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531A - 수저터널의 재난방재 설계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저터널의 재난방재 설계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531A
KR20130092531A KR1020130089949A KR20130089949A KR20130092531A KR 20130092531 A KR20130092531 A KR 20130092531A KR 1020130089949 A KR1020130089949 A KR 1020130089949A KR 20130089949 A KR20130089949 A KR 20130089949A KR 20130092531 A KR20130092531 A KR 20130092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ube
tunnel
deck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모
황일선
Original Assignee
김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모 filed Critical 김준모
Priority to KR1020130089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2531A/ko
Publication of KR20130092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3Tunnels submerged into, or built in, open water
    • E02D29/07Tunnels or shuttering therefor preconstructed as a whole or continuously made, and moved into place on the water-bed, e.g. into a preformed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6/00Drainage
    • E21F16/02Drainage of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Constructions, or methods of constructing, i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저터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이 통행하는 중공부 단면을 갖는 터널튜브가 수중에서 누수 되거나 파손 및 기타 사고에 의하여 물이 유입되는 경우, 또는 차량에 의하여 발생되는 오수 및 폐수 등에 대하여 이를 집수하여 배수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물밑에 설치된 연속하는 터널구조물을 지지 또는 계류하는 구조물(FRAME, 트러스, 자켓 및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받는 부재 등)과 일체로 접속 BOX와 설치하는 단계와; 이를 운송하여 설치장소에서 수직 직립 설치하는 단계와; 거치된 장소에 수저의 지면과 일체화 되도록 기초, 앵커링 및 터널튜브 설치단계와; 접속 BOX와 터널튜브의 접속 개방 및 상부 데크 설치 단계와; 수저 터널 튜브로 유입되는 물과 차량운행 중 발생된 오폐수를 각각 분리하여 모아서 집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 또는 계류구조물과 함께 설치된 수저터널의 튜브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하도록 하여 중력으로 물과 오폐수가 각각 분리 집수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집수된 물을 수표면 위로 배출하는 단계 및 수면 위에 설치된 구조물의 데크(Deck)에 설치된 오폐수 정화시설을 통하여 정화된 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함과 더불어 차량 및 열차 등의 운행과 수저터널의 운영, 관리에 필수적인 전력급전, 계장장치와 제어기기를 포함한 수면위의 데크(Deck) 구조물, 화재 및 사고, 재난 시에 여객의 구조와 화재진압, 구난 등의 공간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저터널의 재난방재 설계 및 시공방법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for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in Underwater Tunnel}
건설
수저터널의 재난방재 설계 및 시공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저에 터널을 시공함에 있어서, 수저에 설치되는 터널튜브의 연결부에서의 누수와 튜브자체에서 야기되는 방수의 문제와 배수 문제를 해결함과 더불어 외부의 충격이나 폭발 등으로 인하여 터널튜브가 부분파손이 되어 침수할 경우까지도 대비하여 터널내의 유입수를 신속하게 수면위로 배출시켜 사람과 차량, 열차 등의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 그 시공공정이 단순화되고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방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수저터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화재 및 사고, 재난 시에 여객을 대피시키고 인명을 구조하는 시설을 제공함과 동시에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각종센서 및 계측장비, 터널튜브의 운영에 필요한 전력공급시설, 변전, 배정시설, 신호 및 통신 설비를 다중의 수직 튜브구조물 상부에 설치한 데크(Deck)에 수용하여 보다 안전하고 쾌적하며 유지보수 및 관리에 있어서 저비용 고효율의 시설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수저터널 내의 물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과 더불어 차량 또는 철도의 운행과 운영, 유지관리에서 발생하는 물로 대별할 수 있다.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은 대개 방수이상과 누수로 인하여 유입된 오염이 되지 않은 물이며, 운행과 운영, 유지 관리에서 발생하는 물은 바닥 또는 노면, 궤도면상에서 발생한 오염된 물로 그 성격과 수질이 오염정도가 확연히 차이가 나며, 필히 정화처리를 하여야 하는 오염수로 분류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외부유입수와 내부 발생수를 분리하여 집수하도록 외부유입수 분리관로를 도-4의 (09) 및 (09-a)과 같은 실시 예의 방법으로 설치하여 외부유입수를 터널튜브의 종단구배를 따라 이동시킨 후 도-4의 (08-a)과 같은 실시 예의 방법으로 집수탱크에 모이게 한다. 또한 집수탱크 내의 슬러지나 고형물은 도-4의 (08-c)와 같은 실시 예의 방법으로 모이게 한다. 한편 바닥 또는 노면, 궤도면에서 발생한 오염된 내부발생수는 도-4의 (10) 및 (10-a)과 같은 실시 예의 방법으로 이동시킨 후 도-4의 (08-b)과 같은 실시 예의 방법으로 오수탱크에 모이게 한다.
