from the rear end to the back side, and the guide protrusions 133 and 134 which protrude toward the outside of left and right from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outer part 131, respectively.

외곽부(131)는, 그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다. 이 공동은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공동 안에는, 그 상측의 개구로부터 맞닿음 블록(110)이 삽입되어 조립된다. 또한, 외곽부(131)에는, 정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연재되는 유도구멍(1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도구멍(131a)은 외곽부(131)의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캐치부(100)가 조립될 때에, 맞닿음 블록(110)의 경사구멍(111a), 포착판(120)의 장착구멍(123)과 함께 링크 핀(140)이 삽입 통과되게 된다.The outer portion 131 has a cavity inside thereof. This cavity is formed in the form of penetrating up and down. In this cavity, the contact block 110 is inserted and assembled from the upper opening. In addition, the outer portion 131 is formed with guide holes 131a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guide hole 131a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outer portion 131, and when the first catch portion 100 is assembled, the inclined hole 111a of the contact block 110 is captured. The link pin 140 is inserted through the mounting hole 123 of the plate 120.

또한, 외곽부(131)의 공동 내의 후단부에는, 상하로 기립하는 받침면(13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면(131b)에는, 제1 내포 블록(130) 내에 맞닿음 블록(110)이 조립된 상태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113)의 타단부가 지지된다.Moreover, the support surface 131b which stands up and down is formed in the rear end part in the cavity of the outer part 131. As shown in FIG. The other end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13 is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131b in a state where the abutment block 110 is assembled in the first inner containment block 130.

또한, 외곽부(131)의 하측 후부(받침면(131b)의 하측)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인장 스프링 유닛(225)의 스프링 받침부(227)의 네크부(neck portion)(227a)를 수용하는 네크부 수용홈(13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네크부 수용홈(131c)은 스프링 받침부(227)가 조립된 상태에서, 이 스프링 받침부(227)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의 위치를 규제한다.Further, a neck portion 227a of the spring support portion 227 of the tension spring unit 2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on the lower rear portion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surface 131b) of the outer portion 131. The neck accommodating groove 131c for accommodating is formed. This neck part accommodating groove 131c restricts the position of the spring support part 227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state which the spring support part 227 assembled.

지지부(132)에는, 그 후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뻗는 장착홈(1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홈(132a)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댐퍼 유닛(221)(완충부재)의 출력축(221a)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이 출력축(221a)의 좌우방향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The supporting portion 132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132a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end thereof. The tip of the output shaft 221a of the damper unit 221 (buffer memb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32a to restric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put shaft 221a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안내 돌기부(133, 134)는 전후방향(미닫이문(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 돌기부(133, 134)는, 제1 내포 블록(130)이 후술하는 인입부(200)의 가이드부(2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가이드부(210)의 돌기부(218)(도 17(a), 도 17(b) 참조)와 단차부(段差部)(260)에 의하여 형성된 홈부(261)의 내부에 삽입되고, 이 홈부(261)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이에 의해, 제1 캐치부(100)가 인입부(20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guide protrusions 133 and 134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ing door 2). The guide protrusions 133 and 134 are assembled to the guide portion 210 of the inlet portion 200, in which the first nesting block 130 is described later, and the protrusions of the guide portion 210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218 (see FIGS. 17A and 17B) and the groove 261 formed by the stepped portion 260, and slid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groove 261. do. Thereby, the 1st catch part 100 moves with respect to the lead-in part 200 in the front-back direction.

또한, 외곽부(131)에는, 전측 및 후측의 각각의 양측에, 슬라이드 돌기(135, 13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돌기(135, 136)는, 제1 내포 블록(130)이 후술하는 인입부(200)의 가이드부(210)에 조립된 상태에서, 가이드부(210)의 내측면(210a)과 접한다. 이에 의해, 제1 내포 블록(130)의 가이드부(210) 내에서의 좌우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제1 내포 블록(13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이러한 슬라이드 돌기(135, 136)가 가이드부(210)의 내측면(210a)과 슬라이드 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outer projections 131 are provided with slide protrusions 135 and 136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These slide protrusions 135 and 136 contact the inner surface 210a of the guide portion 21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tainment block 130 is assembled to the guide portion 210 of the inlet portion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reby, the position of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guide part 210 of the 1st containment block 130 is regulated. In addition, when the first nested block 130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lide protrusions 135 and 136 slide with the inner surface 210a of the guide part 210, so that the slide block 130 may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링크 핀(140)은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링크 핀(140)의 길이는 제1 내포 블록(130)의 폭방향의 치수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링크 핀(140)에 의하여, 맞닿음 블록(110), 포착판(120), 및 제1 내포 블록(130)을 일체로 조립한 상태에서, 제1 내포 블록(130)의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링크 핀(140)의 단부(端部)(140a)가 돌출하는 형태로 조립된다. 이 돌출하는 단부(140a)는, 제1 내포 블록(130)이 후술하는 인입부(200)의 가이드부(210)에 조립된 상태에서, 돌기부(218)의 상부에 놓여져,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The link pin 140 is formed in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s shown to FIG. 9 (a) and FIG. 9 (b). The length of this link pin 140 is formed lon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1st containment block 130. FIG.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act block 110, the capture plate 120, and the first nested block 130 are integrally assembled by the link pin 140, the width of the first nested block 130 is measured. From both sides, it is assembled in the form which the edge part 140a of the link pin 140 protrudes. The protruding end 140a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218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nested block 130 is assembled to the guide portion 210 of the inlet portion 200 described later, and slides forward and backward. Done.

한편, 제2 캐치부(150)는 도 7, 도 8, 특히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와 소정 위치에서 맞닿는 맞닿음 블록(110)과, 이 돌기부(11a)를 포착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포착판(120)과, 이러한 맞닿음 블록(110)과 포착판(120)을 내포하여 이들 전체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내포 블록(160)과, 이러한 맞닿음 블록(110), 포착판(120), 제2 내포 블록(160)이 링크기구로서 동작하기 위한 링크 핀(140)으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as shown in Figs. 7, 8, and 10 in particular, the contact block 110 which abut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the projection 11a of the captured member 11, and this projection portion The second enclosing block 160, which includes the capturing plate 120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apture 11a, and the contact block 110 and the capturing plate 120,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entire body. And the contact block 110, the capture plate 120, and the second inner block 160 are constituted by link pins 140 for operating as a link mechanism.

이 제2 캐치부(150)도, 제1 캐치부(100)과 마찬가지로, 링크 핀(140)의 위치에 의하여 동작하는 링크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링크기구의 동작은 제1 캐치부(100)와 비교하여, 전후방향으로 반대의 동작을 하는 것 이외는 제1 캐치부(100)와 같다. 보다 간단하게 말하면, 제2 캐치부(150)는 제1 캐치부(100)의 제1 내포 블록(130) 대신에 제2 내포 블록(160)이 사용된 것이다. 그 때문에, 이하에서 기재하는 제2 캐치부(150)의 설명에서는, 맞닿음 블록(110), 포착판(120), 및 링크 핀(140)의 설명은 생략하고, 제2 내포 블록(160)에 대하여만 상세하게 설명한다.Similarly to the first catch portion 100, this second catch portion 150 is also configured as a link mechanism that operates by the position of the link pin 140. The operation of the link mechanism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catch portion 100 except for the opposite oper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compared with the first catch portion 100. In more simple terms, the second catching block 150 may use the second catching block 160 instead of the first catching block 130 of the first catching part 100. Therefore, in description of the 2nd catch part 150 described below, description of the contact block 110, the capture plate 120, and the link pin 140 is abbreviate | omitted, and the 2nd containment block 160 is carried out. Only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제2 내포 블록(160)의 외곽부(161)는 도 7,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후측 부분의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다. 이 공동은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공동 안에는, 그 상측의 개구로부터, 맞닿음 블록(110)이 삽입되어 조립된다. 또한, 외곽부(161)에는, 정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연재되는 유도구멍(16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도구멍(161a)은 외곽부(161)의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제2 캐치부(150)가 조립될 때에, 맞닿음 블록(110)의 경사구멍(111a), 포착판(120)의 장착구멍(123)과 함께 링크 핀(140)이 삽입 통과되게 된다.As shown in FIG. 7, FIG. 8, and FIG. 10, the outer part 161 of the 2nd inner block block 160 has a cavity inside the back part. This cavity is formed in the form of penetrating up and down, and in this cavity, the contact block 110 is inserted and assembled from the upper opening. In addition, the outer portion 161 is formed with guide holes 161a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guide hole 161a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outer portion 161. When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is assembled, the inclined hole 111a of the contact block 110 is captured. The link pin 140 is inserted through the mounting hole 123 of the plate 120.

