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500A -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500A
KR20130094500A KR1020120015797A KR20120015797A KR20130094500A KR 20130094500 A KR20130094500 A KR 20130094500A KR 1020120015797 A KR1020120015797 A KR 1020120015797A KR 20120015797 A KR20120015797 A KR 20120015797A KR 20130094500 A KR20130094500 A KR 20130094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ens assembly
camera lens
electronic devic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6318B1 (ko
Inventor
김영균
배광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318B1/ko
Priority to EP13151012.5A priority patent/EP2629147B1/en
Priority to CN201310050732.7A priority patent/CN103259887B/zh
Priority to US13/765,991 priority patent/US9088703B2/en
Publication of KR20130094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촬영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촬영 영역을 포함하며 곡형으로 형성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과 대향되는 배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상기 촬영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상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왜곡 현상, 내부 반사와 같은 열화 현상을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WINDOW FOR PREVENTING CAMERA DISTORTION I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피사체 촬영을 위한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휴대용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반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상대방과의 기본적인 통화 기능 이외에 MP3 음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음악을 청취할 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웹 서핑을 즐길 수도 있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고화소의 촬상 소자(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스틸 사진은 물론 동영상, 특히 입체 영상 촬영 기능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상술한 다양한 기능들은 모두 구비하면서 디자인은 좀더 미려하고 부피는 더욱 슬림하게 변모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장치의 제조자들은 해당 기능에 따라 장치에 수반되는 해당 어셈블리들의 기능을 좀더 우수한 방향으로 발전시키면서 소형화하여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 전체의 부피를 줄이고자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전자 장치의 경우 데이터 입출력 수단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키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바, 최근에는 데이터 입출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장치를 구비하며, 장치의 전면 중 9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 등 각종 전자 부품들(electronic function group)을 보호하며 제품의 외관을 구성하도록 글라스 재질 또는 PET 재질의 윈도우(window)가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필수적으로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어야 하는 화상 통화(VT; Video Telephony)를 위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이러한 윈도우에 구비된 촬영 영역(프린팅 부분이 아닌 원형의 투명창 부분)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전자 장치(1000) 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상, 하부 케이스 프레임(106, 107)에 의해 형성되는 일정 공간 내에 기판(30)이 배치되며, 이 기판(30)에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가 실장 된다. 역시, 상부 케이스 프레임(106)에는 장치의 외관 대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글라스 또는 PET재질의 윈도우(window)(110)가 설치된다.
이러한 윈도우(110)는 미도시된 디스플레이 영역 이외에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와 상응한 위치에 투명하도록 촬영 영역(114)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도 촬영 영역 이외의 부분은 프린팅 영역(113)으로써 통상적으로 블랙 프린팅 영역(black printing area)이 된다.
한편, 전자 장치(100)의 외관 디자인 제약(또는 설계)에 의하여 상술한 촬영 영역(114)이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윈도우(110) 상면 중 촬영 영역(114)은 일정 곡률을 가지는 곡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윈도우(110)의 배면(112)은 조립이 용이하도록 대체적으로 평면으로 형성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윈도우 상면의 곡형 구조에 의해 굴절로 인한 왜곡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촬영하면 화면상에 의도하지 않은 스팟이 발생하는 내면 반사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 전체의 품질 및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곡형의 상면에 대한 왜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모듈을 재설계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형으로 형성되더라도 항상 우수한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의 외관 설계시 곡형 등 형상의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하여 우수한 디자인 설계에 일조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곡형의 윈도우 적용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모듈 재설계에 따른 불편함 및 비용 증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더욱더 다른 목적은 어떠한 디자인이 적용되더라도 우수한 촬영 품질을 획득하여 결과적으로 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촬영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윈도우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역을 포함하며 