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133A -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근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근 제어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133A
KR20130092133A KR1020120013661A KR20120013661A KR20130092133A KR 20130092133 A KR20130092133 A KR 20130092133A KR 1020120013661 A KR1020120013661 A KR 1020120013661A KR 20120013661 A KR20120013661 A KR 20120013661A KR 20130092133 A KR20130092133 A KR 20130092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
channel access
abnormal
informa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구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13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2133A/ko
Priority to US13/612,694 priority patent/US8982793B2/en
Publication of KR20130092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의하여 수행되는 채널 접근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station; STA)으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수신하되, 상기 각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이 전송되는 시점에 사용된 컨텐션 윈도우(Contention Window; CW)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각 STA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CW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CW 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 접근 제어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채널 접근 제어를 수행하기로 하면, 비정상 STA 후보 그룹을 선정하고, 및 상기 비정상 후보 STA 그룹에 포함된 각 STA에 대하여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근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CHANNEL ACCES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의한 스테이션(station; STA)의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WLAN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은 비허가 대역에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기술로 각광 받고 있다. 특히, 기존 단말 통신(cellular communication) 시스템과는 달리, 기지국(Base Station) 역할을 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는 분배 시스템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 및 전원만 연결되면 누구라도 쉽게 설치 가능하고 가격 역시 저렴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이 보편화 되었다.
WLAN 기술의 표준화 기구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가 1980년 2월에 설립된 이래, 많은 표준화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초기의 WLAN 기술은 IEEE 802.11을 통해 2.4GHz 주파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호핑, 대역 확산, 적외선 통신 등으로 1~2Mbps의 속도를 지원한 이래, 최근에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을 적용하여 최대 54M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이외에도 IEEE 802.11에서는 QoS(Quality for Service)의 향상,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프로토콜 호환, 보안 강화(Security Enhancement), 무선 자원 측정(Radio Resource measurement), 차량 환경을 위한 무선 접속(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 차량 환경을 위한 무선 접속(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 빠른 로밍(Fast Roaming),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 외부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 무선 네트워크 관리(Wireless network Management) 등 다양한 기술의 표준을 실용화 또는 개발 중에 있다.
또한, 무선랜에서 취약점으로 지적되어온 통신 속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비교적 최근에 제정된 기술 규격으로써 IEEE 802.11n이 있다. IEEE 802.11n은 네트워크의 속도와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무선 네트워크의 운영 거리를 확장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EEE 802.11n에서는 데이터 처리 속도가 최대 540Mbps 이상인 고처리율(High Throughput, HT)을 지원하며, 또한 전송 에러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송신부와 수신부 양단 모두에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s and Multiple Outputs)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한, 이 규격은 데이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중복되는 사본을 여러 개 전송하는 코딩 방식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OFDM)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과 차별화된 무선랜 시스템의 특징은 공유되는 무선 매체(shared wireless medium)를 사용하여 통신이 이루어 지므로 경쟁 기반 매체 접근을 기반으로 한 채널 접근 방법이 지원되는 것이다. 즉, 무선랜을 지원하는 무선 장치들은 특정 개체에 의하여 무선 매체인 채널 접근 순서 및/또는 순위의 제어를 받지 않고 서로 경쟁하여 매체에 접근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무선랜 지원 무선 장치와 다르게 채널 접근을 위한 설정이 되어 있는 무선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정상(abnormal) 무선 장치들과 일반적인 정상 무선 장치들이 채널 접근을 위하여 경쟁하는 경우 충돌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채널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채널 접근 규칙과 다른 채널 접근을 위한 설정이 되어 있는 비정상 무선 장치와 정상 무선 장치가 공존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 장치들의 정상적인 채널 접근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의한 스테이션(Station; STA)의 채널 접근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의하여 수행되는 채널 접근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station; STA)으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수신하되, 상기 각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이 전송되는 시점에 사용된 컨텐션 윈도우(Contention Window; CW)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각 STA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CW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CW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 접근 제어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채널 접근 제어를 수행하기로 하면, 비정상 STA 후보 그룹을 선정하고, 및 상기 비정상 후보 STA 그룹에 포함된 각 STA에 대하여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CW에 대한 정보는 상기 CW가 결정되는 기반이 되는 CW 기준값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모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 기준값에 대한 평균 값인 CW 평균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접근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CW 평균값이 특정 제어 임계값(threshold) 이상이면 상기 채널 접근 제어를 수행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각 STA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 기준값의 평균 값인 평균 CW 기준값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정상 STA 후보 그룹을 선정하는 것은 상기 평균 CW 기준값이 상기 임계값을 기준으로 특정 마진 값(marginal value) 이상 작으면, 해당 STA을 상기 비정상 STA 후보 그룹에 포함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STA에 대하여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비정상 STA 후보 그룹에 포함된 상기 해당STA과의 결합 상태를 종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W 기준 값은 상기 프레임의 MAC (Medium Access Control)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CW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가 포함된 관리 액션 프레임(management action frame)일 수 있다.
