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423A -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423A
KR20130096423A KR1020120017852A KR20120017852A KR20130096423A KR 20130096423 A KR20130096423 A KR 20130096423A KR 1020120017852 A KR1020120017852 A KR 1020120017852A KR 20120017852 A KR20120017852 A KR 20120017852A KR 20130096423 A KR20130096423 A KR 20130096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ultimedia device
data
posture
graphic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447B1 (ko
Inventor
강민구
이쌍수
한성우
조기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7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4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8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mapping a matrix of displayed objects on the screen to the numerical key-matrix of the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카메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면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영상을 처리하여 사용자 영역을 구분하는 영상구분부와, 상기 구분된 사용자 영역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또는 자세를 인식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인식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생성된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상기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달리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MULTIMEDIA DEVICE FOR PROVIDING A DIFFERENT INTERFACE DEPENDING ON THE LOCATION OR POSITION OF U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자세가 위치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를 효율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elevision),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에 해당한다.
최근 텔레비전(Television)을 비롯하여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단순하게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이외에,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이메일, 웹 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크린에 추가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메뉴를 비롯하여 각종 애플리케이션 관련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은 종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스크린에 메뉴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수직, 수평화된 레이아웃으로 메뉴를 디스플레이함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모션 리모콘 등의 다양한 형태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고 이용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수평화된 레이아웃으로 메뉴를 구성하는 경우, 메뉴 구성에 따라 움직임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양한 자세에서는 조작이 힘든 경우가 있다.
도 2는 종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메뉴 레이아웃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기 위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메뉴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a,b)을 해야만 한다.
즉, 스크린 하단 부분에서 수평 방향으로 메뉴(10)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시작점(30)이 스크린의 한가운데 위치하였다면, 특정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포인터를 아래 방향으로 움직여야만 한다(a).
또한, 스크린의 오른쪽에 수직 방향으로 메뉴(20)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시작점(40)이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의 하단에 위치하였다면, 상단의 위치한 특정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포인터를 위쪽 방향으로 움직여야만 한다(b).
이와 같이, 종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수직 또는 수평 방향 등과 같이 고정된 레이아웃으로 메뉴를 구성한다. 따라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시작점에서 전 방향으로의 이동이 필요하다. 이때, 사용자가 누워 있는 경우 등과 같이 움직임이 불편한 상황이라면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손목을 꺾어야 하는 등의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조작하기 편리한 메뉴 레이아웃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스크린의 포인터의 시작 위치에 따라 조작하기 편리한 메뉴 레이아웃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의 사이즈를 조절하거나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스크린의 포인터의 이동 속도 및 비율을 달리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카메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면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영상을 처리하여 사용자 영역을 구분하는 영상구분부와, 상기 구분된 사용자 영역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또는 자세를 인식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인식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생성된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상기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달리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움직임 신호의 궤적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움직임 궤적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조작하기 편리한 메뉴 레이아웃을 제공하여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스크린의 포인터의 시작 위치에 따라 메뉴 레이아웃을 제공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를 불필요하게 많이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의 사이즈를 조절하거나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스크린의 포인터의 이동 속도 및 비율을 달리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맞춤형 조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종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스크린에 메뉴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메뉴 레이아웃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기 위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영역을 구분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위치에 따라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달리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그래픽 데이터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에 따라 기설정해둔 메뉴 레이아웃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달리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리모트 콘트롤러의 움직임 궤적에 대응하여 메뉴를 레이아웃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 궤적을 인식하기 위하여 스크린 영역을 분할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도 12에 따른 분할된 스크린 영역을 이용하여 움직임 궤적을 인식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에서 인식된 움직임 궤적에 따라 메뉴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움직임 궤적을 등록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다만,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이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달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이용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 및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함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이동 속도 등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접하는 이용 환경을 모두를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300)는 방송수신부(3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 영상수신부(331), 메모리(340), 디스플레이부(350), 오디오출력부(351), 전원공급부(353), 유저 인터페이스(360), 컨트롤러(370), 영상구분부(380) 및 사용자인식부(390)를 포함한다.
