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711A -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711A
KR20130093711A KR1020110141660A KR20110141660A KR20130093711A KR 20130093711 A KR20130093711 A KR 20130093711A KR 1020110141660 A KR1020110141660 A KR 1020110141660A KR 20110141660 A KR20110141660 A KR 20110141660A KR 20130093711 A KR20130093711 A KR 20130093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block
multiplexing
vo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집
김규환
김정기
김한석
이운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3711A/ko
Priority to US14/368,291 priority patent/US9479351B2/en
Priority to PCT/KR2012/011281 priority patent/WO2013095051A1/en
Publication of KR2013009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75Details of addressing, directories or routing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포인트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패킷들 중 음성 패킷만을 검출하여 큐에 저장하고, 상기 큐에 저장된 음성 패킷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을 조합하여 다중화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다중화 패킷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 각각이 전송될 단말들로 멀티캐스트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VOICE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근거리 통신망 (WLAN: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이하 'WLAN'이라 칭함)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시장이 성장하면서, 스마트폰에 장착된 WLAN 모듈을 통한 음성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업형(enterprise) WLAN 환경에서 유무선 융합(FMC: Fixed Mobile Convergence, 이하 'FMC'라 칭함) 서비스를 통한 음성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특정 접속 포인트(AP: Access Point)에 접속하는 단말의 수 또한 증가하게 되므로, 하나의 접속 포인트가 동시에 여러 단말들에게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WLAN은 매체 접근(medium access)을 위해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 방지(CSMA/CA: 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이하 'CSMA/CA'라 칭함)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보장하기 위해 향상된 분산 채널 접속(EDCA: 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이하 'EDCA'라 칭함)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EDCA 방식은 무선 자원의 접속을 위해 분산 접근 방식을 사용하므로 충돌 해결 및 동기화를 위한 오버헤드(overhead)(매 패킷 전송마다 필요한 백오프(back-off) 지연, 물리적(physical, 이하 'PHY'라 칭함) 프리앰블(preamble) 전송, PHY 헤더(header) 전송, 및 수신확인(acknowledgement, 이하 'ACK'이라 칭함) 프레임 전송 등) 가 크다. 특히 패킷망에서의 음성 서비스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하 'VoIP'라 칭함)와 같이 일정 주기로 작은 크기의 패킷(packet)을 발생시키는 트래픽(traffic)에 대해서는 상기 EDCA 방식의 효율이 매우 좋지 않아 접속 포인트 당 서비스 가능한 VoIP 용량을 제한시키는 요소가 된다.
본 발명은 WLAN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WLAN 시스템에서 접속 포인트가 자신에게 접속한 복수의 단말에게 전송될 음성 패킷을 다중화하여 멀티캐스트 함으로써, 동시에 상기 복수의 단말에게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포인트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패킷들 중 음성 패킷만을 검출하여 큐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큐에 저장된 음성 패킷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을 조합하여 다중화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한 다중화 패킷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 각각이 전송될 단말들로 멀티캐스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른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접속 포인트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의 조합으로 생성된 다중화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중화 패킷에서 자신에게 해당하는 음성 패킷을 검출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이 손실되었을 시, 상기 접속 포인트로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이 손실되었음을 나타내는 부정응답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포인트로부터 재전송된 음성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접속 포인트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패킷들을 수신하는 수신 블록과, 상기 복수의 패킷들 중 음성 패킷만을 검출하는 수신 핸들러 블록과,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을 저장하는 다중화 큐 블록과, 상기 다중화 큐 블록에 저장된 음성 패킷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을 조합하여 다중화 패킷을 생성하는 다중화 블록과, 상기 생성한 다중화 패킷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 각각이 전송될 단말들로 멀티캐스트하는 송신 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른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접속 포인트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의 조합으로 생성된 다중화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블록과, 상기 다중화 패킷에서 자신에게 해당하는 음성 패킷을 검출하여 수신하는 역다중화 블록과,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이 손실되었을 시, 상기 접속 포인트로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이 손실되었음을 나타내는 부정응답을 전송하는 송신 블록과, 상기 접속 포인트로부터 재전송된 음성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WLAN 시스템에서 접속 포인트가 자신에게 접속한 복수의 단말에게 전송될 음성 패킷을 다중화하여 멀티캐스트 함으로써, 매 음성 패킷 전송시 필요한 오버헤드, 즉 백오프 지연, PHY 프리앰블 전송, PHY 헤더 전송, ACK 프레임 전송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기 표1은 G.711 코덱을 사용하고, RTP 프레임 전송 주기는 20ms이고 다중화되는 최대 VoIP 패킷의 개수는 4개이며,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n 표준에서 5GHz, 혼합된(mixed) 포맷, GI=0.8us, 단일 스트림 환경을 가정했을 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안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1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PHY 레이트 별로 VoIP 패킷의 다중화를 적용 시, 적용하기 전 대비 전송 시간 감소율과 이로 인해 기재할 수 있는 VoIP 용량 증가율이 탁월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VoIP 패킷의 다중화 적용시 VoIP 용량은 24%-45% 증가되며, 이 시뮬레이션 결과는 다중화되는 최대 VoIP 패킷의 개수가 4개인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 상기 다중화되는 최대 VoIP 패킷의 개수를 조절하면 VoIP 용량 증가율을 더욱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WLAN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속 포인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패킷 다중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다중화 패킷을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다중화 패킷에 포함되는 SEQ 필드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SEQ 필드에 포함되는 SEQ 맵 필드 포맷을 일례로서 도시한 도면,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다중화 패킷에 포함되는 MUX 필드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VoIP 제공을 위한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접속 포인트가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단말이 VoIP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WLAN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 일례로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WLAN 시스템에서 접속 포인트가 자신에게 접속한 복수의 단말에게 동시에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할 본 발명에서는 EDCA 방식에 따라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해야만 한다.