상기 CW 기준 값은 하기 수학식을 만족할 수 있다.
CW = 2n-1
(n은 정수이고 상기 CW 기준 값)
다른 양태에 있어서 무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무선 장치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 및 상기 트랜시버와 기능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station; STA)으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수신하되, 상기 각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이 전송되는 시점에 사용된 컨텐션 윈도우(Contention Window; CW)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각 STA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CW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CW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 접근 제어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채널 접근 제어를 수행하기로 하면, 비정상 STA 후보 그룹을 선정하고, 및 상기 비정상 후보 STA 그룹에 포함된 각 STA에 대하여 채널 접근을 제어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CW에 대한 정보는 상기 CW가 결정되는 기반이 되는 CW 기준값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모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 기준값에 대한 평균 값인 CW 평균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접근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CW 평균값이 특정 제어 임계값(threshold) 이상이면 상기 채널 접근 제어를 수행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각 STA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 기준값의 평균 값인 평균 CW 기준값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정상 STA 후보 그룹을 선정하는 것은 상기 평균 CW 기준값이 상기 임계값을 기준으로 특정 마진 값(marginal value) 이상 작으면, 해당 STA을 상기 비정상 STA 후보 그룹에 포함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STA에 대하여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비정상 STA 후보 그룹에 포함된 상기 해당 STA과의 결합 상태를 종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W 기준 값은 상기 프레임의 MAC (Medium Access Control)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CW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가 포함된 관리 액션 프레임(management action frame)일 수 있따.
상기 CW 기준 값은 하기 수학식을 만족할 수 있다.
CW = 2n-1
(n은 정수이고 상기 CW 기준 값)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랜 시스템을 구성하는 STA들이 컨텐션 윈도우(Contention Window; CW)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AP는 수신된 CW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STA의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P는 CW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비정상 STA의 존재 여부를 예상/판단 할 수 있다. AP는 CW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비정상 STA 후보 그룹을 구분하고, 그룹에 포함된 STA의 채널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정상 STA으로 예상되는 STA의 채널 접근을 제한함으로써 일반 STA을 위한 무선랜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경쟁 기반 매체 접근을 기반으로 하는 일반적인 무선랜 시스템의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채널 접근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MAC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MAC 헤더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포맷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로이 정의된 MCA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W 정보 요소의 포맷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W 제어 기반 채널 접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초고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을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 상의 무선 신호 송수신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 실시예는 VHT 무선랜 시스템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기반으로 한 무선 신호 송수신을 지원하는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한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Station, STA)의 집합으로써, 특정 영역을 가리키는 개념은 아니다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BSS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AP 스테이션(non-AP STA1, non-AP STA2, non-AP STA3, non-AP STA4, non-AP STA5), 분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AP(Access Point) 및 다수의 AP를 연결시키는 분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포함한다.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는 AP가 BSS의 비AP STA들을 관리한다.
반면,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는 애드-혹(Ad-Hoc) 모드로 동작하는 BSS이다. IBSS는 AP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중앙에서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개체(Centralized Management Entity)가 없다. 즉, IBSS에서는 비AP STA들이 분산된 방식(distributed manner)으로 관리된다. IBSS에서는 모든 STA이 이동 STA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DS에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아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STA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로서, 광의로는 AP와 비AP 스테이션(Non-AP Station)을 모두 포함한다.
비AP STA는 AP가 아닌 STA로, 비 AP STA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또는 단순히 user 등의 다른 명칭으로도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 AP STA을 STA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AP는 해당 AP에게 결합된(Associated) STA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경유하여 DS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기능 개체이다. AP를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STA들 사이의 통신은 AP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나, 다이렉트 링크가 설정된 경우에는 STA들 사이에서도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AP는 집중 제어기(central controller),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BSS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쳐 BSS는 분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DS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에 포함되는 AP 및/또는 STA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에서 STA은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다.