또한, 외곽부(161)의 공동 내의 후단부에는, 상하로 기립하는 받침면(16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면(161b)에는, 제2 내포 블록(160) 내에 맞닿음 블록(110)이 조립된 상태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113)의 타단부가 지지된다.Moreover, the support surface 161b which stands up and down is formed in the rear end part in the cavity of the outer part 161. As shown in FIG. The other end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13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urface 161b in a state in which the abutment block 110 is assembled in the second inclusion block 160.

또한, 외곽부(161)의 하측 후부(받침면(161b)의 하측)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인장 스프링 유닛(225)의 스프링 받침부(227)의 네크부(227a)를 수용하는 네크부 수용홈(16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네크부 수용홈(161c)은, 스프링 받침부(227)이 조립된 상태에서, 이 스프링 받침부(227)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의 위치를 규제한다.Moreover, the neck part which accommodates the neck part 227a of the spring support part 227 of the tension spring unit 225 mentioned later in the lower rear part (lower side of the support surface 161b) of the outer part 161. The receiving groove 161c is formed. This neck part accommodating groove 161c regulates the position of the spring support part 227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state which the spring support part 227 assembled.

또한, 외곽부(161)에는, 네크부 수용홈(161c)보다 전측에, 인장 스프링 유닛 수용홈(161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인장 스프링 유닛 수용홈(161d)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인장 스프링 유닛(225)이 수용된다.Further, in the outer portion 161, a tension spring unit accommodation groove 161d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neck portion accommodation groove 161c. The tension spring unit 225 shown in FIG. 7 and FIG. 8 is accommodated in this tension spring unit accommodation groove 161d.

한편, 외곽부(161)의 중앙 상부로서 인장 스프링 유닛 수용홈(161d)의 상측에는, 댐퍼 수용홈(167)이 형성되어 있다. 이 댐퍼 수용홈(167)은 전후방향으로 연재되고, 그 단면(斷面)이 댐퍼 유닛(221)의 유닛 본체(221b)의 대략 원기둥형의 형상에 맞추어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댐퍼 수용홈(167)에 유닛 본체(221b)가 수용된 상태에서, 댐퍼의 좌우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On the other hand, a damper accommodating groove 167 is formed above the tension spring unit accommodating groove 161d as the center upper portion of the outer portion 161. The damper accommodation groove 167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ts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semi-circular arc shape in conformity with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of the unit main body 221b of the damper unit 221. Thereby, in the state in which the unit main body 221b is accommodated in the damper accommodation groove 167, the position of the damp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regulated.

이 댐퍼 수용홈(167)의 후측에는, 유닛 본체(221b)의 후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후단 지지부(168)가 형성되어 있다. 이 후단 지지부(168)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내부에 유닛 본체(221b)의 후단부를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삽입함으로써, 유닛 본체(221b)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On the rear side of the damper accommodation groove 167, a rear end supporting portion 168 for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unit main body 221b is formed. This rear end support part 168 is formed in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the unit main body 221b is attached by inserting the rear end part of the unit main body 221b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inside.

또한, 외곽부(161)의 전측 상부에는, 댐퍼 유닛(221)의 출력축(221a)을 지지하는 지지부(1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162)에는, 상측이 개구된 U자 형상의 장착홈(16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홈(162a)에 댐퍼 유닛(221)의 출력축(221a)의 기단부가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이 출력축(221a)의 좌우방향의 위치가 규제되게 된다.Moreover, the support part 162 which supports the output shaft 221a of the damper unit 221 is provided in the upper upper part of the outer side part 161. As shown in FIG. The support portion 162 is formed with a U-shaped mounting groove 162a having an upper side opened. The base end of the output shaft 221a of the damper unit 221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62a from the upper side, and the position of the output shaft 221a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restricted.

또한, 외곽부(161)의 전측 및 후측의 측부에는, 안내 돌기부(163, 16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 돌기부(163, 164)는 전후방향(미닫이문(2)의 이동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 돌기부(163, 164)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가이드부(210)의 돌기부(218)(도 17(a), 도 17(b) 참조)와 단차부(260)에 의하여 형성된 홈부(261)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 홈부(261)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이에 의해, 제2 캐치부(150)가 인입부(20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Further, guide protrusions 163 and 164 are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outer portion 161. These guide protrusions 163 and 164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moving direction of the sliding door 2). The guide protrusions 163 and 164 are groove portions 261 formed by the protrusions 218 (see FIGS. 17A and 17B) and the stepped portion 260 of the guide portion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 And slides back and forth along this groove portion 261. As a result,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ead portion 200.

또한, 외곽부(161)에는, 전측 및 후측의 각각의 양측에, 슬라이드 돌기(165, 16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돌기(165, 166)는, 제2 내포 블록(160)이 후술하는 인입부(200)의 가이드부(210)에 조립된 상태에서, 가이드부(210)의 내측면(210a)과 접한다. 이에 의해, 제1 내포 블록(130)의 가이드부(210) 내에서의 좌우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제2 내포 블록(16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이러한 슬라이드 돌기(165, 166)가 가이드부(210)의 내측면(210a)과 슬라이드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the outer portion 161, slide projections 165 and 16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respectively. These slide protrusions 165 and 166 contact the inner surface 210a of the guide portion 210 in a state where the second inner block block 160 is assembled to the guide portion 210 of the inlet portion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reby, the position of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guide part 210 of the 1st containment block 130 is regulated. In addition, when the second nesting block 160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lide protrusions 165 and 166 slide with the inner surface 210a of the guide part 210, so that the slide block 160 may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술한 이러한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 유닛(221) 및 인장 스프링 유닛(225)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tch part 100 and the second catch part 150 are connec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damper unit 221 and the tension spring unit 225.

댐퍼 유닛(221)은 출력축(221a)과, 이 출력축(221a)을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유닛 본체(221b)를 갖고 있다. 유닛 본체(221b) 내에는, 출력축(221a)의 축장방향(전후방향)으로의 이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오일 등의 저항 유체(도시 생략)가 수용되어 있다.The damper unit 221 has an output shaft 221a and a substantially cylindrical unit body 221b holding the output shaft 221a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unit main body 221b, a resistive fluid (not shown), such as oil, which applies a braking force to the movement in the axial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221a is housed.

출력축(221a)의 선단부는 제1 캐치부(100)의 지지부(132)의 장착홈(132a)에 장착된다. 또한, 유닛 본체(221b)는 제2 내포 블록(160)의 후단 지지부(168)에 삽입된 후에 댐퍼 유닛 수용부(167)에 조립되어, 상측으로부터 장착 커버(170)를 장착함으로써 고정된다.The front end of the output shaft 221a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132a of the support part 132 of the first catch part 100. In addition, the unit body 221b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supporting portion 168 of the second nesting block 160 and then assembled to the damper unit accommodating portion 167 and fixed by mounting the mounting cover 170 from the upper side.

한편, 인장 스프링 유닛(225)은 제2 내포 블록(160)의 인장 스프링 유닛 수용홈(161d) 내에 수용된다. 이 인장 스프링 유닛(225)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226)과 이 인장 스프링(226)의 양단부에 설치된 2개의 스프링 받침부(227)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nsion spring unit 225 is accommodated in the tension spring unit receiving groove (161d) of the second inner block 160. This tension spring unit 225 is comprised from the tension spring 226 and the two spring support parts 227 provided in the both ends of this tension spring 226, as shown in FIG.

2개의 받침부(227)는 대략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의 선단 부분에, 직경 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형성된 네크부(227a)를 갖고 있다.The two support parts 227 are formed in substantially rod shape, and have the neck part 227a formed in the groove shape in the radial direction at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one end.

전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받침부(227)의 네크부(227a)는 제1 내포 블록(130)의 네크부 수용홈(131c)에 삽입되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전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받침부(227)는 네크부 수용홈(131c)으로부터, 후측에 위치하는 제2 내포 블록(160)의 인장 스프링 유닛 수용홈(161d)까지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neck part 227a of the spring support part 227 located in the front side is inserted into the neck part accommodating groove 131c of the 1st containment block 130, and the position of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is regulated. Moreover, the spring support part 227 located in the front side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extend from the neck part accommodating groove 131c to the tension spring unit accommodating groove 161d of the 2nd containment block 160 located in the back side.

후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받침부(227)의 네크부(227a)는 제2 내포 블록(160)의 네크부 수용홈(161c)에 삽입되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후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받침부(227)는 네크부 수용홈(161c)으로부터, 인장 스프링 유닛 수용홈(161d)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된다.The neck part 227a of the spring support part 227 located in the rear side is inserted into the neck part accommodating groove 161c of the 2nd containment block 160, and the position of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is regulated. In addition, the spring support part 227 located in the rear side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exten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long the tension spring unit accommodation groove 161d from the neck part accommodation groove 161c.