도 1은 WLAN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network)(100)를 통해 연결된 접속 포인트(110)는 분류기(classifier)(112), VoIP 큐(queue)(114), 및 송신기(116)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단말(station)(120,130,140)은 상기 접속 포인트(110)에 접속하여 VoIP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스마트폰이 될 수도 있고 또는 VoIP 서비스 수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이 될 수도 있다.
즉 네트워크(100)를 통해 복수의 패킷들을 수신한 접속 포인트(110)는 분류기(112)를 통해 상기 복수의 패킷들로부터 VoIP 패킷만을 분류하고, 분류된 VoIP 패킷, 일례로 패킷 A,B,C를 VoIP 큐(114)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접속 포인트(110)는 VoIP 큐(114)에 저장된 VoIP 패킷, 일례로 패킷 A를 송신기(116)를 통해 제1 내지 제3단말(120,130,140) 중 하나의 단말, 일례로 제1단말(120)에게 전송한다.
도 1에서는 접속 포인트(110)가 한번에 하나의 단말에게만 VoIP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1에서 설명하는 방법은 접속 포인트(100)가 한번에 하나의 단말에게만 VoIP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접속 포인트(100)의 서비스 가능한 VoIP 용량이 제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접속 포인트가 다수의 단말들에게 VoIP 패킷을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속 포인트의 서비스 가능한 VoIP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연결된 접속 포인트(210)는 분류기 (211), VoIP 큐(queue)(114), 및 송신기(116)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단말(station)(120,130,140)은 상기 접속 포인트(110)에 접속하여 VoIP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수의 패킷들을 수신한 접속 포인트(210)는 분류기(211)를 통해 상기 복수의 패킷들로부터 VoIP 패킷만을 분류하고, 분류된 VoIP 패킷, 일례로 패킷 A,B,C를 다중화 큐(213)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접속 포인트(210)는 다중화기(215)를 주기적으로 동작시켜 다중화 큐(213)에 저장된 패킷 A,B,C를 조합하여 하나의 패킷, 일례로 패킷 A/B/C를 생성하고 VoIP 큐(217)에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와 같이 다중화기(215)가 두개 이상의 VoIP 패킷들을 조합하여 생성한 VoIP 패킷을 다중화 패킷이라 칭한다.
이후 접속 포인트(210)는 VoIP 큐(217)에 저장된 패킷 A/B/C를 송신기(219)를 통해 제1 내지 제3단말(220,230,240)에게 멀티캐스트(multicast) 전송하고, 상기 패킷 A/B/C를 수신한 각 단말은 자신에게 전송된 패킷을 추출하여 처리한다.