이 때, 집수탱크(08-a)의 물은 (17)펌프(Pump, 미도시)로 양정하여 외부로 배출하며, 오수탱크(08-b)의 물은 지지 또는 계류구조물의 수면위에 위치한 도-2, 3, 6의 (19)의 실시 예와 같이 데크(Deck)에 설치된 정화처리장치(미도시)에서 오염원에 대한 정화처리를 한 후에 배출한다. 또한 (08-d)의 하단 면에 설치된 슬러리펌프(미도시)를 통해 슬러지나 고형물을 배출한다.
상술의 집수탱크와 오수탱크는 지지 또는 계류구조물(자켓구조물, Frame, 인장 및 압축 부재 등)에 설치된 터널튜브의 바닥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게 하여 자연스럽게 물이 탱크에 모이게 하며, 집수탱크와 오수탱크의 사이에는 도-4의 (08-d)의 실시 예와 같은 격벽을 설치하여 분리하거나 두 탱크를 독립시켜 분리 설치하도록 하여 소량의 오염된 물만 정화 처리하여 비용을 대폭 절감하게 하고 오염물질을 분리 정화 수거 하여 주변지역을 청정하게 유지하는 매우 우수한 장점이 얻어진다.
또한 본 수직의 다중 튜브구조물은 수상의 조위 변화에 의하여 물의 상승되거나, 파도에 의하여 월파(越波, Wave Overtopping)되어도 수직의 다중 튜브구조물에는 물이 넘어 들어오지 않는 높이에 데크를 설치하고 월파의 차단으로 환기구로 물의 유입을 차단하게 하는 설비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동시에 데크에서 수직의 다중 튜브구조물을 통하여 차량이 운행하는 터널튜브 내로 동력을 공급하고 변전시설을 설치하며 비상용 발전기 등의 설비를 수용하는 것과 동시에 무 정전 전원공급 장치, 차량 또는 열차를 위한 신호통신, 계측장비들이 집적된 제어실 등을 구비하여 차량 또는 열차의 운행에 지장이 없게 함과 동시에, 본 고안에서는 데크에 헬리콥터 및 선박이 접안하게 하여 유사시에 수저터널튜브를 이용 여객의 대피와 더불어 화재진압 방재 구호 등의 사고처리를 할 수 있게 하여 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저터널에 물이 유입 될 경우에 대하여 신속한 집수(集水)와 더불어 사람, 차량, 열차 등의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수저터널에서 외부로 물을 배수(排水, Drainage)하여 누수문제가 발생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또한 보다 간단한 공정과 낮은 비용으로 수저터널을 시공하는 것과 동시에 수저터널의 운영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인재와 천재지변에 대처하고 수저터널 내의 차량과 열차의 통행에 지장을 받지 않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의 집수탱크와 오수탱크, 수저터널과 수면 위의 데크를 연결하는 다중의 튜브로 제작된 수직중공구등은 지상에서 지지 또는 계류구조물을 제작 할 때 함께 제작하여 부착하고 방수 및 누수 시험을 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 한 후에 이를 해상에 설치하기 때문에 시공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효과를 좀 더 살펴보면, 연속하는 연속터널튜브는 차량이 통행하고, 수면 위의 대기 중에는 연속하는 터널튜브와 연결되는 다중 튜브로 된 수직 통로가 BOX 구조물을 통하여 연결되며, 이 튜브 구조물의 상단에는 데크(Deck)를 설치함으로써 다중의 튜브구조물을 통해 수저터널튜브에 공기를 유입하거나 배출하게 하는 1개 이상의 환기구(환기용 튜브)와 사람이 계단을 통하여 터널튜브 상단 수면 위의 대기 중에 위치한 데크(Deck)로 연결하게 함은 물론이고, 승강기(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사람이 손쉽게 데크(Deck)로 이동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터널튜브 내에 공급되는 전력이 비상 시 또는 재난 시에 차단이 될 경우에도 본 데크에 설치된 비상용 발전기 등의 설비를 가용하는 것과 동시에 무 정전 전원공급장치 등이 공급하는 전원으로 집수탱크와 오수탱크의 물을 외부 및 데크에 설치된 정화시설로 양수(揚水, Pumping)가 가능하며, 