이러한 2개의 스프링 받침부(227)는 인장 스프링(226)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인장 스프링(226)은 코일 스프링이며, 인장 스프링 유닛(225)에서는, 2개의 스프링 받침부(227)를 중앙 측으로 밀어붙이는 인장 스프링으로서 사용되어 있다.These two spring support 227 is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by the tension spring 226. This tension spring 226 is a coil spring, and in the tension spring unit 225, it is used as a tension spring which pushes two spring support parts 227 to the center side.

이에 의해, 인장 스프링 유닛(225)이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를 포착인입기구(120)의 중앙부 측으로 밀어붙이는 한편, 댐퍼 유닛(221)이 인장 스프링(226)의 스프링 힘에 저항하여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완충하게 된다.As a result, the tension spring unit 225 pushes the first catch portion 100 and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toward the center portion of the trapping mechanism 120, while the damper unit 221 extends the tension spring 226. Resisting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catch portion 100 and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to buffer the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인입부(20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를 내측에 조립되는 가이드부(210)와, 가이드부(210)와 매달림부(300)(상세한 사항은 후술함)를 연결하기 위한 전측 장착 블록(240)과, 가이드부(210)와 후측 가이드 롤러부(400)를 연결하기 위한 후측 장착 블록(250)(상세한 사항은 후술함)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inlet part 200 is suspended from the guide part 210 and the guide part 210 to which the first catch part 100 and the second catch part 150 are assembled. The front mounting block 240 for connecting the unit 300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rear mounting block 250 for connecting the guide unit 210 and the rear guide roller unit 400 (the details are It will be described later).

가이드부(21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재되어 있고, 이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은, 상측이 개구되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가이드부(210)의 단면 형상은 특히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한 저면부(210H)와, 이 저면부(210H)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위쪽에 뻗는 측부(210S)에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측부(210S)에는, 일단 바깥 방향으로 절곡되고 나서 다시 위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단차부(26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단차부(260)의 상측에는, 도 7, 도 8 및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부(210S)의 내측면(210a)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2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260) 및 돌기부(218)는 가이드부의 전후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단차부(260), 돌기부(218) 및 내측면(210a)에 의하여, 내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대략 ㄷ자 형상의 홈부(261)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7 and FIG.8, the guide part 210 is extend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cut | disconnected by the surface orthogonal to this front-back direction is formed in U shape which the upper side opens. More specificall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uide portion 210 is particularly shown in Fig. 17 (b), and the horizontal bottom portion 210H and the side portions extending upwards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portion 210H, respectively. The stepped portion 260 is formed in a U-shape at 210S, and is formed on the side portion 210S once bent outward and then bent upward again. Moreover, as shown to FIG. 7, FIG. 8, FIG. 16, and FIG. 17, the protrusion part 218 which protrudes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210a of the side part 210S is formed above this step part 260. FIG. It is. This step portion 260 and the projection portion 218 are formed continuously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In addition, the stepped portion 260, the protrusion 218, and the inner side surface 210a form a substantially C-shaped groove portion 261 that is opened in the inward direction.

돌기부(218) 위에는, 링크 핀(140)의 단부(140a)가 놓여져,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도 16(b) 참조). 또한, 홈부(261)에는, 제1 내포 블록(130)의 안내 돌기부(133, 134) 및 제2 내포 블록(160)의 안내 돌기부(163, 164)가 들어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즉, 상술한 인장 스프링 유닛(225) 및 댐퍼 유닛(221)에 의하여 전후로 연결된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는 가이드부(210)의 전측 또는 후측 단부로부터 가이드부(210)에 삽입되어, 링크 핀(140)의 단부(140a) 및 각각의 안내 돌기부(133, 134, 163, 164)가 상술한 소정의 위치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조립된다.On the protrusion part 218, the edge part 140a of the link pin 140 is put, and it slides back and forth (refer FIG. 16 (b)). In addition, the groove 261 includes the guide protrusions 133 and 134 of the first nested block 130 and the guide protrusions 163 and 164 of the second nested block 160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That is, the first catch part 100 and the second catch part 150 connected back and forth by the above-described tension spring unit 225 and the damper unit 221 may be guided from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guide part 210. Inserted into 210, the end 140a of the link pin 140 and the respective guide protrusions 133, 134, 163, and 164 are assembled to slide the predetermined positions described above.

또한, 가이드부(210)에는, 전측 및 후측의 측부에, 2개의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은 상하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이며, 가이드부(210)의 좌우의 양측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guide portion 210, two protrusion cutting holes 219 are formed i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respectively. The protrusion cutting hole 219 is a long hol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a form penetrating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uide portion 210.

이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은 돌기부(218)의 연재방향의 일부를 절결하기 위한 것이며, 볼트 등이 삽입 통과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기부(218)의 일부를 졀결하는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상측의 개구부로부터 절삭 공구를 삽입하여 절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가공하기가 어렵다. 그 때문에, 가공하기 쉬운 방법으로서,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을 횡방향으로부터 뚫음으로써, 돌기부(218)의 일부를 절결하도록 한 것이다.The protrusion cutting hole 219 is for cutting a part of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rotrusion 218, and the bolt or the like is not inserted.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process a part of the protrusion part 218, it is possible to insert and cut a cutting tool from an upper opening, but it is difficult to process it. Therefore, as a method easy to process, a part of the projection part 218 is cut out by drilling the projection part removal hole 219 from a horizontal direction.

이 돌기부 절제구멍(219)을 형성함으로써, 이 돌기부(218)에는, 링크 핀(140)의 단부(140a)가 이 돌기부(218)의 상측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절결부(262)가 형성되게 된다.By forming the protrusion cutting hole 219, the protrusion 218 is formed such that the cutout portion 262 in which the end 140a of the link pin 140 can move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rotrusion 218 is formed. do.

이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절결부(262))의 전후방향에서의 치수는 상술한 링크 핀(140)의 직경과 동등하거나 그것보다 약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측의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의 전후방향의 위치는, 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와 제1 캐치부(100)의 맞닿음 블록(110)의 맞닿음면(112a)이 맞닿음(또는 맞닿음 해제)하는 경우에, 링크 핀(140)이 있는 위치에 뚫려 있다. 즉, 제1 캐치부(100)의 링크기구가 동작하는 위치로서, 링크 핀(140)이 상하로 이동하는 위치에 맞추어, 전측의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절결부(262))이 형성되어 있다.The dimens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is protrusion part cutting hole 219 (cutout part 262) is formed so that it may become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ink pin 140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he posi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front protrusion removal hole 219 is abutting surface of the abutment block 110 of the protrusion 11a of the front-side caught member 11 and the first catch portion 100. When 112a abuts (or abuts release), it is drilled in the position where the link pin 140 exists. That is, as a position at which the link mechanism of the first catching part 100 operates, the front projection part cutting hole 219 (cutout portion 262)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where the link pin 140 moves up and down. It is.

마찬가지로, 후측의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절결부(262))의 전후방향의 위치도, 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와, 제2 캐치부(150)의 맞닿음 블록(110)의 맞닿음면(112a)이 맞닿음(또는 맞닿음 해제)하는 경우에, 링크 핀(140)이 있는 위치에 뚫려 있다. 즉, 제2 캐치부(150)의 링크기구가 동작하는 위치로서, 링크 핀(140)이 상하로 이동하는 위치에 맞추어, 후측의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절결부(262))이 형성되어 있다.Similarly, the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rear protrusion cutting hole 219 (cutout portion 262) is also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11a of the rear-side captured member 11 and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When the abutting surface 112a of the block 110 abuts (or abuts release), it is dri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link pin 140 is located. That is, as the position where the link mechanism of the second catching part 150 operates, the rear projection protrusion cutting hole 219 (cutout portion 262)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where the link pin 140 moves up and down. It is.

또한, 가이드부(210)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보다 더 전측 및 후측에, 2개의 장착구멍(2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구멍(216)은 가이드부(210)의 좌우의 양측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측의 장착구멍(216)에는, 장착핀(215)을 통하여 전측 장착 블록(240)이 장착된다. 또한, 후측의 장착구멍(216)에는, 장착핀(215)을 통하여 후측 장착 블록(250)이 장착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and FIG. 8, two mounting holes 216 are formed in the guide part 210 i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more than the protrusion part hole 219. The mounting hole 216 is formed to penetrat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uide portion 210. The front mounting block 240 is attached to the front mounting hole 216 via the mounting pin 215. The rear mounting block 250 is mounted to the rear mounting hole 216 via the mounting pin 215.

