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838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838A
KR20130092838A KR1020120014387A KR20120014387A KR20130092838A KR 20130092838 A KR20130092838 A KR 20130092838A KR 1020120014387 A KR1020120014387 A KR 1020120014387A KR 20120014387 A KR20120014387 A KR 20120014387A KR 20130092838 A KR20130092838 A KR 20130092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mage sensor
circuit board
disposed
switch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덕승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2838A/ko
Publication of KR2013009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하고 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상기 하우징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렌즈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필터 절환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이미지 센서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광을 투과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내구성 및 이미지 센서의 보호 능력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멀리 떨어져 있는 특정한 장소나 사물을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영상으로 촬영하고, 해당 영상을 폐쇄 회로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촬영되는 장소나 사물의 이상 유무를 현장에 가지 않고도, CCTV 또는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빌딩, 주차장, 아파트 단지 등에서 보안 및 방범용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안전장치 등으로 이용되는 등 그 용도가 다변화되고 있다.
한편, 감시용 카메라 모듈은 광량이 충분한 주간에는 별도의 조명 없이 주변의 광량을 이용하여 영상을 컬러로 촬영하고, 사람의 시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는 전방을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여 렌즈의 광량을 보충하는 복수 개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Infrared Rays Light Emitting Diode; IR LED)를 이용하여 흑백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감시용 카메라 모듈은 주간에는 사람의 시감특성과 일치시키도록 사람이 감지하는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예를 들면 400-700nm)를 사용하고, 야간에는 적외선의 파장(예를 들면 800-10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주간과 야간에 사용되는 빛의 파장이 다르므로, 감시용 카메라 모듈은 주간용 광학 필터 및 야간용 광학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절환 어셈블리를 구비할 수 있다.
한국 공개 특허 2002-0052155호에는 이러한 주간용 광학 필터 및 야간용 광학 필터를 구비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필터 절환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이 용이하지 않아 카메라 모듈의 내구성이 감소하고, 또한 필터 절환 어셈블리의 추가로 인하여 이미지 센서가 이물 등에 의하여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이미지 센서의 보호 능력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하고 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상기 하우징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렌즈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필터 절환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이미지 센서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광을 투과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회로 기판의 면 중 상기 렌즈부를 향하는 면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이미지 센서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회로 기판의 면 중 상기 렌즈부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광투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회로 기판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 절환 어셈블리는 주간 광학 필터, 야간 광학 필터 및 상기 필터 절환 어셈블리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홀을 기준으로 상기 회로 기판에 가까운 제1 영역 및 상기 렌즈부에 가까운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밀착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필터 절환 어셈블리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홀 주변에는 상기 필터 절환 어셈블리의 전체가 상기 하우징 내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버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회로 기판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모듈은 내구성 및 이미지 센서의 보호 능력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작동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작동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회로 기판(110:circuit board), 이미지 센서(120), 하우징(130),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 렌즈부(150) 및 보호 부재(160)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110)은 이미지 센서(12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110)은 인쇄 회로 기판(PCB: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 회로 기판(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회로 기판(110)상에는 하우징(130)이 배치된다. 하우징(130)은 이미지 센서(120),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 및 렌즈부(150)가 배치될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130)은 그 내부에 배치된 부재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회로 기판(110)과 하우징(130)은 서로 결합되는데, 회로 기판(110)과 하우징(130)은 적어도 소정의 영역에서 서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30)은 가이드 홀(133)을 구비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미지 센서(120)는 회로 기판(110)의 일면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 기판(110)의 면 중 렌즈부(150)를 향하는 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센서(120)는 하우징(130)의 내부에 대응하도록 회로 기판(110)의 일면에 배치된다.
이미지 센서(120)는 광이 입사되면 이러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이미지 센서(120)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는데, 구체적인 예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센서(120)는 패키징 형태가 아닌 bare chip 상태로서 회로 기판(110)과 결합한다.