방송수신부(310)는 튜너(미도시), 복조부(미도시)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를 구비하면서 튜너와 복조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복조부는 튜너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컨트롤러(370)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3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컨트롤러(37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출력부(351)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외부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BD(Blu-ray Disc,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370) 또는 메모리(3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3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메모리(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도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36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37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3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36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200)로부터 전원 온(on)/오프(off),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3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0)는 컨트롤러(3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5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오디오출력부(351)는 컨트롤러(3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출력부(351)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353)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3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컨트롤러(3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35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출력부(35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사용자 입력을 유저 인터페이스(36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대해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특히,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수신부(331)는 카메라로부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면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한다. 상기 카메라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내장된 내장형 카메라일 수 있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연결시킬 수 있는 외장형 카메라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카메라로부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면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것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에서 할 수도 있다.
내장형 카메라인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스크린이 구비된 전면이 좌우측부의 2개소에 배치할 수 있다. 카메라를 2개소에 배치할 경우, 피사체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의 거리도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인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와 카메라와의 각도차에 따른 인식 오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외장형 카메라를 이용할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상 입력 단자에 카메라 출력단을 연결하면 된다. 종래의 내장형 카메라가 구비되지 않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도 간편하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원공급부(353)를 통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카메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카메라가 작동하여 카메라 앞 사용자의 화상을 촬영한다. 이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면을 촬영하기 적절하도록 카메라의 각도와 줌 기능은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면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면에서 사용자들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고 이용할 수 있는 범위를 포함할 수 있는 범위로 촬영된 영상이다.
영상구분부(380)는 상기 영상수신부(331)에서 수신한 영상을 처리하여 사용자 영역을 구분한다. 상기 영상구분부(380)는 카메라가 아날로그 카메라일 경우, 화상의 디지털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위치 및 자세를 판별하기 위하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로 촬영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면 범위는 거의 일정하므로, 상기 영상구분부(380)는 촬영되는 영상에 대응하여 미리 영역을 분할해둘 수 있다. 상기 분할된 영역에 대해서,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 다른 신체 부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차지하는 영역을 사용자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영상구분부(380)에서 사용자의 얼굴 등을 인식하는 방법은, 종래 공지된 화상 인식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방법의 일실시예로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여 피부색 정보 및 환경 정보(조명, 배경 등)인 차 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기반으로 손, 발 영역 등의 다른 신체 부위를 인식하여 사용자 영역을 구분해낼 수 있다.
특히, 얼굴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은 종래의 'Adaboosting'을 이용한 'OpenCV' 얼굴 검출기를 이용하거나, 대칭축을 이용한 얼굴 검출기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인식부(390)는 구분된 사용자 영역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또는 자세를 인식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사용자인식부(390)는 기저장된 기준 영역에 관한 데이터에 상기 구분된 사용자 영역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자세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기저장된 기준 영역은 상기 영상구분부(380)에서 분할해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 사용자의 자세 데이터 및 사용자의 신체의 특정 부위의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는 얼굴, 손, 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인식부(390)에서 사용자의 위치 또는 자세를 인식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영상구분부(380)에서 구분된 사용자 영역이 기저장된 기준 영역에서 하단 부분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는 누워있거나 소파의 아래 앉아 있다고 자세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기저장된 기준 영역에서 오른쪽 부분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가 오른쪽에 치우쳐서 앉아 있다고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위치나 자세에 대하여 미리 정의하여 분류하여 두고, 분류 코드로서 위치 데이터 및 자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인식부(39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위치 또는 자세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달리할 수 있는데, 우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달리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정에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족 구성원들이 소파에 앉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도 있고, 혼자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면,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이 어렵지 않지만, 사용자가 측면에 치우쳐 위치하는 경우에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에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좌측에 앉은 경우 좌측에 수직형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구성을 보는 것이나 선택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사용자가 우측에 앉은 경우 우측에 수직형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구성을 보는 것이나 선택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누워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위쪽으로 올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조작이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뉴 레이아웃을 달리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영역을 구분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구분부(380)에서 사용자 영역을 구분하면, 상기 사용자인식부(390)에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분할된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가 어떤 영역들에 해당하는지에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를 기저장해두고 이를 참조하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즉, 분할된 영역 조합별로 사용자의 위치를 매칭하여 메모리(340)에 저장해두고, 사용자인식부(390)는 영상구분부(380)에서 구분된 사용자 영역에 따라 상기 메모리(340)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5에서 사용자가 2명이고, 좌측에 1명, 우측에 1명 위치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러(370)는 생성된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달리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350)는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컨트롤러(370)의 제어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그래픽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메뉴(예를 들어, 채널 조정, 볼륨 조정 등)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위치에 따라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달리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치우쳐서 위치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달리 디스플레이하였다.
