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626A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626A
KR20130091626A KR1020120141968A KR20120141968A KR20130091626A KR 20130091626 A KR20130091626 A KR 20130091626A KR 1020120141968 A KR1020120141968 A KR 1020120141968A KR 20120141968 A KR20120141968 A KR 20120141968A KR 20130091626 A KR20130091626 A KR 20130091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rea
display
regio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9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2154B1 (en
Inventor
이용훈
손종희
윤소영
정한철
김나리
배준원
오정엽
현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761,717 priority Critical patent/US9997130B2/en
Priority to EP19157580.2A priority patent/EP3528239B1/en
Priority to CN201810153992.XA priority patent/CN108230988B/en
Priority to CN201310049330.5A priority patent/CN103247273B/en
Priority to EP13154414.0A priority patent/EP2626852B1/en
Priority to PCT/KR2013/001047 priority patent/WO2013119080A1/en
Priority to JP2013023048A priority patent/JP6635641B2/en
Publication of KR2013009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626A/en
Priority to US15/911,743 priority patent/US1047541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1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to adjust easily the operation method to enable users to control intuitionally the devic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of the display device. CONSTITUTION: A display device (100) comprises a display panel unit (110), a panel driving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The display panel unit includes a first panel area and a second panel area. The first panel area corresponds to an opaque display area. The second panel area corresponds to a transparent display area. The panel driving unit is configured to drive individually the first panel area and the second panel area.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panel unit to display a main image in the opaque display area and display an additional image in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Reference numerals] (110) Display panel; (120) Panel driving unit; (130) Control unit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an additional image.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various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are being developed and distributed. In particular,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TVs, mobile phones, PCs, notebook PCs, and PDAs are used in most households.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사용이 늘면서 좀 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사용자 니즈(needs)도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각 제조사들의 노력도 커져서, 3D 컨텐츠의 제공 등 종래에 없던 새로운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As the use of display devices has increased, the user needs for more diverse functions have also increased. As a result, the efforts of manufacturers to meet user needs have increased, and products including new features such as the provision of 3D contents are emerging one after another.

특히, 최근에는 단순한 영상 시청뿐만 아니라 인터넷, SNS(Social Network Service), 게임, 화상 채팅, 위젯 등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다양한 컨텐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컨텐츠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공하는 경우 시청자의 영상 시청을 방해하여 사용자의 몰입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그 조작 방법이 익숙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vide various contents through display devices such as the Internet, Social Network Service (SNS), games, video chat, and widgets as well as simple video viewing. However, in the case of providing such various contents on the display screen, the viewer may interrupt the viewer's viewing of the image, thereby reducing the user's immersion degree, and when the user uses the display device, the user may not be familiar with the operation method and may have difficulty.

이에 따라, 영상 시청을 방해하지 않고 다양한 컨텐츠들을 동시에 제공하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쉽고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이 요청된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of simultaneously providing various contents without disturbing viewing of an image and allowing a user to easily and intuitively control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요구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황에 따라 적절한 사용자 명령을 유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nee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and purposes of the user, and can induce an appropriate user command according to the situation.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불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제1 패널 영역 및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제2 패널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부, 상기 제1 패널 영역 및 상기 제2 패널 영역을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패널 구동부 및 상기 불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투명 영역에 부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first panel area corresponding to an opaque display area and a second panel area corresponding to a transparent display area. And a panel driver for independently driving the panel region and the second panel reg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a main image on the opaque display region and display an additional image on the transparent region.

여기서, 상기 제1 패널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의 중앙 영역이며, 상기 제2 패널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을 제외한 가장 자리 영역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panel area may be a center area of the display panel unit, and the second panel area may be an edge area except the center area.

또한,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제1 패널 영역을 구동하기 위한 제1 패널 구동부 및 상기 제2 패널 영역을 구동하기 위한 제2 패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nel driver may include a first panel driver for driving the first panel region and a second panel driver for driving the second panel region.

그리고, 상기 메인 영상을 신호 처리하여 상기 제1 패널 영역에 제공하는 제1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부가 영상을 신호 처리하여 상기 제2 패널 영역에 제공하는 제2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signal-process the main image and provide the signal to the first panel region, and a second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signal-process and provide the additional image to the second panel region.