렌즈부(150)는 하우징(13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이미지 센서(120)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렌즈부(150) 및 이미지 센서(120)는 광의 경로상에 배치된다. 렌즈부(150)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고, 하우징(130)의 내부와 결합하도록 체결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렌즈부(150)의 일 영역은 하우징(1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 영역은 그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130)의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렌즈부(150)의 전체 영역이 하우징(130)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하우징(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는 야간 광학 필터(141), 주간 광학 필터(142) 및 구동부(143)을 구비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는 야간 광학 필터(141), 주간 광학 필터(142)의 일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필터 윈도우(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서는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가 두 개의 필터(141, 142)를 구비하나 세 개 이상의 필터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각각의 필터(141, 142)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간 광학 필터(142)는 가시 광선의 양이 풍부한 주간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가시 광선을 충분히 통과시키는 다양한 광학 필터일 수 있다. 또한 색 재현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주간 광학 필터(142)는 광학저역필터(OLPF:optical low pass filt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야간 광학 필터(141)는 가시 광선이 부족한 야간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광학 필터일 수 있는데, 예를들면 야간 광학 필터(141)는 유리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는 하우징(130)의 가이드 홀(133)을 통하여 하우징(130)의 내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의 야간 광학 필터(141) 또는 주간 광학 필터(142)가 광 경로, 즉 렌즈부(150)와 이미지 센서(12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홀(133)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가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이미지 센서(120) 및 렌즈부(150)와 이격된 채 이동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가이드 홀(133)이 하우징(13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의 크기에 따라 하우징(130)의 가이드 홀(133)의 크기는 결정된다. 또한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가 하우징(130)내부로 완전히 들어가지 않도록 하우징(130)의 가이드 홀(133)의 주변 영역은 버팀부(131a, 132a)를 구성한다.
즉, 하우징(130)은 가이드 홀(133)을 중심으로 이미지 센서(120)를 향하는 제1 영역(131) 및 렌즈부(150)를 향하는 제2 영역(132)으로 나눌 수 있고, 제1 영역(131) 및 제2 영역(132)은 각각 제1 버팀부(131a) 및 제2 버팀부(132a)를 구비한다. 제1 버팀부(131a) 및 제2 버팀부(132a)는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의 일 영역, 예를들면 구동부(143)가 하우징(130)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의 구동부(143)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를 구동하여 야간 광학 필터(141) 및 주간 광학 필터(142)를 적절하게 렌즈부(150)와 이미지 센서(12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즉, 가시 광선의 광량이 충분한 주간에는 도 1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주간 광학 필터(142)가 렌즈부(150)와 이미지 센서(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야간에는 구동부(143)를 이용하여 도 1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를 이동하여 야간 광학 필터(141)가 렌즈부(150) 및 이미지 센서(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한다.
보호 부재(160)는 하우징(130)내에 배치된다. 즉, 보호 부재(160)는 하우징(130)내에 배치되어 이미지 센서(120)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데,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에 비하여 이미지 센서(120)와 가깝게 배치된다. 즉. 보호 부재(160)는 하우징(130)의 제1 영역(131)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120)를 이물, 특히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의 동작 시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보호 부재(160)와 이미지 센서(120)의 접촉으로 인한 이미지 센서(120)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보호 부재(160)는 이미지 센서(120)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보호 부재(160)는 하우징(130)내에 하우징(130)과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보호 부재(160)와 하우징(130)의 내주면 사이는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보호 부재(160)와 하우징(130)는 체결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밀착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보호 부재(160)는 이미지 센서(120)와 렌즈부(150)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므로 렌즈부(150)를 통하여 입사된 광이 이미지 센서(120)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보호 부재(160)는 광투과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은 야간 광학 필터(141) 및 주간 광학 필터(142)를 구비하는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를 구비하여 가시 광선의 광량이 충분한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감도 특성을 향상하고, 결과적으로 우수한 감시 특성을 갖는 카메라 모듈(100)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구동부(143)를 통하여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주간 광학 필터(142) 및 야간 광학 필터(141)를 용이하게 이미지 센서(120)에 대응되도록 이동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편의성을 증대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은 이미지 센서(120)와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사이에 하우징(130)내에 보호 부재(160)를 형성한다. 이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120)가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한다. 특히 보호 부재(160)를 하우징(130)내에 하우징(130)과 밀착하도록 결합하여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의 작동 시 발생하는 이물로 인한 이미지 센서(120)의 오염 및 손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의 용이한 이동을 위하여 하우징(130)이 가이드 홀(133)을 구비하므로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의 배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필터 절환 어셈블리(140)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100)의 전체적인 조립 공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미지 센서(120)를 하우징(130)내에 배치하고, 이와 동시에 하우징(130)내에 보호 부재(160)를 형성하므로 이미지 센서(120)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패키징이 필요 없고, 결과적으로 이미지 센서(120)를 회로 기판(110)에 부착 시 bare chip 형태로 간편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00)은 회로 기판(210), 이미지 센서(220), 하우징(230), 필터 절환 어셈블리(240), 렌즈부(250) 및 보호 부재(260)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210)은 이미지 센서(22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회로 기판(210)은 소정의 영역에 광투과부(201a)를 구비한다. 광투과부(201a)는 이미지 센서(2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광이 투과하도록 광투과율이 우수한 재질을 함유하거나 개구부 형태일 수 있다.
