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479A - Connecting system between mobile terminal and conn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Connecting system between mobile terminal and connec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479A
KR20130089479A KR1020120010876A KR20120010876A KR20130089479A KR 20130089479 A KR20130089479 A KR 20130089479A KR 1020120010876 A KR1020120010876 A KR 1020120010876A KR 20120010876 A KR20120010876 A KR 20120010876A KR 20130089479 A KR20130089479 A KR 20130089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terminal
fixing part
reces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8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0619B1 (en
Inventor
주원석
공승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0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619B1/en
Publication of KR20130089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4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6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connecting system between a connection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make an outer tube of the mobile terminal simple by inserting a second terminal part of the connection apparatus into a recess part of the mobile terminal and elastically contacting a first terminal part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part. CONSTITUTION: A recess part (171) of a mobile terminal (100) is recessed on one surface of a case as a predetermined depth. A first terminal part (172) of the mobile terminal forms one or more surfaces of the recess par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180). A second terminal part (222) of a connection apparatus (200) is inserted into the recess part and is elastically contacted to the first terminal part. An elastic part (223) of the connection apparatus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second terminal part so that the second terminal part elastically pressurizes the first terminal part.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CONNECTING SYSTEM BETWEEN MOBILE TERMINAL AND CONNECTING DEVICE}CONNECTING SYSTEM BETWEEN MOBILE TERMINAL AND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외부기기 간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system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connection device that connects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or supplies power to a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A mobi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of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function, and data storage function.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mobil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a video file, playing a game, and receiving a broadcast.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이동 단말기를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에 연결해서 HDTV를 통해 HD 동영상, 디지털 오디오 등을 재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the complex functions of multimedia devices. For example, a system for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to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HDTV) and reproducing HD video, digital audio, and the like through an HDTV has been proposed.

상기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와 외부기기 간을 연결하는 연결장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는 연결장치와의 접속 구조인 인터페이스부(예를 들어, I/O port)가 구비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단말기 본체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접속핀들이 돌출되어 연결장치의 접속핀들과 암수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In order to implement the system, a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is required. In general,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interface unit (eg, an I / O port) that is a connection structure with a connection device. The interface part has a structure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the terminal body, and the connection pins protrude in the hole, and the male and female connection pin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s of the connection device.

상기 구조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의 외관에 홀 및 접속핀들이 형성되어 심플한 외관이 구현되기 어렵고, 이물의 침투로 인해 접촉 불량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며, 접속핀들의 파손 또는 접촉 불량으로 인해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본체의 상단/하단에 안테나가 함께 배치되는 경우 안테나의 체적 공간을 확보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simple appearance because holes and connecting pins are formed in the exterior of the terminal body,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poor contact due to the infiltration of foreign objects, and reliability may be degraded due to breakage or poor contact of the connecting pins. have. In addition, when the antenna is disposed together on the top / bottom of the terminal body,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volume space of the antenna.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심플한 외관을 유지하면서 보다 단순한 결합 구조를 가지며 향상된 신뢰성을 갖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onnecting system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connecting device having a simpler coupling structure and improved reliability while maintaining a simpl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형성되고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 외부기기 간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거나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케이스의 일면에서 소정 깊이만큼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리세스부, 및 상기 리세스부의 적어도 일면을 형성하고,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단자부와 탄성 접촉되는 제2단자부, 및 상기 제2단자부가 상기 제1단자부를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단자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terminal formed to transmit or receive data and having a battery, and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 A connection device configured to connect devices to transmit or receive data or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recess formed to b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on one surface of the case; A first terminal portion having at least one surf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wherein the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second terminal portion inserted into the recess portion and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being An elastic portion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o elastically press the first terminal portion .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부의 측면은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부에는 상기 리세스부의 상기 측면에 대응되도록 구배를 갖는 경사부가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surface of the recess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having a gradient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단자부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면을 형성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portion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portion.