전측 장착 블록(240)은 도 7, 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 L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측 장착 블록(240)에는,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좌우 관통구멍(2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좌우 관통구멍(242)에는, 전측의 장착구멍(216)에 폭방향으로부터 삽입 통과된 장착핀(215)이 삽입된다. 이에 의해, 전측 장착 블록(240)이 가이드부(210)의 전단부에 장착된다.As shown in FIG. 7, FIG. 8, and FIG. 11, the front mounting block 240 is formed in reverse L shape. Left and right through holes 242 penetrating in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in the front mounting block 240. In this left and right through hole 242, a mounting pin 215 inserted into the front mounting hole 216 from the width direction is inserted. Thereby, the front mounting block 240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guide part 210.

또한, 전측 장착 블록(240)의 상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수평부(24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수평부(243)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하 관통구멍(241)이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upper part of the front mounting block 240 is provided with the horizontal part 243 extend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part 243 is provided with the upper and lower through-holes 241 penetrating in an up-down direction.

후측 장착 블록(250)은 도 7, 도 8,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 형상의 본체의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좌우 관통구멍(2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좌우 관통구멍(251)에는, 후측의 장착구멍(216)에 폭방향으로부터 삽입 통과된 장착핀(215)이 삽입된다. 이에 의해, 후측 장착 블록(250)이 가이드부(210)의 후단부에 장착된다.As shown to FIG. 7, FIG. 8, and FIG. 12, the rear side mounting block 250 is provided with the left-right through-hole 251 which penetrates to the width direction of a block-shaped main body. In this left and right through-hole 251, a mounting pin 215 inserted into the rear mounting hole 216 from the width direction is inserted. As a result, the rear mounting block 250 is mounted to the rear end of the guide portion 210.

또한, 후측 장착 블록(250)에는, 그 후면으로부터 후방향으로 돌출하는 2개의 결합돌기(2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돌기(230)는 후측 장착 블록(250)의 좌우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결합돌기(230)는 좌우방향으로 탄성에 의하여 내측을 향하여 휘어지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wo coupling protrusions 230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mounting block 250 in the rear direction are formed. The coupling protrusions 230 are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mounting block 25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230 is bent inward by the elasticit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가이드부(210)의 전측의 저면에는 도 7, 도 8,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하는 장착구멍(212)이 형성되어 있다. Moreover, as shown in FIG. 7, FIG. 8, and FIG. 11, the mounting hole 212 which penetrates up and down is formed in the bottom 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guide part 210. FIG.

또한, 가이드부(210)의 전측 및 후측의 저면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부(底部) 사각구멍(21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저부 사각구멍(217)으로부터는, 상술한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가 가이드부(210)에 조립된 상태에서, 각각의 포착판(120)이 하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도 13(b), 도 14, 도 15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포착판(120)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저부 사각구멍(217)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도 15 및 도 16 참조), 포착판(120)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저부 사각구멍(217)으로부터 돌출한다. 이에 의해, 인입부(200)를 하측에서 보아,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의 동작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Moreover, as shown in FIG. 8, the bottom square hole 217 is formed in the bottom face of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guide part 210, respectively. From the bottom square hole 217, the respective catching plates 120 face downward while the first catch portion 100 and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are assembled to the guide portion 210. It is made to protrude (refer FIG. 13 (b), FIG. 14, FIG. 15). More specifically, when the capture plate 120 is moving upward, when the capture plate 120 is moving downward without protruding from the bottom square hole 217 (see FIGS. 15 and 16), It protrudes from the bottom square hole 217. Thereby, the inlet part 200 can be seen from below,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1st catch part 100 and the 2nd catch part 150 can be visually confirmed.

또한, 포착인입기구(20)의 전측부에는, 도 7, 도 8,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2)을 매달기 위한 매달림부(3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포착인입기구(20)의 후측부에는, 도 7, 도 8,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가이드 롤러부(400)가 설치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7, FIG. 8, and FIG. 11, the suspension part 300 for suspending the sliding door 2 is provided in the front side part of the capture | acquisition insertion mechanism 20. As shown in FIG. Moreover, as shown in FIG. 7, FIG. 8, and FIG. 12, the rear guide roller part 400 is provided in the rear part of the capture | acquisition insertion mechanism 20. As shown in FIG.

매달림부(300)는 도 7, 도 8, 특히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21)를 구비한 전측 가이드 롤러부(310)와, 이 전측 가이드 롤러부(310)의 하측에 장착되어, 미닫이문(2)을 매다는 형태로 고정함과 함께 그 장착 위치를 미세조정 가능한 고착 유닛(320)을 구비하고 있다.The hanging part 300 is attached to the front guide roller part 310 provided with the guide roller 21, and below this front guide roller part 310, as shown in FIG. 7, FIG. 8, especially FIG. And a fixing unit 320 capable of fixing the sliding door 2 in a hanging form and finely adjusting its mounting position.

전측 가이드 롤러부(310)에는, 회전축(312)을 통하여 4개의 가이드 롤러(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전측 가이드 롤러부(310)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후단부로부터 후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하측 돌출부(3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측 돌출부(31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구멍(311a)이 형성되어 있다.Four guide rollers 21 are rotatably mounted to the front guide roller portion 310 via the rotation shaft 312. Moreover, as shown in FIG. 11, the lower side protrusion part 311 which protrudes toward the rear direction from the lower rear end part is integrally formed in the front side guide roller part 310. As shown in FIG. The lower protrusion 311 is provided with mounting holes 311a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하측 돌출부(311)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입부(200)의 전측으로서, 상술한 전측 장착 블록(240)의 수평부(243)의 하측에 삽입된다. 그리고, 인입부(200)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장착나사(213)를, 가이드부(210)의 장착구멍(212), 하측 돌출부(311)의 장착구멍(311a), 전측 장착 블록(240)의 상하 관통구멍(241)의 순서대로 삽입 통과시킨다. 이에 의해, 매달림부(300)는 인입부(200)의 전단부(前端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게 된다.As shown in FIG. 11, this lower protrusion part 311 is a front side of the lead-in part 200, and is inserted below the horizontal part 243 of the front side mounting block 240 mentioned above. Then, the mounting screw 213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lead portion 20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12 of the guide portion 210, the mounting hole 311 a of the lower protrusion 311, and the front mounting block 240. The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241 are inserted in order. As a result, the hanging portion 30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front end of the lead portion 200.

또한, 고착 유닛(320)은 그 전단에 표출(表出)되어 있는 조정부(調整部)(321)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이 고착 유닛(320)에 장착된 미닫이문(2)의 좌우방향의 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unit 320 is rotated by inserting a screwdriver into the adjusting unit 321 exposed at the front end,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iding door 2 mounted to the fixing unit 320 are rotated. The position of the direction can be finely adjusted.

후측 가이드 롤러부(400)는 도 7 및 도 8, 특히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커버(401)와, 후측의 2개의 가이드 롤러(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especially FIG. 12, the rear guide roller part 400 is comprised by the attachment cover 401 and the two guide rollers 21 of the rear side.

장착 커버(401)는, 전측 부분이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로부터 후측 장착 블록(250)의 결합돌기(230)가 삽입된다. 이 장착 커버(401)의 좌우의 양측부에는, 결합돌기(230)와 결합하는 결합구멍(40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결합돌기(230)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자유롭게 결합구멍(401b)에 착탈할 수 있게 된다.The front cover of the mounting cover 401 is opened, and the engaging projection 230 of the rear mounting block 250 is inserted from the opening. Engaging holes 401b for engaging the engaging projection 230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nting cover 401,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coupling protrusion 23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upling hole 401b without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또한, 2개의 가이드 롤러(21)는 장착 커버(401)를 좌우로 관통하는 회전축(402)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wo guide rollers 21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402 which penetrates the mounting cover 401 from side to sid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체 완충 장치의 작용, 및 링크 핀(140)에 의해 기능하는 링크기구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a)는 포착인입기구의 평면도, 도 13(b)는 포착인입기구의 정면도, 도 14는 도 12(a)의 C-C 단면도이다. 또한, 도 15는 제2 캐치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후측 부분의 확대 정면도, (b)는 X-X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제2 캐치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후측 부분의 확대 정면도, (b)는 Y-Y 단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제2 캐치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후측 부분의 확대 정면도, (b)는 Z-Z 단면도이다. 또한, 도 18은 제2 캐치부의 단면도이며, (a)는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전 상태, (b)는 포착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Next,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link mechanism functioning by the link pin 140 will be described. Fig. 13A is a plan view of the trapping mechanism, Fig. 13B is a front view of the trapping mechanism, and Fig. 1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12A. 15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of a 2nd catch part, (a)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rear part, (b) is X-X sectional drawing. 16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of a 2nd catch part, (a)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rear part, (b) is Y-Y sectional drawing. 17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of a 2nd catch part, (a)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rear part, (b) is Z-Z sectional drawing. 18 is sectional drawing of a 2nd catch part, (a)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before a capture | acquisition member capture | acquires a to-be-captured member, and (b) shows a state after a capture | acquisition.