도 5에서 인식한 사용자(510)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오른쪽에 치우친 경우로 판단하여, 왼쪽에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럼, 오른쪽에 치우친 사용자(510)는 리모트 컨트롤러(620)에 대응하는 포인터(621)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인식한 사용자(520)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왼쪽에 치우친 경우로 판단하여, 오른쪽에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럼, 왼쪽에 치우친 사용자(520)는 리모트 컨트롤러(610)에 대응하는 포인터(611)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370)는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점에서 특정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기설정된 구성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에는 사용자가 가운데를 기준으로 측면에 치우친 경우만을 일실시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가 바닥에 있는 경우에는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하단에 수평형으로 레이아웃 되도록 하는 등, 특정 방향에 따라 편리한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70)는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점에서 특정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그래픽 데이터의 사이즈를 기설정된 사이즈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그래픽 데이터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기준으로 사용자가 왼쪽 측면에 위치한 경우, 그래픽 데이터가 왼쪽 측면에 디스플레이된다면 조작이 불편하다. 따라서, 오른쪽에 디스프렐이되도록 레이아웃을 구성함과 동시에, 조작이 용이하도록 사이즈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사이즈를 확대하는 경우에 기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보다 그 개수가 줄어들어야 하므로 핫키(hot key) 또는 기본 메뉴 등으로 디스플레이할 메뉴를 줄여서 사이즈를 확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에 따라 기설정해둔 메뉴 레이아웃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레이아웃의 형태를 기설정해두고,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레이아웃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설정된 메뉴 레이아웃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사용자의 자세 데이터에 따라서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사용자 자세에 따라 달리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컨트롤러(370)는 사용자의 자세 데이터가 기설정된 자세에 해당하는 경우, 그래픽 데이터가 기설정된 레이아웃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그래픽 데이터가 기설정된 사이즈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정에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워서 편안하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자가 누운 경우, 스크린 기준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보다는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이 더 용이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달리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0과 같이 스크린의 하단에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면,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조작하기 훨씬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누운 경우에는 팔을 위로 드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하단으로 전체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자세에 따라 편리한 조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그래픽 데이터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도 있다. 특히, 거리가 먼 경우 그래픽 데이터가 잘 안보일 수도 있고, 너무 작은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가까이에서 이용하게 되는 안 좋은 습관이 생길 수 있으므로, 설정된 바에 따라 그래픽 데이터의 사이즈도 컨트롤러(370)에 의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누워 있는 자세라 할지라도 그 자세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기 편한 방향이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다. 손목의 유연성에 따라 그 조작 방향에 대한 편의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조작 방향으로 메뉴를 레이아웃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저 인터페이스(360)를 통해 메뉴 디스플레이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처음에 조작하는 움직임 등을 인식하여 조작 방향에 대응하여 메뉴가 레이아웃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메뉴 디스플레이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는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메뉴 선택 버튼을 통해 발생하는 신호일 수 있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발생하는 신호일 수도 있다.
메뉴 디스플레이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유저 인터페이스(360)는 리모트 컨트롤러(220)의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인식부(390)에서 움직임 신호의 궤적을 인식한다. 상기 컨트롤러(370)가 상기 인식된 움직임 궤적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350)는 상기 생성된 레이아웃으로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리모트 콘트롤러의 움직임 궤적에 대응하여 메뉴를 레이아웃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a)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요청하면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조작하기 편한 방향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움직여서 움직임 신호를 발생시킨 일실시예이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움직임으로 움직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특정 경로를 반복하여 움직이는 신호에 대하여 움직임 신호로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인식된 움직임 신호의 궤적을 도 11의 (a)에서 도시하였다.
도 11의 (b) 및 (c)는 상기 움직임 신호에 대응하여 컨트롤러(370)의 제어하에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다만, 도 11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움직임 궤적이 짧은 경우, 그 궤적 내에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그에 따라, 핫키(hot key), 간단한 기본 메뉴만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해둘 수 있고, 궤적 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사이즈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되고,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누워있는 경우 도 11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더욱 편할 수 있으며, 도 11의 (c)와 같이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다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과 동일하여 편안함을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항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 궤적을 인식하기 위하여 스크린 영역을 분할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인식부(39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영역을 가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 신호에 해당하는 영역들을 기억하여 컨트롤러(370)로 전송한다.