이와 같이 도 2의 접속 포인트(210)는 한번에 다수의 단말들에게 VoIP 패킷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전송 효율이 높아져 VoIP 패킷들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총 무선 자원의 양이 줄어들며, 도 1에서 설명한 방법 대비 더 많은 VoI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멀티캐스트 전송 방식은 매체 접근 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이하 'MAC'이라 칭함) 레이어(layer)에서 재전송하지 않으므로, 멀티캐스트 전송된 다중화 패킷, 즉 패킷 A/B/C는 무선 에러로 인해 손실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내지 제3단말(220,230,240)은 다중화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자신에게 전송되어야 할 VoIP 패킷이 손실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해야만 한다. 그런 다음 만약 손실된 VoIP 패킷이 있을 경우, 해당 단말은 접속 포인트(210)에게 손실된 VoIP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접속 포인트(210)는 상기 손실된 VoIP 패킷을 재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도 2의 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접속 포인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접속 포인트는 수신블록(301), 수신 핸들러(handler) 블록(303), 다중화 관리 블록(305), 다중화 리스트 블록(307), 브릿지(bridge) 블록(309), 분류 블록(311), 다중화 큐 블록(313), 다중화 블록(315), 제1 내지 제4전송 큐 블록(323,321,319,317), 제1 내지 제4 EDCA 블록(331,329,327,325) 및 송신 블록(333)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접속 포인트에 접속한 단말이 일례로 스마트폰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접속 포인트는 수신블록(301)를 통해 수신된 복수의 패킷들을 수신 핸들러 블록(303)으로 전달하고, 상기 수신 핸들러 블록(303)은 수신한 패킷들 중 자체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패킷과 그 밖의 패킷을 구분하여 각각 다중화 관리 블록(305) 및 브릿지 블록(309)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브릿지 블록(309)은 원거리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과 WLAN을 연결하는 블록을 의미한다. 상기 자체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패킷은 패킷 다중화 동작 중 단말들이 재전송을 요청하기 위해 접속 포인트로 전송한 패킷을 의미한다. 상기 재전송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 도 6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브릿지 블록(309)으로 전달된 패킷은 분류 블록(311)을 통해 서비스 종류 또는 단말 별로 분류되고, 분류된 패킷들 중 VoIP 패킷은 다중화 큐 블록(313)으로 전달된다. 상기 다중화 큐 블록(313)은 다중화 패킷 생성을 위해 단말 별 VoIP 패킷을 잠시 보관하는 곳으로, 내부에 각 단말 별로 구분되는 별도의 큐, 즉 제1단말 큐(STA0 큐) 및 제2단말 큐(STA1 큐) 등을 포함한다.
그런 다음 접속 포인트는 다중화 리스트 블록(307)을 통해 VoIP 패킷을 전송할 단말이 리스트에 기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리스트에 기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VoIP 패킷을 다중화 큐 블록(313)의 해당 단말 큐에 저장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리스트에 기재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VoIP 패킷을 제4전송 큐 블록(317), 제4 EDCA 블록(325) 및 송신 블록(333)을 통해(317)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리스트는 패킷 다중화 동작이 적용될 단말의 정보가 기재된 리스트를 의미하며, 상기 리스트는 다중화 관리 블록(305), 분류기 블록(311), 다중화 큐 블록(313) 및 다중화 블록(315)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말이 상기 리스트에 기재되어 있지만 핸드오버 등으로 상기 단말에게 VoIP 패킷을 긴급히 전송해야 할 경우에는, 상기 VoIP 패킷을 다중화 큐 블록(313)에 저장하는 대신 제4전송 큐 블록(317)으로 전달함으로써 패킷 다중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단말로 바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제1 내지 제4전송 큐 블록(323,321,319,317)은 패킷의 서비스 종류 등에 따라 구분된다.
접속 포인트는 다중화 블록(315)을 주기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패킷 다중화 과정, 즉 다중화 큐 블록(313)에 저장된 VoIP 패킷들을 조합하여 다중화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다중화 블록(315)은 최대 M개의 VoIP 패킷을 다중화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M개의 VoIP 패킷들 중 패킷 각각의 우선순위(priority)를 고려하여 선택된 m개(m≤M)의 VoIP 패킷을 다중화한다. 이때 상기 우선순위는 일례로 재전송해야 하는 VoIP 패킷에게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되고, 상기 다중화 큐 블록(313)에 오래 보관된 VoIP 패킷 일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된다.
상기와 같은 패킷 다중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다중화 패킷은 제4전송 큐 블록(317)으로 전달되며, 접속 포인트는 제4전송 큐 블록(317)에 저장된 다중화 패킷을 제4 EDCA 블록(325) 및 송신 블록(333)을 통해 해당 단말들에게 멀티캐스트한다.
접속 포인트는 상기 다중화 패킷을 멀티캐스트할 모든 단말들의 상태를 미리 알 수 있으며, 만약 상기 다중화 패킷을 멀티캐스트할 단말들 중 절전(power save) 상태의 단말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비콘(beacon) 메시지의 트래픽 지시 맵(TIM: Traffic Indication MAP)에 멀티캐스트 여부를 표시하여 상기 절전 상태의 단말에 전송해야만 한다. 상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단말은 절전 상태로부터 벗어나 상기 접속 포인트가 멀티캐스트하는 다중화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다중화 패킷을 멀티캐스트할 모든 단말들 중 절전 상태의 단말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비콘 메시지의 트래픽 맵에 멀티캐스트 여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접속 포인트는 다중화 패킷을 멀티캐스트할 때 상기 멀티캐스트 전송에 다른 전송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다. 즉 EDCA 방식에 따르면 VoIP 패킷을 전송할 때 접속 카테고리가 음성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AC_VO(Access Categry_Voice) 클래스(class)에 설정된 AIFSN(Arbitrarion Interframe Space Number), 경쟁 윈도우 최소값(CWmin: Contention Window Minimum, 이하 'CWmin'이라 칭함), 경쟁 윈도우 최대값(CWmin: Contention Window Maximum, 이하 'CWmax'라 칭함)에 따라 백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다중화 패킷을 멀티캐스트할 때에는 상기 AIFSN 대신 PIFS(Point Interframe Space)를 사용하고 CWmin 및 CWmax 값을 '0'으로 설정하여 백오프 동작을 수행 한다. 따라서 접속 포인트가 전송하는 다중화 패킷은 단말의 전송과 충돌되지 않는다.