회로 기판(210)상에는 하우징(230)이 배치된다. 하우징(230)은 필터 절환 어셈블리(240) 및 렌즈부(250)가 배치될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230)은 그 내부에 배치된 부재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회로 기판(210)과 하우징(230)은 서로 결합되는데, 회로 기판(210)과 하우징(230)은 적어도 소정의 영역에서 서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30)은 가이드 홀(233)을 구비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미지 센서(220)는 회로 기판(210)의 일면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 기판(210)의 면 중 렌즈부(25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센서(220)는 하우징(230)의 내부에 배치되지 않고 외부에 배치된다. 다만 이미지 센서(220)는 광투과부(210a)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하우징(230)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렌즈부(250)는 하우징(23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이미지 센서(220)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렌즈부(250) 및 이미지 센서(220)는 광의 경로상에 배치된다.
필터 절환 어셈블리(240)는 야간 광학 필터(241), 주간 광학 필터(242) 및 구동부(243)을 구비한다.
필터 절환 어셈블리(240)는 하우징(230)의 가이드 홀(233)을 통하여 하우징(230)의 내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필터 절환 어셈블리(240)의 야간 광학 필터(241) 또는 주간 광학 필터(242)가 광 경로, 즉 렌즈부(250)와 이미지 센서(22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홀(233)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필터 절환 어셈블리(240)가 하우징(230)의 내부에서 이미지 센서(220) 및 렌즈부(250)와 이격된 채 이동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가이드 홀(233)이 하우징(23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필터 절환 어셈블리(240)의 크기에 따라 하우징(230)의 가이드 홀(233)의 크기는 결정된다. 또한 필터 절환 어셈블리(240)가 하우징(230)내부로 완전히 들어가지 않도록 하우징(230)의 가이드 홀(233)의 주변 영역은 버팀부(231a, 232a)를 구성한다.
즉, 하우징(230)은 가이드 홀(233)을 중심으로 이미지 센서(220)를 향하는 제1 영역(231) 및 렌즈부(250)를 향하는 제2 영역(232)으로 나눌 수 있고, 제1 영역(231) 및 제2 영역(232)은 각각 제1 버팀부(231a) 및 제2 버팀부(232a)를 구비한다. 제1 버팀부(231a) 및 제2 버팀부(232a)는 필터 절환 어셈블리(240)의 일 영역, 예를들면 구동부(243)가 하우징(230)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필터 절환 어셈블리(240)의 구동부(243)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필터 절환 어셈블리(240)를 구동하여 야간 광학 필터(241) 및 주간 광학 필터(242)를 적절하게 렌즈부(250)와 이미지 센서(22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보호 부재(260)는 하우징(230)내에 배치된다. 즉, 보호 부재(260)는 하우징(230)내에 배치되어 회로 기판(210)의 광투과부(210a)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보호 부재(260)는 이미지 센서(220)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보호 부재(260)는 하우징(230)의 제1 영역(231)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220)를 이물, 특히 필터 절환 어셈블리(240)의 동작 시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보호 부재(260)는 회로 기판(210)과 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220)가 하우징(230)의 외부에 배치되므로 회로 기판(210)과 이미지 센서(220)의 직접적 접촉이 차단되므로 보호 부재(260)를 회로 기판(210)과 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호 부재(260)와 회로 기판(210)을 이격시킬 수도 있다.