상기 케이스는 전도성의 금속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부에 대응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케이스, 및 상기 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제1단자부와 함께 상기 리세스부를 형성하고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제1케이스 간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제2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is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includes a first case having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recess,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rst terminal part together with the first terminal part to form the recess part and formed of synthetic resin. It may include a second case for electrically separating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first case.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기기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1차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제2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1차코일에서 발생한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지는 2차코일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 primary coil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and the connection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art and uses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from the primary coil.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ary coil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상기 제1단자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단자부를 상기 제1단자부에 탄성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장치에는 상기 제1고정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와 결합되는 제2고정부가 구비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maintaining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n elastic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connection device The second fixing part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자기력에 의해 서로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형성되어 심플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to couple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may be form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o implement a simple appearance.

또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케이스에서 소정 깊이만큼 리세스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xing part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ase, and the second fixing part may be inserted into and caught by the first fixing part.

아울러,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단자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다른 전극을 갖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는 대응되는 제1고정부와의 사이에서만 인력이 작용하도록 서로 다른 전극을 갖는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자부는 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단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제1단자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xing part includes magne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terminal part and having different electrodes, and the second fixing part uses different electrodes so that the attraction force only works with the corresponding first fixing part. It can be provided with a magnet. 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arranged along one direction, and the first fix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and extend along the one direction with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interposed therebetween. .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는 기존 홀의 크기보다 작게 소정 깊이만큼 리세스되는 리세스부 및 상기 리세스부의 적어도 일면을 형성하는 제1단자부가 구비되며, 연결장치의 제2단자부는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되어 제1단자부와 탄성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바, 이동 단말기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고, 이물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접촉 불량 등의 신뢰성 저하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recess portion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existing hole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form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ecess portio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Is inserted into the recess portion is made to be in elastic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portion,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more simple, the ingress of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of the problem of reliability deterioration such as poor contact can be improved Can be.

또한, 리세스부와 제1단자부의 보다 단순화된 구조 및 설치 위치의 자유도 증가로 인해 안테나의 체적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고정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결합력이 보완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연결장치가 이동 단말기로부터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lume structure of the antenna can be secured due to the more simplified structure of the recess portion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increased freedom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In additio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ing device may be supplemen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and the connecting device may be safely sepa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even when an unexpected external force is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후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 간의 접속 구조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접속 구조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5a 내지 5c는 도 3에 도시된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 간의 고정 구조를 보인 개념도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접속 구조의 다른 일 예를 보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first terminal portion and a second terminal portion shown in FIG. 1.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battery is charged through the connection structure of FIG. 3.
5A to 5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fix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shown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device of FIG.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necting system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시스템(10)을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커넥팅 시스템(10)은 이동 단말기(100)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기기(300) 간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190, 도 2 참조)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necting system 10 connects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external device 300 to transmit / receive data or to the battery 190 of the mobile terminal 100 (FIG. 2).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로서, 전원의 공급을 위한 배터리(190)를 구비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지털 방식의 영상 및 음향 신호를 하나의 케이블로 동시에 전달하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출력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상세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s, input / output information, and data storage function, and includes a battery 190 for power supply. Equippe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output function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through a single cabl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later.

외부기기(300)는 단말기를 포함한 각종 전자기기, 예를 들어, 휴대폰, 컴퓨터, TV, 충전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기기(300)인 스마트 TV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스마트 TV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The external device 300 may be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terminal,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computer, a TV, a charging device, and the like. In this figure,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 smart TV, which is an external device 300,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is output through the smart TV.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300)와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장치(200)가 이용된다. 연결장치(200)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나 규격을 연결해주는 매개체로서, 커넥터, 어댑터, 젠더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connection device 200 is used to connect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external device 300. The connection device 200 is a medium for connecting different interfaces or standards, and may be understood as a connector, an adapter, and a gender.

연결장치(200)는 외부기기(300)와 연결되는 커넥터부[210, 예를 들어, 스마트 TV와 연결되는 HDMI 커넥터] 및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되는 커넥터부[22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되는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들 커넥터부들(210, 220)은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나 규격을 연결하기 위한 특성상 다양한 형상, 크기 등을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include a connector unit 210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300 (eg, an HDMI connector connected to a smart TV) and a connector unit 22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ese connector parts 210 and 220 may have various shapes, sizes, etc. in the characteristics for connecting different interfaces or standards.