IEEE 802.11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MAC(Medium Access Control)의 기본 접속 메커니즘은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메커니즘이다. CSMA/CA 메커니즘은 IEEE 802.11 MAC의 분배 조정 기능(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DCF)이라고도 불리는데, 기본적으로 “listen before talk” 접속 메커니즘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접속 메커니즘 따르면, AP 및/또는 STA은 전송을 시작하기에 앞서 무선 채널 또는 매체(medium)를 센싱(sensing)한다. 센싱 결과, 만일 매체가 휴지 상태(idle status)인 것으로 판단 되면, 해당 매체를 통하여 패킷 전송을 시작한다. 반면, 매체가 점유 상태(occupied status)인 것으로 감지되면, 해당 AP 및/또는 STA은 자기 자신의 전송을 시작하지 않고 매체 접근을 위한 지연 기간을 설정하여 기다린다.
AP 및/또는 STA의 매체 접근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AP 및/또는 STA이 접근하거나 접근 할 수 있는 매체를 ‘채널(channel)’이라는 용어와 함께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AP 및/또는 STA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제어 정보를 구성하는 비트 스트림 형태의 구조를 패킷, 프레임, 데이터 유닛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P 및/또는 STA은 채널에 접근하여 프레임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채널이 휴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DCF를 기반으로 채널 접근을 수행하는 경우 채널이 휴지 상태인지 확인하는 것은 DIFS(DCF interframe space) 기간 동안 채널을 센싱하는 CCA(Clear Channel Assessment)일 수 있다.
DIFS 동안 캐리어(carrier)가 센싱되지 않으면 채널이 휴지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DIFS 동안 캐리어가 센싱되면 채널이 점유되어 있는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AP 및/또는 STA은 DIFS 동안 채널을 센싱 후 휴지상태인 경우 랜덤 백오프(random backoff) 기간만큼 더 대기한 후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랜덤 백오프 기간은 AP 및/또는 STA들간 충돌을 회피할 수 있게 해준다.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AP및/또는 STA이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각 AP 및/또는 STA은 확률적으로 다른 백오프 인터벌(backoff interval)값을 가지게 되어 서로 다른 전송 시점을 가지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정 AP 또는 STA이 채널에 접근하여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다른 AP 및/또는 STA은 채널이 점유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채널에 접근할 수 없다.
백오프 인터벌은 컨텐션 윈도우(contention window; CW) 내에서 결정된 랜덤 백오프 카운트(random backoff count)에 의하여 결정된다. 랜덤 백오프 카운트는 의사 랜덤 정수(pseudo random integer) 값이며 [0 CW] 범위에서 정규 분포된 값 중 하나로 선택된다. CW는 초기값으로 CWmin값이 선택되지만, AP 및/또는 STA이 프레임 전송에 실패한 경우 2배로 늘어나게 된다. 프레임 전송이 실패는 충돌이 발생한 경우일 수 있다. 일례로, 전송한 데이터 프레임에 대응한 수신 확인 응답 프레임(acknowledgement frame; ACK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충돌이 발생하였다고 결정하고 CW를 2배 증가시킬 수 있다. CW는 CWmax까지 증가될 수 있으며 이 후는 CWmax로 고정된다. 프레임 전송에 성공하면 CW는 다시 CWmin으로 설정될 수 있다. CW, CWmin, CWmax는 구현과 동작의 편의를 위하여 2n-1을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백오프 인터벌은 랜덤 백오프 카운트와 타임 슬롯(time slot)의 곱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랜덤 백오프 카운트가 클수록 STA은 보다 오랫동안 랜덤 백오프를 수행하며 대기한다.
도 1은 채널 접근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TA1(110), STA2(120), STA3(130), STA4(140) 및 STA5(150)가 채널 접근을 위하여 경쟁한다.
먼저 STA3(130)이 프레임 전송을 위해 DIFS동안 채널을 센싱한다(S113). 채널이 휴지 상태에 있음을 확인한다.
이전에 채널이 점유상태에 있지 않았으므로 STA3(130)은 바로 채널에 접근하여 프레임을 전송한다(S123). 따라서 해당 시간 동안 채널은 점유된 상태(busy state)로 지속된다.