그리고, 상기 부가 영상은, 기 설정된 위젯, 기 설정된 아이콘, 기 설정된 그래픽 효과, 상기 메인 영상과 관련된 영상, 상기 메인 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 및 상기 메인 영상과 관련된 그래픽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set widget, a preset icon, a preset graphic effect, an image related to the main imag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in image, and a graphic effect related to the main image. have.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는, 제1 패널부, 상기 제1 패널부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제2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패널 영역은 상기 제1 패널부에 대응되는 영역이며, 상기 제2 패널 영역은 상기 제2 패널부가 투명하게 조절된 영역일 수 있다.The display panel unit may include a first panel unit and a second panel unit disposed at an edge region of the first panel unit and capable of adjusting transparency, wherein the first panel region corresponds to the first panel unit. The second panel area may be an area in which the second panel part is transparently adjusted.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는,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1 패널부 배면에 배치되며,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제2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패널 영역은 상기 제2 패널부가 불투명하게 조절된 영역이며, 상기 제2 패널 영역은 상기 제2 패널부가 투명하게 조절된 영역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isplay panel unit may include a first panel unit and a second panel unit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panel unit and capable of adjusting transparency, wherein the first panel area may be opaquely adjusted. The second panel area may be an area in which the second panel part is transparently adjust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영상 시청을 방해하지 않고 다양한 컨텐츠들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쉽고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contents without disturbing viewing of the image, and the user may easily and intuitively control th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패널 구동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제2 패널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영역별로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제2 패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패널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는 신호 처리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패널 영역에 메인 영상과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2 패널 영역에 그래픽 효과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2 패널 영역에 메인 영상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2 패널 영역에 기 설정된 위젯 또는 기 설정된 그래픽 효과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2 패널 영역에 메인 영상 중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제2 패널 영역에 메인 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및 21은 제2 패널 영역에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제2 패널 영역 중 (b)영역 및 (c)영역에 부가 정보가 표시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제1 패널 영역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이 다른 컨텐츠로 변경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제1 패널 영역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이 메인 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로 변경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제2 패널 영역을 통해 영상 채팅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영상의 특성에 대응되는 사운드 모드를 제공하고 제2 패널 영역에 그래픽 효과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isplay panel unit and a panel driver.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anel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transparency.
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second panel unit capable of adjusting transparency for each region.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providing a backlight in a second panel reg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ignal processing unit.
10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graphic effect associated with a main image in a second panel area.
FIG. 1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graphic effect in a second panel area.
FIG. 1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 image related to a main image in a second panel region.
FIG. 1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preset widget or a preset graphic effect in a second panel area.
FIG. 1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part of a main image on a second panel area.
17 to 19 illustrate an operation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a main image in a second panel area.
20 and 21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content list in a second panel area.
22 and 23 are diagrams for describing in detail an operation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gions (b) and (c) of the second panel region.
FIG. 2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 main image displayed on a first panel region to another content.
FIG. 2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 main image displayed on a first panel region to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in image.
FIG. 2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a video chat through the second panel region.
FIG. 2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sound mode corresponding to a characteristic of an image and displaying a graphic effect in a second panel area.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부(110), 패널 구동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display panel 110, a panel driver 120, and a controller 130.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패널 구동부(120)에 의해 구동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불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제1 패널 영역 및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제2 패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10 is driven by the panel driver 120 to display an image. The display panel unit 110 may include a first panel area corresponding to the opaque display area and a second panel area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패널 구동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를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는 디스플레이 패널부의 제1 패널 영역 및 제2 패널 영역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The panel driver 120 drives the display panel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In detail, the display panel unit 120 may independently drive the first panel region and the second panel region of the display panel unit.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패널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불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제1 패널 영역)에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제2 패널 영역)에 메인 영상 또는 부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panel driver 120 to display an image on the display panel 110. In detail,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the main image in the opaque display area (first panel area) and display the main image or the additional image in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second panel area).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패널부(110) 및 패널 구동부(12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display panel unit 110 and the panel driver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도 2는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패널 구동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제1 패널 영역(111) 및 제2 패널 영역(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 영역(111)은 불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이며, 제2 패널 영역(112)은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isplay panel unit and a panel driver. According to FIG. 2, the display panel unit 110 may include a first panel region 111 and a second panel region 112. The first panel region 111 is an opaque display region, and the second panel region 112 corresponds to a transparent display region.

한편, 패널 구동부(120)는 제1 패널 구동부(121) 및 제2 패널 구동부(122)를 포함한다. 제1 패널 구동부(121)는 제1 패널 영역(111)을 구동하며 제2 패널 구동부(122)는 제2 패널 영역(112)을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패널 영역 및 제2 패널 영역 중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는 전원을 오프시켜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패널 구동부(120)가 복수의 패널 구동부로 구현되어 제1 패널 영역 및 제2 패널 영역을 각각 구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패널 구동부(120)는 제1 패널 영역 및 제2 패널 영역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하나의 패널 구동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panel driver 120 includes a first panel driver 121 and a second panel driver 122. The first panel driver 121 drives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the second panel driver 122 drives the second panel region 112. Accordingly, the power may be turned off in the first panel region and the second panel region where the image is not displayed to reduce power. Meanwhile, in FIG. 2, the panel driver 120 is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panel drivers to drive the first panel region and the second panel region, respectively. However, the panel driver 120 includes the first panel region and the second panel region. It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panel driver for driving each independent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제1 패널 영역(111)은 디스플레이 패널부의 중앙 영역이며, 제2 패널 영역(112)은 중앙 영역을 제외한 가장자리 영역이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제1 패널 영역 및 제2 패널 영역의 위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불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제1 패널 영역(111)은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제2 패널 영역(112)은 메인 영상 또는 부가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부가 영상이란, 기 설정된 위젯, 기 설정된 아이콘, 기 설정된 그래픽 효과, 메인 영상과 관련된 영상, 메인 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 메인 영상과 관련된 그래픽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3, the first panel region 111 is a center region of the display panel unit, and the second panel region 112 is an edge region excluding the center regio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ositions of the first panel region and the second panel region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The first panel region 111 corresponding to the opaque display region may display a main image, and the second panel region 112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display region may display a main image or an additional image. The additional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set widget, a preset icon, a preset graphic effect, an image related to the main imag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in image, and a graphic effect related to the main image.

제2 패널 영역(112) 중 (a)영역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청하는 중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일시적 서비스 및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는 중 다른 사용자에 의해 화상 채팅에 초대되면 화상 채팅서비스를 제공하거나,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새로운 메시지가 등록되면 이를 알려주거나, 영화를 시청하는 경우 자막을 제공하거나, 시청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표시하는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Area (a) of the second panel area 112 is an area for displaying temporary services and functions provided to the user while the user is viewing the display screen. For example, if a user is invited to a video chat by another user while watching the content, provide a video chat service, notify the user when a new message is registered with the Social Network Service, or subtitles when watching a movie. A service for displaying a graphic effect associated with the content to be viewed or provided may be provided.

제2 패널 영역(112) 중(b)영역은 컨텐츠 또는 사용자 경험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축구 경기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축구 경기에 참여하는 팀 정보, 축구 리그에 대한 뉴스, 축구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들에 대한 정보, 유니폼 및 축구화 등과 같은 상품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An area (b) of the second panel area 112 is an area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or a user experience. For example, if a user is watching a football game,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team participating in the football game, news about the football league, information about the players participating in the football game, and information about products such as uniforms and soccer shoes. can do.

제2 패널 영역(112) 중 (c)영역은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컨텐츠 리스트는 일반적인 방송 채널뿐만 아니라 SNS, 인터넷, 게임 등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Area (c) of the second panel area 112 is an area for displaying a content list so that a user can easily access desired content. The content list may include various contents such as SNS, the Internet, and games as well as general broadcast channels.

이상과 같이 메인 영상 및 부가 영상을 별개의 영역에 분리하여 표시함으로써 시청자는 컨텐츠에 포함된 부가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본래의 메인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각종 부가 영상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By separating and displaying the main image and the additional image in separate areas as described above, the viewer can be provided with the original main image without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and can receive various additional images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have.