또한, 상기 커넥터부들(210, 220)은 케이블(230)을 통해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기기(300) 간의 연결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parts 210 and 220 may be connected through a cable 230 to secure a connection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300.

이하, 이동 단말기(100)의 상세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described herei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 E-books, navigation, and the lik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100)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the mobile terminal 100 .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보이고 있다.1 illustrates a front surface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bar-shaped terminal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으로 불릴 수 있다)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반대되는 면을 덮는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190)를 덮는 배터리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body includes a case (which may be called a casing, a housing, a cover, etc.)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covering a face opposite to the front case 101.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and the battery cover 103 covering the battery 19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ar case 102. have.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TS), 티타늄(Ti), 알루미늄(Al)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titanium (Ti), aluminum (Al), or the like.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부(152), 제1카메라부(121) 및 신호입력부(130) 등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음향입력부(122) 및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A display unit 151, a first sound output unit 152, a first camera unit 121, a signal input unit 130, and the like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sound input unit 122 and the interface unit 170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thereof. ) May be disposed.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module, an e-paper, and the like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있으면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된다.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ensor to be input by a touch method. If there is a touch on any part of the display unit 151 through the touch sensor,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position are input.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a letter or a number, an instruction in various modes, a menu item which can be designated, and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2)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The touch sensor is formed to be translucent so that the display unit 151 can be seen, and may include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the touch screen in a bright place. According to FIG. 1, the display unit 151 occupies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02.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음향출력부(152)와 제1카메라부(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신호입력부(131)와 음향입력부(122)가 배치된다. 신호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 and the first camera unit 121 are disposed in regions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signal input unit 131 and the sound input unit 122 are disposed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 Is placed. The signal input unit 132 and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제1음향출력부(152)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부(152)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윈도우의 조립틈을 따라 방출되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아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 call sound to a user's ear or a loud speaker for outputting various alarm sounds or reproduction sounds of multimedia.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 is emitted along the assembly gap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window, and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more apparent since the holes formed independently for the sound output are not seen. It can be simple.

제1카메라부(121)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first camera unit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신호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유닛들(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signal input unit 130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131 and 132. The operation units 131 and 132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in a tactile manner.

제1 및/또는 제2조작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조작유닛(132)은 제1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 by the first and / or second operation units 131 and 132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31 receives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etc., and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132 adjusts or displays the volume of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 A command such as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151 may be input.

음향입력부(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와 윈도우의 조립틈을 따라 흘러 들어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The user's voice, other sounds, etc. may be made to flow along the assembly gap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window.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기기(300)와 데이터 교환을 하거나 외부기기(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path through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exchanges data with the external device 300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300.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is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with the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Bluetooth port (Bluetooth Port), wireless LAN port (Wireless LAN Port), etc. ], Or may be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 후면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부(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부(121')는 제1카메라부(121,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부(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2, the second camera unit 121 ′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second camera unit 121 ′ may be a camera ha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e first camera unit 121 (see FIG. 1) and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camera unit 121.

예를 들어, 제1카메라부(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부(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카메라부(121, 121')는 단말기 본체에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ideo call, the first camera unit 121 has a low pixel so that it is easy to photograph the user's face and transmit it to the other party, and the second camera unit 121 'captures a general subject. It is desi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often not transmitted immediately. The first and second camera units 121 and 121 ′ may be rotatably installed or popped up in the terminal body.

제2카메라부(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제2카메라부(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부(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123 and the mirror 124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portion 121 ′. The flash 123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unit 121 ′. The mirror 124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self-photograph) the second camera unit 121 ′.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52')는 제1음향출력부(152,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 ′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 ′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 (see FIG. 1),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n antenna (not shown)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An antenna constitut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can be installed to be drawable from the terminal body.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90)가 장착된다. 배터리(190)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is equipped with a battery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battery 190 may be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detachably mounted to the terminal body.