여기서,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의 작용, 및 링크기구의 동작은 전후방향의 방향이 반대일 뿐 그 동작은 같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2 캐치부(150)에서의 링크기구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고, 제1 캐치부(100)의 링크기구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tching part 100 and the second catching part 150, and the operation of the link mechanism are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operation is the same.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link mechanism in the 2nd catch part 150 is demonstrated, and the description about the link mechanism of the 1st catch part 100 is abbreviate | omitted.

제2 캐치부(150)가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지 않는 대기 상태(도 1, 도 4, 도 13(a), 도 13(b), 도 14 참조)에서는, 링크기구를 동작시키는 링크 핀(140)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돌기부(218)를 절결한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의 위치에 있다. 또한, 링크 핀(140)의 단부(140a)는 절결부(262)를 통하여 돌기부(218)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이 때, 제2 캐치부(150)의 포착판(120)은 도 15(a),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으로 내려간 상태이며, 포착판(120)의 하부가 가이드부(210)의 저부 사각구멍(217)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In the standby state (see FIGS. 1, 4, 13 (a), 13 (b) and 14) in which the second catching part 150 does not capture the captured member 11, the link mechanism is operated. The link pin 140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projection part ablation hole 219 which cut | disconnected the projection part 218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addition, the end 140a of the link pin 140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18 through the cutout 262.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5A and 15B, the capture plate 120 of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is in a downward stat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apture plate 120 is guided ( I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square hole 217 of 210.

또한, 이 상태에서는, 도 15(a) 및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핀(140)의 단부(140a)는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에 의해 형성된 절결부(262)의 절결면과 전후방향으로 맞닿아 있다. 이에 의해, 제2 캐치부(150)는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도록 로크된 상태로 된다.In addition, in this state, as shown to FIG. 15 (a) and FIG. 18 (a), the edge part 140a of the link pin 140 is cut | disconnected of the notch 262 formed by the protrusion part hole 219. As shown to FIG. It is in contact with the cott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s a result,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is locked so that it cannot move free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 대기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문 열림 측(후측. 도 18(a)의 H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16(a) 및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가 제2 캐치부(150)의 맞닿음 블록(110)의 맞닿음면(112a)과 맞닿아, 맞닿음 블록(110)을 앞 방향으로 압압한다. 이 압압력(E)은 미닫이문(2)을 열려고 하는 힘과 같고, 힘차게 열려고 할 때에는 큰 힘이 작용한다.When the sliding door 2 is moved to the door opening side (rear side. H direction of FIG. 18 (a)) from this waiting state, as shown to FIG. 16 (a) and FIG. 18 (b), the to-be-adhered member The projection 11a of 11 contacts the contact surface 112a of the contact block 110 of the 2nd catch part 150, and presses the contact block 110 forward. This pressing force E is equal to the force to open the sliding door 2, and a large force acts when it tries to open forcefully.

이 압압력(E)이 작용하면, 제2 캐치부(150)의 맞닿음 블록(110)은 앞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때, 맞닿음 블록(110)은 압축 코일 스프링(113)을 압축하므로, 압압력(E)이 완충되게 된다. 이에 의해, 먼저, 미닫이문(2)을 열 때의 힘이 그대로 제2 캐치부(150)에 전해지지 않게 되어, 보다 작은 힘이 작용하게 된다.When this pressing force E acts, the contact block 110 of the 2nd catch part 150 slides forward. At this time, the contact block 110 compresses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13, so that the pressing force E is buffered. Thereby, first, the force at the time of opening the sliding door 2 is not transmitted to the 2nd catch part 150 as it is, and a smaller force acts.

맞닿음 블록(110)이 앞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도 15(a)에 나타내는 맞닿음 블록(110)의 경사구멍(111a)은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링크 핀(140)은 경사구멍(111a) 및 제2 내포 블록(160)의 유도구멍(161a)을 따라, 상측 F방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포착판(120)은 링크 핀(140)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는 도 16(a) 및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맞닿음 블록(110)의 받침부(112)와, 포착판(120)의 포착 돌기(121)에서 앞뒤를 끼우는 형태로 포착되게 된다.When the abutment block 110 slides forward, the inclined hole 111a of the abutment block 110 shown in FIG. 15 (a) moves forward as shown in FIG. 16 (a). The pin 140 is pushed up in the upper direction F along the inclination hole 111a and the guide hole 161a of the second inner block 160. As a result, the capture plate 120 moves upward with the link pin 140.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16A and 18B, the protrusions 11a of the rear-side captured member 11 are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ortions 112 of the abutment block 110 described above. It is captured in the form of sandwiching the front and rear from the capture projection 121 of the capture plate 120.

또한, 링크 핀(140)은 상측 F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218)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돌기부(218)의 절결부(262)의 절결면에서 로크되어 있던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제2 캐치부(150)의 로크가 해제되어, 링크 핀(140)의 단부(140a)가 돌기부(218)의 상면을 슬라이드 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link pin 140 moves in the upper F direction, as shown in FIG. 16B, the link pin 140 is locat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18, and therefore, the notched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262 of the protrusion 218. The locked state is released. As a result, the lock of the second catching part 150 is released, so that the end 140a of the link pin 140 can slide free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le sli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18.

또한, 포착판(120)의 위쪽으로의 이동 속도는 경사구멍(111a)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면, 유도구멍(131a)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맞닿음 블록(110)의 이동 속도보다 느리게 할 수 있다. 즉, 포착판(120)은 미닫이문(2)을 개폐시키는 속도(맞닿음 블록(110)의 이동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윗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peed of the upward movement of the capture plate 120 is based on the length of the inclined hole 111a, since the length of the guide hole 131a is short, it can be made slower than the speed of the contact block 110. have. That is, the capture plate 120 is moved upward at a speed slower than the speed of opening and closing the sliding door 2 (moving speed of the contact block 110).

로크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캐치부(150)는 인장 스프링 유닛(225)의 인장 스프링 힘에 의하여, 제1 캐치부(100)측(전측. G방향)으로 밀어붙이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캐치부(150)는 후측의 피포착부재(11)의 고정 위치에서 돌기부(11a)를 포착하면, 그 동작이 완료되고, 그 후에는 인장 스프링 유닛(225) 및 댐퍼 유닛(221)이 동작한다.In the unlocked state, as shown in Fig. 17A,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is pulled by the tension spr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unit 225 to the first catch portion 100 side (front side. G). Direction). In more detail, when the 2nd catch part 150 catches the protrusion part 11a in the fixed position of the to-be-acquired member 11, the operation | movement is completed, and the tension spring unit 225 and the damper thereafter. Unit 221 is operated.

제2 캐치부(150)는 후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면서, G방향으로 이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캐치부(150)는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한 채로 피포착부재(11)의 장착 위치에 머물고, 제2 캐치부(150) 이외의 포착인입기구(20)의 전체가 상대적으로 후측으로 이동한다. 즉, 이 인장 스프링 유닛(225)의 인장 스프링 힘은 미닫이문(2)을 강제적으로 여는 방향으로 밀어붙인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2)이 완전하게 열린 상태까지 안내되게 된다.The second catch portion 150 moves in the G direction while capturing the captured member 11 on the rear side. In other words,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stays 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aptured member 11 while capturing the captured member 11, and the entirety of the capturing lead mechanism 20 other than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remains in place. Moves relatively backwards. That is, the tension spring force of this tension spring unit 225 pushes the sliding door 2 in the forcibly opening direction. As a result, the sliding door 2 is guided to the state where the sliding door 2 is completely opened, as shown in FIG. 3.

또한, 상술한 이동 상태에서는, 인장 스프링 유닛(225)의 스프링 힘에 의하여, 미닫이문(2)이 힘차게 문 버팀쇠(4)에 충돌하지 않도록, 댐퍼 유닛(221)으로 스프링 힘을 완충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moving state, the spr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unit 225 is buffered by the damper unit 221 so that the sliding door 2 does not collide with the door stop 4 forcefully.