도 3에 따르면 (a)영역과 (b)영역, (a)영역과 (c)영역은 물리적으로는 서로 중복되는 영역에 해당하지만, 컨텐츠의 종류 및 상황에 따라 별개로 운영될 수 있다.According to FIG. 3, areas (a) and (b), (a) and (c) are physically overlapping areas, but may be operat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type and situation of the content.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의 제1 패널 영역(111) 및 제2 패널 영역(112)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패널 영역(111) 및 제2 패널 영역(112)의 세부 구조를 실시예별로 나누어 설명한다.Meanwhile,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the second panel region 112 of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ereinafter, detailed structures of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the second panel region 112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제1 실시예>&Lt; Embodiment 1 >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불투명한 제1 패널 영역(111)에 대응하는 제1 패널부 및 제2 패널 영역(112)에 대응하는 제2 패널부를 포함한다. 제1 패널부는 일반적인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널부는 투명 LCD 또는 투명 OLED로 구현될 수 있다. 투명 LCD란 일반적인 LCD에서 백라이트 유닛을 제거하고 투명 전극 등을 사용하여 구현한 LCD를 의미하며, 투명 OLED란 투명한 유기 발광층 및 투명 전극을 이용하여 구현한 OLED를 의미한다. 한편, 제1 패널부 및 제2 패널부가 동일한 종류의 패널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display panel unit 110 includes a first pane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paque first panel region 111 and a second pane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nel region 112. The first panel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general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second panel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LCD or a transparent OLED. The transparent LCD refers to an LCD implemented by using a transparent electrode after removing a backlight unit from a general LCD. The transparent OLED refers to an OLED implemented using a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transparent electrode. Meanwhile, when the first panel unit and the second panel unit are implemented as panels of the same type, the display panel unit 110 may be physically implemented as one panel.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불투명한 제1 패널 영역(111)에 대응하는 제1 패널부 및 제2 패널 영역(112)에 대응하며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제2 패널부를 포함한다. 제1 패널부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일반적인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널부는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해 두 개의 패널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display panel unit 110 includes a first pane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paque first panel region 111 and a second pane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nel region 112 and capable of adjusting transparency. . The first panel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general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the second panel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panels to adjust transparency.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 및 도 5는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제2 패널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패널부는 제1 패널(5) 및 제2 패널(10)을 포함한다. 제1 패널(5)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널로 투명 LCD 또는 투명 OLED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패널(10)은 제2 패널부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패널로 제1 패널(10)의 배면에 배치되며, 투명 LCD 또는 EWD(Electronic Wetting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패널(15)은 투명한 상태로부터 검은색의 불투명한 상태까지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패널(15)은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패널로 컬러를 구현할 필요가 없으므로 컬러 필터를 생략할 수 있다. 도 5는 제2 패널(15)이 불투명 상태로 조절된 경우의 제2 패널부를 나타낸다. 한편, 제1 패널부 및 제2 패널부의 제1 패널이 동일한 종류의 패널로 구현되는 경우 제1 패널부 및 제1 패널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anel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transparency. 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panel unit includes a first panel 5 and a second panel 10. The first panel 5 is a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may be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LCD or a transparent OLED. The second panel 10 is a panel for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panel portion and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anel 1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LCD or an electronic wetting display (EWD). The second panel 15 may adjust transparency from a transparent state to a black opaque state. Since the second panel 15 is a panel for adjusting transparency, it is not necessary to implement color, and thus the color filter may be omitted. 5 shows a second panel portion when the second panel 15 is adjusted to an opaque state. Meanwhile, when the first panel of the first panel unit and the second panel unit are implemented as panels of the same type, the first panel unit and the first panel may be physically implemented as one panel.

도 6은 영역별로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제2 패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제2 패널부는 영역별로 투명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패널부의 구성 중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패널(15)을 픽셀 단위 또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픽셀 그룹 단위로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영역별로 투명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second panel unit capable of adjusting transparency for each region. As illustrated in FIG. 6, the second panel unit may adjust transparency of each region. In detail, the second panel 15 for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panel unit may be independently driven in units of pixels or in units of pixel groups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thereby controlling the transparency of each region.

도 7은 제2 패널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패널 영역(111)에 대응하는 제1 패널부가 LCD로 구현되고 제2 패널 영역(112)에 대응하는 제2 패널부의 제1 패널(10)이 투명 LCD로 구현되는 경우 제1 패널부의 백라이트 유닛(20)을 엣지 타입으로 구현하고, 엣지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이 제1 패널(10)에도 백라이트를 제공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패널(15)이 불투명한 상태에서도 제1 패널(10)에 백라이트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providing a backlight in a second panel region. Back panel of the first panel portion when the first pane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nel region 111 is implemented as an LCD and the first panel 10 of the second pane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nel region 112 is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LCD. The unit 20 may be implemented as an edge type, and the edge type backlight unit may be designed to provide a backlight to the first panel 10. Accordingly, the backlight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panel 10 even when the second panel 15 is opaque.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의 전체 영역이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 패널(10) 및 제1 패널의 배면이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2 패널(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실시예와 달리 제2 패널(15)은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의 전체 영역에 위치한다. 제2 패널(15)은 제2 패널의 각 영역별로 투명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의 제1 패널 영역(111)은 제2 패널(15)이 불투명하게 조절된 영역에 대응하며, 제2 패널 영역(112)은 제2 패널(15)이 투명하게 조절된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패널(15)은 중앙 영역은 불투명하게 조절하고, 중앙 영역을 제외한 가장 자리 영역은 투명하게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implemented as a panel capable of adjusting transparency. That is, the display panel 110 may include a first panel 1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second panel 15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panel to adjust transparency of the display panel 110.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panel 15 is located i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panel unit 110. The second panel 15 may adjust the transparency differently for each area of the second panel. The first panel region 111 of the display panel unit 110 corresponds to a region in which the second panel 15 is opaquely adjusted, and the second panel region 112 is transparently adjusted in the second panel 15. It may correspond to an area. For example, the second panel 15 may adjust the center region to be opaque and the edge region except for the center region to be transparent.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부(110), 패널 구동부(120) 및 제어부(130) 외에 수신부(140), 저장부(150) 및 신호 처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receiver 140, a storage 150, and a signal processor 160 in addition to the display panel 110, the panel driver 120, and the controller 130.