배터리 커버(103)가 분리되었을 때 노출되는 리어 케이스(102)의 상면에는 또 다른 인터페이스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인터페이스부(170)와 동일·유사한 구조를 갖는다.Another interface unit 170 ′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that is exposed when the battery cover 103 is separated. The interface unit 170 'has a structure similar to or similar to that of the interface unit 170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심플한 외관을 유지하면서 보다 단순한 결합 구조를 가지며 향상된 신뢰성을 갖는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장치(200) 간의 커넥팅 시스템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nec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having a simpler coupling structure and improved reliability while maintaining a simpl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단자부(172)와 제2단자부(222) 간의 접속 구조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first terminal portion 172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2 illustrated in FIG. 1.

도 3을 앞선 도 1 및 2과 함께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장치(200)에는 이들의 연결을 위한 접속 구조가 마련된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인터페이스부(170)가 구비되고, 연결장치(200)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접속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커넥터부(22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3 together with FIGS. 1 and 2,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are provided with a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them. The mobile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n interface unit 170,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unit 22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70.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거나, 배터리 커버(103)와 같은 구조물에 의해 덮여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70)는 복수의 개소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may be selectively covered by a structure such as the battery cover 103.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respectively.

이동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부(170)는 리세스부(171) 및 제1단자부(172)를 포함한다.The interface unit 17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recess 171 and a first terminal unit 172.

리세스부(171)는 프론트 케이스(101) 또는 리어 케이스(102)의 일면에서 소정 깊이만큼 리세스되게 형성되어 연결장치(200)의 제2단자부(222)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리세스부(171)는 기존의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된 홀보다 크기가 작고, 깊이가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cess 171 is formed to b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on one surface of the front case 101 or the rear case 102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2 of the connection device 200 can be accommodated. . The recess 171 is preferably smaller in size and lower in depth than the hole formed in the existing interface.

리세스부(171)는 제2단자부(222)가 임의의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원형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세스부(171)의 측면은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2단자부(222)의 삽입을 가이드하고 리세스부(171)에 삽입된 제2단자부(222)의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cess 171 may have a shape of a circular groove such that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2 may be inserted in an arbitrary direction. The side of the recess portion 171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2 and to prevent lateral flow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2 inserted into the recess portion 171. Can be.

제1단자부(172)는 리세스부(171)의 적어도 일면을 형성한다. 제1단자부(172)는,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부(171)의 바닥면을 이루거나 리세스부(171)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단자부(172)는 회로기판(180)과 연결되며, 제2단자부(222)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거나 배터리(19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terminal unit 172 form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ecess 171.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portion 172 may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171 or form a side surface of the recess 171 as illustrated. The first terminal unit 172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80 and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unit 222 to transmit or receive data or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190.

상기 리세스부(171) 및 제1단자부(172)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제1단자부(172)가 서로 다른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제1단자부(172)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제1단자부(172)는 배터리(19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cess 171 and the first terminal unit 172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so that each of the first terminal units 172 plays a different role. For example, any one first terminal unit 172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or receive data, and the other first terminal unit 172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190.

제1단자부(172)는 회로기판(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180)은 지지부재(18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81)는 SUS(Stainless Steel)과 같이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갖는 견고한 부재가 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unit 17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80, and the circuit board 18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81. The support member 181 may be a rigid member having a certain level or more of strength, such as stainless steel (SUS).

연결장치(200)의 커넥터부(220)는 제2단자부(222) 및 탄성부(223)를 포함한다. 제2단자부(222) 및 탄성부(223)의 구성은 리세스부(171)에 삽입되어 제1단자부(172)에 탄성 접촉되는 포고 핀(pogo pin), 스프링 핀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connector part 220 of the connection device 200 includes a second terminal part 222 and an elastic part 223.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2 and the elastic portion 223 may be understood as a pogo pin and a spring pin inserted into the recess 171 and elastically contacting the first terminal portion 172.

제2단자부(222)는 커넥터부(220)의 바디(2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리세스부(171)에 삽입되어 제1단자부(172)와 탄성 접촉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제2단자부(222)에는 리세스부(171)의 경사진 측면에 대응되도록 구배를 갖는 경사부(222a)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part 22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dy 221 of the connector part 220,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ss part 171 to be in elastic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part 172. An inclined portion 222a having a gradient may be formed i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2 to correspond to the inclined side surface of the recess portion 171.