반대로, 미닫이문(2)이 완전하게 열린 상태로부터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도 3의 상태로부터 미닫이문을 닫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술한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 된다. 즉, 미닫이문(2)을 전측으로 이동시키면, 후측의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는 포착판(120)의 포착 돌기(121)와 맞닿아, 제2 캐치부(150)가 인장 스프링 유닛(225)의 인장 스프링(226)을 안내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돌기부(11a)는 포착 돌기(121)의 테이퍼 맞닿음면(121a)를 압압하므로, 제2 캐치부(150)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중에 포착판(120)에는 항상 하측으로 눌러 내리는 힘이 작용한다. 이 눌러 내리는 힘은, 링크 핀(140)이 돌기부(218) 위에 있을 때에는, 돌기부(218)가 받치지만, 링크 핀(140)이 돌기부 절제용 구멍(219)의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링크 핀(140)은 돌기부(218)의 절결부(262)를 통하여 하측으로 눌러 내려진다.On the contrary, when the sliding door 2 is moved from the completely open state to the closing direction (moving the sliding door from the state of FIG. 3 to the closing direction), the operation is the reverse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at is, when the sliding door 2 is moved to the front side, the projection part 11a of the captured member 11 of the rear side contacts the capture | acquisition protrusion 121 of the capture plate 120, and the 2nd catch part 150 The tension spring 226 of the tension spring unit 225 moves in the direction of guiding. At this time, since the projection part 11a presses the taper contact surface 121a of the capture | acquisition protrusion 121, it always presses down to the capture plate 120 during the movement of the 2nd catch part 150 to the front-back direction. Force is at work The pushing force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218 when the link pin 140 is on the protrusion 218, but when the link pin 140 reaches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cutting hole 219, the link pin 140 reaches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218. The pin 140 is pushed down through the cutout 262 of the protrusion 218.

또한, 상술한 하측으로 눌러 내리는 힘이 작용하고 있을 때, 링크 핀(140)의 단부(140a)가 돌기부(218) 위에 압착되어 있으므로, 제2 캐치부(150)의 이동중에 진동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제2 캐치부(150)의 이동에 의해 제1 캐치부(100)에 전달되는 진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제1 캐치부(100)의 로크가 빠지는 등의 오동작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In addition, since the end 140a of the link pin 140 is squeezed onto the protrusion 218 when the above-described downward force is acting, vibration hardly occurs dur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catch 150. . Therefore,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1st catch part 100 can be suppressed small by the movement of the 2nd catch part 150, and malfunctions, such as the lock of the 1st catch part 100, are hard to arise. Lose.

이에 의해, 포착판(120)은 돌기부 절제구멍(219)(절결부(262))의 위치에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포착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링크 핀(140)의 단부(140a)는 절결부(262)의 절결면에 맞닿음으로써 전후방향으로 로크되어, 제2 캐치부(150)가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게 된다.As a result, the capture plate 120 moves downward from the position of the projection cutout hole 219 (cutout portion 262), whereby the captured state is released. In addition, the end 140a of the link pin 140 is lock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contacting the cut-out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262, so that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cannot freely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맞닿음 블록(110)은 압축 코일 스프링(113)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힘이 촉진(보조)되게 된다. 이에 의해, 포착 해제시의 링크기구의 움직임이 보다 원활하게 행해진다.In addition, the contact block 110 is accelerated (assisted) by the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13 to push back. As a result, the movement of the link mechanism at the time of capture release is performed more smoothly.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체 완충 장치에 의하면, 미닫이문(2)을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의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각각에 설치된 피포착부재(11)와, 미닫이문(2)에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1) 위를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포착인입기구(20)를 구비하고, 포착인입기구(20)는 닫힘 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고 있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포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이 로크되는 제1 캐치부(100)와, 열림 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고 있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포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이 로크되는 제2 캐치부(150)와,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를 개폐 방향으로 연결하고, 제1 캐치부(100)가 닫힘 측의 포착부재(11)를 포착하였을 때에, 제1 캐치부(100)을 제2 캐치부(150) 측으로 인입하고, 제2 캐치부(150)가 열림 측의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였을 때에, 제2 캐치부(150)를 제1 캐치부(100) 측으로 인입하는 인장 스프링(226)과, 인장 스프링(226)이 제1 캐치부(100) 또는 제2 캐치부(150)를 입입하는 힘을 완충하는 댐퍼 유닛(221)을 구비한 개폐체 완충 장치로서, 제1 캐치부(100) 및 제2 캐치부(150)는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판(120)(포착부재), 및 미닫이문(2)을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피포착부재(11)와 맞닿아 압압됨으로써 포착부재(11)를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110)을 각각 갖고,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할 때에, 피포착부재(11)에 대하여 맞닿음 블록(110)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미닫이문(2)을 힘차게 개폐하였더라도, 맞닿음 블록(110)이 이동하여 제1 캐치부(100)(또는, 제2 캐치부(150))에서의 맞닿을 때의 충격이 작게 억제되도록 된다. 그 때문에, 포착 동작에 의한 진동이 전달되는 제2 캐치부(150)(또는, 제1 캐치부(100))로, 그 전달되는 진동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진동이 전달되는 제2 캐치부(150)(또는, 제1 캐치부(100))로, 진동에 의한 오동작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to-be-adhered member 11 provided in each of the opening side and the closing side of the guide rail 1 which guides the sliding door 2 so that a movement is possible, and the sliding door (2) is provided with a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configured to be movable on the guide rail (1)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nd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has captured the captured member (11) on the closed side. I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t the time, and moves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when the first catch part 100 and the captured member 11 on the open side are locked when the movement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is locked when not being captured. It is comprised so that the 2nd catch part 150 and the 1st catch part 100 and the 2nd catch part 150 which lock the movement to an opening-closing direction when it is not capturing can be connected, 1 when the catch 100 catches the capturing member 11 on the closed side When the first catch part 100 is led to the second catch part 150 side and the second catch part 150 catches the captured member 11 on the open side, the second catch part 150 is held. The tension spring 226 which draws into the 1st catch part 100 side, and the damper unit 221 which buffers the force which the tension spring 226 enters the 1st catch part 100 or the 2nd catch part 150. (1), the first catching part (100) and the second catching part (150) are a catching plate (120) (capturing member) for capturing the member (11), and a sliding door ( Abutting block for contacting the captured member 11 by the opening and closing force for moving the 2) along the guide rail 1 to press the captured member 11 to linearly move the capturing member 11 to capture the captured member 11; Each of the holding doors 110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block 110 is pressed against the captured member 11 when the captured member 11 is captured. Even if it opens and closes, the contact block 110 moves, and the impact at the time of the contact by the 1st catch part 100 (or the 2nd catch part 150) is suppressed small. Therefore, the transmitted vibration can be made small by the 2nd catch part 150 (or 1st catch part 100) to which the vibration by a capture operation is transmitted. Therefore,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or the first catch portion 100) through which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can prevent the malfunction caused by the vibration from occurring.

또한, 미닫이문(2)을 힘차게 개폐시킨 경우로서, 인장 스프링(226)이 포착판(120)을 인입하는 속도보다 댐퍼 유닛(221)이 축장하는 속도가 빨라져서, 인장 스프링(226)의 밀어붙이는 힘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더라도, 맞닿음 블록(110)이 피포착부재(11)에 압압되어 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한, 포착 동작이 해제될 일은 없다. 그 때문에, 포착 동작중에 이러한 오동작이 생기는 일이 없어, 신뢰성이 높은 개폐체 완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liding door 2 is opened and closed vigorously, the damper unit 221 extends fast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tension spring 226 pulls in the capture plate 120, so that the tension spring 226 is pushed. Even if the force cannot be exerted, the capturing operation is not released as long as the abutting block 110 is pressed against the captured member 11 and moved in the pressing direction. Therefore, such a malfunction does not occur during the capturing operation, and a highly reliable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can be provided.

또한, 미닫이문(2)을 힘차게 개폐하였더라도, 맞닿음 블록(110)이 이동하여 피포착부재(11)에 맞닿는 기세를 완충함으로써, 포착시에 맞닿음 블록(110)과 피포착부재(11)이 접촉할 때의 결합음(충돌음)을 억제하여, 결합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sliding door 2 is opened and closed vigorously, the contact block 110 is moved to buffer the force of contact with the captured member 11, so that the contact block 110 and the captured member 11 at the time of capture. The coupling sound (collision sound) at the time of contact can be suppressed, and the coupling sound can be made smaller.

또한, 포착판(120)이 미닫이문(2)을 개폐시키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포착판(120)이 이동하는 기세를 누그려 뜨려, 포착판(120)을 천천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착시에 포착판(120)이 상한까지 이동하였을 때에, 링크 핀(140)과 유도구멍(131a) 혹은 경사구멍(111a)의 상단부와의 충돌음을 억제하여, 동작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pture plate 120 is moved at a slower speed than the speed at which the sliding door 2 is opened and closed, the capture plate 120 can be moved to decelerate the moving plate to slowly move the capture plate 120. have. This suppresses the collision sound between the link pin 140 and the upper end of the guide hole 131a or the inclined hole 111a when the capture plate 120 moves to the upper limit at the time of capturing, thereby making the operation sound smaller. Can be.