곡형으로 형성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과 대향되는 배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상기 촬영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상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열화 현상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면의 곡률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화각 연장선과 상기 상면이 만나는 두 지점간의 수직 거리가 0~0.05mm의 범위에 있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경사면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화각 연장선과 상기 상면이 만나는 두 지점을 잇는 제1선분과,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중심에서 연장되는 제2선분이 직교할 때, 상기 제2선분상에 위치되는 상기 상면의 지점을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면이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형의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촬영 영역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화각 연장선과 상기 상면이 만나는 두 지점 보다 일정 거리 D 만큼 더 여유 공간을 가지고 형성되어 조립 공차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거리 D는 0.2 ~ 0.3mm의 범위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경사면의 양단은 상기 배면 보다 모두 낮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경사면은 배면에서 시작하여 상기 배면 보다 낮은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경사면은 배면에 부착되는 별도의 경사 부재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는 촬영 영역 중 상면이 일정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더라도 배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촬영시 위상차에 의한 왜곡 현상을 배제시키고 내부 반사를 제거하여 전자 장치의 디자인 설계에 대한 제약을 배제시켰으며, 결과적으로 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가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전자 장치 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윈도우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와 함께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윈도우에 형성되는 경사면의 형성 원리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에 형성되는 경사면의 형성 원리를 설명한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을 포함하는 윈도우와 종래 윈도우간의 위상차를 비교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비록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고 이에 적용되는 화상 통신(video telephony)용 전면 카메라에 적용되는 윈도우(window)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camera rens assembly)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및 이러한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곡형의 형상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의 윈도우에 적용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의 외관 전체에 적용되는 윈도우의 일부분에 형성된 촬영 영역의 경사면 구조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윈도우 또는 케이스 프레임 중 곡형 부분에 별도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용 윈도우가 적용될지라도 이러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용 윈도우에 역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가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휴대용 단말기(1)는 전면에 윈도우(10)가 설치된다. 이러한 윈도우(10)는 글라스 재질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PET재질일 수도 있다. 상술한 윈도우(1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액티브 영역(16)과, 그 외의 비 액티브 영역(13)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액티브 영역(16)과 비 액티브 영역(13)은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터치 스크린 장치가 적용될 경우 터치 영역과 터치가 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액티브 영역(16)은 내부의 터치 스크린 장치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며, 비 액티브 영역(13)은 윈도우(10)의 배면이 프린팅되는 인쇄 영역이다. 비 액티브 영역(13)은 다양한 색으로 프린팅될 수 있으며, 대체적을 블랙 프린팅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10)의 상측에는 이어 피스(earpiece)(3)가 노출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에도 역시 키 입력을 위한 다양한 부가 버튼이 노출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호 4는 마이크 장치이다.
상술한 윈도우(10)의 상부 일측에는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투명한 촬영 영역(14)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촬영 영역(14)은 비 액티브 영역(13)에서 블랙 프린팅을 배제시킨 투명한 영역이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1)는 윈도우(10)의 일부가 곡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디자인 설계상 미려한 외관을 구현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윈도우(10)는 최초 제작할 때부터 상면이 일정 곡률로 휘어진 곡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촬영 영역(14)이 윈도우(10)의 곡형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윈도우(10)의 곡형 부분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실장 위치를 고려한 최적의 위치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윈도우(10)의 곡형 구조 때문에 왜곡 현상 또는 내부 반사 현상이 발생하나,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구조를 적용할 경우 상술한 문제점들이 배제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윈도우(10)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와 함께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전자 