STA2(120)에 의한 채널 점유가 종료된 후, 전송할 프레임이 준비된 STA1(110), STA2(120), STA5(150)은 채널 접근을 위해 DIFS 동안 채널을 센싱한다(S131, S132, S135). 채널이 휴지 상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에 채널이 점유상태에 있었으므로, STA1(110), STA2(120), STA5(150)은 각자의 CW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결정된 랜덤 백오프 카운트에 따라 랜덤 백오프를 수행한다. 이 때 STA2(120)의 백오프 인터벌이 가장 짧으므로 백오프 경과 후 채널에 접근하여 프레임을 전송한다(S142).
STA1(110) 및 STA5(150)은 STA2(120)보다 백오프 인터벌이 길기 때문에 채널에 접근할 수 없으며, 선택된 백오프 인터벌에서 경과된 백오프 기간(boe)이 줄어든 잔여 백오프 기간(bor)을 다음 백오프 인터벌로 사용한다.
전송할 프레임이 준비된 STA1(110), STA4(140) 및 STA5(150)은, 채널 점유가 종료된 후, 채널 접근을 위해 DIFS 동안 채널을 센싱한다(S151, S154, S155). 채널이 휴지 상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에 채널이 점유상태에 있었으므로, STA1(110), STA4(140) 및 STA5(150)는 랜덤 백오프를 수행한다. STA1(110) 및 STA5(150)은 이전 랜덤 백오프 과정에 의한 잔여 백오프 기간을 백오프 인터벌로 하여 랜덤 백오프를 수행한다. STA4(140)는 자신의 CW 범위 내에서 선택된 랜덤 백오프 카운트에 따라 결정된 백오프 인터벌에 따라 랜덤 백오프를 수행한다.
본 예시에서, STA4(140)에 의하여 선택된 랜덤 백오프 인터벌과 STA5(150)의 잔여 백오프 기간이 서로 같고, STA1(110)의 잔여 백오프 기간보다 짧다. 이 경우, STA1(110)은 채널에 접근할 수 없으며 잔여 백오프 기간을 다음 백오프 인터벌로 사용한다.
STA4(140) 및 STA5(150)는 자신의 백오프 인터벌 후 채널이 휴지상태 이므로 각각 매체에 접근하여 프레임을 전송한다(S164, S165). 다만, STA4(140) 및 STA5(150)가 동시에 채널에 접근하므로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STA4(140) 및 STA5(150)는 다시 랜덤 백오프를 수행하며 이 때 CW를 2배로 연장하여 해당범위 내에서 랜덤 백오프 카운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STA4(140)를 위한 CW가 7(23-1으로 표현)이었던 경우 다음 랜덤 백오프를 위한 CW는 15(24-1로 표현)가 된다. 따라서 이전에 STA4(140)는 [0, 7]의 범위에서 랜덤 백오프 카운트를 선택하던 것을 [0, 15]의 범위에서 랜덤 백오프 카운트를 선택하게 된다.
STA4(140) 및 STA5(150)에 의한 채널 점유가 종료된 후, 전송할 프레임이 준비된 STA1(110), STA4(140), STA5(150)은 채널 접근을 위해 DIFS 동안 채널을 센싱한다(S171, S172, S175). 채널이 휴지 상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에 채널이 점유상태에 있었으므로, STA1(110), STA4(140), STA5(150)은 각자의 CW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결정된 랜덤 백오프 카운트에 따라 랜덤 백오프를 수행한다. 이 때 STA1(110)의 백오프 인터벌이 가장 짧으므로 백오프 경과 후 채널에 접근하여 프레임을 전송한다(S182). STA4(140) 및 STA5(150)은 랜덤 백오프를 통해 채널 접근에 실패하였으므로 다음 랜덤 백오프를 통해 채널 접근을 시도한다.
전술한 채널 접근 방법과 달리 랜덤 백오프 카운트 값이 작은 고정된 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를 기반으로 채널 접근을 시도하는 STA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 기존 채널 접근 방법과 같이 값이 유동적일 수 있는 CW를 사용하는 STA을 일반 STA(normal STA)이라 한다. 반면 상대적으로 작고 고정된 값으로 설정된 랜덤 백오프 카운트 값을 사용하는 STA을 비정상 STA(abnormal STA)이라 한다.