또한, 포착인입기구(20)는 미닫이문(2)을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포착판(120) 및 맞닿음 블록(110)을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포착판(120)을 회동하지 않고,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게 된다. 그 때문에, 회동 동작에 의해 결합 혹은 결합 해제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고, 부드럽게 동작하므로, 포착시의 진동이나 결합음을 작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is provided with a link mechanism for linearly sliding the capture plate 120 and the contact block 110 by the opening and closing force for moving the sliding door 2 along the guide rail (1). Since the capture plate 120 is rotated, the captured member 11 is captured while the slide plate moves. Therefore, compared with the structure which engages or disengages by a rotation operation | movement, it does not apply an excessive force and it operates smoothly, and it can reduce the vibration at the time of capture and a coupling sound.

또한, 링크기구는 포착판(120)에 장착된 링크 핀(140)과 링크 핀(140)이 삽입 통과되는 유도구멍(131a)을 갖고, 유도구멍(131a)을 따라 포착판(1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내포 블록(130, 160)과, 맞닿음 블록(110)으로 구성되고, 맞닿음 블록(110)에는, 링크 핀(140)이 삽입 통과되는 경사구멍(111a)이 형성되어, 피포착부재(11)에 압압되었을 때에, 경사구멍(111a)을 따라 포착판(1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경사구멍(111a)을 따라 맞닿음 블록(110)이 제1 및 제2 내포 블록(130, 16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링크기구에 의해, 포착판(120)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맞닿음 블록(110)이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간단하고 쉬운 구조로 링크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 mechanism has a link pin 140 mounted on the capture plate 120 and a guide hole 131a through which the link pin 140 is inserted, and moves up and down the capture plate 120 along the guide hole 131a. And an inclination hole 111a through which the link pin 140 is inserted, the first and second nesting blocks 130 and 160 and the abutment block 110 to move to the abutment block 110. Is formed, and when it is pressed by the to-be-acquired member 11, while moving the capture | acquisition plate 120 to an up-down direction along the inclined hole 111a, the contact block 110 along the inclined hole 111a is made | formed Since the first and second nested blocks 130 and 160 are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contact block 110 moves back and forth while the capture plate 120 moves up and down by the link mechanism. As a result, the link mechanism can be configured with a simple and easy structure.

또한, 링크기구에는, 제1 및 제2 내포 블록(130, 160)과 맞닿음 블록(110) 사이에, 개폐 방향으로 축장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113)(제2 탄성체)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 탄성체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맞닿음 블록의 이동을 완충하고, 또한 포착 해제시의 복귀 동작을 촉진하게 된다. 그 때문에, 미닫이문(2)의 개폐력을 완충할 수 있음과 함께, 포착판(120)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복귀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link mechanism is provided with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13 (2nd elastic body) extended in the opening-and-closing direction between the 1st and 2nd containment blocks 130 and 160 and the contacting block 110, 2 The elastic body buffers the movement of the contact block which mov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promotes the return operation at the time of capture release. Therefore, the opening and closing force of the sliding door 2 can be buffered, and the return operation | movement which the capture plate 120 moves below can be assisted.

또한, 포착인입기구(20)는 포착판(120)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착 해제하였을 때에, 인장 스프링(226)의 밀어붙이는 힘을 유지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한쪽 측의 제1 캐치부(100)(혹은 제2 캐치부(150)) 측에, 다른 쪽 측의 제2 캐치부(150)(혹은 제1 캐치부(100))를 인입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1개의 인장 스프링(226)으로 서로 끌어당기도록 되어,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20 includes a lock mechanism that holds the push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226 when the capture plate 120 is slid and moved to release the capture plate 120, the first catch portion (1) on one side ( The second catch portion 150 (or the first catch portion 100) on the other side may be introduced into the 100 (or second catch portion 150) side. Therefore, the tension springs 226 are attracted to each other, whereby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또한, 로크기구는 포착판(1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동작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포착판(120)의 상하 이동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로크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회동하는 동작이 아니라 직선적으로 이동하므로, 로크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회동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결합 또는 결합 해제시의 진동이나 소리를 작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ck mechanism is operated by moving the capture plate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ck mechanism can be simply configured by us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apture plate 120. In addition, since it moves linearly instead of rotating, the loc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and the vibration and sound at the time of engagement or disengagement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rotating structure.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체 완충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미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의거하여 각종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switching body shock absorbe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which was demonstrated previously,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nd a change are possible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is invention.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닫이문(2)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서랍이나 좌우 여닫이의 문 등을 개폐하는 경우이라도, 문을 강제적으로 닫히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장치이라면,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although the sliding door 2 is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long as the device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forcibly closing the door even when opening or closing a drawer, a left or right door or the lik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닫이문의 상부에 개폐체 완충 장치(10)를 설치하고 있지만, 하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즉, 가이드 레일(1)을 개구부의 하연부(下椽部)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이라도,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완충 장치(20)를 그 하부에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switching body shock absorber 10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a sliding door, it can also be provided in the lower part. That is, even when the guide rail 1 is attached to the lower edge of the opening portion,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장 스프링(226) 및 압축 코일 스프링(113)을, 탄성체인 스프링으로서 기재하였지만,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탄성에 의해 밀어붙이는 힘을 일으키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tension spring 226 an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13 were described as a spring which is an elastic body, it is not limited to a spring. That is, it can be us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causes a pushing force by elasticity.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레일(1) 측에 피포착부재(11)를 장착하고, 미닫이문(2) 측에 포착인입기구(20)를 장착하고 있지만, 반대이라도 상관없다. 이에 의하면, 미닫이문(2)의 구조에 맞추어, 장착하기 쉬운 쪽에 포착인입기구(20)를 구성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가 넓어진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to-be-attached member 11 is attached to the guide rail 1 side, and the capture | acquisition insertion mechanism 20 is attached to the sliding door 2 side, it may be reversed.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capture | acquisition insertion mechanism 20 can be comprised in the side which is easy to moun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liding door 2, and design freedom is extended.

1 : 가이드 레일(고정부재)
1a : 전동면
2 : 미닫이문(개폐체)
3, 4 : 문 버팀쇠
5 : 매달림부
10 : 개폐체 완충 장치
11 : 피포착부재
11a : 돌기부
20 : 포착인입기구
21 : 가이드 롤러
100 : 제1 캐치부
110 : 맞닿음 블록
111 : 본체부
111a : 경사구멍
112 : 받침부
112a : 맞닿음면
113 : 압축 코일 스프링(제2 탄성체)
120 : 포착판(포착부재)
121 : 포착돌기
121a : 테이퍼 맞닿음면
122 : 보조돌기
130 : 제1 내포 블록
131 : 외곽부
131a : 유도구멍
131b : 받침면
131c : 네크부 수용홈
132 : 지지부
132a : 장착홈
133, 134 : 안내 돌기부
135, 136 : 슬라이드 돌기
140 : 링크 핀
140a : 단부
150 : 제2 캐치부
160 : 제2 내포 블록
161a : 외곽부
161b : 받침면
161c : 네크부 수용홈
161d : 인장 스프링 유닛 수용홈
162 : 지지부
162a : 장착홈
163, 164 : 안내 돌기부
165, 166 : 슬라이드 돌기
167 : 댐퍼 수용홈
168 : 후단 지지부
170 : 장착 커버
200 : 인입부
210 : 가이드부
210a : 내측면
210H : 저면부
210S : 측부
211 : 가이드 구멍
211a : 전후 긴 구멍
211b : 상하 긴 구멍
212 : 장착 구멍
213 : 장착 나사
214 : 연장부
215 : 장착 핀
216 : 장착 구멍
217 : 저부 사각 구멍
218 : 돌기부
219 : 돌기부 절제용 구멍
221 : 댐퍼 유닛(완충부재)
221a : 출력축
221b : 유닛 본체
225 : 인장 스프링 유닛
226 : 인장 스프링(제1 탄성체)
227 : 스프링 받침부
227a : 네크부
230 : 결합돌기
240 : 전측 장착 블록
241 : 상하 관통 구멍
242 : 좌우 관통 구멍
243 : 수평부
250 : 후측 장착 블록
251 : 좌우 관통 구멍
260 : 단차부
261 : 홈부
262 : 절결부
300 : 매달림부
310 : 전측 가이드 롤러부
311 : 하측 돌출부
311a : 장착 구멍
312 : 회전축
320 : 고착 유닛
321 : 조정부
400 : 후측 가이드 롤러부
401 : 장착 커버
401b : 결합 구멍
402 : 회전축
1: guide rail (fixing member)
1a: raceway
2: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body)
3, 4: door stop
5: hanging part
10: switchgear shock absorber
11: member
11a: protrusion
20: capture entry mechanism
21: guide roller
100: first catch part
110: contact block
111: main body
111a: inclined hole
112: support portion
112a: butting surface
113: compression coil spring (second elastic body)
120: capture plate (capture member)
121: capture protrusion
121a: taper contact surface
122: auxiliary protrusion
130: first nested block
131: outskirts
131a: guide hole
131b: Supporting surface
131c: neck receiving groove
132: support
132a: mounting groove
133, 134: guide protrusion
135, 136: Slide projection
140: link pin
140a: end
150: second catch part
160: second nested block
161a: Outer part
161b: support surface
161c: neck receiving groove
161d: Tension Spring Unit Receiving Groove
162 support part
162a: mounting groove
163, 164: guide protrusion
165, 166: Slide projection
167: damper receiving groove
168: rear end support
170: mounting cover
200: inlet
210: guide part
210a: inner side
210H: Bottom part
210S: Side
211 guide hole
211a: long hole before and after
211b: upper and lower long holes
212 mounting holes
213: mounting screw
214 extension
215: mounting pin
216: mounting hole
217 bottom square hole
218: protrusion
219: hole for excision of the protrusion
221 damper unit (buffer member)
221a: output shaft
221b: unit body
225: tension spring unit
226: tension spring (first elastic body)
227: spring bearing
227a: neck part
230: engaging projection
240: front mounting block
241: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242: left and right through holes
243: horizontal section
250: rear mounting block
251: left and right through holes
260 step
261 groove
262: notch
300: hanging part
310: front side guide roller portion
311: lower protrusion
311a: mounting hole
312: axis of rotation
320: fixing unit
321: adjusting unit
400: rear guide roller portion
401: mounting cover
401b: coupling hole
402: axis of rotation