장치(1)(휴대용 단말기)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윈도우(10)에 형성되는 경사면(15)의 형성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휴대용 단말기(1)는 상부 케이스 프레임(6)과 하부 케이스 프레임(7)이 결합되어 내부에 부품 실장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에 기판(30) 및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도,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는 기판(30)상에 SMD(Surface Mounted Device)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윈도우(10)는 상부 케이스 프레임(6)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와 대응되는 부분은 촬영 영역(14)으로 형성되며, 그 외의 부분은 비 액티브 영역으로써 프린팅 영역(13)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에서 윈도우(10)를 바라볼 경우 도 1에 도시한 원형의 촬영 영역(14)만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윈도우(10)는 곡형의 상면(11)과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15)을 갖는 배면(12)으로 구성된다. 경사면(15)은 일측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일정 기울기를 가지고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사면(15)을 형성하는 것은 렌즈가 윈도우의 곡면으로 형성된 상면에 의한 위상차에 비하여 경사면에 의한 위상차가 거의 없다는 원리에 기반한다. 또한, 경사면(15)은 촬영 영역(14)에 대응하는 윈도우(10)의 의 상면(11)의 휘어진 정도(곡률)에 따라 대응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도 4에는 경사면의 기울기 및 상면의 휘어짐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구성이 기술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10)의 촬영 영역(14)은 적어도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의 화각 θ 보다 넓은 영역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화각 θ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가 촬영할 때 장면을 포착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한다. 이때, 윈도우(10)의 상면(11)과 화각 θ의 연장선이 만나는 제1부분을 A라 하고 제2부분을 B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윈도우(10)에 배치된 촬영 영역(14)의 휘어짐 정도에 대한 권장 범위는 상술한 지점 A와 B의 수직 거리 δ가 0 ~ 0.05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윈도우 배면(12)에 형성된 경사면(15)의 기울기는 상술한 두 점 A와 B를 연결한 선분과 카메라 어셈블리(20)의 렌즈 중심에서 연장되어 선분 AB와 직교하는 선분상에 위치되며, 윈도우 상면(11)의 지점 C를 지나는 접선과 동일한 기울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윈도우 상면(11)의 휘어짐 정도에 따라 대응 경사면의 기울기는 달라질 수 있다.
한편, 곡형으로 형성된 윈도우 상면(11)의 촬영 영역(14)은 화각 θ의 연장선과 만나는 지점 A 및 B보다 외측으로 좀더 여유 있게 형성해야 하는 바, 이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기판을 조립시 발생할 수 있는 조립 공차에 기인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여유 간격 D는 0.2 ~ 0.3mm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윈도우(10)의 배면(12)과 경사면(15)이 만나는 부분은 배면(12)이 끝나는 부분부터 경사면(15)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일정 각도로 테이퍼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테이퍼 진 부분(151)에 프린팅 영역이 포함될 경우, 이 테이퍼 진 영역은 일반 프린팅 영역이 평면 인쇄에 유리한 테이핑 방식의 프린팅 공정이 적용되는 것에 비해, 곡면이나 사면 인쇄에 유리한 패드(PAD) 방식의 프린팅 공정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도 및 30도에 해당하는 각도로 곡형 윈도우 및 경사면 윈도우의 위상차를 비교해 본 결과, 점선의 원형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윈도우를 적용한 그래프에서는 위상차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을 갖는 윈도우가 적용되었을 경우 촬영 중 피사체에 왜곡 현상이 발생하거나 내부 반사가 일어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에 형성되는 경사면의 형성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곡형 윈도우의 배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였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도 5와 같이 상면(41)이 오목한 곡형 윈도우(40)에도 역시 경사면(45)을 적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 윈도우(40)의 배면(42)에 형성된 경사면(45)의 기울기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의 렌즈의 화각 연장선과 윈도우 상면(41)이 만나는 지점을 각각 E, F라 하고, 점 E, F를 잇는 선분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의 렌즈 중심에서 연장되어 선분 EF를 직교하는 선분상에 위치되며, 윈도우 상면(41)의 지점 F를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와 상응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도 역시 윈도우(40)의 촬영 영역(44)은 두 지점 E와 F 보다 일정 길이 만큼 여유를 두고 프린팅 영역(4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시, 미도시되었으나 상술한 경사면은 일정 기울기를 가지면서 윈도우의 배면에서 일정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하면 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의 양측이 모두 배면 보다 낮도록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일측은 배면과 일치하고, 타측이 배면 보다 낮은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역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와 윈도우간의 이격 거리가 충분하다면 곡형 윈도우 상면의 곡률에 대응한 기울기를 갖는 투명 경사 부재를 윈도우 배면의 촬영 영역에 돌출되도록 부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경사 부재는 윈도우의 배면에 OCA(Optical Clear Adhesive)등의 접착 수단을 사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 휴대용 단말기(전자 장치) 3: 이어피스(earpiece)
4: 마이크 장치 6: 상부 케이스 프레임
7: 하부 케이스 프레임 10: 윈도우
11: 상면 12: 배면
13: 프린팅 영역(비액티브 영역) 14: 촬영 영역
15: 경사면 16: 액티브 영역
20: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30: 기판

Claims (18)