보호 부재(260)와 이미지 센서(220)의 접촉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므로 보호 부재(260)와 이미지 센서(220)의 접촉으로 인한 이미지 센서(220)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 부재(260)는 하우징(230)내에 하우징(230)과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보호 부재(260)와 하우징(230)의 내주면 사이는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보호 부재(260)와 하우징(230)는 체결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밀착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보호 부재(260)는 이미지 센서(220)와 렌즈부(250)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므로 렌즈부(250)를 통하여 입사된 광이 이미지 센서(220)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보호 부재(260)는 광투과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0)은 이미지 센서(220)를 회로 기판(210)의 면 중 렌즈부(25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한다. 이를 통하여 하우징(230)내의 공간 활용 능력을 향상하여 보호 부재(260)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필터 절환 어셈블리(240)의 작동 시 발생하는 이물 기타 하우징(230)내에 존재하는 이물로부터 이미지 센서(220)를 용이하게 보호하여 카메라 모듈(200)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카메라 모듈
110, 210: 회로 기판
120, 220: 이미지 센서
130, 230: 하우징
133, 233: 가이드 홀
140, 240: 필터 절환 어셈블리
150, 250: 렌즈부
160, 260: 보호 부재
210a: 광투과부

Claims (10)

  1.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하고 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상기 하우징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렌즈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필터 절환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이미지 센서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광을 투과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회로 기판의 면 중 상기 렌즈부를 향하는 면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이미지 센서와 이격되도록 배치된 카메라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회로 기판의 면 중 상기 렌즈부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광투과부를 더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회로 기판과 접하도록 배치된 카메라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절환 어셈블리는 주간 광학 필터, 야간 광학 필터 및 상기 필터 절환 어셈블리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홀을 기준으로 상기 회로 기판에 가까운 제1 영역 및 상기 렌즈부에 가까운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카메라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밀착하도록 결합된 카메라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필터 절환 어셈블리와 이격되도록 배치된 카메라 모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홀 주변에는 상기 필터 절환 어셈블리의 전체가 상기 하우징 내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버팀부가 형성된 카메라 모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회로 기판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20014387A 2012-02-13 2012-02-13 카메라 모듈 KR20130092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387A KR20130092838A (ko) 2012-02-13 2012-02-13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387A KR20130092838A (ko) 2012-02-13 2012-02-13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838A true KR20130092838A (ko) 2013-08-21

Family

ID=4921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387A KR20130092838A (ko) 2012-02-13 2012-02-13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28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709A (ko) * 2021-08-31 2023-03-07 (주)로닉스 용접 전,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더욱 개선된 광량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한 소형화 및 경량화된 용접 카메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709A (ko) * 2021-08-31 2023-03-07 (주)로닉스 용접 전,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더욱 개선된 광량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한 소형화 및 경량화된 용접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77000A1 (en) Domed surveillance camera including means for blocking scattered reflection and stray light
US10132971B2 (en) Vehicle camera with multiple spectral filters
JP6676040B2 (ja) 車両搭載カメラ
US20160119527A1 (en) Vehicle vision system camera with dual filter
CN109428994B (zh) 摄像设备
US11550139B2 (en) Night-vision optical device with automatic infrared-cut function
KR101337671B1 (ko) 적외선 겸용 카메라 모듈
CN104871081B (zh) 相机模块以及具有该相机模块的相机装置
KR100696608B1 (ko) 적외선 조명 감시 카메라 장치
KR102006780B1 (ko)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램프
JP2020048103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移動体
KR20130092838A (ko) 카메라 모듈
KR101639666B1 (ko) 적외선 감시 카메라
KR200462084Y1 (ko) Cctv 카메라의 필터전환 조립체
KR200464467Y1 (ko) 곡면 가공된 nd 필터를 구비한 화상 인식 장치
KR101406157B1 (ko) Cctv 카메라의 윈도우 조립체
JP2009130709A (ja) 近赤外線カメラシステム
TWI515504B (zh) 攝影裝置
TWM464516U (zh) 具有移動式鏡頭模組之門眼裝置
KR200293764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젼용 카메라
KR20160033997A (ko) 적외선 led 및 백색 led를 갖는 감시카메라 제어장치
KR102047967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US20230067669A1 (en) Imaging device
KR100554501B1 (ko) 감시카메라의 역광차단장치
KR20100125676A (ko) 복수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