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711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711A
KR20130095711A KR1020130093760A KR20130093760A KR20130095711A KR 20130095711 A KR20130095711 A KR 20130095711A KR 1020130093760 A KR1020130093760 A KR 1020130093760A KR 20130093760 A KR20130093760 A KR 20130093760A KR 20130095711 A KR20130095711 A KR 20130095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interface
mode
portable termina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호영
이정흠
이소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3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5711A/ko
Publication of KR2013009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모드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모드 중 하나의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사용자 모드에 대응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 기능, 음향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과정과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USER CONFIGURABLE USER INTERFACE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초기 설정을 사용자의 편의에 맞도록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생산 시에 미리 정해지고, 사용자가 임의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는 사용자가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나타내고, 사용자에게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에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스마트 폰은 생활의 편리함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고령의 사용자나 상기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데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에게는 보다 복잡한 조작법과 사용법으로 인해 스마트 폰의 사용에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 사용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이 없거나 고령의 실버 세대에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고, 나이 어린 어린이들을 위한 보호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모드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모드 중 하나의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사용자 모드에 대응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 기능, 음향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과정과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2 견지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모뎀,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모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모드 중 하나의 사용자 모드를 선택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받은 상기 사용자 모드에 대응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 기능, 음향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3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모드 정보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 모드 중 하나의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한 상기 사용자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과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모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4 견지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모뎀, 상기 사용자 모드 정보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 모드 중 하나의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사용자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결정하고,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모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사용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이 없거나 고령의 실버 세대에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고, 나이 어린 어린이들을 위한 보호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첫 부팅시, 사용자가 편의에 맞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첫 부팅 시, 통신사가 사용자의 연령대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에서 컴퓨터에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사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사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사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에서 통신사 서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사 서버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기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1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a,b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가 부팅되면, 사용자 모드(100) 설정을 요구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모드에는 쉬운 모드(easy mode), 일반모드(Normal Mode), 연장자 모드(Senior Mode), 어린이모드(kid Mode) 등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이중 하나의 사용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하나의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면, 선택한 사용자 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다.
먼저, 사용자 모드(100) 설정 화면에서 쉬운 모드(115)가 선택되면, 블루투스, 무선 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기능이 기본적으로 온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소리, 디스플레이와 같이 주요 기능들이 사용자가 해당 메뉴에 바로 액서스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즉, 모든 통신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고, 소리, 디스플레이 관련 기능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바로 억세스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만약, 사용자 모드(100) 설정 화면에서, 일반 모드(117)가 선택되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통 메뉴가 선택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공장 기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설정된다.
만약, 사용자 모드(100) 설정 화면에서, 연장자 모드(120)가 선택되면, 메뉴항목이 큰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전화기능,문자,긴급통화 등 연장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우선순위로 설정된다.
즉, 메뉴의 폰트 및 아이콘이 기본 크기보다 큰 폰트 및 아이콘으로 설정되고, 전화기능, 문자서비스, 병원호출과 같은 긴급통화 기능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바로 억세스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된다.
만약, 사용자 모드(100) 설정 화면에서, 어린이 모드(130)가 선택되면, 메뉴 항목이 큰 아이콘으로, 그리고, 어린이를 위한 메뉴가 우선순위로 설정된다.
즉, 엄마 호출, 문자서비스, SOS 통화 기능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바로 억세스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자 모드(120) 및 상기 어린이 모드(130)에서는 폰트 크기 및 색깔, 모양들이 식별이 쉽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만약,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패턴 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 패턴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된다.사용 패턴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을 우선적으로 먼저 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사용할 모드가 선택되고, 결정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다시 부팅된 후, 설정 값이 적용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가 부팅된 이후(210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 화면이 휴대용 단말기에 출력된다(215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 화면의 예는 도 1 (100)에 도시되어 있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쉬운 모드가 선택된 경우(220 단계), 쉬운 모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225 단계).
만약, 사용자로부터 일반 모드가 선택된 경우(230 단계), 일반 모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235 단계).
만약, 사용자로부터 연장자 모드가 선택된 경우(240 단계), 연장자 모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245 단계).
만약, 사용자로부터 어린이 모드가 선택된 경우(250 단계), 어린이 모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255 단계).
도면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만약,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패턴 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 패턴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된다.사용 패턴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을 우선적으로 먼저 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터(300)와 휴대용 단말기(3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무선 연결에는 블루투스, 무선 랜 등 근거리 무선 연결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컴퓨터(300)에는 상기 도 1(100)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 화면이 출력되고, 사용자는 상기 컴퓨터(300)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할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에서 컴퓨터에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터와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되면(405 단계),컴퓨터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메뉴가 출력된다(410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메뉴는 상기 도 1(100)에 도시되어 있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할 사용자 모드 선택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415 단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터와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되면(505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컴퓨터와 연결할 컴퓨터 연결 모드를 묻는 화면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출력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컴퓨터 연결 모드를 선택 받고(510 단계), 해당 모드로 컴퓨터와 연결한다.