소화전과 비상조명, 복구 시 사용하여야하는 전원의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차량이 운행하는 터널튜브에서 수직의 다중 튜브통로를 통하여 수면보다 높은 상부의 데크로 대피 및 이동한 승객들은 헬리콥터나 선박 등 타 교통수단으로 구난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재난구조 및 복구인력과 장비를 투입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속전철 및 전기철도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데 필수적인 “변전소급전구분소보조급전구분소 및 병렬급전소”등을 수저의 공간에 설치할 경우, 유지관리 및 누수, 침수 등의 취약하고 위험한 상황이 발생 될 수 있기 때문에 “변전소급전구분소보조급전구분소 및 병렬급전소”등을 필히 수면 위의 건조한 지역인 데크에 설치하고 비와 파도, 조위 등의 영향이 없는 곳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시 점검 및 유지 관리에 손쉽고 간편하며 시간과 비용도 절감되게 하는 수저터널의 유지관리 및 방재, 재난구호시설을 하나의 융합된 다중튜브와 수면 상에 설치 된 데크(Deck)시설로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관련설비는 물의 영향이 없는 수면위의 데크(Deck)공간에 필히 설치하여야 하므로 차량 및 열차의 안전운행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제공하여야 하는 “보호계전기”(여기서 “보호계전기”라 함은 전기회로에 설치하여 전력계통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검출하여 전기설비 및 인명을 보호하고 장애발생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계전기를 말한다.)를 차량이 운행하고 있는 터널튜브에 설치하고 데크(Deck)에서 “보호계전기”들을 총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게 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수중의 튜브형식으로 설치되는 수저터널에 있어서, 수저에 설치되는 터널튜브와 최상부의 데크를 연결하는 다중 튜브형식의 수직구조물을 각각의 부분으로 나누어 수상 작업을 통하여 튜브와 데크의 연결을 수중에서 행하는 것이 아니라, 지상에서 지지 또는 계류구조물(자켓 등등)의 제작과 함께 일체로 연결을 함으로써 수저터널의 시공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작비용이 저렴해질 뿐만 아니라 시공직후와 장시간 동안의 사용 중에도 차량 또는 열차가 통행하는 터널튜브와 다중 튜브형식의 수직구조물의 누수 및 방수를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는 수저터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저터널의 시공방법은 거푸집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가설공사나 동바리 등의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 제작공정이 간단해지며, 무엇보다도 연속터널튜브와 최상부의 데크를 연결하는 다중 튜브형식의 수직구조물을 일체화된 하나의 연속 구조체로 이음장치나 이음부가 없으므로 불연속면이 존재하지 않아 종래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99643, 수중 터널용 수직 터널 구조물 및 방수장치)에 의해 제작된 것에 비하여 훨씬 견고하고 튼튼한 수저터널을 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방수성능도 탁월한 방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00 수직다중튜브 상부 데크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단면으로 구성된 구조물
01 환기구수중 터널 튜브에서 상부 데크로 연결되는 환기구
02 계단 수중 터널과 연결된 지지 및 계류구조물에 설치된 계단 공간