비정상 STA은 상대적으로 작은 랜덤 백오프 카운트를 사용하여 채널 접근을 시도하므로 상대적으로 일반 STA보다 채널 접근이 용이할 수 있다. 반면 일반 STA은 비정상 STA의 잦은 채널 접근으로 인해 채널 접근을 통한 신호 전송 기회를 획득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례로, 일반 STA의 CWmin이 7이고, 비정상 STA의 랜덤 백오프 카운트 값은 2로 고정되어 있는 무선랜 환경을 가정하자. 일반 STA 및 비정상 STA이 전송할 프레임이 준비된 경우, 비정상 STA은 2로 고정된 랜덤 백오프 카운트의 값과 타임 슬롯의 곱으로 결정된 백오프 인터벌만큼 랜덤 백오프를 수행한다. 일반 STA은 0 내지 7 값 중 무작위로 선택된 랜덤 백오프 카운트 값과 타임 슬롯의 곱으로 결정된 백오프 인터벌만큼 랜덤 백오프를 수행한다.
위의 예시에서 일반 STA이 랜덤 백오프 카운트 값으로 4를 선택한 상황을 가정하자. 일반 STA 및 비정상 STA이 같이 랜덤 백오프를 수행할 때, 비정상 STA은 2*타임 슬롯 기간 경과 후 채널 접근 권한을 획득하고 프레임을 전송한다. 일반 STA은 비정상 STA의 채널 접근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비정상 STA의 채널 접근이 종료된 후 일반 STA 및 비정상 STA은 다시 랜덤 백오프를 수행한다. 이 때, 일반 STA의 백오프 인터벌은 2*타임 슬롯이고, 비정상 STA은 이전 랜덤 백오프를 통한 잔여 백오프 인터벌인 2*타임 슬롯 기간만큼 랜덤 백오프를 수행한다. 이 경우 랜덤 백오프 종료 후 정상 STA 및 비정상 STA이 동시에 채널에 접근하므로 충돌이 발생한다. 따라서 정상 STA은 CWmin을 7(23-1로 표현)에서 15(24-1로 표현)로 증가시키고, 해당 범위 내의 무작위 값을 랜덤 백오프 카운트로 선택한다. 반면 비정상 STA은 충돌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랜덤 백오프 카운트 값으로 2를 계속 사용한다. 따라서 충돌이 발생한 경우 비정산 STA이 일반 STA보다 채널 접근 권한을 획득할 가능성은 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무선랜 시스템 내에서 일반 STA을 위한 정상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어려워질 수 있다.
기존 무선랜 시스템에서 정의된 채널 접근 방법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은 채널 상황과 전송하고자 하는 STA의 개수에 따라 변경되는 CW 관련 정보를 AP가 획득할 수 없어, 채널의 사용 상황을 AP 및/또는 수신자가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만약 AP 및/또는 수신자가 채널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면, 채널 사용 권한을 상황에 맞게 STA들에게 분배하거나, 비정상 STA의 채널 접근을 제한하는 등 CW 관련 정보의 제어를 통한 정상적인 채널 접근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CW 관련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여 비정상 STA의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을 기반으로 한 STA을 위한 채널 접근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일반 STA 및 비정상 STA의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주체를 AP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정상 STA 및/또는 비정상 AP도 존재할 수 있으며, 특정 비 AP STA이 다른 일반/비정상 STA/AP의 채널 접근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AP가 비정상 STA을 구분하기 위해서 STA들은 자신의 CW 관련 정보를 AP에게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CW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CW 정보를 위한 새로운 프레임을 정의하는 방법과 CW 관련 정보를 MAC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2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MAC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MAC 프레임(200)은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210), 지속시간/ID(Duration/ID) 필드(220), 주소1(address 1) 필드(230), 주소 2(address 2) 필드(240), 주소 3(address 3) 필드(250),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 필드(260), 주소 4(address 4) 필드(270), QoS(Quality of Service) 제어 필드(280), 프레임 바디(290) 및 FCS 필드(295)를 포함한다. 도 3은 MAC 헤더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포맷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 제어 필드(210) 필드는 프로토콜 버전(protocol version) 서브필드(305), 타입(type) 서브 필드(310), 서브타입(subtype) 서브 필드(315), To DS 서브 필드(320), From DS서브 필드(325), More Frag 서브 필드(330), Retry 서브 필드(335), Pwr Mgt 서브 필드(340), More Data 서브 필드(345), Protected 프레임 서브 필드(350), Order 서브 필드(355)를 포함한다.