Claims (8)

개폐체 또는 상기 개폐체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의 열림 측 및 닫힘 측의 각각에 설치된 피포착(被捕捉)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기 개폐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포착인입기구(捕捉引入機構)를 구비하고,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닫힘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있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포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이 로크(lock)되는 제1 캐치부(catch portion)와,
열림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있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포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이 로크되는 제2 캐치부와,
상기 제1 캐치부 및 상기 제2 캐치부를 개폐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캐치부가 닫힘 측의 상기 포착부재를 포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1 캐치부를 상기 제2 캐치부 측으로 인입하고, 상기 제2 캐치부가 열림 측의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2 캐치부를 상기 제1 캐치부 측으로 인입하는 제1 탄성체와,
상기 제1 탄성체가 상기 제1 캐치부 또는 상기 제2 캐치부를 인입하는 힘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한 개폐체 완충 장치로서,
상기 제1 캐치부 및 제2 캐치부는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부재, 및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하여 상기 피포착부재와 맞닿아 압압(押壓)됨으로써 상기 포착부재를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을 각각 갖고,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할 때에, 상기 피포착부재에 대하여 상기 맞닿음 블록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A member to be attached to each of the opening side and the closing side of any one of an opening body and a fixing member movably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A trapping and retracting mechanism attached to either the fixing member or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and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The capture insertion mechanism,
A first catch portion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when the captured member on the closing side is captured, and to mov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when not being captured;
A second catch portion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when the captured member on the opening side is captured, and to move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when not being captured;
When the first catch portion and the second catch portion are connect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when the first catch portion catches the capturing member on the closed side, the first catch portion is drawn in to the second catch portion side, and the second catch portion A first elastic body for introducing the second catch portion to the first catch portion side when the catch portion catches the captured member on the open side;
An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comprising a shock absorbing member for absorbing a force for the first elastic body to pull in the first catch portion or the second catch portion,
The first catch portion and the second catch portion are pressed against the captured member by a capture member for catching the captured member, and an opening and closing force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long the fixing member. Each having a contact block for linearly moving the capturing member to capture the capturing member;
And a capturing member, which is configured to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block is pressed against the captured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포착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포착인입기구가 상기 개폐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apturing member is mounted to the fixing member, and the capturing lead mechanism is moun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개폐체를 개폐시키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capturing member moves at a speed slow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cap is opened and clos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하여 상기 포착부재 및 상기 맞닿음 블록을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the capturing and retracting mechanism has a link mechanism for linearly sliding the capturing member and the abutment block by an opening and closing force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along the fixing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포착부재에 장착된 링크 핀과,
상기 링크 핀이 삽입 통과되는 유도(誘導)구멍을 갖고, 상기 유도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내포(內包)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맞닿음 블록에는, 상기 링크 핀이 삽입 통과되는 경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피포착부재에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경사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맞닿음 블록이 상기 내포 블록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ink mechanism,
A link pin mounted to the capturing member;
An inner block having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link pin is inserted, and moving the capture member up and down along the guide hole;
The contact block,
The contact block is formed with an inclined hole through which the link pin is inserted. When the contact member is pressed, the contact block moves the capturing member along the inclined ho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block.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에는 상기 내포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 사이에, 개폐 방향으로 축장(縮長)하는 제2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said link mechanism is provided with the 2nd elastic body extended in the opening-and-closing direction between the said containment block and the said contact block, The switching body shock absorb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포착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착 해제하였을 때에, 상기 제1 탄성체의 밀어붙이는 힘을 유지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the capturing and retracting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chanism for holding the push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when the capturing member is slid and the capturing member is releas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lock mechanism is operated by moving the captur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KR1020130017464A 2012-02-22 2013-02-19 Damp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door KR10201298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35944 2012-02-22
JP2012035944A JP5982132B2 (en) 2012-02-22 2012-02-22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657A true KR20130096657A (en) 2013-08-30
KR102012983B1 KR102012983B1 (en) 2019-08-21

Family

ID=4921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464A KR102012983B1 (en) 2012-02-22 2013-02-19 Damp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do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982132B2 (en)
KR (1) KR10201298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846B1 (en) * 2015-12-03 2016-06-22 (주)메탈프린스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1128B2 (en) * 2014-03-11 2018-12-19 株式会社小林製作所 Receiving member structure and sliding door including the same
JP5638717B1 (en) * 2014-06-12 2014-12-10 家研販売株式会社 Trigger device
JP6512403B2 (en) * 2015-05-18 2019-05-15 ケージーパルテック株式会社 Buffer 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JP6455883B2 (en) * 2015-06-30 2019-01-23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JP6877710B2 (en) 2016-09-30 2021-05-26 株式会社Lixil Switchgea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301A (en) * 2005-01-24 2006-08-03 Tostem Corp Pull-in device for sliding door
JP2007177611A (en) * 2005-11-30 2007-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liding door device
JP2009127293A (en) 2007-11-22 2009-06-11 Shimodaira:Kk Door closing implement and door 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JP2010001684A (en) * 2008-06-23 2010-01-07 Jeo Prince Takeshita Kk Arm stopper for door
KR20110126702A (en) * 2009-02-16 2011-11-23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Moving body mov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012A (en) * 2008-11-04 2010-05-20 Nifco Inc One-way movement mechanism of movable body
JP5726556B2 (en) * 2011-02-02 2015-06-03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Opening and closing body clos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301A (en) * 2005-01-24 2006-08-03 Tostem Corp Pull-in device for sliding door
JP2007177611A (en) * 2005-11-30 2007-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liding door device
JP2009127293A (en) 2007-11-22 2009-06-11 Shimodaira:Kk Door closing implement and door 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JP2010001684A (en) * 2008-06-23 2010-01-07 Jeo Prince Takeshita Kk Arm stopper for door
KR20110126702A (en) * 2009-02-16 2011-11-23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Moving body mov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846B1 (en) * 2015-12-03 2016-06-22 (주)메탈프린스 Device For Stopping A Bidirectional Sliding Door At A Right 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70415A (en) 2013-09-02
JP5982132B2 (en) 2016-08-31
KR102012983B1 (en)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983B1 (en) Damp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door
JP3125539U (en) Automatic closing device with drawer slide rail
JP4751607B2 (en) Self-running mechanism, sliding door mechanism, and drawer mechanism
JP5165769B2 (en) Latch device
KR101209406B1 (en) Retraction mechanism
KR101233874B1 (en) One-way movement mechanism of turning body
KR20130014557A (en) Drawer device and drawer main body employing same
JP5726556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closing device
KR20140015444A (en) Assist device for movable body
KR101746737B1 (en) Damper for Out Door of Furniture
WO2010092697A1 (en) Moving body moving apparatus
KR101524829B1 (en) Damping Device for Door of Furniture
KR101254436B1 (en) Assist mechanism for pivoting body
JP2007016521A (en) Buffer, opening/closing device
KR20170071843A (en) Push open slide apparatus
JP5889666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shock absorber and method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ame
KR101387947B1 (en) Self closing device for drawer
KR100833322B1 (en) Rail apparatus of drawer type storeroom
TWI424116B (en) Pull-in mechanism
JP5035968B2 (en) Shock absorber
JP2014231712A (en) Pull-out structure of sliding door
KR102354266B1 (en) Slider shock absorber with improved assembly
JP3138284U (en) Sliding door storage furniture with buffer function
JP5726559B2 (en) Opening / closing body closing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 detaching the same
CN108720381B (en) Clutch for furnitur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