03 엘리베이터 홀 수중 터널과 연결된 지지 및 계류구조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공간
04 자켓 자겟 형태의 지지 및 계류구조물
05 프레임 프레임 형태의 지지 및 계류구조물
06 수중튜브접속박스 수중 터널튜브이 지지 및 계류구조물과 접속되는 구조물
07 터널튜브 차량이 통행하는 터널튜브
08 탱크 탱크
08-a 집수탱크 외부에서 유입된 물의 집수탱크
08-b 오폐수탱크 내부에서 발생된 물을 집수하는 오폐수탱크
08-c 슬러지탱크 외부에서 유입된 물의 집수탱크 슬러지를 모으는 장치
08-d 탱크 격벽 집수탱크와 오폐수탱크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장치
09 집수로 튜브 외부에서 유입된 물의 이동 배수로
09-a 집수관튜브 외부에서 유입된 물의 집수 관
10 오폐수로튜브 내부에서 발생된 물의 이동 배수로
10-a 오폐수관튜브 내부에서 발생된 물의 집수 관
11 대피 및 보행 공간 대피 및 보행 공간
12 유틸리티 공간 박스내부 유틸리티 공간
13 박스내 대피로 박스 내부의 보행로 및 대피로
14 환기구 공간 수중 터널 튜브에서 상부 데크로 연결되는 환기구 공간
15 계단실 공간 수중 터널과 연결된 지지 및 계류구조물에 설치된 계단 공간
16 엘리베이터 홀 수중 터널과 연결된 지지 및 계류구조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공간
17 펌프스테이션 집수탱크 및 오폐수탱크의 펌프를 설치하는 곳
18 게이트 터널튜브와 접속BOX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
19 데크 수표면 위의 수중 터널 튜브에서 상부 데크 구조물
20 환기덕트 계류 및 지지구조물에 설치하여 수중 터널 튜브와 수평 연결하는 환기용 덕트 연결구
21 수저지면수저지면
도-1은 강이나 호수, 바다, 만 등의 물속의 수저지형(21)을 굴착하거나 굴착하지 않고 수저지형(21)의 지면 상에 양 지점을 연결하는 연속 터널튜브을 설치하여 시공되는 수저터널의 지지 또는 계류구조물의 형식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로서 수저 터널이 완성된 상태의 단면들을 각 지지계류 형식별로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차량 또는 열차 등은 연속 터널튜브(07)의 중공부를 통해 상호 왕래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저터널의 시공 방법(S-00)을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1: 지상제작 및 조립공정으로 계류지지구조물을 제작하고 터널튜브접속BOX(도-4)의 제작과 수직 다중튜브 구조물(도-5)을 지상에서 모두 제작을 한다. 상기의 세 구조물(계류지지, 접속BOX, 수직다중튜브)을 지상에서 조립하여 하나의 구조체를 완성한 후에 조립완성구조물(도-2)을 바지선에 선적한다(S-01). (도-2)는 자켓을 대상으로 한 일 실시 예로서, (도-1)같이 다양한 형식의 지지계류구조물들을 모두 적용 할 수 있다.
이 때, (도-1)과 같이 다양한 형식의 지지계류구조물들은 수심별로 그 가설방법이 다양하여 변화 할 수도 있다. 그 수심이 매우 낮은 저 수심 착저형 또는 매립형이 되며, 그 수심이 30~40m이상에서 70~80m 정도는 중력식과 FRAME식을 사용 할 수도 있으며, 대개 수심이 30~40m이상에서 200m까지는 대개 가장 경제적이고 안정된 자켓구조물을 시공한다. 그 이상의 수심에서는 자켓, FRAME방식, 텐션을 혼합한 방식의 계류지지구조를 사용하고 깊은 수심으로 갈 경우 텐션식 내지 폰툰식 등의 계류지지구조체의 가설을 실시하게 된다(S-01).
단계 2: 운송 및 해상 직립설치공정으로 육상에서 제작한 조립완성구조물(계류지지구조물을 제작하고 터널튜브접속BOX의 제작과 수직 다중튜브 구조물이 합체된 구조물)을 바지선(또는 화물선, 특수목적선, 부유체 장착등)등에 의하여 목적지의 해상까지 운송한다.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 운송한 조립완성구조물을 해상 설치하는 공정으로, 이때 수심이 매우 낮은 지역은 크레인 또는 선저가 개폐되는 선박 등을 사용하여 기 굴착(준설)과 기초공사를 한 곳에 설치한다.