수신부(140)는 컨텐츠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는 방송망 또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내에 마련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각종 기록 매체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기록 매체 재생 장치란 CD, DVD, 하드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The receiver 140 receives the content. In detail, the receiving unit may receive content using a broadcasting network or an internet network. In addition, content may be received from various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es provided in or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The recording medium playback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plays back content stored in various types of recording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memory card, USB memory,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 재생 또는 표시될 수 있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및 그래픽 효과 등을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150 stores various applications, contents, and graphic effects that can be executed, played back, or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신호 처리부(160)는 수신부(140)에서 수신되거나 저장부(15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해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신호 처리부(160)는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미도시)와 디먹스에서 분리된 각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미도시), 오디오 처리부 및 부가 데이터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or 160 performs signal processing on the content received by the receiver 140 or stored in the storage 150. The signal processor 160 may include a demux (not shown) for separating video data, audio data, and additional data included in content, and an image processor (not shown) for processing respective data separated from the demux, an audio processor, and the like. And an additional data processor.

신호 처리부(160)는 제1 패널 영역 및 제2 패널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내에 메인 영상 및 부가 영상이 함께 포함되거나, 제1 패널 영역(111)에 표시될 영상과 제2 패널 영역(112)에 표시될 영상이 각각 다른 소스로부터 수신된 경우 각각의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signal processor 160 may independently process an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panel area and the second panel area. In detail, when the main image and the additional image are included together in the content, or when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are received from different sources, the respective images are displaye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는 신호 처리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160)는 제1 영상 처리부(161) 및 제2 영상 처리부(162)를 포함한다. 제1 영상 처리부(161)는 메인 영상을 처리한다. 그리고, 제1 패널 구동부(121)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제1 영상 처리부(161)에서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1 패널 영역(111)을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널 구동부(122)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제2 영상 처리부(161)에서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2 패널 영역을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에 포함된 자막 등의 부가 데이터는 부가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된 후 제2 영상 처리부(161)에서 처리된 영상과 렌더링 되어 제2 패널 영역(112)에 표시될 수 있다.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ignal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FIG. 9, the signal processor 160 includes a first image processor 161 and a second image processor 162. The first image processor 161 processes the main image. The first panel driver 121 may drive the first panel region 111 to display an image processed by the first image processor 16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The second panel driver 122 may drive the second panel region to display an image processed by the second image processor 16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Meanwhile, additional data such as captions included in the content may be processed by the additional data processor and then rendered with the image processed by the second image processor 161 to be displayed o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한편, 신호 처리부(160)는 컨텐츠내에 연속적으로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등을 추출하여 제2 패널 영역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에서 각 영상 프레임에 반복적으로 표시되는 스코어 또는 각의 방송 채널을 나타내기 위한 로고 등을 메인 영상에서 분리하여 제2 패널 영역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or 160 may extract text, an image, and the like continuously included in the content to be displayed in the second panel area. For example, in a soccer game, a score repeatedly displayed on each image frame or a logo for representing each broadcasting channel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image to be displayed in the second panel area.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레이어(210) 및 제1 레이어(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레이어(220)를 포함한다. 제1 레이어(210)의 전면부는 터치 패드와 같은 입력 장치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레이어(210)는 제2 레이어(220) 상에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제1 레이어(210)가 제2 레이어의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은 도 3의 제2 패널 영역 중 (b)영역을 제어하거나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2 레이어(220)의 우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은 제2 패널 영역 중 (c)영역을 제어하거나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1 레이어(220)를 우측으로 이동시킨 경우 제2 패널 영역의 (c)영역에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10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10A,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includes a first layer 210 and a second layer 220 disposed below the first layer 210.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layer 210 may be implemented as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ad, or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o display a display screen. The first layer 210 may move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econd layer 220. The movement of the first layer 210 to the left side of the second layer may correspond to an operation of controlling region (b) of the second panel region of FIG. 3 or displaying corresponding content. An operation of moving to the right side of 220 may correspond to an operation of controlling region (c) of the second panel region or displaying corresponding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the first layer 220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o the right side, the content list may be displayed in area (c) of the second panel area.

도 10(b)는 제1 레이어(210)가 제2 레이어(220)의 좌측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1 레이어(210)가 이동되어 제2 레이어(220)와 불일치게된 영역(25)은 제2 패널 영역의 (b)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레이어의 불일치 영역(25)을 터치함으로써 제2 패널 영역 중 (b)영역에 표시된 컨텐츠 등을 제어할 수 있다.10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layer 210 is mov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second layer 220. The region 25 in which the first layer 210 is moved to be inconsistent with the second layer 220 may be used as an area for controlling the region (b) of the second panel region. The user may control the content and the like displayed in the area (b) of the second panel area by touching the mismatched area 25 of the first layer.