MAC 프레임(200)에 포함된 각 필드와, 프레임 제어 필드(300)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필드의 기능 및 설정은 IEEE 802.11 무선랜 표준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MAC 헤더를 구성하는 필드들은 프레임 제어 필드(210)에 있는 타입 서브 필드와 서브 타입 서브 필드의 설정에 따라 존재할 수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구조는 프레임 제어 필드(210)의 서브 타입 서브 필드(315)에 새로운 타입을 정의하고, 정의된 새로운 타입에 대한 구체적인 값은 예비된(reserved) 값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한다. 서브 타입 서브 필드(315)의 값이 새로이 설정된 타입을 지시하면 MAC 헤더와 프레임 바디 사이에 CW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를 추가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 포맷은 도 4와 같이 주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로이 정의된 MCA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AC 프레임(400)은 MAC 헤더에 ECW 필드(410)가 더 포함된다. ECW는 MAC 프레임(400)을 전송하는 STA을 위하여 설정된 CW의 지수를 말한다. 즉,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주어질 수 있다.
[수 1]
Contention Window = 2ECW-1
ECW 필드(410)의 크기는 1 옥테트(octet), 즉 8비트로서 이 중 4비트 크기의 비트열은 ECW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나머지 4비트는 예비로 남겨질 수 있다. CW의 크기는 최대 32767이며 이는 215-1에 해당하므로 ECW는 0 내지 15의 정수를 지시하는 것을 충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MAC 헤더에 CW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ECW 필드를 새로이 포함시키고, MAC 헤더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서브 타입 서브 필드가 새로운 타입을 지시하도록 설정하는 방법과 달리, 하나의 새로운 액션 프레임을 정의하여 이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도 있다.
관리 프레임(management frame) 중 액션 프레임(action frame)에 대한 정의에 따르면, 액션 프레임 필드의 카테고리 값 127을 벤더 고유(vendor-specific)으로 정하여 벤더별로 새로운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ECW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정보 요소는 도 5와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W 정보 요소의 포맷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ECW 정보 요소(500)는 요소 ID(element ID) 필드(510), 길이(length) 필드(520), OUI 필드(530), 버전 필드(540) 및 ECW 필드를 포함한다.
요소 ID 필드(510)는 벤더 고유인 221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정보 요소가 ECW 정보 요소(500)임을 지시한다. 길이 필드(520)는 ECW 정보 요소(500)의 길이를 지시할 수 있으며, 본 예시와 같이 5를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OUI 필드(530)는 벤더 고유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ECW 필드(550)는 도 4의 ECW 필드(410)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총 1 옥테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중 4비트는 ECW를 지시하도록 설정되고 나머지 4비트는 예비 비트로 설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CW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두 가지 방식의 프레임의 송수신을 통해 AP 및/또는 STA들은 CW 관련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W 제어 기반 채널 접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의 흐름도에 따른 방법은 AP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비정상 STA이 존재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일반 STA은 무선 접근으로 인한 충돌 발생시 CW를, 보다 구체적으로 ECW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무선랜에 포함되어 있는 STA들의 ECW 값의 평균이 높아진 상황에서 ECW가 낮은 STA이 존재한다면 이러한 STA들을 하나의 비정상 STA 후보 그룹으로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AP는 STA들이 채널에 접근하여 전송한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STA들의 CW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S610). STA들이 전송하는 프레임의 포맷은 도 4와 같이 MAC 헤더에 ECW 필드가 포함되어 있는 포맷일 수 있다. STA들이 전송하는 프레임의 포맷은 도 4와 같이 CW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프레임 포맷일 수 있다. STA이 전송하는 프레임에는 ECW 필드와 같은 형태로 CW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AP는 STA으로부터 수신한 CW 관련 정보를 각 STA 별로 저장하고 처리한다(S620). AP는 각 STA으로부터 특정 시간 동안 적어도 한번 이상 수신한 CW 관련 정보를 히스토리(history)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각 STA 에 대한 CW 히스토리는 특정(predetermined)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특정 시간이 경과하면 수신한지 특정 시간이 경과된 CW 관련 정보는 폐기되고 새로 수신된 CW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AP는 STA 별 CW 히스토리에 포함된 각 CW 관련 정보, 즉 BCW 값들의 평균을 계산할 수 있다. 각 STA에 대한 ECW 값의 평균 값은, 해당 STA의 랜덤 백오프 인터벌의 변화 추이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AP는 각 STA별 CW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STA에 의한 채널 접근을 제어할지 여부를 결정한다(S630). STA에 대한 평균 ECW값이 증가하는 것은 STA들이 매체 접근 시도하는 과정 중에 충돌이 자주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비정상 STA의 존재로 인한 충돌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AP는 STA에 대한 평균 ECW 값이 특정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 STA에 의한 채널 접근을 제어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채널 접근을 제어하기로 결정한 AP는 비정상 STA 후보 그룹을 선정한다(S640). AP는 처리된 CW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특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해당 STA을 비정상 STA 후보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AP는 특정 구간 동안 획득된 CW 히스토리들을 기반으로 특정 기간 동안의 전체 STA들에 대한 전체 ECW 평균을 계산하여 결정할 수 있다. AP는 STA에 대한 평균 ECW 값이 전체 ECW 평균값에서 특정 마진 값(marginal value) 이하이거나 또는 미만인 STA들을 비정상 STA 후보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CW관련 정보를 전송하지 않은 STA은 비정상 STA 후보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AP는 비정상 STA 후보 그룹에 포함된 STA의 채널 접근을 제어한다(S650). 비정상 STA 후보 그룹에 포함된 STA으로 특정 회수 이상 연속하여 채널에 접근하여 AP에게 데이터를 전송한 STA은 비정상 STA으로 판단하고, 해당 STA과의 결합을 종료할 수 있다.