조립완성구조물의 설치구역이 수심이 깊은 지역은 해상 투하하여 수직으로 직립시킨 후에 항타 및 앵커링 등으로 수저지면에 설치한다.
한편, 지상에서 조립완성 된 구조물을 해상에서 수직 직립시키는 것은 향후 수저의 터널튜브가 조립완성구조물과 일체화 되어있는 BOX 구조물과 접합되기 위하여 정치하는 것이며, 본 BOX 구조물과 기 접합된 다중튜브의 수직구조물도 동시에 수면위로 수직으로 직립하게 된다.
단계 3: 조립완성구조물의 기초, 앵커링 및 터널튜브 설치공정으로 직립한 조립완성구조물의 수저지면과 구조물의 착저부분에 항타 및 현장말뚝, 앵커링 등 고정작업으로 조립완성구조물은 수저터널 튜브가 지상의 교각(Pier)과 같은 형태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 수저터널 튜브를 조립완성구조물에 일체로 장착된 BOX의 수저터널 튜브접합부에 거치하게 한다. 조립완성구조물 접속 BOX와 단순계류지지구조물을 연결하는 터널튜브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게 하는 것은 지상에서 교량을 가설할 경우처럼 교각(Pier)을 선 설치하고 상부구조물(Beam, Girder 등)을 설치하는 것과 유사하다.
이 때, 조립완성구조물의 접속 BOX와 연결된 터널튜브의 결합부는 필히 차수, 방수 및 Sealing공정을 통하여 수밀구조로 하여야 한다(S-03).
본 단계 3은 단계 2와 독립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단계 2와 순차적 연계공정으로 함께 행해지는 것으로서, 단계 2에서 수직 직립된 조립완성구조물 접속 BOX와 단순계류지지구조물이 수직 정치 된 후속공정으로 접속 BOX와 터널튜브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접속 BOX와 수저터널 튜브와의 접속부를 차수처리와 Sealing공정을 통하여 수밀작업을 시행하게 한 후에 접속 BOX와 수저터널 튜브의 개폐장치를 열어 두 공간이 통하게 한다.
단계 4: 한편, 본 접속 BOX와 터널튜브의 접속 개방 및 상부 데크설치공정에 있어서 접속 BOX와 터널튜브의 Gate를 개방하고 각 터널튜브들을 접속 BOX와 힌지지지(Hinge Supporting)상태 또는 롤러지지((Roller Supporting)의 방법을 동원하여 고정작업을 한다.
한편, 수직 다중튜브의 수면 위에서는 최상단에 유틸리티 데크를 설치하고, 수직 다중튜브와 접속BOX의 승강기는 수직 다중튜브의 (03)에 설치, 배수펌프 등의 기계 및 설비를 (17)에 설치하는 등 사전에 목적한 다중튜브의 목적 대상장치를 실시하는 작업을 병행한다(S-04).
단계 4는 단계 3, 2, 1과 마찬가지로 전 단계와 독립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전 단계와 연계되어 함께 행해지는 것으로서, 단계 1에서 제작된 조립완성구조물이 수상에 투하하여 수직 직립되게 정치하는 동안 지상에서는 또 다른 조립완성구조물을 새롭게 지상의 제작장에서 제조된다.
단계 5: 시공하고자 하는 수저터널의 방재 및 환기, 배수시설 등은 수저터널의 경로에 따라, 도-1에 제시된 다양한 형태로 시공 될 수 있다, 그러나, 연속터널튜브(07)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 부양 상태로 연결하고자 하는 구조물은 필히 방재 및 환기 등의 사유로 인하여 일반 내연기관 차량에 비하여 사고율이 훨씬 적은 궤도차량(철도)의 경우에도 최소 4Km 마다 방재를 위한 유틸리티 및 종합적인 스테이션(Station) 또는 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 수저터널의 안전을 위한 최소의 안전 대책이며 수동적 방재의 한계로서 물러 설 수 없는 한계인 것이다.