도 10(c)는 도 10(b)에서 제1 레이어(210)가 제2 레이어(220)와 일치하도록 원래 상태로 이동된 경우를 나타낸다. 제1 레이어(210)가 원래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제2 패널 영역의 (b)영역에 표시되던 영상이 사라질 수 있다.FIG. 10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irst layer 210 is moved to its original state to match the second layer 220 in FIG. 10B. As the first layer 210 moves to the original state, an image displayed in the region (b) of the second panel region may disappear.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전면부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와 유사한 모양으로 구현할 수 있다. 1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the front part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implement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display panel unit 11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전면부는 도 10에서와 같이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전면부에 표시된 테두리(30)의 내부에서 외부로 드래그함으로써 제2 패널 영역 중 (b) 또는 (c)영역을 제어하거나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The front part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10. The user may control the area (b) or (c) of the second panel area or display the corresponding content by dragging from the inside of the edge 30 displayed on the front part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o the outside.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원격 제어 장치(20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상황에 적합한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기 위한 오브젝트 등을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illustrated in FIGS. 10 and 11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n object or the like for inducing a user input suitable for a situation may be displayed or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received. It can also be display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컨텐츠 및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Hereinafter, various scenarios that may be appli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2 to 21 are diagrams for describing various images, contents, and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in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제2 패널 영역에 메인 영상과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패널 영역(111)에는 메인 영상이 표시되고, 제2 패널 영역(112)에는 메인 영상과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1 패널 영역(111)에는 나무와 구름이 포함된 메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한편, 제2 패널 영역(112)에는 메인 영상에 포함된 나무 및 구름과 유사한 그래픽 효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제1 패널 영역(111)에는 괴물이 불을 뿜고 건물이 불타고 있는 장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으며, 제2 패널 영역(112)에는 메인 영상에 포함된 불과 유사한 그래픽 효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1 패널 영역(111)에 비행기를 조종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2 패널 영역(112)에 속도감을 느낄 수 있는 그래픽 효과가 표시되거나, 제1 패널 영역(111)에 파도가 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면 제2 패널 영역(112)에 파도와 유사한 그래픽 효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패널 영역에 메인 영상과 관련된 그래픽 효과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메인 영상에 대한 몰입도를 높여줄 수 있다.FIG. 1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graphic effect associated with a main image in a second panel area.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 main image in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display a graphic effect related to the main image i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Referring to FIG. 12A, a main image including trees and clouds is displayed in the first panel region 111. Meanwhile, graphic effects similar to trees and clouds included in the main image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Referring to FIG. 12 (b), a scene in which a monster fires and a building is burning is displayed in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only similar graphic effects included in the main image are displayed i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Can be. In addition, when an image of manipulating an airplane is displayed in the first panel region 111, a graphic effect for feeling a sense of speed is displayed i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or an image in which waves wave in the first panel region 111. When displayed, the second panel region 112 may display a graphic effect similar to a wave. As such, the graphic effect related to the main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panel region, thereby increasing the immersion of the main image.

도 13은 제2 패널 영역에 그래픽 효과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패널 영역(111)에는 메인 영상을 표시하고, 제2 패널 영역(112)에는 그래픽 효과를 표시하여 특별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제1 패널 영역(111)이 사진 또는 앨범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가지도록 제2 패널 영역(112)에 그래픽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3(b) 및 도 13(c)를 참조하면 제1 패널 영역(111)과 제2 패널 영역(112)에 서로 연결되는 그래픽 효과(35)를 표시하여 시각적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3(d)를 참조하면 제2 패널 영역(112)에 여러 영상이 겹쳐보이도록 하는 그래픽 효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패널 영역에 그래픽 효과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황에 맞는 특별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FIG. 1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graphic effect in a second panel area.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 main image on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display a graphic effect o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to provide a special visual effect. Referring to FIGS. 13A to 13C, a graphic effect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so that the first panel region 111 has a visual effect such as a photo or an album.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3B and 13C, graphic effects 35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the second panel region 112 may be displayed to maximize visual effects. have. Referring to FIG. 13 (d), a graphic effect for displaying several images o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may be displayed. As such, by displaying the graphic effect in the second panel area, a special visual effect suitable for the situ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도 14는 제2 패널 영역에 메인 영상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패널 영역(111)에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패널 영역(112)에 메인 영상과 관련된 다양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사진을 감상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제1 패널 영역(111)에 하나의 사진을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사진들(45)을 제2 패널 영역(11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13(b) 및 도 13(c)에서와 같이 일부 사진(50)은 제1 패널 영역(111)과 제2 패널 영역(112) 모두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멀티앵글 컨텐츠와 같이 복수의 영상을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경우에도 메인 영상을 제1 패널 영역(111)에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영상을 제2 패널 영역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영상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FIG. 1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 image related to a main image in a second panel region.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 main image in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display various images related to the main image i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when a user views a photo, one photo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the remaining photographs 45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3B and 13C, some photographs 50 may be displayed in both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the second panel region 112. Meanwhile, even in a video content including a plurality of images, such as multi-angle content, the main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the remaining images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panel region to provide various images to the user at the same time. .

도 15는 제2 패널 영역에 기 설정된 위젯 또는 기 설정된 그래픽 효과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패널 영역(111)에 기 설정된 위젯 또는 기 설정된 그래픽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제2 패널 영역(112)에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위젯(55)과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위젯(6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날씨에 대응되는 그래픽 효과도 표시될 수 있다. 도 15(b)와 같이 날짜 및 시간 정보가 반복적으로 표시된 그래픽 효과가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5(c)와 같이 기 설정된 그래픽 효과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실내 인테리어 또는 데코레이션을 위해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5에서 설명한 위젯 또는 기 설정된 그래픽 효과 등은 제1 패널 영역(111)에 표시되는 영상과는 무관하므로 제1 패널 영역(111)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도 독립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FIG. 1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preset widget or a preset graphic effect in a second panel area.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 preset widget or a preset graphic effect on the second panel region 111. Referring to FIG. 15A, a widget 55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and a widget 60 providing date and tim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In addition, graphic effect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weather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5B, a graphic effect in which date and time information is repeatedly displayed may be provid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C, a preset graphic effect may be displayed to utilize the display apparatus 100 for interior decoration or decoration. Since the widget or the preset graphic effec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is not related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panel region 111, the widget or the predetermined graphic effect may be displayed independently even when the power of the first panel region 111 is turned off.

도 16은 제2 패널 영역에 메인 영상 중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인 영상에 적용되는 화면 비율이 제1 패널 영역(111)이 지원하는 화면 비율과 상이한 경우, 제2 패널 영역(112)은 메인 영상 중 제1 패널 영역(111)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6에서와 같이 메인 영상이 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며, 제1 패널 영역이 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경우, 메인 영상의 16/21은 제1 패널 영역(111)에, 나머지 5/21은 제2 패널 영역(11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패널 영역에 메인 영상 중 일부를 표시하는 경우 제2 패널 영역은 제1 패널 영역과 같이 불투명하게 조절될 수 있다.FIG. 1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part of a main image on a second panel area. When the aspect ratio applied to the main image is different from the aspect ratio supported by the first panel region 111, th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the second panel region 112 on the first panel region 111 of the main image. The remaining area can be displayed except the area. As shown in FIG. 16, when the main image has a 21: 9 aspect ratio and the first panel region has a 16: 9 aspect ratio, 16/21 of the main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the remaining 5 / 21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panel area 112. When a part of the main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panel region, the second panel region may be opaquely adjusted like the first panel region.