탄성부(223)는 제2단자부(222)가 제1단자부(172)를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제2단자부(22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223)로서 스프링, 탄성고무, 스펀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223)가 바디(221)에 삽입되어 제2단자부(222)를 가압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The elastic part 223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second terminal part 222 so that the second terminal part 222 elastically presses the first terminal part 172. As the elastic part 223, a spring, an elastic rubber, a sponge, or the like may be used. In this figure, the elastic spring 223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is inserted into the body 221 to press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2.

도 4는 도 3의 접속 구조를 통해 배터리(190)가 충전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battery 190 is charged through the connection structure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외부기기(300)는 연결장치(200)와 함께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19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기기(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210, 220)를 통해 연결장치(200)와 기구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external device 300 may be configured as a charg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190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device 300 may be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through the connector parts 210 and 220, and may be wirelessly connected as shown.

외부기기(300)와 연결장치(200) 간의 무선 연결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190)가 충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외부기기(300)는 이동 단말기(10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310)를 구비하며, 안착부(310)에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1차코일(320)이 구비된다. 1차코일(320)은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attery 19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charged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300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the external device 300 i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ounting unit 310 may be provided, and the mounting unit 310 may include a primary coil 320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The primary coil 3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le and a circle.

연결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되며, 장착에 의해 제1단자부(172)와 제2단자부(22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장치(200)는 배터리(190)를 덮는 배터리 커버(103) 또는 단말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장치(200)에는 제2단자부(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1차코일(320)에서 발생한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190)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지는 2차코일(240)이 구비된다. 즉, 2차코일(240)은 유도전류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수신기(250)의 일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connection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first terminal unit 172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222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mounting.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as a battery cover 103 covering the battery 190 or a case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terminal body. The connection device 200 includes a secondary coil 2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unit 222 and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190 by using an induction current generated from the primary coil 320. That is, the secondary coil 240 may be understood as on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50 using the induced current.

도 5a 내지 5c는 도 3에 도시된 제1단자부(172)와 제2단자부(222) 간의 고정 구조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고정 구조에 관한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5A through 5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fix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terminal portion 172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2 illustrated in FIG. 3.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장치(200)에는 각각 제1고정부(174)와 제2고정부(224)가 구비된다. 제1고정부(174)는 제1단자부(172)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단자부(222)를 제1단자부(172)에 탄성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제2고정부(224)는 제1고정부(174)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제1고정부(174)와 결합된다.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are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part 174 and a second fixing part 224, respectively. The first fixing part 174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terminal part 172, and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second terminal part 222 in elastic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part 172. The second fixing part 224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ixing part 174 and is combined with the first fixing part 174.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고정부(174, 224)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를 구비하여 제1고정부(174)와 제2고정부(224)를 자기력에 의해 서로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고정부(174)는 자석으로 형성되고, 제2고정부(224)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5A and 5B,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74 and 224 includes a magnetic material to couple the first fixing part 174 and the second fixing part 224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Is made.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part 174 may be formed of a magnet, and the second fixing part 224 may be made of metal.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74a, 174b)와 제2고정부(224a, 224b)는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1 및 제2단자부(174, 22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자부(172’)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1고정부(174a’, 174b’)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제1단자부들(17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the first fixing parts 174a and 174b and the second fixing parts 224a and 224b are provided in plural numbers, respectively, to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arts 174 and 222, respectively. Can be.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B,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 parts 172 'are arranged along on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fixing parts 174a' and 174b 'are provided to provide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 parts. It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one direction with the (172 ') therebetween.

제1 및/또는 제2고정부(174, 224)가 자석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및/또는 제2고정부(174, 224)는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리어 케이스(102)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제1고정부(174)를 형성하고, 제2고정부(224)는 자석으로 이루어져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 or second fixing parts 174 and 224 are formed of magnets, the first and / or second fixing parts 174 and 224 may be formed inside the case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have. Alternatively, the rear case 102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made of metal to form a first fixing portion 174,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224 may be made of a magnet to be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have.