AP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여 STA의 채널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과 같은 채널 접근 제어 방법을 통하여 AP는 비정상 STA일 가능성이 있는 STA을 구분할 수 있고 해당 STA에 의하여 야기되는 빈번한 채널 접근을 막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일반 STA을 위한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AP는 단 하나의 STA으로부터 CW 관련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자신의 CW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STA의 채널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AP는 자신의 CW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 접근을 시도해보고, AP 자신의 ECW 값이 특정 임계치 보다 높아졌을 때 비정상 STA 후보 그룹의 구분이 필요함을 판단하고, 특정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채널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STA의 채널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장치는 AP 또는 STA일 수 있다.
무선장치(700)은 프로세서(710), 메모리(720) 및 트랜시버(transceiver, 730)를 포함한다. 트랜시버(730)는 무선신호를 송신/수신하되, IEEE 802.11의 물리계층이 구현된다. 프로세서(710)는 트랜시버(73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IEEE 802.11의 MAC 계층 및 물리계층을 구현한다. 프로세서(710)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CW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포맷에 따라 프레임을 생성, 전송, 수신 및 해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획득된 CW 관련 정보를 히스토리화 하여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정상 STA 후보 그룹의 구분 필요성을 판단하고, 전술한 규칙에 따라 비정상 STA 후보 그룹을 구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비정상 STA 후보 그룹에 포함된 STA의 채널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도2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710) 및/또는 트랜시버(73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2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7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720)는 프로세서(71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7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의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된다.

Claims (20)

  1.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의하여 수행되는 채널 접근 제어 방법에 있어서,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station; STA)으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수신하되, 상기 각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이 전송되는 시점에 사용된 컨텐션 윈도우(Contention Window; CW)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각 STA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CW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CW 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 접근 제어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채널 접근 제어를 수행하기로 하면, 비정상 STA 후보 그룹을 선정하고, 및
    상기 비정상 후보 STA 그룹에 포함된 각 STA에 대하여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채널 접근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W에 대한 정보는 상기 CW가 결정되는 기반이 되는 CW 기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근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모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 기준값에 대한 평균 값인 CW 평균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근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접근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CW 평균값이 특정 제어 임계값(threshold) 이상이면 상기 채널 접근 제어를 수행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각 STA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 기준값의 평균 값인 평균 CW 기준값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근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STA 후보 그룹을 선정하는 것은,
    상기 평균 CW 기준값이 상기 임계값을 기준으로 특정 마진 값(marginal value) 이상 작으면, 해당 STA을 상기 비정상 STA 후보 그룹에 포함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근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 STA에 대하여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비정상 STA 후보 그룹에 포함된 상기 해당 STA과의 결합 상태를 종료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근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W 기준 값은 상기 프레임의 MAC (Medium Access Control)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근 제어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CW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가 포함된 관리 액션 프레임(management action fra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근 제어 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W 기준 값은 하기 수학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CW = 2n-1
    (n은 정수이고 상기 CW 기준 값)
  11.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
    상기 트랜시버와 기능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station; STA)으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수신하되, 상기 각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이 전송되는 시점에 사용된 컨텐션 윈도우(Contention Window; CW)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각 STA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CW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CW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 접근 제어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채널 접근 제어를 수행하기로 하면, 비정상 STA 후보 그룹을 선정하고, 및
    상기 비정상 후보 STA 그룹에 포함된 각 STA에 대하여 채널 접근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CW에 대한 정보는 상기 CW가 결정되는 기반이 되는 CW 기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모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 기준값에 대한 평균 값인 CW 평균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접근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CW 평균값이 특정 제어 임계값(threshold) 이상이면 상기 채널 접근 제어를 수행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무선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각 STA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CW 기준값의 평균 값인 평균 CW 기준값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STA 후보 그룹을 선정하는 것은,
