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989A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1989A KR20130091989A KR1020120013401A KR20120013401A KR20130091989A KR 20130091989 A KR20130091989 A KR 20130091989A KR 1020120013401 A KR1020120013401 A KR 1020120013401A KR 20120013401 A KR20120013401 A KR 20120013401A KR 20130091989 A KR20130091989 A KR 201300919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vided
- work area
- mobile terminal
- workspace
-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조작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의 조작에 따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에 대응하는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생성하고,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생성하여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조작함으로써, 화면 크기가 제약된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저작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 패드 등 모바일 단말기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에 비해 그 화면 크기와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제약되어 있다. 이와 함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메모리 등 성능 상의 제약으로 인해 모바일 단말기에서 직접 네이티브 앱, 웹 앱, 하이브리드 앱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작하는 시스템의 경우 그 예가 미비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저작, 워크플로우 저작, 메타데이터 입력 등 여러 화면을 필요로 하는 매쉬업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에서 직접 저작하는 시스템은 특히 미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생성하고,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생성하여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조작함으로써, 화면 크기가 제약된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저작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조작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의 조작에 따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에 대응하는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포함하는 전체 작업영역 크기 단위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각 분할 작업영역 크기 단위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 이외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모두 미리 생성하고 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 이외의 분할 작업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되면,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과 인접한 분할 작업영역들을 미리 생성하고 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과 인접한 분할 작업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되면,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은,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되면,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생성하고 로드하는 단계; 및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조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에 대해 분할 작업영역간 이동, 분할 작업영역의 확대, 분할 작업영역의 축소, 분할 작업영역 내 객체 선택, 객체의 이동, 컨텍스트 메뉴 보이기 및 전체 가상 확장 작업영역 보이기 중 하나 이상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은, 블록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저작 도구, 블록 코드 에디터, 블록 메타데이터 입력 도구, 블록 리스트, 매쉬업 UI 저작 도구 및 매쉬업 워크플로우 저작 도구 중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생성하는 가상 확장 작업영역 생성부;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생성하는 분할 작업영역 생성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조작하는 조작부;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의 조작에 따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에 대응하는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 생성부는,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포함하는 전체 작업영역 크기 단위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 생성부는,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각 분할 작업영역 크기 단위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분할 작업영역 생성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 이외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모두 미리 생성하고 로드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 이외의 분할 작업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되면,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분할 작업영역 생성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과 인접한 분할 작업영역들을 미리 생성하고 로드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과 인접한 분할 작업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되면,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분할 작업영역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되면,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생성하고 로드하며, 상기 표시부는,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에 대해 분할 작업영역간 이동, 분할 작업영역의 확대, 분할 작업영역의 축소, 분할 작업영역 내 객체 선택, 객체의 이동, 컨텍스트 메뉴 보이기 및 전체 가상 확장 작업영역 보이기 중 하나 이상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은, 블록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저작 도구, 블록 코드 에디터, 블록 메타데이터 입력 도구, 블록 리스트, 매쉬업 UI 저작 도구 및 매쉬업 워크플로우 저작 도구 중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생성하고,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생성하여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조작함으로써, 화면 크기가 제약된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저작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는 전문가 또는 