제1단자부(172)와 제1고정부(174)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1고정부(174)는 대응되는 제2고정부(224)와의 관계에서만 인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단자부(172)의 양측에는 N극 및 S극의 제1고정부(174a, 174b)가 구비되고, N극의 제1고정부(174a)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S극의 제2고정부(224a)가 배치되고, S극의 제1고정부(174b)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N극의 제2고정부(224b)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 portions 172 and a first fixing portion 174 are provided, the first fixing portion 174 may be configured to work only in a relationship with a corresponding second fixing portion 224. That is, the first fixing portions 174a and 174b of the N pole and the S pole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172, and the second pole of the S pole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portion 174a of the N pole. The fixing part 224a may be disposed, and the second fixing part 224b of the N pole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part 174b of the S pole.

이에 의하면, 제1 및 제2고정부(174, 224)는 항상 짝을 맞춰서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단자부(172, 222)가 상하 또는 좌우의 반대 방향으로 접속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inc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74 and 224 can always be coupled only in pair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172 and 222 from being connected in th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opposite directions. Can be.

또는, 제1단자부(172)와 제2단자부(222)가 페어링을 위한 기설정된 방향이 아닌 반대 방향으로 접속되는 경우, 스위치가 상기 방향을 회로적으로 바꿔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first terminal portion 172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2 are conn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stead of the predetermined direction for pairing, the switch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direction in a circuit.

제1 및 제2고정부(174, 224)는 기구적인 간섭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장치(200)를 결합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74 and 224 may be configured to couple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connecting device 200 through mechanical interference.

도 5c를 참조하면, 제1고정부(175)는 수용홈(175a) 및 걸림홈(175b)을 구비한다. 수용홈(175a)은 제1단자부(17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리어 케이스(102)에서 소정 깊이만큼 리세스되게 형성된다. 수용홈(175a)의 내측에는 걸림홈(175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260)는 돌출부(261) 및 걸림후크(262)를 구비한다. 돌출부(261)는 바디(2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수용홈(175a)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걸림후크(262)는 걸림홈(175b)에 수용되어 제2고정부(260)를 제1고정부(175)에 고정시킨다.Referring to FIG. 5C, the first fixing part 175 includes a receiving groove 175a and a locking groove 175b. The accommodation groove 175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172 and is formed to b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rear case 102. A locking groove 175b may be formed inside the accommodation groove 175a. The second fixing part 260 includes a protrusion 261 and a hook hook 262. The protrusion 26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dy 221 and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groove 175a. The locking hook 262 is accommodated in the locking groove 175b to fix the second fixing part 260 to the first fixing part 175.

제2고정부(260)는 바디(2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조작에 의해 걸림후크(262)의 걸림홈(175b)에 대한 걸림을 해제하도록 이루어지는 조작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26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dy 221, and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263 configured to release a locking of the locking groove 175b of the locking hook 262 by an operation.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장치(200) 간의 접속 구조의 다른 일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접속 구조에 관한 설명에서 앞서 설명한 접속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of FIG. 1. Hereinaf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s as the connection structures describ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앞선 실시예에서는 리어 케이스(102)가 합성 수지로 형성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장치(200) 간의 접속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6과 같이 리어 케이스(402)의 대부분이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앞선 실시예와는 다소 다른 접속 구조를 갖는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rear case 102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has been described. However, when most of the rear case 402 is formed of metal as shown in FIG. 6, it has a slightly different connection structure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구체적으로, 리어 케이스(402)는 제1 및 제2케이스(402a, 402b)를 구분된다.Specifically, the rear case 402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cases 402a and 402b.

제1케이스(402a)는 전도성의 금속 물질로 형성되며, 리세스부(471)에 대응되는 관통홀을 구비한다. 제2케이스(402b)는 관통홀에 끼워져 제1단자부(172)와 함께 리스세부(471)를 형성하고,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제1단자부(472)와 제1케이스(402a) 간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The first case 402a is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has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recess 471. The second case 402b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o form a lease detail portion 471 together with the first terminal portion 172, and is formed of synthetic resin to electrically separate the first terminal portion 472 from the first case 402a. Let's do it.