여기서, 단일 유니트(Unit)로서의 제1공정(S-01, 지상제작 및 조립공정)의 독립적인 조립완성구조물 제작을 완료(S-01)한 후에 제2공정(S-02, 운송 및 해상 직립설치공정), 제3공정(S-03, 기초, 앵커링 및 터널튜브 설치공정), 제4공정(S-04, 접속 BOX와 터널튜브의 접속 후 게이트(18)개방 및 상부 데크(19) 설치공정은 재 반복되는 공정으로서 제1공정(S-01)은 설계에서 제시한 수량을 공정상(Critical Path) 관계없이 신속정확하게 지상에서 제작하여야 하며, 제2공정부터 5공정은 설계에서 제시한 위치에 소요수량이 충족 될 때까지 반복하여야 한다(S-07).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터널튜브를 본 고안에서 제시한 조립완성구조물(계류지지구조물, 접합BOX구조물, 수직 자중 튜브구조물 등이 지상에서 조립된 구조물)이 상호 연속하게 연결되는 연속터널튜브를 설치하고자 하는 수저터널의 경로를 보다 저렴하고 신속하고 경제적이며 완벽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에 대하여도 모두 적용이 된다.
□ 번호

Claims (10)

  1. 지상제작 및 조립공정으로 계류지지구조물을 제작하고, 터널튜브접속BOX의 제작과 수직 다중튜브구조물을 지상에서 모두 제작하는 단계와; 상술한 세 구조물(계류지지, 접속BOX, 수직다중튜브)을 지상에서 조립하여 하나의 구조체를 완성하는 단계와; 조립완성구조물을 선박에 선적하여 목적지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차량이 통행하는 수저 터널튜브와 수직다중튜브구조물이 조립완성구조물인 일체형BOX를 통하여 접속되는 설계 및 시공방법.
  2. 차량이 통행하는 중공부 단면을 갖는 터널튜브가 수중에서 누수 되거나 파손 및 기타 사고에 의하여 물이 유입되는 경우, 또는 터널 내 차량에 의하여 발생되는 오수 및 폐수 등에 대하여 이를 분리하여 집수 및 배수하는 장치의 설계 및 시공방법.
  3. 월파등의 영향으로 환기구를 통해 터널튜브에 물이 넘어 들어오지 않도록 수직 다중튜브구조물을 구획하고 설치하는 방법과; 수면 위 데크에서 수직 다중튜브구조물을 통하여 터널튜브 내로 동력을 공급하고 수면 위의 데크(Deck)등에 변전시설을 설치하며 비상용 발전기, 무 정전 전원공급 장치, 차량과 열차를 위한 신호통신, 계측장치들이 집적한 제어실 등을 구획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수면위의 데크(Deck) 구조물에 화재 및 사고, 재난 시에 여객의 구조, 화재진압, 방재등의 설계 및 시공방법.
  4. 청구항 1내지 2에 있어서, 지상에서 일체형 BOX에 집수탱크(Tank)에 설치하는 방법과; 이를 운송하여 설치장소에서 수직 직립 설치하는 방법과; 거치된 장소에 수저의 지면이 일체화 되도록 기초, 앵커링 등을 하는 방법과; 터널튜브를 접속 BOX에 설치하는 방법과; 상부의 데크를 설치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터널튜브와 접속 BOX에 설치된 게이트(Gate)를 개방하는 설계 및 시공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차량 및 열차 운행에 관련한 전기기계 및 계측제어시설을 집적하여 운영 유지 관리하는 시설의 설계 및 시공방법과;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 및 계측장비, 터널튜브의 운영에 필요한 전력공급시설, 변전, 배전시설, 신호 및 통신 설비를 다중의 수직 튜브구조물 상부에 설치한 데크(Deck)에 설치하는 설계 및 시공방법.