개발자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이더라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저작에 쉽게 접근 및 이용할 수 있어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보급 확대 및 수익 창출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저작, 워크플로우 저작, 메타데이터 입력 등 여러 화면을 필요로 하는 매쉬업의 경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에 따르면, 화면 크기가 제약된 모바일 단말기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저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보다 큰 가상의 확장 작업영역을 생성하고,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멀티터치 또는 터치 등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을 통해, 가상 확장 작업영역의 분할 작업영역들 중 하나로 이동, 확대, 축소하며, 나아가 각 분할 작업영역 내에서 메뉴를 선택 또는 화면 내 객체들을 선택,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이 시작되면, 먼저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가상 확장 작업영역(200)을 생성한다(S11). 그리고 가상 확장 작업영역(200)을 분할하여 복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201 내지 206)을 생성한다(S12).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가상 확장 작업영역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 크기와 같은 분할 작업영역들이 n x n(행 x 열) 매트릭스 형태로 확장 배열된 가상의 테스크톱일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분할 작업영역들(201 내지 206)이 2 x 3 매트릭스로 배열된 가상 확장 작업영역(200)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좌상단 분할 작업영역(201)이 0 x 0, 우하단의 분할 작업영역(206)이 1 x 2 요소가 된다. 가상 확장 작업영역의 각 분할 작업영역(201 내지 206)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저작 과정에 필요한 여러 도구(tool)들이 배치되는데, 일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모바일 매쉬업 저작을 위한 도구로서 분할 작업영역(201)에는 블록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저작 도구, 분할 작업영역(202)에는 블록 코드 에디터, 분할 작업영역(203)에는 블록 메타데이터 입력 도구, 분할 작업영역(204)에는 블록 리스트, 분할 작업영역(205)에는 매쉬업 UI 저작 도구, 분할 작업영역(206)에는 매쉬업 워크플로우 저작 도구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및 드래그 등의 행위를 통해 가상 확장 작업영역(200)을 이동시켜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서 한 번에 하나의 분할 작업영역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화면을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이라고 한다. 도 2에서는 분할 작업영역(204)가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이 된다.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서 둘 이상의 분할 작업영역을 한 번에 보거나 겹쳐서 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가상 확장 작업영역(200)의 분할 작업영역(201 내지 206)이 보여지기 위해서는 가상 확장 작업영역(200)이 생성되어야 하는데, 가상 확장 작업영역(200)은 복수의 분할 작업 영역들(201 내지 206)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 작업영역 크기 단위로 생성될 수도 있고, 또는 각 분할 작업영역(201 내지 206)의 크기 단위로 생성될 수도 있다. 가상 확장 작업영역(200)의 그 생성 단위는 각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에 보여지는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의 경우 그 생성 및 로드(load) 시기도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선택할 수 있다. 가상 확장 작업영역(200)의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은 보여지는 시점에 실시간으로 생성 및 로드될 수도 있으며, 현재 활성화된 분할 작업영역 외에 다른 분할 작업영역들을 모두 미리 생성 및 로드해 준비하였다가 요청될 때 보여줄 수도 있으며, 현재 활성화된 분할 작업영역과 인접한 분할 작업영역들만을 미리 생성 및 로드해 준비하였다가 요청될 때 보여줄 수도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가상 확장 작업영역(200)을 분할하여 복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201 내지 206)을 생성하고 나면(S12),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조작한다(S13). 그리고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의 조작에 따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에 대응하는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한다(S14). 즉,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조작하여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 때 가상 확장 작업영역(200)의 분할 작업영역(201 내지 206)간 이동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멀티터치, 터치, 모드 토글 등의 인터렉션을 통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멀티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애플(Apple)의 아이폰(iphone)의 경우는 주로 사용자의 멀티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멀티터치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안드로이드폰(android phone)의 경우 모드 토글(mode toggle)과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조작한다.
애플의 아이폰과 같이 멀티터치를 이용하는 경우는 한 점 터치, 두 점 터치, 세 점 터치 등 터치하는 점의 수와, 클릭(click) 및 더블클릭(double click) 인터렉션, 그리고 드래그(drag) 인터렉션의 조합에 따라 가상 확장 작업영역(200)의 분할 작업영역간 이동, 분할 작업영역의 확대, 분할 작업영역의 축소, 분할 작업영역 내 객체(메뉴 포함) 선택, 객체의 이동, 컨텍스트 메뉴 보이기, 전체 가상 확장 작업영역 보이기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폰과 같이 멀티터치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는 모드 토글과 터치 인터렉션의 조합에 의해서 위와 동일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모드 토글이라 하면 멀티터치 경우에서의 한 점 터치, 두 점 터치, 세 점 터치 등을 대신하여 분할 작업영역간 이동 모드, 분할 작업영역 확대/축소 모드, 객체 컨트롤 모드 등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모드 토글은 메뉴 화면을 통해 설정하거나 모바일 단말의 특정 버튼을 눌러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토글과, 클릭 및 더블클릭 인터렉션, 드래그 인터렉션의 조합에 따라 가상 확장 작업영역의 분할 작업영역간 이동, 분할 작업영역의 확대, 분할 작업영역의 축소, 분할 작업영역 내 객체(메뉴 포함) 선택, 객체의 이동, 컨텍스트 메뉴 보이기, 전체 가상 확장 작업영역 보이기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분할 작업영역들(201 내지 206)간에 이동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도구가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에 표시된 객체들을 조작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하게 된다.