  1.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촬영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윈도우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역을 포함하며 곡형으로 형성되는 상면;
    상기 상면과 대향되는 배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상기 촬영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상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열화 현상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의 곡률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화각 연장선과 상기 상면이 만나는 두 지점간의 수직 거리가 0~0.05mm의 범위에 있도록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화각 연장선과 상기 상면이 만나는 두 지점을 잇는 제1선분과,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중심에서 연장되는 제2선분이 직교할 때, 상기 제2선분상에 위치되는 상기 상면의 지점을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역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화각 연장선과 상기 상면이 만나는 두 지점 보다 일정 거리 D 만큼 더 여유 공간을 가지고 형성되어 조립 공차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D는 0.2 ~ 0.3mm의 범위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양단은 상기 배면 보다 모두 낮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배면에서 시작하여 상기 배면 보다 낮은 면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배면간의 경계 부분은 테이퍼지도록(tapered)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배면에 부착되는 별도의 경사 부재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10.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 촬영을 위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와 상응하는 위치에 촬영 영역이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되,
    상기 윈도우는,
    상기 촬영 영역을 포함하며 곡형으로 형성되는 상면;
    상기 상면과 대향되는 배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상기 촬영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상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열화 현상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의 곡률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화각 연장선과 상기 상면이 만나는 두 지점간의 수직 거리가 0~0.05mm의 범위에 있도록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화각 연장선과 상기 상면이 만나는 두 지점을 잇는 제1선분과,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중심에서 연장되는 제2선분이 직교할 때, 상기 제2선분상에 위치되는 상기 상면의 지점을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윈도우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와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요홈(recess)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직선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윈도우 외면의 곡률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화각 연장선과 상기 윈도우의 외면이 만나는 두 지점을 잇는 제1선분과,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중심에서 연장되는 제2선분이 직교할 때, 상기 제2선분상에 위치되는 상기 윈도우 외면의 지점을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윈도우의 외면의 곡률과 상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윈도우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0120015797A 2012-02-16 2012-02-16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KR102036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797A KR102036318B1 (ko) 2012-02-16 2012-02-16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EP13151012.5A EP2629147B1 (en) 2012-02-16 2013-01-11 Window for preventing camera distortion in an electronic device
CN201310050732.7A CN103259887B (zh) 2012-02-16 2013-02-08 在电子设备中用于防止摄像机失真的窗
US13/765,991 US9088703B2 (en) 2012-02-16 2013-02-13 Window for preventing camera distortion in a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797A KR102036318B1 (ko) 2012-02-16 2012-02-16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500A true KR20130094500A (ko) 2013-08-26
KR102036318B1 KR102036318B1 (ko) 2019-11-26

Family

ID=4755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797A KR102036318B1 (ko) 2012-02-16 2012-02-16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88703B2 (ko)
EP (1) EP2629147B1 (ko)
KR (1) KR102036318B1 (ko)
CN (1) CN10325988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692A (ko) * 2016-01-08 2017-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2108161A1 (ko) * 2020-11-20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렌즈 일체형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55600A1 (ko) * 2021-06-04 2022-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 모듈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02639B2 (en) 2021-06-04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indow for optical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967877U (zh) * 2015-08-06 2016-01-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