한편, 다중화 리스트 블록(307)에서 관리되는 리스트는 앞서 설명한 패킷 다중화 동작과는 별개로 관리되며, 상기 리스트 관리 동작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접속 포인트는 다중화 관리 블록(305)이 단말의 VoIP 통화 발생을 검출할 시 또는 현재 VoIP 통화중인 단말이 다른 접속 포인트로부터 자신에게로 핸드오버 함을 검출할 시, 송신블록(333)을 통해 해당 단말로 다중화 패킷 생성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는 다중화 참여(join)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블록(301)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다중화 패킷 생성에 참여할 것임을 응답하는 다중화 참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다중화 참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즉시 접속 포인트로부터 멀티캐스트되는 다중화 패킷을 수신하기 시작한다.
그런 다음 접속 포인트는 다중화 관리 블록(305)을 통해 상기 단말의 MAC 어드레스(address)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을 리스트에 추가한다. 즉 상기 리스트에 상기 단말의 MAC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상기 다중화 참여 요청 메시지에는 멀티캐스트 어드레스, 다중화 주기, 단말의 다중화 식별자(ID: identifier, 이하 'ID'라 칭함) 등 접속 포인트가 다중화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접속 포인트는 다중화 관리 블록(305)이 단말의 VoIP 통화 종료를 검출할 시 또는 현재 VoIP 통화중인 단말이 다른 접속포인트로 핸드오버 함을 검출할 시, 송신블록(333)을 통해 해당 단말로 상기 다중화 관리 블록(305)의 리스트에서 삭제될 것임을 알리는 리스트 삭제 통지(notify)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블록(301)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리스트 삭제 통지에 응답하는 리스트 삭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접속 포인트는 다중화 관리 블록(305)을 통해 리스트에서 상기 단말을 삭제하고, 삭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삭제 완료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리스트 삭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즉시 접속 포인트로부터 멀티캐스트되는 다중화 패킷의 수신을 중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패킷 다중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다중화 패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3개의 VoIP 패킷, 일례로 패킷 A,B,C(400,410,420)을 가정하면, 각각의 패킷은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칭함) 필드,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User Datagram Protocol, 이하 UDP'라 칭함) 필드, 실시간 프로토콜(RTP: Real Time Protocol, 이하 'RTD'라 칭함) 필드, 및 음성 데이터(voice data)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IP 필드는 멀티캐스트 전송을 위한 IP 헤더를 의미하고, UDP 필드는 멀티캐스트 전송을 위한 UDP 헤더를 의미하고, RTP 필드는 VoIP 패킷에 있던 RTP 헤더를 의미하고, 음성 데이터 필드는 VoIP 패킷의 음성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패킷 A,B,C(400,410,420)는 앞서 설명한 접속 포인트의 패킷 다중과 동작을 통해 다중화 패킷 A/B/C(430)으로 조합되고, 이때 다중화 패킷 A/B/C(430)는 IP 필드(431), UDP 필드(433), 시퀀스(SEQ: Sequence, 이하 'SEQ'라 칭함) 필드(435), 다중화(MUX: Multiplexing, 이하 'MUX'라 칭함) 필드(437)와 패킷 A(400)의 RTP 필드(401) 및 음성 데이터 필드(403)와 패킷 B(410)의 RTP 필드(411) 및 음성 데이터 필드(413)와 패킷 C(420)의 RTP 필드(421) 및 음성 데이터 필드(4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SEQ 필드(435)는 마지막으로 전송된 VoIP 패킷의 RTP 시퀀스 넘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헤더를 의미하고, MUX 필드(437)는 이후에 위치한 RTP 필드와 음성 데이터 필드를 구분하기 위한 헤더를 의미한다.
즉 접속 포인트는 패킷 다중과 동작을 통해 각 패킷의 RTP 필드 및 음성 데이터 필드를 조합하고, IP 필드 및 UDP 필드는 한번만 포함하도록 하여 다중화 패킷 A/B/C(430)를 생성한 뒤, 상기 다중화 패킷 A/B/C(430)을 각 패킷이 전송될 단말들에게 멀티캐스트한다. 따라서 접속 포인트는 동시에 복수의 단말들에게 상기 다중화 패킷 A/B/C(430)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다중화 패킷에 포함되는 SEQ 필드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SEQ 필드는 사이즈(size) 필드(501), 넘버(NUM: Number, 이하 'NUM'이라 칭함) 필드(503), SEQ 맵(MAP) 필드(505), 제1 SEQ 내지 제N SEQ 필드(507-511)를 포함하며, RTP 시퀀스 넘버를 나타내는 상기 제1 SEQ 내지 제N SEQ 필드(507-511)는 앞서 설명한 다중과 관리 블록(305)이 관리하는 리스트에 기재된 모든 단말이 자신이 수신해야 할 VoIP 패킷의 RTP 시퀀스 넘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에게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해야만 한다.