  6. 청구항 1내지 3에 있어서 수직 다중튜브구조물 통해 수저터널튜브에 공기를 유입하거나 배출하게 하는 1개 이상의 환기구(환기용 튜브)를 설치함과 더불어; 환기구와 사람이 수직 이동하는 공간을 분리하여 연기로부터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설계 및 시공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계단과 승강기를 설치하여 사람이 손쉽게 데크로 대피 또는 이동할 수 있는 설계 및 방법; 대피자가 터널튜브 상단 수면 위 데크로 이동 또는 대피하거나 방재진압 요원 및 장비, 물자가 진입 할 수 있도록 연결하게 하는 설계 및 시공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수저터널튜브로 유입되는 외부유입수와 차량운행 중 발생된 오폐수를 각각 분리 집수하는 설계 및 시공방법과; 지지 또는 계류구조물과 함께 설치된 수저터널튜브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하도록 하여 중력으로 물과 오폐수가 각각 분리 집수되게 하는 설계 및 시공방법과; 상기 집수된 물을 수표면 위로 배출하는 단계 및 데크에 설치된 오폐수 정화시설을 통하여 정화된 물을 배출하는 설계 및 시공방법을 포함하여; 집수탱크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배출하는 설계 및 시공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다중튜브구조물이 터널튜브의 직상부에 직접 관통하지 않도록 하여 수면 위에서의 비래 및 낙하물에 의하여도 차량 또는 열차 등의 운행에 지장이 없게 하는 설계 및 시공방법.
  10. 청구항 1내지 7에 있어서 데크에 다른 교통 및 수송수단이 접속하거나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하는 설계 및 시공방법.
KR1020130089949A 2013-07-30 2013-07-30 수저터널의 재난방재 설계 및 시공방법 KR20130092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949A KR20130092531A (ko) 2013-07-30 2013-07-30 수저터널의 재난방재 설계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949A KR20130092531A (ko) 2013-07-30 2013-07-30 수저터널의 재난방재 설계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531A true KR20130092531A (ko) 2013-08-20

Family

ID=4921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949A KR20130092531A (ko) 2013-07-30 2013-07-30 수저터널의 재난방재 설계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25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0811A (zh) * 2016-03-24 2016-07-20 中铁隧道集团二处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大流速条件下的沉管法隧道管节调头施工方法
CN108915766A (zh) * 2018-07-10 2018-11-30 河北煤炭科学研究院 一种工作面深部隐伏导水通道探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0811A (zh) * 2016-03-24 2016-07-20 中铁隧道集团二处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大流速条件下的沉管法隧道管节调头施工方法
CN108915766A (zh) * 2018-07-10 2018-11-30 河北煤炭科学研究院 一种工作面深部隐伏导水通道探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54981B (zh) 一种水下斜拉式悬浮隧道结构
US8814470B2 (en) Oil containment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4912004A (zh) 一种抱轨式轨道交通桥梁疏散检修平台
KR20120095337A (ko) 이중 구조 블록탱크의 핵폭발 방지를 이용한 핵 폐기물 처리방법 및 원자로 설비
WO2012108790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нефти с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ы
CN111254978A (zh) 一种水下悬浮隧道的逃生系统
KR20130092531A (ko) 수저터널의 재난방재 설계 및 시공방법
CN108216272A (zh) 一种水下管道运输系统及其架设方法
CN101434344A (zh) 一种桥梁箱梁自浮运输方法
Matsuo An overview of the Seikan tunnel project
CN107653861B (zh) 一种用于支撑连接海底真空管道的多功能空心人工岛塔
US86511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section of fluid line
CN106759790A (zh) 深层隧道与竖井连接系统
WO2019213715A1 (en) A modular container pipe system
RU2244068C2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подводного трубомоста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04728225U (zh) 一种抱轨式轨道交通桥梁疏散检修平台
CN103397681B (zh) 一种核电站高泥沙海水联合泵房布置方法
CN107387112A (zh) 城市交通涵洞或隧道出入口防水淹遮蔽装置及方法
JP2014066123A (ja) 地下設置水力浮上型防護壁
JP6240681B2 (ja) 原子力発電所の冷却のための取水設備ならびにそのような取水設備を備えた原子力発電所
CN113202141A (zh) 一种可延伸为应用线的海底真空管道试验线及其实施方法
JP5914919B2 (ja) 風力発電設備の設置用構造
KR100915392B1 (ko) 수방 대비 야외 수영장용 이동형 기계실
JP3519392B2 (ja) 鉄道における湧水排水施設
CN206942778U (zh) 一种分层布置的铁路隧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