이후, 사용자가 컴퓨터를 통해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한 사용자 모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설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사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610)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610)는 기지국(620)을 통해 통신사 서버(630)로 위치 등록을 시작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610)를 통해 상기 통신사 서버(630)로 사용할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요청한다.
이 경우, 상기 통신사 서버(63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610)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610)의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전송한다.
또는, 상기 통신사 서버(63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610)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610)의 사용자 패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패턴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을 우선적으로 화면 상에 위치시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사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부팅 된 이후(705 단계), 통신사 서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요청한다(710 단계).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사 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수신하고(715 단계),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적용한다(720 단계). 즉, 수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따른 사용자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 모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설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사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에서 통신사 서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사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805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기준이 사용자 연령인 경우(810 단계)인지 검사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기준이 사용자 연령인 경우, 사용자 나이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전송한다(820 단계).
사용자 나이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은, 사용자의 나이에 맞는 사용자 메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선택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 예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는 어린이 모드로 사용자 메뉴가 선택되고, 사용자가 남자 어른인 경우는 일반 모드로 사용자 메뉴가 선택되고, 사용자가 여자 어른인 경우, 쉬운 모드로 사용자 메뉴가 선택되고, 사용자가 고령의 연장자 인경우, 연장자 모드로 사용자 메뉴가 선택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기준이 사용 패턴인 경우(815 단계), 사용자 패턴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전송한다(825 단계).
사용 패턴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을 우선적으로 먼저 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모뎀(910), 제어부(920), 저장부(930),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9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면에서는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어부(920)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940)의 출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920)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940)로 제공하는 입력부를 포함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모뎀(910)은 다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무선처리부 및 기저대역처리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처리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실제 무선 경로 상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무선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모뎀(910)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현재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2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940)를 제어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93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940)는 휴대용 단말기가 부팅된 이후,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 화면을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 화면의 예는 도 1 (100)에 도시되어 있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쉬운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940)는 쉬운 모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일반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940)는 일반 모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연장자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940)는 연장자 모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어린이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940)는 어린이 모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패턴 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 패턴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된다.사용 패턴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을 우선적으로 먼저 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940)는 컴퓨터와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컴퓨터와 연결할 컴퓨터 연결 모드를 묻는 화면을 출력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940)는 사용자로부터 컴퓨터 연결 모드를 선택받고, 해당 모드로 컴퓨터와 연결한다.
이후, 사용자가 컴퓨터를 통해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한 사용자 모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940)는 선택한 사용자 모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설정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940)는 부팅된 이후, 통신사 서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요청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940)는 통신사 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수신하고,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적용한다. 즉, 수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따른 사용자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 모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설정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사 서버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사 서버는 유선모뎀(1010), 제어부(1020), 저장부(1030),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10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선모뎀(1010)은 다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유선처리부 및 기저대역처리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선처리부는 유선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실제 유선 경로 상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유선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유선 경로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유선모뎀(1010)에서 사용되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은 현재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20)는 상기 통신사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1040)를 제어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030)는 상기 통신사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1040)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기준이 사용자 연령인 경우인지 검사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기준이 사용자 연령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1040)는 사용자 나이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전송한다.
사용자 나이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은, 사용자의 나이에 맞는 사용자 메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선택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 예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는 어린이 모드로 사용자 메뉴가 선택되고, 사용자가 남자 어른인 경우는 일반 모드로 사용자 메뉴가 선택되고, 사용자가 여자 어른인 경우, 쉬운 모드로 사용자 메뉴가 선택되고, 사용자가 고령의 연장자 인경우, 연장자 모드로 사용자 메뉴가 선택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기준이 사용 패턴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1040)는 사용자 패턴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전송한다.