상기 사이즈 필드(501)는 SEQ 맵 필드(505)의 크기를 나타내고, NUM 필드(503)는 시퀀스 넘버 정보, 즉 제1 SEQ 내지 제N SEQ의 개수를 나타내고, 제1 SEQ 내지 제N SEQ 필드(507-511) 각각은 VoIP 패킷의 RTP 시퀀스 넘버로서 하위 8비트(bit) 정보를 나타낸다. SEQ 맵 필드(505)는 SEQ1,SEQ2,,SEQN이 어떤 단말의 RTP 시퀀스 넘버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SEQ 필드에 포함되는 SEQ 맵 필드 포맷을 일례로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SEQ 맵 필드는 비트맵(bitmap) 정보를 나타내며, 비트맵에서 K번째 1의 비트 인덱스가 L이면 SEQK는 다중화 ID가 L인 단말의 RTP 시퀀스 넘버를 의미한다. 즉 SEQ1, SEQ2, SEQ3, SEQ4는 다중화 ID가 각각 1,3,7,10인 단말의 RTP 시퀀스 넘버를 의미한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다중화 패킷에 포함되는 MUX 필드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MUX 필드는 NUM 필드(550), ID 필드(552), 오프셋(offset) 필드(554), ID 필드(556), 오프셋 필드(558)를 포함한다.
NUM 필드(550)는 다중화 패킷에 포함되는 RTP 헤더 및 음성 데이터의 개수를 의미하며, 또한 MUX 필드에 포함되는 ID 필드와 오프셋 필드의 개수를 의미한다. ID 필드(552,556)는 다중화 ID를 의미하고, 오프셋 필드(554,558)는 도 7의 다중화 패킷(430)에서 MUX 필드(437) 다음부터 상기 ID 필드(552)가 가리키는 단말의 RTP 필드까지의 바이트(byte) 오프셋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NUM 필드(550) 값이 '2'이고, ID 필드(552) 값이 '10'이고, 오프셋 필드(554) 값이 '0'이고, ID 필드(556) 값이 '11'이고, 오프셋 필드(558) 값이 '172'인 경우, 다중화 ID가 10인 단말은 다중화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다중화 패킷에서 MUX 필드 다음부터 172 bytes를 자신이 수신해야 할 VoIP 패킷, 즉 RTP 헤더 및 음성 데이터로 인식한다.
또한 동시 서비스 중인 단말의 개수가 40개인 경우을 가정하면, 다중화 패킷의 SEQ 필드에서 사이즈 필드(501) 값은 '5'(=40/8)이 되고, NUM 필드(5030) 값은 '40'이 된다. 즉 SEQ 맵 필드(505)에는 5bytes의 비트맵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SEQ 필드는 40개의 시퀀스 넘버 각각에 대응되는 제1 SEQ 필드 내지 제40 SEQ 필드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접속 포인트는 40개의 단말에게 VoIP 통화를 서비스하기 위해 VoIP 패킷의 생성 주기마다 40/M개 이상의 다중화 패킷을 전송해야만 한다. 여기서 상기 M은 VoIP 패킷의 다중화가 가능한 최대 패킷 개수를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VoIP 제공을 위한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수신블록(601), 수신 핸들러 블록(603), 역다중화 블록(605), 다중화 클라이언트(client) 블록(607),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블록(609), 분류 블록(611), 제1 내지 제4전송 큐 블록(619,617,615,613), 제1 내지 제4 EDCA 블록(627,625,623,621), 및 송신 블록(629)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단말이 일례로 스마트폰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은 수신블록(601)을 통해 수신된 복수의 패킷들을 수신 핸들러 블록(603)으로 전달하고, 상기 수신 핸들러 블록(603)은 수신한 패킷들 중 다중화 패킷과 VoIP 패킷을 구분하여 각각 역다중화 블록(605) 및 어플리케이션 블록(609)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블록(609)은 FMC 서비스와 같이 WLAN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또한 단말은 역다중화 블록(605)으로 전달된 다중화 패킷에서 자신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VoIP 패킷을 추출하여 어플리케이션 블록(609)으로 전달한다. 즉 단말은 다중화 클라이언트 블록(607)을 통해 상기 다중화 패킷의 MUX 필드에 자신의 다중화 ID가 포함되어 있는지 검사하고, 상기 MUX 필드에 자신의 다중화 ID가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오프셋 필드를 확인하여 상기 오프셋 필드가 지시하는 값에 따른 VoIP 패킷, 즉 RTP 헤더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은 다중화 클라이언트 블록(607)을 통해 상기 다중화 필드의 SEQ 필드 또한 검사하여 접속 포인트가 자신에게 전송한 VoIP 패킷의 RTP 시퀀스 넘버, 즉 제1값과 자신이 마지막으로 수신한 VoIP 패킷의 RTP 시퀀스 넘버, 즉 제2값을 비교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1값과 제2값이 일치하면, 재전송에 관한 어떠한 동작도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1값과 제2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다중화 클라이언트 블록(607)은 자신이 수신해야 할 VoIP 패킷에 손실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자신이 수신한 VoIP 패킷의 RTP 시퀀스 넘버 중 최근 L개를 다중화 부정응답(negative acknowledgement) 메시지에 포함시켜 접속 포인트로 전송한다. 상기 다중화 부정응답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VoIP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이며, 상기 다중화 부정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접속 포인트는 상기 다중화 부정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단말이 수신하지 못한 VoIP 패킷을 재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접속 포인트가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단계에서 접속 포인트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패킷들을 수신하고 702단계로 진행한다. 702단계에서 접속 포인트는 상기 수신한 복수의 패킷들 중 VoIP 패킷을 검출하고 705단계로 진행한다.