도 13a는 도 12에 따른 분할된 스크린 영역을 이용하여 움직임 궤적을 인식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b는 도 13a에서 인식된 움직임 궤적에 따라 메뉴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식부(390)는 리모트 컨트롤러(1300)에 대응하는 포인터(1301)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 신호가 해당하는 분할된 영역을 인식하고,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370)는 움직임 신호가 발생한 영역(1320)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300)를 이용하여 조작하기 편한 범위 내에서 제어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움직임 궤적을 등록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매번 사용할 때마다 움직임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에 대응하여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특정 자세를 주로 취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더욱 그러하다. 그에 따라, 도 14와 같이, 움직임 궤적을 메모리(340)에 등록하여 두고, 등록된 움직임 궤적이 인식되었을 때 기설정된 영역에 정해진 레이아웃으로 그래픽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메모리(340)에 움직임 궤적을 등록해두는 것 이외에, 사용자의 자세 데이터 또는 위치 데이터 등을 등록해두고, 해당 자세 데이터 또는 위치 데이터인 경우 그에 대응하여 매칭된 레이아웃으로 그래픽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70)는 사용자의 자세가 기설정된 자세 데이터 또는 위치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응하여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가 움직이는 속도 또는 비율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워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할 수 있는 범위가 앉아 있는 경우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할 수 있는 범위가 작은 자세인 경우, 똑같이 리모트 컨트롤러를 움직이더라도 그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움직이는 거리가 더 길어지거나 더 빨라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 또는 자세 데이터에 대응하여 포인터의 움직이는 속도 및 움직이는 비율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메모리(340)에 저장해둘 필요가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한 범위를 알기 위하여, 움직임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발생시키고, 유저 인터페이스(360)에서 이를 수신하여 사용자인식부(390)에서 인식한다. 따라서, 도 15 및 도 17을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리모트 컨트롤러(1500)에 대응하는 포인터(1501)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나아가, 도 1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350)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500)를 상하, 좌우(도 15의 (b)), 앞뒤(도 15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350)에 표시된 포인터(1501)는 리모트 컨트롤러(15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15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1501)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15의 (b)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5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350)에 표시된 포인터(1501)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5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트 컨트롤러(15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리모트 컨트롤러(15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1501)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1501)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의 (c)는, 리모트 컨트롤러(15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500)를 디스플레이부(35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150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35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 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500)를 디스플레이부(35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150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35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 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할 경우, 도 6, 도 7,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사용자 아이콘 선택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모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모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500)는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1510), 사용자입력부(1520), 센서부(1530), 출력부(1540), 전원공급부(1560), 저장부(1550), 제어부(1570)를 포함하고, 무선통신부(151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 예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5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6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151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5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6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151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5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600)로 리모트 컨트롤러(15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151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5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6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151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9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1513)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6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2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520)를 조작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500)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6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센서부(1530)는 자이로센서(1531) 또는 가속도센서(153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자이로센서(1531)는 리모트 컨트롤러(15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1533)는 리모트 컨트롤러(15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6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1540)는 사용자입력부(152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6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4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520)의 조작 여부 또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6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1540)는 사용자입력부(1520)가 조작되거나 무선통신부(1510)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60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154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154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154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4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560)는 리모트 컨트롤러(15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560)는 리모트 컨트롤러(15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1560)는 리모트 컨트롤러(15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1550)는 리모트 컨트롤러(15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리모트 컨트롤러(1500)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600)와 RF 모듈(151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1500)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570)는 리모트 컨트롤러(9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1570)는 사용자입력부(152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1530)에서 센싱한 리모트 컨트롤러(15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통신부(1510)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60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570)는, RF 모듈(1511) 또는 IR 모듈(1513) 등을 제어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기능 설정을 변경하는 신호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600)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500)의 움직임에 따른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인접한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정확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 특유의 장점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로, 도 17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상술한 사항과 중복되는 것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당업자가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이 없으므로, 중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내장된 카메라 또는 외장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면을 촬영하고(S1700), 촬영한 영상에서 사용자 영역을 구분한다(S1710). 