도 17 내지 도 19는 제2 패널 영역에 메인 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메인 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는, 방송사 정보, 방송 프로그램 명칭, 메인 영상의 방송 시간 및 경과 시간, 메인 영상의 제작자, 출연자 정보, 메인 영상에 등장하는 소품 정보, 메인 영상과 관련된 광고, 메인 영상과 관련된 뉴스 등 메인 영상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7 to 19 illustrate an operation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a main image in a second panel area.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in video may include broadcaster information, broadcast program name, broadcast time and elapsed time of the main video, creator of the main video, performer information, prop information appearing in the main video, advertisement related to the main video, and related to the main video. It can include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in video such as news.

도 17을 참조하면 제2 패널 영역(112)에는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방송사 정보, 방송 프로그램 명칭 등을 표시될 수 있다. 도 17에서와 같이 축구 경기가 중계되고 있는 경우 제2 패널 영역에는 축구 경기를 중계하는 방송사 명칭, 축구 리그의 명칭 및 축구 경기에 참가하는 팀 명칭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총 방송 시간 및 경과 시간 등을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표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송사 정보, 방송 프로그램 명칭 등은 제2 패널 영역(112) 중 제1 패널 영역(111)의 상부에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broadcaster information, a broadcast program name, and the like related to the displayed broadcast program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panel area 112. As shown in FIG. 17, when a soccer game is being relayed, a name of a broadcaster relaying a soccer game, a name of a soccer league, and a team name participating in a soccer game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panel area. In addition, the total broadcast time and elapsed time of the displayed broadcast program may be displayed as text or an image. Preferably, broadcaster information, a broadcast program name,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above the first panel region 111 of the second panel region 112.

도 18을 참조하면 제2 패널 영역(112)에는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정보를 표시될 수 있다. 도 18에서와 같이 축구 경기가 중계되고 있는 경우 제2 패널 영역에는 경기장 내의 선수들의 위치 정보(61), 특정 선수의 사진과 프로필에 대한 정보(62), 리그 내의 다른 축구 경기의 스코어(63)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패널 영역을 통해 경기를 시청하는 친구들과 온라인 채팅 서비스(64) 또는 화상 채팅 서비스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8, information on the displayed broadcast program itself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panel area 112. In the case where a soccer game is being relayed as shown in FIG. 18, the second panel area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61 of players in the stadium, information 62 about a specific player's photo and profile, and score 63 of other soccer games in the league. Etc.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an online chat service 64 or a video chat service may be provided with friends watching a game through the second panel area.

도 19를 참조하면 제2 패널 영역(112)에는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들이 오브젝트 또는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현재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제2 패널 영역(112)에 표시된 오브젝트 또는 아이콘을 스크롤하거나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명령에 따라 복수의 오브젝트(또는 아이콘)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65)가 표시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오브젝트 또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1 패널 영역(111) 또는 제2 패널 영역(112)에 특정 오브젝트에 또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정보가 구체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layed main image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object or an icon i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The current user can scroll or select an object or icon displayed in the second panel area 112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a highlight 65 is displayed on one of the plurality of objects (or icons)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r can be changed. When the user selects the highlighted object or ic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object or icon may be specifically displayed in the first panel area 111 or the second panel area 112.

도 20 및 21은 제2 패널 영역에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 패널 영역(112)에는 스포츠, 뉴스, 드라마, 게임, SNS, 인터넷 등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70)가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컨텐츠 리스트는 제2 패널 영역 중 (c)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이용해 컨텐츠 리스트를 스크롤 하거나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명령에 따라 컨텐츠 리스트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도 21을 참조하면 컨텐츠 리스트(70)는 제2 패널 영역 중 제1 패널 영역(111)의 상부에 표시될 수도 있다.
20 and 21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content list in a second panel area. Referring to FIG. 20, the second panel region 112 may display a content list 70 including various contents such as sports, news, drama, games, SNS, and the Internet. In particular, the content list may be displayed in area (c) of the second panel area, and the user may scroll the content list or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ent lists by using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Highlights may be displayed or changed in one of the content lists according to a user command. Referring to FIG. 21, the content list 70 may be displayed above the first panel area 111 of the second panel area.

도 22 및 도 23은 제2 패널 영역 중 (b)영역 및 (c)영역에 부가 정보가 표시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제2 패널 영역 중 (a)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며, 필요한 경우 (b)영역 또는 (c)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2(a) 또는 도 23(a)와 같이 제2 패널 영역 중 (b)영역 또는 (c)영역에 표시할 정보가 있는 경우 제1 패널 영역(111)과 제2 패널 영역 중 (b)영역 또는 (c)영역이 마주하는 영역에 하이라이트(75)가 표시되어 표시할 정보가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에 (b)영역 또는 (c)영역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도 10(b)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1 레이어(210)를 슬라이드 하는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도 22(b) 또는 도 23(b)와 같이 제2 패널 영역에 부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22 and 23 are diagrams for describing in detail an operation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gions (b) and (c) of the second panel region. The display apparatus 100 generally displays only area (a) of the second panel area and, if necessary, may display area (b) or area (c). Specifically, when there i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region (b) or region (c) of the second panel region as shown in FIG. 22 (a) or FIG. 23 (a), among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the second panel region. Highlights 75 are displayed in areas (b) or (c) facing each other to inform the user that there is information to display. User command for the user to display information in area (b) or area (c)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b), the first layer 21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panel area as shown in FIG. 22 (b) or FIG. 23 (b).