705단계에서 접속 포인트는 상기 VoIP 패킷을 전송할 단말이 자신이 관리하는 리스트, 즉 패킷 다중화가 적용될 단말의 정보가 기재된 리스트에 기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접속 포인트는 상기 리스트에 상기 단말이 기재되어 있으면, 7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VoIP 패킷을 다중화 큐에 저장하고 709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리스트에 상기 단말이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7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VoIP 패킷을 전송 큐에 저장한다.
709단계에서 접속 포인트는 상기 다중화 큐에 저장된 VoIP 패킷의 개수 m이 VoIP 패킷의 다중화가 가능한 최대 패킷 개수 M보다 작은지 검사하고, m이 M보다 작을 경우 711단계로 진행하여 다중화 패킷을 생성할 적절한 VoIP 패킷이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이때 상기 적절한 VoIP 패킷은 각 패킷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순위는 일례로 재전송해야 하는 VoIP 패킷에게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되고, 상기 다중화 큐 블록에 오래 보관된 VoIP 패킷 일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접속 포인트는 711단계 검사 결과 상기 다중화 패킷을 생성할 적절한 VoIP 패킷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713단계로 진행하여 m을 1 증가시킨 후 709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709단계에서 m이 M보다 작지 않을 경우, 즉 m이 M과 동일할 경우 접속 포인트는 715단계로 진행하여 다중화 큐에 저장된 VoIP 패킷들을 조합하여 다중화 패킷을 생성한다. 717단계에서 접속 포인트는 상기 생성한 다중화 패킷을 전큐로 전달하고 719단계로 진행한다. 719단계에서 접속 포인트는 전송 큐에 저장된 VoIP패킷 및 다중화 패킷을 멀티캐스트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접속 포인트는 단말로부터 VoIP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였음을 알리는 부정응답을 수신할 경우 언제든지 상기 단말에게 해당 VoIP 패킷을 재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에서 단말이 VoIP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1단계에서 단말은 접속 포인트로부터 다중화 패킷을 수신하고 802단계로 진행한다. 802단계에서 단말은 수신한 다중화 패킷의 MUX 필드를 확인하고 8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MUX 필드에 자신의 다중화 ID가 포함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단말은 상기 MUX 필드에 자신의 다중화 ID가 포함되어 있으면 8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MUX 필드에서 자신에게 해당되는 오프셋 필드를 확인하고 809단계로 진행한다. 809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확인한 오프셋 필드가 지시하는 값에 따른 VoIP 패킷, 즉 RTP 헤더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811단계로 진행한다.
811단계에서 단말은 수신한 다중화 패킷의 SEQ 필드를 확인하고 813단계로 진행한다. 813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SEQ 필드를 통해 접속 포인트가 자신에게 전송한 VoIP 패킷의 RTP 시퀀스 넘버, 즉 제1값과 자신이 마지막으로 수신한 VoIP 패킷의 RTP 시퀀스 넘버, 즉 제2값이 동일한지 비교하고, 상기 제1값과 제2값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815단계로 진행한다.