미리 영역을 구분해두고, 사용자를 얼굴이나 손, 발 등을 인식하여 상기 구분해둔 영역에서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 판단하면 사용자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구분된 사용자 영역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또는 자세를 인식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한다(S1720).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 자세 데이터 및 사용자 신체의 특정 부위의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데이터는 좌측, 우측, 상측, 하측 등과 같이 미리 설정해둘 수 있고, 자세 데이터도 앉은 자세, 누운 자세, 서있는 자세 등과 같이 미리 설정해두고, 구분된 사용자 영역을 통해 어떤 위치 데이터 또는 어떤 자세 데이터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생성된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구성하고(S1730), 구성된 레이아웃에 따라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1740). 사용자의 위치나 자세에 따라서 그래픽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불편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데이터의 위치 및 사이즈 등을 달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구성되는 레이아웃을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둘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로, 도 18을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고(S1800), 움직임 신호의 궤적을 인식한다(S1810). 상기 움직임 신호의 궤적을 인식하는 것은, 특정 경로를 반복하여 움직이는 신호에 대하여 궤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움직임 궤적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생성하고(S1820), 상기 생성된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1830). 다만, 움직임 궤적에 대응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그래픽 데이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핫키(hot key) 또는 간단한 기본 메뉴만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해둘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게 특히 편한 움직임이 있다면 그러한 움직임 궤적을 등록해 두고, 상기 등록된 움직임 궤적에 매칭하는 레이아웃을 저장해둘 수 있다. 또한, 이때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그래픽 데이터의 종류도 선택하여, 움직임 궤적에 대응하는 레이아웃, 상기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그래픽 데이터의 종류도 함께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인식된 움직임 궤적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움직임 궤적인지를 판별하고, 저장된 움직임 궤적인 경우, 저장된 움직임 궤적에 매칭된 레이아웃으로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300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310 방송수신부 3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 331 영상수신부
340 메모리 350 디스플레이부
351 오디오출력부 353 전원공급부
360 유저 인터페이스 370 컨트롤러
380 영상구분부 390 사용자인식부

Claims (17)

  1.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전면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상기 수신한 영상을 처리하여 사용자 영역을 구분하는 영상구분부;
    상기 구분된 사용자 영역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또는 자세를 인식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인식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생성된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상기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달리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식부는,
    상기 구분된 사용자 영역에 관한 데이터를 기저장된 기준 영역에 관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자세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 사용자의 자세 데이터 및 사용자 신체의 특정 부위의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점에서 특정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기설정된 레이아웃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점에서 특정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기설정된 사이즈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의 자세 데이터가 기설정된 자세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기설정된 레이아웃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의 자세 데이터가 기설정된 자세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기설정된 사이즈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사용자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응하여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의 움직이는 속도 또는 비율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신호의 움직임 궤적을 인식하여 상기 움직임 궤적에 대응하여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레이아웃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2.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신호의 궤적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움직임 궤적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신호의 궤적을 인식하는 단계는,
    특정 경로를 반복하여 움직이는 신호에 대하여 궤적으로 인식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 중 기본 제어 항목과 관련된 기설정된 그래픽 데이터만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움직임 궤적별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의 레이아웃을 매칭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움직인 궤적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움직임 궤적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움직임 궤적인 경우, 상기 저장된 움직임 궤적에 매칭된 레이아웃으로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의 어느 한 항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17852A 2012-02-22 2012-02-22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3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852A KR101923447B1 (ko) 2012-02-22 2012-02-22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852A KR101923447B1 (ko) 2012-02-22 2012-02-22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423A true KR20130096423A (ko) 2013-08-30
KR101923447B1 KR101923447B1 (ko) 2018-11-29

Family

ID=4921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852A KR101923447B1 (ko) 2012-02-22 2012-02-22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4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382A (ko) * 2014-09-01 201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34696A1 (ko) * 2022-08-08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5307B2 (ja) * 2005-09-13 2009-02-18 船井電機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382A (ko) * 2014-09-01 201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35950A1 (ko) * 2014-09-01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34696A1 (ko) * 2022-08-08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447B1 (ko)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504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ource device at sink de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1220037B1 (ko) 전자 기기 연결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1890624B1 (ko) 터치패드를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 방법
US1048175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3434005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0032156B (zh) 家居设备的控制和调整方法、终端及家居设备
KR102209354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50256875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18295B1 (ko) 이동 단말기
KR202101262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23447B1 (ko)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3812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953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277072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camera of the display device
EP3902269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2360628B1 (ko) 영상 투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026197A1 (en) Display device
KR1017722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047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74292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11600216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006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6484914B2 (ja) 情報処理機器および操作システム
US11776456B2 (en) Display device
KR201700814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