제2케이스(402b)는 리세스부(471)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단자부(472)는 리세스부(471)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재(481)는 체결부재(482)를 통해 제1케이스(402a)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ase 402b may form a side surface of the recess 471, and the first terminal 472 may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471. The support member 481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first case 402a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482.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는 기존 홀의 크기보다 작게 소정 깊이만큼 리세스되는 리세스부 및 상기 리세스부의 적어도 일면을 형성하는 제1단자부가 구비되며, 연결장치의 제2단자부는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되어 제1단자부와 탄성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바, 이동 단말기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고, 이물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접촉 불량 등의 신뢰성 저하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recess portion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existing hole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form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ecess portio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Is inserted into the recess portion is made to be in elastic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portion,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more simple, the ingress of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of the problem of reliability deterioration such as poor contact can be improved Can be.

또한, 리세스부와 제1단자부의 보다 단순화된 구조 및 설치 위치의 자유도 증가로 인해 안테나의 체적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고정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결합력이 보완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연결장치가 이동 단말기로부터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lume structure of the antenna can be secured due to the more simplified structure of the recess portion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increased freedom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In additio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ing device may be supplemen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and the connecting device may be safely sepa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even when an unexpected external force is applied.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necting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device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ar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May be

Claims (11)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형성되고,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 외부기기 간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거나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케이스의 일면에서 소정 깊이만큼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리세스부; 및
상기 리세스부의 적어도 일면을 형성하고,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단자부와 탄성 접촉되는 제2단자부; 및
상기 제2단자부가 상기 제1단자부를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단자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
A mobile terminal configured to transmit or receive data and having a battery; And
And a connection device configured to connect the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to transmit or receive data or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recess formed in one surface of the case to b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And
Form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ecess and having a first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The connecting device,
A second terminal portion inserted into the recess and elastically contacting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And a resilient portion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second terminal so that the second terminal resiliently presses the first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의 측면은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부에는 상기 리세스부의 상기 측면에 대응되도록 구배를 갖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of the recess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clined portion having a gradient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 portion i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부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도성의 금속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부에 대응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케이스; 및
상기 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리세스부를 형성하고,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제1케이스 간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In this case,
A first case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having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recess; And
And a second cas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o form the recess, and formed of synthetic resin to electrically separate the first terminal from the first case.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1차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제2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1차코일에서 발생한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지는 2차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rnal device has a primary coil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The connec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ary coi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unit and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using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in the primary coi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상기 제1단자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단자부를 상기 제1단자부에 탄성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장치에는 상기 제1고정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와 결합되는 제2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maintaining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n elastic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portion.
The connecting device has a second fixing part dispo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fixing part and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자기력에 의해 서로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comprises a magnetic material to couple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are form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케이스에서 소정 깊이만큼 리세스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fixing part is formed to b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ase,
And the second fixing part is inserted into and caught by the first fixing par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단자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다른 전극을 갖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는 대응되는 제1고정부와의 사이에서만 인력이 작용하도록 서로 다른 전극을 갖는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fixing part includes magne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terminal part and having different electrodes from each other,
The second fixing part has a connecting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 having a different electrode so that the attraction force only between the corresponding first fixing par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부는 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단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제1단자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terminal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arranged along one direction,
The first fixing par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ng systems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extend in the one direction with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therebetween.
KR1020120010876A 2012-02-02 2012-02-02 Connecting system between mobile terminal and connecting device KR1019806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876A KR101980619B1 (en) 2012-02-02 2012-02-02 Connecting system between mobile terminal and conn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876A KR101980619B1 (en) 2012-02-02 2012-02-02 Connecting system between mobile terminal and connec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479A true KR20130089479A (en) 2013-08-12
KR101980619B1 KR101980619B1 (en) 2019-05-21