815단계에서 단말은 VoIP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였음을 알리는 부정응답을 접속 포인트로 전송하고 817단계로 진행한다. 817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접속 포인트가 재전송하는 VoIP 패킷을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4)

  1.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포인트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패킷들 중 음성 패킷만을 검출하여 큐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큐에 저장된 음성 패킷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을 조합하여 다중화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한 다중화 패킷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 각각이 전송될 단말들로 멀티캐스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접속 포인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을 전송할 단말이 패킷 다중화가 적용될 리스트에 기재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상기 리스트에 기재되어 있을 경우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을 상기 큐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접속 포인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리스트에 기재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접속 포인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음성 서비스 요청이 발생됨을 검출할 시, 상기 단말로 상기 다중화 패킷 생성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다중화 패킷 생성에 참여할 것임을 응답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시, 상기 리스트에 상기 단말의 정보를 기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접속 포인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음성 서비스가 종료됨을 검출할 시, 상기 단말로 상기 리스트에서 삭제될 것임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통지 메시지에 응답하는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시,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단말의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접속 포인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패킷은 인터넷 프로토콜 필드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필드와, 시퀀스 필드와, 다중화 필드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 각각에 대응하는 실시간 프로토콜 필드 및 음성 데이터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포인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이 손실되었음을 나타내는 부정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부정 응답의 수신에 따라 상기 음성 패킷을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접속 포인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하는 과정은,
    접속 카테고리가 음성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AC_VO(Access Categry_Voice) 클래스에 설정된 PIFS(Point Interframe Space)을 사용하고, 경쟁 윈도우 최소값 및 경쟁 윈도우 최대값을 '0'으로 설정하여 백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접속 포인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9.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접속 포인트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의 조합으로 생성된 다중화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중화 패킷에서 자신에게 해당하는 음성 패킷을 검출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이 손실되었을 시, 상기 접속 포인트로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이 손실되었음을 나타내는 부정응답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포인트로부터 재전송된 음성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패킷에서 자신에게 해당하는 음성 패킷을 검출하여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다중화 패킷에 포함된 다중화 필드에 상기 자신에게 해당하는 다중화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다중화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다중화 필드에서 상기 자신에게 해당되는 오프셋 필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한 오프셋 필드가 지시하는 값에 따른 음성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의 손실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손실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다중화 패킷에 포함된 시퀀스 필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시퀀스 필드를 통해 상기 접속 포인트가 자신에게 전송한 음성 패킷의 실시간 프로토콜(RTP: Real Time Protocol) 시퀀스 넘버와 자신이 마지막으로 수신한 음성 패킷의 RTP 시퀀스 넘버를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포인트가 자신에게 전송한 음성 패킷의 RTP 시퀀스 넘버와 상기 자신이 마지막으로 수신한 음성 패킷의 RTP 시퀀스 넘버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이 손실 되었다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13.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접속 포인트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패킷들을 수신하는 수신 블록과,
    상기 복수의 패킷들 중 음성 패킷만을 검출하는 수신 핸들러 블록과,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을 저장하는 다중화 큐 블록과,
    상기 다중화 큐 블록에 저장된 음성 패킷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을 조합하여 다중화 패킷을 생성하는 다중화 블록과,
    상기 생성한 다중화 패킷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 각각이 전송될 단말들로 멀티캐스트하는 송신 블록을 포함하는 접속 포인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을 전송할 단말이 패킷 다중화가 적용될 리스트에 기재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다중화 관리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중화 관리 블록이 상기 단말이 상기 리스트에 기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시,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을 상기 다중화 큐 블록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포인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관리 블록이 상기 단말이 상기 리스트에 기재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시,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을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포인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관리 블록은, 상기 단말의 음성 서비스 요청이 발생됨을 검출할 시, 상기 송신 블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상기 다중화 패킷 생성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 블록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다중화 패킷 생성에 참여할 것임을 응답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리스트에 상기 단말의 정보를 기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포인트.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관리 블록은, 상기 단말의 음성 서비스가 종료됨을 검출할 시, 상기 송신 블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상기 리스트에서 삭제될 것임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 블록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통지 메시지에 응답하는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단말의 정보를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포인트.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패킷은 인터넷 프로토콜 필드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필드와, 시퀀스 필드와, 다중화 필드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 각각에 대응하는 실시간 프로토콜 필드 및 음성 데이터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포인트.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블록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이 손실되었음을 나타내는 부정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송신 블록을 통해 상기 음성 패킷을 재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포인트.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블록은, 접속 카테고리가 음성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AC_VO(Access Categry_Voice) 클래스에 설정된 PIFS(Point Interframe Space)을 사용하고, 경쟁 윈도우 최소값 및 경쟁 윈도우 최대값을 '0'으로 설정하여 백오프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포인트.