전술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가상 확장 작업영역 생성부(301), 분할 작업영역 생성부(302), 조작부(303) 및 표시부(3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도 3에 도시된 블록들은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가상 확장 작업영역 생성부(301)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확장 작업영역 생성부(301)는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포함하는 전체 작업영역 크기 단위로 생성하거나, 각 분할 작업영역 크기 단위로 생성할 수 있다.
분할 작업영역 생성부(302)는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분할 작업영역 생성부(302)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 이외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모두 미리 생성하고 로드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과 인접한 분할 작업영역들을 미리 생성하고 로드할 수 있다.
조작부(303)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조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조작부(303)는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에 대해 분할 작업영역간 이동, 분할 작업영역의 확대, 분할 작업영역의 축소, 분할 작업영역 내 객체 선택, 객체의 이동, 컨텍스트 메뉴 보이기 및 전체 가상 확장 작업영역 보이기 중 하나 이상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304)는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의 조작에 따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에 대응하는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분할 작업영역 생성부(302)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 이외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모두 미리 생성하고 로드한 경우, 표시부(304)는 상기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 이외의 분할 작업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되면,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분할 작업영역 생성부(302)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과 인접한 분할 작업영역들을 미리 생성하고 로드한 경우, 표시부(304)는 상기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과 인접한 분할 작업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되면,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분할 작업영역 생성부(302)가 분할 작업영역들을 미리 생성하고 로드하지 않고,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되면,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생성하고 로드하며, 표시부(304)는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과 유사하게 동작이 수행되므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 1 및 도 2에서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Claims (16)
-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조작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의 조작에 따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에 대응하는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포함하는 전체 작업영역 크기 단위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각 분할 작업영역 크기 단위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 이외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모두 미리 생성하고 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 이외의 분할 작업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되면,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과 인접한 분할 작업영역들을 미리 생성하고 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과 인접한 분할 작업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되면,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되면,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생성하고 로드하는 단계; 및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조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에 대해 분할 작업영역간 이동, 분할 작업영역의 확대, 분할 작업영역의 축소, 분할 작업영역 내 객체 선택, 객체의 이동, 컨텍스트 메뉴 보이기 및 전체 가상 확장 작업영역 보이기 중 하나 이상의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은,
블록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저작 도구, 블록 코드 에디터, 블록 메타데이터 입력 도구, 블록 리스트, 매쉬업 UI 저작 도구 및 매쉬업 워크플로우 저작 도구 중 하나 이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생성하는 가상 확장 작업영역 생성부;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생성하는 분할 작업영역 생성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조작하는 조작부;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의 조작에 따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성 도구에 대응하는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 생성부는,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포함하는 전체 작업영역 크기 단위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 생성부는,
상기 가상 확장 작업영역을 각 분할 작업영역 크기 단위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할 작업영역 생성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 이외의 분할 작업영역들을 모두 미리 생성하고 로드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 이외의 분할 작업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되면,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할 작업영역 생성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과 인접한 분할 작업영역들을 미리 생성하고 로드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활성화 분할 작업영역과 인접한 분할 작업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되면,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할 작업영역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되면,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생성하고 로드하며,