사용 패턴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을 우선적으로 먼저 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910: 무선 모뎀
920: 제어부
930: 저장부
940: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
1010: 유선 모뎀
1020: 제어부
1030: 저장부
1040: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

Claims (18)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기 위한 두개 이상의 사용자 모드를 출력하는 메뉴 선택 과정과,
    상기 메뉴 선택에 의해 적어도 두개 이상의 사용자 모드 중 특정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사용자 모드에 대응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 화면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모드는,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설정값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변경 과정은, 통신 기능, 음향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에 대하여 상기 선택한 사용자 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값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사용자 모드가 쉬운 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변경 과정은,
    통신 기능을 온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기능, 음향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바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사용자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변경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공장 기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사용자 모드가 연장자 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변경 과정은,
    메뉴의 폰트 및 아이콘을 기본 크기보다 큰 폰트 및 아이콘으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기능을 변경하는 과정과,
    전화기능, 문자서비스기능, 병원호출기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바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선택한 사용자 모드가 어린이 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변경 과정은,
    메뉴의 폰트 및 아이콘을 기본 크기보다 큰 폰트 및 아이콘으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기능을 변경하는 과정과,
    엄마호출기능, 문자서비스기능, SOS통화기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바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선택한 사용자 모드가 사용자 패턴 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변경 과정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우선적으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모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기 위한 두개 이상의 사용자 모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메뉴 선택에 의해 적어도 두개 이상의 사용자 모드 중 특정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사용자 모드에 대응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 화면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모드는,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설정값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통신 기능, 음향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에 대하여 상기 선택한 사용자 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값으로 변경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선택한 사용자 모드가 쉬운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통신 기능을 온으로 설정하고,
    상기 통신기능, 음향기능, 및 디스플레이기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바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을 변경하는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선택한 사용자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공장 기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을 변경하는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선택한 사용자 모드가 연장자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메뉴의 폰트 및 아이콘을 기본 크기보다 큰 폰트 및 아이콘으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기능을 변경하고,
    전화기능, 문자서비스기능, 병원호출기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바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을 변경하는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선택한 사용자 모드가 어린이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메뉴의 폰트 및 아이콘을 기본 크기보다 큰 폰트 및 아이콘으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기능을 변경하고,
    엄마호출기능, 문자서비스기능, SOS통화기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바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을 변경하는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선택한 사용자 모드가 사용자 패턴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우선적으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을 변경하는 장치.
  13.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에 있어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모드 정보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 모드 중 하나의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한 상기 사용자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과,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모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사용자 모드가 연령 모드인 경우,
    선택한 상기 사용자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제 1 연령대인 경우는 상기 제 1 연령대에 맞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바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결정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제 2 연령대인 경우는 상기 제 2 연령대에 맞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바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사용자 모드가 사용 패턴인 경우,
    상기 결정 과정은,
    자주 사용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우선적으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6.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모뎀, 및
    상기 사용자 모드 정보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 모드 중 하나의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사용자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결정하고,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모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사용자 모드가 연령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 시,
    사용자가 제 1 연령대인 경우는 상기 제 1 연령대에 맞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바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결정하고,
    사용자가 제 2 연령대인 경우는 상기 제 2 연령대에 맞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바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결정하는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사용자 모드가 사용 패턴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 시,
    자주 사용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우선적으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결정하는 장치.
KR1020130093760A 2013-08-07 2013-08-07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95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760A KR20130095711A (ko) 2013-08-07 2013-08-07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760A KR20130095711A (ko) 2013-08-07 2013-08-07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487A Division KR20130039053A (ko) 2011-10-11 2011-10-11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305A Division KR101771024B1 (ko) 2014-08-01 2014-08-01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711A true KR20130095711A (ko) 2013-08-28

Family

ID=4921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760A KR20130095711A (ko) 2013-08-07 2013-08-07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57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381A1 (ko) * 2021-01-12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동작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381A1 (ko) * 2021-01-12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동작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216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smart device
EP3035738B1 (en) Method for connecting appliance to network and corresponding device
EP3138269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42888B2 (en) Extensible scheme for operating vehicle head unit as extended interface for mobile device
JP5614783B2 (ja) ユーザ設定が可能な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設定方法及び装置
EP311904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smart device
KR20140132917A (ko) 휴대 전자기기와 연결 가능한 부가 장치를 통한 표시 방법 및 장치
US11709708B2 (en) Functio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RU2631163C2 (ru) Способ и прибор для выдачи подсказок по подключению устройства
US11601541B2 (en) Communication system selection
US20190052745A1 (en) Method For Presenting An Interface Of A Remote Controller In A Mobile Device
US20190034045A1 (en) Projection method and projection system
US10939530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light
KR2013009571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652657B2 (en) System, terminal apparatus, main apparatus, and method
KR10177102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40063A (ko)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서버, 웨어러블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이들의 제어 방법
KR20140095393A (ko) 절전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절전모드 제공장치
JP5573809B2 (ja) 制御装置
KR20130066722A (ko) 연동형 에이브이엔 단말기 및 구동방법
US20160127196A1 (en) Device connection prompt
JP2012191280A (ja) 携帯端末、および、遠隔端末操作提示または遠隔端末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