  21.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접속 포인트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음성 패킷의 조합으로 생성된 다중화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블록과,
    상기 다중화 패킷에서 자신에게 해당하는 음성 패킷을 검출하여 수신하는 역다중화 블록과,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이 손실되었을 시, 상기 접속 포인트로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이 손실되었음을 나타내는 부정응답을 전송하는 송신 블록과,
    상기 접속 포인트로부터 재전송된 음성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블록을 포함하는 단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패킷에 포함된 다중화 필드에 상기 자신에게 해당하는 다중화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다중화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다중화 필드에서 상기 자신에게 해당되는 오프셋 필드를 확인하는 다중화 클라이언트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블록은 상기 확인한 오프셋 필드가 지시하는 값에 따른 음성 패킷을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클라이언트 블록은 상기 다중화 패킷에 포함된 시퀀스 필드를 확인하고, 상기 시퀀스 필드를 통해 상기 접속 포인트가 자신에게 전송한 음성 패킷의 실시간 프로토콜(RTP: Real Time Protocol) 시퀀스 넘버와 자신이 마지막으로 수신한 음성 패킷의 RTP 시퀀스 넘버를 비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클라이언트 블록은 상기 접속 포인트가 자신에게 전송한 음성 패킷의 RTP 시퀀스 넘버와 상기 자신이 마지막으로 수신한 음성 패킷의 RTP 시퀀스 넘버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검출한 음성 패킷이 손실 되었다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10141660A 2011-12-23 2011-12-23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093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660A KR20130093711A (ko) 2011-12-23 2011-12-23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4/368,291 US9479351B2 (en) 2011-12-23 2012-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oice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2/011281 WO2013095051A1 (en) 2011-12-23 2012-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oice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660A KR20130093711A (ko) 2011-12-23 2011-12-23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711A true KR20130093711A (ko) 2013-08-23

Family

ID=4866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660A KR20130093711A (ko) 2011-12-23 2011-12-23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79351B2 (ko)
KR (1) KR20130093711A (ko)
WO (1) WO20130950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725A (ko) * 2014-04-04 2016-12-14 브이아이디 스케일, 인크. 네트워크-기반 조기 패킷 손실 검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0115B1 (en) * 2016-10-19 2020-05-19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semi-persistent schedul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3021B1 (en) * 1999-03-08 2006-01-31 Lucent Technologies Inc. Lightweight internet protocol encapsulation (LIPE) scheme for multimedia traffic transport
US7738407B2 (en) * 2001-08-03 2010-06-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IPP2T (IP-push-to-talk) wireless LAN mobile radio service
WO2003019840A2 (en) * 2001-08-23 2003-03-06 Bamboo Mediacasting Inc. Multicast transmission in packet based cellular networks
KR20060038296A (ko) 2004-10-29 200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플렉싱 장치 및 방법
KR100603575B1 (ko) * 2004-12-02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VoIP 단말의 RTP 미디어 패킷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8339948B2 (en) * 2005-09-16 2012-12-25 Ntt Docomo, Inc. Method for improving capacity in multi-hop wireless mesh networks
US7978650B2 (en) 2005-10-19 2011-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cast/broadcast servic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0961927B1 (ko) * 2005-10-19 201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JP4970151B2 (ja) * 2006-08-21 2012-07-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20080049703A1 (en) * 2006-08-28 2008-02-28 Nokia Corporation Multicast-only data transmission mode for access points and virtual access points in a wireless network
US8547891B2 (en) * 2006-10-10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multicasting over a forward link
US8670363B2 (en) * 2007-05-30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cheduling information for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8265094B2 (en) * 2007-09-24 2012-09-11 Qualcomm Incorporated De-registering a multicast group member from a multicast group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EP2059000A1 (en) * 2007-11-06 2009-05-13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voice bearer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8385245B2 (en) * 2008-11-13 2013-02-26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casting in a network environment
US8488619B2 (en) * 2009-06-09 2013-07-16 Alcatel Lucent Allocating interlace multiplex pairs for multicast services
US8656029B2 (en) * 2011-06-30 2014-02-18 Alcatel Lucent Multicast session setup in networks by determining a multicast session parameter based on a pre-existing unicast session parame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725A (ko) * 2014-04-04 2016-12-14 브이아이디 스케일, 인크. 네트워크-기반 조기 패킷 손실 검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95051A1 (en) 2013-06-27
US9479351B2 (en) 2016-10-25
US20140376443A1 (en) 2014-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22573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控制数据通信的系统和方法
US8351365B2 (en) Method for retransmitting multicast frames and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d multicast frames in wireless network
JP4086304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82236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data throughout using a block acknowledgement
JP4047836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769756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7349433B2 (en) Signaling for parameterized quality of service (QoS) support
US95778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multicast in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KR101611377B1 (ko) 시분할 다중 액세스 기반 프로토콜에서 채널의 활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US201601646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frame acknowledgment
US20070115905A1 (en) Mechanism for multicast and/or broadcast acknowledgements
EP344797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JP4444237B2 (ja) 無線通信装置
US20110243117A1 (en) Base station and wireless terminal
US20170034862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ing device, and receiving device
CN101668314A (zh) 用于无线分布系统的数据传输方法和装置
KR20070086060A (ko)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멀티캐스트 통신 시스템
JP4314294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20130093711A (ko)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8054336A1 (zh) 消息的发送方法和装置
EP39526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radio bearer
US87979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supporting macro diversity
US20230284290A1 (en) Enhanced Multi-link UORA
EP3298840B1 (en) Supporting packet query-response transactions at lower layer
RU2020133481A (ru)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ресурс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держки связ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следующего поко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