상기 표시부는,
요청된 분할 작업영역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에 대해 분할 작업영역간 이동, 분할 작업영역의 확대, 분할 작업영역의 축소, 분할 작업영역 내 객체 선택, 객체의 이동, 컨텍스트 메뉴 보이기 및 전체 가상 확장 작업영역 보이기 중 하나 이상의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작업영역들은,
블록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저작 도구, 블록 코드 에디터, 블록 메타데이터 입력 도구, 블록 리스트, 매쉬업 UI 저작 도구 및 매쉬업 워크플로우 저작 도구 중 하나 이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3401A KR20130091989A (ko) | 2012-02-09 | 2012-02-09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
US13/562,607 US20130212519A1 (en) | 2012-02-09 | 2012-07-31 |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roducing mobile applic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3401A KR20130091989A (ko) | 2012-02-09 | 2012-02-09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1989A true KR20130091989A (ko) | 2013-08-20 |
Family
ID=4894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3401A KR20130091989A (ko) | 2012-02-09 | 2012-02-09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212519A1 (ko) |
KR (1) | KR2013009198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0386A (ko) | 2014-12-29 | 2016-07-08 | 이동섭 | 메모지와 스티커 기반 스마트 단말의 앱화면 구성 시스템 |
KR20210023529A (ko) | 2019-08-23 | 2021-03-04 | 김종관 | 앱 생성 방법 |
KR20210023528A (ko) | 2019-08-23 | 2021-03-04 | 김종관 | 앱 생성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38600B2 (en) | 2018-02-12 | 2020-11-17 | Wayfair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extended reality interfa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76747B2 (en) * | 2009-02-17 | 2015-11-03 | Sandisk Il Ltd. | User-application interface |
US20120005577A1 (en) * | 2010-06-30 | 2012-01-0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Building Mashups on Touch Screen Mobile Devices |
-
2012
- 2012-02-09 KR KR1020120013401A patent/KR2013009198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07-31 US US13/562,607 patent/US20130212519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0386A (ko) | 2014-12-29 | 2016-07-08 | 이동섭 | 메모지와 스티커 기반 스마트 단말의 앱화면 구성 시스템 |
KR20210023529A (ko) | 2019-08-23 | 2021-03-04 | 김종관 | 앱 생성 방법 |
KR20210023528A (ko) | 2019-08-23 | 2021-03-04 | 김종관 | 앱 생성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212519A1 (en) | 2013-08-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38725C1 (ru) |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с помощью радиального графиче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пользователя | |
US1007358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windows on a display | |
CN107193438B (zh) | 一种管理桌面图标的方法及移动终端 | |
CN107203307B (zh) | 一种图标管理方法及移动终端 | |
CN107704157B (zh) | 一种多屏界面操作方法、装置及存储介质 | |
CN103502917A (zh) | 用于启用触摸的命令执行的紧凑控件菜单 | |
KR102265126B1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구성 기법 | |
JP2011022913A (ja) |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 |
JP2003131777A (ja) | ディスプレイ上にシンボルを表示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KR102094498B1 (ko) | 멀티 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 |
CN110148214B (zh) | 一种多场景的数据可视化方法及装置 | |
KR20130091989A (ko)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 |
CN112099710A (zh) | 一种应用启动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EP3979148B1 (en) | Presenting method and system of machine learning automatic modeling process | |
JP2009064068A (ja) | 情報処理装置、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2017507419A (ja) | カスタム化可能な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生成および実装 | |
US20130208000A1 (en) | Adjustable activity carousel | |
KR20140117979A (ko)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항목 선택 방법 및 시스템 | |
CN104793848B (zh) |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 |
CN109032455B (zh) | 一种菜单显示的方法和装置 | |
CN114610031A (zh) | 终端设备、机器人巡航路径建立方法、装置及存储介质 | |
CN103793148A (zh) | 内容管理系统和方法 | |
US10031638B2 (en) | Multi-touch GUI featuring directional compression and expansion of graphical content | |
JP2014120041A (ja) |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 |
KR101505900B1 (ko) | 전자 문서의 출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분할 화면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