    상기 평균 CW 기준값이 상기 임계값을 기준으로 특정 마진 값(marginal value) 이상 작으면, 해당 STA을 상기 비정상 STA 후보 그룹에 포함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STA에 대하여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비정상 STA 후보 그룹에 포함된 상기 해당 STA과의 결합 상태를 종료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CW 기준 값은 상기 프레임의 MAC (Medium Access Control)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CW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가 포함된 관리 액션 프레임(management action fra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W 기준 값은 하기 수학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CW = 2n-1
    (n은 정수이고 상기 CW 기준 값)
KR1020120013661A 2012-02-10 2012-02-10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근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92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661A KR20130092133A (ko) 2012-02-10 2012-02-10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근 제어 방법 및 장치
US13/612,694 US8982793B2 (en) 2012-02-10 2012-09-12 Method for controlling channel acces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661A KR20130092133A (ko) 2012-02-10 2012-02-10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근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133A true KR20130092133A (ko) 2013-08-20

Family

ID=4894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661A KR20130092133A (ko) 2012-02-10 2012-02-10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근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82793B2 (ko)
KR (1) KR201300921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6260A1 (en) * 2016-12-09 2018-06-14 Intel Corporation Shared-channel access control in beamforming archite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5753B2 (en) * 2014-07-03 2016-11-01 Sony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allocating a radio resource for an LTE-unlicensed data transmission
CN105407490B (zh) * 2014-09-16 2019-10-15 上海无线通信研究中心 可使不同通信系统共存于免许可频段中的实现方法及系统
EP3206442B1 (en) * 2014-11-06 2019-06-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9814078B2 (en) 2015-03-12 2017-11-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tention window size in communication system
CN107734710B (zh) 2016-08-11 2023-05-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WO2018040046A1 (zh) 2016-08-31 2018-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测量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6143B2 (en) * 2003-09-30 2008-05-20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ion control in wireless networks
US20060215686A1 (en) * 2005-03-28 2006-09-28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for accessing wireless medium under 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WO2009136724A2 (en) * 2008-05-09 2009-11-12 Lg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multicast in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JP5072778B2 (ja) * 2008-09-02 2012-11-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基地局、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制御方法
WO2010095791A1 (en) * 2009-02-18 2010-08-2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channel access
KR101033685B1 (ko) 2009-05-20 2011-05-12 주식회사 케이티 셀피쉬 노드를 검출하는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6260A1 (en) * 2016-12-09 2018-06-14 Intel Corporation Shared-channel access control in beamforming archite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08656A1 (en) 2013-08-15
US8982793B2 (en) 201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5403B2 (ja) データの同時通信のための無線通信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無線通信端末
US2023013290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broadband link configuration
KR102424950B1 (ko) 랜덤 액세스 기반의 상향 다중 사용자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6057259B2 (ja) 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452504B1 (ko) Vht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채널 접속 방법 및 이를지원하는 스테이션
US8638772B2 (en) Method for granting a transmission opportunity in a wireless LAN system that uses a combined channel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subchannels, and station supporting the method
US85377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in contention-based communication system and station
US20120320856A1 (en) Channel access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JP6053197B2 (ja) 通常レートの物理層および低レートの物理層の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共存
KR20130092133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근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30145224A1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lock and transmitter using the same
KR20170081658A (ko) 클리어 채널 할당을 위한 무선 통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WO2013028627A1 (en) Communicating with extended range in a wireless network
US10609730B2 (en) NAV operation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and station apparatus for same
US202300409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 in wireless lan that supports multi-links
WO2011099791A2 (en) Channel access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WO2011025145A2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 sounding frame and communicating data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20160098166A (ko) 전력 정보 기반 간섭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60353485A1 (en) Managing medium access for wireless devices
KR101517321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다중 물리계층을 이용한 프레임 전송방법 및 장치
US10595341B2 (en) NAV operation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and station apparatus for same
KR20170078726A (ko) 다중 사용자 상향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EP2932756B1 (en)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channel bandwidth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KR102249762B1 (ko) 광대역에서의 클리어 채널 할당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
WO2016088958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fdr 전송 기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