KR102502894B1 (ko) * 2018-05-02 2023-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평면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437408B2 (en) * 2020-05-15 2022-09-0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523A (ko) * 2005-03-22 2006-09-27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용 외장 카메라
KR20090048629A (ko) * 2006-08-16 2009-05-14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광학 렌즈 컴포넌트의 충격 댐핑
CN101997942A (zh) * 2009-08-25 2011-03-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视窗及应用该视窗的便携式电子装置
US20110255000A1 (en) * 2010-04-19 2011-10-20 Trent Weber Camera alignment and mounting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7269B1 (fr) * 1986-11-21 1989-03-24 Trt Telecom Radio Electr Dispositif de rattrapage de distorsion
FR2622307B1 (fr) * 1987-10-27 1990-03-09 Trt Telecom Radio Electr Dispositif de rattrapage de la distorsion totale engendree par la forme d'une paroi transparente
US6192194B1 (en) * 2000-03-09 2001-02-20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housing with window insert conforming to housing shape
US7662094B2 (en) * 2002-05-14 2010-02-16 Given Imaging Ltd. Optical head assembly with dome, and device for use thereof
KR100526555B1 (ko) 2003-04-15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800705B1 (ko) 2004-03-26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사파에 의해 발생되는 반사파를 억제하는 카메라 렌즈장치
US20070010303A1 (en) 2005-07-05 2007-01-11 Nokia Corporation High quality optical windows for mobile phones and cameras
KR101271730B1 (ko) * 2007-08-29 2013-06-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카메라
US7801425B2 (en) * 2007-10-30 2010-09-21 Optikos Corporation Underwater adaptive camera housing
CN201601742U (zh) * 2009-12-04 2010-10-06 常州硕欣电子科技有限公司 球形摄像机外罩
US8284490B2 (en) * 2010-09-02 2012-10-09 Raytheon Company Low-aberration optical window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523A (ko) * 2005-03-22 2006-09-27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용 외장 카메라
KR20090048629A (ko) * 2006-08-16 2009-05-14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광학 렌즈 컴포넌트의 충격 댐핑
CN101997942A (zh) * 2009-08-25 2011-03-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视窗及应用该视窗的便携式电子装置
US20110255000A1 (en) * 2010-04-19 2011-10-20 Trent Weber Camera alignment and mounting structur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692A (ko) * 2016-01-08 2017-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730344B2 (en) 2016-01-08 2017-08-08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22108161A1 (ko) * 2020-11-20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렌즈 일체형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55600A1 (ko) * 2021-06-04 2022-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 모듈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02639B2 (en) 2021-06-04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indow for optical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15323A1 (en) 2013-08-22
EP2629147A2 (en) 2013-08-21
US9088703B2 (en) 2015-07-21
KR102036318B1 (ko) 2019-11-26
EP2629147B1 (en) 2021-03-03
CN103259887A (zh) 2013-08-21
EP2629147A3 (en) 2017-10-25
CN103259887B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318B1 (ko)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KR102376091B1 (ko) 단말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동 단말기
US10324496B2 (en) Cover glass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362572B1 (ko) 단말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동 단말기
EP3006984B1 (en) Periscope-type lens and terminal device
US1148363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coustic module
KR20140111503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US8190021B2 (en) Smart phone with lens
US20100110283A1 (en) Camera lens module-integrated speaker assembly
US9430002B2 (en) Assembling structure f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US20130265470A1 (en) Camera module for portable device
CN110602362B (zh) 电子设备
KR102075462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US9232031B1 (en) Computing device components and assembly
CN209805871U (zh) 电子设备
JP201109715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実装構造
US11714252B2 (en) Lens unit, processing method for lens unit and electronic device
CN210120573U (zh) 电子设备
KR101991459B1 (ko) 휴대 단말기용 커버
JP5066277B1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2097081B1 (ko) 모듈 장착 구조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US11205675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hin film camera
JP5567075B2 (ja) 電子機器
KR101695989B1 (ko) 휴대용 단말기
JP2009290561A (ja) 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