도 24는 제1 패널 영역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이 다른 컨텐츠로 변경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패널 영역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은 연속적인 동작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4(a)는 도 20과 같이 제2 패널 영역에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된 상황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이용해 컨텐츠 리스트를 스크롤 하거나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 중 "CNN News"를 선택한 경우 도 24(b)와 같이 컨텐츠 리스트 "CNN News"가 메인 영상이 표시되는 제1 패널 영역(111)의 왼쪽으로 옮겨지며 CNN News 영상(80)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패널 영역(111)에 표시되던 축구 경기 영상은 왼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후, 도 24(c) 및 도 24(d)와 같이 CNN News 영상(80)의 크기가 커지며 제1 패널 영역(111)의 중간으로 이동하고 이에 대응하여, 축구 경기 영상은 왼쪽으로 점점 밀려나게 된다. 최종적으로 CNN News 영상(80)이 제1 패널 영역(111)과 같은 크기로 커져 축구 경기 영상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사라지게 되면 제1 패널 영역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이 축구 경기 영상에서 CNN News 영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메인 영상이 변경되는 동작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메인 영상이 변경될 수 있다.FIG. 2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 main image displayed on a first panel region to another content. The main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panel area may be changed in a continuous operation. FIG. 24A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a content list is displayed in the second panel region as shown in FIG. 20. The user may scroll the content list or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ent lists by using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When the user selects "CNN News"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lists, as shown in FIG. 24 (b), the content list "CNN News" is moved to the left side of the first panel region 111 where the main video is displayed, and the CNN News video (80). )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ly, the soccer match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panel region 111 is pushed to the left. Then, as shown in FIGS. 24 (c) and 24 (d), the size of the CNN News video 80 increases and moves to the middle of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correspondingly, the soccer game video is gradually pushed to the left. do. Finally, when the CNN News image 80 is the same size as the first panel region 111 and the soccer game image disappears from the display screen, the main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panel region is changed from the soccer game image to the CNN News image. Can be. Meanwhile,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main imag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4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and the main image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도 25는 제1 패널 영역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이 메인 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로 변경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a)는 도 19와 같이 제2 패널 영역에 메인 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가 오브젝트(또는 아이콘)형태로 디스플레이된 상황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이용해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축구 선수 중 한명이 착용한 축구화를 구입하기 위해 축구화에 대한 상품 정보를 선택한 경우 도 25(b)와 같이 제1 패널 영역에 축구화에 대한 상품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도 24와 달리 사용자는 메인 영상 자체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한 것이 아니므로 메인 영상을 계속 시청할 수 있도록 제2 패널 영역 중 일부에 축소된 메인 영상(85)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4와 유사하게 연속적인 동작으로 제1 패널 영역 및 제2 패널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축소된 메인 영상(85)을 선택하면 도 25(c)와 같이 제1 패널 영역(111)에 다시 메인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FIG. 2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 main image displayed on a first panel region to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in image. FIG. 25A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in image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n object (or an icon) in the second panel region as shown in FIG. 19.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objects using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nd the user selects the product information on the soccer shoes to purchase the soccer shoes worn by one of the soccer players, the first panel as shown in FIG. 25 (b). Product information on the soccer shoes may be displayed in the area. However, unlike FIG. 24, since the user does not change the main image itself to another content, the user may display the reduced main image 85 on a part of the second panel region so that the main image can be continuously watched. Similar to FIG. 24, images displayed in the first panel area and the second panel area may be changed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reduced main image 85 using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e main image may be displayed again on the first panel region 111 as shown in FIG. 25C.

도 26은 제2 패널 영역을 통해 영상 채팅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는 중 타 사용자로부터 영상 채팅이 요청되는 경우, 도 26(a)와 같이 제2 패널 영역(112)에 타 사용자로부터 영상 채팅에 초대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90)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영상 채팅 요청을 허락 또는 거절하는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UI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영상 채팅 요청을 허락하는 경우 도 26(b)와 같이 제2 패널 영역(112)에 상대방 영상이 표시되어 영상 채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자 채팅의 경우에도 이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으며 도 26(c)와 같이 제2 패널 영역에 대화 내용이 표시되어 문자 채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SNS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거나 사용자가 즐겨찾기에 추가한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패널 영역(112)에 이러한 사실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SNS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FIG. 2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a video chat through the second panel region. When a video chat is requested from another user while the user is using the display apparatus 100, a message 90 indicating that another user is invited to the video chat is displayed in the second panel area 112 as shown in FIG. Can be. Thereafter, a UI for receiving a user selection for allowing or rejecting the video chat request may be displayed. When the user allows the video chat request, the video of the other party is displayed on the second panel area 112 as shown in FIG. 26 (b) to use the video chat service. Also, in the case of text chat, the same operation can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In addition, when a new post is registered on the SNS or a broadcast program added to the user's favorite is started, th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a message informing the fact in the second panel area 112, an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SNS. It may provide a service or display a broadcast program.

도 27은 영상의 특성에 대응되는 사운드 모드를 제공하고 제2 패널 영역에 그래픽 효과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그에 요구되는 사운드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영화를 시청할 때와 콘서트 영상을 시청할 때 요구되는 사운드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제1 패널 영역(111)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적합한 사운드 모드가 현재의 사운드 모드가 상이한 경우 도 27 (a)와 같이 제2 패널 영역(112)에 사운드 모드를 변경 또는 선택할 수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95)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운드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도 27(b)와 같이 제2 패널 영역(112)에 선택 가능한 사운드 모드 리스트(또는 오브젝트, 아이콘)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패널 영역(111)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적합한 사운드 모드에 하이라이트(96)를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사운드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제2 패널 영역(112)에 선택된 사운드 모드에 대응되는 그래픽 효과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7(c)와 같이 출력되는 사운드에 대응되는 음성 그래프(97)가 표시되거나, 사용자가 콘서트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도 27(d)와 같이 콘서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그래픽 효과(98)가 표시될 수 있다.
FIG. 2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sound mode corresponding to a characteristic of an image and displaying a graphic effect in a second panel area. In general, the required sound characteristic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 For example, the sound characteristics required when watching a movie and watching a concert video are different. If the sound mode suitable for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first panel region 111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 sound mode,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ound mode can be changed or selected i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as shown in FIG. 95 may be displayed. When a user inputs a command for changing a sound mode, a selectable sound mode list (or an object or an icon)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as shown in FIG. 27B. In this case, the highlight 96 may be displayed in a sound mode suitable for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panel region 111 to facilitate the user's selection. When the user selects one sound mode, graphic effec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und mode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panel region 112. A voice graph 97 corresponding to the sound output as shown in FIG. 27 (c) is displayed, or when the user watches a concert video, a graphic effect 98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27 (d). Can b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디스플레이 장치100: display device

Claims (8)