Family

ID=4921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876A KR101980619B1 (en) 2012-02-02 2012-02-02 Connecting system between mobile terminal and connec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619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295A (en) * 2014-12-30 2016-07-12 세메스 주식회사 Head assembly and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assembly
WO2017039191A1 (en) * 2015-09-02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Cradle for wireless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applied to same
CN106505334A (en) * 2015-09-08 2017-03-15 苹果公司 The electric power of low profile and data contact
CN106505344A (en) * 2015-09-04 2017-03-15 苹果公司 There is the electronic equipment of the contact concordant with housing
KR20190038450A (en) * 2017-09-29 2019-04-08 애플 인크. Hybrid connector
US10317953B2 (en) 2015-09-04 2019-06-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moveable contacts at an exterior surface
EP3742712A4 (en) * 2018-01-15 2021-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ac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8598A (en) * 2001-09-05 2003-03-14 Nec Corp Portable telephone set and its terminal
KR20060085100A (en) 2005-01-22 2006-07-26 (주)대한특수금속 Non-insertion and contact type connector using magn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ng thereof and cellular phone charger
KR20080005020A (en) * 2006-07-07 2008-01-10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Non-contact charger of wireless data and power transmission and the mobile devices using it
US20110136351A1 (en) * 2005-09-26 2011-06-09 Apple Inc. Magnetic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8598A (en) * 2001-09-05 2003-03-14 Nec Corp Portable telephone set and its terminal
KR20060085100A (en) 2005-01-22 2006-07-26 (주)대한특수금속 Non-insertion and contact type connector using magn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ng thereof and cellular phone charger
US20110136351A1 (en) * 2005-09-26 2011-06-09 Apple Inc. Magnetic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
KR20080005020A (en) * 2006-07-07 2008-01-10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Non-contact charger of wireless data and power transmission and the mobile devices using it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295A (en) * 2014-12-30 2016-07-12 세메스 주식회사 Head assembly and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assembly
WO2017039191A1 (en) * 2015-09-02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Cradle for wireless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applied to same
US10579097B2 (en) 2015-09-04 2020-03-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contacts flush with housing
CN106505344A (en) * 2015-09-04 2017-03-15 苹果公司 There is the electronic equipment of the contact concordant with housing
US10317953B2 (en) 2015-09-04 2019-06-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moveable contacts at an exterior surface
US9977460B2 (en) 2015-09-04 2018-05-2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contacts flush with housing
JP2018092637A (en) * 2015-09-04 2018-06-14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Electronic device with contacts flush with housing
KR20180095482A (en) * 2015-09-04 2018-08-27 애플 인크. Electronic device with contacts flush with housing
US10153577B2 (en) 2015-09-08 2018-12-11 Apple Inc. Low-profile power and data contacts
EP3428773A1 (en) * 2015-09-08 2019-01-16 Apple Inc. Low-profile power and data contacts
KR20170035778A (en) * 2015-09-08 2017-03-31 애플 인크. Low-profile power and data contacts
JP2019153588A (en) * 2015-09-08 2019-09-12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Low profile power and data contact
US10418741B2 (en) 2015-09-08 2019-09-17 Apple Inc. Low-profile power and data contacts
CN106505334A (en) * 2015-09-08 2017-03-15 苹果公司 The electric power of low profile and data contact
KR20190038450A (en) * 2017-09-29 2019-04-08 애플 인크. Hybrid connector
US10707627B2 (en) 2017-09-29 2020-07-07 Apple Inc. Hybrid connector
EP3742712A4 (en) * 2018-01-15 2021-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ac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1553068B2 (en) 2018-01-15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ac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619B1 (en)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619B1 (en) Connecting system between mobile terminal and connecting device
KR101587138B1 (en) Mobile terminal
US10491728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key module
KR102206242B1 (en) Mobile terminal
US20140078708A1 (en) Mobile terminal
CN110786018A (en) Optical connector an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EP3343884A1 (en) Mobile terminal
KR20150133053A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system having the same
KR20160004129A (en) Glass type terminal
KR20170006075A (en) Mobile terminal
US10804047B2 (en) Mobile terminal
KR102166834B1 (en) Mobile terminal
KR20160054777A (en) Display module and mobilterminal having it
KR20150014293A (en) Mobile terminal
KR101641486B1 (en) Mobile terminal
KR20130092891A (en) Mobile terminal
KR20170017204A (en)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KR101437972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30188B1 (en) Mobile terminal
KR101575503B1 (en) Mobile terminal
KR20170079475A (en) Mobile terminal
KR10150200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78013B1 (en) Earphone plug accessory and teminal
KR101789536B1 (en) Mobile terminal
KR101575599B1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