불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제1 패널 영역 및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제2 패널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부;
상기 제1 패널 영역 및 상기 제2 패널 영역을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패널 구동부; 및
상기 불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투명 영역에 부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panel unit including a first panel area corresponding to the opaque display area and a second panel area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A panel driver for independently driving the first panel region and the second panel region;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a main image on the opaque display area and display an additional image on the transparen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영역은, 불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이며,
상기 제2 패널 영역은,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anel area is an opaque display area,
And the second panel area is a transparent display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의 중앙 영역이며,
상기 제2 패널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을 제외한 가장 자리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anel area is a center area of the display panel unit.
And the second panel area is an edge area excluding the center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제1 패널 영역을 구동하기 위한 제1 패널 구동부; 및
상기 제2 패널 영역을 구동하기 위한 제2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nel-
A first panel driver for driving the first panel region; And
And a second panel driver for driving the second panel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영상을 신호 처리하여 상기 제1 패널 영역에 제공하는 제1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부가 영상을 신호 처리하여 상기 제2 패널 영역에 제공하는 제2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signal processor which processes the main image and provides the signal to the first panel area; And
And a second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signal-process the additional image and provide the signal to the second panel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영상은,
기 설정된 위젯, 기 설정된 아이콘, 기 설정된 그래픽 효과, 상기 메인 영상과 관련된 영상, 상기 메인 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 및 상기 메인 영상과 관련된 그래픽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dditional video,
And at least one of a preset widget, a preset icon, a preset graphic effect, an image related to the main imag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in image, and a graphic effect related to the main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는,
제1 패널부;
상기 제1 패널부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제2 패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널 영역은 상기 제1 패널부에 대응되는 영역이며, 상기 제2 패널 영역은 상기 제2 패널부가 투명하게 조절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panel unit,
A first panel portion;
And a second panel portion disposed at an edge region of the first panel portion and capable of adjusting transparency.
And the first panel area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nel part, and the second panel area is an area in which the second panel part is transparently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는,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1 패널부 배면에 배치되며,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제2 패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널 영역은 상기 제2 패널부가 불투명하게 조절된 영역이며, 상기 제2 패널 영역은 상기 제2 패널부가 투명하게 조절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panel unit,
A first panel portion; And
It is disposed on the back of the first panel portion, the second panel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transparency; includes;
And the first panel area is an area in which the second panel part is opaquely adjusted, and the second panel area is an area in which the second panel part is transparently adjusted.
KR1020120141968A 2012-02-08 2012-12-07 Display apparatus KR1021021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61,717 US9997130B2 (en) 2012-02-08 2013-02-07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ransparent display region
EP19157580.2A EP3528239B1 (en) 2012-02-08 2013-02-07 Display apparatus
CN201810153992.XA CN108230988B (en) 2012-02-08 2013-02-07 Display device
CN201310049330.5A CN103247273B (en) 2012-02-08 2013-02-07 Display device
EP13154414.0A EP2626852B1 (en) 2012-02-08 2013-02-07 Display apparatus
PCT/KR2013/001047 WO2013119080A1 (en) 2012-02-08 2013-02-08 Display apparatus
JP2013023048A JP6635641B2 (en) 2012-02-08 2013-02-08 Display device
US15/911,743 US10475414B2 (en) 2012-02-08 2018-03-05 Display apparatus for selectively displaying images on transparent display region based on aspect ratios of images and the transparent display reg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6634P 2012-02-08 2012-02-08
US61/596,634 2012-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626A true KR20130091626A (en) 2013-08-19
KR102102154B1 KR102102154B1 (en) 2020-05-29

Family

ID=4921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968A KR102102154B1 (en) 2012-02-08 2012-12-07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15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432A (en) * 2015-06-15 2016-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For Controlling Respectively Multiple Areas of Display and Method thereof
WO2022139919A1 (en) * 2020-12-26 2022-06-30 Intel Corporation Low power display refresh during semi-active workloa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504A (en) * 2008-05-22 2009-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A display apparatus of which a display is disposed on a circumferential area and a display method thereof
US20110124376A1 (en) * 2009-11-26 2011-05-26 Kim Jonghwa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227810A1 (en) * 2010-03-19 2011-09-22 Mckinney Susa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econdary peripheral display
KR20120014010A (en) * 2009-06-16 2012-02-15 인텔 코오퍼레이션 Intelligent graphics interface in a handheld wireless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504A (en) * 2008-05-22 2009-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A display apparatus of which a display is disposed on a circumferential area and a display method thereof
KR20120014010A (en) * 2009-06-16 2012-02-15 인텔 코오퍼레이션 Intelligent graphics interface in a handheld wireless device
US20110124376A1 (en) * 2009-11-26 2011-05-26 Kim Jonghwa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227810A1 (en) * 2010-03-19 2011-09-22 Mckinney Susa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econdary peripheral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432A (en) * 2015-06-15 2016-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For Controlling Respectively Multiple Areas of Display and Method thereof
WO2022139919A1 (en) * 2020-12-26 2022-06-30 Intel Corporation Low power display refresh during semi-active workloa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154B1 (en)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5414B2 (en) Display apparatus for selectively displaying images on transparent display region based on aspect ratios of images and the transparent display region
US9733818B2 (en) Commitment-based GUI in the context of media and entertainment
US20110185296A1 (en) Displaying an Environment and Related Features on Multiple Devices
US9883136B2 (en) System and method of outputting multi-lingual audio and associated audio from a single container
KR102034590B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magic remote contro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receiver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remote controller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US10346120B2 (en) Method of displaying image by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and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RU2009138334A (en) INTERACTIVE TICKER
JP2015099248A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CN106471818B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26959A (en) Hologram Display and Synchronization of 3D Objects with Physical Video Panels
CN111510788B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double-screen double-system screen switching animation
WO201303279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a three-dimensional media guidance application
CN114025187B (en) Live broadcast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90140977A1 (en) Common User Interface Structure
TW201448604A (en) Method for switching audio playback between foreground area and background area in screen image using audio/video programs
US9264776B2 (en) Apparatus of rendering user interface for playing broadcast programs and the method thereof
US10678396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9093356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scroll method
KR102440157B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2102154B1 (en) Display apparatus
US20130141646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KR102506608B1 (en)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n the electronic apparatus
US9712877B2 (en) Contents playback system based on dynamic layer
WO2021088308A1 (en) Display device and music recommendation method
WO2021088325A1 (en) Dual-scree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